KR20230074173A - 의료 장치용 압력 해제 - Google Patents

의료 장치용 압력 해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173A
KR20230074173A KR1020237012409A KR20237012409A KR20230074173A KR 20230074173 A KR20230074173 A KR 20230074173A KR 1020237012409 A KR1020237012409 A KR 1020237012409A KR 20237012409 A KR20237012409 A KR 20237012409A KR 20230074173 A KR20230074173 A KR 20230074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ressurized fluid
hole
container
lu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2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류 픽
라이언 에버스
콜린 머레이
다니엘 콩돈
매튜 알. 자겔스키
Original Assignee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74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Inhalators using medicine packages with incorporated spraying means, e.g. aerosol 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8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formed by fluidized, gelatinous or cellular remodelable materials, e.g. embolic liquids, foams or extracellular matr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3/00Insufflators for therapeutic or disinfectant purposes, i.e. devices for blowing a gas, powder or vapour into the body
    • A61M13/003Blowing gases other than for carrying powders, e.g. for inflating, dilating or rin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5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35Piercing means
    • A61M15/0036Piercing means hollow pier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41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with movabl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007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introduced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2Gases
    • A61M2202/0225Carbon oxides, e.g. 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18Gas operated
    • A61M2205/8225Gas operated using incorporated gas cartridges for the driv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 B05B12/087Flow or presssure regulators, i.e. non-electric unitary devices comprising a sensing element, e.g. a piston or a membrane, and a controlling element, e.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 B05B9/08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833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comprising a compressed gas container, e.g. a nitrogen cartrid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가압 유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장치는 가압 유체를 수용하는 입력 개구 및 가압 유체를 전달하는 출력 개구를 갖는 본체, 가압 유체를 수납하는 용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강을 형성하는 손잡이, 및 장치 외부의 대기에 내강을 유체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 장치용 압력 해제
관련 출원의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9월 2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3/081,659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향유하고, 이러한 출원의 전체가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되어 있다.
본원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가압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의료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예에서는 가압 유체 공급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에 연결되는 의료 장치로부터 유체를 방출하기 위한 방법 및 도구에 관한 것이다.
유체 전달 시스템 및 장치는 의료 절차 중에 기체와 같은 다양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절차는 여러 적절한 압력 및/또는 유량 내에서 유체를 공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체는 특정 용례를 위해 적절한 압력 및/또는 유량으로 조직에 최적으로 전달되는 작용제, 예를 들어, 지혈제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형(handheld) 의료용 유체 전달 시스템은 종종 카트리지 또는 유사한 하우징과 같은 고압 저장 탱크로부터 유체를 전달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카트리지는 전달 시스템의 손잡이 내로 로딩될 수 있고, 카트리지 상의 밀봉부가 전달 시스템 상의 관통 핀 또는 유사한 장치에 의해 관통될 때에 전달 시스템을 작동시키거나 충전할 수 있다. 이러한 유체는 고압 하에 있을 수 있고, 의료 시스템이 적절하게 사용되지 않으면 부상을 일으킬 수 있다. 몇몇 경우에서, 가압 유체는 카트리지 또는 수납 장치로부터 의료용 유체 전달 시스템의 손잡이의 밀봉된 내강 내로 누설될 수 있다. 내강 및 손잡이의 과압은 의료용 유체 전달 시스템의 고장을 초래할 수 있고, 사용자 또는 환자에게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본원 개시 내용은 이러한 문제점 또는 관련 기술 분야의 다른 문제점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본원 개시 내용의 범주는 특정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다.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가압 유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장치는 가압 유체를 수용하는 입력 개구 및 가압 유체를 전달하는 출력 개구를 갖는 본체와, 가압 유체를 수납하는 용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강을 형성하는 손잡이와, 장치 외부의 대기에 내강을 유체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멍은 손잡이의 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멍은 복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구멍은 손잡이 상에 비대칭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손잡이의 원위 단부는 나사산을 통해 본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구멍은 나사산의 일부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손잡이는 하나 이상의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고, 본체는 하나 이상의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구멍은 손잡이 및 본체 각각의 하나 이상의 나사산을 통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손잡이 상의 하나 이상의 구멍 및 본체 상의 하나 이상의 구멍은 손잡이가 본체에 부착될 때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멍은 손잡이의 최근위 단부에 배치된 단일 구멍일 수 있고, 단일 구멍은 근위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장치는 복수의 크레넬레이션(crenellation) 및 인접한 크레넬레이션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구는 단일 구멍에 유체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크레넬레이션은 용기가 장치에 부착될 때 용기의 최근위 단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 각각의 단면적의 합계는 단일 구멍의 단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용기가 장치에 연결될 때, 용기의 최외측 표면의 근위 방향을 향하는 표면만이 손잡이의 최내측 표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멍은 0.5초 이하의 시간 내에 가압 기체를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는 용기 내에 홀(hole)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가압 유체는 용기로부터 홀을 거쳐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홀의 직경은 0.060 인치 이하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멍 각각의 합계의 단면적은 대략 0.25 제곱 인치 이상일 수 있다.
장치는 용기 및 적어도 하나의 구멍의 각각의 구멍을 덮는 막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막은 내강 내의 가압 유체의 압력이 임계치를 초과할 때 파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압 유체는 대략 14 제곱 인치당 파운드의 압력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가압 유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장치는 가압 유체를 수용하는 입력 개구 및 가압 유체를 전달하는 출력 개구를 갖는 본체와, 내강을 형성하는 손잡이로서, 내강은 가압 유체를 수납하는 용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손잡이와, 장치의 외부 표면과 내강을 유체 연결하는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고, 복수의 구멍 각각의 합계의 단면적은 대략 0.25 제곱 인치 이상이고, 가압 유체는 대략 0.5초 이내에 내강으로부터 방출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구멍은 손잡이 상에 비대칭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손잡이는 나사식 연결부를 통해 본체에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구멍은 나사식 연결부를 관통할 수 있다.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의 각각의 구멍을 덮는 막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막은 내강 내의 가압 유체의 압력이 임계치 이상일 때 파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환자의 신체로의 유체 전달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가압 유체를 수납하는 용기를 유체 전달 장치의 손잡이의 내강 내로 삽입하는 단계로서, 유체 전달 장치는 내강을 유체 전달 장치 외부의 대기에 유체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형성하는, 삽입 단계와, 용기 내에 개구를 유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하며 서술과 함께 개시된 실시예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전달 시스템의 손잡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손잡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전달 시스템의 손잡이의 절결도이다.
도 5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전달 시스템의 손잡이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a의 손잡이의 단면도이다.
본원 개시 내용은 가압 유체를 사용하여 작용제(예컨대 지혈제)를 분배하기 위한 예시적인 의료 시스템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의료 시스템과 연관된 장치는 가압 유체 용기로부터의 유체가 의료 시스템 내의 원치 않는 위치로 누설되는 경우에, 가압 유체를 대기(예를 들어, 손잡이 및/또는 의료 시스템 외부의 공기)로 배출시킴으로써, 의료 시스템의 기능성 및/또는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 예에서, 의료 시스템 상에 또는 내에 제공된 배출 개구(ventilation opening)는 손잡이의 내강으로부터 가압 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고 손잡이 및/또는 의료용 유체 전달 시스템의 과압을 방지할 수 있다.
임의의 특정 절차에 대한 참조는 단지 편의를 위해 본원 개시 내용에 제공되며, 본원 개시 내용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관련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개시된 장치 및 적용 방법의 기초가 되는 개념이 의료 또는 다른 방식의, 임의의 적합한 절차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 개시 내용은 이하의 서술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유사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지칭된다.
전술한 일반적인 서술 및 이하의 구체적인 서술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고, 청구된 특징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또는 이들의 다른 변형은 요소의 목록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단지 그러한 요소만을 포함하지 않고,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고유한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도록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서술의 편의를 위해, 장치 및/또는 그의 구성요소의 부분은 근위 및 원위 부분으로 지칭된다. 용어 "근위"는 장치의 사용자에 더 근접한 또는 추진 유체 경로 내의 상류 쪽(도 1의 화살표(A)의 방향)의 부분을 지칭하도록 의도되고, 용어 "원위"는 사용자로부터 더 멀리 이격된 또는 추진 유체 경로 내의 하류 쪽(도 1의 화살표(B)의 방향)의 부분을 지칭하도록 본원에서 사용된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유사하게, "원위로" 연장한다는 것은 구성요소가 원위 방향으로 연장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근위로" 연장한다는 것은 구성요소가 근위 방향으로 연장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약", "대략" 및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는 기술된 또는 암시된 값의 +/- 10 % 이내의 다양한 값을 나타낸다. 부가적으로, 구성요소/표면의 기하학적 형상을 나타내는 용어는 단지 대략적인 형상을 지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 시스템(10)이 도시된다. 전달 시스템(10)은 근위 단부에 손잡이(30)를 갖는 적용 장치(20), 예를 들어 파지형 장치, 및 추진 유체를 방출하기 위해 전달 시스템(10)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트리거 또는 작동기(22, 24)를 포함한다. 튜브(100)(예를 들어, 카테터), 또는 적용 팁은 원하는 위치에 추진 유체 및/또는 추진 유체와 지혈제(또는 다른 작용제)의 혼합물을 공급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전달 시스템(10)의 원위 출구에 부착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수납 장치(50)(예를 들어, 카트리지 또는 용기)는 손잡이(30)(도 2)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캡(32)은 손잡이(30)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손잡이(30) 내의 적용 장치(20)에 대한 수납 장치(50)의 부착을 제어 및/또는 보조할 수 있다. 손잡이(30)가 손잡이(30)의 원위 단부에 위치된 나사부(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손잡이(30) 상의 나사부(30b) 및 적용 장치(20) 상의 나사부(26b))를 통해 전달 시스템(10) 상으로 비틀리는 경우에, 캡(32)은 손잡이(30)의 최근위 단부일 수 있다. 전달 시스템(10)의 예가, 2019년 10월 1일자로 출원되었으며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서 포함된 미국 출원 제16/589,633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수납 장치(50)는 기체,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또는 관련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추진 기체 또는 유체와 같은 추진 유체를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실린더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수납 장치(50)는 어뢰-형상, 구체, 또는 기체를 수납하기 위한 관련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상과 같은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 장치(50)는 손잡이(30)의 내강(34)에 삽입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실린더일 수 있다(도 3). 수납 장치(50)는 하나 이상의 내부 챔버(50b)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외벽(50a)을 포함하고, 내부 챔버(들)(50b)는 추진 유체를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수납 장치(50)의 벽(50a)은 예컨대 금속 합금, 세라믹 또는 관련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른 소재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유체를 수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수납 장치(50)의 내부 챔버(50b)에 수납된 유체는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벽(50a)은, 예를 들어, 적어도 약 1000 제곱 인치당 파운드(PSI), 또는 약 850 PSI의 압력의 유체를 수납하기에 적합한 소재 및/또는 두께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수납 장치(50)에 수납될 수 있는 기체는 통상적인 장치 온도에서 대략 2,000 내지 8,000 kPa의 증기압을 갖는 이산화탄소(CO2), 또는 통상적인 장치 온도에서 40 MPa 미만의 증기압을 갖는 질소(N2)를 포함한다. 이들 기체는 예이며 수납 장치(50)에 수납된 기체의 유형에 대한 한정이 아님이 이해될 것이다.
도 3을 계속해서 참조하면, 적용 장치(20)는 수납 장치(50)를 손잡이(30)의 내강(34)에 삽입함으로써 수납 장치(50)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적용 장치(20)의 입구(예를 들어, 도 3 및 도 5a의 입구(76))는 나사식 연결부, 압력 와셔 어댑터 등을 사용하여 수납 장치(50)의 돌출부(30c)(도 3, 도 4 및 도 5a)와 같은 출구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수납 장치(50)의 돌출부(30c)는 적용 장치(20)의 입구(76) 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조절기(도시되지 않음)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납 장치(50)에 적용 장치(20)를 직접 연결하는 것은 전달 시스템(10)의 더 큰 휴대성을 허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대략 5 g 내지 75 g의 압축 기체, 또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12 g 내지 40 g의 압축 기체를 수납하는 작은 체적의 수납 장치(20)에 적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적용 장치(20)의 작동 장치(22, 24) 중 하나 또는 둘 다의 작동은 유체가 튜브(100)를 통해 목표 부위로 전달 시스템(10)을 빠져나가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작동 장치(22, 24)만이 작동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작동 장치(22, 24) 중 하나 또는 둘 다의 작동은 전달 시스템(10) 내의 압력의 축적을 해제하여, 조절기로 하여금 유체를 수납 장치(50)로부터 미리 결정된 압력으로 조절기 하류의 전달 시스템(10)으로 방출하게 한다. 적용 장치(20)는 예를 들어 정원-호스 손잡이 또는 다른 권총형 구성일 수 있다. 작동 장치(22, 24)는 임의의 푸시 버튼, 트리거 메커니즘, 또는 작동 시 밸브를 개방하고 유체를 방출하는 다른 장치일 수 있으며, 이는 본원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캡(32)은 손잡이(30)의 근위 단부에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손잡이(30)는 손잡이(30)의 내강(34)이 유체 밀봉되도록(본원에 기재된 구멍 없이) 적용 장치(20)의 근위 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도 3 참조). 손잡이(30)는 나사식 연결부(예를 들어, 도 3의 나사부(30b, 26b))를 사용하여 적용 장치(20)의 근위 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 장치(50)가 내강(34) 내에 삽입된 후에, 손잡이(30)는 적용 장치(20)의 근위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30)의 근위 단부에 있는 벽(30a)의 내부 표면이 수납 장치(50)와 접촉할 수 있다. 손잡이(30)는 나사식 연결부, 예를 들어 손잡이(30)의 나사부(30b)와 적용 장치(20)의 나사부(26b)를 통해서 적용 장치(20) 상에 비틀릴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손잡이(30)가 적용 장치(20) 상으로 비틀릴 때, 벽(30a)의 근위 단부는 수납 장치(50)를 적용 장치(20)의 입구(76)에 위치된 관통 핀을 향해 압박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수납 장치(50)의 원위 단부(30c)는 적용 장치(20)의 유체 경로와 유체 연통 상태로 이동한다. 대안적으로, 2019년 10월 1일자로 출원되었으며 그 내용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출원 제16/589,633호에서와 같이, 캡(32)이 손잡이(30)의 근위 단부에 부착될 때, 수납 장치(50)가 캡(32)에 의해서 관통 핀을 향해서 압박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수납 장치(50)는 적용 장치(20)의 유체 경로와 유체 연결 상태에 놓일 수 있으며, 유체 추진제는 적용 장치(20)로부터 튜브(100)를 거쳐서 목표 부위에 작용제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레버(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수납 장치(50)를 원위 방향으로 압박하여 수납 장치(50)를 적용 장치(20)의 유체 경로와 유체 연통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수납 장치(50)를 손잡이(30)의 내강(34) 내에 밀봉하는 것은, 수납 장치(50)가 적용 장치(20)에 적절히 연결되지 않으면(예를 들면, 밀봉부 내의 누설, 부식된 나사부 등) 및/또는 수납 장치(50)가 손상되어 가압 유체가 내강(34) 내로 누설되면 유체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내강(34)으로부터 대기(예를 들어, 손잡이(30) 외부)로 유체를 배출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구멍(40)은 손잡이(30)의 측벽(30a)에 형성된다. 구멍(40)은 손잡이(30)의 외부 표면, 예를 들어 대기 또는 중성 분위기(neutral atmosphere)를 손잡이(30)의 내강(34)에 유체 연결한다. 구멍(40)은 도 2에서 직사각형이지만, 이러한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멍(40)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곡선형, 나선형, 사인곡선형 또는 불규칙형일 수 있다. 구멍(40)은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손잡이(3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거나, 구멍(40)은 손잡이(30)의 일부에만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구멍(40)은 인체 공학에 기초하여 손잡이(30) 주위에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멍(40)은 사용자가 사용 중에 손잡이(30)를 파지할 가능성이 적은 손잡이(30)의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구멍(40)은 사용 중에 사용자의 손에 의해 덮이지 않을 수 있다.
구멍(40)은 유체가 수납 장치(50)로부터 누설되어 전달 시스템(10)의 유체 경로 내로 통과하지 않는 경우에 유체가 내강(34)으로부터 중성 분위기로 통과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구멍(40)은 대략 0.5초 이내에 유체가 탈출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히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가 수납 장치(50)로부터 내강(34) 내로 방출되면, 유체는 0.5초 이내에 내강(34)으로부터 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 장치(50)가 전달 시스템(10)의 유체 경로에 적절히 부착되지 않은 경우 또는 수납 장치(50)의 벽(50a)이 파손되고 가압 유체가 손잡이(30)의 내강(34)으로 방출되는 경우에, 가압 유체는 손잡이(30) 내의 압력 축적을 방지하기 위해 대기로 배출될 수 있다. 구멍(40)의 부재 시, 손잡이(30)의 내강(34) 내의 압력 축적은 손잡이(30)의 벽(30a)이 파열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및/또는 환자에 대한 부상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온(25 ℃)에서 내강(34) 내의 유체의 압력이 850 제곱 인치당 파운드(PSI)의 평균 압력에 있고, 수납 장치(50) 내의 개구의 직경이 대략 0.060 인치인 경우, 유체가 대략 0.5초 이내에 배출되지 않으면 손잡이(30)의 측벽(30a)이 파열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모든 배출 개구의 총 단면적은 대략 0.25 제곱 인치보다 클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손잡이(30) 내의 각각의 구멍(40)의 단면적의 합계는 대략 0.25 제곱 인치보다 클 수 있다. 구멍(40)의 이러한 단면적은 대략 0.5초 이내에 가압 유체의 방출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구멍(40)이 원형 단면을 갖는 (내강(34)으로부터 대기까지 측벽(30a)을 통해 연장하는) 단일 실린더인 경우에, 구멍(40)의 원형 단면의 최소 반경은 식 1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식 1에서, R은 구멍(40)의 원형 단면의 반경이고, Q는 분당 표준 리터의 단위로 구멍(40)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이고(Q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내강(34)이 배출되는 시간, 예컨대 0.5초에 기초한 미리 결정된 값), η는 구멍(40)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점도이고, L은 손잡이(30)의 두께(예를 들어, 내강(34)으로부터 대기까지의 구멍(40)의 길이)이고, ΔP는 내강(34) 내부의 압력과 대기압 사이의 압력차(PSI)이다.
식 1:
Figure pct00001
일부 예에서, 막(도시되지 않음)이 각각의 구멍(40)을 덮을 수 있거나, 파열 디스크 또는 압력 릴리프 밸브가 하나 이상의 구멍(40) 대신 사용될 수 있다. 막은 손잡이(30)의 외부 표면 및/또는 내부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임의의 색상일 수 있으며, 반투명 또는 투명할 수 있다. 막의 소재는 임계치에서의 파열을 돕기 위해 미리 형성된 분리 구역 및/또는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막은, 가요성 소재 및/또는 내강(34) 내의 압력이 임계치를 초과할 때, 예를 들어 약 14 PSI 이상일 때, 파열되기에 적합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압력은 손잡이(30) 외부의 대기압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다(예를 들어, 대기압은 장치의 사용 위치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다). 유사하게, 파열 디스크 또는 압력 릴리프 밸브는 내강(34)의 압력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개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른 구멍(40')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수납 장치(50)는 손잡이(30) 상의 나사부(30b)와 적용 장치(20) 상의 나사부(26b)를 통해 적용 장치(20)에 부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멍(40')은 26b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멍(40')은 나사부(26b)의 최근위 단부의 개구(42')로부터 나사부(26b)의 최원위 단부의 개구(44')로 연장할 수 있다. 개구(44')는 외부 대기로 개방되고 및/또는 외부 대기와 유체 연통한다. 일부 경우에서, 구멍(40')은 적용 장치(20)의 나사형 부분의 원주 둘레의 위치에서 나사부(26b)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해당 부분은 조절기 또는 관통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부(26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26b)의 전체 길이를 따라 동일한 원주방향 위치에서 분리되어 구멍(40')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구멍(40')은 손잡이(30)의 나사부(30b)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손잡이(30) 상에 형성된 구멍(40')은 손잡이(30)가 적용 장치(20)에 완전히 부착될 때 적용 장치(20) 상의 구멍(40')과 정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멍(40')의 단면적이 증가될 수 있으며, 이는 내강(34)으로부터의 가압 유체의 배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막이 구멍(40')의 개구(42', 44')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덮을 수 있다. 막은 가요성 소재 및/또는 내강(34) 내의 압력이 전술된 압력과 같은 임계치를 초과할 때 파열되기에 적합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유체 방출 메커니즘의 다른 예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도시된다. 손잡이(30)는 손잡이(30)의 최근위 단부에 부재(36)를 포함한다. 부재(36)는 크레넬레이션(40")(지지부), 및 인접한 크레넬레이션(40")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42")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서, 부재(36)의 일부 또는 전체는 수납 장치(50)를 원위 방향으로 압박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부재(36)와 수납 장치(50) 사이의 마찰 계수를 증가시키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납 장치(50)는 손잡이(30)가 적용 장치(20) 상으로 비틀릴 때 또는 캡(32)이 적용 장치(20) 상으로 비틀릴 때 손잡이(30)의 내부 표면(예를 들어 캡(32), 또는 손잡이(30)의 근위 단부)에 의해 관통 핀을 향해 압박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크레넬레이션(40")은 구멍(42") 위에 있는 수납 장치(50)의 최근위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으며, 장치(50)를 지지할 수 있다. 손잡이(30) 및/또는 캡(32)이 비틀림 운동을 통해서 적용 장치(20)를 향해서 이동됨에 따라, 크레넬레이션(40")은 수납 장치(50)의 최근위 외부 표면과 접촉하여 수납 장치(50)의 원위 방향(예를 들어, 도 1에서 화살표(B)로 표시되는 방향)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크레넬레이션(40")은 수납 장치를 원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으며, 및/또는 수납 장치(50)의 최외측 표면과 측벽(30a)의 최내측 표면 사이에 공간을 생성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이 공간(예를 들어, 내강(34)의 일부)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임의의 유체가 수납 장치(50)로부터 탈출하여 구멍(42")으로 그리고 외부 대기로 방해 받지 않고 통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임의의 개수의 크레넬레이션(4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개 또는 3개 이상의 크레넬레이션(42")이 형성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근위를 향하는 개구(44")가 부재(36)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44")는 구멍(42") 각각에 유체 연결되고, 이는 결국 손잡이(30)의 내강(34)에 유체 연결된다. 손잡이(30)가 적용 장치(20)에 연결될 때, 구멍(42") 및 개구(44")는 내강(34) 내의 임의의 가압 유체 축적이 대기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일 예에서, 배출은 대략 0.5초 내에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개구 또는 구멍이 대략 0.25 제곱 인치 이상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임의의 유체 축적이 외부 대기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에, 모든 구멍(42")의 단면적의 합계는 0.25 제곱 인치 이상일 수 있고, 개구(44")의 단면적은 대략 0.25 제곱 인치 이상일 수 있다. 구멍(42")과 개구(44") 사이에 형성된 임의의 경로(예를 들어, 부재(36)의 측벽)는 대략 0.25 제곱 인치 이상의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부재(36)는 손잡이(30)와 일체형일 수 있고, 별개의 부품 또는 구성요소가 아닐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크레넬레이션(40")은 손잡이(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체로 몰딩되어, 몰딩 프로세스에서 구멍(42") 및 개구(44")를 남긴다.
본원에 기재된 구멍은 대략 0.25 제곱 인치 이상의 총 단면적을 갖는 것으로 기재되었지만, 이는 예이며 설계 인자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가압 유체는 대략 0.5초 이내로 내강(34)으로부터 분산될 수 있다. 유체가 이러한 시간 프레임 또는 (측벽(30a)의 강도를 포함한) 설계 인자에 기초한 다른 적합한 시간 프레임 내에 내강(34)으로부터 분산되지 않으면, 측벽(30a)의 구조적 완결성은 실패하여, 부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수납 장치(50)는 850 PSI를 초과하는 가압 유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및/또는 전달 시스템(10)은 실온(예를 들어, 대략 25 ℃)과 다른 온도에서의 사용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 이들 경우에서, 본원에 기재된 구멍 및 개구는 대략 0.5초 이하 또는 식 1 및 대응하는 상기 설명에 기초한 다른 적합한 시간 프레임 내에 가압 유체를 분산하기에 충분히 큰 단면적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구멍(40, 40', 및/또는 42") 중 하나 이상이 동일한 전달 시스템(10) 내에서 조합되어 유체 분산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본원 개시 내용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개시된 장치에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관련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명세서를 고려하고 본원에 개시된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본원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가 관련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명세서 및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주 및 사상은 다음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지시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15)

  1. 가압 유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며, 상기 장치는
    가압 유체를 수용하는 입력 개구 및 가압 유체를 전달하는 출력 개구를 갖는 본체;
    가압 유체를 수납하는 용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강을 형성하는 손잡이; 및
    내강을 장치 외부의 대기에 유체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
    을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멍은 상기 손잡이의 벽에 의해 형성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멍은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멍은 상기 손잡이 상에 비대칭 패턴으로 배열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원위 단부는 나사산을 통해 상기 본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멍은 상기 나사산의 일부를 통해 연장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하나 이상의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하나 이상의 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구멍은 상기 손잡이 및 상기 본체 각각의 상기 하나 이상의 나사산을 통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 상의 상기 하나 이상의 구멍 및 상기 본체 상의 상기 하나 이상의 구멍은 상기 손잡이가 상기 본체에 부착될 때 정렬되도록 구성되는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구멍은 상기 손잡이의 최근위 단부에 배치된 단일 구멍이고, 상기 단일 구멍은 근위 방향을 향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복수의 크레넬레이션 및 인접한 상기 크레넬레이션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는 상기 단일 구멍에 유체 연결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크레넬레이션은 상기 용기가 상기 장치에 부착될 때 상기 용기의 최근위 단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 각각의 단면적의 합계는 상기 단일 구멍의 단면적과 동일한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상기 장치에 연결될 때 상기 용기의 최외측 표면의 근위 방향을 향하는 표면만이 상기 손잡이의 최내측 표면과 접촉하는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멍은 0.5초 이내의 시간에 가압 기체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 내에 홀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압 유체는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홀을 통해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홀의 직경은 0.060 인치 이하인 장치.
  13.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구멍 각각의 합의 단면적은 대략 0.25 제곱 인치 이상인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멍의 각각의 구멍을 덮는 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막은 상기 내강 내의 상기 가압 유체의 압력이 임계치를 초과할 때 파열되도록 구성되는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체는 대략 14 제곱 인치당 파운드의 압력을 갖는 장치.

KR1020237012409A 2020-09-22 2021-09-21 의료 장치용 압력 해제 KR202300741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81659P 2020-09-22 2020-09-22
US63/081,659 2020-09-22
PCT/US2021/071523 WO2022067304A1 (en) 2020-09-22 2021-09-21 Pressure release for medical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173A true KR20230074173A (ko) 2023-05-26

Family

ID=7808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2409A KR20230074173A (ko) 2020-09-22 2021-09-21 의료 장치용 압력 해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087688A1 (ko)
EP (1) EP4171690A1 (ko)
JP (1) JP2023541789A (ko)
KR (1) KR20230074173A (ko)
CN (1) CN116171175A (ko)
AU (1) AU2021347405A1 (ko)
CA (1) CA3186473A1 (ko)
WO (1) WO2022067304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9159A (en) * 1993-03-30 1995-03-21 Origin Med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held insufflation
DE102004025330A1 (de) * 2004-05-19 2005-12-08 Mip Mittelstands-Projekt Gmbh Leipzig Reinigungs- und/oder Trocknungsvorrichtung für human- und veterinärmedizinische Anwendungen
US7730882B2 (en) * 2006-12-15 2010-06-08 Chin-Chi Liu Cartridge retaining device for hand gun
US9867931B2 (en) * 2013-10-02 2018-01-16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Therapeutic agents for delivery using a catheter and pressure source
WO2019118871A1 (en) * 2017-12-14 2019-06-20 Respider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apeutic gas treatment
AU2019355852A1 (en) * 2018-10-02 2021-04-0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Devices for fluidization and delivering a powdered ag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41789A (ja) 2023-10-04
AU2021347405A1 (en) 2023-02-16
CA3186473A1 (en) 2022-03-31
WO2022067304A1 (en) 2022-03-31
CN116171175A (zh) 2023-05-26
US20220087688A1 (en) 2022-03-24
EP4171690A1 (en)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42512B2 (ja) 粉末剤の流体化及び送達のための機器
EP3590567B1 (en) Device for delivering hydrogel compositions with self-purging to prevent clogging
US539915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held insufflation
US9713679B2 (en) Apparatus for delivering foam
US20020165483A1 (en) Gas assisted spray applicator
EP2398595A1 (en) Device, cartridge and method for dispensing a liquid
WO2010094305A1 (en) Device, cartridge and method for dispensing a liquid
US20100168779A1 (en) Tissue sealing system and apparatus
US6047865A (en) Gas capsule and gas delivery system
KR20230074173A (ko) 의료 장치용 압력 해제
US20220088324A1 (en) Pressure valve for medical devices and methods of use
EP4017338B1 (en) Medical devices for agent delivery
EP1909869A1 (en) Gas dispenser
KR20230074196A (ko) 의료 장치용 유체 압력 인디케이터
US20240100310A1 (en) Devices, assemblie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g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