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042B1 - 권철심 코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권철심 코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042B1
KR101908042B1 KR1020160078394A KR20160078394A KR101908042B1 KR 101908042 B1 KR101908042 B1 KR 101908042B1 KR 1020160078394 A KR1020160078394 A KR 1020160078394A KR 20160078394 A KR20160078394 A KR 20160078394A KR 101908042 B1 KR101908042 B1 KR 101908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core
coating layer
electric steel
insulating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435A (ko
Inventor
심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078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042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01F41/0213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made from strip(s) or ribb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5Magnetic cores made from strips or ribb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04Cores, Yokes, or armatures made from strips or ribb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무부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전기강판의 일 면에 홈을 형성하는 자구 미세화 단계와, 전기강판을 코일 형태로 연속적으로 감아주는 와인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와인딩 단계는 전기강판의 표면에 형성된 자구 미세화 홈이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전기강판을 감는 권철심 코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권철심 코어 및 그 제조 방법{WOUND CO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OUND CORE}
본 발명은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방법방과 자구미세화 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방향성 전기강판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변압기, 변류기 또는 리액터 등의 정지기는 자성을 지닌 철심 주위를 전기 전도체인 권선(코일)으로 와인딩하여 제조된다. 여기서, 자기적인 손실이 적은 방향성 전기강판이 철심 코어로 사용된다. 상기 변압기 등은 코어의 구조에 있어 철심 소재를 어떻게 적층하느냐에 따라 크게 적철심 코어와 권철심 코어로 구분할 수 있다. 적철심 코어는 강판을 모양에 맞게 절단한 것을 쌓아 압착한 코어이고, 권철심 코어는 띠 형태의 강판을 소용돌이 형태로 연속적으로 감아서 만든 코어이다.
적철심 코어의 제조 비율이 전체 수요의 80% 이상을 차지하므로, 대부분의 연구가 적철심 코어에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들어 에너지 효율 강화에 따른 국제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배전용 권철심 변압기 및 리액터의 효율 향상을 위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변압기 등의 전력 손실은 구리 혹은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한 전기 권선의 줄(Joule) 손실과 전기강판 소재를 사용한 철심부의 철손으로 구분된다.
변압기를 평가하는 요소 중 부하손은 변압기 2차 측에 부하를 연결한 후 운전할 때 발생하는 손실을 의미하며, 대부분 전기권선부에 의해 발생되며, 부하의 양 및 사용시간에 따라 손실량이 변한다.
한편, 무부하손은 변압기 2차 측을 개방하여 1차 측에 인가된 정격전압이 철심을 여자시켜, 철심부의 철손에 의해 발생된다. 무부하손은 부하량과는 무관하게 전압 인가시에 항상 존재한다.
변압기의 규정에 의거하여 변압기 성능은 부하손, 무부하손, 효율 등을 주요 사항으로 규제되고 있다. 배전용 변압기의 경우 20 내지 30%의 부하율로 동작하기 때문에 무부하손실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대부분의 코어 제조사들은 무부하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철심 소재인 방향성 전기강판의 철손이 매우 낮은 제품을 사용하거나, 철심부의 전기강판 사용량을 늘려 설계자속밀도를 낮춤으로써 손실을 줄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제조 원가를 상승시켜 변압기 가격이 비싸지는 원인이 된다.
무부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권철심 코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보다 낮은 비용으로 제조하면서도 무부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권철심 코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구현예의 권철심 코어 제조 방법은, 전기강판의 일 면에 홈을 형성하는 자구 미세화 단계와, 전기강판을 코일 형태로 연속적으로 감아주는 와인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와인딩 단계는 전기강판의 표면에 형성된 자구 미세화 홈이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전기강판을 감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은, 전기강판의 일 면에만 절연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단계에서, 절연 코팅층은 전기강판의 자구 미세화 홈이 형성된 면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구 미세화 단계에서, 전기강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자구 미세화 홈의 깊이는 5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자구 미세화 단계에서, 전기강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자구 미세화 홈의 간격은 1 내지 10mm 일 수 있다.
상기 코팅 단계에서, 전기강판에 형성되는 절연 코팅층의 두께는 1 내지 3㎛일 수 있다.
상기 코팅 단계에서, 상기 절연 코팅층은 콜리이달 실리카 50 내지 60중량%, 및 마그네슘 인산염 40 내지 50중량%의 혼합액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전기강판을 감는 와인딩 단계에서 전기강판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인장력 인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장력 인가 단계에서, 전기강판에 인가되는 인장력은, 1MPa < 단위면적당 인장력(F/A) < 60MPa 일 수 있다.
본 구현예의 권철심 코어는, 일 면에 자구 미세화를 위한 홈이 형성되며 코일 형태로 연속적으로 감겨진 전기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코일의 중심에 대해 외측을 향하는 전기강판의 외측면에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전기강판의 일면에만 코팅되어 형성된 절연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 코팅층은 전기강판의 홈이 형성된 면에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전기강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홈의 깊이는 5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전기강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홈의 간격은 1 내지 10mm 일 수 있다.
상기 전기강판에 형성되는 절연 코팅층의 두께는 1 내지 3㎛일 수 있다.
상기 절연 코팅층은 콜리이달 실리카 50 내지 60중량%, 및 마그네슘 인산염 40 내지 50중량%의 혼합액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권철심 코어는 점적률이 98% 이상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보다 간단한 구조를 통해 권철심 코어의 무부하 손실을 보다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철심 소요량을 줄이고 보다 저렴한 전기강판을 사용하여 무부하 손실이 낮은 철심을 제조할 수 있게 되어,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경쟁사와 비교하여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권철심 코어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권철심 코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권철심 코어의 전기강판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방향성 전기강판에 대한 인장응력과 철손 개선율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 본 실시예는 변압기 철심 소재로 사용되는 권철심 코어를 예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변압기 철심 소재용의 권철심 코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압기 외에 무부하 손실 저감이 요구되는 다양한 설비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권철심 코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권철심 코어를 구성하는 전기강판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권철심 코어(10)는 압연방향이 일정한 방향성 전기강판(12)을 코일 형태로 연속적으로 감아 제조된다. 상기 권철심 코어(10)의 전기강판(12)은 일 면에 자구 미세화를 위한 홈(14)이 형성되며, 상기 홈(14)은 코일의 중심에 대해 외측을 향하는 전기강판(12)의 외측면에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강판(12)을 코일 형태로 감아 권철심 코어(10)를 형성할 때, 전기강판(12)에 형성된 홈(14)이 코일의 외측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전기강판(12)을 감아줌에 따라, 전기강판(12)의 홈 형성면에 인장력이 가해져 철손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기강판(12)의 양면 중 자구 미세화를 위한 홈(14)이 형성된 면을 홈 형성면이라 한다.
전기강판(12)을 코일 형태로 감아주게 되면 전기강판(12)의 양 면 중 코어의 중심쪽을 향하는 면에는 압축응력이 가해지게 되고, 반대쪽인 코어의 외측을 향하는 면은 인장응력이 가해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권철심 코어(10)는 홈 형성면이 코어의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전기강판(12)을 감아줌에 따라, 전기강판(12)의 상기 홈 형성면에 인장 응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에, 전기강판(12)을 코일 형태로 감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전기강판(12)의 홈 형성면에 인장 응력이 가해져 철손이 저감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권철심 코어(10)는 별도의 철심을 더 사용하거나 고가의 전기강판(12)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전기강판(12) 권취로 인해 발생되는 기계적인 장력을 최대한 이용하여 철손을 감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방향성 전기강판(12)에 대한 인장응력과 철손 개선율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전기강판(12)에 인장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철손이 감소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향성 전기강판(12)에 인장응력이 가해지게 되면 철손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인장 응력 부여시 자구(magnetic domain) 폭이 감소하여 자구의 이동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권철심 코어(10)는 전기강판(12)의 홈 형성면이 코어의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감겨져 형성됨에 따라 전기강판(12)의 홈 형성면에 인장응력이 가해져 철손이 감소된다.
본 실시예의 권철심 코어(10)는 상기한 구조를 통해 자구 미세화를 위해 전기강판(12) 표면에 형성된 홈(14)에 의해 발생되는 압축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변압기용 권철심 코어(10)를 제조할 때 전기강판(12) 표면에 자구 미세화 홈(14)을 형성하여 자기장의 직각방향으로 자구를 미세화함으로써 90도 자구를 급격히 감소시킬 수 있으나, 홈(14) 형성에 의해 전기강판(12)의 홈(14) 형성 부위에는 압축 응력이 부여된다. 권철심 코어는 홈(14) 형성 부위에 가해진 상기한 압축 응력으로 인해 철손 저감의 효율이 저하된다.
이에, 본 실시예의 권철심 코어(10)는 전기강판(12)의 자구 미세화 홈(14)이 형성된 부위에 인장력을 가해줌으로써, 홈(14) 주위의 압축 응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전기강판(12)의 홈 형성면이 코어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권철심 코어(10)를 제조함에 따라, 홈(14)에 의한 자구 미세화와 더불어 인장응력에 의한 자구 미세화로 자구 폭이 보다 감소하여 철손 저감 효과를 높이고 무부하손실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권철심 코어(10)는 전기강판(12)의 일면에만 코팅되어 형성된 절연 코팅층(16)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 코팅층(16)은 홈(14)이 형성된 홈 형성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권철심 코어(10)는 절연 코팅층(16)이 전기강판(12)의 한 면에만 형성됨에 따라, 전기강판(12)의 점적률을 높여, 철손을 저감하고 무부하손실을 보다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점적률은 일정한 공간에 전기강판(12)의 순수 소지철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다. 예를 들어, 점적률이 96%이면, 순수 소지철이 96% 차지하며, 나머지 4%는 코팅층(16) 및 공기층에 의한 공간을 의미한다. 종래의 권철심 코어(10)의 경우 전기강판(12)의 양면에 절연 코팅층(16)이 형성됨으로써, 점적률이 97%로 낮게 나타난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의 경우 전기강판(12)의 일면에만 절연 코팅층(16)이 형성됨에 따라 절연 코팅층(16)이 차지하는 면적이 줄어 점적률이 98% 이상으로 증가한다.
권철심 코어(10)의 점적률이 높은 경우, 동일 면적에서 철심량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권철심 코어(10)에 동작하는 자속밀도(단일 면적당 흐르는 자기장)가 낮아지고, 자속밀도가 낮아지면 철손이 저감된다.
이에, 본 실시예의 권철심 코어(10)는 절연 코팅층(16)이 일면에만 형성됨에 따라 동일 면적에서 철심량이 증가하여 철손을 개선하고 무부하손실을 보다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연 코팅층(16)은 코팅액을 전기강판(12)의 일면에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 코팅층(16)은 전기강판(12)의 홈 형성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강판(12)의 홈 형성면에 절연 코팅층(16)을 형성함에 따라 절연 코팅층(16)을 통해 전기강판(12)의 홈 형성면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전기강판(12)의 표면에 절연 코팅층(16)을 형성하게 되면 전기강판(12)에는 절연 코팅층(16) 형성면이 위로 볼록하게 굽어지는 반곡 현상이 발생된다.
본 실시예의 권철심 코어(10)는 홈(14)이 형성된 면에 절연 코팅층(16)이 형성됨에 따라 전기 강판(12)의 홈 형성면이 굽어지면서 인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절연 코팅층(16)을 통해 자구미세화 홈(14)이 형성된 표면에 인장력이 부여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전기강판(12)의 표면에 자구 미세화 홈(14)이 형성되는 경우 홈(14) 주위로 압축 응력이 발생되어 철손 개선 효과를 저감시키게 되나, 절연 코팅층(16)에 의한 인장응력이 이러한 압축 응력을 상쇄시켜 철손 개선의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액은 콜리이달 실리카 50 내지 60중량%, 및 마그네슘 인산염 40 내지 50중량%의 혼합액일 수 있다.
상기 코팅액에서 상기 콜리이달 실리카가 50중량% 보다 적은 경우에는 전기 절연성이 불완전해지며, 60중량%를 넘게 되면 부식성 및 내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전기강판(12)에 형성되는 절연 코팅층(16)의 두께는 1 내지 3㎛일 수 있다.
상기 절연 코팅층의 두께가 1㎛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 전기 절연의 불량 가능성이 증가하여 변압기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절연 코팅층의 두께가 3㎛를 넘게 되면 소지철 대비 코팅층 비율 증가로 점적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전기강판(12)의 표면에 형성되는 홈(14)의 깊이는 5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홈의 깊이가 5㎛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 소지철의 자구의 미세화가 불완전해지며, 홈의 깊이가 30㎛를 넘어 과도한 깊이로 형성되면 소지철의 자화 특성을 손상시키게 된다. 여기서, 자화특성이란 외부의 전기 회로를 통해 전기강판에 자기장 형성시, 공기 대비 전기강판에 흐르는 자기장 크기를 의미한다.
상기 전기강판(12)의 표면에 형성되는 홈(14)의 간격은 1 내지 10mm 일 수 있다.
상기 홈의 간격이 1mm 보다 작은 경우 빈번한 자구 미세화로 인해 자화 특성이 떨어지며, 10mm를 넘게 되면 자구 형성시 자구 미세화 간격이 조대하여 철손 감소 효과가 뚜렷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권철심 코어 제조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조된 방향성 전기강판의 일 면에 자구 미세화를 위한 홈을 형성한다. 자구 미세화 홈이 형성된 전기강판은 와인딩 공정을 통해 연속적으로 감겨져 원통형태의 권철심 코어로 제조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전기강판을 코일 형태로 감는 과정에서, 전기강판의 표면에 형성된 자구 미세화 홈이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전기강판을 감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기강판을 코일 형태로 감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인장응력을 전기강판에 가함으로써, 자구의 폭을 보다 감소시켜 철손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전기강판을 코일 형태로 감아주게 되면 전기강판의 양 면 중 코어의 중심쪽을 향하는 면에는 압축응력이 발생되어 철손 증가가 나타나나, 이는 전기강판의 홈 형성면에서 인장 응력으로 인한 철손 감소량과 비교하여 미비하므로, 전체적으로 볼 때, 철손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전기 강판을 와인딩 하여 코일로 감기 전에, 전기강판의 자구 미세화 홈 형성면에 절연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절연 코팅층에 의해 전기강판의 홈 형성면에 인장력이 더 가해지게 된다. 이에, 절연 코팅층에 의한 인장 응력으로 철손 개선의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코팅 단계에서, 상기 절연 코팅층은 콜리이달 실리카 50 내지 60중량%, 및 마그네슘 인산염 40 내지 50중량%의 혼합액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코팅 단계에서, 전기강판에 형성되는 절연 코팅층의 두께는 1 내지 3㎛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전기강판을 감는 와인딩 단계에서 전기강판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인장력 인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강판에 인장력을 가하면서 코일 형태로 감아줌에 따라 전기강판의 자구 폭을 더욱 감소시켜 철손 개선의 효과를 높이고, 무부하손실을 보다 감소시킬 수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기강판에 인가되는 인장력은, 전기강판의 단위면적을 A라 하고 인장력을 F라 할 때, 1Mpa < 단위면적당 인장력(F/A) < 60Mpa 로 가해질 수 있다.
전기강판에 인가되는 단위면적당 인장력이 1MPa 보다 작은 경우에는 철손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전기강판을 감을 때 단위면적당 인장력이 60MPa를 넘는 인장력을 가하게 되면 철심 권취 과정에서 절연 코팅층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부착성이 나빠져 철심 층간에 전기 절연성 미확보로 무부하손이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권철심 코어의 무부하손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험에서는 실시예와 비교예 모두 0.23mmt 방향성 전기강판 소재를 사용하여 50KVA 권철심 코어를 제조한 후 무부하 손실을 측정하였다.
구분 자구 미세화 홈 형성 위치 절연코팅층 형성면 무부하손실
(watt)
비교예1 내측 양면 100.4
비교예2 내측 양면 101.2
비교예3 내측 양면 100.6
비교예4 내측 일면 98.3
비교예5 내측 일면 98.8
비교예6 내측 일면 98.2
실시예1 외측 양면 97.3
실시예2 외측 양면 97.5
실시예3 외측 양면 97.2
실시예4 외측 일면 95.6
실시예5 외측 일면 95.3
실시예6 외측 일면 96.1
상기 표 1에서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에 따라 전기강판의 홈 형성면이 코어의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전기강판을 감은 구조의 권철심 코어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내고 있고, 비교예는 모두 전기강판의 홈 형성면이 코어의 내측을 향하도록 하여 전기강판을 감은 구조의 권철심 코어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내고 잇다.
또한, 비교예 중 비교예1 내지 비교예3은 전기강판의 양면에 모두 절연 코팅층이 형성된 권철심 코어에 대한 실험 결과이고, 비교예4 내지 비교예6은 전기강판의 일면에만 절연 코팅층이 형성된 구조의 권철심 코어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중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은 전기강판의 양면에 모두 절연 코팅층이 형성된 권철심 코어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실시예4 내지 실시예6은 전기강판의 홈 형성면 일면에만 절연 코팅층이 형성된 권철심 코어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강판에 형성된 자구 미세화 홈이 코어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전기강판을 감은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와 비교하여 무부하손실이 평균 3.4% 정도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기강판의 양면에 절연 코팅층을 형성한 구조와 비교하여 실시예와 같이 전기강판의 일면에만 절연 코팅층을 형성한 경우 무부하손실이 평균 2.3% 정도 개선되었다.
특히, 실시예 4 내지 6과 같이, 전기강판의 자구 미세화 홈 형성면에 절연 코팅층을 형성하고, 자구 미세화 홈이 코어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전기강판을 감아 권철심 코어를 제조한 경우, 비교예 1 내지 3과 비교하여 무부하 손실을 약 5% 이상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권철심 코어 12 : 전기강판
14 : 홈 16 : 절연 코팅층

Claims (17)

  1. 전기강판의 일 면에 홈을 형성하는 자구 미세화 단계,
    자구 미세화된 전기강판을 코일 형태로 연속적으로 감아주는 와인딩 단계, 및
    상기 전기강판의 일 면에만 절연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와인딩 단계는 상기 홈이 상기 전기강판의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전기강판을 감고,
    상기 코팅 단계는 상기 전기강판의 일면에 홈을 형성한 후 행해지고,
    상기 코팅 단계에서, 상기 절연 코팅층은 상기 홈이 형성된 면에 형성되는 권철심 코어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구 미세화 단계에서, 전기강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자구 미세화 홈의 깊이는 5 내지 30㎛인 권철심 코어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구 미세화 단계에서, 전기강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자구 미세화 홈의 간격은 1 내지 10mm인 권철심 코어 제조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단계에서, 전기강판에 형성되는 절연 코팅층의 두께는 1 내지 3㎛인 권철심 코어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단계에서, 상기 절연 코팅층은 콜리이달 실리카 50 내지 60중량%, 및 마그네슘 인산염 40 내지 50중량%의 혼합액을 코팅하여 형성하는 권철심 코어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강판을 감는 와인딩 단계에서 전기강판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인장력 인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권철심 코어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 인가 단계에서, 전기강판에 인가되는 인장력은, 1MPa < 단위면적당 인장력(F/A) < 60MPa 인 권철심 코어 제조 방법.
  10. 일 면에 자구 미세화를 위한 홈이 형성되고 코일 형태로 연속적으로 감겨진 전기강판, 및
    상기 전기강판의 일면에만 코팅되어 형성된 절연 코팅층
    을 포함하며,
    상기 홈은 코일의 중심에 대해 외측을 향하는 상기 전기강판의 외측면에 형성된 구조이며,
    상기 절연 코팅층은 상기 전기강판의 상기 홈이 형성된 면에 형성되는 권철심 코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강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홈의 깊이는 5 내지 30㎛인 권철심 코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강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홈의 간격은 1 내지 10mm인 권철심 코어.
  13. 삭제
  14. 삭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강판에 형성되는 절연 코팅층의 두께는 1 내지 3㎛인 권철심 코어.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코팅층은 콜리이달 실리카 50 내지 60중량%, 및 마그네슘 인산염 40 내지 50중량%의 혼합액을 코팅하여 형성한 권철심 코어.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권철심 코어는 점적률이 98% 이상인 권철심 코어.
KR1020160078394A 2016-06-23 2016-06-23 권철심 코어 및 그 제조 방법 KR101908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394A KR101908042B1 (ko) 2016-06-23 2016-06-23 권철심 코어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394A KR101908042B1 (ko) 2016-06-23 2016-06-23 권철심 코어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35A KR20180000435A (ko) 2018-01-03
KR101908042B1 true KR101908042B1 (ko) 2018-10-15

Family

ID=6100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394A KR101908042B1 (ko) 2016-06-23 2016-06-23 권철심 코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0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27923B2 (ja) * 2018-02-05 2022-03-02 日本製鉄株式会社 方向性電磁鋼板、巻鉄芯、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及び、巻鉄芯の製造方法
KR102069771B1 (ko) * 2018-10-24 2020-01-23 (주)비전테크놀러지 와운드 컷트코어를 이용한 전류센서 제조방법
KR102157513B1 (ko) * 2019-12-11 2020-09-18 (주)비전테크놀러지 전류센서용 와운드 컷트코어를 이용한 전류센서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9136A (ja) * 2003-03-06 2004-10-14 Nippon Steel Corp 鉄心用電磁鋼板
JP4331900B2 (ja) * 2001-03-30 2009-09-1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283B1 (ko) * 2009-12-04 2012-05-04 주식회사 포스코 저철손 고자속밀도 방향성 전기강판
JP5423646B2 (ja) * 2010-10-15 2014-02-1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1900B2 (ja) * 2001-03-30 2009-09-1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JP2004289136A (ja) * 2003-03-06 2004-10-14 Nippon Steel Corp 鉄心用電磁鋼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435A (ko) 201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0749B2 (en) Amorphous metal core transformer
KR101553497B1 (ko) 방향성 전자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4504426B2 (ja) 平面高電圧変圧器デバイス
KR101908042B1 (ko) 권철심 코어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43251A (ko) 코어 및 이를 갖는 코일 부품
US20120299681A1 (en) Flat band winding for an inductor core
US20170194088A1 (en) Isolation Transformer Topology
US20020033748A1 (en) Transformer
US7077919B2 (en) Magnetic core insulation
EP2528069B1 (en) Multi gap inductor core, multi gap inductor, transformer and corresponding manufacturing method
CN106024322B (zh) 一种电动汽车专用配电变压器铁芯结构
RU2713469C1 (ru) Сердечник трансформатора для трансформатора с сердечником наборного типа и трансформатор, включающий в себя такой сердечник
KR102399960B1 (ko) 그래핀 도체를 이용한 고효율 변압기
WO2009125639A1 (ja) 巻磁心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50221126A1 (en) Magnetic implement using magnetic metal ribbon coated with insulator
EP4027359A1 (en) Wound core
JP2007287956A (ja) リアクタ
JP7299464B2 (ja) 方向性電磁鋼板、巻鉄心変圧器用方向性電磁鋼板、巻鉄心の製造方法及び巻鉄心変圧器の製造方法
KR102104554B1 (ko)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자구미세화 방법
RU126190U1 (ru) Трансформатор (варианты)
KR20190016165A (ko) 변압기용 코어 및 이의 제조방법
Lin et al. A desirable material for transformer cores
CN211404256U (zh) 一种电磁式电压互感器单相三柱式铁心
KR100701902B1 (ko) 자기 코어 절연
JP2023146181A (ja) 三相三脚巻鉄心およびこれを用いた三相三脚巻鉄心変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