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678B1 - 주파수 할당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파수 할당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678B1
KR101907678B1 KR1020180000025A KR20180000025A KR101907678B1 KR 101907678 B1 KR101907678 B1 KR 101907678B1 KR 1020180000025 A KR1020180000025 A KR 1020180000025A KR 20180000025 A KR20180000025 A KR 20180000025A KR 101907678 B1 KR101907678 B1 KR 101907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frequency
collision
interferenc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진
이은형
박종성
백광훈
박판근
정방철
전상운
이호원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8000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6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1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04W72/08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 할당 기술에 관한 것으로, 무선 네트워크 상의 무선 링크의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를 기초로, 상기 무선 링크에 대한 충돌 링크를 추출하는 충돌 링크 추출부; 상기 충돌 링크 추출부의 충돌 링크 추출 결과를 기초로 주파수 할당을 위한 링크 그룹을 설정하고, 상기 링크 그룹별로 상기 주파수 할당에 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우선순위 스케줄러; 및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링크 그룹부터 순차적으로 링크 그룹 내의 각각의 링크에 주파수를 할당하는 주파수 할당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파수 할당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REQUENCY ASSIGNMENT}
본 발명은 주파수 할당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첩 주파수를 고려한 주파수 할당 기술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무선 노드들이 특정 지형에 전개되어 네트워크를 구축할 시, 네트워크의 크기에 따라 수 백 개의 주파수를 각 무선 링크에 동시에 지정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주파수 자원 지정 문제는 높은 복잡도의 최적화 문제로 해석되는데 그 해법이 확정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다. 특히, 서비스 응용에 따라 이러한 주파수 지정 최적화 문제는 한계 시간이 주어져 준 실시간성이 요구될 수 있는데, 이는 전체탐색 후 배정과 같은 기법의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기존 주파수 지정 방식은 주어진 무선 환경에 맞게 무선 네트워크를 모델링하고 이에 기반하여 최적 운용점을 찾는 것이 아닌 실제 적용 가능한 발견적(heuristic)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접근되어 왔다. 주파수 지정 문제 해결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해결 방안은 그래프 이론에 기반한 발견적 알고리즘이다. 이러한 알고리즘의 공통적인 입력은 복잡한 무선 네트워크의 성질을 간소화할 수 있는 그래프 모델로서 이는 일반적으로 노드와 링크로 구성된다.
특히, 무선 노드들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노드의 개수 및 관련 서비스의 주파수 소요량이 갈수록 증가하면서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방식의 무선 링크의 성능 요구치를 만족시키고자 하는 기술적인 요구가 늘어가고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성능은 장비들 간의 물리적인 거리, 주위 기후와 같은 외부요인뿐만 아니라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안테나 패턴, 주파수, 편파와 같은 내부요인의 복합적으로 상호작용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내/외부 다양한 기술적 문제를 한정된 주파수 자원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무선 장비들은 부분적으로 중첩된 주파수를 할당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요소를 간소화된 기존의 그래프 이론으로 모델링하는 것은 정확도 면에서 치명적 한계성이 있다. 즉, 기존의 그래프 모델에 기반한 발견적 알고리즘은 주파수 할당 효율성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무선 링크의 성능 요구사항을 만족 시키고 이를 검증하는데 심각한 취약점을 보인다.
한국공개특허 10-2009-0119526호 (2009.11.19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네트워크의 링크 별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를 주파수 지정 최적화 문제의 제한조건으로 고려하여 상이한 링크 별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는 주파수 할당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잡한 주파수 할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충돌 링크를 추출하고 링크 그룹 별 우선순위 기반으로 주파수를 할당하여 계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주파수 할당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중첩 주파수의 간섭 지수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이기종의 다양한 무선 노드 간의 간섭 지수를 고려함으로써, 주파수 지정 효율을 높이고 간섭 지수 정보의 저장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주파수 할당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 상의 무선 링크의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를 기초로, 상기 무선 링크에 대한 충돌 링크를 추출하는 충돌 링크 추출부; 상기 충돌 링크 추출부의 충돌 링크 추출 결과를 기초로 주파수 할당을 위한 링크 그룹을 설정하고, 상기 링크 그룹별로 상기 주파수 할당에 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우선순위 스케줄러; 및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링크 그룹부터 순차적으로 링크 그룹 내의 각각의 링크에 주파수를 할당하는 주파수 할당부를 포함하는 주파수 할당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돌 링크 추출부는, 상기 무선 링크와, 상기 무선 링크와 인접하는 다른 링크가 서로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상기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에 대한 정규화 값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충돌 링크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선순위 스케줄러는, 상기 충돌 링크의 개수의 내림 차순으로 상기 링크 그룹별 주파수 할당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파수 할당부는, 상기 링크 그룹 내의 링크 중 무선 네트워크 성능이 가장 낮은 링크의 성능이 최대화되도록 주파수를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 상의 무선 링크의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를 기초로, 상기 무선 링크에 대한 충돌 링크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충돌 링크를 기초로 주파수 할당을 위한 링크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되는 상기 링크 그룹별로 상기 주파수 할당에 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링크 그룹부터 순차적으로 링크 그룹 내의 각각의 링크에 주파수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파수 할당 장치의 주파수 할당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네트워크의 링크 별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를 주파수 지정 최적화 문제의 제한조건으로 고려하여 상이한 링크 별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고, 복잡한 주파수 할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충돌 링크를 추출하고 링크 그룹 별 우선순위 기반으로 주파수를 할당하여 계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중첩 주파수의 간섭 지수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이기종의 다양한 무선 노드 간의 간섭 지수를 고려함으로써, 주파수 지정 효율을 높이고 간섭 지수 정보의 저장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네트워크의 각 링크 별 서비스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주파수 사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무선 링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할당 장치(1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간섭 지수 모델부(10)로부터 제공되는 간섭 지수 모델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2의 주파수 할당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주파수 할당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링크 그룹 별 주파수 할당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실제로 필요한 경우 외에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네트워크의 링크 별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를 고려하여 충돌 링크를 추출하고, 충돌 링크를 기초로 링크 그룹 별 우선순위 기반으로 주파수를 할당하여 계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주파수 할당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무선 링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노드들이 생성한 데이터 및 수신된 데이터를 중계하여 각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황이며, 각 노드는 안테나 개수 및 반이중/전이중 방식에 따라 다양한 링크를 활성화할 수 있다. 각 링크는 상향 또는 하향으로 구성된 양방향 링크이며, 링크 별로 특정 전송률을 보장하기 위한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의 요구사항이 주어질 수 있다. 각 링크의 단말은 할당된 주파수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의 무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총 E개의 링크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링크의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
Figure 112018000035135-pat00001
는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8000035135-pat00002
여기서,
Figure 112018000035135-pat00003
는 링크 i의 송신 전력,
Figure 112018000035135-pat00004
는 링크 j의 송신 노드가 링크 i의 수신 노드에 미치는 송신 안테나 이득,
Figure 112018000035135-pat00005
는 링크 j의 송신 노드가 링크 i의 수신 노드에 미치는 수신 안테나 이득,
Figure 112018000035135-pat00006
는 링크 j의 송신 노드가 링크 i의 수신 노드에 미치는 채널 이득,
Figure 112018000035135-pat00007
은 노이즈 전력을 각각 의미한다.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18000035135-pat00008
는 링크 i와 링크 j에 할당된 주파수의 중첩으로 인한 간섭 지수를 의미하며, 여기서
Figure 112018000035135-pat00009
는 링크 i와 링크 j에 할당된 주파수의 차이를 나타내고 링크 i에 할당된 주파수가
Figure 112018000035135-pat00010
일 때,
Figure 112018000035135-pat00011
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주파수 지정은 한정된 주파수 자원인
Figure 112018000035135-pat00012
내에서 지정(
Figure 112018000035135-pat00013
)될 필요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할당 장치(1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할당 장치(100)는 간섭 지수 모델부(Interference Factor Model Generator, 1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의 간섭 지수 모델부(10)는 부분적으로 중첩된 주파수 자원의 간섭 영향을 모델링할 수 있다. 간섭 지수는 송/수신 노드의 주파수 중첩으로 인한 영향을 정량적으로 정규화한 수치이며, 각 링크 별로 관련된 송/수신 노드의 스펙트럼 마스크를 활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간섭 지수 모델부(10)를 통해 제공되는 간섭 지수 모델은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8000035135-pat00014
여기서,
Figure 112018000035135-pat00015
Figure 112018000035135-pat00016
는 송/수신 노드의 스펙트럼을 의미한다. [수학식 1]의 간섭 영향 지수
Figure 112018000035135-pat00017
는 도 2의 간섭 지수 모델부(10)로부터 전달된 간섭 지수 모델을 기초로 한다.
도 2의 간섭 지수 모델부(10)는 이렇게 계산 또는 측정된 간섭 지수를 근사화하는 수학적 모델을 제공한다. 일반적인 저복잡도의 수학적 모델인 선형 방정식 또는 지수 방정식을 사용하여 실질적인 간섭 영향 수치와의 오차를 줄이면서, 주파수 지정 최적화 문제의 계산 복잡도 및 관련 정보의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간섭 지수 모델부(10)로부터 제공되는 간섭 지수 모델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그래프로서, 실제 측정 분포 모델과 선형 근사화 분포 모델 및 지수 근사화 분포 모델을 비교하고 있다.
수학적인 근사 모델과 실제 측정 모델간의 간섭 영향 수치의 차이는 주파수 사용 효율성 및 링크별 전송률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선형 근사화 분포 모델의 경우 실질적인 간섭 지수 값 보다 높은 값을 제공하며, 이는 간섭 지수가 높게 고려되어 링크별 주파수 할당 시 예측된 성능이 실질적인 전송률 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링크별 특정 전송률을 보존해야 하는 서비스 응용에 효율적인 모델이 될 수 있다.
도 1에서 모든 링크의 상이한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의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며, 네트워크의 최소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를 최대로 보장할 수 있는 주파수 지정 최적화 문제는 [수학식 3]과 같이 표현 될 수 있다.
Figure 112018000035135-pat00018
도 2의 주파수 할당 장치(100)는 이러한 [수학식 3]의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링크 그룹 내의 각각의 링크 중 성능이 가장 낮은 링크의 성능을 최대화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수학식 3]에서
Figure 112018000035135-pat00019
은 링크 i의 최소 허용 가능한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의 요구 사항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수학식 3]의 최적화 문제는 비선형 정수 혼합 최적화 문제(Mixed-Integer Non-linear Problem)로서 NP-난해(Non-linear Problem hard)의 복잡도를 가지기 때문에, 실질적인 최적 해를 구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수학식 3]의 복잡한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할당 장치(100)는 충돌 링크 추출부(102), 우선순위 스케줄러(104) 및 주파수 할당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돌 링크 추출부(102)는 무선 네트워크 링크의 상태 정보를 입력으로 받아 각 링크 별로 심각한 간섭을 주는 타 링크 정보를 생성한다. 충돌 링크 추출부(102)는 [수학식 1]에서 중첩 주파수의 간섭 지수 함수
Figure 112018000035135-pat00020
를 1로 설정하고, 각 링크 간의 신호 대 잡음 및 간섭 비를 다음 [수학식 4]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참고로, 주파수를 지정할 때 링크 간의 핵심적인 충돌 링크를 구하기 위하여 모든 링크가 같은 주파수를 사용 한다는 것을 고려하기 위하여 중첩 주파수의 간섭 지수 함수
Figure 112018000035135-pat00021
를 1로 가정하였다.
Figure 112018000035135-pat00022
[수학식 4]에서
Figure 112018000035135-pat00023
는 동일 주파수에서 링크 j가 활성화되었을 때 링크 i의 수신기에 영향을 주는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를 의미하며,
Figure 112018000035135-pat00024
는 이러한 무선 링크 별 상호 영향도를 정규화한 결과를 나타낸다. 즉,
Figure 112018000035135-pat00025
의 값이 작을수록 동일 주파수에서 링크 j가 활성화 되었을 때 링크 i에 높은 간섭을 발생 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Figure 112018000035135-pat00026
의 값을 특정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호 링크 간의 주요 충돌 관계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돌 링크 추출부(102)는
Figure 112018000035135-pat00027
가 특정 임계치 이하이면, 링크 i와 링크 j는 서로 충돌 링크인 관계라고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이렇게 간소화된 충돌 링크 추출 방식은 지향성 안테나로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에 매우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간섭 그래프를 활용하여 [수학식 1]과 [수학식 3]의 제한조건은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8000035135-pat00028
[수학식 5]에서,
Figure 112018000035135-pat00029
는 링크 i에 간섭을 발생시키는 충돌 링크들의 집합을 의미하며, 이와 같이 충돌 링크를 추출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링크의 주파수를 할당할 때 최적화 문제의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의 우선순위 스케줄러(104)는 충돌 링크 추출부(102)의 충돌 링크 추출 결과를 기초로 주파수 할당을 위한 링크 그룹을 설정하고, 이러한 링크 그룹별로 주파수 할당에 관한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주파수 할당부(106)는 우선순위 스케줄러(104)에 의해 결정된 우선순위가 높은 링크 그룹부터 순차적으로 링크 그룹 내의 각각의 링크에 주파수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 스케줄러(104)는 충돌 링크의 개수가 많은 링크 그룹을 우선적으로 주파수를 할당하도록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주파수 할당부(106)는 우선순위 스케줄러(104)에 의해 결정된 우선순위가 높은 링크 그룹 내의 각각의 링크에 주파수를 할당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주파수 할당부(106)는 링크 그룹 내의 링크 중 무선 네트워크 성능이 가장 낮은 링크의 성능이 최대화되도록 주파수를 할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체 링크를 고려하여 주파수를 할당하지 않고, 충돌 링크를 고려한 링크 그룹의 우선순위를 정한 후 우선순위가 높은 링크 그룹부터 순차적으로 링크 그룹 내의 링크에 주파수를 할당함으로써, 주파수 할당에 따른 최적화 문제의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도 4는 이러한 주파수 할당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주파수 할당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주파수 할당 장치(100) 내의 충돌 링크 추출부(102)는 도 1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상의 무선 링크의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를 기초로, 무선 링크에 대한 충돌 링크를 추출할 수 있다(S100).
우선순위 스케줄러(104)는 이러한 충돌 링크 추출부(102)에서 추출된 충돌 링크를 기초로 주파수 할당을 위한 링크 그룹을 설정하고, 설정되는 링크 그룹별로 주파수 할당에 관한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S102, S104).
우선순위 스케줄러(104)에 의해 주파수 할당을 위한 링크 그룹의 우선순위가 결정되면, 주파수 할당부(106)는 이러한 우선순위에 따라 링크 그룹 내의 각각의 링크에 주파수를 할당할 수 있다(S106).
도 5는 이와 같이 우선순위 스케줄러(104)에서 수행되는 링크 그룹 별 주파수 할당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무선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입력으로 제공되면, 각 노드들의 참여 링크 수 및 충돌 링크의 개수를 계산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정리하여 차수가 높은 노드 그룹부터 순차적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링크 그룹인
Figure 112018000035135-pat00030
에 대하여 [수학식 3]의 최적화 문제를 풀고,
Figure 112018000035135-pat00031
의 다수 링크에 주파수를 할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학식 3]의 최적화 문제에서 고려해야 하는 제한조건 및 결정 변수의 개수가 전체 링크
Figure 112018000035135-pat00032
가 아닌
Figure 112018000035135-pat00033
으로 감소하여 계산의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후, 다음 우선순위 그룹인
Figure 112018000035135-pat00034
링크들에 주파수를 지정할 때 이미
Figure 112018000035135-pat00035
의 링크들에 할당된 주파수를 고려하여 [수학식 3]의 최적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최적화 문제의 총 제한조건의 개수는
Figure 112018000035135-pat00036
이며, 결정 변수의 개수는
Figure 112018000035135-pat00037
가 된다.
따라서,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게 되면, 각각의 분해된 문제의 복잡도를 낮추어 계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우선순위에 의해 순차적으로 링크 그룹별로 주파수를 할당함으로써, 각 링크별 성능 보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네트워크의 링크 별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를 주파수 지정 최적화 문제의 제한조건으로 고려하여 상이한 링크 별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고, 복잡한 주파수 할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충돌 링크를 추출하고 링크 그룹 별 우선순위 기반으로 주파수를 할당하여 계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중첩 주파수의 간섭 지수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이기종의 다양한 무선 노드 간의 간섭 지수를 고려함으로써, 주파수 지정 효율을 높이고 간섭 지수 정보의 저장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네트워크의 각 링크 별 서비스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주파수 사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 등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100: 주파수 할당 장치
102: 충돌 링크 추출부
104: 우선순위 스케줄러
106: 주파수 할당부

Claims (10)

  1. 무선 네트워크 상의 무선 링크의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를 기초로, 상기 무선 링크에 대한 충돌 링크를 추출하는 충돌 링크 추출부;
    상기 충돌 링크 추출부의 충돌 링크 추출 결과를 기초로 주파수 할당을 위한 링크 그룹을 설정하고, 상기 링크 그룹별로 상기 주파수 할당에 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우선순위 스케줄러; 및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링크 그룹부터 순차적으로 링크 그룹 내의 각각의 링크에 주파수를 할당하는 주파수 할당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돌 링크 추출부는,
    상기 무선 링크에 할당된 주파수와 상기 무선 링크와 인접하는 다른 링크에 할당된 주파수의 중첩으로 인한 간섭 지수를 기초로 상기 무선 링크의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에 대한 정규화 값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무선 링크에 대한 충돌 링크를 추출하는
    주파수 할당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스케줄러는,
    상기 충돌 링크의 개수의 내림 차순으로 상기 링크 그룹별 주파수 할당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주파수 할당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할당부는,
    상기 링크 그룹 내의 링크 중 무선 네트워크 성능이 가장 낮은 링크의 성능이 최대화되도록 주파수를 할당하는
    주파수 할당 장치.
  5. 무선 네트워크 상의 무선 링크의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를 기초로, 상기 무선 링크에 대한 충돌 링크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충돌 링크를 기초로 주파수 할당을 위한 링크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되는 상기 링크 그룹별로 상기 주파수 할당에 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링크 그룹부터 순차적으로 링크 그룹 내의 각각의 링크에 주파수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링크에 대한 충돌 링크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링크에 할당된 주파수와 상기 무선 링크와 인접하는 다른 링크에 할당된 주파수의 중첩으로 인한 간섭 지수를 기초로 상기 무선 링크의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에 대한 정규화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정규값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무선 링크에 대한 충돌 링크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파수 할당 장치의 주파수 할당 방법.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그룹별 주파수 할당 우선순위는,
    상기 충돌 링크의 개수의 내림 차순으로 결정되는
    주파수 할당 장치의 주파수 할당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링크 그룹 내의 링크 중 무선 네트워크 성능이 가장 낮은 링크의 성능이 최대화되도록 주파수를 할당하는
    주파수 할당 장치의 주파수 할당 방법.
  9. 명령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무선 네트워크 상의 무선 링크의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를 기초로, 상기 무선 링크에 대한 충돌 링크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충돌 링크를 기초로 주파수 할당을 위한 링크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되는 상기 링크 그룹별로 상기 주파수 할당에 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링크 그룹부터 순차적으로 링크 그룹 내의 각각의 링크에 주파수를 할당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무선 링크에 대한 충돌 링크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링크에 할당된 주파수와 상기 무선 링크와 인접하는 다른 링크에 할당된 주파수의 중첩으로 인한 간섭 지수를 기초로 상기 무선 링크의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에 대한 정규화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정규값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무선 링크에 대한 충돌 링크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0.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무선 네트워크 상의 무선 링크의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를 기초로, 상기 무선 링크에 대한 충돌 링크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충돌 링크를 기초로 주파수 할당을 위한 링크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되는 상기 링크 그룹별로 상기 주파수 할당에 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링크 그룹부터 순차적으로 링크 그룹 내의 각각의 링크에 주파수를 할당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무선 링크에 대한 충돌 링크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링크에 할당된 주파수와 상기 무선 링크와 인접하는 다른 링크에 할당된 주파수의 중첩으로 인한 간섭 지수를 기초로 상기 무선 링크의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에 대한 정규화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정규값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무선 링크에 대한 충돌 링크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00025A 2018-01-02 2018-01-02 주파수 할당 장치 및 방법 KR101907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025A KR101907678B1 (ko) 2018-01-02 2018-01-02 주파수 할당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025A KR101907678B1 (ko) 2018-01-02 2018-01-02 주파수 할당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678B1 true KR101907678B1 (ko) 2018-10-12

Family

ID=63876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025A KR101907678B1 (ko) 2018-01-02 2018-01-02 주파수 할당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6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852A (ko) * 2020-10-15 2022-04-22 국방과학연구소 복수의 링크에 주파수를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vid Lopez-Perez 외 2명, Dynamic Frequency Planning Versus Frequency Reuse Schemes in OFDMA Networks,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2009. VTC Spring 2009. IEEE 69th (2009.04.26)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852A (ko) * 2020-10-15 2022-04-22 국방과학연구소 복수의 링크에 주파수를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32850B1 (ko) 2020-10-15 2022-08-16 국방과학연구소 복수의 링크에 주파수를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13724B (zh) 一种基于mec的任务卸载和资源分配方案
JP3376013B2 (ja) 無線通信網における規則的でないチャネル割り当て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416801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ンネル割当装置及び方法
EP3656164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ue-to-ue interference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JPH08340571A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適応型動的チャンネル割り当て装置及び方法
Yousefvand et al. Maximizing network capacity of cognitive radio networks by capacity-aware spectrum allocation
US10764959B2 (en) Communication system of quality of experience oriented cross-layer admission control and beam allocation for functional-split wireless fronthaul communications
KR102133253B1 (ko) 인지무선 소형 셀 환경에서의 자원할당 방법 및 자원할당 장치
CN104770004A (zh) 一种通信系统和方法
JP7392720B2 (ja) 無線通信に用いられる電子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US20220394736A1 (en) Scheduling Enhanced Mobile Broadband Transmissions
KR101938513B1 (ko) 비허가 반송파의 경합 방법 및 장치
KR101907678B1 (ko) 주파수 할당 장치 및 방법
Singh et al. Dynamic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in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s
US20220078625A1 (en) Spectrum management device, electronic device,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Huang et al. Achieving fair LTE/Wi-Fi coexistence with real-time scheduling
CN105636059A (zh) 一种分配频谱的方法和设备
JP2016152622A (ja) リソース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Giortzis et al. Application of mathematical programming to the fixed channel assignment problem in mobile radio networks
CN109729531B (zh) 确定信道规划
CN107079296B (zh) 具有连续搜索循环的通道选择算法
Kumar et al. Optimization of Cognitive Femtocell Network via Oppositional Beetle Swarm Optimization Algorithm.
JP3815668B2 (ja) メッシュ状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無線チャネル割当方法
EP3301962B1 (en) A platform and method for a self-optimizing wireless network
WO2015109843A1 (zh) 异构网络频谱资源分配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