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520B1 - 사각 수직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사각 수직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520B1
KR101907520B1 KR1020180049865A KR20180049865A KR101907520B1 KR 101907520 B1 KR101907520 B1 KR 101907520B1 KR 1020180049865 A KR1020180049865 A KR 1020180049865A KR 20180049865 A KR20180049865 A KR 20180049865A KR 101907520 B1 KR101907520 B1 KR 101907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weight
bracke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진선
최교석
김화식
김동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to KR1020180049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520B1/ko
Priority to CN201811059576.XA priority patent/CN109672316B/zh
Priority to CN201821486158.4U priority patent/CN208908408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 수직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라켓 중앙으로 돌출되는 코일 고정부에 장방향 형태를 갖는 코일과 마그네트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서 전자계힘을 향상시켜 빠른 응답속도와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구동할 수 있는 사각 수직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각 수직 진동모터{RECTANGULAR VERTICAL 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사각 수직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라켓 중앙으로 돌출된 코일 고정부에 장방향의 코일과 마그네트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서 전자계 힘을 향상시켜 빠른 응답 속도와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구동될 수 있는 사각 수직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통신기술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휴대용 통신기기는 점점 소형화 및 경량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따라 휴대용 통신기기 내부에 탑재되는 기구장치, IC칩 및 회로를 포함하는 부품들은 고집적화와 고기능화되면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사이즈 및 형상의 진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휴대용 통신기기 내부에 장착되어 무음 진동으로 착신을 알리는 편평형 진동모터 역시 전술한 추세에 맞추어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휴대용 통신기기 내부에 탑재되는 진동모터의 초기 모델들은 고정자와 회전자를 기본 구성으로 한 회전형 진동모터 형태였으며, 이러한 회전형 진동모터는 고정자의 브라켓에 샤프트를 고정하고 회전자를 샤프트에 지지 회전시킴으로서 진동을 발생시켰으며, 진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회전자의 체적을 크게 하거나, 회전수를 증가시켜 진동력을 개선하였으나, 구조상의 문제로 소형화에 한계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고진동을 발생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며, 일정시간 이상의 수명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회전형 진동모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최근에는 수직 진동형 엑츄에이터 타입 진동모터가 제시되었고, 제안된 수직 진동형 엑츄에이터 타입 진동모터는 서로 대합되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적어도 한 면에 형성한 자기력 발생수단과, 자기력 발생수단에 대향하는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되는 마그네트와, 마그네트를 장착하여 한 몸체를 이루고 좌우로 움직이면서 진동력을 가중시키기 위한 중량물과, 중량물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의 하부에 위치하여 중량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수단과, 탄성수단의 타단을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수직 진동형 엑츄에이터 타입 진동모터는 회전형 진동모터의 비해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크기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른 응답 속도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는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수직 진동모터는 내부 부품들이 진동체에 의한 충격을 받지않도록 함으로서 진동모터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진동체의 진동력을 향상시킬수록 보다 우수한 진동모터를 제조할 수 있는 바, 내구성과 진동력이 더욱 향상된 진동모터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3301호(2010.07. 0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자계힘을 향상시켜 빠른 응답 속도와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구동될 수 있는 사각 수직 진동모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코일 고정부(110)가 형성되며, 양측단부에 스프링 고정부(120)가 형성된 브라켓(100)과;
상기 코일 고정부(110)에 삽입되어 브라켓(100)에 안착된 연결단자(200)와;
상기 코일 고정부(110)에 삽입되며, 연결단자(200)에 접속되게 구비된 코일(300)과;
상기 코일(3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코일(300)을 보호하며, 전자계가 증폭되는 링플레이트(400)와;
상기 스프링 고정부(120)에 고정되며, 코일 고정부(110)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진동을 증폭시키고, 공진 주파수가 결정되는 스프링(500)과;
상기 스프링(500)에 연결되어 웨이트(800)와 마그네트(700)가 고정되는 플레이트(600)와;
상기 플레이트(600)의 상부에 구비된 마그네트(700)와;
상기 플레이트(600)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중량을 이용하여 진동이 증폭되며, 내측에 마그네트(700)가 고정된 웨이트(800); 및
상기 웨이트(800)를 포함하는 하부가 커버되며, 브라켓(100)에 결합된 케이스(900)로 이루어짐으로서 전자계힘을 향상시켜 빠른 응답 속도와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계힘을 향상시켜 빠른 응답 속도와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구동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를 통해 홈키, 포스터치 등 다양한 햅틱 진동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를 통해 공간 활용율을 높여 얇은 두께를 갖는 휴대폰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풀 디스플레이 베젤 리스 휴대폰에서의 리시버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사각 수직 진동모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각 수직 진동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각 수직 진동모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각 수직 진동모터에 있어 브라켓에 코일과 링플레이트 및 마그네트가 결합된 상태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b는 브라켓의 평면도이다.
도 4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각 수직 진동모터에 있어 브라켓과 스프링의 분리 및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각 수직 진동모터에 있어 브라켓과 스프링의 분리 및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각 수직 진동모터에 있어 웨이트에 플레이트와 스프링이 결합된 다양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각 수직 진동모터에 있어 코일과 마그네트 구조에 따른 전자계 포스의 증감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각 수직 진동 모터에 있어 종래의 원형모터 및 광대역모터에 대한 전자계 흐름과 전자계 포스의 측정값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사각 수직 진동 모터에 있어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사각 수직 진동 모터에 있어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사각 수직 진동 모터에 있어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사각 수직 진동 모터에 있어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사각 수직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브라켓(100), 연결단자(200), 코일(300), 링플레이트(400), 스프링(500), 플레이트(600), 마그네트(700), 웨이트(800) 및 케이스(9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각 수직 진동모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각 수직 진동모터의 결합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코일 고정부(110)가 형성되며, 양측단부에 스프링 고정부(120)가 형성된 브라켓(100)과;
상기 코일 고정부(110)에 삽입되어 브라켓(100)에 안착된 연결단자(200)와;
상기 코일 고정부(110)에 삽입되며, 연결단자(200)에 접속되게 구비된 코일(300)과;
상기 코일(3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코일(300)을 보호하며, 전자계가 증폭되는 링플레이트(400)와;
상기 스프링 고정부(120)에 고정되며, 코일 고정부(110)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진동을 증폭시키고, 공진 주파수가 결정되는 스프링(500)과;
상기 스프링(500)에 연결되어 웨이트(800)와 마그네트(700)가 고정되는 플레이트(600)와;
상기 플레이트(600)의 상부에 구비된 마그네트(700)와;
상기 플레이트(600)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중량을 이용하여 진동이 증폭되며, 내측에 마그네트(700)가 고정된 웨이트(800); 및
상기 웨이트(800)를 포함하는 하부가 커버되며, 브라켓(100)에 결합된 케이스(900)가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a 및 도3b를 참조하면,
도 3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각 수직 진동모터에 있어 브라켓에 코일과 링플레이트 및 마그네트가 결합된 상태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b는 브라켓의 평면도이다.
상기 브라켓(100)은 연결단자(200)와 스프링(500)을 고정시키는 가운데 자계 폐루프가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 스프링(500)을 고정시키는 코일 고정부(110)는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코일 고정부(110)의 상단은 만곡형태를 갖는 폐쇄부(111)가 형성되며, 하단은 오픈부(112)가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형태를 갖도록 하여 소재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코일 고정부(110)는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a와 세로 b의 길이 중 a ≥ b가 유지되도록 하는 가운데 a의 길이를 조정하고, 그에 맞게 코일(300)과 마그네트(700)의 크기를 조절하여 전자계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a 및 도4b를 참조하면,
도 4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각 수직 진동모터에 있어 브라켓과 스프링의 분리 및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각 수직 진동모터에 있어 브라켓과 스프링의 분리 및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스프링 고정부(12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500)의 양측단이 안정되게 받쳐지는 것으로 브라켓(100)의 양측 단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윗면이 평평한 형태를 갖는 스프링 안착부(1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프링 고정부(120)가 브라켓(100)의 양측 단부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고정부(120)는 브라켓(100)의 양측단부에서
Figure 112018502237428-pat00001
형태를 갖는 스프링 고정편(130)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단자(200)는 도 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0)에 고정되며, 외부 전원이 코일(300)에 인가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1관통홀(211)이 형성된 연결단자 몸체(210)에 복수개의 단자편(212)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편(212)이 형성된 부분이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편(2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코일(300)은 외부 신호에 의해 전자계가 발생되며, 마그네트(700)와 작용하여 수직 진동이 발생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마그네트(700)는 웨이트(800)에 고정된 영구자석으로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상기 코일(300)의 전자기장과 상호 작용함으로서 웨이트(800)의 상,하 진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스프링(500)은 도 1 및 도 4a, 도4b 및 도5a 내지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장방향 길이를 갖는 장방향 스프링 부재(5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단방향 길이를 갖는 단방향 스프링 부재(520)의 단부가 서로 직각되게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장방향 스프링 부재(510)의 중간 부분(MP)은 양측 단부에 비해 넓게 형성되고, 상기 단방향 스프링 부재(520)는 장방향 스프링 부재(510)의 중간 부분(MP)과 같은 양측 단부에 비해 넓게 형성되어 안정된 상태로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도 5a 내지 도5b를 참조하면,
도 5a 내지 도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각 수직 진동모터에 있어 웨이트에 플레이트와 스프링이 결합되는 다양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상기 플레이트(600)는 제2관통홀(610)이 형성된 장방향 양측에 제1연장부(611)가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홀(610)이 형성된 단방향 양측에 제2연장부(6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웨이트(800)는 제3관통홀(810)이 형성된 양측으로 연장부(811)가 형성된 것으로 중량을 이용하여 진동이 증폭되며, 내측에 마그네트(700)가 고정되는 가운데 공진주파수가 결정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웨이트(800)의 하부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가 직접 스프링(500)이 직접 고정되거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600)에 직접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600)의 상부로 받쳐진 스프링(500)에 얹혀지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900)는 외각을 형성하여 웨이트를 포함하는 진동체를 보호 하고, 자계 폐루프가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도6을 참조하면,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각 수직 진동모터에 있어 코일과 마그네트 구조에 따른 전자계 포스의 증감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좌측 하부에 도시된 원형타입은 기존 원형광대역 모터의 마그네틱과 코일의 형상이며, 좌측 상부에 도시된 장공타입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 수직 진동모터에 구비된 마그네틱과 코일의 형상으로 우측에 원형광대역모터와 사각 수직 진동모터의 BL값 비교 DATA에 표시되어 있다.
표시된 바와 같이, Max 기준 사각 수직진동모터가 기존 원형광대역모터에 비해 87.35% BL값이 높음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8042735565-pat00002
Figure 112018042735565-pat00003
여기에서,
Figure 112018042735565-pat00004
는 자속밀도,
Figure 112018042735565-pat00005
는 코일길이이다.
즉, 마그네트(700)와 코일(300)의 형상을 장공형으로 구비할 경우, 링형상의 원형구조에 비해 자속밀도 B의 값과 코일의 길이 L값을 크게 할 수 있어 전체적인 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전자계 부품의(코일, 마그네트) 면적 및 체적을 조절하기 쉽다.
도 7a 내지 7c를 참조하면,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각 수직 진동 모터에 있어 종래의 원형모터 및 광대역모터에 대한 전자계 흐름과 포스의 측정값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종래의 원형모터에 대한 전자계 흐름과 포스의 측정값이 0.040886 이며, 도 7b는 종래의 광대역모터에 대한 전자계 흐름과 포스의 측정값이 0.20473인 반면, 도 7c는 본 발명의 사각 수직 진동 모터에 있어 전자계 흐름과 포스의 측정값이 0.28311과 같이, 전자계 흐름에 따라 포스가 증감됨을 알 수 있다. 즉, 앙페르법칙 원리를 이용한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류를 인가시 내측으로 강자성체를 형성하여 전자계를 집중시키는 구조로 기존 원형모터 구조에 비해 전자계 포스(Force)가 7배 증가되는 구조를 확인 할 수 있다. (원형 광대역모터와 비교 시에도 사각 수직진동모터의 포스가 1.4배 더 세다.)
도 8를 참조하면,
도 8는 본 발명의 사각 수직 진동 모터에 있어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로서, 상기 브라켓(100)의 상부 양측과, 웨이트(800)의 상부 양측 및 케이스(900)의 내측 상부 양측에 각각 댐퍼(DP)가 구비되어 있다. 즉, 댐퍼(DP)를 다수의 부착 부위 중 어느 한 곳 이상 대칭형으로 부착함으로서 구동시 웨이트(800)와 브라켓(100)의 진동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9을 참조하면,
도 9은 본 발명의 사각 수직 진동 모터에 있어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로서, 상기 케이스(900)의 내부로 구비된 마그네트(700)와 링플레이트(400) 사이의 공간에 자성유체부(MF)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자성유체부(MF)는 오일에 자성재료 입자들이 포함된 부유물로 침전이나 응집이 생기지 않도록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유체로서 외부자기장이 가해져도 자성입자의 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자성유체는 일정한 점성을 가지고 있고, 영구자석 주위에 고정되어 진동 후 정지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지만 그 양에 따라 특성변화가 커진다. 자성유체에 따른 특성변화를 최소화 하기 위해 자성유체와 맞닫는 케이스(900)의 내측면에 유체량 조절부(930)를 부착하여 유체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10를 참조하면,
도 10은 본 발명의 사각 수직 진동 모터에 있어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로서, 상기 케이스(900)는 마그네트(700)가 위치된 직상부의 일부가 마그네트(700)를 향하여 근접되게 상부에서 하부로 요입되는 케이스 요입부(9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900)의 중앙부로 형성된 케이스 요입부(920)에 의하여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전자계 루프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도11을 참조하면,
도 11은 본 발명의 사각 수직 진동 모터에 있어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로서, 상기 자성유체(MF)가 구비된 직상부로 위치된 케이스(900)는 케이스 관통홀(9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90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910)을 통해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자성유체량을 조절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를 바탕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브라켓
110:코일 고정부
120:스프링 고정부
200:연결단자
300:코일
400:링플레이트
500:스프링
600:플레이트
700:마그네트
800:웨이트
900:케이스

Claims (12)

  1.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형태를 갖고, 상단은 만곡형태를 갖는 폐쇄부(111)가 형성되며, 하단은 오픈부(112)가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형태를 갖는 코일 고정부(110)가 형성되며, 브라켓(100)의 양측 단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윗면이 평평한 형태의 스프링 안착부(121)가 일체로 형성되는 스프링 고정부(120)가 형성된 브라켓(100)과;
    제1관통홀(211)이 형성된 연결단자 몸체(210)에 복수개의 단자편(212)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편(212)이 형성된 부분이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편(213)이 형성되며, 상기 코일 고정부(110)에 삽입되어 브라켓(100)에 안착된 연결단자(200)와;
    상기 코일 고정부(110)에 삽입되며, 연결단자(200)에 접속되게 구비된 코일(300)과;
    상기 코일(3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코일(300)을 보호하며, 전자계가 증폭되는 링플레이트(400)와;
    상기 양측단부의 스프링 고정부(120)에 고정되며, 코일 고정부(110)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진동을 증폭시키고, 공진 주파수가 결정되는 스프링(500)과;
    제2관통홀(610)이 형성된 장방향 양측에 제1연장부(611)가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홀(610)이 형성된 단방향 양측에 제2연장부(612)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500)의 상부에 연결되어 웨이트(800)와 마그네트(700)가 고정되는 플레이트(600)와;
    상기 플레이트(600)의 상부에 구비된 마그네트(700)와;
    상기 플레이트(600)의 상부에 중량을 이용하여 진동이 증폭되며, 내측에 마그네트(700)가 고정된 웨이트(800); 및
    상기 웨이트(800)를 포함하는 하부가 커버되며, 브라켓(100)에 결합된 케이스(9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수직 진동모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고정부(120)는
    브라켓(100)의 양측단부에서
    Figure 112018502237428-pat00006
    형태를 갖는 스프링 고정편(130)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수직 진동모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500)은
    한쌍의 장방향 길이를 갖는 장방향 스프링 부재(5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단방향 길이를 갖는 단방향 스프링 부재(520)의 단부가 서로 직각되게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장방향 스프링 부재(510)의 중간 부분(MP)은 양측 단부에 비해 넓게 형성되고, 상기 단방향 스프링 부재(520)는 장방향 스프링 부재(510)의 중간 부분(MP)과 같은 양측 단부에 비해 넓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수직 진동모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마그네트(700)와 링플레이트(400) 사이의 공간에 자성유체부(MF)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수직 진동모터.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0)의 상부 양측과, 웨이트(800)의 상부 양측 또는 케이스(900)의 내부 양측에 어느 한 곳 이상 대칭형으로 댐퍼(DP)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수직 진동모터.
  12. 삭제
KR1020180049865A 2018-04-30 2018-04-30 사각 수직 진동모터 KR101907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865A KR101907520B1 (ko) 2018-04-30 2018-04-30 사각 수직 진동모터
CN201811059576.XA CN109672316B (zh) 2018-04-30 2018-09-12 四角垂直振动电机
CN201821486158.4U CN208908408U (zh) 2018-04-30 2018-09-12 四角垂直振动电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865A KR101907520B1 (ko) 2018-04-30 2018-04-30 사각 수직 진동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520B1 true KR101907520B1 (ko) 2018-12-05

Family

ID=6474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865A KR101907520B1 (ko) 2018-04-30 2018-04-30 사각 수직 진동모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7520B1 (ko)
CN (2) CN208908408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471B1 (ko) * 2018-11-28 2019-02-13 주식회사 블루콤 사각 수직 진동 리시버
KR20200057878A (ko) * 2018-11-16 2020-05-27 부전전자 주식회사 선형 진동발생장치
KR102144888B1 (ko) * 2020-03-24 2020-08-28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리니어 진동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520B1 (ko) * 2018-04-30 2018-12-05 주식회사 블루콤 사각 수직 진동모터
KR102049343B1 (ko) * 2019-06-07 2019-11-27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수평 리니어 진동모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573B1 (ko) 2009-02-26 2009-08-26 신기음향 주식회사 수직진동자
KR101142284B1 (ko) * 2010-11-30 2012-05-07 자화전자(주)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1484858B1 (ko) 2013-10-02 2015-01-28 부전전자 주식회사 장방형 수직 선형 엑츄에이터
KR101783645B1 (ko) * 2017-04-27 2017-10-11 주식회사 블루콤 진동 응답속도가 향상된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KR101783628B1 (ko) 2017-04-27 2017-10-24 주식회사 블루콤 개선된 진동 응답속도를 갖는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112B1 (ko) * 2004-07-01 2006-01-11 삼성전기주식회사 분동내장형 수직진동자
CN103107670A (zh) * 2011-11-09 2013-05-15 株式会社永进高科 线性振动装置
KR101881400B1 (ko) * 2011-12-19 2018-07-26 주식회사 엠플러스 진동발생장치
CN104043575A (zh) * 2013-03-12 2014-09-17 可立新株式会社 振动发生装置
CN205231985U (zh) * 2015-07-31 2016-05-11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线性振动电机
CN206302318U (zh) * 2015-10-16 2017-07-04 日本电产精密株式会社 振动马达
KR101783423B1 (ko) * 2017-01-31 2017-09-29 주식회사 블루콤 편진동 방지 기능을 갖는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KR101746007B1 (ko) * 2017-02-02 2017-06-12 주식회사 블루콤 자계 폐회로 형성 케이스를 포함하는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KR101746090B1 (ko) * 2017-02-14 2017-06-20 주식회사 블루콤 수평진동모터
KR101907520B1 (ko) * 2018-04-30 2018-12-05 주식회사 블루콤 사각 수직 진동모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573B1 (ko) 2009-02-26 2009-08-26 신기음향 주식회사 수직진동자
KR101142284B1 (ko) * 2010-11-30 2012-05-07 자화전자(주)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1484858B1 (ko) 2013-10-02 2015-01-28 부전전자 주식회사 장방형 수직 선형 엑츄에이터
KR101783645B1 (ko) * 2017-04-27 2017-10-11 주식회사 블루콤 진동 응답속도가 향상된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KR101783628B1 (ko) 2017-04-27 2017-10-24 주식회사 블루콤 개선된 진동 응답속도를 갖는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878A (ko) * 2018-11-16 2020-05-27 부전전자 주식회사 선형 진동발생장치
KR102131846B1 (ko) * 2018-11-16 2020-07-09 부전전자 주식회사 선형 진동발생장치
KR101947471B1 (ko) * 2018-11-28 2019-02-13 주식회사 블루콤 사각 수직 진동 리시버
KR102144888B1 (ko) * 2020-03-24 2020-08-28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리니어 진동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72316B (zh) 2024-03-29
CN208908408U (zh) 2019-05-28
CN109672316A (zh)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520B1 (ko) 사각 수직 진동모터
KR101746007B1 (ko) 자계 폐회로 형성 케이스를 포함하는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KR100549880B1 (ko) 진동장치 구조
US8097988B2 (en) Horizontal linear vibrator
KR100370640B1 (ko) 진동 스피커
JP3488449B2 (ja) 振動音響変換装置
KR100923867B1 (ko) 리니어 진동 모터
KR100967033B1 (ko) 수평 진동자
KR101071419B1 (ko) 진동모터
KR102049343B1 (ko) 수평 리니어 진동모터
EP1542497B1 (en) Loudspeaker with vibrating function for a portable terminal
KR20100119970A (ko) 선형 진동 장치
US7692346B2 (en) Vibrator
KR101947471B1 (ko) 사각 수직 진동 리시버
JP2019063695A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KR101783645B1 (ko) 진동 응답속도가 향상된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KR102145495B1 (ko) 단축방향 수평 진동모터
KR101744029B1 (ko) 향상된 진동력을 갖는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JP2000165992A (ja) 耐衝撃性良好な電磁型変換器
KR102144888B1 (ko) 리니어 진동모터
KR100804023B1 (ko) 진동발생장치
KR102066675B1 (ko) 진동 모터
KR101077395B1 (ko) 수평 리니어 진동자
KR101130131B1 (ko) 선형 진동소자
KR101951716B1 (ko) 개선된 내부 공기 흐름성을 갖는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