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456B1 - 급수탱크유닛 - Google Patents

급수탱크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456B1
KR101907456B1 KR1020170028937A KR20170028937A KR101907456B1 KR 101907456 B1 KR101907456 B1 KR 101907456B1 KR 1020170028937 A KR1020170028937 A KR 1020170028937A KR 20170028937 A KR20170028937 A KR 20170028937A KR 101907456 B1 KR101907456 B1 KR 101907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irculation
storage space
discharge passage
passag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2381A (ko
Inventor
노공환
Original Assignee
노공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공환 filed Critical 노공환
Priority to KR1020170028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456B1/ko
Publication of KR20180102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탱크유닛의 내부를 구획함으로써, 급수탱크유닛에서 배출되는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급수탱크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급수탱크유닛은 탱크바디와, 탱크덮개와, 순환격벽과, 배출유로부재를 포함한다. 탱크바디는 물이 수용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한다. 탱크덮개는 저장공간을 개폐하도록 탱크바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탱크덮개에는 저장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투입구와, 저장공간의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다. 순환격벽은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흐름 방향이 바뀌도록 탱크덮개에 이격된 상태로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다. 배출유로부재는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탱크덮개에 고정되고, 저장공간의 물이 배출구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Description

급수탱크유닛{TANK UNIT FOR WATER SUPPLYING}
본 발명은 급수탱크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급수탱크유닛에서 물을 가열 또는 냉각시킴에 있어서, 급수탱크유닛의 내부를 구획함으로써, 급수탱크유닛에 유입되는 물이 급수탱크유닛에서 배출되는 물과 혼합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급수탱크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수기는 식용으로 사용되는 물을 상온수와 온수와 고온수로 가열하거나 냉수로 냉각시켜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통상적으로, 상온수는 15~18℃, 온수는 40~70℃, 고온수는 80~92℃, 냉수는 4~6℃를 의미한다. 이때, 냉온수기에는 별도의 필터 또는 정수유닛이 구비되어 식용으로 사용되는 물을 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냉온수기는 급수탱크유닛과의 연결 형태에 따라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되는 수도꼭지 부착형과, 물이 채워진 플라스틱 물통과 연결되는 탁상형(비배관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냉온수기는 물의 정수 방식에 따라 수도 직결식, 자연여과식, 이온교환 수지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면, 냉온수기에는 냉각시스템과 가열시스템이 설치되어 냉수와 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냉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시스템은 압축기에 의해 순환되는 냉매를 이용하여 물을 냉각하는 방식과, 냉수탱크 안에 냉각코일과 같은 기능을 하는 열전유닛을 삽입하여 물을 냉각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된다.
하지만, 종래의 냉온수기는 급수탱크유닛에서 일정량의 물이 배출되고 나면, 배출되는 물의 온도가 변화되어 지속적으로 냉수나 온수를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32414호(발명의 명칭 : 이중 냉수탱크를 구비하는 정수기, 2013. 02. 12.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급수탱크유닛에서 물을 가열 또는 냉각시킴에 있어서, 급수탱크유닛의 내부를 구획함으로써, 급수탱크유닛에 유입되는 물이 급수탱크유닛에서 배출되는 물과 혼합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급수탱크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급수탱크유닛은 물이 수용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탱크바디;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탱크바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저장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저장공간의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탱크덮개; 상기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흐름 방향이 바뀌도록 상기 탱크덮개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순환격벽; 및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탱크덮개에 고정되고, 상기 저장공간의 물이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유로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탱크바디와 상기 탱크덮개와 상기 순환격벽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낙하 경로를 형성하는 물유도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탱크덮개에는, 상기 배출유로부재와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순환격벽에는, 상기 저장공간의 물이 이동되는 경로 상에서 상기 배출유로부재를 지지 고정시키는 연결부재;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유로부재는, 상기 저장공간에서 복수 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와 끼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유로부재는, 상기 저장공간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순환격벽을 관통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와 끼움 결합된다.
본 발명의 급수탱크유닛은 상기 탱크덮개와 상기 순환격벽을 상호 연결 고정시키거나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순환격벽을 상호 연결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유로부재에는, 상기 배출구 측에서 상기 저장공간의 물이 이동되는 경로와 상기 저장공간이 연통되는 공기빼기홀;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순환격벽은, 상기 저장공간을 구획하는 순환판부; 및 상기 순환판부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판부와 상기 탱크바디 사이를 이격시키거나 상기 순환판부에 물낙하부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상기 저장공간의 바닥으로 낙하된다.
여기서, 상기 순환격벽은, 상기 탱크바디의 내벽과 마주보도록 상기 순환판부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안착날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탱크유닛에 따르면, 급수탱크유닛에서 물을 가열 또는 냉각시킴에 있어서, 급수탱크유닛의 내부를 구획함으로써, 급수탱크유닛에 유입되는 물이 급수탱크유닛에서 배출되는 물과 혼합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탱크유닛에서 배출되는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배출유로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탱크덮개에서 순환격벽의 이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일정한 온도의 물이 배출유로부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유도부가 구비됨에 따라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안정적으로 순환격벽에 도달할 수 있고, 물의 낙하에 따른 충격 또는 소음을 최소화하며, 낙하되는 물의 하중에 의해 순환격벽이 유동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탱크덮개에서 배출유로부재를 안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물에 수시로 노출되는 배출유로부재의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순환격벽에서 배출유로부재를 안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물에 수시로 노출되는 순환격벽과 배출유로부재의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배출유로부재와 연결부재의 끼움 결합을 통해 두 부재 간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저장공간에서 배출유로부재의 길이 또는 순환격벽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탱크덮개와 순환격벽 또는 인접한 두 순환격벽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배출유로부재에서 순환격벽의 유동을 최소화하여 저장공간의 구획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빼기홀이 구비됨에 따라 최초 저장공간에 존재하고 있는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투입구를 통한 물의 유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저장공간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 변화 또는 물의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저장공간의 내압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물통으로 구성된 공급부의 경우, 저장공간의 공기가 공급부의 내부로 역류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순환격벽의 세부 구성을 통해 순환판부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물의 흐름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자연 대류 현상을 촉진시켜 구획된 저장공간에서 물의 온도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날개부가 구비됨에 따라 탱크바디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고, 저장공간에서 순환격벽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에서 순환격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급수탱크유닛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을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100)은 탱크바디(110)와, 탱크덮개(120)와, 순환격벽(130)과, 배출유로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탱크바디(110)는 물이 수용되는 저장공간(111)을 형성한다.
상기 탱크덮개(120)는 상기 저장공간(111)을 개폐하도록 상기 탱크바디(110)에 결합된다. 상기 탱크덮개(120)는 상기 탱크바디(110)에서 여닫이 방식 또는 미닫이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덮개(120)는 상기 탱크바디(110)에서 탈부착될 수 있다.
상기 탱크덮개(120)에는 상기 저장공간(111)으로 물이 유입되는 투입구(121)와, 상기 저장공간(111) 바닥의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2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탱크덮개(120)에는 물유도부(1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유도부(123)는 상기 투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낙하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물유도부(123)는 상기 투입구(121)의 아래 쪽에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상기 탱크바디(110)의 내벽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물유도부(123)는 상기 탱크바디(110) 또는 상기 순환격벽(13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유도부(123)는 상기 투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상기 저장공간(111)의 바닥 쪽으로 안내하고, 상기 투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상기 저장공간(111)에 직접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물유도부(123)는 상기 투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상기 저장공간(111)에서 선회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순환격벽(130)은 상기 투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흐름 방향이 바뀌도록 상기 탱크덮개(120)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순환격벽(130)은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저장공간(111)에 삽입된다. 상기 순환격벽(130)에는 상기 배출유로부재(140)가 삽입되는 구멍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부재(140)는 상기 배출구(122)와 연통되도록 상기 탱크덮개(120)에 고정된다. 상기 배출유로부재(140)는 상기 저장공간(111) 바닥의 물이 상기 배출구(122)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배출유로부재(140)는 용접을 통해 상기 탱크덮개(1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유로부재(140)는 상기 순환격벽(1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부재(140)는 용접을 통해 상기 순환격벽(1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유로부재(140)에는 공기빼기홀(141)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공기빼기홀(141)은 상기 배출구(122) 측에서 상기 저장공간(111)의 물이 이동되는 경로와 상기 저장공간(111)을 연통시킨다. 그러면, 상기 투입구(121)를 통해 물이 유입될 때, 밀폐된 상기 저장공간(111)에서 상기 공기빼기홀(141)을 통해 기체(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공기빼기홀(141)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저장공간(111)의 내압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투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상기 저장공간(111)에 수용되었다가 상기 배출구(122)를 통해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100)은 단열부재(1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열부재(170)는 상기 탱크바디(110)와 상기 탱크덮개(120)를 감싼다. 상기 단열부재(170)는 상기 저장공간(111)에 수용되는 물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탱크바디(110)와 상기 탱크덮개(120)의 외측면에 결로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100)은 탱크바디(110)와, 탱크덮개(120)와, 순환격벽(130)과, 배출유로부재(140)를 포함하고, 단열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100)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100)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100)은 고정부재(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160)는 상기 탱크덮개(120)와 상기 순환격벽(130)을 상호 연결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60)는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순환격벽(130)을 상호 연결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부재(160)는 용접을 통해 상기 탱크덮개(120)와 상기 순환격벽(1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60)는 상기 투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흐름에 간섭되지 않고, 상기 저장공간(111)에서 상기 순환격벽(13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에서 순환격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100)은 탱크바디(110)와, 탱크덮개(120)와, 순환격벽(130)과, 배출유로부재(140)를 포함하고, 단열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100) 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100)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100)에서 상기 탱크덮개(120)에는 결합부재(124)가 더 포함된다.
상기 결합부재(124)는 상기 배출유로부재(140)와 끼움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124)는 상기 배출구(122)와 연통되도록 상기 탱크덮개(120)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124)는 중공의 상기 배출유로부재(140)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124)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탱크덮개(120)에 상기 배출유로부재(140)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용접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부재 간의 탈부착을 통해 상기 탱크바디(110)와, 상기 탱크덮개(120)와, 상기 배출유로부재(140)의 세척 및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100)에서 상기 순환격벽(130)은 순환판부(131)와, 보강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판부(131)는 상기 저장공간(111)을 구획한다. 상기 순환판부(131)는 가장자리가 상기 탱크바디(110)에 밀착되도록 상기 저장공간(111)에 삽입 지지된다. 이때, 상기 순환판부(131)에는 물낙하부(132)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투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상기 저장공간(111)의 바닥으로 낙하되도록 한다. 상기 물낙하부(132)는 상기 투입구(121)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순환판부(131)에서 각각의 상기 물낙하부(132)는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투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방향이 바뀌면서 상기 저장공간(111)의 바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순환판부(131)는 상기 투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흐름 방향에 대응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순환판부(131)는 상기 물낙하부(132)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투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상기 저장공간(111)의 바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순환판부(131)의 상측에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순환판부(131)에 고인 물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111)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판부(131)의 가장자리 중 일부는 상기 탱크바디(110)에서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순환판부(131)와 상기 탱크바디(110)가 이격된 공간은 상기 물낙하부(132)의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투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상기 저장공간(111)의 바닥으로 낙하된다.
상기 보강부(133)는 상기 순환판부(131)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133)는 상기 순환판부(131)의 뒤틀림 또는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133)는 상기 순환판부(131)에서 물의 흐름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순환판부(131)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순환격벽(130)은 안착날개부(13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착날개부(134)는 상기 탱크바디(110)의 내벽과 마주보도록 상기 순환판부(131)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안착날개부(134)는 상기 순환판부(131)가 상기 저장공간(111)에 삽입 지지될 때, 상기 순환판부(131)와 상기 탱크바디(110)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고, 상기 순환판부(131)가 상기 탱크바디(110)에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착날개부(134)는 상기 순환판부(131)의 뒤틀림 또는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순환격벽(130)에는 연결부재(15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150)는 상기 저장공간(111)의 물이 이동되는 경로 상에서 상기 배출유로부재(140)를 지지 고정시킨다. 상기 연결부재(150)는 상기 순환격벽(130)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출유로부재(140)와 끼움 결합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보면, 상기 배출유로부재(140)는 상기 순환격벽(130)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공간(111)에서 복수 개로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각각의 상기 배출유로부재(140)는 상기 연결부재(150)와 끼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순환판부(131)와 상기 배출유로부재(140)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저장공간(111)에 수용되는 부재들의 세척 및 유지 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100)은 탱크바디(110)와, 탱크덮개(120)와, 순환격벽(130)과, 배출유로부재(140)를 포함하고, 단열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유닛(100)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급수탱크유닛(100)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연결부재(150)는 상기 순환격벽(130)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출유로부재(140)와 끼움 결합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살펴보면, 상기 배출유로부재(140)는 상기 저장공간(111)에서 하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순환격벽(130)을 관통하도록 상기 연결부재(150)와 끼움 결합된다. 상기 배출유로부재(140)는 상기 결합부재(124)에 삽입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순환판부(131)와 상기 배출유로부재(140)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저장공간(111)에 수용되는 부재들의 세척 및 유지 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공간(111)에서 상기 순환격벽(130)의 개수와 상기 순환격벽(13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취향을 다양하게 반영할 수 있다.
상술한 급수탱크유닛(100)에 따르면, 상기 급수탱크유닛(100)에서 물을 가열 또는 냉각시킴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유닛(100)의 내부를 구획함으로써, 상기 급수탱크유닛(100)에 유입되는 물이 상기 급수탱크유닛(100)에서 배출되는 물과 혼합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급수탱크유닛(100)에서 배출되는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배출유로부재(14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탱크덮개(120)에서 상기 순환격벽(130)의 이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일정한 온도의 물이 상기 배출유로부재(14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물유도부(123)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투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안정적으로 상기 순환격벽(130)에 도달할 수 있고, 물의 낙하에 따른 충격 또는 소음을 최소화하며, 낙하되는 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순환격벽(130)이 유동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124)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탱크덮개(120)에서 상기 배출유로부재(140)를 안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물에 수시로 노출되는 상기 배출유로부재(140)의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5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순환격벽(130)에서 상기 배출유로부재(140)를 안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물에 수시로 노출되는 상기 순환격벽(130)과 상기 배출유로부재(140)의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배출유로부재(140)와 상기 연결부재(150)의 끼움 결합을 통해 두 부재 간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상기 저장공간(111)에서 상기 배출유로부재(140)의 길이 또는 상기 순환격벽(13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6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탱크덮개(120)와 상기 순환격벽(130)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거나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순환격벽(130)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배출유로부재(140)에서 상기 순환격벽(130)의 유동을 최소화하여 상기 저장공간(111)의 구획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빼기홀(141)이 구비됨에 따라 최초 상기 저장공간(111)에 존재하고 있는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투입구(121)를 통한 물의 유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공간(111)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 변화 또는 물의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공간(111)의 내압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물통으로 구성된 공급부(101)의 경우, 상기 저장공간(111)의 공기가 상기 공급부(101)의 내부로 역류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격벽(13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상기 순환판부(131)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물의 흐름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자연 대류 현상을 촉진시켜 구획된 상기 저장공간(111)에서 물의 온도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날개부(134)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탱크바디(110)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고, 상기 저장공간(111)에서 상기 순환격벽(13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급수탱크유닛 110: 탱크바디 111: 저장공간
120: 탱크덮개 121: 투입구 122: 배출구
123: 물유도부 124: 결합부재 130: 순환격벽
131: 순환판부 132: 물낙하부 133: 보강부
134: 안착날개부 140: 배출유로부재 141: 공기빼기홀
150: 연결부재 160: 고정부재 170: 단열부재

Claims (10)

  1. 물이 수용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탱크바디;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탱크바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저장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저장공간의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탱크덮개;
    상기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흐름 방향이 바뀌도록 상기 탱크덮개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순환격벽; 및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탱크덮개에 고정되고, 상기 저장공간의 물이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유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바디와 상기 탱크덮개와 상기 순환격벽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낙하 경로를 형성하는 물유도부가 구비되고,
    상기 물유도부는 상기 투입구의 아래쪽에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상기 탱크바디의 내벽으로 유도하며,
    상기 순환격벽은
    자장자리가 상기 탱크바디에 밀착되도록 상기 저장공간에 삽입 지지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구획하고, 가장자리에 물낙하부가 형성되는 순환판부와,
    상기 순환판부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보강부와,
    상기 탱크바디의 내벽과 마주보도록 상기 순환판부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안착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격벽에는 상기 저장공간의 물이 이동되는 경로 상에서 상기 배출유로부재를 지지 고정시키도록 상기 순환격벽에서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순환격벽 및 상기 배출유로부재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배출유로부재는 상기 순환격벽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공간에서 복수 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와 끼움 결합되며,
    상기 순환격벽은
    상기 순환격벽 중 상기 투입구의 하측에 구비되는 순환격벽의 상기 물낙하부가 상기 투입구의 반대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흐름방향이 반대방향으로 바뀌도록 하고,
    상기 순환격벽 중 인접한 두 개의 순환격벽의 상기 물낙하부가 상호 반대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물낙하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흐름방향이 반대방향으로 바뀌도록 하며,
    상기 순환판부는 상기 물낙하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순환판부에서 물의 흐름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상기 순환판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탱크덮개에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결합부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배출유로부재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고,
    상기 배출유로부재에는 상기 배출구 측에서 상기 저장공간의 물이 이동되는 경로와 상기 저장공간을 연통시키는 공기빼기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탱크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28937A 2017-03-07 2017-03-07 급수탱크유닛 KR101907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937A KR101907456B1 (ko) 2017-03-07 2017-03-07 급수탱크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937A KR101907456B1 (ko) 2017-03-07 2017-03-07 급수탱크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381A KR20180102381A (ko) 2018-09-17
KR101907456B1 true KR101907456B1 (ko) 2018-10-12

Family

ID=6372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937A KR101907456B1 (ko) 2017-03-07 2017-03-07 급수탱크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4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831B1 (ko) * 2012-10-30 2014-09-15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831B1 (ko) * 2012-10-30 2014-09-15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381A (ko) 201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4006B1 (ko) 스팀 오븐의 스팀 발생장치
KR101439831B1 (ko) 냉수탱크
KR20140048173A (ko)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기기
KR102038030B1 (ko) 냉수 공급장치 및 냉수 공급을 위한 제어방법
KR101766541B1 (ko) 콜드싱크 일체형 냉수탱크
CN111820738B (zh) 饮水机
US20120096888A1 (en) Refrigerator with water tank
KR101907456B1 (ko) 급수탱크유닛
KR101837617B1 (ko) 저장탱크
KR101501071B1 (ko) 정수기용 냉각장치
EP1767861B1 (en) High frequency cookware
US20170307252A1 (en) Hot water barrel structure for water dispenser
KR101976769B1 (ko) 급수탱크 및 이를 이용한 냉온수기
KR20210008852A (ko) 보일러 난방 시스템
KR102111593B1 (ko) 정수기
EP2921804B1 (en) Refrigerating apparatus with improved air circulation system
KR101288618B1 (ko)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
KR102548269B1 (ko) 정수기
US7188619B2 (en) Household food warmer
KR101480076B1 (ko) 온수 역류방지 기능을 가지는 냉온수기
JP2006250487A (ja) 冷蔵庫の製氷装置
EP4220047A2 (en) Refrigerator
KR20140003984U (ko)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JP2006258311A (ja) 冷蔵庫
CN210540763U (zh) 炖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