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062B1 -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062B1
KR101907062B1 KR1020160170480A KR20160170480A KR101907062B1 KR 101907062 B1 KR101907062 B1 KR 101907062B1 KR 1020160170480 A KR1020160170480 A KR 1020160170480A KR 20160170480 A KR20160170480 A KR 20160170480A KR 101907062 B1 KR101907062 B1 KR 101907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fluid
unit
supply
pressure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8612A (ko
Inventor
황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툴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툴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툴엔텍
Priority to KR1020160170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062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1/00Means for collecting, retaining, or draining-off lubricant in or on machines or apparatus
    • F16N31/002Drain pans
    • F16N31/004Drain pans combined with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3/00Special adaptations of 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38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with a separate pump; Central lubric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브레이크액의 주입과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주입 과정에서 공기와 같은 기체의 주입이 방지되도록 하는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는 브레이크액이 저장된 저장 탱크(RT); 저장 탱크(RT)로 새로운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공급 유닛(17); 공급 유닛(17)으로 공급되는 압력을 조절하는 1, 2 압력 조절 유닛(131, 132); 1 압력 조절 유닛(131)으로 유입되거나 2 압력 조절 유닛(132)으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 유닛(131a); 저장 탱크(RT)로부터 폐브레이크액을 흡입하는 흡입 유닛(18); 흡입 유닛(18)으로 흡입된 상기 폐브레이크액이 저장되는 배출 용기(16)의 압력을 진공 상태로 유지하는 진공 발생기(14); 및 상기 새로운 브레이크액의 공급 및 폐브레이크액의 배출을 조절하는 조절 유닛(11, 12)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An Apparatus for Exchanging Break Solution}
본 발명은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브레이크액의 주입과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주입 과정에서 공기와 같은 기체의 주입이 방지되도록 하는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한 유압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액은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고, 브레이크액의 수분 흡수로 인하여 브레이크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리저버 탱크에 저장된 브레이크액은 수분 함량이 예를 들어 3 내지 4 %가 되거나 변색이 되면 교환이 될 필요가 있다. 또한 브레이크 탱크로부터 브레이크액이 누설이 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우 브레이크액이 보충이 되어야 한다.
특허공개번호 제10-1999-0049101호는 자동 스위치가 형성된 콤퓨레샤 박스와, 상기 콤퓨레샤 박스에 브래킷으로 고정되며 내부에 콤퓨레샤와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리시버 드라이어와, 상기 콤퓨레샤 박스에 브래킷으로 고정되며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와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고정 용기단과, 상기 용기 고정단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오일 분리용 투명 용기와, 브레이크 폐오일을 흡입하도록 리저버 탱크 안으로 삽입하는 흡입용 연결관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브레이크 요일 교환용 기구에 대하여 개시한다.
특허등록번호 제10-1370541호는 함체의 한 측에 구비되는 에어주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는 흡입 밸브와 주입 밸브 및 폐액 배출 밸브의 조작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함과, 상기 함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주입 밸브의 조작에 의해 주입 실린더의 가압으로 주입 호스를 통해 리저버 탱크에 브레이크액을 공급되도록 함과, 상기 함체의 내부 후방에 구비하여 흡입 밸브의 조작으로 진공발생기의 연계 작동에 의해 진공 상태를 갖게 하면서 흡입 호스로 캘리퍼에 연결하여 흡입되는 폐 브레이크액을 유입되도록 폐액 저장 탱크를 구비함과, 상기 폐액 저장 탱크에 폐액 배출 밸브의 조작으로 에어 압력에 의하여 하부로 연결되는 폐액 배출 호스를 통해 배출하도록 구성함과, 상기 함체의 전면 한 측에 육안으로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하면서 흡입 호스의 라인에 의하여 폐 브레이크액을 출입시키는 예비 저장 투명 탱크로 이루어지는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브레이크액을 위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작업 시간이 감소될 수 있는 방법이 적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동시에 수분이 유입 또는 공기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는 교환 과정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방법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요건을 충족시키는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제10-1999-0049101호(현대자동차주식회사, 1999년07월05일 공개) 자동차의 브레이크 오일 교환용 기구 선행기술 2: 특허등록번호 제10-1370541호(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2014년03월10일 공고) 차량의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브레이크액의 교환이 신속하게 진행되면서 교환 과정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는 브레이크액이 저장된 저장 탱크; 저장 탱크로 새로운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공급 유닛; 공급 유닛으로 공급되는 압력을 조절하는 1, 2 압력 조절 유닛; 1 압력 조절 유닛으로 유입되거나 2 압력 조절 유닛으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 유닛; 저장 탱크로부터 폐브레이크액을 흡입하는 흡입 유닛; 흡입 유닛으로 흡입된 상기 폐브레이크액이 저장되는 배출 용기의 압력을 진공 상태로 유지하는 진공 발생기; 및 상기 새로운 브레이크액의 공급 및 폐브레이크액의 배출을 조절하는 조절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공급 유닛으로 상기 새로운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공급 용기를 더 포함하고, 공급 용기에 형성된 공급 유로에 상하 이동이 가능한 체크 유닛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저장 탱크에 형성된 주입 유닛에 연결되는 공급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공급 커넥터에 탄성 가압 유닛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배출 용기와 공급 용기는 동일한 내부 구조를 가지면서 투명 소재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교환 장치는 진공 조건에서 폐 브레이크액이 배출되면서 이와 동시에 가압 조건에서 브레이크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브레이크액의 교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는 가압 과정에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브레이크액 교환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환 장치는 새 브레이크액의 공급 과정에서 공기와 같은 기체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브레이크액 교환의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의 구조를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의 외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 장치에 적용되는 공급 어댑터 및 호스 거치대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 장치에 적용되는 기체 유입 방지 유닛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 장치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의 구조를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는 브레이크액이 저장된 저장 탱크(RT); 저장 탱크(RT)로 새로운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공급 유닛(17); 공급 유닛(17)으로 공급되는 압력을 조절하는 1, 2 압력 조절 유닛(131, 132); 1 압력 조절 유닛(131)으로 유입되거나 2 압력 조절 유닛(132)으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 유닛(131a); 저장 탱크(RT)로부터 폐브레이크액을 흡입하는 흡입 유닛(18); 흡입 유닛(18)으로 흡입된 상기 폐브레이크액이 저장되는 배출 용기(16)의 압력을 진공 상태로 유지하는 진공 발생기(14); 및 상기 새로운 브레이크액의 공급 및 폐브레이크액의 배출을 조절하는 조절 유닛(11, 12)을 포함한다.
저장 탱크(RT)는 차량의 종류 또는 구조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면서 다양한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새로운 브레이크액은 저장 탱크(RT)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하여 주입될 수 있고, 폐브레이크액은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브레이크액의 공급과 배출은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압력 조절이 된 상태에서 공급과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되는 압력은 2 내지 6 기압이 될 수 있고, 배출되는 압력은 진공 상태에 가까운 압력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공은 진공 펌프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고, 진공 펌프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10 파스칼(Pa) 이하의 압력 상태가 될 수 있다.
공급 유닛(17)은 저장 탱크(Reserved Tank)(RT)와 연결되어 공급 용기(15)의 새로운 브레이크액을 저장 탱크(RT)로 공급할 수 있다. 공급 유닛(17)은 연속적으로 작동하는 실린더 유닛 또는 플런저 유닛과 같은 것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급 유닛(17)의 공급 압력은 1, 2 압력 조절 유닛(Regulator)(131, 132)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1 압력 조절 유닛(131)에 의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압력이 예를 들어 2 내지 6 기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2 압력 조절 유닛(132)에 의하여 폐브레이크액의 배출 속력에 따라 적절하게 압력이 조절될 수 있고, 예를 들어 4 기압의 일정한 압력으로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두 개의 압력 조절 유닛(131, 132)에 의하여 공급 압력을 두 개의 단계로 나누어서 공급하는 것에 의하여 공급 압력이 안정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압력의 급격한 상승 또는 강하가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습기 또는 수분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은 1 압력 조절 유닛(131) 또는 2 압력 조절 유닛(132)에 수분 제거 유닛(131a)이 배치될 수 있다. 수분 제거 유닛(131a)은 예를 들어 수분 제거가 가능한 필터가 되거나 또는 물 분리기(water separator)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1 압력 조절 유닛(131)을 통과하는 공기는 다수 개의 핀 또는 메시로 이루어진 공기 분해 부품을 가지면서 낮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4 기압의 압력으로 공기 또는 기체를 공급하면서 적절한 수분 배출 수단을 가질 수 있다. 2 압력 조절 유닛(132)은 1 압력 조절 유닛(131)에 의하여 공급된 공기를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1, 2 압력 조절 유닛(131, 132)에 의하여 조절된 압력에 의하여 공급 용기(15)로부터 새로운 브레이크액이 공급 유닛(17)에 의하여 저장 탱크(RT)로 공급될 수 있다.
흡입 유닛(18)에 의하여 저장 탱크(RT)의 폐브레이크액이 흡입될 수 있고, 흡입된 폐브레이크액은 배출 용기(16)에 수집될 수 있다. 배출 용기(16)의 내부는 진공 펌프와 같은 진공 발생기(14)에 의하여 진공 상태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저장 탱크(RT)로부터 배출 용기(16)로 폐브레이크액이 흡입될 수 있다. 배출 용기(16)에 수집된 폐브레이크액은 브레이크액 교환이 완료되면 폐브레이크액 수집 탱크(WT)로 이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새로운 브레이크액의 공급을 위한 1, 2 압력 조절 유닛(131, 132)의 작동을 위하여 조절 패널(11)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 탱크(RT)로부터 폐브레이크액의 배출을 위한 진공 발생기(14)의 작동을 위한 작동 스위치(1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 패널(11) 및 작동 스위치(12)는 브레이크액 교한 장치의 작동을 개시하거나 중단기 위한 조절 유닛(11, 12)을 형성한다. 조절 패널(11)에 조작 스위치 및 압력 조절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조절 버튼에 의하여 압력이 설정되면 조작 스위치의 작동에 의하여 1, 2 압력 조절 유닛(131, 132)이 작동되어 새로운 브레이크액이 공급될 수 있다. 폐브레이크액의 배출을 위하여 진공 발생기(14)가 작동될 수 있고, 진공 발생기(14)에 의하여 배출 용기(16)가 진공 상태로 만들어지면서 폐브레이크액이 저장 탱크(RT)로부터 배출 용기(16)로 이송될 수 있다. 배출 용기(16)로 배출되는 폐브레이크액의 양에 의하여 공급 용기(15)로부터 공급되는 새로운 브레이크액의 양이 결정될 수 있다. 진공 발생기(14)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배출 용기(16) 내부의 진공 수준과 1, 2 압력 조절 유닛(131, 132)에 의하여 조절되는 공급 압력에 의하여 폐브레이크액과 배출 속력과 새로운 브레이크액의 공급 속력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 용기(15) 내부의 브레이크액의 양과 배출 용기(16) 내부의 브레이크액의 양 또는 브레이크액 양의 변화 속력은 탐지 유닛에 의하여 탐지되거나 육안으로 확인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20)의 외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20)는 박스 형상의 하우징(H)을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H)의 내부에 작동을 위한 부품 또는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H)의 위쪽에 속이 빈 실린더 형상의 공급 용기(15) 및 배출 용기(16)가 배치될 수 있다. 공급 용기(15)와 배출 용기(16)는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 브레이크액이 채워지는 내부 구조가 동일하면서 투명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공급 용기(15)와 배출 용기(16)는 하우징(H)의 위쪽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외부에서 브레이크액의 공급 상태 및 배출 상태가 확인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공급 용기(15)와 배출 용기(16)에 측정 눈금이 새겨질 수 있다. 또한 공급 용기(15)에 게이지(G)가 설치되어 1, 2 압력 조절 유닛(131, 132)에 의하여 공급 용기(15)에 가해지는 압력이 측정될 수 있다.
하우징(H)의 위쪽 면에 조작 스위치(211) 및 압력 조절 버튼(212)이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H)의 측면에 튜브 걸이(231)가 설치되어 유체 튜브(23)가 거치될 수 있다. 유체 튜브(23)는 공급 튜브 또는 배출 튜브가 될 수 있다. 다양한 부품 또는 장치가 하우징(H)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 장치에 적용되는 공급 어댑터 및 호스 거치대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가)를 참조하면, 저장 탱크(RT)는 덮개의 기능을 가지는 주입 유닛(311)을 가질 수 있고, 주입 유닛(311)에 밀폐 잠금 유닛(31)이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주입 유닛(311)은 밀폐 잠금 유닛(31)의 일부를 형성하여 저장 탱크(RT)의 주입구를 밀폐시킬 수 있다. 밀폐 잠금 유닛(31)에 주입 탭(32)이 형성될 수 있고, 유체 튜브(23)의 한쪽 끝 부분에 결합된 공급 커넥터(33)가 결합될 수 있다. 주입 탭(32)와 공급 커넥터(33)는 스크루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지만 탄성 가압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급 커넥터(33)에 주입 탭(32)의 내부로 삽입되는 주입 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주입 돌기가 공급 커넥터(33)에 형성된 돌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 또는 돌출될 수 있다. 유체 튜브(23)에 주입 돌기에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는 탄성 가압 유닛(331)이 배치될 수 있다. 주입 탭(32)과 공급 커넥터(33)는 밀폐 가능한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되어 유체 튜브(23)를 통하여 공급되는 새로운 브레이크액이 저장 탱크(RT)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주입 탭(32) 또는 공급 커넥터(33)에 작동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저장 탱크(RT)의 배출구에 결합되는 배출 유닛도 공급 유닛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의 (나)를 참조하면, 유체 튜브(23)는 다양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연장 길이의 중간 부분에 튜브 커넥터(34)가 형성될 수 있다. 튜브 커넥터(34)는 서로 분리 가능한 유체 튜브(23)를 연결시키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의 연결 도관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튜브 커넥터(34)에 의하여 유체 튜브(23)는 다양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튜브 커넥터(34)에 클램프와 같은 거치 유닛(35)이 결합될 수 있고, 거치 유닛(35)에 고정 훅(36)이 형성될 수 있다. 브레이크액의 교환은 차량이 리프트와 같은 장치에 의하여 들린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거치 유닛(35)과 고정 훅(36)은 차량의 아래쪽에 설치된 축 형태의 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유체 튜브(23)가 브레이크액의 공급 또는 배출 과정에서 정돈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다양한 부가 장치 또는 유닛이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에 결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 장치에 적용되는 기체 유입 방지 유닛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급 용기(15)의 바닥 면에 공급 유로(151)가 형성되어 새로운 브레이크액이 유체 튜브로 전달될 수 있다. 공급 용기(15)의 내부는 가압 상태가 될 수 있고, 브레이크액이 공급 유로(151)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함께 유입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브레이크액은 일정한 수준으로 공급 유로(151)를 통하여 유체 튜브로 이동되는 것이 유리하고 예를 들어 공급 유로(151)의 입구에서 와류 또는 소용돌이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공급 용기(15)에 형성된 공급 유로(151)에 상하 이동이 가능한 체크 유닛(41)이 배치될 수 있다. 체크 유닛(41)은 속이 빈 구형 또는 밀폐된 실린더 형상이 되면서 낮은 밀도에 의하여 브레이크액 내부에서 위쪽으로 향하는 부력을 가지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체크 유닛(41)은 공급 유로(151)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낮은 밀도 또는 부력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체크 유닛(41)은 공급 유로(151)의 주위에 형성된 제한 유닛(42)에 의하여 위쪽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제한 유닛(42)은 공급 유로(151)의 주위의 공급 용기(15)의 바닥 면에 고정된 두 개의 서로 교차하는 역-U자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구조의 제한 유닛(42)이 체크 유닛(41)의 위쪽으로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공급 유로(151)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 장치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브레이크액 교환 방법은 공급 용기와 배출 용기를 준비하고, 배출 용기를 진공 발생기에 의하여 진공으로 형성하는 단계(P51); 공급 용기와 연결된 유체 튜브의 한쪽 끝에 형성된 공급 어댑터를 저장 탱크의 주입구에 연결하는 단계(P52); 레귤레이터와 같은 압력 조절 유닛의 공급 압력을 설정하는 단계(P53); 체크 밸브와 같은 밸브를 작동시켜 폐브레이크액을 배출 용기로 흡입하는 단계(P54); 압력 조절 유닛을 작동시켜 새로운 브레이크액을 저장 탱크로 공급하는 단계(P55); 공급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양과 배출 용기로 배출되는 양의 균형이 이루어지는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P56); 및 판단 결과에 따라 작동 상태가 유지되는 단계(P57)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공급 용기와 배출 용기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공급 또는 배출되는 브레이크액의 양이 확인될 수 있는 투명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브레이크액이 교환되어야 하는 저장 탱크로부터 배출 용기로 브레이크액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배출 튜브 또는 유체 튜브가 저장 탱크와 배출 용기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 용기가 진공 발생기에 의하여 진공 상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P51). 또한 공급 용기로부터 저장 탱크로 브레이크액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급 용기와 연결된 공급 튜브의 끝 부분에 형성된 공급 어댑터가 저장 탱크에 연결될 수 있다(P52). 그리고 공급 용기의 내부 압력이 예를 들어 2 내지 6 기압, 바람직하게 4 기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P53). 이후 배출 밸브에 의하여 배출 튜브가 개방되면서 폐브레이크액이 배출 용기로 흡입될 수 있다(P54). 이와 동시에 또는 폐브레이크액의 흡입이 개시된 이후 압력 조절 유닛이 작동되면서 공급 밸브가 개방되어 새로운 브레이크액이 저장 탱크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P55). 저장 탱크로부터 폐브레이크액이 배출되면서 새로운 브레이크액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양과 공급되는 양의 균형이 탐지될 수 있다(P56). 공급 균형의 탐지는 예를 들어 공급 용기와 배출 용기의 수위를 탐지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공급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라면(NO), 안전밸브가 작동될 수 있다(P561). 예를 들어 배출되는 양에 비하여 공급되는 속력이 미리 결정된 값에 비하여 크거나, 공급 압력이 미리 결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공급 균형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고(NO), 안전밸브가 작동될 수 있다(P561). 안전밸브의 작동에 의하여 공급 압력이 조절되거나 공급이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고, 압력 조절 유닛의 작동이 다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진공 수준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공급 균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작동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P57). 이후 브레이크액 교환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의 작동의 중지될 수 있다. 브레이크액 교환의 완료 여부는 예를 들어 공급 용기의 잔존 브레이크액 또는 배출 용기에 채워진 폐브레이크액의 양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에 의한 브레이크액 교환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교환 장치는 진공 조건에서 폐브레이크액이 배출되면서 이와 동시에 가압 조건에서 브레이크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브레이크액 교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는 가압 과정에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브레이크액 교환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환 장치는 새 브레이크액의 공급 과정에서 공기와 같은 기체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브레이크액 교환의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12: 조절 유닛 11: 조절 패널
12: 작동 스위치 14: 진공 발생기
15: 공급 용기 16: 배출 용기
17: 공급 유닛 18: 흡입 유닛
20: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 23: 유체 튜브
31: 밀폐 잠금 유닛 32: 주입 탭
33: 공급 커넥터 34: 튜브 커넥터
35: 거치 유닛 36: 고정 훅
41: 체크 유닛 42: 제한 유닛
131, 132: 1, 2 압력 조절 유닛 131a: 수분 제거 유닛
151: 공급 유로 211: 조작 스위치
212: 압력 조절 버튼 231: 튜브 걸이
311: 주입 유닛 331: 탄성 가압 유닛
G: 게이지 H: 하우징
RT: 저장 탱크 WT: 폐브레이크액 수집 탱크

Claims (4)

  1. 브레이크액이 저장된 저장 탱크(RT);
    저장 탱크(RT)로 새로운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공급 유닛(17);
    공급 유닛(17)으로 공급되는 압력을 조절하는 1, 2 압력 조절 유닛(131, 132);
    1 압력 조절 유닛(131)으로 유입되거나 2 압력 조절 유닛(132)으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 유닛(131a);
    저장 탱크(RT)로부터 폐브레이크액을 흡입하는 흡입 유닛(18);
    흡입 유닛(18)으로 흡입된 상기 폐브레이크액이 저장되는 배출 용기(16)의 압력을 진공 상태로 유지하는 진공 발생기(14); 및
    상기 새로운 브레이크액의 공급 및 폐브레이크액의 배출을 조절하는 조절 유닛(11, 12)을 포함하고,
    상기 1 압력 조절 유닛(131)에 의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압력이 조절되고, 상기 2 압력 조절 유닛(132)에 의하여 폐브레이크액의 배출 속력에 따라 압력이 조절되며,
    공급 유닛(17)으로 상기 새로운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공급 용기(15)를 더 포함하고, 공급 용기(15)에 형성된 공급 유로(151)에 상하 이동이 가능한 체크 유닛(41)이 배치되고, 상기 체크 유닛(41)은 상기 공급 유로(151)의 입구에서 와류 또는 소용돌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브레이크액 내부에서 위쪽으로 향하는 부력을 가지는 구조로 만들어지는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저장 탱크(RT)에 형성된 주입 유닛(311)에 연결되는 공급 커넥터(33)를 더 포함하고, 공급 커넥터(33)에 탄성 가압 유닛(331)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배출 용기(16)와 공급 용기(15)는 동일한 내부 구조를 가지면서 투명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
KR1020160170480A 2016-12-14 2016-12-14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 KR101907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480A KR101907062B1 (ko) 2016-12-14 2016-12-14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480A KR101907062B1 (ko) 2016-12-14 2016-12-14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612A KR20180068612A (ko) 2018-06-22
KR101907062B1 true KR101907062B1 (ko) 2018-12-05

Family

ID=62768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480A KR101907062B1 (ko) 2016-12-14 2016-12-14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0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684A1 (ko) * 2018-06-27 2020-01-02 주식회사 툴엔텍 브레이크 오일 교환 장치
KR102265985B1 (ko) * 2021-04-13 2021-06-17 주식회사 나인서클코리아 브레이크오일 교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681Y1 (ko) * 2000-11-15 2001-05-15 박춘식 자동차용 기어오일 주입기
KR101370541B1 (ko) * 2012-11-07 2014-03-10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차량의 브레이크액 교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101A (ko) 1997-12-11 1999-07-05 정몽규 자동차의 브레이크 오일 교환용 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681Y1 (ko) * 2000-11-15 2001-05-15 박춘식 자동차용 기어오일 주입기
KR101370541B1 (ko) * 2012-11-07 2014-03-10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차량의 브레이크액 교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612A (ko)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062B1 (ko) 브레이크액 교환 장치
US6135067A (en) System removing entrapped gas from an engine cooling system
JPH1172054A (ja) 燃料蒸気排出防止装置
KR20160067088A (ko) 액체 재료 충전 장치 및 방법
JP5980051B2 (ja) ベーパ回収装置
JP4166154B2 (ja) 流体充填具
US7975500B2 (en) Refrigerant accumulation and oil recovery device for refrigerant fluid recovery/regeneration/recharging systems
JP2010030622A (ja) ベーパ回収システム
US6568507B2 (en) Gas and oil suction system and method
WO2020004684A1 (ko) 브레이크 오일 교환 장치
CN107438531B (zh) 包括沸腾检测的压力控制方法
KR20160140650A (ko) 디스펜싱 건
JP2020505592A (ja) 加圧溶媒流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JP4689926B2 (ja) コンテナからの流体排出装置
KR101648981B1 (ko) 작동유 탱크의 압력유지장치
JP5295726B2 (ja) エゼクタ装置
JP5295725B2 (ja) エゼクタ装置
CN110621385A (zh) 用于使可流动的流体脱气的装置
JP2009143378A (ja) 燃料タンク構造
CN220967579U (zh) 一种回收装置
JP3040205B2 (ja) 吸排気装置
KR20190079088A (ko) 코팅액 공급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토출밸브
JP4643515B2 (ja) フロート弁を備えた燃料油のポンプユニット
JP2018167877A (ja) 液体燃料供給装置
JP2001349497A (ja) 液化ガス残液回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