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500B1 -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이용한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이용한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500B1
KR101906500B1 KR1020160095547A KR20160095547A KR101906500B1 KR 101906500 B1 KR101906500 B1 KR 101906500B1 KR 1020160095547 A KR1020160095547 A KR 1020160095547A KR 20160095547 A KR20160095547 A KR 20160095547A KR 101906500 B1 KR101906500 B1 KR 101906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haracter doll
control signal
emotion information
off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2561A (ko
Inventor
조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160095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500B1/ko
Priority to PCT/KR2017/002920 priority patent/WO2018021651A1/ko
Publication of KR20180012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01Dolls simulating physiological processes, e.g. heartbeat, breathing or fev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y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이용한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제어 서버가 수행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 또는 프로필을 통해 표현되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등록된 상대방의 계정 정보와 연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이용한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장치 및 방법{OFFLINE CHARACTER DOL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ING USER'S EMO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이용한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 또는 프로필을 통해 표현되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통해 자동으로 표현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직접 대면하거나 전화 통화를 통해 사용자 간의 대화가 이루어지면서 서로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한 메시지 또는 이모티콘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자 간의 대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단순한 메시지 또는 이모티콘은 사용자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오프라인 인형을 이용한 사용자의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오프라인 인형을 이용한 사용자의 감정 전달 방법은 각각의 오프라인 인형을 직접 조작하여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감정을 상대방이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인형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오프라인 인형을 이용한 사용자의 감정 전달 방법은 사용자의 감정을 풍부하기 전달하기 어려우며, 사용자의 감정을 전달하기 위하여 매번 직접적인 오프라인 인형의 조작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매우 큰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 또는 프로필을 통해 표현되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통해 자동으로 표현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상대방에게 손쉽고 빠르게 전달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서버가 수행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 또는 프로필을 통해 표현되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등록된 상대방의 계정 정보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은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의 얼굴 표정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은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장착된 디스플레이가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은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장착된 스피커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억양, 속도 및 세기가 달라지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의 음성 및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의 음성과 함께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변경되는 배경음악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서버가 수행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방법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가해진 외부 자극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통해 상기 분석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은 상기 제어 서버에 설정된 등록 코드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은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의 얼굴 표정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은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장착된 디스플레이가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은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장착된 스피커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억양, 속도 및 세기가 달라지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의 음성 및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의 음성과 함께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변경되는 배경음악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서버가 수행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및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장치; 및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등록된 상대방의 계정 정보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의 얼굴 표정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장착된 디스플레이가 조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장착된 스피커가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억양, 속도 및 세기가 달라지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의 음성 및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의 음성과 함께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변경되는 배경음악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은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상대방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의 얼굴 표정이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상대방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장착된 디스플레이가 조작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장착된 스피커가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억양, 속도 및 세기가 달라지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의 음성 및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의 음성과 함께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변경되는 배경음악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 또는 프로필을 통해 표현되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통해 자동으로 표현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상대방에게 손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가 작성한 메시지 또는 프로필을 통해 표현되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제어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가 작성한 메시지 또는 프로필을 통해 표현되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제어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가해진 외부 자극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제어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가해진 외부 자극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제어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가 작성한 메시지 또는 프로필을 통해 표현되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제어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서비스 서버(120), 제어 서버(130) 및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서버(120)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전달하려는 메시지 또는 프로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채팅창 또는 프로필 창을 통해 사용자가 작성한 텍스트, 이모티콘, 배경 화면 또는 배경 음악 등과 같은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10)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입력 받은 정보를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모든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추출하는 것은 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는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통해 사용자의 상대방에 대한 감정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상대방이 아닌 임의의 3자에게 작성한 메시지는 의미가 없을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작성한 메시지에 대한 정보 중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에 대해 작성한 메시지에 대한 정보만을 추출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120)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등록된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와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의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가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으로 보내는 메시지일 경우에만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작성한 프로필은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은 물론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등록된 임의의 3자에게 모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120)는 사용자의 프로필이 처음 작성되거나 변경될 때마다 수신된 프로필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서버(120)는 추출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제어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서버(130)는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서버(130)는 수신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의 얼굴 표정,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어 서버(130)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는 제어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얼굴 표정,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은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의 얼굴 표정,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정을 상대방에게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은 서비스 서버(120)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등록된 상대방의 계정 정보와 연동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 또는 프로필을 통해 표현되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는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통해 표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가 작성한 메시지 또는 프로필을 통해 표현되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제어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210)에서, 제어 서버(130)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 또는 프로필을 통해 표현되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110)은 서비스 서버(120)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전달하려는 메시지 또는 프로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10)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채팅창 또는 프로필 창을 통해 사용자가 작성한 텍스트, 이모티콘, 배경 화면 또는 배경 음악 등과 같은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도 1의 사용자 단말(110)과 같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채팅창에 기쁨을 나타내는 이모티콘을 입력하였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사용자 단말(110)은 기쁨을 나타내는 이모티콘을 서비스 서버(120)로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120)는 수신된 기쁨을 나타내는 이모티콘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120)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수신된 사용의 메시지를 통해 기쁨이라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추출하고, 제어 서버(130)는 서비스 서버(120)에서 추출된 기쁨이라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220)에서 제어 서버(130)는 수신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서버(130)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 서버(130)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의 얼굴 표정을 변경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서버(130)가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기쁨이라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수신하였다면, 제어 서버(130)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의 얼굴 표정을 웃는 표정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에 제어 서버(130)가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슬픔이라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수신하였다면, 제어 서버(130)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의 얼굴 표정을 우는 표정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어 서버(130)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를 조작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서버(130)가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짜증이라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수신하였다면, 제어 서버(130)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짜증과 관련된 텍스트나 이모티콘 등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제어 서버(130)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에 장착된 스피커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서버(130)가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사랑이라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수신하였다면, 제어 서버(130)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사랑과 관련된 캐릭터 음성이나 배경 음악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신호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하여 각각의 사용자의 감정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억양, 속도, 세기로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의 음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신호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하여 각각의 사용자의 감정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배경 음악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짜증이라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수신하였다면, 제어 서버(130)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화난 목소리의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의 음성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사랑이라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수신하였다면, 제어 서버(130)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사랑과 관련된 배경 음악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230)에서, 제어 서버(130)는 단계(22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은 서비스 서버(120)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등록된 상대방의 계정 정보와 연동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 또는 프로필을 통해 표현되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는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통해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서버(130)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등록된 상대방의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계정 정보와 연동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으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가해진 외부 자극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제어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 시스템(100)에서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310)(이하, 제1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은 복수의 센서를 통해 외부 자극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획득되는 센싱 정보는 사용자가 제1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310)에 가한 외부 자극에 대한 센싱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310)은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정보 또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제1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31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1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310)이 획득하는 정보는 터치 센서,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모든 종류의 센서를 통해 획득 가능한 센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1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310)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된 센싱 정보를 제어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서버(130)는 제1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310)으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서버(130)는 수신된 센싱 정보 중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제1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310)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만약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라면, 제어 서버(130)는 사용자가 제1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310)을 손으로 쓰다듬었다고 판단하고,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기쁨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만약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라면, 제어 서버(130)는 사용자가 제1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310)을 손으로 가격했다고 판단하고,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짜증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후 제어 서버(130)는 분석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이하, 제2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서버(130)는 분석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에 대응하여 제2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의 얼굴 표정,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어 서버(130)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고 있는 제2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는 제어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얼굴 표정,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은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제2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의 얼굴 표정,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정을 상대방에게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2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은 제어 서버(130)에 설정된 등록 코드와 연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등록 코드는 제어 서버(130) 내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 서버(130)는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의 등록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등록 코드와 연동되는 제2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으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가해진 외부 자극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제어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410)에서, 제어 서버(13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310)에 가해진 외부 자극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먼저 제1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310)은 복수의 센서를 통해 외부 자극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획득되는 센싱 정보는 사용자가 제1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310)에 가한 외부 자극에 대한 센싱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310)은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정보 또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제1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31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1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310)이 획득하는 정보는 터치 센서,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모든 종류의 센서를 통해 획득 가능한 센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제어 서버(13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310)을 통해 획득된 센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420)에서, 제어 서버(130)는 수신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서버(130)는 도 3과 같이 수신된 센싱 정보 중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제1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310)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만약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라면, 제어 서버(130)는 사용자가 제1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310)을 손으로 쓰다듬었다고 판단하고,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기쁨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만약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라면, 제어 서버(130)는 사용자가 제1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310)을 손으로 가격했다고 판단하고,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짜증으로 분석할 수 있다.
단계(430)에서, 제어 서버(130)는 분석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 서버(130)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의 얼굴 표정을 변경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서버(130)가 도 3과 같이 수신된 센싱 정보를 분석한 결과 짜증이라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추출하였다면, 제어 서버(130)는 제2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의 얼굴 표정을 화난 표정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에 제어 서버(130)가 수신된 센싱 정보를 분석한 결과 기쁨이라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추출하였다면, 제어 서버(130)는 제2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의 얼굴 표정을 웃는 표정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어 서버(130)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를 조작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서버(130)가 수신된 센싱 정보를 분석한 결과 짜증이라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추출하였다면, 제어 서버(130)는 제2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짜증과 관련된 텍스트나 이모티콘 등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제어 서버(130)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에 장착된 스피커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서버(130)가 수신된 센싱 정보를 분석한 결과 사랑이라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추출하였다면, 제어 서버(130)는 제2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사랑과 관련된 캐릭터 음성이나 배경 음악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신호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하여 각각의 사용자의 감정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억양, 속도, 세기로 제2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의 음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신호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하여 각각의 사용자의 감정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배경 음악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센싱 정보를 분석한 결과 짜증이라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추출하였다면, 제어 서버(130)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화난 목소리의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의 음성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신된 센싱 정보를 분석한 결과 사랑이라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추출하였다면, 제어 서버(130)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사랑과 관련된 배경 음악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440)에서, 제어 서버(130)는 단계(43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는 제2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2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은 제어 서버(130)에 설정된 등록 코드와 연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등록 코드는 제어 서버(130) 내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 서버(130)는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의 등록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등록 코드와 연동되는 제2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140)으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은 제어 서버(130)로부터 해당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소지한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의 감정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은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의 감정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장치 및 수신된 제어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구성하는 프로세서는 제어 서버(130)로부터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의 감정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장착된 얼굴 표정,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대방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시스템
110 : 사용자 단말
120 : 서비스 서버
130 : 제어 서버
140 : 제2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330 : 제1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Claims (17)

  1. 제어 서버가 수행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 또는 프로필을 분석함으로써 추출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등록된 상대방의 계정 정보와 연동하며,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억양, 속도 및 세기를 가지는 음성과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배경 음악을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의 스피커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은,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의 얼굴 표정이 변경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은,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장착된 디스플레이가 조작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은,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장착된 스피커가 조절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방법.
  5. 삭제
  6. 제어 서버가 수행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방법에 있어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가해진 외부 자극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통해 상기 분석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은,
    상기 제어 서버에 설정된 등록 코드와 연동하며,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가해지는 충격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충격 정보를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분석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은,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의 얼굴 표정이 변경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은,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장착된 디스플레이가 조작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은,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장착된 스피커가 제어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억양, 속도 및 세기가 달라지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의 음성 및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의 음성과 함께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변경되는 배경음악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방법.
  11. 제어 서버가 수행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장치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및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장치; 및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등록된 상대방의 계정 정보와 연동하고,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 또는 프로필을 분석함으로써 추출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억양, 속도 및 세기를 가지는 음성과 상기 사용자의 감정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배경 음악을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이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의 스피커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의 얼굴 표정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장착된 디스플레이가 조작되도록 제어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장착된 스피커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장치.
  15. 삭제
  16.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있어서,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상대방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상대방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의 얼굴 표정이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상대방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장착된 디스플레이가 조작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상대방의 감정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에 장착된 스피커가 조절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상대방의 감정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억양, 속도 및 세기를 가지는 음성과 상기 상대방의 감정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배경 음악을 상기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의 스피커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17. 삭제
KR1020160095547A 2016-07-27 2016-07-27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이용한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06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547A KR101906500B1 (ko) 2016-07-27 2016-07-27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이용한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장치 및 방법
PCT/KR2017/002920 WO2018021651A1 (ko) 2016-07-27 2017-03-20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이용한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547A KR101906500B1 (ko) 2016-07-27 2016-07-27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이용한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561A KR20180012561A (ko) 2018-02-06
KR101906500B1 true KR101906500B1 (ko) 2018-10-11

Family

ID=61017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547A KR101906500B1 (ko) 2016-07-27 2016-07-27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이용한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6500B1 (ko)
WO (1) WO20180216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534B1 (ko) * 2018-03-09 2020-05-0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정 공유를 위한 커플 로봇 및 이를 이용한 감정 공유 방법
KR102208256B1 (ko) * 2019-09-23 2021-01-27 여영환 리딩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 인형
KR102295836B1 (ko) * 2020-11-20 2021-08-31 오로라월드 주식회사 성장형 스마트 토이 장치 및 스마트 토이 시스템
KR102547972B1 (ko) * 2022-05-06 2023-06-27 주식회사 코코지 오디오 출력 시스템 및 방법
KR102547979B1 (ko) * 2022-05-06 2023-06-27 주식회사 코코지 오디오 출력 시스템 및 이의 사운드 컨텐츠 변경 방법
KR102547971B1 (ko) * 2022-05-06 2023-06-27 주식회사 코코지 오디오 출력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663436U (zh) * 2013-12-06 2014-06-25 付冬 一种智能情感传递装置
US20160059142A1 (en) * 2014-08-28 2016-03-03 Jaroslaw KROLEWSKI Interactive smart dol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0597B1 (en) * 1999-08-12 2002-04-09 United Internet Technologies, Inc.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n animatronic device in a chat environment utilizing control signals sent by a remote device over the internet
KR100330933B1 (ko) * 2000-02-16 2002-04-01 김덕우 캐릭터 단말기를 이용한 캐릭터 정보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과 이에 적합한 캐릭터 단말기
WO2006071062A1 (en) * 2004-12-30 2006-07-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terminal data format and a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the terminal data forma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663436U (zh) * 2013-12-06 2014-06-25 付冬 一种智能情感传递装置
US20160059142A1 (en) * 2014-08-28 2016-03-03 Jaroslaw KROLEWSKI Interactive smart do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21651A1 (ko) 2018-02-01
KR20180012561A (ko)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500B1 (ko)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이용한 오프라인 캐릭터 인형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200125920A1 (en)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of virtual robot,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US20210173548A1 (en) Virtual assistant acquisitions and training
KR101821358B1 (ko) 다자간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455549B2 (en) Modeling characters that interact with users as part of a character-as-a-service implementation
US20190130629A1 (en) Animated chat presence
US10719713B2 (en) Suggested comment determination for a communication session based on image feature extraction
US11527233B2 (en) Method, apparatus,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speech packet
CN105074815A (zh) 针对语音识别系统的视觉反馈
TW201423419A (zh) 觸碰式通訊系統和方法
CN108139988B (zh) 信息处理系统和信息处理方法
WO2008049834A2 (en) Virtual assistant with real-time emotions
KR20190140801A (ko) 영상, 음성, 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감정, 나이, 성별을 인식하는 방법
KR102387400B1 (ko) 통화 중 감정을 인식하여 인식된 감정을 활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25277A (ko)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CN116349234A (zh) 利用元数据的多模式游戏视频摘要
CN116508315A (zh) 多模式游戏视频摘要
Hasan et al. SAPIEN: affective virtual agents powered by large language models
EP383249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719742B1 (ko) 아바타를 사용한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202201808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multimedia content
EP432209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230110352A (ko) 가상 현실 알림 동기화
US11929169B2 (en) Personalized sensory feedback
KR101979600B1 (ko) 텍스트 메시지에 감정을 표시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