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276B1 - 백호우용 오염토양 경작장치 - Google Patents

백호우용 오염토양 경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276B1
KR101906276B1 KR1020180088264A KR20180088264A KR101906276B1 KR 101906276 B1 KR101906276 B1 KR 101906276B1 KR 1020180088264 A KR1020180088264 A KR 1020180088264A KR 20180088264 A KR20180088264 A KR 20180088264A KR 101906276 B1 KR101906276 B1 KR 101906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pair
frame
contaminated soil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철
Original Assignee
(주)한국환경복원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환경복원기술 filed Critical (주)한국환경복원기술
Priority to KR1020180088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02F5/027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with coulters, ploughs, scraper plat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10Structur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tools ; Theoretical aspects of the cutting action
    • A01B33/103Structur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tools ; Theoretical aspects of the cutting action the rotating shaft being oriented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8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1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microbiologically, biologically or by using enzym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로터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백호우용 오염토양 경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30); 프레임(30)의 상단을 가로지르면서 프레임(30)을 연결하고, 백호우(22)의 커플러(20)에 결합되는 평행한 한 쌍의 프레임 연결축(31); 프레임 연결축(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커플러(20)의 양측면에 걸리는 한 쌍의 칼라(32); 프레임(30)에 대응해서 각각 한 쌍씩 설치되고, 상단이 힌지핀(41)에 의해 프레임(30)에 설치되며, 짝을 이룬 각 쌍이 역(逆) V자 모양을 이루는 회동암(40); 힌지핀(41)과 동일한 중심으로 회동암(40)의 상단 일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한 쌍씩 서로 맞물리는 싱크로기어(42); 회동암(40)에 각각 설치되는 피봇핀(61); 피폿핀(61)에 양단이 결합되어 회동암(40)의 사이를 벌리거나 오므리는 유압실린더(60); 회동암(40)의 하단부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고, 오염토양(21)을 경작하는 평행한 한 쌍의 회전로터리(50); 회전로터리(50)를 각각 회전시키는 유압모터(5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백호우용 오염토양 경작장치{Contaminated Soil Cultivator for Excavator}
본 발명은 백호우를 이용해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데 이용되는 백호우용 오염토양 경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된 토양을 경작하기 위한 회전로터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백호우용 오염토양 경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유소, 군부대, 공장지역에 설치된 지하 유류저장 탱크 또는 유류 압송배관이 노후 되거나 파손되면, 기름이 누설되면서 토양을 오염시키게 되고, 오염된 토양은 동식물의 성장을 저해하고 지하수를 오염시키게 된다.
이때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기 위해 땅을 파고 뒤집는 경작 작업이 실시되는데, 이와 같은 경작 작업은 대개 오염부지의 토양을 굴착 이송한 후 경작지 내에서 일정 두께로 지표면에 펼쳐 놓고 질소와 인의 영양분, 수분, 산소를 공급한 후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시켜서 분해하는 호기성 생분해 공정이다.
즉 오염된 토양을 지표면에 깔아 놓고 정기적으로 뒤집어줌으로써 공기를 공급해 주고 오염 물질의 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해 수분함량, 산소함유량, 양분(질소, 인) 함유량 같은 토양의 특성을 조절하게 된다.
오염토양 경작의 처리공정을 살펴보면, 우선 처리 대상물질로써 오염토양의 생분해는 유류계의 가솔린과 같은 휘발성이 강한 물질과 고분자 탄화수소(디젤연료, 기름슬러지, 석탄오염토양, 살충제 등)에 적용된다.
이와 같은 경작법은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오염물질의 분해를 위한 적절한 환경 조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미생물의 활성이 저하되는 저온의 동절기에는 경작에 제한이 있으며, 땅을 파고 뒤집는데 많은 동력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오염토양 경작의 일반적인 기술로는 오염토양의 정화부지에서 오염된 토사를 약 30㎝로 얇게 깔아놓고 로터리식으로 뒤집어줌으로써 산소를 공급하고 영양액을 주입하는 이른바 트랙터를 이용한 생물학적 정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이 트랙터를 이용해서 경작하는 경우, 소용량 정화에 대한 효율성은 높으나 대용량 정화에 대한 효율성 및 경제성이 떨어지고, 오염된 토사를 얇게 깔기 위해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하며, 경작을 위한 기계적인 장치가 필요함과 동시에 작업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오염토양 경작의 다른 일반적인 기술로는 백호우 버켓을 이용한 경작처리로써 대용량의 오염된 토양을 처리하기 위해 토사의 야적 높이를 30 내지 80㎝ 이내로 포설한 후 백호우를 이용하여 뒤집기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백호우 버켓을 이용한 뒤집기 방법은 삽 모양의 버켓 및 망 버켓을 이용하여 야적된 토사를 굴착한 후 털거나 뿌리는 방식으로 뒤집기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정화효율성 및 경제성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백호우 버켓을 이용한 경작처리는 오염된 토양을 대량으로 뒤집는데는 적합하지만 경작을 위한 동력비용이 높으며, 기계 및 보조 인력의 노동 부하가 트랙터를 이용한 경작처리보다 높고, 경작시 미생물 및 영양분(질소, 인)을 주기적으로 살포하는 인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백호우 버켓을 이용한 경작처리는 주기적인 경작으로 인해 오염토양 내의 수분함량이 높아지면, 경작시 토사가 버켓과 같은 크기의 케이크 형상으로 떨어져 미세한 분쇄가 어려우며, 정화의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오염된 토양 내의 미생물과 영양액의 혼합이 불균일하게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트랙터나 백호우 버켓을 이용한 경작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31352호(공고일 2011.04.29.)에는 다수의 절단날이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절단날에는 고온증기분사관과 고온증기노즐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회전축과 하부회전축에는 파쇄날과 혼합날이 설치되어 구성된 종래기술 1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1은 상부회전축과 하부회전축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없도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회전축과 하부회전축 간의 거리가 넓으면 오염토양을 곱게 갈 수 없고, 상부회전축과 하부회전축 간의 거리가 좁아지면 오염토양을 굴착할 때 저항이 커지면서 경작할 수 있는 깊이가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 1은 고온증기분사관과 고온증기노즐을 세척해 줄 수 있는 장치를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고온증기분사관과 고온증기노즐이 쉽게 오염되면서 노즐구멍이 막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31352호(공고일 2011.04.29.)에는 수직의 제 1회전축과 수평의 제 2회전축에 각각 제 1교반날개와 제 2교반날개가 설치되어 있고, 노즐이 설치된 증기분출관과 약품분출관이 구비된 종래기술 2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2도 종래기술 1과 마찬가지로 회전축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오염토양을 곱게 갈거나 경작깊이를 깊게 할 수 있는 것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 2도 증기분출관과 약품분출관을 세척해 줄 수 있는 장치를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증기분출관과 약품분출관이 쉽게 오염되면서 노즐구멍이 막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31352호(공고일 2011.04.29.)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99564호(공고일 2012.11.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회전로터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해서 회전로터리가 오염토양을 파고 들어갈 때는 저항을 줄이고 오염토양을 곱게 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경작액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구멍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백호우용 오염토양 경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백호우용 오염토양 경작장치는,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 프레임의 상단을 가로지르면서 프레임을 연결하고, 백호우의 커플러에 결합되는 평행한 한 쌍의 프레임 연결축; 프레임 연결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커플러의 양측면에 걸리는 한 쌍의 칼라; 프레임에 대응해서 각각 한 쌍씩 설치되고, 상단이 힌지핀에 의해 프레임에 설치되며, 짝을 이룬 각 쌍이 역 V자 모양을 이루는 회동암; 힌지핀과 동일한 중심으로 회동암의 상단 일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한 쌍씩 서로 맞물리는 싱크로기어; 회동암에 각각 설치되는 피봇핀; 피폿핀에 양단이 결합되어 회동암의 사이를 벌리거나 오므리는 유압실린더; 회동암의 하단부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고, 오염토양을 경작하는 평행한 한 쌍의 회전로터리; 회전로터리를 각각 회전시키는 유압모터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힌지핀과 동일한 중심으로 프레임의 하부에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호형가이드채널; 피봇핀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호형가이드채널을 따라 구르는 회동롤러; 호형가이드채널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회동롤러의 이탈을 방지하는 호형걸림턱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의 상단을 가로지르고, 회전로터리를 향해 경작액을 분출하는 노즐구멍이 형성된 분출관; 분출관의 일측단 외주면에 설치되는 회전링; 분출관의 타측단을 중심으로 관통시키기 위한 중공형의 에어로터를 갖고, 프레임에 설치되는 중공형 에어모터; 중공로터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로터축과 회전링의 외주면에 양단이 고정되고, 분출관의 외주면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블레이드 고정바; 블레이드 고정바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중공형 에어모터에 의해 분출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회전되면서 노즐구멍을 청소하는 회전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60)에 의해 회전로터리(5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로터리(50)의 간격을 넓힐 경우 오염토양(21)으로 진입할 때 회전로터리(50)에 가해지는 저항을 줄여 굴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회전로터리(50)의 간격을 좁힌 경우에는 오염토양(21)을 더욱 곱게 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회동암(40)에 싱크로기어(4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압실린더(60)에 의해 회동암(40)을 동시에 움직일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압실린더(60)가 정지된 상태에서 회동암(40)이 외력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피봇핀(61)에 설치된 회동롤러(62)가 호형가이드채널(33)을 따라 움직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암(40)의 흔들림과 진동을 크게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호형가이드채널(33)에 형성된 호형걸림턱(34)에 의해 회동롤러(6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회동암(40)이 프레임(30)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회전로터리(50)가 회전될 때 프레임(30)의 상부에 설치된 분출관(70)의 노즐구멍(71)로부터 경작액(24)을 분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경작액(24)을 오염토양(21)에 고르게 혼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중공형 에어모터(73)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 고정바(72)와 회전블레이드(80)에 의해 분출관(70)의 외주면과 노즐구멍(71)을 청소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구멍(71)의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분출관(70)의 외주면에 설치된 회전링(81)에 의해 블레이드 고정바(72)와 분출관(7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블레이드 고정바(72)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프레임 연결축(31)에 설치된 칼라(32)에 의해 프레임 연결축(31)에 결합되는 커플러(20)가 한쪽으로 편중되게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회전블레이드(8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82)에 의해 회전블레이드(80)를 블레이드 고정바(72)로부터 편리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블레이드(80)를 빠르고 편리하게 교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을 배면측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출관과 회전블레이드 및 블레이드 고정바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모터와 회전로터리 및 피봇핀과 회동롤러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형 에어모터와 분출관 및 회전블레이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로터리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저면측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로서, 백호우의 커플러에 연결된 것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A-A'선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커플러를 이용해서 백호우에 장착하고 경작하는 것을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30); 프레임(30)의 상단을 가로지르면서 프레임(30)을 연결하고, 백호우(22)의 커플러(20)에 결합되는 평행한 한 쌍의 프레임 연결축(31); 프레임 연결축(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커플러(20)의 양측면에 걸리는 한 쌍의 칼라(32)를 포함한다.
프레임(30)은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프레임 연결축(31)이 분출관(70)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0)의 상단에 축구멍(35h)을 갖는 돌출부(35)를 형성하고, 축구멍(35h)에 프레임 연결축(31)을 삽입한 다음 프레임(30)과 프레임 연결축(31)을 서로 용접한다.
칼라(32)는, 프레임 연결축(31)에 결합되는 커플러(20)가 프레임 연결축(31)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지거나 한쪽으로 편중되게 결합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 연결축(31)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용접되거나 볼트(도시생략)에 의해 프레임 연결축(31)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30)에 대응해서 각각 한 쌍씩 설치되고, 상단이 힌지핀(41)에 의해 프레임(30)에 설치되며, 짝을 이룬 각 쌍이 역(逆) V자 모양을 이루는 회동암(40); 힌지핀(41)과 동일한 중심으로 회동암(40)의 상단 일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한 쌍씩 서로 맞물리는 싱크로기어(42)를 포함한다.
프레임(30)과 회동암(40) 및 싱크로기어(42)에는 중심이 일치되는 핀구멍(37)(44)(45)이 형성되며, 핀구멍(37)(44)(45)으로 힌지핀(41)을 삽입한 다음 힌지핀(41)에 형성된 헤드부(부호생략)는 싱크로기어(42)에 걸리고, 프레임(30)을 통해 반대편으로 관통된 힌지핀(41)의 단부는 리벳머리 형태로 납작하게 성형해서 힌지핀(41)의 이탈을 방지한다.
힌지핀(41)을 핀구멍(37)(44)(45)에 헐겁게 결합해서 회동암(40)이 힌지핀(41)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하며, 싱크로기어(42)는 회동암(40)에 용접해서 회동암(40)이 회동될 때 싱크로기어(42)가 회동암(40)과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싱크로기어(42)는,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평기어와 같은 것으로, 유압실린더(60)에 의해 회동암(40)이 움직일 때 두 회동암(40)이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는 작용을 하고, 유압실린더(60)가 정지되었을 때 4절 링크 형태로 프레임(30)과 유압실린더(60)에 결합된 회동암(40)이 외력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회동암(40)에 각각 설치되는 피봇핀(61); 피폿핀(61)에 양단이 결합되어 회동암(40)의 사이를 벌리거나 오므리는 유압실린더(6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구멍(46)을 갖는 피봇연결부(43)를 회동암(40)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해서 유압실린더(60)가 회동암(4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피봇핀(61)은, 유압실린더(60)의 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피봇연결부(43)에 형성된 피봇구멍(46)과 유압실린더(60)의 단부를 통해 피봇핀(61)을 삽입한 다음 피봇핀(61)의 외주면에 형성된 멈춤홈(63)에 스냅링(64)을 설치해서 유압실린더(60)와 회동암(4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때 피봇핀(61)에 설치되는 회동롤러(62)가 스냅링(64)과 함께 피봇핀(61)의 이탈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유압실린더(60)는 양단이 회동암(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유압실린더(60)로 압송되는 오일에 의해 전체 길이가 신축되면서 회동암(40)을 구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회동암(40)의 하단부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고, 오염토양(21)을 경작하는 평행한 한 쌍의 회전로터리(50); 회전로터리(50)를 각각 회전시키는 유압모터(51)를 포함한다.
회전로터리(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파이프(52)의 외주면에 복수의 포크(53)를 둘레방향으로 배치한 다음 용접한 것으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파이프(52)의 양단에 엔드캡(54)(55)을 삽입한 다음 엔드캡(54)(55)에 형성된 플랜지(54b)(55b)를 중공파이프(52)의 양단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플랜지(54b)(55b)와 중공파이프(52)를 용접해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용접비드(W2)를 형성할 수 있다.
엔드캡(54)(55)의 중심으로 상반된 방향으로 돌출된 중공보스(54a)와 캡보스(55a)를 회동암(40)의 하단부에 형성된 보스삽입구멍(47)에 삽입해서 회전로터리(50)를 회동암(4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유압모터(5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암(40)의 하단에 용접해서 용접비드(W1)를 형성할 수 있으며, 유압모터(51)의 모터축(56)은 중공보스(54a)로 삽입한 다음 중공보스(54a)와 모터축(56)에 축의 직각방향으로 다웰핀(57)을 박아서 모터축(56)과 회전로터리(50)가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힌지핀(41)과 동일한 중심으로 프레임(30)의 하부에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호형가이드채널(33); 피봇핀(61)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호형가이드채널(33)을 따라 구르는 회동롤러(62); 호형가이드채널(33)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회동롤러(62)의 이탈을 방지하는 호형걸림턱(34)을 포함한다.
호형가이드채널(33)은, 도 1 및 도 2,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힌지핀(41)의 중심에 각각 일치되어 서로 다른 중심을 갖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성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두 호형가이드채널(33)이 일체로 만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호형걸림턱(3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가이드채널(33)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회동롤러(62)의 일측면에 걸릴 수 있도록 호형가이드채널(33)을 향해 일정한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30)의 상단을 가로지르고, 회전로터리(50)를 향해 경작액(24)을 분출하는 노즐구멍(71)이 형성된 분출관(70); 분출관(70)의 일측단 외주면에 설치되는 회전링(81); 분출관(70)의 타측단을 중심으로 관통시키기 위한 중공형의 에어로터(74)를 갖고, 프레임(30)에 설치되는 중공형 에어모터(73)를 포함한다.
분출관(70)의 양단을 프레임(30)에 형성된 관삽입공(36)으로 삽입한 다음 분출관(70)과 프레임(30)을 용접해서 용접비드(W5)를 형성할 수 있다.
분출관(70)의 일측단은 폐쇄되며, 그 반대편 타측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니플(76)을 용접해서 용접비드(W6)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플렉시블 한 호스(도시생략)를 호스니플(76)에 접속해서 경작액(24)을 분출관(70)으로 압송한다.
회전링(81)은 중공형 에어모터(73)의 반대편에서 블레이드 고정바(72)의 한쪽 단에 용접되며, 회전링(81)을 분출관(70)의 외주면에 헐겁게 결합해서 중공형 에어모터(73)가 회전될 때 회전링(81)이 부드럽게 회전되도록 한다.
중공형 에어모터(73)는 통상의 에어모터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공기에 의해 회전되는 에어로터(74)가 내장되어 있으며, 에어로터(74)의 중심에 설치된 중공형으로 된 로터축(75)이 중공형 에어모터(73)의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특히 분출관(70)은 중공형 에어모터(73)의 로터축(75)과 에어로터(74)를 관통해서 프레임(30)에 형성된 관삽입공(36)으로 삽입되며, 중공형 에어모터(73)는 프레임(30)에 용접해서 용접비드(W4)를 형성한다.
즉, 중공형 에어모터(73)의 에어로터(74)와 로터축(75)이 회전되면, 프레임(30)에 용접되어 있는 분출관(70)은 정지되어 있고, 회전링(81)과 블레이드 고정바(72) 및 회전블레이드(80)가 분출관(70)의 외주면을 따라 둘레방향으로 회전된다.
본 발명은 에어로터(74)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로터축(75)과 회전링(81)의 외주면에 양단이 고정되고, 분출관(70)의 외주면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블레이드 고정바(72); 블레이드 고정바(72)에 결합되는 결합부(82)가 상부에 형성되고, 중공형 에어모터(73)에 의해 분출관(70)의 둘레방향을 따라 회전되면서 노즐구멍(71)을 청소하는 회전블레이드(80)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고정바(72)의 일측단을 로터축(75)의 외주면에 용접해서 용접비드(W3)를 형성하고, 블레이드 고정바(72)의 타측단은 회전링(81)의 외주면에 용접한다.
회전블레이드(80)는, 플렉시블한 고무로 성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 성형에 의해 단면모양이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도록 성형한 다음 필요한 길이로 절단해서 구성할 수 있으며,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82)는 블레이드 고정바(72)가 끼워지도록 ㄷ자 단면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면 중 부호 23은 끝 부분에 커플러(20)가 설치된 백호우(22)의 암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호우(22)의 암(23)에 설치된 커플러(20)를 양쪽 칼라(32) 사이에 위치시키면서 프레임 연결축(31)에 결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백호우(22)의 암(23)에 설치된다.
이후 유압모터(51)로 오일을 압송해서 유압모터(51)의 모터축(56)을 회전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웰핀(57)에 의해 모터축(56)에 연결된 중공보스(54a)에 의해 중공파이프(52)와 포크(53)가 회전되면서 회동암(40)의 하단부에 위치된 회전로터리(50)가 회전된다.
그 다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로터리(50)를 오염토양(21)에 접촉시키면 회전로터리(50)가 오염토양(21)을 파서 뒤집게 된다.
이때 유압실린더(60)로 오일을 압송해서 유압실린더(60)의 길이가 신장되면, 회동암(40)이 힌지핀(4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양측 회전로터리(50)의 사이가 넓어지게 되고, 그 반대로 유압실린더(60)의 길이가 수축되면 양측 회전로터리(50)의 사이가 좁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양측 회전로터리(50)의 사이가 넓어지면, 회전로터리(50)가 오염토양(21)을 파고 들어갈 때 오염토양(21)의 배출이 용이해서 진입저항이 줄어들게 되며, 양측 회전로터리(50)의 사이가 좁아지면, 오염토양(21)을 좀 더 곱게 갈 수 있게 된다.
유압실린더(60)에 의해 회동암(40)이 회동될 때 피봇핀(61)에 설치된 회동롤러(62)가 호형가이드채널(33)과 호형걸림턱(34)을 따라 움직이면서 회동암(40)의 흔들림이나 진동을 줄여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특히 회동암(40)의 상단에 설치된 싱크로기어(42)는 두 회동암(40)이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되며, 유압실린더(60)가 정지된 상태에서 회동암(40)이 외력에 의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회전로터리(50)에 의해 오염토양(21)이 경작되는 동안 분출관(70)으로 경작액(24)을 공급하면, 분출관(70)에 형성된 노즐구멍(71)을 통해 회전로터리(50)와 오염토양(21)으로 경작액(24)이 분출되어 경작액(24)이 오염토양(21)이 골고루 섞이게 된다.
이때 회전로터리(50)에 의해 사방으로 날리는 오염토양(21)이 분출관(70)에 형성된 노즐구멍(71)을 오염시킬 수 있는데, 중공형 에어모터(73)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에어로터(74)와 로터축(75)이 회전되면서 블레이드 고정바(72)를 회전시키게 되고, 블레이드 고정바(72)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블레이드(80)가 분출관(70)의 외주면을 따라 둘레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노즐구멍(71)을 청소하게 된다.
블레이드 고정바(72)의 한쪽 단부에 용접된 회전링(81)은 분출관(70)의 외주면에서 회전되면서 블레이드 고정바(72)와 분출관(70)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회전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20 : 커플러 21 : 오염토양
22 : 백호우 23 : 암
24 : 경작액 30 : 프레임
31 : 프레임 연결축 32 : 칼라
33 : 호형가이드채널 34 : 호형걸림턱
35 : 돌출부 35h : 축구멍
36 : 관삽입공 37,44,45 : 핀구멍
40 : 회동암 41 : 힌지핀
42 : 싱크로기어 43 : 피봇연결부
46 : 피봇구멍 47 : 보스삽입구멍
50 : 회전로터리 51 : 유압모터
52 : 중공파이프 53 : 포크
54,55 : 엔드캡 54a : 중공보스
55a : 캡보스 54b,55b : 플랜지
56 : 모터축 57 : 다웰핀
60 : 유압실린더 61 : 피봇핀
62 : 회동롤러 63 : 멈춤홈
64 : 스냅링 70 : 분출관
71 : 노즐구멍 72 : 블레이드 고정바
73 : 중공형 에어모터 74 : 에어로터
75 : 로터축 76 : 호스니플
80 : 회전블레이드 81 : 회전링
82 : 결합부 W1,W2,W3,W4,W5,W6 : 용접비드

Claims (3)

  1.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30);
    상기 프레임(30)의 상단을 가로지르면서 상기 프레임(30)을 연결하고, 백호우(22)의 커플러(20)에 결합되는 평행한 한 쌍의 프레임 연결축(31);
    상기 프레임 연결축(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커플러(20)의 양측면에 걸리는 한 쌍의 칼라(32);
    상기 프레임(30)에 대응해서 각각 한 쌍씩 설치되고, 상단이 힌지핀(41)에 의해 상기 프레임(30)에 설치되며, 짝을 이룬 각 쌍이 역(逆) V자 모양을 이루는 회동암(40);
    상기 힌지핀(41)과 동일한 중심으로 상기 회동암(40)의 상단 일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한 쌍씩 서로 맞물리는 싱크로기어(42);
    상기 회동암(40)에 각각 설치되는 피봇핀(61);
    상기 피봇핀(61)에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회동암(40)의 사이를 벌리거나 오므리는 유압실린더(60);
    상기 회동암(40)의 하단부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고, 오염토양(21)을 경작하는 평행한 한 쌍의 회전로터리(50);
    상기 회전로터리(50)를 각각 회전시키는 유압모터(5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우용 오염토양 경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41)과 동일한 중심으로 상기 프레임(30)의 하부에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호형가이드채널(33);
    상기 피봇핀(61)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호형가이드채널(33)을 따라 구르는 회동롤러(62);
    상기 호형가이드채널(33)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롤러(62)의 이탈을 방지하는 호형걸림턱(3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우용 오염토양 경작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0)의 상단을 가로지르고, 상기 회전로터리(50)를 향해 경작액(24)을 분출하는 노즐구멍(71)이 형성된 분출관(70);
    상기 분출관(70)의 일측단 외주면에 설치되는 회전링(81);
    상기 분출관(70)의 타측단을 중심으로 관통시키기 위한 중공형의 에어로터(74)를 갖고, 상기 프레임(30)에 설치되는 중공형 에어모터(73);
    상기 에어로터(74)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로터축(75)과 상기 회전링(81)의 외주면에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분출관(70)의 외주면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는 블레이드 고정바(72);
    상기 블레이드 고정바(72)에 결합되는 결합부(82)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중공형 에어모터(73)에 의해 상기 분출관(70)의 둘레방향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노즐구멍(71)을 청소하는 회전블레이드(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우용 오염토양 경작장치.
KR1020180088264A 2018-07-30 2018-07-30 백호우용 오염토양 경작장치 KR101906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264A KR101906276B1 (ko) 2018-07-30 2018-07-30 백호우용 오염토양 경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264A KR101906276B1 (ko) 2018-07-30 2018-07-30 백호우용 오염토양 경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276B1 true KR101906276B1 (ko) 2018-10-10

Family

ID=63876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264A KR101906276B1 (ko) 2018-07-30 2018-07-30 백호우용 오염토양 경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27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3251A (zh) * 2020-08-10 2020-11-10 华中农业大学 易调式多旋向通用型旋耕机
KR102184622B1 (ko) * 2020-05-06 2020-11-30 (주)한국환경복원기술 토양 정화용 경작장치
KR102184628B1 (ko) * 2020-05-06 2020-11-30 (주)한국환경복원기술 토양정화 경작장치
CN113678584A (zh) * 2021-06-01 2021-11-23 重庆茂田机械有限公司 一种前臂后轴直出动力农用整治平台
CN114396036A (zh) * 2021-10-29 2022-04-26 嵊泗风景旅游投资有限公司 一种减少沙滩泥化的生态带构建装置及防泥化方法
CN116020862A (zh) * 2023-03-11 2023-04-28 山东省土壤污染防治中心 一种土壤重金属防治修复装置
CN116267051A (zh) * 2023-05-17 2023-06-23 大同市恒山林场(大同市恒山自然保护区管理中心) 一种应用于林业林木种植的松土机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086B1 (ko) 2009-03-26 2009-11-23 신강하이텍(주) 파쇄날 및 혼합날이 구비된 오염토양 경작장치
KR200465734Y1 (ko) 2012-09-28 2013-03-08 (주)동명엔터프라이즈 로터리기구를 가진 오염토양 정화용 경작장치
CN104041211A (zh) 2014-06-04 2014-09-17 南京沃杨机械科技有限公司 中央传动中间立铣式双轴分层切削旋耕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086B1 (ko) 2009-03-26 2009-11-23 신강하이텍(주) 파쇄날 및 혼합날이 구비된 오염토양 경작장치
KR200465734Y1 (ko) 2012-09-28 2013-03-08 (주)동명엔터프라이즈 로터리기구를 가진 오염토양 정화용 경작장치
CN104041211A (zh) 2014-06-04 2014-09-17 南京沃杨机械科技有限公司 中央传动中间立铣式双轴分层切削旋耕机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622B1 (ko) * 2020-05-06 2020-11-30 (주)한국환경복원기술 토양 정화용 경작장치
KR102184628B1 (ko) * 2020-05-06 2020-11-30 (주)한국환경복원기술 토양정화 경작장치
CN111903251A (zh) * 2020-08-10 2020-11-10 华中农业大学 易调式多旋向通用型旋耕机
CN111903251B (zh) * 2020-08-10 2022-02-11 华中农业大学 易调式多旋向通用型旋耕机
CN113678584A (zh) * 2021-06-01 2021-11-23 重庆茂田机械有限公司 一种前臂后轴直出动力农用整治平台
CN114396036A (zh) * 2021-10-29 2022-04-26 嵊泗风景旅游投资有限公司 一种减少沙滩泥化的生态带构建装置及防泥化方法
CN114396036B (zh) * 2021-10-29 2023-10-03 嵊泗风景旅游投资有限公司 一种减少沙滩泥化的生态带构建装置及防泥化方法
CN116020862A (zh) * 2023-03-11 2023-04-28 山东省土壤污染防治中心 一种土壤重金属防治修复装置
CN116267051A (zh) * 2023-05-17 2023-06-23 大同市恒山林场(大同市恒山自然保护区管理中心) 一种应用于林业林木种植的松土机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276B1 (ko) 백호우용 오염토양 경작장치
KR101042932B1 (ko) 지중분사관을 구비한 백호우 부착용 오염토양 경작장치
US6779948B2 (en) Apparatus for high-volume in situ soil remediation
KR101199564B1 (ko) 오염토양 경작장치
KR100952996B1 (ko) 지중분사장치가 구비된 오염토양 경작장치
CN212041993U (zh) 一种土壤修复装置
CN110939168A (zh) 一种农业机械用沟渠开挖装置
KR100928085B1 (ko) 파쇄추가 구비된 오염토양 경작장치
CN209806375U (zh) 一种土壤处理用改良剂埋入及混合的一体结构
EP1227189A2 (en) Underdrain excavation apparatus
KR100928086B1 (ko) 파쇄날 및 혼합날이 구비된 오염토양 경작장치
CN213103764U (zh) 一种用于土壤污染治理的土壤修复剂喷洒装置
CN214639080U (zh) 一种用于园林土壤的生态修复装置
CN214282040U (zh) 一种多功能翻土施肥装置
CN210146650U (zh) 一种土壤污染治理设备
CN210725926U (zh) 一种农业改良土壤的农业设备
KR101031352B1 (ko) 백호우 굴착기용 오염토양 경작장치
CN113243151A (zh) 一种市政园林绿化土壤高效环保修复处理装置
US10820463B1 (en) Earth cut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JP3974936B2 (ja) 土壌掘削工具、土壌掘削工具を備えた建設機械、地盤改良工法及び土壌浄化工法
CN220591101U (zh) 一种园林土壤物理修复装置
KR100976166B1 (ko) 분사관이 부착된 백호우 굴착기용 오염토양 경작장치
CN210647727U (zh) 微生物土壤修复装置
CN215529826U (zh) 一种园林用松土装置
CN212792397U (zh) 一种河道旁土壤修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