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524B1 - 고강성 조립식 구조와 우수 유입 방지 구조 및 방열 냉각 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고강성 조립식 구조와 우수 유입 방지 구조 및 방열 냉각 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524B1
KR101905524B1 KR1020180043762A KR20180043762A KR101905524B1 KR 101905524 B1 KR101905524 B1 KR 101905524B1 KR 1020180043762 A KR1020180043762 A KR 1020180043762A KR 20180043762 A KR20180043762 A KR 20180043762A KR 101905524 B1 KR101905524 B1 KR 101905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ame
pin
tub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산전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산전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산전력
Priority to KR1020180043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02B1/565Cooling; Ventilation for cabi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3Profiles for cabinet fram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강성 조립식 구조와 우수 유입 방지 구조 및 방열 냉각 구조를 갖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조립식 구조를 통해 수배전반을 제작함에 있어서, 분리된 바닥틀과 상부골조의 지주다리에는 각각 하부핀과 상부핀이 형성되어 맞춤식 끼움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상하부핀의 조립시에는 호형 밴드식 탄성 가압 구조의 판스프링에 의해 연결부 간 고정력이 배가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판스프링의 벌어진 양단부가 대응되는 삽입공(또는 절개홈)에 끼워진 후 진입방향 정면에 위치한 한 개의 볼트 조임만으로 하부핀과 상부핀을 강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조립성과 체결성 및 결속성이 크게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옥외 설치시 풀림 방지 및 우수 유입 방지용 가이드 패드가 부가되어 함체 외주면에 부착 결합된 도어패널과 측판 패널 및 루프 패널 사이로 빗물이나 동절기 눈 녹은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사용 안전성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루프 패널의 상면에 에어 분산체와 필터모듈 및 배기팬으로 이루어진 냉각유닛이 장착되도록 형성되어 제어판넬 또는 수배전용 변압설비로부터 발생된 과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함은 물론 열기 방출시 발생된 먼지나 오염 비산물의 여과필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설비의 안정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강성 조립식 구조와 우수 유입 방지 구조 및 방열 냉각 구조를 갖는 수배전반{A incoming paneland switchboard with prefabricated frame}
본 발명은 조립식 구조를 통해 수배전반을 제작함에 있어서, 분리된 바닥틀과 상부골조의 지주다리에는 각각 하부핀과 상부핀이 형성되어 맞춤식 끼움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상하부핀의 조립시에는 호형 밴드식 탄성 가압 구조의 판스프링에 의해 연결부 간 고정력이 배가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판스프링의 벌어진 양단부가 대응되는 삽입공(또는 절개홈)에 끼워진 후 진입방향 정면에 위치한 한 개의 볼트 조임만으로 하부핀과 상부핀을 강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조립성과 체결성 및 결속성이 크게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 조립식 구조와 우수 유입 방지 구조 및 방열 냉각 구조를 갖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옥외 설치시 풀림 방지 및 우수 유입 방지용 가이드 패드가 부가되어 함체 외주면에 부착 결합된 도어패널과 측판 패널 및 루프 패널 사이로 빗물이나 동절기 눈 녹은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사용 안전성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루프 패널의 상면에 에어 분산체와 필터모듈 및 배기팬으로 이루어진 냉각유닛이 장착되도록 형성되어 제어판넬 또는 수배전용 변압설비로부터 발생된 과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함은 물론 열기 방출시 발생된 먼지나 오염 비산물의 여과필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설비의 안정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고압의 전원을 일반적인 상용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수배전반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캐비넷 형태로 구성되어, 그 내부에 고압트랜스나 퓨즈, 부스바 등을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최근에는 이러한 수배전반을 조립식으로 제작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조립식 수배전반은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고정되는 패널부재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은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바부재(1)와, 상기 바부재(1)의 연결부에 결합되는 모서리부재(2)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부재(1)는 양단에 결합공(1a)이 형성된 바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모퉁이부재(2)에는 상기 바부재(1)의 결합공(1a)에 끼움결합되는 2개 또는 3개의 돌출부(2a)가 상호 90°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모서리부재(2)와 바부재(1)를 이용하여 직육면체 형태의 프레임을 조립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프레임에 선반이나 기타 부재를 결합함으로서, 수배전반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식 수배전반의 구조는 등록특허 10-1617876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식 수배전반은 모서리부재(2)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강도가 약한 문제점과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수배전반의 뒤틀림에 따른 바부재(1)의 결합공(1a)부분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상기 모서리부재(2)의 돌출부(2a)는 단순히 바부재(1)의 단부에 단순히 끼움결합됨으로, 상기 바부재(1)가 모퉁이부재(2)의 결합강도가 약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결부분의 결합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보조적으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용접작업을 수행할 경우 조립후의 후가공(도장작업 등)이 어렵고 제작시간 증가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용접에 의한 조립방법은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1. 특허등록 제10-1617876호(2016.04.27.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조립식 구조를 통해 수배전반을 제작함에 있어서, 분리된 바닥틀과 상부골조의 지주다리에는 각각 하부핀과 상부핀이 형성되어 맞춤식 끼움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상하부핀의 조립시에는 호형 밴드식 탄성 가압 구조의 판스프링에 의해 연결부 간 고정력이 배가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판스프링의 벌어진 양단부가 대응되는 삽입공(또는 절개홈)에 끼워진 후 진입방향 정면에 위치한 한 개의 볼트 조임만으로 하부핀과 상부핀을 강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조립성과 체결성 및 결속성이 크게 확보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상,하부핀의 연결부 간 조립공차로 인해 양분된 빈 공간을 판스프링의 양단부가 쐐기식으로 끼워져(채워져) 중앙 볼트 조임 힘(앞에서 미는 힘)과 조립된 지주 간 서로 맞닿는 뒷쪽 면(후면 밀착) 고정 그리고 정면 볼트 조임 방향에 대한 좌,우 직교 방향(정,배,좌,우 - 4면)에 이르는 4방향 전부에서 고정력이 확보되어 연결부 간 흔들림이 전혀 없이 체결력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하부핀에 대하여 장착되는 상부핀은 하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드 면이 회전유도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기만(또는 치우치거나 걸리기만) 해도 정위치를 찾아 자동 선회하면서 세팅 포인트를 정확히 맞춰 돌아가도록 하는 바, 이는 종전 대비 사용시 탁월한 유지 관리성과 설치 작업성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옥외 설치시 풀림 방지 및 우수 유입 방지용 가이드 패드가 부가되어 함체 외주면에 부착 결합된 도어패널과 측판 패널 및 루프 패널 사이로 빗물이나 동절기 눈 녹은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사용 안전성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루프 패널의 상면에 에어 분산체와 필터모듈 및 배기팬으로 이루어진 냉각유닛이 장착되도록 형성되어 제어판넬 또는 수배전용 변압설비로부터 발생된 과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함은 물론 열기 방출시 발생된 먼지나 오염 비산물의 여과필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설비의 안정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각 프레임 형태의 바닥틀(10)을 기준으로 조립되는 상부골조(20)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틀(10)에 상부골조(20)의 지주다리(21)가 조립되면 사각 프레임 형태의 상측틀(22)이 결합된 뒤 박스 형태를 이루면서 정면 도어패널(30)과 측판 패널(40) 및 루프 패널(50)이 부착 결합되어 일체의 수배전반 함체(1)를 이루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바닥틀(10)의 상면에는 하부핀(100)이 형성되고, 상부골조의 지주다리(21) 하단부에는 상부핀(200)이 형성되어 서로 대응되면서 조립되도록 하되, 상기 하부핀(100)은 끼움관(110)의 내부에 조립관(120)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관(120)은 내부 일측에 일방향으로 편심 이동 설치된 걸림턱(130)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관(120)의 내주연에는 회전유도체(14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회전유도체(140)는 걸림턱(130)의 편심측 방향이면서 걸림턱(130)의 길이방향 정중앙 직교방향으로 위치됨은 물론 걸림턱(130)보다 설정 간격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립관(120)은 끼움관(110)으로부터 돌출된 상측 외주면에 덮개(121)를 갖는 삽입공(122)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삽입공(122)은 회전유도체(140)와 대향되는 반대측에 위치되면서 회전유도체(14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조립관(120)의 내측에 하부핀의 중공관(210)이 삽입되면 상기 삽입공(122)을 통해 호형 밴드식 판스프링(400)의 양단부가 수납되면서 조립관과 중공관 간의 내외경 조립공차 사이로 판스프링(400)의 양단부가 끼워져 조임식 채움을 수행하도록 하되, 상기 판스프링(400)은 면상 중앙에 관통공(410)이 형성되어 조립관(120)에 형성된 고정너트(123)를 기준으로 가압볼트(420)가 나사 체결되면 조임 여부에 따라 중공관(210)을 유동 없이 고정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핀(200)은 중공관(210)의 길이방향 하단부에 기준점(P)으로부터 장착점(P4)까지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면서 동시에 원호형 만곡면이 구비된 슬라이드 면(211)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기준점(P)과 장착점(P3) 중 중공관(210)의 측면 일측에는 직선구간(212)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면(211)과 대향되는 반대측에는 회전유도체(140)와 대응되도록 걸림홈(213)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213)은 슬라이드 면(211)의 장착점(P4)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면서 절개된 경사면에 의해 삼각골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바닥틀(10)과 상부골조(20)의 외주면에 대하여 조립되는 정면 도어패널(30)과 측판 패널(40) 및 루프 패널(50)은 체결볼트(B)와 체결너트(N)에 의해 볼팅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바닥틀(10), 상부골조(20)를 기준으로 부착되는 정면 도어패널(30), 측판 패널(40), 루프 패널(50) 사이에는 빗물 유입 차단용 배수로(310)와 풀림방지 탄성 확보용 절개홈(320)을 갖는 가이드 패드(300)가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수배전반 함체(1)의 실내측에서부터 관통되는 체결볼트 헤드(H)와 바닥틀(10) 및 상부골조(20)의 접촉면 사이에는 풀림방지 전용 완충패드(500)를 갖는 와셔(600)가 삽입되어 체결너트(N)와의 조임시 견고한 체결 결속력이 부여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루프 패널(50)은 면상에 상하부가 관통된 개구공(51)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공(51)의 상측에는 인출함(52)이 형성되어 가림막(740)을 갖는 냉각유닛(700)이 장착되도록 하되, 상기 냉각유닛(700)은 에어 분산체(710)와 필터모듈(720) 및 배기팬(730)으로 구성되어 제어판넬 또는 수배전용 변압설비로부터 발생된 과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함은 물론 열기 방출시 발생된 먼지나 오염 비산물의 여과필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분리된 바닥틀과 상부골조의 지주다리에는 각각 하부핀과 상부핀이 형성되어 호형 밴드식 탄성 가압 구조의 판스프링에 의해 연결부 간 고정력이 배가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판스프링의 벌어진 양단부가 대응되는 삽입공(또는 절개홈)에 끼워진 후 진입방향 정면에 위치한 한 개의 볼트 조임만으로 하부핀과 상부핀을 강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 조립성과 체결성 및 결속성이 크게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옥외 설치시 풀림 방지 및 우수 유입 방지용 가이드 패드가 부가되어 함체 외주면에 부착 결합된 도어패널과 측판 패널 및 루프 패널 사이로 빗물이나 동절기 눈 녹은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사용 안전성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루프 패널의 상면에 에어 분산체와 필터모듈 및 배기팬으로 이루어진 냉각유닛이 장착되도록 형성되어 제어판넬 또는 수배전용 변압설비로부터 발생된 과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함은 물론 열기 방출시 발생된 먼지나 오염 비산물의 여과필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설비의 안정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수배전반의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핀이 판스프링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빗물 유입 차단용 배수로와 풀림방지 탄성 확보용 절개홈을 갖는 가이드 패드 및 풀림방지 전용 완충패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수배전반에 냉각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3 내지 도 14는 종래의 조립식 구조를 갖는 수배전반의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체의 수배전반 함체(1)를 이루도록 함에 있어서, 사각 프레임 형태의 바닥틀(10)을 기준으로 조립되는 상부골조(20)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틀(10)에 상부골조(20)의 지주다리(21)가 조립되면 사각 프레임 형태의 상측틀(22)이 결합된 뒤 박스 형태를 이루면서 정면 도어패널(30)과 측판 패널(40) 및 루프 패널(50)이 부착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바닥틀(10)의 상면에는 하부핀(100)이 형성되고, 상부골조의 지주다리(21) 하단부에는 상부핀(200)이 형성되어 서로 대응되면서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핀(100)은 끼움관(110)의 내부에 조립관(120)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관(120)은 내부 일측에 일방향으로 편심 이동 설치된 걸림턱(130)이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끼움관의 외관은 지주다리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끼움관의 외주면 일측에는 후술되는 판스프링이 조립관을 향해 진입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구홈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조립관(120)의 내주연에는 회전유도체(14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회전유도체(140)는 걸림턱(130)의 편심측 방향이면서 걸림턱(130)의 길이방향 정중앙 직교방향으로 위치됨은 물론 걸림턱(130)보다 설정 간격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립관(120)은 끼움관(110)으로부터 돌출된 상측 외주면에 덮개(121)를 갖는 삽입공(122)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삽입공(122)은 회전유도체(140)와 대향되는 반대측에 위치되면서 회전유도체(14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조립관(120)의 내측에 하부핀의 중공관(210)이 삽입되면 상기 삽입공(122)을 통해 호형 밴드식 판스프링(400)의 양단부가 수납되면서 조립관과 중공관 간의 내외경 조립공차 사이로 판스프링(400)의 양단부가 끼워져 조임식 채움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400)은 면상 중앙에 관통공(410)이 형성되어 조립관(120)에 형성된 고정너트(123)를 기준으로 가압볼트(420)가 나사 체결되면 조임 여부에 따라 중공관(210)을 유동 없이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핀(200)은 중공관(210)의 길이방향 하단부에 기준점(P)으로부터 장착점(P4)까지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면서 동시에 원호형 만곡면이 구비된 슬라이드 면(211)이 형성된다.
참고로, 슬라이드 면(211) 중 기준점(P)이 회전유도체에 정확하게 닿으면 상부핀가 돌아가지 않지만, 회전유도체를 기준으로 슬라이드 면이 아주 적은 각도만으로라도 옆으로 움직이면 P1 P2 → P3 지점을 따라 선회하면서 자중에 의해 신속한 회전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기준점(P)과 장착점(P3) 중 중공관(210)의 측면 일측에는 직선구간(212)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면(211)과 대향되는 반대측에는 회전유도체(140)와 대응되도록 걸림홈(2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홈(213)은 슬라이드 면(211)의 장착점(P4)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면서 절개된 경사면에 의해 삼각골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하부핀과 상부핀을 기준으로 설명함)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호형 밴드식 판스프링은 일종의 판스프링 형태로서 알파벳 'C'자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판스프링은 상부핀의 외경보다 조금 작은 직경으로 제작되고 상,하부핀의 조립이 완료(회전유도체를 통해 상부핀이 선회하면서 하부핀의 걸림턱에 상부핀의 슬라이드 면이 끼워지고 하부핀의 회전유도체에는 상부핀의 걸림홈이 걸리도록 함)되면 상부핀의 자중으로 직선을 이루며 고정되더라도 조립 공차로 인한 충격이나 기타 흔들림 발생시 이를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은 벌어진 양단부가 조립관의 삽입공으로 대응되면서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절개된 외측에는 일종의 가이드 또는 이탈방지 판넬 형태의 덮개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복수의 삽입공 사이인 조립관의 면상에는 고정너트가 용접되어 있는 것으로, 이는 판스프링의 관통공을 경유한 가압볼트가 나사 체결되면서 판스프링를 조립관 내측으로 전진시키도록 형성된다.
즉, 덮개를 경유하면서 삽입공으로 진입한 판스프링의 양단부는 판스프링 형태의 탄성에 의해 오무려지려고 하는 상태로서, 고정너트를 기준으로 가압볼트가 조임되면 내부에 삽입된 상부핀의 중공관을 조이면서 고정시키도록 형성된다.(판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 탄성으로 인하여 조립, 설치 이후 옥외 설치시 진동에도 조임 볼트가 풀어지지 않음)
이에, 상기 삽입공(122)은 회전유도체(140)와 대향되는 반대측에 위치되면서 회전유도체(14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공(122)에는 호형 밴드식 판스프링(400)의 양단부가 수납되면서 하부핀의 중공관(210)이 조립관(120)의 내측에 삽입되면 중공관(21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탄성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판스프링(400)은 면상 중앙에 관통공(410)이 형성되어 조립관(120)에 형성된 고정너트(123)를 기준으로 가압볼트(420)가 나사 체결되면 조임 여부에 따라 중공관(210)을 유동 없이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이러한 상,하부핀운 조립시 3~4m/m의 조립 공차가 있어야 하는데 중공관(210)이 조립관(120)에 대하여 끼워질 때 수직방향 하부에서는 중공관의 슬라이드 면이 조립관의 걸림턱에 걸리면서 양쪽 지지 고정을 보장받게 된다.
이에, 조립관 일면으로 자중에 의해 끼이듯이 밀착 고정되는 중공관은 양쪽 지지부와 함께 3점 지지되도록 형성되며, 중공관(210)이 조립관(120)에 대하여 끼워질 때 수직방향 상부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공차로 인해 중공관이 조립관의 일면을 향해 밀리면서 이격된 공차 간격에 대하여 빈 부분이 확실한 고정력을 갖도록 판스프링이 결합되어 확실한 고정력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에, 회전유도체와 걸림홈은 부가적으로 상부핀이 하부핀을 기준으로 회전 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조립 구조는 정확한 방향성과 확실한 직선도를 이룰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이후 조립 공차에 의한 여러 방향의 흔들림을 완벽히 없애기 위하여 판스프링과 조임볼트 1개를 이용하여 최종 마무리가 됨)
정리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210)이 너트, 볼트 조임 방향과 반대로 되어야 하고, 판스프링(400)은 양쪽 귀(덮개:121)에 해당하는 중심선 양끝 정도에 끼이면서 고정되어 중심선을 기준으로 ①~④ 지점이 볼트(420) 한 개를 조이는 작업만으로 직각으로 4군데가 동시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조립관(120)과 중공관(210)은 ①번 지점에서 밀착고정되고, ②,④은 판스프링이 끼이면서 고정되며, ③지점은 볼트가 눌러서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부연하건데,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핀과 조립관의 고정 방식은 상부핀의 자중에 의해 원형 걸림턱이 있는 부분에서 P점을 향하여 상부핀이 밀착되고 원형 걸림턱에 의하여 P, Po, Po' 지점이 삼각형을 이루며 지지된다.
즉, 판스프링이 있는 부분에서는 볼트가 P1, 지점에서 P 지점으로 조여지면서 앞,뒤가 고정되고, 조립공차(3~4m/m)가 양분된 a와 a' 지점의 공간은 볼트가 판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그 빈 공간에 끼워지면서 채워지도록 하여 상부, 하부핀 연결시 A점과 B점 2군데를 흔들림 없이 잡아줌으로서 설치 이후 진동이나 바람에도 풀림이나 느슨함이 일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에, 본 발명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틀(10)과 상부골조(20)의 외주면에 대하여 조립되는 정면 도어패널(30)과 측판 패널(40) 및 루프 패널(50)은 체결볼트(B)와 체결너트(N)에 의해 볼팅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닥틀(10), 상부골조(20)를 기준으로 부착되는 정면 도어패널(30), 측판 패널(40), 루프 패널(50) 사이에는 빗물 유입 차단용 배수로(310)와 풀림방지 탄성 확보용 절개홈(320)을 갖는 가이드 패드(30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수배전반 함체(1)의 실내측에서부터 관통되는 체결볼트 헤드(H)와 바닥틀(10) 및 상부골조(20)의 접촉면 사이에는 풀림방지 전용 완충패드(500)를 갖는 와셔(600)가 삽입되어 체결너트(N)와의 조임시 견고한 체결 결속력이 부여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프 패널(50)은 면상에 상하부가 관통된 개구공(51)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공(51)의 상측에는 인출함(52)이 형성되어 가림막(740)을 갖는 냉각유닛(700)이 장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가림막은 빗물이나 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냉각유닛(700)은 에어 분산체(710)와 필터모듈(720) 및 배기팬(730)으로 구성되어 제어판넬 또는 수배전용 변압설비로부터 발생된 과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함은 물론 열기 방출시 발생된 먼지나 오염 비산물의 여과필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냉각유닛(700)의 에어 분산체(710)와 필터모듈(720)은 인출함(52)으로부터 탈장착되도록 형성되고, 배기팬(730)은 인출함의 외측단에 형성되면서 필터모듈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 분산체(710)는 다수개의 블레이드(711)가 공기 통로(712)를 만들면서 방사형 구조체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에어 분산체(710)는 수배전반 함체로부터 상향 이송된 발열 기류가 선회하면서 상측에 위치한 필터 유니트의 필터(프리 필터와 미디엄 필터)를 향해 어느 일부분으로 집중하지 않고 분산되도록 하는 바, 이는 선풍기 형태(프로펠러)와 같은 형태로 발열 기류가 선회(스월식 배기)하면서 배출되어 필터들에 대한 고른 분포 여과를 도모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에어 분산체(710)는 고정틀(715)의 개구부(715-1)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틀(715)은 개구부(715-1)로부터 연장된 일측에 수납홈(715-2)이 형성되고, 타측에 끼움턱(715-3)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수납홈(715-2)에는 필터모듈(720)이 탈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끼움턱(715-3)은 인출함(52)에 수납되면서 탈부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필터모듈(720)은 공기 이송 방향을 따라 아래에서 위로 프리 필터(721), 미디엄 필터(722)가 적층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프리 필터(721), 미디엄 필터(722) 사이에는 간격 조절 스크린(723)이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간격 조절 스크린은 일종의 칸막이로서 사각 테두리를 연결하는 띠 형태로 형성되고, 이는 결국 두께가 다양한 필터들을 필터 케이싱 내에 삽입시 필터들 간 이격된 틈이 발생되면 이를 메우면서 벌어진 틈이 유격 상태로 놓여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간격 조절 스크린에 의해 유지되는 필터 간 틈이나 유격(또는 간격)에서는 이송되는 기류의 체류시간 확보나 지연 구간을 형성하여 여과 효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리 필터(721), 간격 조절 스크린(723), 미디엄 필터(722)는 폭방향 양단이 개구된 필터 케이싱(724)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필터 케이싱(724)의 개구된 폭방향 양단부에는 스크린망(725)이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고정틀(715)의 수납홈(715-2)을 기준으로 필터모듈(720)이 일체의 단품으로서 탈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리 필터(721)는 기류 이송방향 중 하부 외주면에 지지형 틀체(726)가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형 틀체를 갖는 프리 필터는 필터 케이싱(724)은 하부 외주연에 형성된 꺽임부(727)에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형 틀체와 꺽임부 사이에는 기밀용 패드(728: Rubber)가 삽입되어 프리 필터의 외주면과 필터 케이싱(724)의 내주면 사이로 이송 기류의 누설이 차단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프리 필터는 부직포와 같은 형태로서 재질의 특성상 힘을 받기 어려운 바 이러한 물성은 필터 케이싱에 삽입시 처지거나 힘없이 주저 않게 되어 필터 케이싱 내주연 사이로 누기가 발생된다.
이를 차단하고자 단단한 고정체로서 하드 보드지와 같은 지지형 틀체를 결합하되, 상기 지지형 틀체는 꺽임부 위에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꺽임부와 지지형 틀체 사이에는 기밀용 패드가 더 삽입되어 스크린망으로 고정 조립시 프리 필터가 하향 주저 않거나 무너지지 않으면서 원활한 여과를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바닥틀 20 ... 상부골조
21 ... 지주다리 22 ... 상측틀
30 ... 정면 도어패널 40 ... 측판 패널
50 ... 루프 패널
100 ... 하부핀 110 ... 끼움관
120 ... 조립관 121 ... 덮개
122 ... 삽입공 123 ... 고정너트
130 ... 걸림턱 140 ... 회전유도체
200 ... 상부핀 210 ... 중공관
211 ... 슬라이드 면 212 ... 직선구간
213 ... 걸림홈 220 ... 결합관
300 ... 가이드 패드 310 ... 배수로
320 ... 절개홈 400 ... 판스프링
410 ... 관통공 420 ... 가압볼트
500 ... 완충패드 600 ... 와셔
700 ... 냉각유닛 710 ... 에어 분산체
720 ... 필터모듈 730 ... 배기팬
740 ... 가림막

Claims (3)

  1. 사각 프레임 형태의 바닥틀(10)을 기준으로 조립되는 상부골조(20)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틀(10)에 상부골조(20)의 지주다리(21)가 조립되면 사각 프레임 형태의 상측틀(22)이 결합된 뒤 박스 형태를 이루면서 정면 도어패널(30)과 측판 패널(40) 및 루프 패널(50)이 부착 결합되어 일체의 수배전반 함체(1)를 이루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바닥틀(10)의 상면에는 하부핀(100)이 형성되고, 상부골조의 지주다리(21) 하단부에는 상부핀(200)이 형성되어 서로 대응되면서 조립되도록 하되, 상기 하부핀(100)은 끼움관(110)의 내부에 조립관(120)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관(120)은 내부 일측에 일방향으로 편심 이동 설치된 걸림턱(130)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관(120)의 내주연에는 회전유도체(14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회전유도체(140)는 걸림턱(130)의 편심측 방향이면서 걸림턱(130)의 길이방향 정중앙 직교방향으로 위치됨은 물론 걸림턱(130)보다 설정 간격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립관(120)은 끼움관(110)으로부터 돌출된 상측 외주면에 덮개(121)를 갖는 삽입공(122)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삽입공(122)은 회전유도체(140)와 대향되는 반대측에 위치되면서 회전유도체(14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조립관(120)의 내측에 하부핀의 중공관(210)이 삽입되면 상기 삽입공(122)을 통해 호형 밴드식 판스프링(400)의 양단부가 수납되면서 조립관과 중공관 간의 내외경 조립공차 사이로 판스프링(400)의 양단부가 끼워져 조임식 채움을 수행하도록 하되, 상기 판스프링(400)은 면상 중앙에 관통공(410)이 형성되어 조립관(120)에 형성된 고정너트(123)를 기준으로 가압볼트(420)가 나사 체결되면 조임 여부에 따라 중공관(210)을 유동 없이 고정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핀(200)은 중공관(210)의 길이방향 하단부에 기준점(P)으로부터 장착점(P4)까지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면서 동시에 원호형 만곡면이 구비된 슬라이드 면(211)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기준점(P)과 장착점(P3) 중 중공관(210)의 측면 일측에는 직선구간(212)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면(211)과 대향되는 반대측에는 회전유도체(140)와 대응되도록 걸림홈(213)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213)은 슬라이드 면(211)의 장착점(P4)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면서 절개된 경사면에 의해 삼각골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바닥틀(10)과 상부골조(20)의 외주면에 대하여 조립되는 정면 도어패널(30)과 측판 패널(40) 및 루프 패널(50)은 체결볼트(B)와 체결너트(N)에 의해 볼팅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바닥틀(10), 상부골조(20)를 기준으로 부착되는 정면 도어패널(30), 측판 패널(40), 루프 패널(50) 사이에는 빗물 유입 차단용 배수로(310)와 풀림방지 탄성 확보용 절개홈(320)을 갖는 가이드 패드(300)가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수배전반 함체(1)의 실내측에서부터 관통되는 체결볼트 헤드(H)와 바닥틀(10) 및 상부골조(20)의 접촉면 사이에는 풀림방지 전용 완충패드(500)를 갖는 와셔(600)가 삽입되어 체결너트(N)와의 조임시 견고한 체결 결속력이 부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 조립식 구조와 우수 유입 방지 구조 및 방열 냉각 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2. 삭제
  3. 삭제
KR1020180043762A 2018-04-16 2018-04-16 고강성 조립식 구조와 우수 유입 방지 구조 및 방열 냉각 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KR101905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762A KR101905524B1 (ko) 2018-04-16 2018-04-16 고강성 조립식 구조와 우수 유입 방지 구조 및 방열 냉각 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762A KR101905524B1 (ko) 2018-04-16 2018-04-16 고강성 조립식 구조와 우수 유입 방지 구조 및 방열 냉각 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524B1 true KR101905524B1 (ko) 2018-10-08

Family

ID=63864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762A KR101905524B1 (ko) 2018-04-16 2018-04-16 고강성 조립식 구조와 우수 유입 방지 구조 및 방열 냉각 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5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904B1 (ko) * 2019-11-06 2020-05-27 주식회사 태정이엔지 삼단 회전형 cctv 지주
CN112271612A (zh) * 2020-10-13 2021-01-26 内蒙古拓诚传动技术有限公司 一种导风装置及集装箱式供电装置
CN115800052A (zh) * 2023-01-04 2023-03-14 黄陆军 一种防尘散热配电箱及其运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8515A (ja) * 1996-11-19 2000-07-04 リッタル―ヴェルク ルードルフ ロ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鉛直方向フレーム形材のための角隅継手を備えたフレーム架構用の装具
KR101155300B1 (ko) * 2011-09-14 2012-06-12 대진전기 (주) 부스바 냉각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KR101667391B1 (ko) 2016-02-24 2016-10-19 박옥연 내환경 구조 및 원가절감형 구조를 갖는 수, 배, 분전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8515A (ja) * 1996-11-19 2000-07-04 リッタル―ヴェルク ルードルフ ロ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鉛直方向フレーム形材のための角隅継手を備えたフレーム架構用の装具
KR101155300B1 (ko) * 2011-09-14 2012-06-12 대진전기 (주) 부스바 냉각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KR101667391B1 (ko) 2016-02-24 2016-10-19 박옥연 내환경 구조 및 원가절감형 구조를 갖는 수, 배, 분전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904B1 (ko) * 2019-11-06 2020-05-27 주식회사 태정이엔지 삼단 회전형 cctv 지주
CN112271612A (zh) * 2020-10-13 2021-01-26 内蒙古拓诚传动技术有限公司 一种导风装置及集装箱式供电装置
CN115800052A (zh) * 2023-01-04 2023-03-14 黄陆军 一种防尘散热配电箱及其运作方法
CN115800052B (zh) * 2023-01-04 2023-11-21 天津市津开电力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防尘散热配电箱及其运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524B1 (ko) 고강성 조립식 구조와 우수 유입 방지 구조 및 방열 냉각 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DE19515121C2 (de) Gehäuseaufbau für im Freien aufstellbare, elektrische und/oder elektronische Geräte
JP2013512355A (ja) 三次元伸縮調節可能な設備取付具
EP2038976A1 (de) Anschlussdose
CA2454416A1 (en) A system for removably and adjustably mounting a device on a surface
US9469983B2 (en) Beam cap system
US6782668B2 (en) Roof-screen system
KR101565959B1 (ko) 피브이 모듈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시공방법
US11665838B2 (en) Outer box and outdoor equipment with the same
DE102010016150A1 (de) Energieversorgungssystem
CN113038791B (zh) 一种室外用能源路由器
CN212085447U (zh) 一种用于电气设备的防潮装置
US20120090666A1 (en) Supports and system for solar panel
CN221042013U (zh) 一种拼接式环网柜
JPS5942528B2 (ja) 閉鎖母線
CN216774040U (zh) 新型室外用高低压配电柜
CN219569714U (zh) 一种可快速搭建的应急生物隔离装置
CN210658702U (zh) 一种低能耗的装配式被动房屋
KR200423109Y1 (ko) 옥외용 무선장비 보호장치
KR20200001792U (ko) 에어컨 실외기용 차양장치
CN216817739U (zh) 一种led显示屏模组防水板及户外拼接支架
KR20200093155A (ko) 투시창 구비형 실외기-갤러리창 연결조립체
CN209434001U (zh) 一种干式变压器的冷却装置
CN220341846U (zh) 一种用于配电柜的散热支架及配电柜
CN216794295U (zh) 一种户外组合式配电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