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722B1 - 옻 염색 조성물 및 옻 염색 벽지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옻 염색 조성물 및 옻 염색 벽지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722B1
KR101903722B1 KR1020180017110A KR20180017110A KR101903722B1 KR 101903722 B1 KR101903722 B1 KR 101903722B1 KR 1020180017110 A KR1020180017110 A KR 1020180017110A KR 20180017110 A KR20180017110 A KR 20180017110A KR 101903722 B1 KR101903722 B1 KR 101903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lacquer
wallpaper
weight
he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아
Original Assignee
조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진아 filed Critical 조진아
Priority to KR1020180017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2Material of vegetable orig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1/00Dyes of natural origin prepared from natural sources, e.g. vegetable sourc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옻 원액 30 중량%, 물 65 중량%, 호료 0.2 중량%, 소금 0.1 중량%, 식초 0.2 중량%, 녹차 추출액 4.5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섬유 벽지용 옻 염색 조성물 및 옻 염색 조성물을 이용하는 옻 염색 벽지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옻 염색 조성물 및 옻 염색 벽지 제조 방법{LACQUER HEMP CLOTH WALLPAPER}
본 발명은 옻 염색 조성물 및 옻 염색 벽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벽지는 벽면을 보호하고 장식을 위해 바르는 종이로, 초배(初褙)를 한 후 그 위에 정배(正褙)를 하는데, 양지(洋紙)에 여러 가지 무늬를 인쇄한 것, 천에 인쇄한 것, 처음부터 벽에 바르기 위해 짠 벽포(壁布) ·염화비닐시트 등이 있다. 벽면에 초배(初褙)를 한 후 그 위에 정배(正褙)를 한다. 벽면은 흙벽바름 ·판자붙임 ·합판붙임 ·석고보드 붙임 등이 있다. 특히 시멘트나 점토를 발라 마감하는 흙벽바름은 흙손으로 표면을 평탄하게 다듬질하고 충분히 건조시켜야 한다. 초배지는 비교적 질기고 신축성 있는 한지(韓紙)가 적당하나, 비싸기 때문에 초배용 종이나 헌 신문지 등을 발라도 된다. 벽지는 모조지 등 양지(洋紙)에 여러 가지 무늬를 인쇄한 것, 천에 인쇄한 것, 또는 처음부터 벽에 바르기 위해 짠 벽포(壁布) ·염화비닐시트 등이 있다. 벽지는 다양한 무늬가 있는 것과 무지에 가까운 단순한 줄무늬만 있는 것 등 종류가 다양하며, 방수벽지라고 하여 물로 닦을 수도 있고 방습효과를 내는 것도 있다. 이러한 벽지는 벽포에 비하여 값이 싸고, 빛깔과 무늬가 다양하여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잘 마른다는 장점이 있으나, 흡음효과가 없고 더러움을 많이 타는 것이 단점이다. 벽포로는 갈포(葛布) ·마(麻) ·면(綿) ·화학섬유 등의 것이 있는데, 한국에서는 갈포벽지가 대부분이며, 갈포에 염색가공을 하여 다양한 것을 만들고 있으며, 직조방법을 달리하여 질감(質感)을 여러 가지로 나타내고 있다. 이 외에도 실크 터치의 얇은 벽지나 삼실로 짠 두꺼운 벽포도 있다. 벽지는 어느것이나 장식적인 것이기 때문에 조화되는 색이나 모양이 요구되며, 부엌이나 욕실 등에는 염화비닐시트나 방수벽지 등이 적합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벽지 [wallpaper, 壁紙] (두산백과))
예전에는 벽지가 단순히 벽면을 장식하는 용도로만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기본적인 장식의 목적 이외에 다른 기능을 부가하게 되었으며, 특히 유해한 실내환경으로부터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벽지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유해한 실내환경은 공기오염이 주원인이 되고 있고, 이러한 공기오염은 주택 건축시 사용되는 많은 화학약품과 약품처리된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더욱 심각해져서 천식과 간이 인체의 호흡기 등에 장애가 오기도 하고, 현기증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공기 중에는 질소나 산소, 탄산가스, 수소 등의 물질원소들이 서로 섞여서 각각 양이온과 음이온의 상태에서 떠돌고 있다. 폭포주변이나 분수 주위, 또는 시냇물 등의 장소에서 기분이 상쾌해지는 경험을 하는 것처럼 이러한 장소에서는 음이온이 많이 있기 때문에 느껴지는 것인데, 담배연기, 자동차 배기가스, 공장연기, 가정의 수많은 전자제품 등에서는 다량의 양이온이 발생하여 음이온의 양을 감소시키고 양이온이 많아지기 때문에 건강이 나빠지는 원인이 된다.
벽지는 실내를 넓은 면적으로 둘러싸고 있으므로, 상기 실내 공기오염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많은 기능성 벽지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기능성 벽지는 난연성이 적어 화재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난연재를 사용하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6-0007950호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0-0081727호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2-0060349호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12-000482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항균, 항습 작용과 아토피 및 새집 증후군 예방 등의 효과가 있는 벽지용 옻 염색 조성물 및 옻 염색 벽지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생옻 원액 30 중량%, 물 65 중량%, 호료 0.2 중량%, 소금 0.1 중량%, 식초 0.2 중량%, 녹차 추출액 4.5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천연섬유 벽지용 옻 염색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준비된 상기 원단을 정련하는 단계;
(c) 정련된 원단을 건조시키는 단계;
(d) 생옻 원액 30 중량%, 물 65 중량%, 호료 0.2 중량%, 소금 0.1 중량%, 식초 0.2 중량%, 녹차 추출액 4.5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옻 염색 조성물에 원단을 투입하는 1차 염색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염색된 원단을 1차 일광 건조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에서 건조된 원단을 상기 옻 염색 조성물에 투입하는 2차 염색 단계
(g) 상기 (f) 단계에서 2차 염색된 원단을 탈수하는 단계; 및
(h) 탈수 후 2차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옻 염색 벽지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h)단계 수행 후, 건조된 원단을 쟁가공하는 단계 및 쟁가공된 원단을 나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염 단계 수행 후 상기 원단과 종이를 결합하는 합지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단은 마섬유 또는 그 혼방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친환경 천연 소재를 사용하여 화재시 유해 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벽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첨부 시험 성적서와 같이 항균성 99.9%를 가지는 벽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알레르기나 아토피 환자에게 부작용이 없는 벽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새집증후군에 의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옻 염색 벽지는 항균 항습 작용을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옻 염색 벽지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옻 염색 벽지의 kotiti 시험 연구원의 항균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옻 염색 벽지는 천연 섬유 원단에 옻 염색 공정을 통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옻 염색 벽지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옻 염색 벽지의 제조 방법은 먼저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S11), S11 단계에서 준비된 상기 원단을 정련하는 단계(S12), 정련된 원단을 건조시키는 단계(S13), 옻 염색 조성물 제조 단계(S14), 상기 옻 염색 조성물에 원단을 투입하는 1차 염색 단계(S15), 염색된 원단을 1차 일광 건조하는 단계(S16), 건조 후 상기 옻 염색 조성물에 원단을 투입하는 2차 염색 단계(S17), S17 단계의 원단에서 염색 조성물을 탈수하는 단계(S18), 탈수 후 2차 건조하는 단계(S18), 건조된 원단을 쟁가공하는 단계(S19), 나염 단계(S20), 및 완성 단계(S21)를 포함한다.
S11 단계에서 원단으로는 마섬유 또는 그 혼방 직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섬유에는 모시, 삼베, 린넨, 황마를 포함할 수 있다. 마 혼방 직물은 마섬유와 면, 실크, 폴리, 또는 종이 중 하나 이상을 혼방한 직물이 될 수 있다.
삼베(대마, HEMP)는 삼이라 하여 처음부터 동양에서 쓰였던 가장 오래된 섬유이다. 삼베는 대마 식물에서 얻는 인피섬유이고, 자마와 웅마가 있다. 대마(大麻)는 1년생 식물로서 3~4월경에 파종하여 7~8월 경에 수확한다. 오래된 피복용 섬유로서 제직기술이 발달한 우리나라에서는 한복,여름 옷감으로 널리 쓰여 왔다. 대마는 삼이라고 부르며 옛날부터 동양에서 쓰였던 가장 오래된 섬유라고 할 수 있다. 자마는 섬유와 종자의 수확을 목적으로 재배하고 있고 키는 1.8~2.5M 정도 이다. 현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 삼척 등지에서 재배하고 있는데 이는 기후 조건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 종자는 강렬이라는 이름을 붙여 안동, 순창, 보성, 경동시장 약재 등에 널리 판매되고 있다. 자마 섬유는 삼베를 제직해서 강포로 판매되어 왔는데 지금은 거의 제직을 하지 않고 종자만 생산하고 있다. 웅마는 섬유를 채취하는 것이 목적이고 키는 1~2M 정도이나 식물은 저마(모시)와 달리 윤작을 할 수 있으며 파종후 3개월이 지나면 수확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전남 보성지방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고 다음이 안동, 순창 등이고 지역에 따라 재배하는 방법과 제직하는 방법이 다르다. 마(麻)직물이 옷감의 주원료로 쓰이던 때의 우리의 경우 대마 직물이 주종을 이루었던 관계로 삼베하면 대마(大麻)를 칭하고 있다. 현대에는 아마, 대마, 마의 구분없이 마직포로 통용되고 있다. 대마의 색상은 천연 염료로 색을 내는데 천연 염료의 색상에 따라서 색상의 차이가 난다. 한편, 원단으로 사용되는 모시는 저마포(紵麻布) 또는 저포(紵布)라고도 한다. 습기의 흡수와 발산이 빠르며 빛깔이 희어 여름철 옷감으로 애용된다. 모시풀은 습기가 많고 기후가 따뜻한 지방에서 성장하며, 한국·중국·일본·필리핀·인도·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모시는 순백색이고 비단 같은 광택이 나며 내수력(耐水力)과 내구력(耐久力)이 강하다. 수확한 모시풀로부터 섬유를 얻는 방법은 재래식의 경우 대칼[竹刀]로 잎을 제거하고 줄기를 다발로 묶어 5∼6시간 물에 담갔다가 줄기의 밑부분 30cm 정도를 꺾어 1개의 줄기에서 2장의 껍질을 벗겨 100장을 한 묶음으로 한 다음, 1장씩 빼서 모시 벗기는 틀에 놓고 모시 칼로 껍질을 걸어 당겨 섬유만을 벗긴다. 이렇게 얻은 모시섬유를 맑은 물에 씻어 햇볕에 2∼3일간 말린다. 우수한 품질의 모시를 얻으려면 수일 동안을 밤낮으로 바깥에서 표백하고 여러 번 되풀이하여 말린다. 섬유가 갈색으로 변하는 것을 막기 위여 껍질을 벗기기 전 더운 물에 담가 산화효소를 파괴시킬 수 있다. 기계법으로는, 줄기를 기계에 넣으면 회전면에 구리로 만든 치판(齒板)이 12매 붙어 있어서 그것이 줄기를 압쇄(壓碎)하고 섬유를 분해시키며, 빗질[櫛梳]의 작용을 한다. 기계의 전면(前面)에서는 섬유의 찌꺼기와 목편(木片)을 긁어내어 버린다. 또한 줄기에 항상 물을 보내주는 장치가 있어서 껍질에 붙은 젤라틴(gelatine) 같은 고무질을 제거하며 또한 직물 원료에 소다·염산·과망간산칼륨·비눗물 등을 여러 번 통과시켜 제거하기도 한다. 섬유는 순백색이고 비단 같은 광택이 나며 내수력(耐水力)과 내구력(耐久力)이 강하며, 곧고 곳곳에 마디가 있으며 단면은 타원형에 가깝고 아주 큰 중공(中空)이 있다. 여름철 옷감으로 많이 사용하며, 그 밖에 레이스·커튼·손수건·책상보 등에 사용되고 보통품질은 모기장·낚시줄·천막 등을 만든다.
S12 단계에서 S11 단계에서 준비된 원단을 50℃ 물에 넣어 정련하는 정련 단계를 수행한다. 그 다음 정련된 원단을 건조시킨다(S13).
그 다음 옻 염색 조성물 제조 단계(S14)를 수행한다. 옻 염색 조성물은 생옻 원액 30 중량%, 물 65 중량%, 호료 0.2 중량%, 소금 0.1 중량%, 식초 0.2 중량%, 녹차 추출액 4.5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옻은 옻나무 껍질에 상처를 내면 나오는 수액을 말한다. 옻나무는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옻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중국, 한국, 일본에서 자란다. 옻나무를 심고 4년이 지난 뒤부터 10년 뒤까지 옻을 채취할 수 있다. 10년생 나무의 경우 옻을 250g 정도 채취할 수 있다. 옻나무 줄기 외피에 수평으로 상처를 내면 수액이 흘러나온다. 옻을 채취하는 데는 상처를 적게 내 나무가 죽지 않게 매년 조금씩 채취할 수도 있고 상처를 많이 내어 옻을 최대한 채취하고 나무가 죽으면 베어버리는 방법도 있다. 나무에서 바로 받은 것을 생옻이라 하며 건조시켜 굳힌 것은 마른옻이라고 한다. 채취한 옻은 오래 저장해도 변하지 않으며 산이나 알칼리, 70℃ 이상의 열에 닿아도 변하지 않는다. 이런 특성을 이용해 다른 색소와 섞어 여러 기계의 도료로 이용하고 목제품의 접착제로 쓴다. 또 옻을 바르면 방수효과가 있고 아름다운 광택이 나기 때문에 탁자, 악기, 보석 등의 광택제로도 사용한다. 특히 옻을 칠한 나전칠기는 한국 고유의 공예품으로 세계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옻의 주성분은 우루시올(urushiol)이며, 처음에는 무색 투명하나 공기에 접촉하면 산화호소의 작용으로 검게 변화하여 옻이 된다. 우루시올은 경도가 높고 아름다운 광택을 가진다. 채취한 옻 원액은 오래 저장하여도 변화하지 않으며 산이나 알칼리 또는 70℃ 이상의 열에 대해서도 변하지 않는다. 생옻은 회백색의 유상액으로 우루시올이 약 70 중량%이고 그밖에 고무질( 4 내지 8 중량%), 질소화합물(2 내지 3 중량%), 효소(laccase)와 수분(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옻 원액 속에는 뷰테인(butein)과 설퓨레틴(sulfuretin)과 같은 약효를 나타내는 성분이 있어 약으로 쓰기도 한다. 옻나무의 수액에 포함된 우루시올은 알레르기성 물질이다. 따라서 옻나무 수액이 묻거나 증기를 쐴 경우 가려움증과 함께 심각한 발진이 일어날 수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옻나무 (두산백과)).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옻 원액에 혼합되는 물은 35℃ 이상의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료는 점착성(점도 증가), 유화안정성, 가열, 보존중에 선도 유지, 형체 보존, 교질감을 양호하게 한다. 증점제, 농화제, 겔화제라고도 불린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호료는 옥수수 전분 또는 감자 전분과 같은 천연 호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녹차 추출액은 물 450g 당 10g의 녹차잎을 투입하여 30분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염색 단계는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옻 염색 조성물에 원단을 투입하여 1차 염색을 실시한다(S15). S15 단계에서 염색된 원단을 햇빛에서 약 4시간동안 1차 건조한다(S16). S16 단계에서 건조된 원단을 상기 S14 단계에서 제조된 옻염색 조성물에 투입하여 2차로 염색한다(S17). 그 다음 S17 단계에서 염색된 원단에서 염색 조성물을 탈수한다(S18). 탈수 후 2차 건조를 실시한다(S18). 2차 건조는 텐타 건조기와 열 프레스를 이용하여 90℃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18 단계에서 2차 건조된 원단을 쟁가공한다(S19). 쟁가공은 원단을 팽팽히 당겨주어 평활하게 하고 건조시키는 공정을 말한다. 그 다음 나염 단계(S20)를 수행한다. 디지털 나염기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염된 원단을 열프레스 기를 통과시켜 완성시킨다(S21). 상기 나염 단계(S20) 수행 후 나염된 원단과 상응하는 형상의 종이와 결합시키는 합지 단계를 추가한 후 열프레스기를 통과시켜 완성시킬 수 있다. 합지 단계를 추가할 경우 벽지 사용하여 시공할때 편리성이 증진된 벽지를 제공할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옻 염색 벽지는 옻 염색 시 옻 원액을 35℃ 이상의 물에 희석하고, 소금, 식초, 녹차 추출액을 혼합하여 옻이 일으키는 알러지 반응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옻 염색 조성물은 생옻 원액 3kg, 물 6.5kg, 호료 20g, 소금 10g, 식초 20g, 물 450g에 녹차잎 10g을 투입하여 30분 추출한 녹차 추출액 450g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옻 염색 벽지는 친환경 전통 소재(마섬유 또는 그 혼방)를 사용하고, 옻 염색이 이루어져, 화재시 유해 가스가 없고, 도 2 및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항균성이 탁월하다.
도 2 및 3은 KOTITI NO.82171002136167 항균 시험 성적서로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에 대하여 정균 감소율 99.9%, 10회 세탁후 정균 감소율 99.9%의 항균성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알레르기나 아토피 환자가 거주하는 공간에 사용하면 탁월한 효능을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a)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준비된 상기 원단을 정련하는 단계;
    (c) 정련된 원단을 건조시키는 단계;
    (d) 생옻 원액 30 중량%, 물 65 중량%, 호료 0.2 중량%, 소금 0.1 중량%, 식초 0.2 중량%, 녹차 추출액 4.5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옻 염색 조성물에 원단을 투입하는 1차 염색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염색된 원단을 1차 일광 건조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에서 건조된 원단을 상기 옻 염색 조성물에 투입하는 2차 염색 단계
    (g) 상기 (f) 단계에서 2차 염색된 원단을 탈수하는 단계; 및
    (h) 탈수 후 2차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옻 염색 벽지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h)단계 수행 후, 건조된 원단을 쟁가공하는 단계 및 쟁가공된 원단을 나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옻 염색 벽지 제조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마섬유 또는 그 혼방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 염색 벽지 제조 방법.
KR1020180017110A 2018-02-12 2018-02-12 옻 염색 조성물 및 옻 염색 벽지 제조 방법 KR101903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110A KR101903722B1 (ko) 2018-02-12 2018-02-12 옻 염색 조성물 및 옻 염색 벽지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110A KR101903722B1 (ko) 2018-02-12 2018-02-12 옻 염색 조성물 및 옻 염색 벽지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722B1 true KR101903722B1 (ko) 2018-10-02

Family

ID=63863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110A KR101903722B1 (ko) 2018-02-12 2018-02-12 옻 염색 조성물 및 옻 염색 벽지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72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akash Bamboo fibre
CN103213448A (zh) 一种叶脉干花玫瑰的制作方法
KR101019329B1 (ko)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
KR20080003284A (ko) 감물을 이용한 무늬형성 방법
KR101903722B1 (ko) 옻 염색 조성물 및 옻 염색 벽지 제조 방법
KR101080877B1 (ko) 천연광물질과 옻액을 이용한 피혁 염색 방법 및 그 제품
CN1195049A (zh) 一种双面蜡染工艺及其产品
CN103395332A (zh) 一种芦苇丝绣画的制作方法
KR102076810B1 (ko) 해조류를 이용한 장식용 육상 이끼 대체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85029B1 (ko) 닥섬유와 패각을 이용한 타일의 제조방법
KR20080001853A (ko) 옻한지의 제조방법
KR101217234B1 (ko) 폴리우루시올 함유 한지 시트 및 제조방법
CN102505509A (zh) 一种麻纤维阻燃墙布的制备方法
Barton et al. The conservation of tapa
KR101360029B1 (ko) 한지를 이용한 승복 수의의 제조방법
CN101219551A (zh) 一种苔藓的染色加工方法
Norton Technology of plant materials used in artifacts
CN110656541A (zh) 一种具有天然图案的纸张的制造方法
Jabasingh In Search of Natural Dyes Towards Sustainability from the Regions of Africa (Akebu‐Lan)
KR100925743B1 (ko) 미표백 홍조류 섬유를 포함하는 한지
KR20150132683A (ko) 방수, 방풍 및 투습이 가능한 기능성 한지의 제조방법
CN113338074B (zh) 一种新绘画透明油宣纸及其制作方法
KR101199151B1 (ko) 기능성 생피 북가죽의 제조방법
CN106142270A (zh) 一种草柳编茅草的染色处理液及其使用方法
JP2003239513A (ja) 畳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