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398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398B1
KR101903398B1 KR1020120039081A KR20120039081A KR101903398B1 KR 101903398 B1 KR101903398 B1 KR 101903398B1 KR 1020120039081 A KR1020120039081 A KR 1020120039081A KR 20120039081 A KR20120039081 A KR 20120039081A KR 101903398 B1 KR101903398 B1 KR 101903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cover
speaker
substrat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6581A (ko
Inventor
이성태
김창균
신민호
박종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9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398B1/ko
Publication of KR20130116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Abstract

본 발명은 얇은 두께와 향상된 미감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향 합착된 제 1 및 제 2 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기판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지지하는 후면 케이스; 상기 후면 케이스를 수납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측면을 감쌈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 전체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후면 세트 커버; 및 상기 후면 세트 커버의 내부에 수납되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얇은 두께와 향상된 미감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와 텔레비전 등을 포함한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 중 텔레비전은 유선 방송, VHS(Video Home System), DVD(Digital Versatile Disc), 셋톱 박스(Set-Top-Box) 등과 연결되어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과 음향을 시청자에게 제공한다.
최근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로 상용화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I-I' 선의 단면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 후면 세트 커버(3), 전면 세트 커버(5), 및 스피커 유닛(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은 디스플레이 패널(10), 패널 구동부(20), 및 전면 케이스(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제 1 기판(12), 제 1 기판(14), 하부 편광 필름(12a), 및 상부 편광 필름(14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1 기판(12) 상에는 화소 영역을 정의하도록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이 교차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고,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화소 전극이 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기판(12)의 일측 주변 영역, 패드부는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신호를 인가하는 패널 구동부(20)에 접속되도록 외부로 노출된다.
제 1 기판(14)은 제 1 기판(1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 1 기판(12)의 패드부를 제외한 나머지 제 1 기판(12)에 합착된다.
하부 편광 필름(12a)은 제 1 기판(12)의 하면에 부착되어 제 1 기판(12)에 조사되는 광을 편광시킨다.
상부 편광 필름(14a)은 제 1 기판(14)의 상면에 부착되어 제 1 기판(14)을 통해 외부로 출사되는 광을 편광시킨다. 상기 하부 편광 필름(12a)과 상부 편광 필름(14a)은 일반적으로 서로 수직한 편광축을 갖는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후면 세트 커버(3)에 결합되는 후면 케이스(미도시)에 수납된다.
패널 구동부(20)는 외부로 노출된 제 1 기판(12)의 패드부에 접속된다. 이러한 패널 구동부(20)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미도시)의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데이터 및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구동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형성된 각 화소에 원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전면 케이스(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표시 영역을 제외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주변 영역을 덮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전면 케이스(30)는 하부 케이스와 결합됨으로써 제 1 기판(12)의 패드부에 접속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패널 구동부(20)를 감쌈과 아울러 나머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주변 영역을 감싼다.
후면 세트 커버(3)는 후면 케이스의 후면에 결합되어 전면 케이스(30)의 측면 일부를 감싼다. 이러한 후면 세트 커버(3)는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최종적인 후면 커버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후면 세트 커버(3)는 네크(Neck)와 받침대로 이루어진 스탠드(9)에 결합될 수 있다.
전면 세트 커버(5)는 후면 세트 커버(3)와 결합되어 전면 케이스(30)의 전면 가장자리 부분과 각 측면을 감싼다. 이러한 전면 세트 커버(5)는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최종적인 전면 및 측면 커버의 역할을 한다.
스피커 유닛(7)은 후면 세트 커버(3)에 후면 하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스피커 유닛(7)은 상기 시스템 온 칩의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를 음파 진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SS)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쪽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피커 유닛(7)이 후면 세트 커버(3)의 후면에 돌출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스피커 유닛(7)에 의해 두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면 가장자리를 가리는 전면 케이스(30) 및 전면 케이스(30)를 가리는 전면 세트 커버(5)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표면과 전면 세트 커버(5) 간의 단차부에 의해 디자인적으로 미감이 저하되고, 상기 단차부에 의해 베젤(Bezel) 폭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얇은 두께와 향상된 미감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향 합착된 제 1 및 제 2 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기판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지지하는 후면 케이스; 상기 후면 케이스를 수납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측면을 감쌈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 전체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후면 세트 커버; 및 상기 후면 세트 커버의 내부에 수납되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유닛은 서로 분리된 음향 출력 공간과 음향 울림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일측 외측면과 상기 후면 세트 커버의 일측 내측면 사이에 수납된 스피커 하우징; 및 상기 음향 울림 공간과 상기 음향 출력 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음향 출력 공간으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피커 하우징은 상기 음향 출력 공간의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음향 출력 공간에 형성된 흡음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일측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스피커 유닛을 덮도록 상기 후면 세트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는 전면 데코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면 세트 커버는 상기 전면 데코 커버에 의해 덮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들을 감싸거나, 상기 전면 데코 커버에 의해 덮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은 상기 제 1 기판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됨과 아울러 상기 스피커 유닛의 전면에 덮으며, 상기 후면 세트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 측면들을 감싸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 전체와 각 측면들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스피커 유닛의 전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후면 세트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 사이에 마련된 음향 출력 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상기 음향 출력 홀을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외측면에 삽입 설치된 스피커 기판, 및 상기 스피커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방으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면 세트 커버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 각각에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스피커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 개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후면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 기판, 및 상기 스피커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으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우퍼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면 케이스는 상기 스피커 기판이 삽입되는 스피커 수납부와 상기 우퍼 스피커의 전면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스피커 노출 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일측 가장자리 부분을 덮도록 상기 후면 세트 커버에 결합된 전면 데코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면 세트 커버는 상기 전면 데코 커버에 의해 덮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들을 감싸거나, 상기 전면 데코 커버에 의해 덮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후면 세트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 측면들을 감싸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 전체와 각 측면들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도포되어 경화된 에지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피커 유닛이 후면 세트 커버의 내부, 가이드 프레임의 외측면, 또는 후면 케이스의 내면에 수납되기 때문에 얇은 두께를 갖는다.
둘째, 전면 데코 커버에 덮이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전체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전체와 3 측면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가장자리 부분을 가리는 전면 케이스와 전면 세트 커버가 필요 없어 매우 얇은 베젤 폭을 가지며, 디자인적으로 향상된 미감을 갖는다.
셋째,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전체와 4 측면들이 모두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가장자리 부분을 가리는 전면 케이스와 전면 세트 커버가 필요 없어 매우 얇은 베젤 폭을 가지며, 디자인적으로 더욱 향상된 미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I-I' 선의 단면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Ⅱ-Ⅱ'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Ⅲ-Ⅲ'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피커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음향 출력 공간에 형성되는 흡음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7에 도시된 스피커 유닛의 다양한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Ⅳ-Ⅳ'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Ⅴ-Ⅴ'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형성되는 에지 보호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Ⅵ-Ⅵ'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Ⅶ-Ⅶ'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Ⅷ-Ⅷ'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Ⅸ-Ⅸ'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Ⅹ-Ⅹ'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후면 세트 커버와 가이드 프레임 및 스피커 유닛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XI-XI'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후면 케이스와 후면 세트 커버 및 스피커 유닛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Ⅱ-Ⅱ'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에 도시된 Ⅲ-Ⅲ'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향 합착된 제 1 및 제 2 기판(110a, 110b)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닛(120), 접착 부재(20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130), 백 라이트 유닛(120)을 수납함과 아울러 가이드 프레임(130)을 지지하는 후면 케이스(Rear Case)(140), 후면 케이스(140)를 수납하고 가이드 프레임(130)의 측면을 감쌈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상면 전체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후면 세트 커버(Rear Set Cover)(150), 후면 세트 커버(150)의 내부에 수납되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유닛(160),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일측 가장자리 부분과 스피커 유닛(160)을 덮는 전면 데코 커버(Front Deco Cover)(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액정층(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대향 합착된 제 1 기판(110a)과 제 2 기판(110b), 제 1 기판(110a)에 부착된 하부 편광 부재(110c), 및 제 2 기판(110b)에 부착된 상부 편광 부재(110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기판(110a)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으로써, 표시 영역과 주변 영역을 갖는다.
제 1 기판(110a)의 표시 영역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미도시)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미도시)의 교차에 의해 마련되는 화소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화소(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화소는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 및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화소 전극, 및 화소 전극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공통 전압이 공급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공통 전극은 액정층의 구동 방식에 따라 제 2 기판(110b)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1 기판(110a)은 각 화소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압의 차전압에 대응되는 전계를 형성하여 액정층의 광 투과율을 조절한다.
제 1 기판(110a)의 주변 영역은 복수의 데이터 패드부, 및 게이트 구동 회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데이터 패드부 각각은 주변 영역의 장변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어 표시 영역에 형성된 각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다.
게이트 구동 회로는 각 화소의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 공정과 함께, 주변 영역의 단변 일측 또는 단변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어 표시 영역에 형성된 각 게이트 라인에 접속된다. 이때, 게이트 구동 회로는 복수의 데이터 패드부 중 첫번째 및/또는 마지막 데이터 패드에 포함된 복수의 게이트 패드를 통해 패널 구동부(112)에 접속된다. 이러한, 게이트 구동 회로는 패널 구동부(112)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에 기초해 게이트(또는 스캔) 신호를 생성하여 각 게이트 라인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기판(110a)에 마련된 복수의 데이터 패드부에 접속된다. 이러한 패널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미도시)의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데이터 및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구동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형성된 각 화소에 원하는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영상을 표시한다. 이를 위해, 패널 구동부(112)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패드부 각각에 결합된 복수의 회로 필름(112a), 복수의 회로 필름(112a) 각각에 실장된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112b), 및 복수의 회로 필름(112a)에 결합된 인쇄회로기판(112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회로 필름(112a) 각각은 각 데이터 패드부와 인쇄회로기판(112c)에 부착되는 것으로,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lexible Board 또는 Chip On Fil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각 회로 필름(112a)의 일단은 데이터 패드부에 부착되고, 타단은 인쇄회로기판(112c)에 부착되거나 접속된다. 이러한 복수의 회로 필름(112a) 각각은 제 1 기판(110a)의 데이터 패드부에 부착된 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에 배치되거나, 가이드 프레임(130)의 일측 가이드 측벽을 감싸도록 밴딩되어 후면 케이스(14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112b) 각각은 복수의 회로 필름(112a)을 통해 각 데이터 패드부에 간접적으로 접속된다. 즉, 상기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112b) 각각은 복수의 회로 필름(112a) 각각에 실장되어 인쇄회로기판(112c)을 통해 상기 비디오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데이터 및 제어 신호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각 데이터 패드부로 출력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2c)은 각 회로 필름(112a)의 타단에 부착되거나 접속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에 배치되거나 후면 케이스(140)의 후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회로 필름(112a) 각각은 가이드 프레임(130)의 일측 가이드 측벽을 감싸도록 접혀진 상태가 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112c)에는 패널 구동 회로(미도시)가 실장된다. 상기 패널 구동 회로는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112b)와 게이트 구동 회로 각각의 구동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미도시), 각종 전원 회로(미도시), 및 메모리 소자(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편광 부재(110c)는 제 1 기판(110a)의 후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하부 편광 부재(110c)는 하부 편광 필름으로써, 백 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일 방향으로 편광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조사한다.
상기 제 2 기판(110b)은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으로써, 제 1 기판(110a)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기판(110b)은 합착 실링 부재(미도시)에 의해 제 1 기판(110a)과 대향 합착된다. 상기 제 1 및 2 기판(110a, 110b) 사이에는 액정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기판(110b)은 복수의 데이터 패드부를 제외한 제 1 기판(110a)의 나머지 영역에 중첩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 2 기판(110b)은 제 1 기판(110a)에 형성된 각 화소에 대응되는 화소 영역을 정의함과 아울러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차광층(미도시), 및 화소 영역마다 형성된 컬러 필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컬러 필터는 백 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방출되어 제 1 기판(110a)과 액정층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광을 소정의 컬러 광으로 필터링한다. 상기의 제 2 기판(110b)에는 액정의 구동 방식에 따라 공통 전압이 공급되는 공통 전극(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편광 부재(110d)는 제 2 기판(110b)의 상면 전체에 부착된다.
일 실시 예의 상부 편광 부재(110d)는 제 2 기판(110b)의 상면에 부착되어 제 2 기판(110b)을 투과하는 모든 광을 일 방향으로 편광시키는 편광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의 상부 편광 부재(110d)는 제 2 기판(110b)의 상면에 부착되어 제 2 기판(110b)에 정의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영역 각각을 투과하는 광을 서로 다른 편광 상태로 편광시킨다. 이를 위해, 다른 실시 예의 상부 편광 부재(110d)는 제 2 기판(110b)의 상면에 부착되어 제 2 기판(110b)을 투과하는 모든 광을 일 방향으로 편광시키는 상부 편광 필름, 및 상부 편광 필름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 1 영역을 투과하는 좌안 영상과 상기 제 2 영역을 투과하는 우안 영상을 서로 다른 편광 상태로 편광시켜 분리하는 리타더 필름(Retarder Film)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상부 편광 부재(110d)는 롤러를 이용한 필름 부착 공정에 의해 제 2 기판(110b)에 부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부착 공차로 인하여, 상기 상부 편광 부재(110d)의 측면이 제 2 기판(110b)의 측면으로부터 800㎛ 이상으로 이격되고, 이로 인해 상부 편광 부재(110d)와 제 2 기판(110b) 간의 단차부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롤러를 이용한 필름 부착 공정을 통해 제 2 기판(110b)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상부 편광 부재(110d)를 제 2 기판(110b)의 상면에 부착한 후, 레이저 컷팅 공정을 통해 상부 편광 부재(110d)를 컷팅함으로써 상부 편광 부재(110d)의 측면이 제 2 기판(110b)의 측면으로부터 800㎛ 이내로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백 라이트 유닛(120)은 후면 케이스(140)에 수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광을 조사한다. 이를 위해, 백 라이트 유닛(120)은 도광판(122), 광원(124), 반사 시트(126), 및 광학 시트 부재(1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광판(122)은 평판 형태(또는 쐐기 형태)로 형성되어 광원(124)으로부터 입광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10) 쪽으로 진행시킨다.
상기 광원(124)은 도광판(122)의 적어도 일측면에 마련된 입광면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도광판(122)에 광을 조사한다. 이때, 광원(124)은 형광 램프 또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 시트(126)는 도광판(122)의 하면에 배치되어 도광판(122)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10) 쪽으로 반사시킨다. 이러한 반사 시트(124)는 도광판(122)의 입광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광학 시트 부재(128)는 도광판(122) 상에 배치되어 도광판(122)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10) 쪽으로 진행하는 광의 휘도 특성을 향상시킨다. 이를 위해, 광학 시트 부재(128)는 하부 확산 시트, 하부 프리즘 시트, 상부 프리즘 시트, 및 상부 확산 시트 중 적어도 하나의 확산 시트 및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130)은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프레임(130)은 후면 케이스(140)에 안착되어 후면 세트 커버(150)에 결합됨과 아울러 접착 부재(135)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 프레임(130)은 가이드 측벽(130a) 및 패널 결합부(13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측벽(130a)은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수직하게 형성되어 후면 케이스(140)의 측면을 감싼다. 상기 가이드 측벽(130a)의 외측면에는 돌기 형태의 제 1 결합 부재(130c)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측벽(130a)은 제 1 결합 부재(130c)에 의한 후크(Hook) 결합 방식에 따라 후면 세트 커버(150)의 내측면에 결합됨과 아울러 후면 케이스(140)의 측면을 감싼다.
상기 패널 결합부(130b)는 상기 가이드 측벽(130a)의 상부 내측면으로부터 사각 프레임 형태로 돌출된다. 이러한 상기 패널 결합부(130b)는 접착 부재(135)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 즉 제 1 기판(110a) 또는 하부 편광 부재(110c)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을 결합된다.
상기 접착 부재(135)는 상기 패널 결합부(130b)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기판(110a) 또는 상기 하부 편광 부재(110c)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과 패널 결합부(130b)를 상호 결합시킨다. 이때, 접착 부재(135)는 양면 테이프, 열경화성 접착제, 또는 광경화성 접착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케이스(140)는 상부 개구부를 가지는 상자 형태로 형성되어 백 라이트 유닛(120)을 수납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프레임(130)의 패널 결합부(130b)를 지지한다. 이러한 후면 케이스(140)의 백 라이트 유닛(120)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방열하기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면 세트 커버(150)는 후면 케이스(140)의 후면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각 측면과 가이드 프레임(130)의 각 측면을 감쌈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일측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전면 전체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러한 후면 세트 커버(150)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품화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적인 미감 향상을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면 세트 커버(150)는 세트 플레이트(150a), 및 세트 측벽(15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트 플레이트(150a)는 플레이트 형태로써 제품화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제품 커버 역할을 한다. 즉, 세트 플레이트(150a)는 텔레비전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 제품의 후면 제품 커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세트 플레이트(150a)는 네크(Neck)와 받침대로 이루어진 스탠드(100)와 결합될 수 있다.
세트 측벽(150b)은 세트 플레이트(150a)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각 측면과 가이드 프레임(130)의 각 측면을 감싼다. 상기 세트 측벽(150b)의 내측면에는 홈 형태의 제 2 결합 부재(150c)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 부재(150c)는 가이드 프레임(130c)에 형성된 제 1 결합 부재(130c)에 결합된다.
상기 세트 측벽(150b)의 높이는 상기 상부 편광 부재(110d)의 상면과 단차지지 않도록 설정됨으로써 상기 세트 측벽(150b)의 상면은 상기 상부 편광 부재(110d)의 상면과 단차지지 않고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세트 측벽(150b)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각 측면과 가이드 프레임(130)의 각 측면을 감싸도록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테두리를 형성함과 아울러 제품화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제품 커버 역할을 한다. 즉, 세트 측벽(150)은 텔레비전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 제품의 측면 제품 커버가 될 수 있다.
상기의 세트 측벽(150b)은 대략 0.1 ~ 3mm의 두께를 가지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폭은 상기 세트 측벽(150b)의 두께에 의해 0.1 ~ 3mm가 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유닛(160)은 후면 세트 커버(150)의 내부에 수납되어 후면 세트 커버(150)와 전면 데코 커버(170)에 의해 감싸인다. 이러한 상기 스피커 유닛(160)은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를 음향 신호(SS)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으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스피커 유닛(16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 하우징(161), 및 스피커(1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피커 하우징(161)은 상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130)의 일측 외측면과 상기 후면 세트 커버(150)의 일측 내측면 사이에 수납된다. 이러한 스피커 하우징(161)은 공간적으로 서로 분리된 음향 출력 공간(161a)과 음향 울림 공간(161b)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음향 출력 공간(161a)은 밀폐된 공간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음향 울림 공간(161b)은 일정 면적을 가지는 밀폐된 공간으로써 스피커(162)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증폭시켜 중저음 대역의 음향 재현성을 향상시키는 울림통의 역할을 한다.
스피커(162)는 음향 출력 공간(161a)과 음향 울림 공간(161b) 사이에, 즉 음향 울림 공간(161b)의 전면에 마련된 스피커 설치홀에 삽입 설치된다. 이러한 스피커(162)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를 음파 진동으로 변환하여 음향 신호(SS)를 음향 출력 공간(161a)으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스피커 유닛(16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 하우징(161)의 음향 출력 공간(161a) 내부에 형성된 흡음재(16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음재(163)는 스피커(162)에서 출력되는 특정 주파수 성분을 흡수하여 음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상기 스피커 유닛(160)의 음향 출력 공간(161a)은 밀폐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스피커 유닛(160)은 상기 음향 출력 공간(161a)에 연통되는 덕트(Duct)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덕트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향 출력 공간(161a)에 연통되도록 스피커 하우징(161)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음향 출력 공간(161a)의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164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덕트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향 출력 공간(161a)에 연통되도록 스피커 하우징(161)의 전면부에 소정 길이로 설치되어 상기 음향 출력 공간(161a)의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돌출 관(164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덕트는,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향 출력 공간(161a)에 연통되도록 상기 음향 출력 공간(161a) 내부에 미로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음향 출력 공간(161a)의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미로 돌기(164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덕트는,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향 출력 공간(161a)에 연통되도록 상기 음향 출력 공간(161a) 내부에 미로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음향 출력 공간(161a)의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미로 돌기(164c)와 돌출 관(164d)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전면 데코 커버(17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일측 가장자리 부분과 이에 접한 측면을 덮도록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전면 데코 커버(170)는 후면 세트 커버(150)의 세트 측벽(150b)에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패드부, 패드부에 접속된 패널 구동부(112), 및 스피커 유닛(160)을 덮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전면 데코 커버(17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패드부, 패드부에 접속된 패널 구동부(112), 및 스피커 유닛(160)을 덮는 전면 데코부, 및 전면 데코부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후면 세트 커버(150)의 세트 측벽(150b)에 결합되는 측면 데코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면 데코부의 전면(Front surface)은 상기 상부 편광 부재(110d)의 상면과 단차지지 않고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Front surface)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 데코 커버(170)와 상부 편광 부재(110d) 및 후면 세트 커버(150)는 상호 단차지지 않고 편평한 평면 상태를 가지도록 외부로 노출된다. 여기서, 전면 데코 커버(170) 및 후면 세트 커버(150) 각각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오프(Off) 상태일 때 보여지는 상부 편광 부재(110d)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디자인적인 미감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 데코 커버(170)는 스피커 유닛(160)에 중첩되도록 전면, 즉 전면 데코부에 형성된 복수의 음향 출력 홀(172)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음향 출력 홀(172)은 스피커 유닛(16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SS)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방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피커 유닛(160)이 후면 세트 커버(150)의 내부에 수납됨으로써 얇은 두께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 데코 커버(170)에 덮이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가장자리 부분을 가리는 전면 케이스와 전면 세트 커버가 필요 없어 매우 얇은 베젤 폭을 가지며, 디자인적으로 향상된 미감을 갖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Ⅳ-Ⅳ'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Ⅴ-Ⅴ'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백 라이트 유닛(120), 가이드 프레임(130), 후면 케이스(140), 후면 세트 커버(250), 스피커 유닛(160), 및 전면 데코 커버(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후면 세트 커버(25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제 1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전술한 제 1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후면 세트 커버(1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각 측면과 가이드 프레임(130)의 각 측면을 감싸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 2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후면 세트 커버(25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점선 원 부분과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전면 데코 커버(170)에 의해 가려지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일측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전면 전체와 3 측면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구체적으로, 후면 세트 커버(250)는 세트 측벽(150b)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 즉 제 1 기판(110a) 또는 하부 편광 부재(110c)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가이드 프레임(130)의 측면을 감쌈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일측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전면 전체와 3 측면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때, 상기 세트 측벽(150b)의 상면은 접착제(152)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 즉 제 1 기판(110a) 또는 하부 편광 부재(110c)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152)는 양면 테이프, 열경화성 접착제, 또는 광경화성 접착제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전면 데코 커버(170)에 의해 가려지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일측 가장자리 부분과 이의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전체와 3 측면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기구물(베젤)을 제거할 수 있고, 테두리부의 단차를 제거할 수 있어 디자인적으로 향상된 미감을 갖는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3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제 2 기판(110b)에 부착된 상부 편광 부재(110d)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박리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 2 기판(110b)의 상측면 모서리 부분과 상부 편광 부재(110d)의 각 측면은 소정 기울기의 경사면(SF1, SF2)을 가지도록 가공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각 모서리 부분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딩된다.
상기 제 2 기판(110b)의 각 측면 모서리 부분은 모따기(Chamfer) 등의 가공 공정에 의해 제 1 기울기의 제 1 경사면(SF1)을 가지도록 가공된다. 이때, 모따기 폭은 제 2 기판(110b)의 측면 끝단으로부터 대략 250㎛ 내지 400㎛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모따기 폭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의 범위지만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감 향상을 위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편광 부재(110d)의 3 측면은 제 2 기판(110b)의 측면으로부터 800㎛ 이내로 이격되도록 제 2 기판(110b)의 상면에 부착된다. 이때, 상부 편광 부재(110d)의 측면이 제 2 기판(110b)의 측면에 일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접촉 등에 의해 상부 편광 부재(110d)가 박리될 수 있고, 상부 편광 부재(110d)의 측면이 제 2 기판(110b)의 측면으로부터 800㎛ 이상으로 이격될 경우 상부 편광 부재(110d)와 제 2 기판(110b) 간의 단차부가 발생되므로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감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편광 부재(110d)는 롤러를 이용하여 제 2 기판(110b)에 부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부착 공차로 인하여, 상기 상부 편광 부재(110d)를 제 2 기판(110b)의 측면으로부터 800㎛ 이내로 이격되도록 제 2 기판(110b)의 상면에 부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롤러를 이용한 상부 편광 부재 부착 공정을 통해 제 2 기판(110b)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상부 편광 부재(110d)를 제 2 기판(110b)의 상면에 넓게 부착한 후, 레이저 컷팅 공정을 통해 상부 편광 부재(110d)를 컷팅함으로써 상부 편광 부재(110d)의 측면이 제 2 기판(110b)의 측면으로부터 800㎛ 이내로 이격되되 제 2 기판(110b)의 상면 모따기 부분으로부터 400㎛ 이내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부 편광 부재(110d)의 상측과 좌측 및 우측은 제 2 기판(110b)보다 소정 거리, 예를 들어, 2mm 정도 큰 크기를 갖는다.
전술한 상부 편광 부재(110d)의 각 측면은 레이저를 이용한 컷팅 공정에 의해 제 2 기울기의 제 2 경사면(SF2)을 가지도록 가공된다. 이에 따라, 상부 편광 부재(110d)는 각 측면이 제 2 기판(110b)의 상면 모따기 부분으로부터 400㎛ 이내의 거리로 이격됨과 아울러 레이저에 의해 제 2 경사면(SF2)을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박리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각 측면, 즉 에지 부위에 형성되는 에지 보호 부재(2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에지 보호 부재(28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측면과 이에 인접한 양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3 측면에 형성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측면과 이에 인접한 양측면은 전술한 전면 데코 커버(170)에 의해 덮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는 상기의 에지 보호 부재(280)가 형성될 필요가 없다. 상기의 에지 보호 부재(280)는 실리콘 계열 또는 자외선(UV) 경화 계열의 실링제(또는 수지(Resin))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공정 택 타임(Tack Time)을 고려하면 자외선(UV) 경화 계열의 실링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지 보호 부재(280)는 무색(또는 투명) 또는 유색(예를 들어, 청색, 적색, 청록색, 또는 흑색)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적인 측면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 1 기판(110a)에서 발생되는 내부 전반사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빛샘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색 수지 또는 광 차단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 데코 커버(170)에 덮이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전체와 3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디자인적으로 더욱 향상된 미감을 갖는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Ⅵ-Ⅵ'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Ⅶ-Ⅶ'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310), 백 라이트 유닛(120), 가이드 프레임(130), 후면 케이스(140), 후면 세트 커버(150), 및 스피커 유닛(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1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제 1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전술한 제 1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 1 기판(110a)이 제 2 기판(110b)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 3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10)은 제 2 기판(310b)이 제 1 기판(310a)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제 3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310)은 전술한 제 1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상하로 반전된 형태를 가지되 제 2 기판(310b)의 일측면이 스피커 유닛(160)을 덮도록 길게 확장된 형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제 3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로 인해, 제 3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제 1 및 제 2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전면 데코 커버를 삭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10)은 액정층(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대향 합착된 제 1 기판(310a)과 제 2 기판(310b), 제 1 기판(310a)에 부착된 하부 편광 부재(310c), 및 제 2 기판(310b)에 부착된 상부 편광 부재(310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기판(310a)은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으로써, 제 2 기판(310b)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기판(310a)은 제 2 기판(310b)에 형성된 각 화소에 대응되는 화소 영역을 정의함과 아울러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차광층(미도시), 및 화소 영역마다 형성된 컬러 필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컬러 필터는 백 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방출되어 제 2 기판(310b)과 액정층을 투과하여 입사되는 광을 소정의 컬러 광으로 필터링한다. 상기의 제 1 기판(310a)에는 액정의 구동 방식에 따라 공통 전압이 공급되는 공통 전극(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기판(310a)은 합착 실링 부재(미도시)에 의해 제 2 기판(310b)과 대향 합착된다. 상기 제 1 및 2 기판(310a, 310b) 사이에는 액정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1 기판(310a)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은 접착 부재(335)에 의해 전술한 가이드 프레임(130)의 패널 결합부(130b)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 편광 부재(310c)는 제 1 기판(310a)의 후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하부 편광 부재(310c)는 하부 편광 필름으로써, 백 라이트 유닛(12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일 방향으로 편광시켜 디스플레이 패널(310)에 조사한다.
상기 제 2 기판(310b)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으로써, 표시 영역과 주변 영역을 갖는다.
제 2 기판(310b)의 표시 영역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미도시)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미도시)의 교차에 의해 마련되는 화소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화소(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화소는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 및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화소 전극, 및 화소 전극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공통 전압이 공급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공통 전극은 액정층의 구동 방식에 따라 제 2 기판(310a)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2 기판(310b)은 각 화소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압의 차전압에 대응되는 전계를 형성하여 액정층의 광 투과율을 조절한다.
한편, 제 2 기판(310b)은 제 1 기판(310a)과 대향 합착되는 중첩 영역과 중첩 영역의 측면으로부터 확장된 확장 영역을 갖는다. 이때, 상기 확장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제 2 기판(310b)은 상기 제 1 기판(310a)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제 1 기판(310a)에 인접한 상기 확장 영역에는 전술한 복수의 데이터 패드부, 및 게이트 구동 회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패드부에는 전술한 패널 구동부(112)가 접속된다.
상기 제 2 기판(310b)의 확장 영역은 상기 패널 구동부(112)와 전술한 스피커 유닛(160)을 덮는다.
상기 상부 편광 부재(310d)는 제 2 기판(310b)의 상면 전체에 부착되어 전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상부 편광 부재(310d)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편광 필름만으로 이루어지거나, 상부 편광 필름과 상부 편광 필름의 상면에 부착된 리타더 필름(Retarder Fil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310)은 상기 후면 세트 커버(150)의 세트 측벽(150b)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후면 세트 커버(150)는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전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각 측면을 감싼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피커 유닛(160)의 전면에 대응되도록 후면 세트 커버(150)의 세트 측벽(150b)과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측면 사이에 마련된 음향 출력 홀(31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홀(318)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세트 커버(150)의 세트 측벽(150b)과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측면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갭 유지 부재(319)에 의해 후면 세트 커버(150)의 세트 측벽(150b)과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측면 사이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스피커 유닛(16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SS)는 상기 음향 출력 홀(318)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전방으로 출력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피커 유닛(160)이 후면 세트 커버(150)의 내부에 수납됨으로써 얇은 두께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전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전면 가장자리 부분을 가리는 전면 케이스와 전면 세트 커버가 필요 없어 매우 얇은 베젤 폭을 가지며, 디자인적으로 더욱 향상된 미감을 갖는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Ⅷ-Ⅷ'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310), 백 라이트 유닛(120), 가이드 프레임(130), 후면 케이스(140), 후면 세트 커버(450), 및 스피커 유닛(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후면 세트 커버(45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제 3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전술한 제 3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후면 세트 커버(150)는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각 측면과 가이드 프레임(130)의 각 측면을 감싸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 4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후면 세트 커버(450)는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전면 전체 및 각 측면들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구체적으로, 후면 세트 커버(450)는 세트 측벽(150b)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310), 즉 제 1 기판(310a) 또는 하부 편광 부재(310c)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가이드 프레임(130)의 측면을 감쌈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전면 전체와 4 측면들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때, 상기 세트 측벽(150b)의 상면은 접착제(452)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310), 즉 제 1 기판(310a) 또는 하부 편광 부재(310c)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452)는 양면 테이프, 열경화성 접착제, 또는 광경화성 접착제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4 측면들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기구물(베젤)을 제거할 수 있고, 테두리부의 단차를 제거할 수 있어 디자인적으로 향상된 미감을 갖는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4 측면들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제 2 기판(310b)에 부착된 상부 편광 부재(310d)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박리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 2 기판(310b)의 상측면 모서리 부분과 상부 편광 부재(310d)의 각 측면들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소정 기울기의 경사면을 가지도록 가공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각 모서리 부분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기판(110b)의 각 측면 모서리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모따기(Chamfer) 등의 가공 공정에 의해 제 1 기울기의 제 1 경사면을 가지도록 가공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편광 부재(110d)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기판(310b)의 상면에 넓게 부착된 후, 레이저를 이용한 컷팅 공정에 의해 제 2 기울기의 제 2 경사면을 가지도록 가공된다.
한편,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각 측면들, 즉 에지 부위에 형성되는 에지 보호 부재(4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지 보호 부재(480)는 도면 부호만이 상이할 뿐,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피커 유닛(160)의 전면에 대응되는 후면 세트 커버(450)의 세트 측벽(150b)과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배면 사이에 마련된 음향 출력 홀(41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홀(418)은 후면 세트 커버(450)의 세트 측벽(150b) 상면과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배면 가장자리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갭 유지 부재(419)에 의해 후면 세트 커버(150)의 세트 측벽(150b)과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배면 사이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스피커 유닛(16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SS)는 상기 음향 출력 홀(418)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하방으로 출력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3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전면 전체와 4 측면들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디자인적으로 더욱 향상된 미감을 갖는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Ⅸ-Ⅸ'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Ⅹ-Ⅹ'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백 라이트 유닛(120), 가이드 프레임(530), 후면 케이스(140), 후면 세트 커버(550), 스피커 유닛(560), 및 전면 데코 커버(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 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가이드 프레임(530), 후면 세트 커버(550), 및 복수의 스피커 유닛(56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제 1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전술한 제 1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스피커 유닛(160)은 후면 세트 커버(150)의 내부에 수납되되, 가이드 프레임(130)과 후면 세트 커버(15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 5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복수의 스피커 유닛(160)은 가이드 프레임(530)의 측면에 설치되어 후면 세트 커버(150)의 측면을 통해 음향 신호(SS)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프레임(530)은 전술한 제 1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이드 프레임(130)과 동일하게 구성되되,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측벽(130a)의 외측면에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스피커 수납홈(530d)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후면 세트 커버(550)는 전술한 제 1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세트 커버(150)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피커 유닛(560) 각각에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복수의 스피커 유닛(560)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SS)를 외부로 출력하는 복수의 음향 출력 개구부(550d)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복수의 음향 출력 개구부(550d) 각각은 스피커 유닛(560)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도록 하나의 홀 형태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스피커 유닛(560) 각각에 중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슬릿 또는 메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피커 유닛(560) 각각은 스피커 기판(560a), 및 복수의 스피커(56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피커 기판(560a)은 가이드 프레임(530)에 형성된 스피커 수납 홈(530d)에 수납된다. 이때 스피커 기판(560a)은 사각 형태의 인쇄회로기판 또는 필름 기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피커 기판(560a)은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복수의 스피커(560b) 각각은 상기 스피커 기판(560a)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실장된다. 이때 복수의 스피커(560b) 각각은 두께에 따라 스피커 수납 홈(530d)에 완전히 수납되거나, 스피커 수납 홈(530d)으로부터 소정 두께로 돌출되어 상기 후면 세트 커버(550)의 음향 출력 개구부(550d)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스피커(560b) 각각은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를 음향 신호(SS)로 변환하여 상기 후면 세트 커버(550)의 음향 출력 개구부(550d)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방향으로 출력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피커 유닛(560)이 가이드 프레임(530)의 외측면에 수납됨으로써 얇은 두께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 데코 커버(170)에 덮이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가장자리 부분을 가리는 전면 케이스와 전면 세트 커버가 필요 없어 매우 얇은 베젤 폭을 가지며, 디자인적으로 향상된 미감을 갖는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후면 세트 커버(550)는 전면 데코 커버(170)에 덮이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각 측면을 감싸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제 2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전면 데코 커버(170)에 덮이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전체와 3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제 2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스피커 유닛(16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 유닛(560)과 같이, 가이드 프레임(130)의 외측면에 수납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전면 데코 커버(170)에 덮이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제 3 및 제 4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제 3 또는 제 4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스피커 유닛(16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 유닛(560)과 같이, 가이드 프레임(130)의 외측면에 수납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형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가이드 프레임(530)의 외측면에 삽입 설치된 스피커 유닛(56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후면 세트 커버(550)는 전면 데코 커버(170)에 의해 덮이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들을 감싸거나, 전면 데코 커버(170)에 의해 덮이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 배면을 지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형 실시 예의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에 도포되어 경화된 에지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XI-XI'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후면 케이스와 후면 세트 커버 및 스피커 유닛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백 라이트 유닛(120), 가이드 프레임(130), 후면 케이스(640), 후면 세트 커버(650), 스피커 유닛(660), 및 전면 데코 커버(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 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후면 케이스(640), 후면 세트 커버(650), 및 복수의 스피커 유닛(66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제 1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전술한 제 1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스피커 유닛(160)은 후면 세트 커버(150)의 내부에 수납되되, 가이드 프레임(130)과 후면 세트 커버(15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 6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복수의 스피커 유닛(660)은 후면 케이스(640)의 내부에 설치되어 후면 세트 커버(650)의 후면을 통해 음향 신호(SS)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후면 케이스(640)는 지지 플레이트(640a), 지지 측벽(640b), 및 스피커 수납부(64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 플레이트(640a)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즉 백 라이트 유닛(120)을 지지함과 아울러 수납한다.
지지 측벽(640b)은 지지 플레이트(640a)의 측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수직하게 절곡되어 가이드 프레임(130)의 패널 결합부(130b)를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 측벽(640b)은 지지 플레이트(640a) 상에 수납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수납 공간에 상기 백 라이트 유닛(120)이 수납되도록 한다.
스피커 수납부(640c)는 지지 플레이트(640a)의 내면으로부터 후면 쪽으로 돌출됨으로써 지지 플레이트(640a)의 내면에 스피커 유닛(660)이 수납되는 계단 형태의 스피커 수납 홈을 마련한다. 상기 스피커 수납부(640c)에는 지지 플레이트(640a)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스피커 유닛(660)의 전면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스피커 노출 홀(640d)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스피커 유닛(660) 각각은 스피커 기판(660a), 및 우퍼 스피커(66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피커 기판(660a)은 후면 케이스(640)에 형성된 스피커 수납부(640c)에 수납된다. 이때 스피커 기판(660a)은 사각 형태의 인쇄회로기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피커 기판(660a)은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우퍼 스피커(660b)는 상기 스피커 기판(660a)에 실장되어 후면 케이스(640)에 형성된 스피커 수납부(640c)에 수납된다. 이러한 우퍼 스피커(660b)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를 음향 신호(SS)로 변환하여 상기 후면 케이스(640)의 스피커 노출 홀(640d)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방향으로 출력한다.
후면 세트 커버(650)는 전술한 제 1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세트 커버(150)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피커 유닛(660) 각각에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복수의 스피커 유닛(660)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SS)를 외부로 출력하는 복수의 음향 출력 개구부(650d)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음향 출력 개구부(650d) 각각에는 후면 케이스(640)에 형성된 스피커 수납부(640c)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피커 수납부(640c)에 수납된 우퍼 스피커(660b)는 상기 후면 케이스(640)의 스피커 노출 홀(640d)과 후면 세트 커버(650)의 음향 출력 개구부(650d)를 통해 음향 신호(SS)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으로 출력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피커 유닛(660)이 후면 케이스(640)의 내부에 수납됨으로써 얇은 두께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 데코 커버(170)에 덮이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가장자리 부분을 가리는 전면 케이스와 전면 세트 커버가 필요 없어 매우 얇은 베젤 폭을 가지며, 디자인적으로 향상된 미감을 갖는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후면 세트 커버(650)는 전면 데코 커버(170)에 덮이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각 측면을 감싸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제 2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전면 데코 커버(170)에 덮이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전체와 3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제 2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스피커 유닛(16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 유닛(660)과 같이, 후면 케이스(140)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전면 데코 커버(170)에 덮이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제 3 및 제 4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전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제 3 또는 제 4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스피커 유닛(16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 유닛(660)과 같이, 후면 케이스(140)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형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후면 케이스(640)의 내부에 수납된 스피커 유닛(66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후면 세트 커버(650)는 전면 데코 커버(170)에 의해 덮이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들을 감싸거나, 전면 데코 커버(170)에 의해 덮이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 배면을 지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형 실시 예의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에 도포되어 경화된 에지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백 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대상으로 하여 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술한 액정 표시 장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평판 표시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백 라이트 유닛이 생략되고,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대신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기판 또는 제 2 기판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시켜 제 2 기판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광을 이용하여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또는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장치 이외에도, 노트북 컴퓨터, 테블릿 컴퓨터, 또는 각종 휴대용 정보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디스플레이 패널 120: 백 라이트 유닛
130: 가이드 프레임 140: 후면 케이스
150: 후면 세트 커버 160: 스피커 유닛
161: 스피커 하우징 162: 스피커
163: 흡음재 170: 전면 데코 커버

Claims (15)

  1. 대향 합착된 제 1 및 제 2 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기판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을 지지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지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을 덮는 후면 케이스;
    상기 후면 케이스를 수납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측면을 감쌈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 전체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후면 세트 커버; 및
    상기 후면 세트 커버의 내부에 수납되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후면 케이스의 측면을 감싸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닛은,
    서로 분리된 음향 출력 공간과 음향 울림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일측 외측면과 상기 후면 세트 커버의 일측 내측면 사이에 수납된 스피커 하우징; 및
    상기 음향 울림 공간과 상기 음향 출력 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음향 출력 공간으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 공간은 밀폐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하우징은 상기 음향 출력 공간의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덕트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음향 출력 공간에 형성된 흡음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일측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스피커 유닛을 덮도록 상기 후면 세트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는 전면 데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면 세트 커버는 상기 전면 데코 커버에 의해 덮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들을 감싸거나, 상기 전면 데코 커버에 의해 덮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은 상기 제 1 기판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됨과 아울러 상기 스피커 유닛의 전면에 덮으며,
    상기 후면 세트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 측면들을 감싸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 전체와 각 측면들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세트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 사이에 마련된 음향 출력 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상기 음향 출력 홀을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과 상기 후면 세트 커버 사이에 상기 음향 출력 홀을 마련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후면 세트 커버 사이에 상기 음향 출력 홀을 마련하는 갭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외측면에 삽입 설치된 스피커 기판, 및 상기 스피커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방으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세트 커버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 각각에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스피커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 개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후면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 기판, 및 상기 스피커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으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우퍼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케이스는 상기 스피커 기판이 삽입되는 스피커 수납부와 상기 우퍼 스피커의 전면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스피커 노출 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일측 가장자리 부분을 덮도록 상기 후면 세트 커버에 결합된 전면 데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면 세트 커버는 상기 전면 데코 커버에 의해 덮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들을 감싸거나, 상기 전면 데코 커버에 의해 덮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도포되어 경화된 에지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세트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 측면들을 감싸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 전체와 각 측면들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도포되어 경화된 에지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039081A 2012-04-16 2012-04-16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03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081A KR101903398B1 (ko) 2012-04-16 2012-04-16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081A KR101903398B1 (ko) 2012-04-16 2012-04-16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581A KR20130116581A (ko) 2013-10-24
KR101903398B1 true KR101903398B1 (ko) 2018-10-02

Family

ID=49635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081A KR101903398B1 (ko) 2012-04-16 2012-04-16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3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0564A1 (ko) * 2019-07-17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314476B2 (en) 2019-12-31 2022-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718B1 (ko) * 2017-05-31 2021-07-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27255A (ko) * 2017-09-06 2019-03-14 (주)코텍 음향 출력 기능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637264B1 (ko) 2018-01-25 2024-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4551A (ja) * 2000-11-27 2004-08-12 シームレス ディスプレイ リミテッド ビジュアル・ディスプレイスクリー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4551A (ja) * 2000-11-27 2004-08-12 シームレス ディスプレイ リミテッド ビジュアル・ディスプレイスクリーン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0564A1 (ko) * 2019-07-17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770951B2 (en) 2019-07-17 2023-09-26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11314476B2 (en) 2019-12-31 2022-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581A (ko)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70302B (zh) 顯示裝置
KR101433571B1 (ko) 액정 표시 장치
JP5788957B2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95313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4312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368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033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913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221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300223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0935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74819B1 (ko) 표시장치
KR102153001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37862A (ko) 액정표시장치
KR102448362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4008367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5051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1720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73033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16174B1 (ko) 백라이트 유닛 수납용 커버와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US10353140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KR2013006428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3509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985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57970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