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330B1 -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그리고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그리고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330B1
KR101903330B1 KR1020180029100A KR20180029100A KR101903330B1 KR 101903330 B1 KR101903330 B1 KR 101903330B1 KR 1020180029100 A KR1020180029100 A KR 1020180029100A KR 20180029100 A KR20180029100 A KR 20180029100A KR 101903330 B1 KR101903330 B1 KR 101903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es
open market
seller
inform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석
Original Assignee
최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석 filed Critical 최용석
Priority to KR1020180029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04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io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그리고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통합 서버상으로 판매상품을 판매자별로 한번 등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오픈마켓에 대한 판매상품에 대한 재고 상태를 일률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오픈마켓 형식의 온라인 쇼핑몰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그리고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오픈마켓의 특성으로 인기가 많은 판매상품에 대한 품절 전에 사전에 가격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가격 조정이 없는 품절이 예정된 인기 판매상품에 대한 기존 오픈마켓 서비스 시스템에 비해 빠른 품절 처리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그리고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 {Open Market Integrated Management Solution Providing System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 and Open Market Integration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그리고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통합 서버상으로 판매상품을 판매자별로 한번 등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오픈마켓에 대한 판매상품에 대한 재고 상태를 일률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오픈마켓 형식의 온라인 쇼핑몰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그리고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쇼핑몰 중에서 오픈마켓이란, 온라인 상에서 개인이나 소규모 업체가 개설한 점포를 통해 구매자에게 직접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총칭하며, 홈쇼핑이나 백화점 또는 대형마트 업체 등이 운영하는 일반적인 인터넷 쇼핑몰과 달리, 제품 생산업체와 판매자 간의 중간 유통마진 없이 직접 구매자에게 제품을 판매할 수 있기 때문에 상품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제공하고 있다.
즉 오픈마켓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품을 판매하기 위하여 다수의 상점이 입점해 있는 인터넷상의 집합 상가라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국내의 옥션, 지마켓, 11번가, 샵N 등의 오픈마켓과 여러 개인 쇼핑몰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판매자가 자신의 상품을 이러한 오픈마켓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각 오픈마켓에 자신의 상품을 각각 등록해야 한다. 판매자는 자신의 상품을 가능한 많은 인터넷 쇼핑몰에 노출시켜 판매량을 증대하길 원하므로, 다수의 오픈마켓에 자신의 상품을 등록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각각의 오픈마켓에 로그인하여 각 오픈마켓이 요구하는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상품 등록절차를 완료해야 한다.
또한, 이와 같이 등록된 상품에 대한 구매자들로부터의 질의나 주문 내역, 상품의 품절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도 각 오픈마켓에 일일이 액세스하여 확인하고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032249호 "실시간 오픈마켓 재고관리시스템(REAL TIME INVENTORY CONTROLLING SYSTEM OF OPEN MARKET)"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통합 서버상으로 판매상품을 판매자별로 한번 등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오픈마켓에 대한 판매상품에 대한 재고 상태를 일률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오픈마켓 형식의 온라인 쇼핑몰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그리고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오픈마켓의 특성으로 인기가 많은 판매상품에 대한 품절 전에 사전에 가격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가격 조정이 없는 품절이 예정된 인기 판매상품에 대한 기존 오픈마켓 서비스 시스템에 비해 빠른 품절 처리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그리고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은,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가 데이터베이스(330)에서 통합 ID로 관리되는 각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해서 판매상품 정보 중 선택된 판매상품의 명칭에 대한 제공 가능 수량을 추출한 뒤,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한 뒤,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복수의 오픈마켓 서버(6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판매할당량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가 각 판매상품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마켓 서버(600)에 할당된 판매할당량을 판매상품을 취급하는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통합 ID로 지정하여 데이터베이스(630)에 저장한 뒤, 판매자가 취급하는 모든 판매상품에 대한 오픈마켓 서버(600) 별 할당 판매할당량에 해당하는 판매상품 저장 내역을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가 판매상품 저장 내역에 포함된 판매상품 중 판매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선택 정보, 그리고 각 판매상품에 대한 판매가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뒤, 판매상품 선택 정보, 판매가 정보를 각 판매자의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판매상품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여, 판매상품에 대한 오픈마켓 상으로의 등록을 완료하는 제 3 단계;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가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의 자동실행 요청을 대기한 뒤, 자동실행 요청을 수신시,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판매상품 저장 내역에 포함된 각 판매상품에 대한 판매할당량이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마켓 서버(600)로 각 판매상품의 판매상품 정보, 판매할당량, 판매가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하여, 판매상품에 대한 오픈마켓 상에서의 판매를 개시하도록 등록을 완료하는 제 4 단계;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가 각 오픈마켓 서버(600)로 판매상품에 대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주문자 단말의 주문 요청이 실시간으로 수신되면, 실시간으로 주문 수량 정보를 수집하여 판매상품을 제공하는 판매자의 통합 ID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에서 섭트랙션(subtraction) 연산을 수행하고, 연산 결과에 해당하는 실시간 제공 가능 수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판매자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업데이트하는 제 5 단계;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가 미리 설정된 주기로 각 오픈마켓 서버(600)에 대한 각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주문 내역 중 판매상품별로 출고 상태 정보에 대한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여 출고 상태 정보를 수신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판매자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업데이트하는 제 6 단계;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가 각 판매상품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330)에서 각 오픈마켓 서버(600)에 대해 지정된 판매할당량에서 주문 내역, 출고 상태에 대한 전체의 합산 정보를 생성한 뒤, 주문 내역 합산 수량이 판매상품에 대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을 초과하는 주문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7 단계; 및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가 출고 상태 합산 수량이 판매상품에 대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을 초과하는 경우 판매상품을 품절 상품으로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300)에 판매자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업데이트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8 단계는,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가 분석 결과 주문 내역 합산 수량이 판매상품에 대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을 초과하나, 출고 상태 합산 수량이 판매상품에 대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로 통지를 받은 경우, 판매상품을 제공한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한 판매가에 대한 조정 요청을 질의하는 메시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여 판매가 조정 요청과 함께, 상향 조정된 판매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330)에 판매자의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한 뒤, 출고 준비 중인 판매상품을 구매한 주문자 단말에 대한 상품 품절로 인한 가격 조정 질의를 전송하고, 가격 조정에 합의한 주문자 단말 중 판매상품에 대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에서 주문 내역 합산 수량을 섭트랙션한 수량에 대해서 선착순으로 우선 권한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그리고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은, 오픈마켓을 관리하는 통합 서버상으로 판매상품을 판매자별로 한번 등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오픈마켓에 대한 판매상품에 대한 재고 상태를 일률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오픈마켓 형식의 온라인 쇼핑몰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그리고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은, 오픈마켓의 특성으로 인기가 많은 판매상품에 대한 품절 전에 사전에 가격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가격 조정이 없는 품절이 예정된 인기 판매상품에 대한 기존 오픈마켓 서비스 시스템에 비해 빠른 품절 처리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중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의 제어부(320) 중 통합 정보 관리모듈(326)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기반의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중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n은 2 이상의 자연수)로 이루어지는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 집합(100g), 네트워크(200),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 빅데이터 서버(400), AI 서비스 제공 서버(500), 복수의 오픈마켓 서버(600)(m은 2 이상으로 n과 같거나 다른 자연수)로 이루어지는 오프마켓 서버 집합(600g)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중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의 제어부(320) 중 통합 정보 관리모듈(326)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며, 제어부(320)는 통합 로그인 관리모듈(321), 상품 등록모듈(322), 데이터 파싱모듈(data parsing module)(323), 송장 관리모듈(324), 품절 상품 관리모듈(325), 통합 정보 관리모듈(326)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320)의 구성을 중심으로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통합 로그인 관리모듈(321)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복수의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액세스(access)를 허여하여 통신 채널을 설정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복수의 오픈마켓 서버(600)에 의한 액세스(access)를 통해 통신 채널을 설정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각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각 오픈마켓 서버(6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합 로그인 관리모듈(321)은 네트워크(200)를 통한 각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통합 ID 및 통합 비밀번호를 통한 로그인이 수행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통합 ID와 통합 비밀번호에 대한 데이터베이스(330)를 통한 대조작업을 통해 일치하는 경우, 하나의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의 통합 ID와 매칭되어 저장된 각 오픈마켓 서버(600)로의 개별 ID 및 개별 비밀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상품 등록모듈(322)은 각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된 판매상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하며, 자동으로 각 오픈마켓 서버(600)에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각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의 판매상품 정보별로 각 오픈마켓 서버로 등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판매상품 정보는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를 통해 판매자가 각 판매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품 등록모듈(322)의 중개에 의해 판매자가 상품을 판매하는 하나의 오픈마켓 서버에서 다른 오픈마켓 서버로 일괄적 또는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판매상품 정보는 판매상품의 가격, 판매상품의 명칭, 종류, 제공 가능 수량, 주문이나 배송 처리 정보, 또는 질의응답과 같은 커스터머 서비스(CS) 정보, 판매상품의 판매량, 판매상품의 판매여부 등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파싱모듈(323)은 판매상품을 등록한 오픈마켓 서버(600)의 판매상품 정보에 대한 일괄적 또는 부분적 변경 데이터를 전달받은 뒤, 변경 데이터를 전송한 오픈마켓 서버 외의 다른 오픈마켓 서버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데이터 파싱모듈(323)은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해서 판매상품 정보 중 선택된 판매상품의 명칭에 대한 제공 가능 수량을 추출한 뒤,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한 뒤, 복수의 오픈마켓 서버(6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판매할당량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할당량은 전체 제공 가능 수량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오픈마켓 서버(600)에 대해서 구분하여 판매자가 제공하려는 판매상품의 수량을 의미한다.
데이터 파싱모듈(323)은 하나의 판매상품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마켓 서버(600)에 할당된 판매할당량을 판매상품을 취급하는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통합 ID로 지정하여 데이터베이스(630)에 저장한 뒤, 판매자가 취급하는 모든 판매상품에 대한 오픈마켓 서버(600) 별 할당 판매할당량에 해당하는 판매상품 저장 내역을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데이터 파싱모듈(323)은 판매상품 저장 내역에 포함된 판매상품 중 판매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선택 정보, 그리고 각 판매상품에 대한 판매가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판매상품 선택 정보, 판매가 정보를 각 판매자의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판매상품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함으로써, 판매상품에 대한 오픈마켓 상으로의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가 정보를 초기에 수신하지 않는 이유는 오픈마켓의 특성상 판매상품의 가격정보는 유동성이 높으므로, 미리 설정된 주기로 업데이트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한편, 데이터 파싱모듈(323)은 판매상품에 대한 오픈마켓 상으로의 등록 완료와 함께 완료 이후,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의 자동실행 요청을 대기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다.
데이터 파싱모듈(323)은 자동실행 요청을 수신시,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판매상품 저장 내역에 포함된 각 판매상품에 대한 판매할당량이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마켓 서버(600)로 각 판매상품의 판매상품 정보, 판매할당량, 판매가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판매상품에 대한 오픈마켓 상에서의 판매를 개시하도록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데이터 파싱모듈(323)은 각 오픈마켓 서버(600)로 판매상품에 대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주문자 단말(미 도시)의 주문 요청이 실시간으로 수신되면, 실시간으로 주문 수량 정보를 수집하여 판매상품을 제공하는 판매자의 통합 ID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에서 섭트랙션(subtraction) 연산을 수행하고, 연산 결과에 해당하는 실시간 제공 가능 수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판매자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송장 관리모듈(324)은 미리 설정된 주기로 각 오픈마켓 서버(600)에 대한 각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주문 내역 중 판매상품별로 출고 상태 정보에 대한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여 출고 상태 정보를 수신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판매자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품절 상품 관리모듈(325)은 하나의 판매상품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330)에서 각 오픈마켓 서버(600)에 대해 지정된 판매할당량에서 주문 내역, 출고 상태에 대한 전체의 합산 정보를 생성한 뒤, 주문 내역 합산 수량이 판매상품에 대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을 초과하는 주문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품절 상품 관리모듈(325)은 출고 상태 합산 수량이 판매상품에 대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을 초과하는 경우 판매상품을 품절 상품으로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300)에 판매자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통합 정보 관리모듈(326)은 품절 정보 처리수단(326a), AI 기반 예측 처리 수단(326b), 추가 등록 처리 수단(326c) 및 빅데이터 관리 수단(326d)을 구비할 수 있다.
품절 정보 처리수단(326a)은 품절 상품 관리모듈(325)에 의한 분석 결과 주문 내역 합산 수량이 판매상품에 대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을 초과하나, 출고 상태 합산 수량이 판매상품에 대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로 통지를 받은 경우, 판매상품을 제공한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한 판매가에 대한 조정 요청을 질의하는 메시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품절 정보 처리수단(326a)은 판매가 조정 요청과 함께, 상향 조정된 판매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330)에 판매자의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한 뒤, 출고 준비 중인 판매상품을 구매한 주문자 단말(미 도시)에 대한 상품 품절로 인한 가격 조정 질의를 전송하고, 가격 조정에 합의한 주문자 단말(미 도시) 중 판매상품에 대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에서 주문 내역 합산 수량을 섭트랙션한 수량에 대해서 선착순으로 우선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즉, 품절 정보 처리수단(326a)은 우선 권한을 설정한 주문자 단말로부터 주문 요청을 받은 오픈마켓 서버(600)로 판매상품에 대한 상향 조정된 판매가 정보와 함께 출고 요청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출고가로 상향 조정된 판매가 정보에 해당하는 판매상품에 대한 출고를 진행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품절 정보 처리수단(326a)으로부터 출고 요청을 수신한 오픈마켓 서버(600)는 출고에 따라 송장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판매자의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품절 정보 처리수단(326a)에 의한 송장 정보 관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품절 정보 처리수단(326a)은 우선 권한을 설정하지 않은 주문자 단말로부터 주문 요청을 받은 오픈마켓 서버(600)로 판매상품에 대한 출고를 진행하지 말고 품절 처리하도록 하는 품절처리 요청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오픈마켓의 특성으로 인기가 많은 판매상품에 대한 품절 전에 사전에 가격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가격 조정이 없는 품절이 예정된 인기 판매상품에 대한 기존 오픈마켓 서비스 시스템에 비해 빠른 품절 처리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AI 기반 예측 처리 수단(326b)은 AI 서비스 제공 서버(500)에 대한 요청을 통해 AI 서비스 제공 서버(500)에 의한 머신 러닝과 딥 러닝을 이용해 인기가 많은 판매상품에 대한 상향 조정되는 판매가 정보 생성에 따라 조정된 판매가 정보를 수신한 뒤,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 및 주문자 단말에게 네트워크(20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AI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인기가 많은 판매상품을 제공하는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 외의 인기가 많은 판매상품과 동일한 판매상품을 제공하는 다른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해 조정된 판매가 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I 서비스 제공 서버(500)에서 사용되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은 결정 트리(DT, Decision Tree) 분류 알고리즘,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 SVM(Support Vector Machine) 분류 알고리즘 중 하나일 수 있다. AI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빅데이터 서버(400)에 통합 ID별로 분산 저장된 동일한 판매상품에 대한 최초 판매가 정보, 그리고 조정된 판매가 정보를 빅데이터로 수집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분석한 결과로 복수의 특징 정보에 해당하는 최초 판매가 평균값 및 조정된 판매가 평균값, 각 평균값의 분산도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에 해당하는 평균값과 분산도 등을 복수의 머신 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학습하여 학습한 결과로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이상을 초과하는 값을 이상 상태로 분석하고,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미만의 평균값들에 대한 최종 평균값을 도출할 수 있다. AI 기반 예측 처리 수단(326b)은 AI 서비스 제공 서버(500)에 대한 요청을 통해 조정된 판매가에 대해서 과도하거나 과소한 상향 조정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상호 보완적인 머신 러닝 알고리즘들로 구성된 앙상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결정 트리 분류 알고리즘은 트리 구조로 학습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결과 해석 및 이해가 용이하고,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며 탐색 트리 기반으로 룰 도출이 가능할 수 있다. DT의 낮은 분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RF를 적용할 수 있다.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은 다수의 DT를 앙상블로 학습한 결과를 도축하는 방식으로, DT보다 결과 이해가 어려우나 DT보다 결과 정확도가 높을 수 있다. DT 또는 RF 학습을 통해 발생 가능한 과적합의 개선 방안으로 SVM을 적용할 수 있다. SVM 분류 알고리즘은 서로 다른 분류에 속한 데이터를 평면 기반으로 분류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갖고, 구조적으로 과적합(overfitting)에 낮은 민감도를 가질 수 있다.
이후, AI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머신 러닝 이후 정제된 데이터를 활용해 딥 러닝 수행하는데, 여기서 딥 러닝 방식은 상술한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미만의 평균값들에 대한 최종 평균값을 도출을 위해 형성된 패턴 데이터별 반복 작업시 하나의 전체 프로세스에 소요되는 시간인 사이클 타임(Cycle time)과, 각 공정시간의 최대 시간인 택트 타임(Tact time)의 감소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각 최종 평균값의 패턴 데이터 추출을 위한 딥 러닝 알고리즘 프로그램의 변환 및 적용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 등록 처리 수단(326c)은 품절 정보 처리수단(326a)에 의한 오픈마켓 서버(600)에 대한 판매상품에 대한 품절 처리 또는 가격 조정 요청 전에, 또는 미리 설정된 재고 확인 주기에 네트워크(200)를 통해 판매상품을 취급하는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한 재고 추가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추가 제공 가능 수량을 추가로 데이터베이스(330)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추가 등록 처리 수단(326c)은 판매상품의 추가 제공 가능 수량에 대해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에 대한 오픈마켓 서버(600)별로 구분된 판매할당량 비율을 연산한 뒤, 판매할당량 비율로 추가 제공 가능 수량을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업데이트함으로써,오픈마켓에 대해서는 판매자의 판매상품에 대한 재고가 여유가 있으면서 품절 처리되지도 않으면서 판매자에 의한 임의로 각 오픈마켓에서 판매할당량을 제한하는 폐단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픈 마켓에서도 오픈마켓 판매 계획 수립에도 도움을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빅데이터 관리 수단(326d)은 수집 프로세스와 분산 처리 프로세스를 포함하며, 클라우드 서버(Clous Server) 또는 엔터프라이즈 서버(Enterprise Server) 등에 위치하며, 각 오픈마켓 서버(600)로부터 수신된 판매가 정보, 상향 조정된 판매가 정보를 수집 및 정리하고, 각 오픈마켓 서버(600)의 식별 ID별로 빅데이터 서버(400)에 분산하여 저장한다. 수집 프로세스는 각 오픈마켓 서버(600)로부터 전달된 현재의 판매가 정보, 상향 조정된 판매가 정보를 수신한다. 빅데이터 관리 수단(326d)은 각 오픈마켓이 오프라인 판매 활동도 수행하는 경우 각 오픈마켓 서버(600)에서 생성된 오픈마켓 서버(600)의 포트 번호 또는 목적지 주소에 해당하는 주문자 단말의 포트 번호 또는 목적지 주소도 추가로 수집할 수 있다.
수집 프로세스는 수신된 데이터를 취합하고, 취합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330) 상으로 분산처리하기 위해 분산 처리 프로세스로 전달한다. 수집 프로세스와 분산 처리 프로세스는 데이터 송수신 관계(Data Source and Sink) 모델을 차용한다.
분산 프로세스는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 HDFS) 및 맵리듀스에 의한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각 오픈마켓 서버(600)별로 분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HDFS에 의한 처리시 수신된 데이터를 분산해서 저장하는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HDFS)으로, 수집 프로세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한다. HDFS는 대용량 파일 저장과 처리를 위한 솔루션으로, HDFS는 하나의 서버에서만 동작하는 게 아니라 여러 개의 서버에 설치되어서 서비스될 수 있다. HDFS 상에서 데이터의 메타(Meta) 정보를 관리하고 실제 데이터는 여러 대의 데이터 노드(Data Node)에 분산해서 저장할 수 있다. 수집된 데이터는 대용량을 가지는 대규모의 데이터, 즉 빅데이터이다. 따라서 데이터를 분산하여 처리 및 저장하기 위하여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맵리듀스로 처리시 맵리듀스(MapReduce)를 이용하여 HDFS를 처리 및 관리한다. 맵리듀스는 대용량의 빅데이터를 빠르고 안전하게 처리 및 분석하기 위한 분산 프로그래밍 모델이다. 맵리듀스는 빅데이터에 대한 로그 분석, 색인 구축 및 검색에서 뛰어난 능력을 보여준다. HDFS에서 처리하는 데이터는 대규모의 데이터이면서, 정형화/비정형화 상태의 데이터가 흩어져 있게 된다. 따라서 맵리듀스 처리 방식에 의해 맵리듀스를 이용하여 HDFS에 의해 처리되어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데이터를 각각의 종류별로 정이라고 필터링(Filtering)과 소팅(Sorting)을 거쳐, 데이터를 분산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기반의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330)에서 통합 ID로 관리되는 각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해서 판매상품 정보 중 선택된 판매상품의 명칭에 대한 제공 가능 수량을 추출한 뒤,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한 뒤,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복수의 오픈마켓 서버(6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판매할당량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한다(S11).
단계(S11) 이후,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는 각 판매상품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마켓 서버(600)에 할당된 판매할당량을 판매상품을 취급하는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통합 ID로 지정하여 데이터베이스(630)에 저장한 뒤, 판매자가 취급하는 모든 판매상품에 대한 오픈마켓 서버(600) 별 할당 판매할당량에 해당하는 판매상품 저장 내역을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S12).
단계(S12) 이후,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는 판매상품 저장 내역에 포함된 판매상품 중 판매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선택 정보, 그리고 각 판매상품에 대한 판매가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뒤, 판매상품 선택 정보, 판매가 정보를 각 판매자의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판매상품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함으로써, 판매상품에 대한 오픈마켓 상으로의 등록을 완료한다(S13).
단계(S13) 이후,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는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의 자동실행 요청을 대기한 뒤, 자동실행 요청을 수신시,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판매상품 저장 내역에 포함된 각 판매상품에 대한 판매할당량이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마켓 서버(600)로 각 판매상품의 판매상품 정보, 판매할당량, 판매가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판매상품에 대한 오픈마켓 상에서의 판매를 개시하도록 등록을 완료한다(S14).
단계(S14) 이후,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는 각 오픈마켓 서버(600)로 판매상품에 대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주문자 단말(미 도시)의 주문 요청이 실시간으로 수신되면, 실시간으로 주문 수량 정보를 수집하여 판매상품을 제공하는 판매자의 통합 ID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에서 섭트랙션(subtraction) 연산을 수행하고, 연산 결과에 해당하는 실시간 제공 가능 수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판매자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업데이트 한다(S15).
단계(S15) 이후,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각 오픈마켓 서버(600)에 대한 각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주문 내역 중 판매상품별로 출고 상태 정보에 대한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여 출고 상태 정보를 수신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판매자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업데이트한다(S16).
단계(S16) 이후,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는 각 판매상품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330)에서 각 오픈마켓 서버(600)에 대해 지정된 판매할당량에서 주문 내역, 출고 상태에 대한 전체의 합산 정보를 생성한 뒤, 주문 내역 합산 수량이 판매상품에 대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을 초과하는 주문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7).
단계(S17) 이후,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는 출고 상태 합산 수량이 판매상품에 대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을 초과하는 경우 판매상품을 품절 상품으로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300)에 판매자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업데이트한다(S18).
한편, 단계(S18)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는 분석 결과 주문 내역 합산 수량이 판매상품에 대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을 초과하나, 출고 상태 합산 수량이 판매상품에 대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로 통지를 받은 경우, 판매상품을 제공한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한 판매가에 대한 조정 요청을 질의하는 메시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한다.
또한,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는 판매가 조정 요청과 함께, 상향 조정된 판매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330)에 판매자의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한 뒤, 출고 준비 중인 판매상품을 구매한 주문자 단말(미 도시)에 대한 상품 품절로 인한 가격 조정 질의를 전송하고, 가격 조정에 합의한 주문자 단말(미 도시) 중 판매상품에 대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에서 주문 내역 합산 수량을 섭트랙션한 수량에 대해서 선착순으로 우선 권한을 설정한다.
또한,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는 우선 권한을 설정한 주문자 단말로부터 주문 요청을 받은 오픈마켓 서버(600)로 판매상품에 대한 AI 기능에 의해 상향 조정된 판매가 정보와 함께 출고 요청을 전송하여, 출고가로 상향 조정된 판매가 정보에 해당하는 판매상품에 대한 출고를 진행하도록 한다.
또한,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는 출고 요청을 수신한 오픈마켓 서버(600)에 의한 출고 처리에 따라 송장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한 뒤,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판매자의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송장 정보 관리를 수행한다.
한편,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는 우선 권한을 설정하지 않은 주문자 단말로부터 주문 요청을 받은 오픈마켓 서버(600)로 판매상품에 대한 출고를 진행하지 말고 품절 처리하도록 하는 품절처리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오픈마켓의 특성으로 인기가 많은 판매상품에 대한 품절 전에 사전에 가격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가격 조정이 없는 품절이 예정된 인기 판매상품에 대한 기존 오픈마켓 서비스 시스템에 비해 빠른 품절 처리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은 도 1의 구성요소 외에, 각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으로 1:1 방식에 따라 개별적으로 연결된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HMD(1)로 이루어지는 HMD 집합(1g)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중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의 제어부(320)는 도 2의 구성요소 외에 VR 서비스 관리모듈(327) 및 VR 서비스 제공모듈(328)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VR 서비스 관리모듈(327)은 각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로그인의 경우, 판매자가 판매하는 판매 상품에 대한 각 오픈마켓 서버(600)에서의 판매량, 그리고 판매에 따른 판매할당량에서 잔존하는 판매상품을 각 오픈마켓 서버(600)에 의해 지정된 배경화면에 2차원 영상 또는 VR(Virtual Reality) 영상으로 생성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VR 영상을 자신과 페어링(pairing)된 HMD(1)로 양안 영상을 제공하되, 최초 판매할당량의 과적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판매량에 따른 과적량이 변화하는 영상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VR 서비스 관리모듈(327)로부터 2차원 영상 수신에 따라 VR 영상을 생성시, 하나의 오픈마켓 배경화면을 중심으로 2개의 초점위치와 초점수를 결정한 뒤, 결정된 2개의 초점위치와 초점수에 대응하는 2개 다중 초점 2차원 영상 데이터가 획득되면, 2개 다중 초점 2차원 영상 데이터에 대한 2개의 초점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이후, 각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연산된 2개의 초점거리에 반비례하는 2개의 깊이값을 연산하고, 2개의 깊이값에 따라 2개 다중 초점 2차원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고, 2개의 다중 초점 2차원 영상 데이터 중, 영시차(Zero Parallax) 영상 데이터와 양시차(Positive Parallax) 영상 데이터와 음시차(Negative Parallax)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고, 확인된 영시차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시차 영상 데이터에 대한 시차각을 기반으로 양시차 방향 픽셀 이동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영시차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시차 영상 데이터에 대한 시차각을 기반으로 음시차 방향 픽셀 이동 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각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확인된 양시차 방향 픽셀 이동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시차 영상 데이터에 적용하고, 확인된 음시차 방향 픽셀 이동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시차 영상 데이터에 적용하여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VR 서비스 제공모듈(328)은 각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각 판매상품에 대한 추가적인 제공 가능 수량 정보를 수신하여, 판매자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페어링된 HMD(1)의 카메라를 통해서 판매자의 손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활용하여, 판매자에 의한 손동작이 미리 설정된 제스처를 구현하는 영상을 HMD(1)로부터 인식시, 판매상품에 대한 미리 설정된 수량의 상향 조절 요청으로 분석한 뒤, 분석된 추가적인 제공 가능 수량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VR 서비스 제공모듈(328)에 의한 데이터베이스(330) 업데이트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HMD(Head Mounted Display)
1 : HMD 집합
100 :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
100g :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 집합
200 : 네트워크
300 :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
310 : 송수신부
320 : 제어부
321 : 통합 로그인 관리모듈
322 : 상품 등록모듈
323 : 데이터 파싱모듈(data parsing module)
324 : 송장 관리모듈
325 : 품절 상품 관리모듈
326 : 통합 정보 관리모듈
326a : 품절 정보 처리수단
326b : AI 기반 예측 처리 수단
326c : 추가 등록 처리 수단
326d : 빅데이터 관리 수단
327 : VR 서비스 관리모듈
328 : VR 서비스 제공모듈
330 : 데이터베이스
400 : 빅데이터 서버
500 : AI 서비스 제공 서버
600 : 오픈마켓 서버
600g : 오픈마켓 서버 집합

Claims (2)

  1. 복수의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이루어지는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 집합(100g), 네트워크(200),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 빅데이터 서버(400), 복수의 오픈마켓 서버(600)로 이루어지는 오프마켓 서버 집합(600g)을포함하는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복수의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액세스(access)를 허여하여 통신 채널을 설정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200)를 통해 복수의 오픈마켓 서버(600)에 의한 액세스(access)를 통해 통신 채널을 설정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네트워크(200)를 통한 각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통합 ID 및 통합 비밀번호를 통한 로그인이 수행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통합 ID와 통합 비밀번호에 대한 데이터베이스(330)를 통한 대조작업을 통해 일치하는 경우, 하나의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의 통합 ID와 매칭되어 저장된 각 오픈마켓 서버(600)로의 개별 ID 및 개별 비밀번호를 추출하는 통합 로그인 관리모듈(321);
    각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된 판매상품 정보(판매상품의 가격, 판매상품의 명칭, 종류, 제공 가능 수량, 주문이나 배송 처리 정보, 또는 질의응답을 포함하는 커스터머 서비스(CS) 정보, 판매상품의 판매량, 판매상품의 판매여부를 포함)를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하며, 자동으로 각 오픈마켓 서버(600)에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여 각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의 판매상품 정보별로 각 오픈마켓 서버로 등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상품 등록모듈(322);
    판매상품을 등록한 오픈마켓 서버(600)의 판매상품 정보에 대한 일괄적 또는 부분적 변경 데이터를 전달받은 뒤, 변경 데이터를 전송한 오픈마켓 서버 외의 다른 오픈마켓 서버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되,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해서 판매상품 정보 중 선택된 판매상품의 명칭에 대한 제공 가능 수량을 추출한 뒤,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한 뒤, 복수의 오픈마켓 서버(6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판매할당량(전체 제공 가능 수량 범위 내에서 하나 이상의 오픈마켓 서버(600)에 대해서 구분하여 판매자가 제공하려는 판매상품의 수량)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며, 하나의 판매상품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마켓 서버(600)에 할당된 판매할당량을 판매상품을 취급하는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통합 ID로 지정하여 데이터베이스(630)에 저장한 뒤, 판매자가 취급하는 모든 판매상품에 대한 오픈마켓 서버(600)별 할당 판매할당량에 해당하는 판매상품 저장 내역을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판매상품 저장 내역에 포함된 판매상품 중 판매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선택 정보, 그리고 각 판매상품에 대한 판매가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판매상품 선택 정보, 판매가 정보를 각 판매자의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판매상품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여 판매상품에 대한 오픈마켓 상으로의 등록을 완료하며, 판매상품에 대한 오픈마켓 상으로의 등록 완료와 함께 완료 이후,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의 자동실행 요청을 대기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며, 자동실행 요청을 수신시,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판매상품 저장 내역에 포함된 각 판매상품에 대한 판매할당량이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픈마켓 서버(600)로 각 판매상품의 판매상품 정보, 판매할당량, 판매가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여, 판매상품에 대한 오픈마켓 상에서의 판매를 개시하도록 등록을 완료하며, 각 오픈마켓 서버(600)로 판매상품에 대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주문자 단말의 주문 요청이 실시간으로 수신되면, 실시간으로 주문 수량 정보를 수집하여 판매상품을 제공하는 판매자의 통합 ID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에서 섭트랙션(subtraction) 연산을 수행하고, 연산 결과에 해당하는 실시간 제공 가능 수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에 판매자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데이터 파싱모듈(323);
    미리 설정된 주기로 각 오픈마켓 서버(600)에 대한 각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주문 내역 중 판매상품별로 출고 상태 정보에 대한 요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여 출고 상태 정보를 수신한 뒤, 데이터베이스(330)에 판매자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송장 관리모듈(324);
    하나의 판매상품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330)에서 각 오픈마켓 서버(600)에 대해 지정된 판매할당량에서 주문 내역, 출고 상태에 대한 전체의 합산 정보를 생성한 뒤, 주문 내역 합산 수량이 판매상품에 대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을 초과하는 주문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출고 상태 합산 수량이 판매상품에 대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을 초과하는 경우 판매상품을 품절 상품으로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300)에 판매자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품절 상품 관리모듈(325);
    각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로그인의 경우, 판매자가 판매하는 판매 상품에 대한 각 오픈마켓 서버(600)에서의 판매량, 그리고 판매에 따른 판매할당량에서 잔존하는 판매상품을 각 오픈마켓 서버(600)에 의해 지정된 배경화면에 2차원 영상 또는 VR(Virtual Reality) 영상으로 생성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여, 각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 상에서 수신된 VR 영상을 자신과 페어링(pairing)된 HMD(1)로 양안 영상을 제공시, 최초 판매할당량의 과적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판매량에 따른 과적량이 변화하는 영상이 생성되어 제공되도록 하며, 각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 상에서 2차원 영상 수신에 따라 VR 영상을 생성시 하나의 오픈마켓 배경화면을 중심으로 2개의 초점위치와 초점수를 결정한 뒤, 결정된 2개의 초점위치와 초점수에 대응하는 2개 다중 초점 2차원 영상 데이터가 획득되면, 2개 다중 초점 2차원 영상 데이터에 대한 2개의 초점거리를 연산하여, 연산된 2개의 초점거리에 반비례하는 2개의 깊이값을 연산하고, 2개의 깊이값에 따라 2개 다중 초점 2차원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고, 2개의 다중 초점 2차원 영상 데이터 중, 영시차(Zero Parallax) 영상 데이터와 양시차(Positive Parallax) 영상 데이터와 음시차(Negative Parallax)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고, 확인된 영시차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시차 영상 데이터에 대한 시차각을 기반으로 양시차 방향 픽셀 이동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영시차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시차 영상 데이터에 대한 시차각을 기반으로 음시차 방향 픽셀 이동 정보를 확인하여 확인된 양시차 방향 픽셀 이동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시차 영상 데이터에 적용하고, 확인된 음시차 방향 픽셀 이동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시차 영상 데이터에 적용하여 좌안 영상 데이터와 우안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되도록 하는 VR 서비스 관리모듈(327);
    각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로부터 각 판매상품에 대한 추가적인 제공 가능 수량 정보를 수신하여, 판매자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며,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 상에서 페어링된 HMD(1)의 카메라를 통해서 판매자의 손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활용하여, 판매자에 의한 손동작이 미리 설정된 제스처를 구현하는 영상을 HMD(1)로부터 인식시, 판매상품에 대한 미리 설정된 수량의 상향 조절 요청으로 분석한 뒤, 분석된 추가적인 제공 가능 수량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시, 데이터베이스(330) 업데이트가 수행되도록 하는 VR 서비스 제공모듈(328); 및 통합 정보 관리모듈(326); 을 포함하며,
    통합 정보 관리모듈(326)은,
    품절 상품 관리모듈(325)에 의한 분석 결과 주문 내역 합산 수량이 판매상품에 대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을 초과하나, 출고 상태 합산 수량이 판매상품에 대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로 통지를 받은 경우, 판매상품을 제공한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한 판매가에 대한 조정 요청을 질의하는 메시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00)를 제어하며, 판매가 조정 요청과 함께, 상향 조정된 판매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330)에 판매자의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한 뒤, 출고 준비 중인 판매상품을 구매한 주문자 단말에 대한 상품 품절로 인한 가격 조정 질의를 전송하고, 가격 조정에 합의한 주문자 단말 중 판매상품에 대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에서 주문 내역 합산 수량을 섭트랙션한 수량에 대해서 선착순으로 우선 권한을 설정함으로써, 우선 권한을 설정한 주문자 단말로부터 주문 요청을 받은 오픈마켓 서버(600)로 판매상품에 대한 상향 조정된 판매가 정보와 함께 출고 요청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여 출고가로 상향 조정된 판매가 정보에 해당하는 판매상품에 대한 출고를 진행하도록 한 뒤, 출고 요청을 수신한 오픈마켓 서버(600) 상에서 출고에 따라 송장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오픈마켓 통합 관리서버(300)로의 전송에 의해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판매자의 통합 ID를 메타데이터로 하여 송장 정보 관리를 수행하며, 우선 권한을 설정하지 않은 주문자 단말로부터 주문 요청을 받은 오픈마켓 서버(600)로 판매상품에 대한 출고를 진행하지 말고 품절 처리하도록 하는 품절처리 요청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하는 품절 정보 처리수단(326a); 및
    품절 정보 처리수단(326a)에 의한 오픈마켓 서버(600)에 대한 판매상품에 대한 품절 처리 또는 가격 조정 요청 전에, 또는 미리 설정된 재고 확인 주기에 네트워크(200)를 통해 판매상품을 취급하는 판매자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한 재고 추가 요청을 전송하여 추가 제공 가능 수량을 추가로 데이터베이스(330)에 업데이트를 수행하며, 판매상품의 추가 제공 가능 수량에 대해서 전체 제공 가능 수량에 대한 오픈마켓 서버(600)별로 구분된 판매할당량 비율을 연산한 뒤, 판매할당량 비율로 추가 제공 가능 수량을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업데이트하여, 오픈마켓에 대해서는 판매자의 판매상품에 대한 재고가 여유가 있으면서 품절 처리되지도 않으면서 판매자에 의한 자의로 각 오픈마켓에서 판매할당량을 제한하는 폐단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픈 마켓에서도 오픈마켓 판매 계획 수립에도 도움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추가 등록 처리 수단(326c);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2. 삭제
KR1020180029100A 2018-03-13 2018-03-13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그리고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 KR101903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100A KR101903330B1 (ko) 2018-03-13 2018-03-13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그리고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100A KR101903330B1 (ko) 2018-03-13 2018-03-13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그리고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330B1 true KR101903330B1 (ko) 2018-10-01

Family

ID=63877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100A KR101903330B1 (ko) 2018-03-13 2018-03-13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그리고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3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544B1 (ko) * 2019-11-13 2020-08-21 (주)이노가드 구매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07804B1 (ko) 2021-10-13 2022-06-10 박예원 도매상 기반 의류 잡화 판매 및 구매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54886B1 (ko) * 2023-02-23 2023-07-12 주식회사 솔레벤처스 오픈마켓 데이터 분석 기반 광고 효율성 극대화 플랫폼
KR102563095B1 (ko) * 2023-02-23 2023-08-03 주식회사 솔레벤처스 Ai 기반 오픈마켓 통합관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544B1 (ko) * 2019-11-13 2020-08-21 (주)이노가드 구매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07804B1 (ko) 2021-10-13 2022-06-10 박예원 도매상 기반 의류 잡화 판매 및 구매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54886B1 (ko) * 2023-02-23 2023-07-12 주식회사 솔레벤처스 오픈마켓 데이터 분석 기반 광고 효율성 극대화 플랫폼
KR102563095B1 (ko) * 2023-02-23 2023-08-03 주식회사 솔레벤처스 Ai 기반 오픈마켓 통합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330B1 (ko) Ai 기능을 가진 오픈마켓 통합 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그리고 오픈마켓 통합 관리 방법
CN109647719B (zh) 用于分拣货物的方法和装置
US10354317B2 (en) Inventory management
CN110866709B (zh) 合并订单的方法和装置
US10839443B2 (en) Real-time context based recipe recommendation system
JP7146759B2 (ja) 小売環境における人的および非人的リソースの最適化
CN105763580B (zh) 一种数据信息分享方法及装置
CN107346315B (zh) 对象数据关联索引系统及该系统的构建与应用方法
US10621646B2 (en) Cognitive recommendation engine to selectively identify using data analytics complementary product(s)
KR20150053443A (ko) 물류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JP2023550084A (ja) イベントを識別するためのセンサデータの分析
KR102347539B1 (ko) 수입 판매를 위한 정보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1087382B2 (en) Adapting digital order to venue service queue
US20180150901A1 (en) Order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KR20200093749A (ko) 복수의 셀러들이 입점된 오픈 마켓 플랫폼을 이용한 셀러 입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00589B1 (ko) 수입 가구 납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44302A (ko) 실시간 원스톱 상품정보 통합관리 솔루션
KR102288403B1 (ko) Sns 기반 한 벌 가구 원스톱 제공 시스템
US10586204B2 (en) Dynamically adjusting a safety stock level
US11030541B1 (en) Proactive resolution of event information
KR20160061277A (ko) Ux기반의 중소기업 포털 서비스 시스템
KR101826405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형태의 오픈 마켓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0751237A (zh) 一种基于一物一码的产品管理方法
KR20180075809A (ko) 실시간 원스톱 재화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57717B1 (ko) 상품 정보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