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282B1 -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282B1
KR101903282B1 KR1020170057232A KR20170057232A KR101903282B1 KR 101903282 B1 KR101903282 B1 KR 101903282B1 KR 1020170057232 A KR1020170057232 A KR 1020170057232A KR 20170057232 A KR20170057232 A KR 20170057232A KR 101903282 B1 KR101903282 B1 KR 101903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lower channel
horizontal plate
channel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진
Priority to KR1020170057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2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07Longitudinal elements having an open profile, with the opening parallel to the concrete or masonry surface, i.e. anchoring rails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공이 형성된 상부 채널 수평판의 2개부가 절곡되어 2개의 상부 채널 수직판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상부 채널 수직판이 일정 각도의 내각으로 절곡되어 상부 채널 꺾음부의 끝단이 마주보게 연장 형성된 상부 채널;
체결공이 형성된 하부 채널 수평판의 2개부가 절곡되어 2개의 하부 채널 수직판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2개의 하부 채널 수직판이 일정 각도의 내각으로 절곡되어 하부 채널 꺾음부의 끝단이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부 채널; 및
외측면에 나사산과 나사골이 형성된 나선축으로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의 체결공과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과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을 연결하는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의 체결공을 관통하는 상기 나사의 상기 나선축의 일단에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을 위치시키고,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의 상면 및 하면 위치에, 상기 나사와 나사 체결된 너트를 각각 두어 상기 너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의 위치를 상하로 조정함으로써,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과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이 상기 나선축 상에서 일정 간격으로 마주보게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level controlable fixed angle system}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고정 앵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채널을 나사와 너트로 결합하고 이를 통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립되어 고정된 후 외부의 힘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공사 현장에서 채널을 콘크리트에 매립하는 시공 시, 채널과 앵커가 일정 규격으로 고정되어 있어서, 공사 현장의 사정에 따라 채널의 높이 조절이 필요할 경우에도 채널의 높이 조절이 힘든 실정이다.
공사현장에서는 많은 수의 채널이 매립되고 있는데, 매립 위치와 환경에 따라 채널의 높이가 예상했던 것보다 더 높게 또는 더 낮게 요구되는 경우들이 있다. 그러한 경우 별도의 다른 규격의 채널을 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거나, 채널이 콘크리트에 충분히 매립되지 않거나 지나치게 많이 매립되는 등 균일하게 매립되지 않아 부실시공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KR20-0480623Y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의 사용자들이 채널을 매립하는데 있어서, 현장 여건에 필요한 만큼의 채널의 높이를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된 채널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어서, 높낮이가 고정된 기존 채널을 대체할 수 있는 채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은, 체결공이 형성된 상부 채널 수평판의 2개부가 절곡되어 2개의 상부 채널 수직판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상부 채널 수직판이 일정 각도의 내각으로 절곡되어 상부 채널 꺾음부의 끝단이 마주보게 연장 형성된 상부 채널, 체결공이 형성된 하부 채널 수평판의 2개부가 절곡되어 2개의 하부 채널 수직판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2개의 하부 채널 수직판이 일정 각도의 내각으로로 절곡되어 상부 채널 꺾음부의 끝단이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부 채널, 외측면에 나사산과 나사골이 형성된 나선축으로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과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과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을 연결하는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의 체결공을 관통하는 상기 나사의 상기 나선축의 일단에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을 위치시키고,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의 상면 및 하면 위치에, 상기 나사와 나사 체결된 너트를 각각 두어 상기 너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의 위치를 상하로 조정함으로써,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과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이 상기 나선축 상에서 일정 간격으로 마주보게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의 상부 채널 수직판이 절곡되어 형성된 내각이 70도 내지 90도이다.
또한, 상기 2개의 하부 채널 수직판이 절곡되어 형성된 내각이 70도 내지 90도이다.
또한, 상기 나사의 타단에 하부 채널 수평판의 체결공의 지름보다 지름이 큰 나사머리부가 있어, 상기 나사를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의 체결공에 관통시켜 상기 나사와 상기 하부 채널을 연결할 때, 상기 하부 채널의 수평판이 상기 나사머리부에 밀착하여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부 채널 수평면의 상면의 체결공 주변에 상기 나사의 지름보다 지름이 큰 용접부를 두어, 상기 나사와 상기 하부 채널 수평면을 용접 결합 시 용접 면적을 넓힘으로써 보다 단단한 용접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나사의 타단에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의 체결공의 지름보다 작은 고정부를 두고, 상기 고정부를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의 체결공에 관통시켜 상기 하부 채널을 상기 나사의 타단에 연결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가 시작되는 위치에 상기 나사의 지름보다 지름이 큰 접합부를 두어, 상기 나사와 상기 하부 채널 수평면을 용접 결합 시 용접 면적을 넓힘으로써 보다 단단한 용접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나사의 나사축은 나사산과 나사골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나사골에 일부 콘크리트가 압입되어 상기 나사가 콘크리트에서 쉽게 뽑히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의 사용자들이 채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고정 앵글 시스템이 외부의 힘에 의해 파손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의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의 상부 채널의 저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의 하부 채널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의 나사와 나사머리부의 측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의 너트의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의 측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의 나사와 접합부, 및 고정부의 측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의 하부 채널의 평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상부 채널(101) 또는 상기 하부 채널(201)은 벽면, 보강재 또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상부 채널(101) 또는 상기 하부 채널(201)은 체결공이 형성되어, 형성된 상기 체결공에 상기 나사(301)가 삽입되어 고정 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채널(201)은 벽면, 보강재 또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채널 수직판(203)의 2개부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도 있고, 상기 하부 채널 꺾음부(20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채널 꺾음부(204)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채널 수직판(203)과 상기 하부 채널 꺾음부(204)에 형성된 내각은 70도 내지 90도로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사용 의도에 따라, 절곡되어 형성되는 내각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채널 꺾음부(204)는 벽면, 보강재 또는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채널(201)이 뽑히는 방향으로 힘을 받을 시 벽면, 보강재 또는 콘크리트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뽑히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지닐 수 있다.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202)은 상기 체결공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체결공으로 상기 나사(301)가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나사의 타단에 하부 채널 수평판의 체결공의 지름보다 지름이 큰 나사머리부가 있어, 상기 나사를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의 체결공에 관통시켜 상기 나사와 상기 하부 채널을 연결할 때, 상기 하부 채널의 수평판이 상기 나사머리부에 밀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202)과 상기 나사(301)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의 상면 체결공 주변에 상기 나사의 지름보다 지름이 큰 용접부를 두어, 상기 나사와 상기 하부 채널 수평면을 용접 결합 시 상기 용접부의 면적이 넓어 쉽게 용접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채널에 상향으로 인장 외력이 작용할 경우, 상기 나사의 나사머리부에 상기 인장 외력이 집중되는데, 상기 체결공의 주변은 상기 나사머리부와 닺아 있어 상기 인장 외력이 크게 작용하여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체결공의 주변은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상기 체결공 주변을 나사(301)와 용접할 수 있는 용접부(205)로 사용할 수 있다.
외측면에 나사산과 나사골이 형성된 상기 나사의 나선축으로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102)의 체결공과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202)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102)과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202)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나사(301)의 나사머리부(302)는 둥근 형태 또는 각이 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202)의 체결공보다 지름이 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301)의 나사산과 나사골은 상기 너트(401)의 회전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너트(401)의 이동을 통해 상기 상부 채널(101)과 상기 하부 채널(201)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채널(101), 상기 나사(301), 및 상기 하부 채널(201)이 벽면, 보강재 또는 콘크리트에 매립될 경우, 콘크리트가 나사골까지 압입되어 마찰저항을 올리는 효과가 있어, 높은 인장하중을 받더라도 기존의 앵커 채널에 비해 콘크리트에서 쉽게 뽑히지 않고 콘크리트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채널(101)은, 체결공이 형성된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102)과,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102)의 2개부가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상기 2개의 상부 채널 수직판(103)과, 상기 2개의 상부 채널 수직판(103)이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끝단이 마주보는 형태의 상기 상부 채널 꺾음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채널(101)은 벽면, 보강재 또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채널 수직판(103)과 상기 상부 채널 꺾음부(104)가 이루는 내각은 70도 내지 90도로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사용 의도에 따라, 상기 내각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채널(101)의 일부 또는 전체가 벽면, 보강재 또는 콘크리트에 매립된 후 상기 상부 채널 꺾음부(104)에 사용자가 의도에 따라 부가적인 장비 또는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102)에 상기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공을 통하여 상기 나사(301)가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는 상기 나사(301)의 상기 나선축의 일단에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102)을 위치시키고,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의 상면(105) 및 하면(106) 위치에 각각 너트(401)를 두고, 상기 너트(40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102)의 위치를 상하로 조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너트(401)의 지름은 상기 체결공의 지름보다 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상부 채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202)에 형성된 체결공에 상기 나사(301)가 관통하며, 상기 나사(301)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머리부(302)가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202)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나사머리부(302)는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202)의 체결공의 지름보다 커서, 상기 나사(301)가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202)의 체결공을 완전히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나사(301)의 일단은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102)의 체결공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너트(401)는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의 상면(105) 및 하면(106)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너트(40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102)의 위치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의 상부 채널의 저면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채널(101)의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102)은 체결공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102)의 체결공을 상기 나사(301)가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나사(301)와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102)은 상기 너트(401)를 좌우로 회전시켜 결합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의 하부 채널 평면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202)은 상기 체결공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체결공의 주변에는 상기 용접부(205)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접부(205)는 상기 체결공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용접부(205)는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202)의 두께보다 두껍거나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202)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접부(205)는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202)과 상기 나사(301)를 결합할 때 사용자가 용접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202)과 상기 나사(301)가 결합되는 지점은 외부 인장력이 작용할 경우, 큰 외부 인장력을 받아 파손될 수 있는데, 상기 용접부(205)는 이러한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지닐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의 나사와 나사머리부의 측면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 나사(301)는 외측면에 나사산과 나사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202)의 체결공에 꽂을 때 상기 나사(301)가 상기 체결공을 통과하여 빠져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나선축의 일단에는 돌출된 나사머리부(3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머리부(302)는 각이 진 형태로 다각형의 형태가 될 수 있고, 둥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301)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골은 상기 나사(301)와 상기 상부 채널(101), 상기 하부 채널(201)이 매립될 시에, 벽면 또는 외장재 또는 콘크리트와 밀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의 너트의 평면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상기 너트(401)는 상기 나사(301)와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너트(401)의 외경은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102)의 체결공 또는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202)의 체결공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301)와 결합 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너트(40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 채널의 위치를 상하로 조정할 수 있고, 의도치 않은 외부의 힘에 의해서 상기 너트(401)는 상하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상기 나사의 타단에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의 체결공의 지름보다 지름이 같거나 작은 고정부(304)를 두고, 상기 고정부(304)를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202)의 체결공에 관통시켜 상기 하부 채널을 상기 나사의 타단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304)가 시작되는 위치에 상기 나사의 지름보다 지름이 큰 접합부를 둘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4)가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202)의 체결공을 관통하지만, 상기 접합부(303)의 지름이 상기 하부채널 수평판(202)의 체결공의 지름보다 커서 걸림 턱 역할을 하기에, 상기 나사(301)는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202)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완전히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로봇을 이용해 상기 하부 채널(201)과 상기 나사(301)를 자동 용접하는 동안, 특별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나사(301)를 고정이나 지지하지 않더라도, 상기 나사(301), 상기 접합부(303), 및 상기 고정부(304)의 무게만으로 상기 나사(301)는 상기 하부 채널(201)에 임시 결합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의 나사의 접합부 및 고정부의 측면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상기 나사(301)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부(30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4)가 시작되는 위치에 상기 나사의 지름보다 지름이 큰 접합부를 둘 수 있다. 상기 접합부(303)의 지름은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202)의 체결공의 지름보다 클 수 있으며, 상기 접합부(303)는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202)의 체결공을 관통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4)의 지름은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202)의 체결공의 지름과 같거나 작으며, 상기 고정부(304)는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202)의 체결공을 관통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의 하부 채널의 평면도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1 : 상부 채널 102 : 상부 채널 수평판
103 : 상부 채널 수직판 104 : 상부 채널 꺾음부
105 : 상부 채널 수평판의 상면 106 : 상부 채널 수평판의 하면
201 : 하부 채널 202 : 하부 채널 수평판
203 : 하부 채널 수직판 204 : 하부 채널 꺾음부
205 : 용접부 301 : 나사
302 : 나사머리부 303 : 접합부
304 : 고정부 401 : 너트

Claims (8)

  1. 체결공이 형성된 상부 채널 수평판의 2개부가 절곡되어 2개의 상부 채널 수직판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상부 채널 수직판이 일정 각도의 내각으로 절곡되어 상부 채널 꺾음부의 끝단이 마주보게 연장 형성된 상부 채널;
    체결공이 형성된 하부 채널 수평판의 2개부가 절곡되어 2개의 하부 채널 수직판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2개의 하부 채널 수직판이 일정 각도의 내각으로 절곡되어 하부 채널 꺾음부의 끝단이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부 채널; 및
    외측면에 나사산과 나사골이 형성된 나선축으로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의 체결공과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과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을 연결하는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의 체결공을 관통하는 상기 나사의 상기 나선축의 일단에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을 위치시키고,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의 상면 및 하면 위치에, 상기 나사와 나사 체결된 너트를 각각 두어 상기 너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의 위치를 상하로 조정함으로써, 상기 상부 채널 수평판과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이 상기 나선축 상에서 일정 간격으로 마주보게 위치하도록 조절하고,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의 상면 체결공 주변에 상기 나사의 지름보다 지름이 큰 용접부를 두어, 상기 나사와 상기 하부 채널 수평면을 용접 결합 시 상기 용접부의 면적이 넓어 쉽게 용접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상부 채널 수직판이 절곡되어 형성된 내각이 70도 내지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하부 채널 수직판이 절곡되어 형성된 내각이 70도 내지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의 타단에 하부 채널 수평판의 체결공의 지름보다 지름이 큰 나사머리부가 있어, 상기 나사를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의 체결공에 관통시켜 상기 나사와 상기 하부 채널을 연결할 때, 상기 나사가 상기 체결공을 완전히 빠져 나가지 않고, 상기 하부 채널의 수평판이 상기 나사머리부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의 타단에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의 체결공의 지름보다 지름이 같거나 작은 고정부를 두고, 상기 고정부를 상기 하부 채널 수평판의 체결공에 관통시켜 상기 하부 채널을 상기 나사의 타단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시작되는 위치에 상기 나사의 지름보다 지름이 큰 접합부를 두어, 상기 나사와 상기 하부 채널 수평면을 용접 결합 시 용접 면적을 넓힘으로써 보다 단단한 용접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의 나선축은 나사산과 나사골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나사골에 일부 콘크리트가 압입되어 상기 나사가 콘크리트에서 쉽게 뽑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


KR1020170057232A 2017-05-08 2017-05-08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 KR101903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232A KR101903282B1 (ko) 2017-05-08 2017-05-08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232A KR101903282B1 (ko) 2017-05-08 2017-05-08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282B1 true KR101903282B1 (ko) 2018-10-02

Family

ID=63863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232A KR101903282B1 (ko) 2017-05-08 2017-05-08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28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6593B2 (en) Adjustable drain
US8407949B2 (en) Screw-in ground anchor
US8117787B2 (en) Construction support
US11512491B2 (en) Hollow post anchoring systems for decking and related methods
KR100728793B1 (ko) 위치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천정패널 고정행거
CA3096945A1 (en) Adjustable pedestal for partition
US10794035B2 (en) Fastener for construction element
DK178955B1 (da) Forankringssystem til montage på tage samt anvendelse af sådan et forankringssystem
US20040103599A1 (en) Ground anchor
CN205065190U (zh) 锚固系统
EP2216466A1 (en) System for fall protection
KR101093185B1 (ko) 연속 벽체용 각도 조절 브라켓
KR101940788B1 (ko) 데크로드용 멍에 고정 장치
KR101903282B1 (ko) 높낮이 조절 고정 앵글 시스템
US9850659B2 (en) Method of attaching a hanger to a deck
JP6148099B2 (ja) 天井落下防止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102817895A (zh) 固定装置
CN207761063U (zh) 高度可调节的预埋件
KR200384367Y1 (ko) 건축용 서포트
JP2016196756A (ja) 天井落下防止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145555Y1 (ko) 발코니 난간 거푸집 고정 지지대 구조
KR200490234Y1 (ko) 결속력이 향상된 난간대 결합장치
KR20140001884U (ko) 펜스 지주각도 조절장치
JP5940322B2 (ja) 柱の据え付け具
JP5264002B1 (ja) 手す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