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106B1 - 악취 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악취 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106B1
KR101903106B1 KR1020170121940A KR20170121940A KR101903106B1 KR 101903106 B1 KR101903106 B1 KR 101903106B1 KR 1020170121940 A KR1020170121940 A KR 1020170121940A KR 20170121940 A KR20170121940 A KR 20170121940A KR 101903106 B1 KR101903106 B1 KR 101903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izer
concentration
gas
temperature
re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봉
Original Assignee
현진이너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진이너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진이너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1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1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악취가스를 정화하는 악취 정화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악취 정화 시스템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악취가스를 정화하여 배출구로 정화가스를 배출하는 탈취기, 상기 탈취기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정화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제 1 감지부, 상기 탈취기의 유입구로 유입되는 악취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제 2 감지부 및 상기 제 1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화가스 농도와 상기 제 2 감지부에서 감지된 악취가스 농도를 비교하여 상기 탈취기의 정상동작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악취 정화 시스템{Bad smell pur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악취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탈취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고 탈취기 정화능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악취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수처리장(양돈장, 축산 폐수처리장, 도살장, 식품공장, 각종 화학공장 등 포함)에서 발생하는 악취가스의 성분은 크게 황계(sulfur) 악취, 질소계(nitrogen) 악취, 및 휘발성 유기물질계(VOCs) 악취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악취 성분들은 물과 CO2로 전환됨으로써 그 악취가 제거될 수 있다.
악취는 육안으로 식별이 곤란하고, 공장 굴뚝과 같은 단일 배출원을 통해서만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대기 중에 개방된 장치 설비에서 산발적으로 일어나 발생원이 다양하기 때문에 제거투자비에 비해 개선 효과가 상당히 낮다. 또한, 악취물질은 인간의 냄새 감각에 의해 감지되기 때문에 분석기기를 사용한 측정이 대단히 어렵고, 악취의 감지는 동일인이라 하여도 시간, 농도, 장소 및 성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수처리장에서는 농축슬러지 저류조, 슬러지 저류조 등에서 발생한 악취를 포집하여 탈취기에서 악취를 정화하여 대기로 방출하고 있다. 이와 같은 탈취기는 흡착물질을 이용하거나 미생물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탈취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악취를 정화하였는지를 감지하는데 인간의 냄새 감각에 의존하고 있는 상태이다. 즉, 탈취기 주변 또는 탈취기 배출구 주변에서 악취가 심해진다고 판단되면 탈취기 내부의 흡착물질이나 미생물을 교체하여 주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어, 탈취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자동적으로 모니터링 하거나 탈취기 내부 조건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탈취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고 탈취기 정화능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악취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악취가스를 정화하는 악취 정화 시스템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악취가스를 정화하여 배출구로 정화가스를 배출하는 탈취기, 상기 탈취기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정화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제 1 감지부, 상기 탈취기의 유입구로 유입되는 악취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제 2 감지부 및 상기 제 1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화가스 농도와 상기 제 2 감지부에서 감지된 악취가스 농도를 비교하여 상기 탈취기의 정상동작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정화가스의 농도가 제 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탈취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거나 상기 탈취기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에 대한 경고알림을 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악취가스 농도가 제 2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감지된 악취가스 농도와 상기 감지된 정화가스 농도의 차이가 비교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탈취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거나 상기 탈취기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에 대한 경고알림을 줄 수 있다.
상기 악취 정화 시스템은 상기 탈취기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환경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감지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탈취기 내부의 온도 조절량 또는 습도 조절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악취가스 농도가 제 3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탈취기의 동작을 오프하고 상기 감지된 악취가스 농도가 상기 제 3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탈취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악취 정화 시스템은 상기 탈취기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환경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1 범위 밖에 있는 경우 상기 탈취기 내부의 온도가 상기 제 1 범위 이내가 되도록 상기 탈취기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고, 상기 환경감지부에서 감지된 습도가 제 2 범위 밖에 있는 경우 상기 탈취기 내부의 습도가 상기 제 2 범위 이내가 되도록 상기 탈취기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탈취기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악취를 정화하는 탈취기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정화가스의 농도가 제 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탈취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거나 상기 탈취기 내부의 미생물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활성화제를 투입하거나 상기 탈취기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에 대한 경고알림을 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악취가스 농도가 제 2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감지된 악취가스 농도와 상기 감지된 정화가스 농도의 차이가 비교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탈취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거나 상기 탈취기 내부의 미생물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활성화제를 투입하거나 상기 탈취기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에 대한 경고알림을 줄 수 있다.
상기 악취 정화 시스템은 상기 탈취기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환경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감지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탈취기 내부의 온도 조절량 또는 습도 조절량을 결정하거나 상기 활성화제의 투입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악취가스를 정화하는 악취 정화 시스템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악취가스를 정화하여 배출구로 정화가스를 배출하는 탈취기, 상기 탈취기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정화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제 1 감지부 및 상기 제 1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화가스 농도가 제 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탈취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거나 상기 탈취기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에 대한 경고알림을 주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정화 시스템은 탈취기에 유입되는 악취가스와 배출되는 정화가스의 농도를 감지하여 비교함으로써 탈취기의 정상동작 여부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기존에는 사람이 탈취기 주변의 냄새를 맡아 탈취기의 정상동작 여부를 모니터링하였으나 이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일관된 모니터링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탈취기의 현재 정화능력이 어느정도인지 감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정화 시스템은 감지부를 이용하여 탈취기에서 감지된 가스의 농도를 이용하여 탈취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다면 어느 정도 수준의 정화능력을 보여주고 있는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판단된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탈취기 내부의 온도 또는 습도를 조절하거나 미생물 활성화제를 투입함으로써 그에 따라 탈취기 내부 조건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항상 탈취기가 안정적으로 악취를 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정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탈취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정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정화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탈취기(1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정화 시스템(100)은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악취가스를 정화하면서 정상적으로 정화가 되고 있는지 모니터링함과 동시에 최적의 상태에서 악취를 정화할 수 있도록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하수처리장은 하수를 처리하는 공간 뿐 아니라 양돈장, 축산 폐수처리장, 도살장, 식품공장, 화학공장 등 악취가스가 발생하는 모든 곳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에서의 악취가스를 정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양돈장, 축산 폐수처리장, 도살장, 식품공장, 화학공장 등 악취가스가 발생하여 이를 정화할 필요가 있는 모든 곳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정화 시스템(100)은 탈취기(110), 제 1 감지부(120), 제 2 감지부(130) 및 제어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탈취기(110)는 유입구(113)를 통해 유입된 악취가스를 정화하여 배출구(115)를 통해 정화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탈취기(110)는 악취가스를 정화하여 배출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흡착방식, 미생물정화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는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기(110)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탈취기(110)는 제 1 필터(210), 제 2 필터(220) 및 수분공급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필터(210)는 유입구(113)를 통해 유입된 악취가스를 1차적으로 정화하는 부분이고, 제 2 필터(220)는 제 1 필터(21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악취가스를 2차적으로 정화하는 부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악취가스가 탈취기(110)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악취가스는 탈취기(110)의 상부공간으로 상승하면서 제 1 필터(210)를 통과하게 되어 1차적으로 정화되게 된다. 제 1 필터(210)를 통과한 악취가스는 탈취기(110) 내부에서 우측공간으로 수평 이동한 후 수분공급부(230)에서 제공하는 수분과 함께 탈취기(110)의 하부공간으로 이동하면서 제 2 필터(220)를 통과하게 되어 2차적으로 정화되게 된다. 제 2 필터(220)는 담체에 미생물이 고정된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악취가스가 이동하면서 미생물이 악취성분을 분해함으로써 상기 악취가스를 정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화된 정화가스는 배출구(115)를 통해 탈취기(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 1 감지부(120)는 탈취기(110)의 배출구(115)로 배출되는 정화가스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고, 제 2 감지부(130)는 탈취기(110)의 유입구(113)로 유입되는 악취가스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 1 감지부(120) 및 제 2 감지부(130)는 상기 정화가스 또는 상기 악취가스의 성분들에 대한 감지와 각각의 성분별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감지부(130)는 유입되는 상기 악취가스가 황화수소와 암모니아를 포함하고 있고, 황화수소의 농도는 1.5 ppm이고 암모니아의 농도는 50 ppm이라고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감지부(130)는 배출되는 상기 정화가스가 황화수소와 암모니아를 포함하고 있고, 황화수소의 농도는 0.3 ppm이고 암모니아의 농도는 10 ppm이라고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제 1 감지부(120) 및 제 2 감지부(130)에서 황화수소와 암모니아만 감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악취성분의 성분별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제 1 감지부(120) 및 제 2 감지부(130)는 상기 정화가스 또는 상기 악취가스의 성분별 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센서들에서 각각의 성분에 대한 농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감지부(120) 및 제 2 감지부(130)는 황화수소 감지 센서, 암모니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황화수소 감지 센서는 상기 악취가스 또는 상기 정화가스에서 황화수소 성분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암모니아 감지 센서는 상기 악취가스 또는 상기 정화가스에서 암모니아 성분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제 1 감지부(120) 및 제 2 감지부(130)에 포함될 수 있는 센서가 이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악취성분을 감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센서들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 1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정보와 제 2 감지부(130)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여 비교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 1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정화가스 농도와 제 2 감지부(130)에서 감지된 악취가스 농도를 비교하여 탈취기(110)의 정상동작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어부(140)에서 비교하는 정화가스의 농도와 악취가스의 농도는 동일한 성분의 농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상기 감지된 정화가스 중 황화수소의 농도와 상기 감지된 악취가스 중 황화수소의 농도를 비교하고, 상기 감지된 정화가스 중 암모니아의 농도와 상기 감지된 악취가스 중 암모니아의 농도를 비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40)는 상기 악취가스의 농도와 상기 정화가스의 농도를 비교함으로써 탈취기(1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또는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결과를 관제소나 관리자 등에게 전달하거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경고알람을 주거나 탈취기(110)의 정화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감지된 정화가스의 농도가 제 1 기준값 이상인 경우, 탈취기(1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탈취기(110)의 정화능력을 높이거나 탈취기(110)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에 대한 경고알림 등을 관리자 등에게 줄 수 있다. 상기 제 1 기준값은 상기 정화가스의 성분별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주변 온도, 습도, 풍향, 지리적 조건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된 정화가스의 농도가 상기 제 1 기준값 이상이라는 것은 탈취기(1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경우 제어부(140)는 탈취기(1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탈취기(110)의 정화능력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탈취기(110)가 미생물 정화방식인 경우, 제어부(140)는 미생물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온도 또는 습도가 되도록 탈취기(1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실시예의 탈취기(110)인 경우 수분공급부(230)에서 공급하는 수분의 양 또는 수분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탈취기(1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탈취기(1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면 다른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만약, 탈취기(110)가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미생물을 이용하여 악취를 정화하는 방식의 탈취기인 경우에는, 탈취기(1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거나 탈취기(110) 내부의 미생물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활성화제를 투입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제가 탈취기(110) 내부에 투입되는 경우, 탈취기(110) 내부의 미생물이 보다 활발하게 동작하거나 미생물이 증식될 수 있어 탈취기(110)의 정화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상기 감지된 악취가스의 농도가 제 2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감지된 악취가스 농도와 상기 감지된 정화가스 농도의 차이가 비교기준값 이하인 경우, 탈취기(1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탈취기(110)의 정화능력을 높이거나 탈취기(110)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에 대한 경고알림 등을 관리자 등에게 줄 수 있다. 상기 제 2 기준값과 상기 비교기준값은 상기 정화가스의 성분별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주변 온도, 습도, 풍향, 지리적 조건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비교기준값은 상기 제 2 기준값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단순히 상기 악취가스의 농도와 상기 정화가스의 농도의 차이값만 고려하는 경우, 유입되는 상기 악취가스의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정상적인 정화가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악취가스의 농도와 상기 정화가스의 농도의 차이값이 작아 정상적인 정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악취가스와 상기 정화가스 중 암모니아 성분의 농도차이가 50 ppm 이상인 경우 정상적인 정화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하게 된다면, 상기 악취가스 중 암모니아의 농도가 50 ppm이고 상기 정화가스 중 암모니아의 농도가 10 ppm으로 정상적인 정화가 이루어진 경우에도 상기 악취가스와 상기 정화가스 중 암모니아 성분의 농도차이는 40 ppm으로 탈취기(110)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다고 잘못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감지된 악취가스의 농도가 제 2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감지된 악취가스의 농도와 상기 감지된 정화가스의 차이가 비교기준값 이하인 경우를 탈취기(110)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비교기준값은 상기 제 2 기준값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기준값이 50 ppm인 경우 상기 비교기준값은 30 ppm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 2 기준값인 100 ppm인 경우 상기 비교기준값은 80 ppm으로 설정될 수 있다. 탈취기(110) 내부의 온도 또는 습도를 조절하거나 탈취기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에 대한 경고알림을 주거나 미생물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활성화제를 투입하는 경우에 대하여는 앞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제어부(140)는 상기 감지된 악취가스 농도가 제 3 기준값 미만인 경우 탈취기(110)의 동작을 오프하고, 상기 감지된 악취가스 농도가 상기 제 3 기준값 이상인 경우 탈취기(11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기준값은 탈취기(110)의 동작 여부에 대한 기준이 되는 값이다. 상기 유입되는 악취가스의 농도가 낮거나 유입되는 악취가스가 없는 경우에는 탈취기(110)를 동작하지 않고 바로 배출하여도 무방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탈취기(110)를 동작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탈취기(110)를 동작시키지 않고 유입되는 상기 악취가스를 바로 배출시킬 수 있다.
악취 정화 시스템(100)은 탈취기(110) 내부 또는 외부의 환경을 측정할 수 있는 환경감지부(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환경감지부(150)는 탈취기(110)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환경감지부(150)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탈취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환경감지부(150)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1 범위 밖에 있는 경우 탈취기(110) 내부의 온도가 상기 제 1 범위 이내가 되도록 탈취기(11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고, 환경감지부(150)에서 감지된 습도가 제 2 범위 밖에 있는 경우 탈취기(110) 내부의 습도가 상기 제 2 범위 이내가 되도록 탈취기(11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환경감지부(150)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탈취기(110)의 정화능력이 가장 높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탈취기(1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환경감지부(150)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탈취기(110) 내부의 온도 조절량, 습도 조절량 또는 상기 활성화제의 투입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된 정화가스의 농도가 제 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40)가 탈취기(1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거나 상기 활성화제를 투입함에 있어 환경감지부(150)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어느 정도 조절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만약, 환경감지부(150)에서 감지된 탈취기(110) 내부의 온도가 10도이고 탈취기(110) 내부의 온도를 30도까지 상승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탈취기(110) 내부의 온도를 20도만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지만, 환경감지부(150)에서 감지된 탈취기(110) 내부의 온도가 20도이고 탈취기(110) 내부의 온도를 30도까지 상승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탈취기(110) 내부의 온도를 10도만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감지된 악취가스 농도가 제 2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감지된 악취가스 농도와 상기 감지된 정화가스 농도의 차이가 상기 비교기준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140)는 탈취기(1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거나 상기 활성화제를 투입함에 있어 환경감지부(150)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어느 정도 조절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정화 시스템(3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악취 정화 시스템(300)은 탈취기(310), 제 1 감지부(320) 및 제어부(340)를 구비할 수 있다.
탈취기(310)는 유입구(313)를 통해 유입된 악취가스를 정화하여 배출구(315)로 정화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제 1 감지부(320)는 탈취기(310)의 배출구(315)로 배출되는 정화가스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탈취기(310) 및 제 1 감지부(320)는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탈취기(110) 및 제 1 감지부(320)와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340)는 상기 감지된 정화가스의 농도가 제 1 기준값 이상인 경우, 탈취기(3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탈취기(310)의 정화능력을 높이거나 탈취기(310)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에 대한 경고알림 등을 관리자 등에게 줄 수 있다. 상기 제 1 기준값은 상기 정화가스의 성분별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주변 온도, 습도, 풍향, 지리적 조건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된 정화가스의 농도가 상기 제 1 기준값 이상이라는 것은 탈취기(3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경우 제어부(340)는 탈취기(3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탈취기(310)의 정화능력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탈취기(310)가 미생물 정화방식인 경우, 제어부(340)는 미생물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온도 또는 습도가 되도록 탈취기(3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실시예의 탈취기(310)인 경우 수분공급부(230)에서 공급하는 수분의 양 또는 수분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탈취기(3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탈취기(3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면 다른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만약, 탈취기(310)가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미생물을 이용하여 악취를 정화하는 방식의 탈취기인 경우에는, 탈취기(3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거나 탈취기(310) 내부의 미생물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활성화제를 투입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제가 탈취기(310) 내부에 투입되는 경우, 탈취기(310) 내부의 미생물이 보다 활발하게 동작하거나 미생물이 증식될 수 있어 탈취기(310)의 정화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악취 정화 시스템(300)은 탈취기(310) 내부 또는 외부의 환경을 측정할 수 있는 환경감지부(3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환경감지부(350)는 탈취기(310)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환경감지부(350)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탈취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40)는 환경감지부(350)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1 범위 밖에 있는 경우 탈취기(310) 내부의 온도가 상기 제 1 범위 이내가 되도록 탈취기(31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고, 환경감지부(350)에서 감지된 습도가 제 2 범위 밖에 있는 경우 탈취기(310) 내부의 습도가 상기 제 2 범위 이내가 되도록 탈취기(31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340)는 환경감지부(350)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탈취기(310)의 정화능력이 가장 높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탈취기(3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환경감지부(350)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탈취기(310) 내부의 온도 조절량, 습도 조절량 또는 상기 활성화제의 투입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된 정화가스의 농도가 제 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340)가 탈취기(31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거나 상기 활성화제를 투입함에 있어 환경감지부(350)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어느 정도 조절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악취가스를 정화하여 배출구로 정화가스를 배출하는 탈취기;
    상기 탈취기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정화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제 1 감지부;
    상기 탈취기의 유입구로 유입되는 악취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제 2 감지부; 및
    상기 제 1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화가스 농도와 상기 제 2 감지부에서 감지된 악취가스 농도를 비교하여 상기 탈취기의 정상동작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악취가스 농도가 제 2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감지된 악취가스 농도와 상기 감지된 정화가스 농도의 차이가 비교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탈취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거나 상기 탈취기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에 대한 경고알림을 주며,
    상기 제 2 기준값 및 상기 비교기준값은 상기 악취가스 및 상기 정화가스의 성분별로 다른 값을 가지고, 상기 비교기준값은 상기 제 2 기준값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정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정화가스의 농도가 제 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탈취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거나 상기 탈취기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에 대한 경고알림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정화 시스템.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정화 시스템은,
    상기 탈취기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환경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감지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탈취기 내부의 온도 조절량 또는 습도 조절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정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악취가스 농도가 제 3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탈취기의 동작을 오프하고 상기 감지된 악취가스 농도가 상기 제 3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탈취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정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정화 시스템은,
    상기 탈취기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환경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1 범위 밖에 있는 경우 상기 탈취기 내부의 온도가 상기 제 1 범위 이내가 되도록 상기 탈취기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고, 상기 환경감지부에서 감지된 습도가 제 2 범위 밖에 있는 경우 상기 탈취기 내부의 습도가 상기 제 2 범위 이내가 되도록 상기 탈취기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정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기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악취를 정화하는 탈취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정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정화가스의 농도가 제 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탈취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거나 상기 탈취기 내부의 미생물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활성화제를 투입하거나 상기 탈취기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에 대한 경고알림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정화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악취가스 농도가 제 2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감지된 악취가스 농도와 상기 감지된 정화가스 농도의 차이가 비교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탈취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거나 상기 탈취기 내부의 미생물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활성화제를 투입하거나 상기 탈취기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에 대한 경고알림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정화 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정화 시스템은,
    상기 탈취기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환경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감지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탈취기 내부의 온도 조절량 또는 습도 조절량을 결정하거나 상기 활성화제의 투입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정화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KR1020170121940A 2017-09-21 2017-09-21 악취 정화 시스템 KR101903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940A KR101903106B1 (ko) 2017-09-21 2017-09-21 악취 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940A KR101903106B1 (ko) 2017-09-21 2017-09-21 악취 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106B1 true KR101903106B1 (ko) 2018-10-01

Family

ID=63877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940A KR101903106B1 (ko) 2017-09-21 2017-09-21 악취 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1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998A (ko) * 2018-12-20 2020-06-30 아쿠아셀 주식회사 에너지 절감 효과 및 내구성이 우수한 악취감지 시스템
KR20210022796A (ko) * 2019-08-20 2021-03-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 분뇨 공동자원화 시설의 악취 측정 및 탈취 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를 이용한 효율평가 및 탈취 시스템의 제어방법
CN113797724A (zh) * 2021-10-21 2021-12-17 绍兴市环保科技服务中心 一种环保废气处理用净化除臭系统及方法
KR102388471B1 (ko) 2021-03-26 2022-04-21 동영산업개발(주) 하수처리장의 가스 탈취 및 내부 환경 탐지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998A (ko) * 2018-12-20 2020-06-30 아쿠아셀 주식회사 에너지 절감 효과 및 내구성이 우수한 악취감지 시스템
KR102228430B1 (ko) * 2018-12-20 2021-03-16 아쿠아셀 주식회사 에너지 절감 효과 및 내구성이 우수한 악취감지 시스템
KR20210022796A (ko) * 2019-08-20 2021-03-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 분뇨 공동자원화 시설의 악취 측정 및 탈취 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를 이용한 효율평가 및 탈취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234152B1 (ko) * 2019-08-20 2021-03-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 분뇨 공동자원화 시설의 악취 측정 및 탈취 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를 이용한 효율평가 및 탈취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388471B1 (ko) 2021-03-26 2022-04-21 동영산업개발(주) 하수처리장의 가스 탈취 및 내부 환경 탐지 시스템
CN113797724A (zh) * 2021-10-21 2021-12-17 绍兴市环保科技服务中心 一种环保废气处理用净化除臭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106B1 (ko) 악취 정화 시스템
US5861303A (en) Bio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with chemical pre-treatment of contaminated air
Kasperczyk et al. Application of a compact trickle-bed bioreactor for the removal of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tted from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KR101185027B1 (ko) 원격제어 시스템을 갖춘 탈취장치
US10287182B2 (en) Regulating method for a water treatment installation using measured parameters and control of an ozonisation device
KR101796298B1 (ko) 자외선 공기살균기 및 자외선 공기살균방법
KR101803267B1 (ko) 자외선 공기 살균기 및 자외선 공기 살균 시스템
KR102234152B1 (ko) 가축 분뇨 공동자원화 시설의 악취 측정 및 탈취 시스템 효율 평가 장치를 이용한 효율평가 및 탈취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562516B1 (ko) 악취농도에 따라 가변 구동이 가능한 스마트 절전형 복합탈취기 및 그 제어시스템
KR101007730B1 (ko) 지능형 공기 정화 시스템
KR101621947B1 (ko) 산화전리 반응을 이용한 악취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 처리방법
KR101089399B1 (ko) 자가 진단형 가스 탈취 방법
KR101847662B1 (ko) 필터 전처리 공정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7431703B2 (ja) 脱臭装置制御システム
KR20190061184A (ko) 탈취 데이터 획득 시스템
KR102227760B1 (ko) 슬러지 및 voc 일괄 처리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asperczyk et al. Use of compact trickle bed bioreactor for the purification of air from a VOC’s mixture–preliminary research
US20230341144A1 (en) Air purifier
JP6573298B1 (ja) オゾン・プラズマ処理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酸化分解処理方法
KR102228430B1 (ko) 에너지 절감 효과 및 내구성이 우수한 악취감지 시스템
KR102218288B1 (ko) 악취 제거 장치
WO20020139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on of odour gases
KR20240063698A (ko) 가구용 자동 제습 및 살균장치
Alias et al. Overview on performance of water scrubber systems in reducing odour at raw natural rubber processing factories in Malaysia
JP2007245081A (ja) 水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79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629

Effective date: 201808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