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959B1 - 마찰저항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마찰저항저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02959B1 KR101902959B1 KR1020170058756A KR20170058756A KR101902959B1 KR 101902959 B1 KR101902959 B1 KR 101902959B1 KR 1020170058756 A KR1020170058756 A KR 1020170058756A KR 20170058756 A KR20170058756 A KR 20170058756A KR 101902959 B1 KR101902959 B1 KR 1019029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air
- base portion
- air outlets
- frictional resistan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4—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 B63B1/38—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air bubbles or air layers gas filled volu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 B63B2707/00—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 Y02T70/1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마찰저항저감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찰저항저감장치는, 내측면에 보강재들이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보강재들 중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보강재 사이에 복수의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외판을 포함하는 선체의 마찰저항을 저감시키는 장치로서,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중공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보강재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공기배출구를 커버하도록 상기 외판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외판의 특정 영역은, 상기 하우징 내부로 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베이스부; 및 상기 관통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외판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공기유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타면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공기배출구는 상기 공기유입구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찰저항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의 마찰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한 마찰저항저감장치다.
운항 중인 선박의 선체에는 물에 의한 마찰저항이 작용한다. 마찰저항은 선체가 물에 잠긴 면적에 비례한다. 선박 특히 대형 선박의 경우, 선체의 선저면이 평평한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선저면은 물에 잠긴 선체 표면적 중 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
현재, 선저면에 작용하는 마찰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해, 선저면으로 공기를 배출하여 선저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기술은 선체의 선저부에 설치된 챔버로 공기를 공급하고, 챔버에 공급된 공기가 챔버의 하부에 구비된 다수의 공기분출구를 통해 선저면으로 배출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때, 선저부에 설치되는 챔버는 상대적으로 대형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대형의 챔버를 선저부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선체가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갖도록 선저부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설치된 보강재를 제거하거나 변경해야 한다. 이로 인해, 선체는 설계에 따른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체의 구조적 강도가 유지되도록 선체에 설치되는 마찰저항저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측면에 보강재들이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보강재들 중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보강재 사이에 복수의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외판을 포함하는 선체의 마찰저항을 저감시키는 장치로서,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중공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보강재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공기배출구를 커버하도록 상기 외판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외판의 특정 영역은, 상기 하우징 내부로 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베이스부; 및 상기 관통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외판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공기유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타면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공기배출구는 상기 공기유입구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마찰저항저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공기배출구는 상기 도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공기배출구는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공기배출구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도어부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관통구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도어부가상기 하우징 외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보강재 사이에 하우징을 설치함으로써 선체의 구조적 강도가 저해되지 않아 선체의 구조 보강을 위한 추가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작 및 설치에 대한 비용과 시간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하우징의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는 외판의 특정 영역에 형성된 관통구를 형성하고 도어부를 통해 관통구를 개폐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예컨대 하우징 내부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선체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저항저감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마찰저항저감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저항저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저항저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하우징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하우징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베이스부와 도어부의 결합에 관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공기배출구의 형성 위치에 관한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공기배출구의 형성 위치에 관한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마찰저항저감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저항저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저항저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하우징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하우징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베이스부와 도어부의 결합에 관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공기배출구의 형성 위치에 관한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공기배출구의 형성 위치에 관한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선체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저항저감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마찰저항저감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저항저감장치(100)는 선체(10) 표면으로 공기를 배출하여 선체(10) 표면에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선체(10)에 대한 마찰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선체(10)는 외판(11)을 포함한다. 외판(11)은 수평한 선저 외판과 경사지거나 수직한 선측 외판을 포함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외판(11)이 선저 외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참고로, 도 1에서 볼 때, 선체(10)의 외판(11)의 위쪽은 외판(11)의 내측을 나타내고, 선체(10)의 외판(11)의 아래쪽은 외판(11)의 외측을 나타낸다.
외판(11)의 내측면에는 보강재들(12)이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다. 보강재(12)는 선체(10)가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갖도록 설계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보강재(12)는 T자 또는 L자 단면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저항저감장치(100)는 선체(10)에 설치된 보강재들(12) 중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보강재 사이에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저항저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저항저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저항저감장치(100)는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하우징(120)은 외판(11)에 형성된 공기배출구(15)를 커버한다. 하우징(120)이 커버하는 공기배출구(15)는 외판(11)에 설치된 보강재들 중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보강재(12) 사이에 위치한다. 공기배출구(15)는 외판(11)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공기배출구(15)는 외판(11)의 외측으로 공기를 배출한다. 공기배출구(15)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외판(11)의 외측면을 따라 공기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공기층은 선체(10)에 대한 마찰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공기배출구(15)는 도 4와 같이 외판(11)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공기배출구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판(11)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공기배출구의 형성 방향에 따라 공기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공기배출구의 형성 방향은 실험적, 경험적으로 공기층을 효과적으로 형성하는 경우로 결정될 수 있다.
공기배출구(15)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120)은 복수의 공기배출구(15)를 커버할 수 있다.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방오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방오 장치는 아노드(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일면이 개방된 중공 형상을 가진다. 이때, 하우징(120)은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을 따라 직경이 일정한 원형의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우징(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직경부(126), 소직경부(127), 및 직경가변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5는 도 4의 하우징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대직경부(126)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된다. 소직경부(127)는 대직경부(126)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된다. 직경가변부(128)는 대직경부(126)와 소직경부(127)를 상호 연결하고, 외판(11)의 내측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콘 형상을 가진다.
또는, 하우징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대직경부와 콘 형상의 직경가변부로만 구성되거나 콘 형상의 직경가변부로만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하우징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원형 단면의 중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20)에는 공기유입구(130)가 형성된다. 일례로, 공기유입구(13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하우징(120)의 개방된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공기유입구는 하우징(120)의 개방된 일면에 대향하지 않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한 쌍의 보강재(12) 사이에서 개방된 일면이 복수의 공기배출구(15)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하우징(120)은 일종의 챔버 역할을 수행한다.
챔버 역할을 수행하는 하우징(120)이 한 쌍의 보강재(12)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외판(11)에 설치된 보강재들을 제거하거나 변경할 필요가 없어, 선체(10)는 설계에 따른 구조적 강도가 저해되지 않는다.
나아가 위와 같이 배치된 하우징(120)은 선급의 규정에 따라 의장품으로 취급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120)이 선체(10)의 일부로 취급되어 발생되는 구조 보강을 위한 추가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20)의 제작 및 설치를 위한 비용 및 시간이 저감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외판(11)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하우징(120)은 외판(11)의 내측면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외판(11)의 내측면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몸체부(121)와 커버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21)는 양측면이 개방된 중공 형상을 가진다. 일례로, 몸체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몸체부(121)는 개방된 일면이 복수의 공기배출구(15)를 커버하도록 외판(11)의 내측면에 수직하게 결합한다. 커버부(122)는 몸체부(121)의 개방된 타면을 커버한다.
커버부(122)는 몸체부(121)와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몸체부(121)와 커버부(122)는 플랜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커버부(122)가 결합하는 몸체부(121)의 끝단부에는 플랜지(123)가 형성되고, 커버부(122)는 몸체부(121)의 플랜지(123)와 볼트(124) 및 너트(125)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버부(122)와 플랜지(123) 사이에는 수밀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몸체부(121)와 커버부(122)는 도 6과 같이 용접 결합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은 도 4의 하우징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하우징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몸체부와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유입구(130)는 하우징(120)(또는 커버부(122))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기유입구(130)는 하우징(120)의 타면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20)에는 공기유입구(130)와 연결된 연결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는 플랜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결부(140)에는 공기공급원(미도시)이 생성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라인(미도시)이 연결된다. 연결부(140)와 공기공급라인(미도시) 사이에는 선체 외부의 물이 선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 밸브(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공기유입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연결부 없이 공기공급라인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공급라인에는 선체 외부의 물이 선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130)는 공기공급라인(미도시)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하우징(120)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하우징(120)으로 유입된 공기는 복수의 공기배출구(15)를 통해 외판(1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커버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차단 밸브일 수 있다. 즉, 차단 밸브는 커버부를 대체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 밸브는 몸체부의 타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차단 밸브는 몸체부의 타면에 플랜지 결합할 수 있다.
차단 밸브는 공기공급라인과 연결된다. 차단 밸브는 개방된 상태에서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유입시킨다.
그리고 차단 밸브는 폐쇄된 상태에서 선체 외부의 물이 선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저항저감장치가 작동을 중지한 경우, 차단 밸브는 폐쇄되어 선체 외부의 물이 선체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한다.
도 7은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120)이 커버하는 복수의 공기배출구(15)는 이웃하는 한 쌍의 보강재(12) 사이의 외판(11)에 형성된다. 참고로, 도 7에서는 하우징(120)이 4개의 공기배출구(15)를 커버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공기배출구(15)의 개수는 선체(10)의 크기 또는 공기 배출의 효과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하우징(120)이 외판(11)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공기유입구(130)가 하우징(120)의 타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경우, 공기유입구(13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도 4의 C)은 외판(11)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복수의 공기배출구(15)는 위와 같은 가상선(C)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공기배출구(15)의 중심들은 가상선(C)을 중심으로 한 임의의 반경을 가지는 가상의 원(R) 상에 배치되고, 상호 등간격을 갖는다.
이 경우, 복수의 공기배출구(15)는 가상선(C)을 중심으로 대칭 구조를 가지게 되고, 공기유입구(130)를 통해 유입되어 가상선(C)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대칭 구조를 갖는 공기배출구들(15)을 통해 외판(11)으로 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다.
복수의 공기배출구(15)를 통해 균일하게 배출되는 공기는 선체(10) 표면에서 최적의 공기층을 형성 또는 유지하여 선체(10)에 대한 마찰저항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마찰저항저감장치(100)는 복수의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외판(11)에는 복수의 공기배출구(미도시)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외판(11)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배출구는 보강재(12)의 길이방향 및 보강재(12)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분포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하우징(120)은 외판(11)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배출구 중 적어도 하나를 커버하도록 보강재(12)의 길이방향 및 보강재(12)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하우징(120)이 보강재(12)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복수의 하우징(120)은 도 2와 같이 보강재들(12) 중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보강재 사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보강재 사이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120)의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는 외판(11)의 특정 영역(30)은, 베이스부(31)와 도어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31)에는 하우징(120) 내부로 통하는 관통구(40)가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베이스부(31)에 형성된 관통구(40)를 통해 하우징(120) 내부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120) 내부의 아노드(20) 교체를 위해 작업자는 베이스부(31)에 형성된 관통구(40)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작업자는 관통구(40)를 통해 하우징(120) 내부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관통구(40)는 도 7과 같이 원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어부(32)는 관통구(40)를 개폐시킨다. 도어부(32)는 베이스부(31)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도어부(32)는 도 7과 같이 베이스부(31)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31)에는 관통구(40)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부(32)는 지지부(50)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도어부(32)에는 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볼트의 헤드가 삽입되는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50)는 도 7과 같이 복수로 제공될 수 있고, 복수의 지지부(50)는 관통구(40)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지지부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일부재로서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50)는 도 7과 같이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외판(11)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어부(32)는 도 8과 같이 베이스부(3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참고로 도 8은 도 4의 베이스부와 도어부의 결합에 관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도어부(32)는 도 8과 하우징(120) 내부로 회전 가능하도록 베이스부(3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힌지축(X)은 도 10과 같이 하우징(12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외판(11)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어부(32)의 가장자리부와 관통구(40)의 가장자리부는 도어부(32)가 하우징(120) 외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부(31)에 힌지 결합된 도어부(32)는 관통구(40)를 폐쇄한 상태에서 도 7과 같은 볼트 결합 방식으로 베이스부(31)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공기배출구(15)는 도어부(32)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공기배출구(15)는 도 9와 같이 베이스부(31)에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공기배출구의 형성 위치에 관한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는 공기배출구(15)는 도 10과 같이 베이스부(31)와 도어부(32)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공기배출구의 형성 위치에 관한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선체 11: 외판
12: 보강재 15: 공기배출구
20 : 아노드 30 : 특정 영역
31 : 베이스부 32 : 도어부
40 : 관통구 50 : 지지부
100, 200, 300: 마찰저항저감장치 120, 220, 320: 하우징
121: 몸체부 122: 커버부
123: 플랜지 124: 볼트
125: 너트 126: 대직경부
127: 소직경부 128: 직경가변부
130: 공기유입구 140: 연결부
12: 보강재 15: 공기배출구
20 : 아노드 30 : 특정 영역
31 : 베이스부 32 : 도어부
40 : 관통구 50 : 지지부
100, 200, 300: 마찰저항저감장치 120, 220, 320: 하우징
121: 몸체부 122: 커버부
123: 플랜지 124: 볼트
125: 너트 126: 대직경부
127: 소직경부 128: 직경가변부
130: 공기유입구 140: 연결부
Claims (7)
- 내측면에 보강재들이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보강재들 중 상호 이웃하는 한 쌍의 보강재 사이에 복수의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외판을 포함하는 선체의 마찰저항을 저감시키는 장치로서,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중공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보강재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공기배출구를 커버하도록 상기 외판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외판의 특정 영역은,
상기 하우징 내부로 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베이스부; 및
상기 관통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외판의 내측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콘 형상의 직경가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외판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공기유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타면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공기배출구는 상기 공기유입구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방오용 아노드가 설치되는, 마찰저항저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배출구는 상기 도어부에 형성되는, 마찰저항저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배출구는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는, 마찰저항저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배출구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도어부에 걸쳐서 형성되는, 마찰저항저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볼트 결합되는, 마찰저항저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 결합되는, 마찰저항저감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관통구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도어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마찰저항저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8756A KR101902959B1 (ko) | 2017-05-11 | 2017-05-11 | 마찰저항저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8756A KR101902959B1 (ko) | 2017-05-11 | 2017-05-11 | 마찰저항저감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90952A Division KR101801814B1 (ko) | 2015-06-29 | 2015-12-31 | 마찰저항저감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0544A KR20170080544A (ko) | 2017-07-10 |
KR101902959B1 true KR101902959B1 (ko) | 2018-10-01 |
Family
ID=5935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8756A KR101902959B1 (ko) | 2017-05-11 | 2017-05-11 | 마찰저항저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295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0738B1 (ko) * | 2019-04-05 | 2019-05-22 | 조윤규 | 선박의 마찰저항 감소를 위한 워터제트식 공기윤활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10394A (ja) * | 2011-06-28 | 2013-01-17 | Mitsubishi Heavy Ind Ltd | 船舶の空気潤滑システム、摩擦抵抗低減型船舶及びその製造方法 |
WO2014103771A1 (ja) * | 2012-12-25 | 2014-07-03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摩擦抵抗低減型船舶 |
-
2017
- 2017-05-11 KR KR1020170058756A patent/KR10190295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10394A (ja) * | 2011-06-28 | 2013-01-17 | Mitsubishi Heavy Ind Ltd | 船舶の空気潤滑システム、摩擦抵抗低減型船舶及びその製造方法 |
WO2014103771A1 (ja) * | 2012-12-25 | 2014-07-03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摩擦抵抗低減型船舶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0544A (ko) | 2017-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064208B (zh) | 摩擦阻力降低装置及包含该装置的船舶 | |
EP3199253B1 (en) | Lance nozzle and excess sprayed coating removal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070122466A (ko) | 하나 이상의 처리 유체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일렉트로닉워크피이스를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공구용 베리어 구조 및노즐 장치 | |
JP2015081043A (ja) | 摩擦抵抗低減装置、これを備えている船舶、船舶の摩擦抵抗低減方法 | |
KR102200192B1 (ko) | 고압 분리기 세정 방법 및 장치 | |
JP6049443B2 (ja) | 摩擦抵抗低減型船舶 | |
KR101902959B1 (ko) | 마찰저항저감장치 | |
KR101667674B1 (ko) | 스토퍼 | |
KR101801814B1 (ko) | 마찰저항저감장치 | |
US20180100599A1 (en) | Top entry axial flow regulator | |
US10690415B2 (en) | Split roof for a metallurgical furnace | |
KR101595701B1 (ko) | 내장형 공기챔버를 구비하는 공기윤활시스템과 그 설치방법 | |
KR20180099854A (ko) | 조립식 펌프 스테이션 유닛 및 물 분배 유닛 | |
US9062779B2 (en) | Valve assembly | |
ITPD930078A1 (it) | Apparecchiatura per sopprimere la formazione di vortici nel fluido refrigerante di un reattore nucleare | |
KR101801770B1 (ko) | 마찰저항저감장치 | |
KR20170002111A (ko) | 마찰저항저감장치 | |
CN105947553A (zh) | 一种星型排料阀 | |
KR20170032117A (ko) | 역방향 글로브밸브 | |
KR20120004201A (ko) | 선박용 드레인 오일 탱크 | |
JP6768596B2 (ja) | 取放水路トンネル内のメンテナンス方法および取放水口 | |
KR20120107761A (ko) | 약품 코팅기용 팬 | |
KR0168509B1 (ko) | 축방향 흐름 유체추출장치 | |
KR20130138537A (ko) | 선박 연료탱크용 에어벤트 조립체 | |
JP6071546B2 (ja) | 摩擦抵抗低減型船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