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866B1 - 피트니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피트니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866B1
KR101902866B1 KR1020180035561A KR20180035561A KR101902866B1 KR 101902866 B1 KR101902866 B1 KR 101902866B1 KR 1020180035561 A KR1020180035561 A KR 1020180035561A KR 20180035561 A KR20180035561 A KR 20180035561A KR 101902866 B1 KR101902866 B1 KR 101902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ness
information
user
module box
fitnes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건
Original Assignee
신동건
유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건, 유한길 filed Critical 신동건
Priority to KR1020180035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phys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트니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로부터 회원정보 및 예약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회원정보 및 예약정보가 통신망을 통해 전송시키는 사용자단말;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하나 이상의 운동기구가 마련되는 다수의 피트니스 모듈박스; 각 피트니스 모듈박스의 위치정보 및 예약상태정보를 조회하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입력되는 회원정보 및 예약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과 최근접 위치의 피트니스 모듈박스를 할당한 후, 그 할당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여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피트니스 모듈박스 중 원하는 장소 및 시간을 예약하고, 이용하는 시간만큼만 예약시 또는 현장에서 비용을 지불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헬스장시설을 이용할 수 있으며, 시간적 여유가 부족하여 전문가를 직접 대면하기 어려운 사람들도 피트니스 모듈박스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통해 자세교정 등 전문가의 도움을 쉽게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피트니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트니스 시스템{Fitness system}
본 발명은 피트니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외, 실내 등 다양한 장소에서 모듈 형태로 하나 이상 설치되는 피트니스 모듈박스에서 사용한 시간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경제적이며, 시간적 여유가 없어 전문 트레이너를 직접 대면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운동자세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통해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피트니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영양 과잉 및 운동 부족으로 인해 비만 및 과체중 인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어 현대인의 건강 관리 필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아울러, 최근 건강한 일반인들도 자신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에 따라 사람들은 건강관리를 위해 헬스장을 많이 이용하고 있는데, 일반적인 헬스장의 이용형태는 사용자가 연간회원, 월간회원 등의 방식으로 헬스장에 비용을 지불한 후, 계약된 사용기간 내에서 헬스장을 방문하여 헬스장에 구비되어 있는 운동 기구를 이용하여 운동하게 된다.
그러나 주중에는 직장에서 야근 및 회식 등의 이유로, 또한, 주말에는 집에서 쉬거나 경조사 등 다양한 약속 이행 그리고 취미활동 등의 이유로 실질적으로 헬스장 이용횟수가 줄어 결국, 계약된 사용기간 내에 몇 번 이용하지도 못하고 비용만 낭비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입장에서 원하는 운동기구가 비치된 헬스장에서 원하는 시간에 운동할 수 있어야 하며, 이용요금 부담이 큰 년 단위 또는 월 단위 결제시스템이 아닌 1회 이용 또는 사용시간 단위의 결제 시스템의 구현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572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피트니스 모듈박스 중 원하는 장소 및 시간을 예약하고, 이용하는 시간만큼만 예약시 또는 현장에서 비용을 지불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헬스장시설을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본인의 운동자세를 촬영하여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피트니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회원정보 및 예약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회원정보 및 예약정보가 통신망을 통해 전송시키는 사용자단말;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하나 이상의 운동기구가 마련되는 다수의 피트니스 모듈박스; 각 피트니스 모듈박스의 위치정보 및 예약상태정보를 조회하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입력되는 회원정보 및 예약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과 최근접 위치의 피트니스 모듈박스를 할당한 후, 그 할당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예약정보는 사용자위치정보 및 예약시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회원정보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운동정보 및 선호하는 운동환경정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트니스 모듈박스에는 사용자의 운동환경정보에 맞게 피트니스 모듈박스의 환경을 제어하는 환경설비가 마련되되, 상기 환경설비는 상기 피트니스 모듈박스 내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설정부; 상기 피트니스 모듈박스 내에서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영상제공부; 상기 피트니스 모듈박스 내에서 사용자에게 음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음향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는 회원정보 및 예약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과 최근접 위치의 피트니스 모듈박스를 할당하는 할당부; 사용자의 회원정보가 저장되는 회원DB; 각 피트니스 모듈박스의 고유정보가 저장되는 모듈박스DB; 특정 피트니스 모듈박스에 예약된 사용자의 입실시 해당 사용자의 운동환경정보에 부합하도록 해당 피트니스 모듈박스의 환경설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환경제어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입력된 예약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할당부에서 할당된 할당정보를 해당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환경제어부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환경설비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피트니스 모듈박스는 상하로 이격되는 바닥프레임 및 천장프레임이 측면프레임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외면을 마감하도록 구성되는 마감판;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그 단면이 4각형 형태로 마련되고 각 면의 중심부에는 슬라이딩홈이 마련되며, 상기 마감판은 복수의 마감판모듈이 상기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나의 피트니스 모듈박스는 다른 피트니스 모듈박스와 제 1체결구 및 제 2체결구를 통해 상호 결합되되, 상기 제 1체결구는 그 양단부가 'ㄱ'자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단이 마련되어 제 1체결구의 각 절곡단이 서로 밀착되는 프레임부의 일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 2체결구는 각 프레임부의 서로 밀착되는 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체결구 및 제 2체결구는 구속부재에 의해 상호 구속되되,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제 1체결구 및 제 2체결구 간 이격거리보다 폭이 큰 구속본체; 상기 구속본체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체결구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 1관통홀; 상기 구속본체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2체결구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 2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관통홀 및 제 2관통홀 간 간격은 상기 제 1체결구 및 제 2체결구 간 간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마감판모듈 중 운동기구가 고정설치 되는 마감판모듈이 결합된 프레임부에는 대향하는 프레임부의 상면에 각각 구성된 슬라이딩홈에 게재되는 한쌍의 끼움단과 한쌍의 끼움단을 연결하는 지지판으로 구성된 뒤틀림저항부재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동기구의 체결부위에는 상기 마감판모듈을 관통하는 연결봉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은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관통하면서 지지판 외측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시스템은 사용자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피트니스 모듈박스 중 원하는 장소 및 시간을 예약하고, 이용하는 시간만큼만 예약시 또는 현장에서 비용을 지불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헬스장시설을 이용할 수 있으며, 시간적 여유가 부족하여 전문가를 직접 대면하기 어려운 사람들도 피트니스 모듈박스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통해 자세교정 등 전문가의 도움을 쉽게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피트니스 모듈박스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메인서버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모듈박스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박스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모듈박스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마감판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모듈박스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박스부 간 결합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구속부재가 더 구성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 뒤틀림저항부재가 구성된 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는 부분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피트니스 모듈박스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메인서버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모듈박스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박스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울러,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모듈박스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마감판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모듈박스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박스부 간 결합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구속부재가 더 구성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시스템은 실외, 실내 등 다양한 장소에서 모듈 형태로 하나 이상 설치되는 피트니스 모듈박스(100)에서 사용한 시간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서 운동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시간적 여유가 없어 전문 트레이너를 직접 대면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운동자세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통해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피트니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 구성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1), 피트니스 모듈박스(100) 및 메인서버(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사용자단말(1)로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개인무선단말기 또는 개인PC 등이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는 사용자단말(1)을 통해 회원정보 및 예약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1)에는 표시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입력되는 회원정보 및 예약정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된 회원정보 및 예약정보는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이하의 메인서버(2)로 전송되게 된다.
또한, 상기 피트니스 모듈박스(100)는 일면에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운동기구가 마련되는 모듈개념의 박스인 것으로 다양한 위치에 다수 배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2)는 각 피트니스 모듈박스(100)의 위치정보 및 예약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조회하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1)로부터 입력되는 회원정보 및 예약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과 최근접한 위치의 피트니스 모듈박스(100)를 할당한 후, 그 할당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1)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예약정보는 사용자위치정보 및 예약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위치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로서, 사용자단말(1)에 구비되는 GPS모듈 또는 블루투스모듈 등을 통해 사용자단말(1)의 현재 위치신호 파악함으로써, 이후 메인서버(2)에서는 상기 위치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피트니스 모듈의 위치정보를 알려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예약시간정보는 사용자의 운동시작시간 및 운동종료시간에 관한 정보인 것으로, 메인서버(2)에서는 상기 예약시간정보를 토대로 비용을 청구 및 결제할 수 있으며, 해당시간에 예약되지 않은 피트니스 모듈박스(100)를 찾아 그 중 사용자위치정보에 최 근접한 피트니스 모듈박스(100)를 사용자에게 안내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원정보로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운동정보와 사용자가 선호하는 운동환경정보를 포함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운동의 유형으로는 크게 유산소운동와 무산소운동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운동에 필요한 운동기구들도 그 종류가 다양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운동정보 만으로 운동기구를 단정 지을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운동정보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운동기구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환경정보로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피트니스 모듈박스(100)의 실내온도와 선호하는 영상, 그리고 선호하는 음향 등이 포함될 수 있는 바, 해당 사용자가 예약된 피트니스 모듈박스(100)에 입장하였을 때, 상기 운동환경정보를 토대로 온도가 설정되고, 영상 및 음향이 자동으로 재생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운동환경정보에 상응하게 피트니스 모듈박스(100)의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피트니스 모듈박스(100)에 마련되는 환경설비(102)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환경설비(10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설정부(1021), 영상제공부(1022) 및 음향제공부(102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온도설정부(1021)로는 에어컨 또는 히터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피트니스 모듈박스(100) 내의 온도를 사용자가 선호하는 실내온도에 맞게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영상제공부(1022)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어가 적용될 수 있으며, 피트니스 모듈박스(100) 내에서 운동하는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선호하는 다양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일례로, 드라마, 영화, 스포츠 또는 해당 운동기구의 운동자세 등의 영상이 재생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피트니스 모듈박스(100)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본인이 운동하는 모습 등이 재생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음향제공부(1023)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향이 피트니스 모듈박스(100) 내에서 재생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그 일례로 상기 영상제공부(1022)의 영상에 상응하는 음향이 재생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다양한 장르의 음악이 재생될 수도 있게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메인서버(2)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메인서버(2)는 할당부(21), 회원DB(22), 모듈박스DB(23), 환경제어부(24) 및 통신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할당부(21)는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1)에서 입력된 회원정보 및 예약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단말(1)과 최근접위치의 피트니스 모듈박스(100)를 할당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원DB(22)에서는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때, 기존에 가입된 회원의 경우 간단한 인증절차를 통해 저장된 회원정보를 추출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비회원의 경우 회원가입을 유도하거나 비회원으로써 전화번호, 주소 등의 회원정보를 요청한 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종래 다양한 기술이 적용가능 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회원정보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운동정보 및 운동환경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저장된 회원정보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피트니스 모듈박스(100) 입장시 자동으로 환경설비(102)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 영상 및 음향이 재생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모듈박스DB(23)는 각 피트니스 모듈박스(100)의 고유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모듈박스DB(23)의 고유정보는 해당 모듈박스의 위치정보와 그에 비치된 운동기구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할당부(21)에서는 상기 회원DB(22)의 회원정보 및 모듈박스DB(23)의 고유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운동정보에 부합하며 사용자단말(1)과 최근접에 위치하는 피트니스 모듈박스(100)를 할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환경제어부(24)는 특정 피트니스 모듈박스(100)에 예약된 사용자의 입실시 해당 사용자의 운동환경정보에 부합하도록 상기 환경설비(102)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25)에서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1)로부터 입력된 예약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할당부(21)에서 할당된 할당정보를 해당 사용자단말(1)로 전송하며, 상기 환경제어부(24)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피트니스 모듈박스(100)에 마련된 환경설비(102)에 전송하여 환경설비(102)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피트니스 모듈박스(100)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피트니스 모듈박스(100)는 일반적인 헬스장에 구비되는 다양한 운동기구(S) 중 하나가 그 내측에 설치되는 미니 헬스장의 개념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피트니스 모듈박스(100)를 한 장소에 다수 배치시킴으로써 일정 규모 이상의 확장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모듈박스(100)는 모듈구조로 마련되므로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이 서로 결합될 수 있어, 이용자 수 등을 고려하여 능동적으로 그 규모를 조절할 수 있어 운영자는 그 운용방식에 있어서 큰 이점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피트니스 모듈박스(100) 중 원하는 장소 및 시간을 예약하고, 이용하는 시간만큼만 예약시 또는 현장에서 비용을 지불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헬스장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모듈박스(100)는 일면에 출입구(101)가 형성되는 것으로, 프레임부(110) 및 마감판(120)이 결합되어 이뤄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 또는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는 바닥프레임(111)과 그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바닥프레임(111)의 상측으로 이격되는 천장프레임(112)이 복수의 측면프레임(113)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로 이뤄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프레임부(110)는 도면에서와 같이 직육면체로 이뤄질 수 있으며, 출입구(101)는 그 일 측면에 마련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마감판(120)은 상기 프레임부(110)의 외면을 마감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면에서와 같이 프레임부(110)의 상하면은 완전히 마감시키고 측면은 일부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불투명 또는 투명 소재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피트니스 모듈박스(100) 내부에는 도 7a 내지 도 7c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운동기구(S)가 설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피트니스 모듈박스(100)의 내측 바닥면에 메트리스 등만 배치시켜 사용자가 스트레칭, 요가, 필라테스 또는 맨손체조 등을 실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피트니스 모듈박스(100) 간 교체를 통해 다양한 운동기구(S)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욕구에 부합된 운용 역시 가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운동기구(S)라 함은 런닝머신, 벤치프레스 등과 같이 일반적인 헬스장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유산소 운동 또는 근력 운동 등을 실시할 수 있는 모든 기구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피트니스 모듈박스(100) 내측에 런닝머신이 설치되는 경우, 런닝머신의 전면부 및 바닥면이 상기 프레임부(110)와 마감판(120)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안정감 있게 운동할 수 있게 되며, 운동기구(S)가 분실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트니스 모듈박스(100)는 프레임부(110) 및 마감판(120)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부(110)에는 도 6a에서와 같이 일면 이상에 슬라이딩홈(110a)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10)는 그 단면의 형상이 4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홈(110a)은 각 면의 중심부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마감판(120)은 도 5에서와 같이 복수의 마감판모듈(121)이 각각 상기 슬라이딩홈(110a)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도 6b에서와 같이 각 마감판모듈(121)의 양측단이 한 쌍의 프레임부(110) 사이에서 각 프레임부(110)의 슬라이딩홈(110a)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트니스 모듈박스(100)의 천장에 설치되는 마감판모듈(121)에는 사용자가 턱걸이 등을 실시할 수 있는 운동기구(S)가 일체로 결합되고, 또한, 사용자의 운동자세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호 미도시)가 구성되어 해당 마감판모듈(121)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부(110)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턱걸이를 실시할 수 있는 운동기구(S) 및 카메라 등이 간편히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피트니스 모듈박스(100) 내부에 카메라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장면을 촬영하여 본인의 운동자세 등을 체크할 수 있으며, 전문가에게 전송하여 운동방법 및 자세를 개선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피트니스 모듈박스(100)를 복수로 배치시키고 각각에 다양한 운동기구(S)들을 설치하여 한 장소에서 사용자들이 보다 다양한 운동기구(S)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바, 이때, 하나의 피트니스 모듈박스(100)는 다른 피트니스 모듈박스(100)와 상호 결합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9a 내지 도 9b에서와 같이 상기 피트니스 모듈박스(100)들은 서로 간에 다양한 형태로 배열 및 배치될 수 있으며 상호 간 밀착된 상태에서는 도 10에서와 같이 제 1체결구(130) 및 제 2체결구(132)를 통해 상호 간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10)는 그 단면의 형상이 4각형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110a)은 각 면의 중심부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체결구(130)는 그 양단부가 'ㄱ'자로 꺽여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인 절곡단(131)이 마련되어 각 절곡단(131)은 각 프레임부(110)의 슬라이딩홈(110a)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체결구(132)는 각 프레임부(110)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10a)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제 1체결구(130) 및 제 2체결구(132)가 동시에 적용되는 결합구조에 의해 서로 결합된 프레임부(110)들은 보다 견고한 결합구조를 취할 수 있어 결합된 피트니스 모듈박스(100) 간 분리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 1체결구(130) 및 제 2체결구(132)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노출될 수 있으며, 노출되는 제 1체결구(130) 및 제 2체결구(132)는 구속부재(140)에 의해 상호 구속되도록 하여 결합되는 피트니스 모듈박스(100) 간 더욱 더 견고한 체결구조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구속부재(1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본체(141), 제 1관통홀(142) 및 제 2관통홀(143)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본체(141)는 도면에서와 같이 그 종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제 1체결구(130) 및 제 2체결구(132) 간 이격거리보다 크고, 그 횡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제 1체결구(130)보다 크게 마련되는 하나의 덩어리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관통홀(142)은 상기 구속본체(141)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체결구(1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관통홀(142)이 제 1체결구(130)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관통홀(143)은 상기 구속본체(141)의 타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2체결구(13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관통홀(143)이 제 2체결구(132)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관통홀(142) 및 제 2관통홀(143) 간 간격은 상기 제 1체결구(130) 및 제 2체결구(132) 간 간격과 동일하게 구성시킴으로써, 제 1체결구(130) 및 제 2체결구(132)가 각각 제 1관통홀(142)과 제 2관통홀(143)이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어 구속본체(141)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구속본체(141)에 의해 제 1체결구(130)와 제 2체결구(132)는 용이하게 서로 구속될 수 있으며, 제 1체결구(130)와 제 2체결구(132)가 일체화 되므로 결합된 피트니스 모듈박스(100)들에 충격이나 비틀림이 작용하더라도 그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어 그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스부(100)의 천장에 설치되는 마감판모듈(121)에는 사용자가 턱걸이 등을 실시할 수 있는 운동기구(S)가 결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의 사용과정에서 발생되는 반복하중 등에 의해 마감판모듈(121)이 프레임부(110)로부터 이탈되어 안전사고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감판모듈(121) 중 운동기구(S)가 고정설치 되는 마감판모듈(121)이 결합된 프레임부(110)에는 대향하는 프레임부(110)의 상면에 각각 구성된 슬라이딩홈(110a)에 게재되는 한쌍의 끼움단(152)과 한쌍의 끼움단(152)을 연결하는 지지판(151)으로 구성된 뒤틀림저항부재(150)가 구성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뒤틀림저항부재(150)는 지지판(151)의 양단에서 절곡된 끼움단(152)이 각각 프레임부(110)의 상면에 각각 구성된 슬라이딩홈(110a)에 게재되도록 함으로써 각 프레임부(110)의 뒤틀림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운동기구(S)가 고정설치 되는 마감판모듈(121)이 상기에서 언급한 반복하중을 받는 경우 마감판모듈(121)에 의해 프레임부(110)에 형성될 수 있는 뒤틀림이 상기 뒤틀림저항부재(150)에 의해 제어가 됨으로써 마감판모듈(121)이 프레임부(110)에서 탈리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운동기구(S)의 체결부위(S-1)에는 상기 마감판모듈(121)을 관통하는 연결봉(160)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160)은 상기 지지판(151)에 형성되는 체결공(151-1)을 관통하면서 지지판(151) 외측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예가 더 제시되고 있다.
본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운동기구(S)에 연결봉(160)이 일체로 형성되되 연결봉(160)의 끝단부에는 나사산(161)이 형성되도록 하여 마감판모듈(121)에 기 형성된 제 2체결공(121-1)으로 상기 연결봉(160)을 삽입하여 마감판모듈(121) 양측면에서 너트(162, 163)를 사용하여 마감판모듈(121)에 운동기구(S)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각 프레임부(110)에 체결하고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뒤틀림저항부재(150)를 프레임부(110)에 체결하되, 뒤틀림저항부재(150)의 지지판(151)에 기 형성된 체결공(151-1)으로 연결봉(160)이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지지판(151) 외측에서 너트(164)를 고정시킴으로써 마감판모듈(121)에 작용되는 힘이 뒤틀림저항부재(150)로도 전달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의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뒤틀림저항부재(150)에 의한 프레임부(110)의 뒤틀림저항성이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반복하중을 마감판모듈(121) 및 뒤틀림저항부재(150)가 저항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건전성이 배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사용자단말 2 : 메인서버
100 : 피트니스 모듈박스 101 : 출입구
102 : 환경설비 110 : 프레임부
120 : 마감판

Claims (9)

  1. 사용자로부터 회원정보 및 예약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회원정보 및 예약정보가 통신망을 통해 전송시키는 사용자단말;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측에 하나 이상의 운동기구가 마련되는 다수의 피트니스 모듈박스; 및 각 피트니스 모듈박스의 위치정보 및 예약상태정보를 조회하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입력되는 회원정보 및 예약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과 최근접 위치의 피트니스 모듈박스를 할당한 후, 그 할당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피트니스 모듈박스는, 상하로 이격되는 바닥프레임 및 천장프레임이 측면프레임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외면을 마감하도록 구성되는 마감판;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그 단면이 4각형 형태로 마련되고 각 면의 중심부에는 슬라이딩홈이 마련되며, 상기 마감판은 복수의 마감판모듈이 상기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며,
    하나의 피트니스 모듈박스는 다른 피트니스 모듈박스와 제 1체결구 및 제 2체결구를 통해 상호 결합되되, 상기 제 1체결구는 그 양단부가 'ㄱ'자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단이 마련되어 제 1체결구의 각 절곡단이 서로 밀착되는 프레임부의 일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 2체결구는 각 프레임부의 서로 밀착되는 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 1체결구 및 제 2체결구는 구속부재에 의해 상호 구속되되,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제 1체결구 및 제 2체결구 간 이격거리보다 폭이 큰 구속본체; 상기 구속본체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체결구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 1관통홀; 상기 구속본체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2체결구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 2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관통홀 및 제 2관통홀 간 간격은 상기 제 1체결구 및 제 2체결구 간 간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정보는 사용자위치정보 및 예약시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회원정보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운동정보 및 선호하는 운동환경정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트니스 모듈박스에는 사용자의 운동환경정보에 맞게 피트니스 모듈박스의 환경을 제어하는 환경설비가 마련되되,
    상기 환경설비는
    상기 피트니스 모듈박스 내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설정부;
    상기 피트니스 모듈박스 내에서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영상제공부;
    상기 피트니스 모듈박스 내에서 사용자에게 음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음향제공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회원정보 및 예약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과 최근접 위치의 피트니스 모듈박스를 할당하는 할당부;
    사용자의 회원정보가 저장되는 회원DB;
    각 피트니스 모듈박스의 고유정보가 저장되는 모듈박스DB;
    특정 피트니스 모듈박스에 예약된 사용자의 입실시 해당 사용자의 운동환경정보에 부합하도록 해당 피트니스 모듈박스의 환경설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환경제어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입력된 예약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할당부에서 할당된 할당정보를 해당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환경제어부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환경설비에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마감판모듈 중 운동기구가 고정설치 되는 마감판모듈이 결합된 프레임부에는 대향하는 프레임부의 상면에 각각 구성된 슬라이딩홈에 게재되는 한쌍의 끼움단과 한쌍의 끼움단을 연결하는 지지판으로 구성된 뒤틀림저항부재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기구의 체결부위에는 상기 마감판모듈을 관통하는 연결봉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은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관통하면서 지지판 외측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트니스 시스템.

KR1020180035561A 2018-03-28 2018-03-28 피트니스 시스템 KR101902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561A KR101902866B1 (ko) 2018-03-28 2018-03-28 피트니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561A KR101902866B1 (ko) 2018-03-28 2018-03-28 피트니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866B1 true KR101902866B1 (ko) 2018-10-01

Family

ID=6387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561A KR101902866B1 (ko) 2018-03-28 2018-03-28 피트니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8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587B1 (ko) * 2020-02-14 2020-05-07 김경덕 고객관리시스템
KR102416925B1 (ko) 2022-01-10 2022-07-05 김동욱 O2o 피트니스 네트워크 마케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120B1 (ko) * 2012-02-23 2012-11-26 이정엽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 단위 유닛 및 상기 육면체 단위 유닛의 조립방법
US20150066170A1 (en) * 2013-08-28 2015-03-05 HAI Logan Gym, LLC Personal training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120B1 (ko) * 2012-02-23 2012-11-26 이정엽 조립식 건축물용 육면체 단위 유닛 및 상기 육면체 단위 유닛의 조립방법
US20150066170A1 (en) * 2013-08-28 2015-03-05 HAI Logan Gym, LLC Personal training system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587B1 (ko) * 2020-02-14 2020-05-07 김경덕 고객관리시스템
KR102416925B1 (ko) 2022-01-10 2022-07-05 김동욱 O2o 피트니스 네트워크 마케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089B1 (ko) 피트니스 모듈박스
US9318030B2 (en) Personal training system and method
US20230166174A1 (en) Free-standing a-frame exercise equipment cabinet
KR101902866B1 (ko) 피트니스 시스템
US20150255002A1 (en) Personal training system and related exercise facility and method
EP2903701A2 (en) Exercise facility and personal training system
Carlson The net generation in the classroom
US7063643B2 (en) Physical training machine operation system and method
KR20180054293A (ko) 스마트 트레이닝 장치
KR102192542B1 (ko) 피트니스 센터의 운영자 및 이용자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80000812A (ko)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서버 및 방법
US20200215389A1 (en) Strength training system
CN108877885A (zh) 一种基于热成像仪和智能手环的私教健身管理系统及方法
JP2003208085A (ja) フリートークサービスを提供する教育サービス提供方法、教育サービス提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7189097B2 (ja) 出席状況管理システム、出席状況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232809A1 (en) Personal training system and related exercise facility and method
WO2016186846A1 (en) Personal training exercise facility and related method
CN109985370A (zh) 一种锻炼动作的指导系统及方法
KR102398353B1 (ko) 그룹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서버의 그룹운동 서비스 제공방법
KR20180138319A (ko) 3차원 동작정확성 평가기술을 이용한 개인 맞춤형 건강운동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249368B1 (ko) 사적이용이 가능한 피트니스 시설
KR100519678B1 (ko) 영상 스포츠방 운동장치와, 이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영상스포츠방 운영방법 및 운영 시스템
KR20200111593A (ko) 공유형 체육관 서비스 제공방법
KR20190098066A (ko) 건강 증진을 위한 컴퓨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스마트 댄스 룸 시스템
DE202017105498U1 (de) Mobiles Fitnessstud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