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418B1 -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418B1
KR101902418B1 KR1020120014564A KR20120014564A KR101902418B1 KR 101902418 B1 KR101902418 B1 KR 101902418B1 KR 1020120014564 A KR1020120014564 A KR 1020120014564A KR 20120014564 A KR20120014564 A KR 20120014564A KR 101902418 B1 KR101902418 B1 KR 101902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iting
image
point
area
ed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3191A (ko
Inventor
김인수
김용석
김현정
이주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4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418B1/ko
Priority to US13/767,226 priority patent/US9582179B2/en
Publication of KR20130093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미지를 편리하게 편집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가, 이미지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부와;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의 편집을 위한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미지를 편리하게 편집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단말기는 단순히 하나의 주 기능 만을 지원하는 것에서 여러가지 기능들을 복합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추세로 발전되고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데이터를 여러 가지 형태로 저장하는 방법들이 연구 및 제공되고 있다. 그 예로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기에서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편집하거나 특수효과를 적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터치스크린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펜을 이용하는 터치동작을 통해 편리하게 원하는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그러나, 터치스크린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해 해당영역을 손가락으로 터치할 때, 편집을 원하는 해당 영역이 손가락에 가려져서 화면보정과 같은 정밀한 부분에 대한 터치가 어려워서 사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지를 편리하게 편집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가, 이미지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부와;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의 편집을 위한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가, 이미지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부와;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해당 편집 포인트가 선택될 때, 상기 해당 편집 포인트를 포함하는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식별자를 통해 구분하여 표시하고, 상기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편집을 위한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가, 이미지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부와;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해당 편집 포인트가 선택될 때, 상기 해당 편집 포인터가 포함된 편집영역을 확대하여 편집기능창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가, 이미지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부와;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가 선택될 때,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전체 화면영역 중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포함하는 편집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의 편집을 위한 편집기능영역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은,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이미지에 편집 포인트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의 편집을 위한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은,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이미지에 편집 포인트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해당 편집 포인트가 선택되면, 상기 해당 편집 포인트를 포함하는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식별자를 통해 구분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편집을 위한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은,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이미지에 편집 포인트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가 선택되면, 상기 해당 편집 포인터가 포함된 편집영역을 확대하여 편집기능창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은,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이미지에 편집 포인트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해당 편집 포인트가 선택되면,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전체 화면영역 중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포함하는 편집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편집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의 편집을 위한 편집기능영역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작은 화면에서도 편리하게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a - 도 6g 및 도 7a - 도 7d는 도 3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 도 8b는 도 4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 도 9b는 도 5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선택된 편집 포인트에 대한 편집을 위한 별도의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스크린부(160)에 표시되는 이미지에 대한 편집이 선택되어 이미지 편집모드로 전환될 때, 상기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편집영역을 추출하고, 각각의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추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의 편집을 위한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편집영역이란,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이미지를 구분하는 영역으로써, 예를 들어 사람얼굴 이미지는 눈, 코, 입, 귀 및 얼굴윤곽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상기와 같이 구분되는 영역을 편집이라고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 시예에서 편집포인트란 상기와 같은 편집영역에서 변곡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상기 편집포인트는 해당 지점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편집포인트가 포함된 편집영역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해당 편집포인트의 터치 또는 상기 해당 편집포인트를 중심으로 일정영역을 포함하는 가상선택영역이 선택될 때도, 해당 편집포인트에 터치발생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해당 편집포인트에 정확히 터치를 발생시키지 않더라도 해당 편집포인트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하나의 편집 포인트에 대해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해당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포함하는 별도의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적어도 두 개의 편집 포인트에 대해 연속적인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 포인트를 동시에 해당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포함하는 별도의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편집기능창이 상기 선택된 편집 포인트가 포함된 편집영역에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하나의 편집 포인트에 대해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해당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전체 화면영역 중 해당영역에 각각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적어도 두 개의 편집 포인트에 대해 연속적인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 포인트를 동시에 해당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상기 터치스크린의 전체 화면영역 중 해당영역에 각각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해당 편집 포인트가 선택될 때, 상기 해당 편집 포인트를 포함하는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식별자를 통해 구분하여 표시한다. 상기 식별자는 편집포인트를 구분하기 위해 해당 편집포인트 상에 표시되는 것임으로, 상기 식별자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발생은, 상기 식별자에 대한 터치 또는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가상선택영역의 터치로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편집을 위한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식별자를 통해 구분하여 표시하는 편집영역에서, 하나의 식별자에 대해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해당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포함하는 별도의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식별자를 통해 구분하여 표시하는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두 개의 식별자에 대해 연속적인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식별자를 동시에 해당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포함하는 별도의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단.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편집기능창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식별자를 통해 구분하여 표시하는 편집영역에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식별자를 통해 구분하여 표시하는 편집영역에서, 하나의 식별자에 대해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해당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전체 화면영역 중 해당영역에 각각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식별자를 통해 구분하여 표시하는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두 개의 식별자에 대해 연속적인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식별자를 동시에 해당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상기 터치스크린의 전체 화면영역 중 해당영역에 각각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해당 편집 포인트가 선택될 때, 상기 해당 편집 포인터가 포함된 편집영역을 확대하여 편집기능창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편집기능창에서 하나의 편집포인터에 터치 및 드래그가 발생될 때 해당 드래그 방향으로 상기 하나의 편집포인터를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편집포인터에 대해 연속적인 터치 및 드래그가 발생될 때, 해당 드래그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 포인터를 동시에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가 선택될 때,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전체 화면영역 중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포함하는 편집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의 편집을 위한 편집기능영역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의 선택을 구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하나의 편집 포인트에 대해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하나의 편집 포인트의 선택을 구분되게 표시하고, 상기 편집기능영역에 드래그가 발생될 때, 상기 드래그 방향으로 상기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적어도 두 개의의 편집 포인트에 대해 연속적인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적어도 두개의 편집 포인트의 선택을 구분되게 표시하고, 상기 편집기능영역에 드래그가 발생될 때 상기 드래그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 포인트를 동시에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또는 CMOS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터치스크린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하며, 상기 ISP는 감마교정, 인터폴레이션, 공간적 변화, 이미지 효과, 이미지 스케일, AWB, AE,AF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부(160)는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터치스크린부(160)는 표시부 및 입력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입력부에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하는 키 입력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부(160)는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편집대상이 되는 이미지에서 추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편집포인트로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동작을 도 2 - 도 9를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201단계에서 이미지 편집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편집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적어도 하나의 편집포인트로 표시하는 2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편집포인트가 표시되는 203단계에서 하나의 편집포인트에 대해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가 표시되는 터치스크린부(160)에서 상기 선택된 편집포인트의 편집을 위한 별도의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는 205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선택된 편집포인트가 포함된 가상선택영역에 대한 터치발생 또한 상기 편집포인트의 터치발생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편집기능창은 상기 선택된 편집포인트가 포함된 편집영역에 중첩되지 않은 위치에 표시되며, 상기 선택된 하나의 편집포인트 및 상기 선택된 하나의 편집포인트를 이동시킬 수 있는 복수의 방향키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발생으로 선택된 편집포인트는 선택되지 않은 다른 편집포인트와 구분되게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전체영역에 상기 터치가 발생된 하나의 편집포인트를 이동시킬 수 있는 복수의 방향키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방향키는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전체영역 중 가장자리 영역에서 해당방향을 가리킬 수 있는 해당영역에 각각의 방향키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방향키는 상기 해당 포인트를 포함하는 편집영역에 중첩되어 표시되지 않거나 또는 투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05단계에서 상기 편집기능창 또는 상기 전체영역에서 표시되는 복수의 방향키들 중 해당 방향키에 대한 터치가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선택된 하나의 편집포인트가 상기 터치가 발생된 해당 방향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206단계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우측하단에 상기 편집기능창을 표시하고, 상기 편집기능창에는 상기 선택된 하나의 편집포인트 및 상기 하나의 편집포인트를 중심으로 4개의 방향키가 표시될 때, 4개의 방향키 중 우측방향키가 터치되어 선택될 때 마다,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하나의 편집포인트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4방향 가장자리 각각에 4개의 방향키가 표시될 때, 4개의 방향키 중 우측방향키가 터치되어 선택될 때 마다,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하나의 편집포인트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04단계 - 상기 206단계를 통해. 상기 편집기능창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전체영역에는, 편집을 원하는 하나의 편집포인트가 선택될 때 마다, 상기 선택된 하나의 편집포인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편집포인트가 표시되는 상기 203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포인트에 대해 연속적인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가 표시되는 터치스크린부(160)에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 개의 편집포인트의 편집을 위한 별도의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는 208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적어도 두 개의 편집포인트 각각이 포함된 가상선택영역들에 대한 터치발생 또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포인트에 대한 터치발생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 개의 편집포인트의 편집을 위한 별도의 편집기능창에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포인트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는 복수의 방향키를 포함한다.
또는 상기 208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전체영역에 상기 터치가 발생된 적어도 두 개의 편집포인트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는 복수의 방향키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방향키는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전체영역 중 가장자리 영역에서 해당방향을 가리킬 수 있는 해당영역에 각각의 방향키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방향키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포인트를 포함하는 편집영역에 중첩되어 표시되지 않거나 또는 투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08단계에서 상기 편집기능창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전체영역에서 표시되는 복수의 방향키들 중 해당 방향키에 대한 터치 및 드래그가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포인트가 상기 터치 및 드래그가 발생된 해당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여 표시하는 209단계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우측하단에 상기 편집기능창을 표시하고, 상기 편집기능창에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 개의 편집포인트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포인트를 중심으로 4개의 방향키가 표시될 때, 4개의 방향키 중 우측방향키가 터치되어 선택될 때 마다,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포인트가 우측방향으로 동시에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4방향 가장자리 각각에 4개의 방향키가 표시될 때, 4개의 방향키 중 우측방향키가 터치되어 선택될 때 마다,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포인트가 우측방향으로 동시에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07단계 - 상기 209단계를 통해, 상기 편집기능창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전체영역에는, 편집을 원하는 적어도 두 개의 편집포인트가 연속적인 터치발생을 통해 선택될 때 마다,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 개의 편집포인트를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 중 편집종료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의 편집모드를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a - 도 6g 및 도 7a - 도 7d는 도 3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301단계에서 이미지 편집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편집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적어도 하나의 편집포인트로 표시하는 3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편집포인트가 표시되는 303단계에서 해당 편집포인트에 대해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발생으로 선택된 해당 편집포인트를 포함하는 편집영역의 모든 편집포인트를 서로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로 표시하는 30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305단계에서 편집포인트를 식별자로 표시하고 있는 편집영역에서, 하나의 식별자에 터치발생 또는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가상선택영역에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가 표시되는 터치스크린부(160)의 소정의 영역에 상기 선택된 식별자의 편집을 위한 별도의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는 307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식별자가 숫자일 때, 키 입력을 통해서도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편집기능창은 상기 선택된 식별자가 포함된 편집영역에 중첩되지 않은 위치에 표시되며, 상기 선택된 식별자 및 상기 선택된 식별자를 이동시킬 수 있는 복수의 방향키를 표시한다.
또는 상기 30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전체영역에 상기 터치가 발생된 식별자를 이동시킬 수 있는 복수의 방향키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방향키는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전체영역 중 가장자리 영역에서 해당방향을 가리킬 수 있는 해당영역에 각각의 방향키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방향키는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편집영역에 중첩되어 표시되지 않거나 또는 투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307단계에서 상기 편집기능창 또는 상기 전체영역에서 표시되는 복수의 방향키들 중 해당 방향키에 대한 터치가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선택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편집포인트를, 상기 터치가 발생된 해당 방향키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308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306단계 - 상기 308단계의 반복수행을 통해, 상기 편집기능창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전체영역에는, 상기 이미지에서 편집을 원하는 하나의 편집포인트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선택될 때 마다, 상기 선택된 식별자를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306단계 - 상기 308단계를 상기 도 6a - 6g를 통해 예를 들어 설명하며, 도 6a는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사람의 얼굴을 표시하는 이미지에서 눈, 코, 입 및 얼굴윤곽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편집영역 각각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편집포인트를 표시하고 있으며, 이때 눈의 편집영역에 포함된 편집포인트들 중 하나의 특정 편집포인트를 중심으로 일정영역을 포함하는 가상선택영역(601)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 도 6b와 같이 상기 가상선택영역(601)에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도 6c와 같이, 상기 터치가 발생된 가상선택영역(601)에 포함된 특정 편집포인트에 대한 터치발생으로 판단하고, 상기 터치가 발생된 특정 편집포인트가 포함된 눈의 편집영역(610)의 모든 편집포인트들을 숫자 식별자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상기 도 6c에서 눈의 편집영역(610)에서 숫자 "1"에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도 6d와 같이, 터치가 발생된 숫자"1"의 선택을 색 표시로 구분하고, 도 6e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전체영역 중 우측하단에 상기 숫자 "1"의 편집을 위한 별도의 편집기능창(165)을 표시한다.
그리고, 도 6f와 같이 상기 편집기능창(165)에서 숫자 "1"을 이동하기 위한 4개의 방향키 중 우측방향키에 대해 터치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이미지의 상기 눈의 편집영역(610)에 숫자 "1"에 해당하는 편집포인트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
또는 상기 도 6c에서 눈의 편집영역(610)에서 숫자 "1"에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도 6d와 같이 터치가 발생된 숫자"1"의 선택을 색 표시로 구분하고, 도 6g와 같이 터치스크린부(160)의 전체영역 중 상하좌우 각각의 가장자리에 상기 숫자 "1"의 편집을 위한 4개의 방향키를 표시하고, 각 방향키에는 숫자 "1"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체영역에 표시되는 4개의 방향키 중 우측방향키에 터치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이미지의 상기 눈의 편집영역(610)에 숫자 "1"에 해당하는 편집포인트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시, 상기 도 3의 상기 305단계에서 편집포인트를 식별자로 표시하고 있는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두 개의 식별자에 터치발생 또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식별자 각각을 포함하는 가상선택영역에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가 표시되는 터치스크린부(160)에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 개의 식별자의 편집을 위한 별도의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는 310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편집기능창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 개의 식별자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 개의 식별자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는 복수의 방향키를 표시한다.
또는 상기 31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전체영역에 상기 터치가 발생된 적어도 두 개의 식별자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는 복수의 방향키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방향키는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전체영역 중 가장자리 영역에서 해당방향을 가리킬 수 있는 해당영역에 각각의 방향키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방향키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편집영역에 중첩되어 표시되지 않거나 또는 투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310단계에서 상기 편집기능창 또는 상기 전체영역에서 표시되는 복수의 방향키들 중 해당 방향키에 대한 터치가 발생될 때 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식별자를 상기 터치가 발생된 해당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여 표시하는 310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309단계 - 상기 311단계를 통해, 상기 편집기능창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전체영역에는, 편집을 원하는 적어도 두 개의 식별자가 선택될 때 마다, 상기 선택된 적어도 두 개의 식별자를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309단계 - 상기 311단계를 상기 도 7a - 7d를 통해 예를 들어 설명하며, 상기 도 6c의 눈의 편집영역(610)에서, 숫자 식별자로 구분된 모든 편집포인트들이 연속적인 터치발생으로 모두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도 7a와 같이, 연속적인 터치가 발생된 숫자"1"- 숫자 "4"의 선택을 색 표시로 구분하고, 도 7b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전체영역 중 우측하단에 상기 숫자 "1"- 숫자 "4"의 편집을 위한 별도의 편집기능창(165)을 표시한다.
그리고, 도 7c와 같이 상기 편집기능창(165)에서 숫자 "1"- 숫자 "4"를 동시에 이동하기 위한 4개의 방향키 중 우측방향키에 터치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이미지의 상기 눈의 편집영역(610)에 숫자 "1"- 숫자"4"에 해당하는 편집포인트들을 동시에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또는 상기 도 6c의 눈의 편집영역(610)에서 숫자 식별자로 구분된 편집포인트들이 연속적인 터치발생으로 모두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도 7a와 같이,연속적인 터치가 발생된 숫자"1"- 숫자 "4"의 선택을 색 표시로 구분하고, 도 7d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전체영역 중 상하좌우 각각의 가장자리에 상기 숫자 "1"- 숫자 "4"의 동시이동을 위한 4개의 방향키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4개의 방향키 각각에는 숫자 "1"- 숫자"4"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체영역에 표시되는 4개의 방향키 중 우측방향키에 터치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이미지의 상기 눈의 편집영역(610)에 숫자 "1"- 숫자"4"에 해당하는 편집포인트들을 동시에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 중 편집종료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1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의 편집모드를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8a - 도 8b는 도 4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401단계에서 이미지 편집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편집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적어도 하나의 편집포인트로 표시하는 4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편집포인트가 표시되는 403단계에서 해당 편집포인트에 대해 터치 또는 상기 해당 편집포임트를 중심으로 일정영역을 포함하는 가상선택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발생으로 선택된 해당 편집포인트를 포함하는 편집영역을 확대한 별도의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는 40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편집기능창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가능하며, 그에 따라 상기 편집기능창에 표시되는 상기 편집영역은 사용자에게 적절한 배율로 확대 및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집기능창은 상기 터치발생으로 선택된 해당 편집포인트를 포함하는 편집영역에 중첩되어 표시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편집영역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확대된 편집영역을 표시하는 상기 편집기능창에서 하나의 편집포인트에 터치 및 드래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에서 상기 편집영역의 해당 편집포인트를 상기 드래그가 발생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407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확대된 편집영역을 표시하는 상기 편집기능창에서 적어도 두 개의 편집포인트에 대한 연속적인 터치가 발생된 후 해당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의 상기 편집영역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포인트를 상기 드래그가 발생된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는 409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편집기능창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편집포인트를 포함하는 편집영역 자체가 확대되어 표시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편집기능창에서 상기 편집영역에 포함된 해당 편집포인트가 해당방향으로 이동될 때마다, 상기 이미지에 적용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편집기능창에서 표시되는 상기 편집영역에 대한 편집이 완료되는 시점 즉, 상기 편집영역을 위한 상기 편집기능창이 종료되는 시점에 상기 편집기능창에서 발생되었던 해당 편집포인트의 이동이 상기 이미지에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 중 편집종료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의 편집모드를 종료한다.
상기 도 4의 과정을 상기 도 8a - 도 8b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도 8a에서는,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사람의 얼굴이미지 중 눈의 편집영역(610)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편집기능창(165)이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우측 하단에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편집기능창(165)에서 해당 편집포인트(165a)에 대해 터치 후 우측방향에 대한 드래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눈의 편집영역(165)의 해당 편집포인트를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도 8b는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사람의 얼굴이미지 중 눈의 편집영역(610)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편집기능창(165)이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우측 하단에 표시되는 있는 동안, 상기 편집기능창(165)에서 모든 편집포인트들에 대해 연속적인 터치가 발생된 후 마지막 터치가 발생된 편집포인트(165b)에 대해 우측방향에 대한 드래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눈의 편집영역(165)의 모든 편집포인트를 우측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9a - 도 9b는 도 5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501단계에서 이미지 편집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5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편집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적어도 하나의 편집포인트로 표시하는 5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편집포인트가 표시되는 503단계에서 하나의 편집포인트에 대해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5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하나의 편집포인트의 선택을 색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505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505단계에서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전체영역 중 상기 하나의 편집포인트가 포함된 편집영역이외의 나머지영역을 편집기능영역으로 전환한다.
그리고, 상기 하나의 편집포인트가 포함된 편집영역이외의 나머지영역인 편집기능영역 중 어느 영역에서든 드래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5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드래그가 발생된 해당방향으로 상기 504단계에서 선택된 하나의 편집포인트를 이동하는 507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편집포인트가 표시되는 503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편집포인트에 대해 연속적인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5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포인트의 선택을 색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509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509단계에서 상기 터치스크린부(160)의 전체영역 중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포인트가 포함된 편집영역이외의 나머지영역을 편집기능영역으로 전환한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포인트가 포함된 편집영역이외의 나머지영역인 편집기능영역 중 어느 영역에서든 드래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5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드래그가 발생된 해당방향으로 상기 508단계에서 선택된 적어도 두 개의 편집포인트를 동시에 이동하는 51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 중 편집종료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51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의 편집모드를 종료한다.
상기 도 5의 과정을 상기 도 9a - 도 9b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도 9a에서는,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사람의 얼굴이미지 중 눈의 편집영역(610)의 해당 편집포인트가 터치발생으로 선택되었을 때, 눈의 편집영역(610)에서 선택된 해당 편집포인트의 선택을 색으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상기 눈의 편집영역(610)이외의 나머지 모든 영역을 편집기능영역으로 전환한다. 따라서 상기 눈의 편집영역(610)이외의 나머지 모든 영역인 상기편집기능영역 중 어느 영역에서든 우측방향으로 드래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눈의 편집영역(610)에서 선택된 해당 편집포인트를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도 9b는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사람의 얼굴이미지 중 눈의 편집영역(610)의 모든 편집포인트가 연속적인 터치발생으로 선택되었을 때, 눈의 편집영역(610)에서 선택된 모든 편집포인트의 선택을 색으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상기 눈의 편집영역(610)이외의 나머지 모든 영역을 편집기능영역으로 전환한다. 따라서 상기 눈의 편집영역(610)이외의 나머지 모든 영역인 편집기능영역 중 어느 영역에서든 우측방향으로 드래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눈의 편집영역(610)에서 선택된 모든 편집포인트를 우측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제어부, 130: 메모리, 160:터치스크린부,

Claims (50)

  1.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에 있어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부와,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의 편집을 위한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기능창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 대한 편집이 선택될 때, 상기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편집영역을 추출하고, 각각의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에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하나의 편집 포인트에 대해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해당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포함하는 별도의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적어도 두 개의 편집 포인트에 대해 연속적인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 포인트를 동시에 해당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포함하는 별도의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편집 포인트가 포함된 편집영역에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상기 편집 기능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하나의 편집 포인트에 대해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해당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전체 화면영역 중 해당영역에 각각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적어도 두 개의 편집 포인트에 대해 연속적인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 포인트를 동시에 해당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상기 터치스크린의 전체 화면영역 중 해당영역에 각각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특정 편집 포인트를 중심으로 일정영역을 포함하는 가상선택영역에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가상선택영역에 포함된 편집 포인트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9.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에 있어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부와,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해당 편집 포인트가 선택될 때, 상기 해당 편집 포인트를 포함하는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식별자를 통해 구분하여 표시하고, 상기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편집을 위한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기능창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 대한 편집이 선택될 때, 상기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편집영역을 추출하고, 각각의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에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식별자를 통해 구분하여 표시하는 편집영역에서, 하나의 식별자에 대해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해당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포함하는 별도의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식별자를 통해 구분하여 표시하는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두 개의 식별자에 대해 연속적인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식별자를 동시에 해당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포함하는 별도의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식별자를 통해 구분하여 표시하는 편집영역에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상기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식별자를 통해 구분하여 표시하는 편집영역에서, 하나의 식별자에 대해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해당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전체 화면영역 중 해당영역에 각각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식별자를 통해 구분하여 표시하는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두 개의 식별자에 대해 연속적인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식별자를 동시에 해당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상기 터치스크린의 전체 화면영역 중 해당영역에 각각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특정 편집 포인트를 중심으로 일정영역을 포함하는 가상선택영역에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가상선택영역에 포함된 편집 포인트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17.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에 있어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부와,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해당 편집 포인트가 선택될 때, 상기 해당 편집 포인트가 포함된 편집영역을 확대하여 편집기능창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기능창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 대한 편집이 선택될 때, 상기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편집영역을 추출하고, 각각의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에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기능창에서 하나의 편집 포인트에 터치 및 드래그가 발생될 때 해당 드래그 방향으로 상기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이동하고, 적어도 두 개의 편집 포인트에 대해 연속적인 터치 및 드래그가 발생될 때 해당 드래그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 포인트를 동시에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특정 편집 포인트를 중심으로 일정영역을 포함하는 가상선택영역에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가상선택영역에 포함된 해당 편집 포인트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21.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에 있어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부와,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가 선택될 때,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전체 화면영역 중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포함하는 편집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의 편집을 위한 편집기능영역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기능영역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 대한 편집이 선택될 때, 상기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편집영역을 추출하고, 각각의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에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하나의 편집 포인트에 대해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하나의 편집 포인트의 선택을 구분되게 표시하고, 상기 편집기능영역에 드래그가 발생될 때 상기 드래그 방향으로 상기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24.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적어도 두 개의의 편집 포인트에 대해 연속적인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적어도 두개의 편집 포인트의 선택을 구분되게 표시하고, 상기 편집기능영역에 드래그가 발생될 때 상기 드래그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 포인트를 동시에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25.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특정 편집 포인트를 중심으로 일정영역을 포함하는 가상선택영역에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가상선택영역에 포함된 해당 편집 포인트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26.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이미지에 편집 포인트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의 편집을 위한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편집기능창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편집 포인트들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상기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편집영역을 추출하는 과정과.
    각각의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편집 포인트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28.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하나의 편집 포인트에 대해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선택된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해당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포함하는 별도의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편집기능창에서 상기 복수의 방향키 중 해당 방향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해당 방향키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하나의 선택 포인트를 이동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29.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적어도 두 개의 편집 포인트에 대해 연속적인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 포인트를 동시에 해당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포함하는 별도의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편집기능창에서 상기 복수의 방향키 중 해당 방향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해당 방향키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선택 포인트를 동시에 이동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30.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편집 포인트가 포함된 편집영역에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상기 편집 기능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31.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하나의 편집 포인트에 대해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선택된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해당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부의 전체 화면영역 중 해당영역에 각각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방향키 중 해당 방향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해당 방향키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하나의 선택 포인트를 이동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32. ◈청구항 3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적어도 두 개의 편집 포인트에 대해 연속적인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 포인트를 동시에 해당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부의 전체 화면영역 중 해당영역에 각각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방향키 중 해당 방향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해당 방향키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선택 포인트를 동시에 이동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33. ◈청구항 3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특정 편집 포인트를 중심으로 일정영역을 포함하는 가상선택영역에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가상선택영역에 포함된 편집 포인트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34.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이미지에 편집 포인트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해당 편집 포인트가 선택되면, 상기 해당 편집 포인트를 포함하는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식별자를 통해 구분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편집을 위한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편집기능창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35. ◈청구항 3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편집 포인트들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상기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편집영역을 추출하는 과정과.
    각각의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편집 포인트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36. ◈청구항 3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4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식별자를 통해 구분하여 표시하는 편집영역에서, 하나의 식별자에 대해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해당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포함하는 별도의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편집기능창에서 상기 복수의 방향키 중 해당 방향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해당 방향키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하나의 식별자를 이동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37. ◈청구항 3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4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식별자를 통해 구분하여 표시하는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두 개의 식별자에 대한 연속적인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 포인트를 해당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포함하는 별도의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편집기능창에서 상기 복수의 방향키 중 해당 방향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해당 방향키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두 개 식별자를 동시에 이동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38. ◈청구항 3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식별자를 통해 구분하여 표시하는 편집영역에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상기 편집기능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39. ◈청구항 3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식별자를 통해 구분하여 표시하는 편집영역에서, 하나의 식별자에 대해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해당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부의 전체 화면영역 중 해당영역에 각각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방향키 중 해당 방향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해당 방향키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하나의 식별자를 이동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40. ◈청구항 4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식별자를 통해 구분하여 표시하는 편집기능창에서, 적어도 두 개의 식별자에 대한 연속적인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 포인트를 해당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향키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부의 전체 화면영역 중 해당영역에 각각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방향키 중 해당 방향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해당 방향키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두 개 식별자를 동시에 이동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41. ◈청구항 4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특정 편집 포인트를 중심으로 일정영역을 포함하는 가상선택영역에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가상선택영역에 포함된 편집 포인트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42.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이미지에 편집 포인트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가 선택되면, 상기 해당 편집 포인트가 포함된 편집영역을 확대하여 편집기능창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편집기능창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43. ◈청구항 4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편집 포인트들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상기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편집영역을 추출하는 과정과.
    각각의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편집 포인트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44. ◈청구항 4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2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기능창에서 하나의 편집 포인트에 터치 및 드래그가 발생되면, 해당 드래그 방향으로 상기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이동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편집기능창에서 적어도 두 개의 편집 포인트에 대해 연속적인 터치 및 드래그가 발생되면, 해당 드래그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 포인트를 동시에 이동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45. ◈청구항 4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특정 편집 포인트를 중심으로 일정영역을 포함하는 가상선택영역에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가상선택영역에 포함된 편집 포인트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46.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이미지에 편집 포인트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해당 편집 포인트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부의 전체 화면영역 중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포함하는 편집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편집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의 편집을 위한 편집기능영역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편집기능영역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포인트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47. ◈청구항 4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편집 포인트들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상기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편집영역을 추출하는 과정과.
    각각의 편집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편집 포인트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48. ◈청구항 4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하나의 편집 포인트에 대해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하나의 편집 포인트의 선택을 구분되게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편집기능영역에 드래그가 발생되면, 상기 드래그 방향으로 상기 하나의 편집 포인트를 이동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49. ◈청구항 4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표시된 편집 포인트들 중 적어도 두 개의 편집 포인트에 대해 연속적인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 포인트의 선택을 구분되게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편집기능영역에 드래그가 발생되면, 상기 드래그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편집 포인트를 이동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50. ◈청구항 5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편집모드에서 특정 편집 포인트를 중심으로 일정영역을 포함하는 가상선택영역에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가상선택영역에 포함된 편집 포인트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방법.
KR1020120014564A 2012-02-14 2012-02-14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및 방법 KR101902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564A KR101902418B1 (ko) 2012-02-14 2012-02-14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및 방법
US13/767,226 US9582179B2 (en) 2012-02-14 2013-02-14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image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564A KR101902418B1 (ko) 2012-02-14 2012-02-14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191A KR20130093191A (ko) 2013-08-22
KR101902418B1 true KR101902418B1 (ko) 2018-10-04

Family

ID=48946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564A KR101902418B1 (ko) 2012-02-14 2012-02-14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82179B2 (ko)
KR (1) KR1019024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443B1 (ko) * 2019-11-18 2020-11-09 셀렉트스타 주식회사 데이터 라벨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30735A (ja) * 2016-01-19 2017-07-2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1093027B (zh) * 2019-12-31 2021-04-1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2802156A (zh) * 2020-12-31 2021-05-14 山东奥邦交通设施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四点变换的区域标识方法及系统
CN113920224A (zh) * 2021-09-29 2022-01-11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素材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841B1 (ko) * 2009-12-29 2011-12-14 (주)엑시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컴퓨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3309A (en) * 1993-01-05 1996-04-30 Apple Computer, Inc. Graphic editor user interface for a pointer-based computer system
JP2000209425A (ja) * 1998-11-09 2000-07-28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KR100642688B1 (ko) * 2004-08-06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상의 일부를 편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075720B1 (ko) * 2005-07-08 2011-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이미지편집 방법
KR100744341B1 (ko) * 2005-12-05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에서 화면 캡쳐 기능을이용한 액자 이미지 생성 방법
KR20070097794A (ko) * 2006-03-29 2007-10-05 엠디에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휴대 장치를 이용한 모핑 대응점 설정방법
US8271893B1 (en) * 2009-01-09 2012-09-18 Adobe Systems Incorporated Transforming representation information
US8146021B1 (en) * 2009-08-18 2012-03-27 Adobe Systems Incorporated User interface for path distortion and stroke width edit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841B1 (ko) * 2009-12-29 2011-12-14 (주)엑시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컴퓨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443B1 (ko) * 2019-11-18 2020-11-09 셀렉트스타 주식회사 데이터 라벨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191A (ko) 2013-08-22
US9582179B2 (en) 2017-02-28
US20130212520A1 (en) 2013-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786B1 (ko)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KR102110193B1 (ko) 기기의 화면제어장치 및 방법
CN104536684B (zh) 界面显示方法及装置
US9338359B2 (en) Method of capturing an image in a device and the device thereof
US2013013518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application in a wireless terminal
US20100020221A1 (en) Camera Interface in a Portable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1902418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편집장치 및 방법
JP559823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8762702A (zh) 移动终端、图像显示装置及使用其的用户接口提供方法
KR20140125073A (ko) 화면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090006454A (ko) 터치인식을 통한 영상촬영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그 촬영방법
KR2013001665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면 캡쳐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WO2014103634A1 (ja) 表示処理方法及び情報装置
KR20220158101A (ko) 이미지 촬영 방법 및 전자 장비
CN109656461B (zh) 一种截屏方法和终端
KR20130040547A (ko) 휴대단말기의 화면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08506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8452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6406651A (zh) 动态放大显示视频的方法及装置
KR20130071908A (ko) 휴대단말기의 화면편집 장치 및 방법
CN110908517B (zh) 图像编辑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09542307B (zh) 一种图像处理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5335061A (zh) 信息的显示方法、装置及终端
US201201201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 effect in mobile terminal
CN110163949B (zh) 一种壁纸设置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