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062B1 -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밀봉 캡 폐쇄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밀봉 캡 폐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062B1
KR101902062B1 KR1020160085590A KR20160085590A KR101902062B1 KR 101902062 B1 KR101902062 B1 KR 101902062B1 KR 1020160085590 A KR1020160085590 A KR 1020160085590A KR 20160085590 A KR20160085590 A KR 20160085590A KR 101902062 B1 KR101902062 B1 KR 101902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cap
plate glass
exhaust hole
plate
glass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5462A (ko
Inventor
박재일
Original Assignee
박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일 filed Critical 박재일
Priority to KR1020160085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062B1/ko
Priority to CN201780042316.9A priority patent/CN109476524B/zh
Priority to EP17824514.8A priority patent/EP3483127B1/en
Priority to US16/314,814 priority patent/US10683693B2/en
Priority to JP2019521634A priority patent/JP6739639B2/ja
Priority to PCT/KR2017/007131 priority patent/WO2018008958A1/ko
Publication of KR20180005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7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quilibration of inside and outside pressure; Preventing condensation in the gap between the panes; Clean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20Uniting glass pieces by fusing without substantial reshaping
    • C03B23/203Uniting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20Uniting glass pieces by fusing without substantial reshaping
    • C03B23/24Making hollow glass sheets or brick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12Evacuated glaz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7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quilibration of inside and outside pressure; Preventing condensation in the gap between the panes; Clean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06B3/6775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during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장의 판유리 사이의 공기를 배기하고 밀봉하기 위한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밀봉 캡 폐쇄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밀봉 캡 폐쇄 장치는 진공 체임버, 클램핑 유닛, 홀더, 캠 기구, 핸들과 도그로 구성되어 있다. 진공 체임버는 아랫면 한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구멍을 갖는 판유리 조립체를 투입하여 배기한다. 클램핑 유닛은 배기구멍과 이웃하는 판유리 조립체의 가장자리에 클램핑되며, 배기구멍과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구멍을 갖는다. 홀더는 배기구멍을 폐쇄하기 위한 유리 땜납이 도포되어 있는 밀봉 캡을 보유하여 가이드구멍을 따라 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구멍에 장착되어 있다. 캠 기구는 클램핑 유닛의 한쪽에 장착되어 있고, 가이드구멍을 따라 홀더를 운동시켜 밀봉 캡을 배기구멍 주위에 눌러준다. 핸들은 캠 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캠 기구에 결합되어 있다. 도그는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 후 진공 체임버 안으로 판유리 조립체가 병진운동될 때 진공 체임버의 한쪽에 핸들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은, 밀봉 캡에 도포되어 있는 유리 땜납을 진공 체임버에 투입하기 전에 가열한다. 본발명에 의하면, 밀봉 캡을 보유하는 홀더를 클램핑 유닛에 장착한 후, 클램핑 유닛을 판유리 조립체에 클램핑함으로써, 밀봉 캡에 의해 배기구멍을 정확하게 폐쇄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밀봉 캡 폐쇄 장치{METHOD FOR MANUFACTURING VACUUM INSULATION GLASS PANEL AND CLOSURE APPARATUS OF SEALING CAP}
본 발명은 진공 단열 판유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장의 판유리 사이의 공기를 배기하고 밀봉하기 위한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밀봉 캡 폐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 단열 판유리는 주택, 빌딩 등 건축물의 냉난방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창호나 외벽으로 사용되고 있다. 진공 단열 판유리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두 장의 판유리를 포함한다. 두 장의 판유리 사이의 공간을 대기압보다 낮게 감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판유리들의 가장자리는 유리 땜납(Glass solder)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판유리들 사이의 공간은 복수의 스페이서(Spacer)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판유리들 사이의 공간을 펌핑 아웃(Pumping out) 또는 공기의 배기에 의해 진공으로 형성하기 위해 판유리들 중 어느 하나에 개구부 또는 배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유리 튜브(Glass tube)는 개구부에 연결되고, 진공장치(Vacuum equipment)가 유리 튜브가 연결된다. 진공장치의 작동에 의해 공간의 배기를 행한 후, 유리 튜브는 용융에 의해 밀봉하여 공간의 진공을 유지시키게 된다. 하지만, 유리 튜브가 판유리의 표면에 돌출되어 있게 된다. 또한, 유리 튜브는 파손될 우려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076783호 "진공 단열 판유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판유리"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의 방법은 유리 땜납을 두 장의 판유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의 주위에 도포하고, 유리 또는 금속의 폐쇄 캡(Closing-off cap)을 유리 땜납 위에 배치시킨다. 두 장의 판유리를 진공오븐(Vacuum oven)에 투입한 후, 개구부를 통해 판유리들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배기한다. 유리 땜납이 연화 온도에 도달되면, 폐쇄 캡을 플런저(Plunger)에 의해 눌러 개구부를 밀봉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은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 폐쇄 캡은 스프링과 같은 부재에 의해 개구부의 위쪽에 배치되어 유지되기 때문에 판유리들의 이동 중에 폐쇄 캡의 위치 변동이나 탈락이 발생되어 개구부를 정확하게 폐쇄하지 못하는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둘째, 폐쇄 갭의 폐쇄 후, 부재가 판유리 안에 잔류되어 소음 및 파손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셋째, 진공 단열 판유리의 사이즈(Size)에 따라 판유리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위치가 변경되기 때문에 폐쇄 캡을 눌러주기 위한 플런저의 세팅(Setting)이 상당히 복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판유리의 배기구멍을 폐쇄하기 위한 밀봉 캡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배기구멍을 정확하게 폐쇄할 수 있는 새로운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밀봉 캡 폐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봉 캡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와 같은 이물질이 판유리들에 잔류하지 않게 하면서 배기구멍을 폐쇄할 수 있는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밀봉 캡 폐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따른 목적은, 사이즈가 다른 판유리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자동화할 수 있는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밀봉 캡 폐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진공 단열 판유리의 밀봉 캡 폐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 판유리의 밀봉 캡 폐쇄 장치는, 아랫면 한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구멍을 갖는 판유리 조립체를 투입하여 배기하기 위한 진공 체임버와; 배기구멍과 이웃하는 판유리 조립체의 가장자리에 클램핑되며, 배기구멍과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구멍을 갖는 클램핑 유닛과; 배기구멍을 폐쇄하기 위한 유리 땜납이 도포되어 있는 밀봉 캡을 보유하여 가이드구멍을 따라 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구멍에 장착되어 있는 홀더와; 클램핑 유닛의 한쪽에 장착되어 있고, 가이드구멍을 따라 홀더를 운동시켜 밀봉 캡을 배기구멍 주위에 눌러주는 캠 기구와; 캠 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캠 기구에 결합되어 있는 핸들과;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 후 진공 체임버 안으로 판유리 조립체가 병진운동될 때 진공 체임버의 한쪽에 핸들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도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은, 아랫면 한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구멍을 갖는 판유리 조립체를 투입하여 배기하기 위한 진공 체임버와, 밀봉 캡을 배기구멍 쪽으로 직선운동시킬 수 있는 핸들에 의해 작동되는 캠 기구를 구비하여 밀봉 캡을 배기구멍의 주위에 눌러줄 수 있는 밀봉 캡 폐쇄 장치를 구비하는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판유리 조립체를 준비하는 단계와; 배기구멍을 폐쇄하기 위한 밀봉 캡에 유리 땜납을 도포하여 준비하는 단계와; 밀봉 캡 폐쇄 장치에 밀봉 캡을 보유시킨 후, 밀봉 캡이 배기구멍의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밀봉 캡 폐쇄 장치를 판유리 조립체에 클램핑하는 단계와; 유리 땜납이 연화되도록 유리 땜납을 가열하는 단계와; 판유리 조립체를 진공 체임버에 투입하여 진공 체임버 안에서 병진운동시키면서 배기하는 단계와; 배기하는 단계 이후에 핸들의 조작에 의해 캠 기구를 작동시켜 밀봉 캡을 배기구멍 쪽으로 눌러 연화되어 있는 유리 땜납을 배기구멍의 주위에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밀봉 캡 폐쇄 장치는, 밀봉 캡을 보유하는 홀더를 클램핑 유닛에 장착한 후, 클램핑 유닛을 판유리 조립체에 클램핑함으로써, 밀봉 캡에 의해 배기구멍을 정확하게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밀봉 캡이 홀더에 보유되는 것에 의해 밀봉 캡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와 같은 이물질이 판유리 조립체에 잔류하지 않게 하면서 배기구멍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배기구멍의 위치에 맞춰 클램핑 유닛에 장착되는 홀더의 위치를 간편하게 세팅할 수 있으므로, 사이즈가 다른 판유리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자동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은, 밀봉 캡에 도포되어 있는 유리 땜납을 진공 체임버에 투입하기 전에 가열할 수 있으므로, 열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캡 폐쇄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캡 폐쇄 장치를 부분적으로 절제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캡 폐쇄 장치에서 밀봉 캡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캡 폐쇄 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캡 폐쇄 장치에 의한 밀봉 캡의 준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캡 폐쇄 장치에 의한 밀봉 캡의 폐쇄 상태를 부분적으로 절제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캡 폐쇄 장치에서 캠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캡 폐쇄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밀봉 캡 폐쇄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도 2, 도 5와 도 6에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판유리 조립체가 일례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도 2,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판유리 조립체(10)는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마주보는 상부 판유리(12)와 하부 판유리(14)를 구비한다. 유리 땜납(16)이 상부 및 하부 판유리(12, 14) 사이에 진공(감압) 공간(18)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 판유리(12, 14)의 가장자리에 도포되어 있다. 판유리 조립체(10)의 사이즈가 큰 경우, 상부 및 하부 판유리(12, 14)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판유리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스페이서(20)가 상부 및 하부 판유리(12, 14) 사이에 공간(18)배치된다. 스페이서(20)는 소형의 유리로 원기둥 형상이나 구 형상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배기구멍(22)이 유리 땜납(16)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18)과 연통되도록 하부 판유리(14)의 가장자리 한쪽에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5와 도 6에 배기구멍(22)은 하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판유리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배기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배기구멍(22)은 밀봉 캡(30)에 의해 폐쇄된다. 밀봉 캡(30)은 유리로 제조될 수 있다. 밀봉 캡(30)의 윗면에 유리 땜납(40), 예를 들면 프릿(Frit)이 도포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진공 체임버(Vacuum chamber)나 진공오븐 안에서 판유리 조립체(10)의 배기 후 유리 땜납(40)을 연화 온도로 가열되는 경우, 유리 땜납(40)은 배기구멍(22)과 밀봉 캡(3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배기통로(42)를 형성하는 다양한 패턴(Pattern: 44, 46, 48)으로 밀봉 캡(30)의 윗면에 도포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유리 땜납(40)은 배기구멍(22)의 주위에 도포될 수도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패턴(44)은 밀봉 캡(30)의 가장자리와 가깝게 배치되고 배기통로(42)의 형성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불연속 구간을 갖는 제1 패턴(44a)과, 밀봉 캡(30)의 가장자리로부터 제1 패턴(44a)보다 멀고 제1 패턴(44a)의 불연속 구간에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2 패턴(44b)을 구비한다. 도 3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패턴(46)은 배기통로(42)의 형성을 위해 제1 패턴(46a)의 불연속 구간의 한쪽 끝을 제2 패턴(46b)에 한쪽 끝에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3 패턴(46c)을 구비한다. 도 3의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패턴(48)은 밀봉 캡(30)의 가장자리에 배기통로(42)를 갖는 톱니 형태의 요철(48a)로 형성되어 있다. 유리 땜납(40)이 가열되어 연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밀봉 캡(30)을 배기구멍(22)의 주위에 눌러주면, 밀봉 캡(30)이 하부 판유리(14)의 아랫면에 밀착되면서 배기통로(42)가 막히게 된다.
도 1,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 판유리의 밀봉 캡 폐쇄 장치(50)는 밀봉 캡(30)을 배기구멍(22)의 주위에 눌러 밀봉 캡(30)에 의해 배기구멍(22)을 폐쇄시킨다. 밀봉 캡 폐쇄 장치(50)는 배기구멍(22)과 이웃하는 판유리 조립체(10)의 가장자리에 클램핑되는 클램핑 유닛(Clamping unit: 60)을 구비한다. 클램핑 유닛(60)은 상부 플레이트(Top plate: 62), 하부 플레이트(Bottom plate: 64), 조인트 플레이트(Joint plate: 66)와 클램핑 스크루(Clamping screw: 68)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플레이트(62)는 상부 판유리(12)의 윗면과 간격을 두고 상부 판유리(12)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하부 플레이트(64)는 하부 판유리(14)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하부 플레이트(64)의 윗면은 하부 판유리(14)의 아랫면에 접촉될 수 있다. 가이드구멍(Guide hole: 64a)이 배기구멍(22)과 정렬되도록 하부 플레이트(64)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배기통로(64b)가 가이드구멍(64a)과 연결되도록 하부 플레이트(64)의 윗면에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 플레이트(66)는 상부 플레이트(62)와 하부 플레이트(64)를 연결하고 있다. 축구멍(66a)이 하부 플레이트(64)의 아래로 연장되어 있는 조인트 플레이트(66)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클램핑 스크루(68)는 상부 판유리(12)를 클램핑 할 수 있도록 상부 플레이트(62)에 체결되어 있다. 발(Foot: 70)이 상부 판유리(12)의 윗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클램핑 스크루(68)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다. 하부 플레이트(64)와 발(70)은 판유리 조립체(10)를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전기전도도와 열전도도가 작은 소재, 예를 들면 비스무트(Bismuth)로 구성되어 있다. 샤프트 브래킷(Shaft bracket: 72)이 조인트 플레이트(66)와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하부 플레이트(64)의 아랫면에 결합되어 있다. 축구멍(72a)이 조인트 플레이트(66)의 축구멍(66a)과 정렬되도록 샤프트 브래킷(72)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한 쌍의 샤프트 브래킷이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하부 플레이트(64)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 판유리의 밀봉 캡 폐쇄 장치(50)는 배기구멍(22)을 폐쇄하기 위한 밀봉 캡(30)을 보유시키기 위한 홀더(Holder: 80)를 구비한다. 홀더(80)는 가이드구멍(64a)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구멍(64a)에 끼워져 있다. 밀봉 캡(30)의 안착을 위한 리세스(Recess: 82)가 홀더(80)의 윗면에 형성되어 있다. 보어(Bore: 84)가 홀더(80)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2, 도 4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 판유리의 밀봉 캡 폐쇄 장치(50)는 홀더(80)에 보유되어 있는 밀봉 캡(30)을 배기구멍(22) 주위에 눌러주기 위한 캠 기구(Cam mechanism: 90)를 구비한다. 캠 기구(90)는 캠 샤프트(Cam shaft: 92), 태핏(Tappet: 94)과 코일스프링(Coil spring: 96)으로 구성되어 있다.
캠 샤프트(90)는 샤프트(92a)와 캠(92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샤프트(92a)의 양단은 조인트 플레이트(66)의 축구멍(66a)과 샤프트 브래킷(72)의 축구멍(72a)에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다. 도 7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캠(92b)은 샤프트(92a)의 외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캠(92b)은 캠 힐(Cam heel: 92c)과, 캠 힐(92c)의 한쪽에 돌출되어 있는 캠 로브(Cam lobe: 92d)를 구비한다.
태핏(94) 또는 캠 팔로워(Cam follower)는 홀더(80)와 캠(92b)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태핏(94)의 위쪽은 보어(84)에 끼워져 있으며, 아래쪽은 캠(92b)에 지지되어 있다. 태핏(94)이 캠 힐(92c)에 지지되어 있으면, 홀더(80)와 태핏(94)가 하강되어 밀봉 캡(30)은 하부 판유리(14)로부터 떨어져 있게 된다. 태핏(94)이 캠 로브(92d)에 지지되어 있으면, 홀더(80)와 태핏(94)가 상승되어 밀봉 캡(30)을 하부 판유리(14)의 아랫면에 눌러주게 된다. 홀더(80)와 태핏(94)은 판유리 조립체(10)에 접촉하는 부분, 즉 하부 플레이트(64)와 발(70)의 열전도도보다 높은 열전도도를 갖는 소재, 예를 들면 무산소동(Oxygen-free copper), 석영 유리(Quartz glass)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유리 조립체(10)와 접촉하는 부분의 열전도도가 밀봉 캡(30)을 보유하여 유리 땜납(40)을 가열하기 위한 부품으로 홀더(80)와 태핏(94)의 열전도도보다 낮게 구성됨으로써, 유리 땜납(40)의 가열 시 열에 의한 판유리 조립체(10)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코일스프링(96)은 홀더(80)와 태핏(94) 사이에 개재되도록 보어(84) 안에 장착되어 있다. 코일스프링(96)은 홀더(80)와 태핏(94)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스프링(96)은 그 탄성에 의해 리세스(82)에 놓여있는 밀봉 캡(30)이 하부 판유리(14)의 아랫면에 접촉되도록 태핏(94)에 대해 홀더(80)를 탄성 편향(Elastic bias)시킬 수 있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캠 기구(90)는 태핏(94)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리니어 가이드(Linear guide)로 한 쌍의 가이드 바(Guide bar: 98)를 더 구비한다. 가이드 바(98)들은 하부 플레이트(64)의 양쪽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 바(98)들은 태핏(94)의 양쪽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구멍(94a)에 끼워져 태핏(94)의 승강을 직선운동으로 안내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리니어 가이드는 하부 플레이트(64)에 장착되는 가이드레일(Guide rail)과,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태핏(94)에 장착되는 슬라이더(Slider)를 갖는 모노레일 타입(Monorail type)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캠 기구(90)는 캠 샤프트(90)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Handle: 100) 또는 레버(Lever)를 더 구비한다. 핸들(100)은 샤프트(92a)의 한쪽 끝에 결합되어 있다. 리턴스프링(102)이 핸들(100)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샤프트(92a)와 핸들(100)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리턴스프링(102)은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그(Dog: 104)가 판유리 조립체(10)의 배기 후 핸들(10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진공 체임버(110) 또는 프로세스 체임버(Process chamber)의 한쪽에 더 장착되어 있다. 도 1에 도그(104)는 진공 체임버(110)의 벽면에 결합되어 있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도그(104)는 환봉(Round bar), 핀(Pin), 브래킷(Bracket)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 판유리의 밀봉 캡 폐쇄 장치에 의한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판유리 조립체(10)와 밀봉 캡(30)을 준비한 후, 밀봉 캡(30)의 윗면 가장자리에 유리 땜납(40)을 도포한다. 유리 땜납(40)이 도포되어 있는 밀봉 캡(30)은 홀더(80)의 리세스(82)에 안착시킨다. 밀봉 캡(30)이 홀더(80)에 보유되어 있는 밀봉 캡 폐쇄 장치(50)는 클램핑 유닛(60)에 의해 판유리 조립체(10)에 클램핑시킨다. 배기구멍(22)이 형성되어 있는 판유리 조립체(10)의 가장자리를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62, 64) 사이에 끼운 후, 클램핑 스크루(68)를 체결하게 되면, 발(70)이 상부 판유리(12)의 윗면에 지지되고, 하부 플레이트(64)가 하부 판유리(14)의 아랫면에 지지되면서 판유리 조립체(10)가 클램핑 유닛(60)에 클램핑된다. 핸들(100)의 초기 위치에서 태핏(94)은 캠 힐(92c)에 지지되어 있고, 밀봉 캡(30)은 배기구멍(22)으로부터 떨어져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밀봉 캡(30)이 홀더(80)에 보유된 상태에서 클램핑 유닛(60)을 판유리 조립체(10)에 클램핑시킴으로써, 배기구멍(22)에 대해 밀봉 캡(30)을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구멍(22)의 위치에 맞춰 클램핑 유닛(60)에 장착되는 홀더(80)의 위치를 간편하게 세팅할 수 있으므로, 사이즈가 다른 판유리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판유리 조립체(10)의 클램핑이 완료되면, 유리 땜납(40)을 가열하여 연화시킨다. 유리 땜납(40)은 히팅 체임버(Heating chamber) 안에서 히터(Heater)의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복사열에 의해 연화시킬 수 있다. 진공 체임버(110)에 판유리 조립체(10)를 투입하기 이전에 유리 땜납(40)을 가열하는 것에 의해 진공 체임버(110) 안에서 복사열에 의해 유리 땜납(40)을 가열하는 것보다 열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유리 땜납(40)의 연화 후, 판유리 조립체(10)는 컨베이어(Conveyor)에 탑재하여 진공 체임버(110) 안으로 투입한다. 판유리 조립체(10)가 진공 체임버(110)에 투입되면, 진공 체임버(110)의 배기를 행한다. 판유리 조립체(10) 안의 공기는 배기구멍(22)과 배기통로(64b)를 통해 진공 체임버(110) 밖으로 배기된다. 배기 시 판유리 조립체(10)는 컨베이어의 작동에 의해 진공 체임버(110)를 따라 병진운동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유리 땜납(40)의 연화는 진공 체임버(110) 안에서 판유리 조립체(10)의 배기 후 실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리 땜납(40)이 코일스프링(96)의 탄성에 의해 배기구멍(22)의 주위에 밀착되더라도 공기는 배기구멍(22)과 유리 땜납(40)의 배기통로(4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1과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판유리 조립체(10)의 배기 후, 컨베이어의 작동에 의해 병진운동되는 캠 기구(90)의 핸들(100)이 도그(104)에 걸려 회전된다. 핸들(100)이 회전되면, 캠 샤프트(90)가 회전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캠 샤프트(90)의 회전에 의해 캠 힐(92c)에 지지되어 있던 태핏(94)이 캠 로브(92d)에 지지되면서 상승된다. 태핏(94)의 상승과 함께 홀더(80)가 가이드구멍(64a)을 따라 상승되면서 밀봉 캡(30)을 배기구멍(22)의 주위에 눌러주게 된다. 이로 인하여 연화되어 있던 유리 땜납(40)이 배기구멍(22)의 주위에 접합되고, 밀봉 캡(30)이 배기구멍(22)을 완벽하게 폐쇄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밀봉 캡(30)에 의한 배기구멍(22)의 폐쇄가 완료된 후, 판유리 조립체(10)는 컨베이어의 작동에 의해 진공 체임버(110) 밖으로 배출된다. 핸들(100)은 도그(104)를 지나치면서 리턴스프링(102)의 탄성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핸들(100)의 복귀에 의해 캠 샤프트(90)가 회전되면서 태핏(94)이 다시 캠 힐(92c)에 지지되고, 태핏(94)과 함께 홀더(80)가 하강되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진공 체임버(110) 안에서 캠 기구(90)의 작동에 의해 밀봉 캡(30)을 배기구멍(22) 주위에 눌러 폐쇄시킬 수 있으므로, 판유리 조립체(10)의 제조 공정을 간편하게 자동화할 수 있다.
도 8에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 판유리의 밀봉 캡 폐쇄 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밀봉 캡 폐쇄 장치(50A)와 앞에서 설명한 밀봉 캡 폐쇄 장치(50)의 차이점은 진공 체임버(110) 안에서 핸들(10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푸셔(Pusher: 122)를 갖는 액추에이터(Actuator: 120)가 장착되어 있는 것에 있다. 액추에이터(120)는 공압 로드레스 리니어 액추에이터(Pneumatic rodless linear actuator),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Solenoid actuator), 리드 스크루 리니어 액추에이터(Lead screw linear actuator), 벨트 드리븐 리니어 액추에이터(Belt driven linear actuator)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진공 체임버(110)가 배치 타입(Batch type)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배치 타입의 진공 체임버(110) 안에 투입되는 판유리 조립체(10)는 병진운동되지 않는다. 판유리 조립체(10)의 배기 후, 액추에이터(120)의 작동에 의해 푸셔(122)가 전진되어 핸들(100)을 회전시킨다. 핸들(100)의 회전에 의해 캠 샤프트(90)와 태핏(94)이 연동되면서 홀더(80)를 상승시켜 밀봉 캡(30)을 배기구멍(22)의 주위에 눌러 배기구멍(22)을 폐쇄시키게 된다. 밀봉 캡(30)에 의한 배기구멍(22)의 폐쇄가 완료된 후, 액추에이터(120)의 작동에 의해 푸셔(122)가 후퇴되어 핸들(100)을 복귀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판유리 조립체 22: 배기구멍
30: 밀봉 캡 50: 밀봉 캡 폐쇄 장치
60: 클램핑 유닛 80: 홀더
90: 캠 기구 92: 캠 샤프트
94: 태핏 96: 코일스프링
98: 가이드 바 100: 핸들
104: 도그 110: 진공 체임버
120: 액추에이터 122: 푸셔

Claims (10)

  1. 아랫면 한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구멍을 갖는 판유리 조립체를 투입하여 배기하기 위한 진공 체임버와;
    상기 배기구멍과 이웃하는 상기 판유리 조립체의 가장자리에 클램핑되며, 상기 배기구멍과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구멍을 갖는 클램핑 유닛과;
    상기 배기구멍을 폐쇄하기 위한 유리 땜납이 도포되어 있는 밀봉 캡을 보유하여 상기 가이드구멍을 따라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구멍에 장착되어 있는 홀더와;
    상기 클램핑 유닛의 한쪽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구멍을 따라 상기 홀더를 운동시켜 상기 밀봉 캡을 상기 배기구멍 주위에 눌러주는 캠 기구와;
    상기 캠 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캠 기구에 결합되어 있는 핸들과;
    상기 판유리 조립체의 배기 후 상기 진공 체임버 안으로 상기 판유리 조립체가 병진운동될 때 상기 진공 체임버의 한쪽에 상기 핸들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도그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 판유리의 밀봉 캡 폐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유닛은,
    상기 판유리 조립체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판유리 조립체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판유리 조립체의 윗면을 지지하여 클램핑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체결되어 있으며, 하단에 상기 판유리 조립체의 윗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발이 결합되어 있는 클램핑 스크루로 이루어지는 진공 단열 판유리의 밀봉 캡 폐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멍과 상기 가이드구멍을 연결하도록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윗면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통로를 더 포함하는 진공 단열 판유리의 밀봉 캡 폐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땜납은 상기 배기구멍과 상기 밀봉 캡 사이에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배기통로를 갖는 패턴으로 도포되어 있는 진공 단열 판유리의 밀봉 캡 폐쇄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 기구는,
    상기 클램핑 유닛의 아래쪽에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이 결합되어 있고, 캠을 갖는 캠 샤프트와;
    상기 캠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홀더에 전달하도록 상기 홀더와 상기 캠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태핏과;
    상기 홀더와 상기 태핏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진공 단열 판유리의 밀봉 캡 폐쇄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와 상기 태핏은 상기 판유리 조립체와 접촉되는 상기 클램핑 유닛의 부분보다 열전도도가 높도록 구성되어 있는 진공 단열 판유리의 밀봉 캡 폐쇄 장치.
  9. 아랫면 한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구멍을 갖는 판유리 조립체를 투입하여 배기하기 위한 진공 체임버와, 밀봉 캡을 상기 배기구멍 쪽으로 직선운동시킬 수 있는 핸들에 의해 작동되는 캠 기구를 구비하여 상기 밀봉 캡을 상기 배기구멍의 주위에 눌러줄 수 있는 밀봉 캡 폐쇄 장치를 구비하는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유리 조립체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배기구멍을 폐쇄하기 위한 밀봉 캡에 유리 땜납을 도포하여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밀봉 캡 폐쇄 장치에 상기 밀봉 캡을 보유시킨 후, 상기 밀봉 캡이 상기 배기구멍의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밀봉 캡 폐쇄 장치를 상기 판유리 조립체에 클램핑하는 단계와;
    상기 유리 땜납이 연화되도록 상기 유리 땜납을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판유리 조립체를 상기 진공 체임버에 투입하여 상기 진공 체임버 안에서 병진운동시키면서 배기하는 단계와;
    상기 배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캠 기구를 작동시켜 상기 밀봉 캡을 상기 배기구멍 쪽으로 눌러 연화되어 있는 상기 유리 땜납을 상기 배기구멍의 주위에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
  10. 삭제
KR1020160085590A 2016-07-06 2016-07-06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밀봉 캡 폐쇄 장치 KR101902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590A KR101902062B1 (ko) 2016-07-06 2016-07-06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밀봉 캡 폐쇄 장치
CN201780042316.9A CN109476524B (zh) 2016-07-06 2017-07-05 真空绝热玻璃板的制造方法及密封盖封闭装置
EP17824514.8A EP3483127B1 (en) 2016-07-06 2017-07-05 Method for manufacturing vacuum insulation glass panel and device for closing sealing cap
US16/314,814 US10683693B2 (en) 2016-07-06 2017-07-05 Method for manufacturing vacuum insulation glass panel and device for closing sealing cap
JP2019521634A JP6739639B2 (ja) 2016-07-06 2017-07-05 真空断熱ガラス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シールキャップ閉鎖装置
PCT/KR2017/007131 WO2018008958A1 (ko) 2016-07-06 2017-07-05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밀봉 캡 폐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590A KR101902062B1 (ko) 2016-07-06 2016-07-06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밀봉 캡 폐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462A KR20180005462A (ko) 2018-01-16
KR101902062B1 true KR101902062B1 (ko) 2018-09-27

Family

ID=61066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590A KR101902062B1 (ko) 2016-07-06 2016-07-06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밀봉 캡 폐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0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323B1 (ko) * 2018-02-19 2020-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유리의 제조장치
KR102068324B1 (ko) * 2018-03-26 2020-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유리의 제조장치
KR102372325B1 (ko) * 2020-01-10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유리 및 그 제조장치
KR102349196B1 (ko) * 2020-01-14 2022-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유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558B1 (ko) * 2013-06-26 2015-03-09 주식회사 이건창호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558B1 (ko) * 2013-06-26 2015-03-09 주식회사 이건창호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462A (ko)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76524B (zh) 真空绝热玻璃板的制造方法及密封盖封闭装置
KR101902062B1 (ko) 진공 단열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밀봉 캡 폐쇄 장치
US11155497B2 (en) Vacuum insulation glass panel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JP4673349B2 (ja) 圧力と熱により板状の被加工物を積層するためのプレス機および方法
KR101902058B1 (ko) 진공 단열 판유리 제조 방법 및 밀봉 캡 폐쇄 장치
US10858279B2 (en) Glass panel unit manufacturing method, building component manufacturing method, glass panel unit manufacturing system, and glass panel unit
WO2014109237A1 (ja) 強化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442030B1 (ko)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
KR101412512B1 (ko) 진공유리패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902063B1 (ko) 진공 단열 판유리의 밀봉 캡 폐쇄 장치
CN110053289B (zh) 真空胶键合机
KR101500558B1 (ko)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
CN105217970B (zh) 生产真空玻璃用抽真空装置
US11767705B2 (en) Glass panel unit manufacturing method
KR102157794B1 (ko) 진공유리의 제조장치
KR102349196B1 (ko) 진공유리
KR102472145B1 (ko) 진공유리
KR102499361B1 (ko) 진공유리 및 그 제조방법
EP3757077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vacuum glass
KR102306126B1 (ko) 진공유리의 제조장치
KR20230008438A (ko) 진공유리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유리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