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767B1 -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767B1
KR101901767B1 KR1020180037697A KR20180037697A KR101901767B1 KR 101901767 B1 KR101901767 B1 KR 101901767B1 KR 1020180037697 A KR1020180037697 A KR 1020180037697A KR 20180037697 A KR20180037697 A KR 20180037697A KR 101901767 B1 KR101901767 B1 KR 101901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se
sliding case
sliding
b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군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스
Priority to KR1020180037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8Devices affording mechanical protection in the event of breakage of a line or cable, e.g. net for catching broken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 H02G7/08Members clamped to the supporting wire or to the line or cabl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용 케이블을 연결할 때 또는 연결한 상태에서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는 양측이 개방된 메인케이스, 상기 메인케이스의 중앙 부분에 개방된 양측으로 각각 끼워지는 제1 케이블기과 제2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단자대, 상기 메인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제1 케이블이 고정되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케이블을 상기 연결단자대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제1 슬라이딩케이스, 상기 메인케이스의 개방된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제2 케이블이 고정되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케이블을 상기 연결단자대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제2 슬라이딩케이스, 상기 제1 슬라이딩케이스에서 상기 연결단자대가 위치된 내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랙기어가 형성된 제1 랙바부, 상기 제1 랙바부와 상반된 위치에서 마주하도록 상기 제2 슬라이딩케이스에서 상기 연결단자대가 위치된 내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랙기어가 형성된 제2 랙바부, 상기 제1 랙바부와 상기 제2 랙바부의 사이에 각 랙기어와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딩케이스와 상기 제2 슬라이딩케이스의 사이가 가까워져 상기 메인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사이가 멀어져 상기 메인케이스에서 돌출되도록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작동기어, 상기 제1 슬라이딩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슬라이딩케이스의 내주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케이블 또는 상기 제2 케이블이 외력에 의해 외측으로 당겨질 때, 뒤집어 지며 상기 제1 케이블 또는 상기 제2 케이블의 심선이 노출된 부분을 감싸 보호하도록 가요성을 갖는 케이블부츠, 및 상기 케이블부츠의 내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부츠의 내주로 삽입된 상기 제1 케이블 또는 상기 제2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부츠에 연결하는 쐐기링을 포함한다. 따라서, 케이블의 단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A Cable shorting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배전용 케이블을 연결할 때 또는 연결한 상태에서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용 케이블은 전압이 흐르기 때문에 케이블의 심선이 노출되어 접촉됨에 따라 단락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204407(2012.11.26.공고)의 "배전용 단락 케이블 보강부재"가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배전용 단락 케이블 보강부재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상호 겹침 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양측 면에 다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원통의 형상으로 일 측면에 다수개의 제1연결홈이 형성되며 내부에 제1중공부가 형성되되, 내측에 고정되는 제1조임부재와 상기 제1조임부재와 대응되며 유동하는 제2조임부재로 구성되는 제1조임부와, 외부 일 측에 돌출되며 제1걸림홈이 형성되고 돌출되는 상측 중앙부에 상기 제1중공부와 연결되는 제1관통 홈이 형성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제1관통 홈의 내부로 삽입되며 일측에 제1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홈에 걸림 되는 제1가압부재와, 상기 제1가압부재의 하부와 상기 제2조임부재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며 완충작용을 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1가압부재의 상부를 덮는 보호커버로 구성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본체부의 타 측에 대칭되어 구성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제1, 2연결홈과 상기 본체부의 결합홈을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배전용 단락 케이블 보강부재는 악천후 시 누수 발생으로 인한 누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락된 부분을 이음연결하되 연결된 부분에 힘이 가해지지 않아 단락의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배전용 단락 케이블 보강부재는 케이블이 외력에 의해 당겨질 때, 케이블이 단선되고, 단선된 케이블이 주변에 접촉됨으로써, 단락에 의한 전기적인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블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모든 구성을 해체하여 재조립해야하기 때문에 설치의 곤란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하나가 활선된 상태에서는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케이블이 외력에 의해 단선되어도 심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단락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할 두 케이블 중 어느 하나가 활선된 상태에서도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는 양측이 개방된 메인케이스, 상기 메인케이스의 중앙 부분에 개방된 양측으로 각각 끼워지는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단자대, 상기 메인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제1 케이블이 고정되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케이블을 상기 연결단자대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제1 슬라이딩케이스, 상기 메인케이스의 개방된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제2 케이블이 고정되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케이블을 상기 연결단자대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제2 슬라이딩케이스, 상기 제1 슬라이딩케이스에서 상기 연결단자대가 위치된 내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랙기어가 형성된 제1 랙바부, 상기 제1 랙바부와 상반된 위치에서 마주하도록 상기 제2 슬라이딩케이스에서 상기 연결단자대가 위치된 내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랙기어가 형성된 제2 랙바부, 상기 제1 랙바부와 상기 제2 랙바부의 사이에 각 랙기어와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딩케이스와 상기 제2 슬라이딩케이스의 사이가 가까워져 상기 메인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사이가 멀어져 상기 메인케이스에서 돌출되도록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작동기어, 상기 제1 슬라이딩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슬라이딩케이스의 내주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케이블 또는 상기 제2 케이블이 외력에 의해 외측으로 당겨질 때, 뒤집어 지며 상기 제1 케이블 또는 상기 제2 케이블의 심선이 노출된 부분을 감싸 보호하도록 가요성을 갖는 케이블부츠, 및 상기 케이블부츠의 내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부츠의 내주로 삽입된 상기 제1 케이블 또는 상기 제2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부츠에 연결하는 쐐기링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부츠는 가열되면 수축되는 열수축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블 또는 상기 제2 케이블의 강제적인 외력에 의해 당겨질 때, 상기 케이블부츠가 상기 제1 슬라이딩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슬라이딩케이스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쐐기링이 설치된 반대방향의 끝단을 상기 제1 슬라이딩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슬라이딩케이스의 외측단에 부착되는 부츠플랜지, 상기 케이블부츠의 내주에 설치되어 촉매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제, 및 상기 제1 슬라이딩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슬라이딩케이스에서 상기 부츠플랜지가 분리 시 상기 촉매가 유출되어 상기 발열제와 반응하도록 상기 부츠플랜지의 내부에 수용되는 촉매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라이딩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슬라이딩케이스는 상기 제1 슬라이딩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슬라이딩케이스의 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쐐기링을 지지하며, 강제적인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케이블 또는 상기 제2 케이블이 당겨질 때, 파손되며 상기 쐐기링의 지지가 해제되는 링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레버의 작동시 작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제1 슬라이딩케이스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가 연결단자대에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을 상호 연결하거나, 분리하여 케이블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작동레버를 단선하도록 작동하는 경우,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이 동시에 연결단자대에서 분리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케이블이 활선된 상태에서도 감전의 우려 없이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블 또는 제2 케이블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케이블부츠가 노출된 심선을 감싸 단락에 따른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큰 외력이 작용하여 제1 케이블 또는 제2 케이블이 완전히 분리된다 하더라도, 제1 케이블 또는 제2 케이블에 케이블부츠가 딸려 분리되고, 케이블부츠가 촉매와 발열제의 반응에 의해 수축되어 심선을 감싸기 때문에 단락에 따른 전기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작동레버에 의한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제1 케이블의 외력에 의해 당겨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에서 제1 케이블이 분리되어 케이블부츠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100)는 메인케이스(130),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 및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케이스(130)는 사각의 길이방향으로 긴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케이스(130)의 내부는 비고, 양단은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메인케이스(130)의 상면에는 하기에 설명될 작동레버(155)의 손잡이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레버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케이스(130)의 개방된 양단 중 어느 한 끝단에는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가 메인케이스(13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는 메인케이스(130)의 다른 한 끝단에 메인케이스(13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는 메인케이스(130)의 양단으로 삽입될 수 있는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양단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 각각에는 메인케이스(130)의 내부에 삽입된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된 끝단에는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의 둘레보다 더 큰 둘레를 가지도록 돌출되는 케이스플랜지(113,12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에는 메인케이스(130)에서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가 삽입되는 방향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랙바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랙바부(111)는 제1 케이블(210)이 연결단자대(140)에 끼워질 때, 작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를 평면에서 바라봤을 때, 중앙을 중심으로 어느 한 측단에 편중되어 위치될 수 있으며, 제1 랙바부(111)는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의 상부 또는 하부 테두리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랙바부(111)에는 제1 랙바부(111)의 길이방향으로 랙기어가 형성될 수 있으며, 랙기어는 제1 랙바부(111)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에는 메인케이스(130)에서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가 삽입되는 방향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랙바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랙바부(121)는 제2 케이블(220)이 연결단자대(140)에 끼워질 때, 작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를 평면에서 바라봤을 때, 중앙을 중심으로 어느 한 측단에 편중되어 위치될 수 있으며, 제2 랙바부(121)는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의 상부 또는 하부 테두리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랙바부(111)와 제2 랙바부(121)는 메인케이스(130)에서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의 작동을 상호 보장하도록 제1 랙바부(111)와 제2 랙바부(121) 중 어느 하나가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 또는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의 상부에 형성된 경우, 다른 하나는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랙바부(121)와 제2 랙바부(121)는 평면에서 바라봤을 때,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의 동일한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제1 랙바부(111)의 랙기어와 제2 랙바부(121)의 랙기어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의 내부로는 제1 케이블(210)이 끼워질 수 있으며,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의 내부로는 제2 케이블(220)이 끼워질 수 있으며,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은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의 각각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에 끼워진 제1 케이블(210)은 메인케이스(130)에서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의 슬라이딩 이동 시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함께 이동할 수 있으며,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에 끼워진 제2 케이블(220)은 메인케이스(130)에서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의 슬라이딩 이동 시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100)는 연결단자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연결단자대(140)는 제1 케이블(210)의 심선과 제2 케이블(220)의 심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연결단자대(140)는 메인케이스(130)의 중앙에 고정설치될 수 있으며, 연결단자대(140)의 일단에는 제1 케이블(210)의 심선이 수평방향으로 꽂아지며, 타단에는 제2 케이블(220)의 심선이 제1 케이블(210)의 심선과 마주하는 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꽂아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100)는 작동기어(150)와 작동레버(155)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기어(150)는 제1 랙바부(111)와 제2 랙바부(121)의 사이에 설치되고, 제1 랙바부(111)의 랙기어와 제2 랙바부(121)의 랙기어와 맞물릴 수 있다.
이때, 작동기어(15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 둘레에는 제1 랙바부(111)의 랙기어가 맞물리고, 타측 둘레에는 제2 랙바부(121)의 랙기어가 맞물려 작동기어(150)의 회전시 제1 랙바부(111)와 제2 랙바부(121)는 회전 방향에 상호 근접한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작동기어(150)의 회전에 따라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가 서로 가까워져 메인케이스(130)의 양단에서 각각 삽입되고, 서로 멀어져 메인케이스(130)의 양단에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레버(155)는 작동기어(150)에 결합되어 작동기어(150)를 수동조작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작동레버(155)의 일단은 작동기어(150)에 결합되고, 작동레버(155)의 타단은 메인케이스(130)의 레버홈(131)을 통해 돌출되어 작동레버(155)의 회전에 따라 작동기어(150)가 회전하는 형태로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를 상호 근접하게 위치되거나, 상호 멀어지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가 작동레버(155)에 의해 서로 근접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에 끼워진 제1 케이블(210)의 심선이 연결단자대(140)의 일측단으로 끼워지며,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에 끼워진 제2 케이블(220)의 심선은 연결단자대(140)의 타측단으로 끼워져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반면, 작동레버(155)에 의해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가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연결단자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케이블(210)의 심선과 제2 케이블(220)의 심선이 연결단자대(14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100)는 케이블부츠(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케이블부츠(170)는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에 끼워진 제1 케이블(210)의 사이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에 끼워진 제2 케이블(220)의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제1 케이블(210)의 심선과 제2 케이블(220)의 심선을 감싸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케이블부츠(170)는 일단이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 및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의 각 케이스플랜지(113,123)의 둘레에 부착되고, 타단은 제1 케이블(210) 및 제2 케이블(220)의 둘레에 밀착될 수 있으며, 케이블부츠(170)는 케이스플랜지(113,123)에서 각 케이블의 심선이 노출되는 부분을 향해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부츠(170)는 가요성을 가지며, 열에 의해 수축되는 열수축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부츠(170)가 가요성을 가질 경우,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강제적인 외력에 의해 외측으로 당겨질 경우,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에서 외력이 가해진 제1 케이블(210) 또는 제2 케이블(220)이 연결단자대(140)에서 이탈되고,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의 외측으로 빠지면서 케이블부츠(170)의 내측으로 빠지면서 케이블부츠(170)의 내측과 외측이 뒤집어진다.
이렇게 케이블부츠(170)의 내측과 외측이 뒤집어지면, 케이블부츠(170)의 길이만큼 외력에 의해 외측으로 당겨지는 제1 케이블(210) 또는 제2 케이블(220)의 이동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연결단자대(140)에서 분리되는 제1 케이블(210)의 심선 도는 제2 케이블(220)의 심선은 케이블부츠(170)의 내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심선의 노출로 인한 단락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케이블부츠(170)는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에 각각 형성된 케이스플랜지(113,123)에 부착되는 부츠플랜지(17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부츠플랜지(171)에는 발열제(177)가 수용될 수 있으며, 발열제(177)는 부츠플랜지(171)뿐만 아니라, 케이블부츠(170)의 벽 내부에 전체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부츠(170)는 두 개의 케이블부츠(170)를 서로 끼워 겹친 상태에서 양단을 접착하는 형태로 발열제(177)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발열제(177)는 분말의 형태로 두 개의 케이블부츠(170)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부츠(170)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은 부츠플랜지(171)와도 연통되며 부츠플랜지(171)에 위치되는 수용공간이 케이블부츠(170)의 벽에 형성되는 공간보다 더 큰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발열제(177)가 케이블부츠(170)의 벽보다 부츠플랜지(171)의 부분에 더 많이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부츠플랜지(171)에 형성된 수용공간에는 발열제(177)를 화학적인 작용에 의해 발열시키는 촉매가 함께 수용될 수 있으며, 촉매는 밀봉된 봉투형태의 촉매팩(175)에 수용된 상태로 수용되어 발열제(177)과 촉매가 상호 격리된 상태로 부츠플랜지(171)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발열제(177)는 산화칼슘(CaO)일 수 있으며, 촉매는 산화칼슘과 화학적인 반응하는 물일 수도 있지만, 물은 온도에 따른 반응속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산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물과 산화칼슘의 발열반응은 공지된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부츠플랜지(171)와 겹쳐지는 케이스플랜지(113,123)에는 부츠플랜지(171)를 덮어 케이스플랜지(113,123)에 케이블부츠(170)를 고정하는 플랜지가압링(165)이 설치될 수 있으며, 플랜지가압링(165)은 부츠플랜지(171)를 덮는 부분이 플랜지가압링(165)의 외주에서 플랜지가압링(165)의 내주로 갈수록 케이스플랜지(113,123)와 사이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랜지가압링(165)은 케이스플랜지(113,123)에 부츠플랜지(171)를 덮어 고정하는 동시에 케이스플랜지(113,123)의 내측으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제1 케이블(210) 또는 제2 케이블(220)이 외력에 의해 외측으로 당겨질 때, 케이블부츠(170)의 부츠플랜지(171)가 케이스플랜지(113,123)와 플랜지가압링(165)의 사이로 빠져나오면서, 좁아지는 사이 간격에 의해 촉매팩(175)이 가압되어 터지면서, 촉매의 유출로 인해 발열제(177)와 반응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100)는 쐐기링(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쐐기링(160)은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에 각각 끼워진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쐐기링(160)은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중앙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쐐기링(160)에는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당겨졌을 때,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쐐기링(160)의 내주에는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끼워지는 방향을 향해 경사진 가시(161)가 방사상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며, 이 가시(161)는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의 외피를 일부 파고들어가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쐐기링(160)은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의 각 내주에 쐐기링(160)의 둘레를 지지하여 쐐기링(160)의 이탈을 방지하는 형태로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의 내주에서 돌출되는 링걸림턱(115,125)에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링걸림턱(115,125)은 쐐기링(160)의 양측에서 쐐기링(160)을 지지하도록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의 각각의 내주에서 한 쌍이 돌출될 수 있으며, 링걸림턱(115,125)은 쐐기링(160)을 지지하고는 있지만,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쐐기링(160)이 링걸림턱(115,125)을 파손시키면서 이탈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100)는 메인케이스(130)에서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가 돌출되도록 작동레버(155)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메인케이스(130)에서 돌출된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에 설치된 케이블부츠(170)로 제1 케이블(210)을 삽입하고,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에 설치된 케이블부츠(170)로는 제2 케이블(220)을 삽입한다.
이렇게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삽입되면,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 및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의 내부에 설치된 쐐기링(160)을 통해 끼워지며, 쐐기링(160)에 끼워진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은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가시(161)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 및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에 끼워지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케이스(130)의 내부로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가 삽입되도록 작동레버(155)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작동레버(155)가 회전되면 작동레버(155)에 결합된 작동기어(150)가 회전하고, 작동기어(150)는 작동기어(15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랙바부(111)와 제2 랙바부(121)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되어 맞물리기 때문에 제1 랙바부(111)와 제2 랙바부(121)가 작동기어(150)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메인케이스(130)의 내부로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 및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가 삽입되도록 이동한다.
그리고,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가 메인케이스(130)로 삽입되면,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에 끼워진 제1 케이블(210)과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에 끼워진 제2 케이블(220)이 함께 메인케이스(130)의 중앙으로 삽입되면서, 제1 케이블(210)의 심선과 제2 케이블(220)의 심선이 중앙에 위치된 연결단자대(140)에 꽂아져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케이블(210) 또는 제2 케이블(220)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1 케이블(210) 또는 제2 케이블(220)을 고정하는 쐐기링(160)에 당겨지는 방향을 향해 압력이 가해지면서, 링걸림턱(115,125)을 파손시키고, 외력이 작용하는 제1 케이블(210) 또는 제2 케이블(220)이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 또는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에서 이탈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을 지지하는 케이블부츠(170)는 쐐기링(160)에 의해 내외가 뒤집혀 지져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 또는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로부터 케이블부츠(170)의 길이만큼 이격되는 거리를 확보하고, 이격된 거리에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위치되는 동안은 각 심선이 케이블부츠(170)의 내부에 위치되어 단락에 의한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에서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이격된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외력에 의해 더 당겨지는 경우,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엔결된 케이블부츠(170)가 당겨지며, 케이블부츠(170)는 플랜지가압링(165)과 케이싱플랜지의 사이에 가압된 부츠플랜지(171)(171)가 플랜지가압링(165)과 케이싱플랜지의 이격된 사이로 이탈되면서, 제1 케이블(210) 또는 제2 케이블(220)이 케이블부츠(170)와 함께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에서 완전히 분리된다.
그리고, 케이싱플랜지와 플랜지가압링(165)의 사이로 부츠플랜지(171)가 이탈될 때, 플랜지가압링(165)은 내측으로 갈수록 케이싱플랜지와 사이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이기 때문에 부츠플랜지(171)에 내부에 수용된 촉매팩(175)이 가압되면서 촉매팩(175)이 파열되고, 촉매가 유출되면서 발열제(177)와 반응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촉매와 발열제(177)가 반응하면 열이 발생하고, 이 발생되는 열에 의해 부츠플랜지(171)가 수축되면서, 분리된 제1 케이블(210) 또는 제2 케이블(220)의 끝단까지 감싸 제1 케이블(210)의 심선 또는 제2 케이블(220)의 심선의 노출로 인한 단락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연결단자대(1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의 교체할 때에는, 메인프레임에서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가 돌출되도록 작동레버(155)를 회전시키면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 및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와 함께 연결단자대(140)에서 전기적으로 단선시킨 후, 제1 케이블(210) 또는 제2 케이블(220)을 교체함으로써, 단락에 따른 전기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100)는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외부와 격리되어 단락에 따른 전기적인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동레버(155)의 회전만으로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단선시킬 수 있다.
또한, 작동레버(155)를 단선되도록 작동시키면,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연결단자대(140)에서 분리되기 때문에 어느 하나가 활선인 상태에서도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와 제1 케이블(210)의 사이 및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와 제2 케이블(220)의 사이는 케이블부츠(170)에 의해 기밀되어 이물질의 유입에 의한 전기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에 연결단자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도 케이블부츠(170)가 뒤집어 지며,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의 노출된 심선을 감싸 단락에 따른 전기적인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이 계속적인 외력에 따라 제1 슬라이딩케이스(110) 또는 제2 슬라이딩케이스(120)에서 분리되는 경우, 분리되는 제1 케이블(210) 또는 제2 케이블(220)과 함께 케이블부츠(170)가 함께 분리되고, 케이블부츠(170)의 부츠플랜지(171)에 설치된 발열제(177)와 촉매가 반응하여 가열함으로써, 제1 케이블(210)과 제2 케이블(220)의 심선의 노출을 방지하여 단락에 따른 전기적인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 110: 제1 슬라이딩케이스
111: 제1 랙바부 113, 123: 케이스플랜지
115, 125: 링걸림턱 120: 제2 슬라이딩케이스
121: 제2 랙바부 130: 메인케이스
131: 레버홈 140: 연결단자대
150: 작동기어 155: 작동레버
160: 쐐기링 161: 가시
165: 플랜지가압링 170: 케이블부츠
171: 부츠플랜지 175: 촉매팩
177: 발열제 210: 제1 케이블
220: 제2 케이블

Claims (3)

  1. 양측이 개방된 메인케이스,
    상기 메인케이스의 중앙 부분에 개방된 양측으로 각각 끼워지는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단자대,
    상기 메인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제1 케이블이 고정되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케이블을 상기 연결단자대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제1 슬라이딩케이스,
    상기 메인케이스의 개방된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제2 케이블이 고정되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케이블을 상기 연결단자대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제2 슬라이딩케이스,
    상기 제1 슬라이딩케이스에서 상기 연결단자대가 위치된 내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랙기어가 형성된 제1 랙바부,
    상기 제1 랙바부와 상반된 위치에서 마주하도록 상기 제2 슬라이딩케이스에서 상기 연결단자대가 위치된 내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랙기어가 형성된 제2 랙바부,
    상기 제1 랙바부와 상기 제2 랙바부의 사이에 각 랙기어와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딩케이스와 상기 제2 슬라이딩케이스의 사이가 가까워져 상기 메인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사이가 멀어져 상기 메인케이스에서 돌출되도록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작동기어,
    상기 제1 슬라이딩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슬라이딩케이스의 내주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케이블 또는 상기 제2 케이블이 외력에 의해 외측으로 당겨질 때, 뒤집어 지며 상기 제1 케이블 또는 상기 제2 케이블의 심선이 노출된 부분을 감싸 보호하도록 가요성을 갖는 케이블부츠, 및
    상기 케이블부츠의 내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부츠의 내주로 삽입된 상기 제1 케이블 또는 상기 제2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부츠에 연결하는 쐐기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딩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슬라이딩케이스는
    상기 제1 슬라이딩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슬라이딩케이스의 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쐐기링을 지지하며, 강제적인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케이블 또는 상기 제2 케이블이 당겨질 때, 파손되며 상기 쐐기링의 지지가 해제되는 링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부츠는
    가열되면 수축되는 열수축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블 또는 상기 제2 케이블의 강제적인 외력에 의해 당겨질 때, 상기 케이블부츠가 상기 제1 슬라이딩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슬라이딩케이스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쐐기링이 설치된 반대방향의 끝단을 상기 제1 슬라이딩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슬라이딩케이스의 외측단에 부착되는 부츠플랜지,
    상기 케이블부츠의 내주에 설치되어 촉매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제, 및
    상기 제1 슬라이딩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슬라이딩케이스에서 상기 부츠플랜지가 분리 시 상기 촉매가 유출되어 상기 발열제와 반응하도록 상기 부츠플랜지의 내부에 수용되는 촉매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
  3. 삭제
KR1020180037697A 2018-03-30 2018-03-30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 KR101901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697A KR101901767B1 (ko) 2018-03-30 2018-03-30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697A KR101901767B1 (ko) 2018-03-30 2018-03-30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1767B1 true KR101901767B1 (ko) 2018-09-28

Family

ID=63721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697A KR101901767B1 (ko) 2018-03-30 2018-03-30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76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773B1 (ko) * 2019-01-22 2019-08-02 주식회사 다보기술단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KR102063825B1 (ko) * 2019-07-31 2020-01-08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철도 전선 접속용 슬리브
KR102085147B1 (ko) * 2020-01-31 2020-05-15 (주)첨단엔지니어링 지중 배전선로 접속점별 고장구간 검출장치
KR102266543B1 (ko) * 2021-03-29 2021-06-18 주식회사 건이엔지 배전 케이블 단락 보강 장치
CN114069489A (zh) * 2021-11-16 2022-02-18 张�杰 一种海底电缆安装辅助设备
KR102532797B1 (ko) * 2022-08-26 2023-05-16 주식회사 세명기업 지중배전선 보호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 겸용 보호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074B1 (ko) * 2017-04-17 2017-08-24 (주)오성이엠 지중 매설형 배전선 연결 장치
KR101818237B1 (ko) * 2017-07-31 2018-01-15 (주)선진전력기술단 지중 배전선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074B1 (ko) * 2017-04-17 2017-08-24 (주)오성이엠 지중 매설형 배전선 연결 장치
KR101818237B1 (ko) * 2017-07-31 2018-01-15 (주)선진전력기술단 지중 배전선 커넥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773B1 (ko) * 2019-01-22 2019-08-02 주식회사 다보기술단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체결구
KR102063825B1 (ko) * 2019-07-31 2020-01-08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철도 전선 접속용 슬리브
KR102085147B1 (ko) * 2020-01-31 2020-05-15 (주)첨단엔지니어링 지중 배전선로 접속점별 고장구간 검출장치
KR102266543B1 (ko) * 2021-03-29 2021-06-18 주식회사 건이엔지 배전 케이블 단락 보강 장치
CN114069489A (zh) * 2021-11-16 2022-02-18 张�杰 一种海底电缆安装辅助设备
CN114069489B (zh) * 2021-11-16 2023-08-22 中科蓝光(北京)电缆科技有限公司 一种海底电缆安装辅助设备
KR102532797B1 (ko) * 2022-08-26 2023-05-16 주식회사 세명기업 지중배전선 보호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 겸용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767B1 (ko) 배전용 케이블 단락방지장치
US9601865B2 (en) Closure seal for electrical adaptor
ES2529353T3 (es) Interruptor eléctrico y equipo eléctrico relacionado
US6663405B1 (en) Disconnect watthour meter socket adapter
JP2004342602A (ja) 確認可能な中立位置を有するロータリコネクタ
ES2669496T3 (es) Interruptor de protección térmica
JP2003523600A (ja) 改良された電気ソケット及びプラグ
CN109417254B (zh) 电插拔连接结构和用于使电接触元件与电导体接触的方法
US20110294335A1 (en) Electrical connector
CN101394040B (zh) 连接适配器
FR2616597A1 (fr) Dispositif de protection pour extremite de cable
EP3518349B1 (en) Protective cover element and waterproof housing for electrically functional components
US7922540B2 (en) Power plug having backup fuse tube
US5321378A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current transformer adapter unit
NO338359B1 (no) Koblingssammenstilling
KR101571051B1 (ko) 전선연결장치
ZA200005587B (en) Screwless plug-in connector.
GB2282713A (en) Non-rewireable plug
US2989604A (en) Circuit breaker
KR20200039179A (ko) 케이블 혼촉 방지캡
CN210224916U (zh) 一种弱电工程施工用防护绝缘套
US3868616A (en) Grounded surface distribution apparatus
US11973298B2 (en) Protection apparatus and travel adapter
PL225943B1 (pl) Kondensator mocy z urzadzeniem zabezpieczajacym
KR100713213B1 (ko) 고압케이블 접속안전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