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533B1 - 펄을 포함하는 주꾸미 포획기 - Google Patents

펄을 포함하는 주꾸미 포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533B1
KR101901533B1 KR1020170181189A KR20170181189A KR101901533B1 KR 101901533 B1 KR101901533 B1 KR 101901533B1 KR 1020170181189 A KR1020170181189 A KR 1020170181189A KR 20170181189 A KR20170181189 A KR 20170181189A KR 101901533 B1 KR101901533 B1 KR 101901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wder
synthetic res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규
Original Assignee
박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규 filed Critical 박민규
Priority to KR1020170181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5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01K69/08Rigid traps, e.g. lobster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 등 중금속을 포함하지 않은 친환경 재료를 이용하여 천연 소라껍데기와 동일한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는 발명은 석분과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주꾸미 포획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내면과 외면으로 나선 형상을 이루고, 상기 외면으로는 나선형 곡선을 따라 돌기가 다수개로 형성되되, 두족류가 출입하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를 따라 나선형상으로 하향 연장되어 마감되는 마감부로 이루어지는 본체로 이루어진 주꾸미 포획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돌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합성수지 30 ~ 70 중량부, 공업용 펄 0.05 ~ 5 중량부, 야광분말 1 ~ 10 중량부가 혼합하여 마감부로 그 무게중심이 집중되도록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펄을 포함하는 주꾸미 포획기{.}
발명은 펄을 포함하는 주꾸미 포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꾸미, 낙지와 같은 두족류는 연체동물의 특성상 적절한 보호수단을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두족류는 주로 속이 비어있는 소라껍데기에 은폐하여 몸을 보호한다.
위와 같은 두족류의 습성으로 인해 통상적으로 빈 소라껍데기를 해저에 설치하여 두족류를 포획하게 된다.
이렇게 두족류의 포획이 활발해지면서 일정크기 이상의 소라껍데기의 소비가 많아져 조달의 어려움이 있어 소라껍데기를 해외 수입에 의 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천연 소라껍데기의 대량 소비로 인해 천연 소라껍데기의 대체물로 인공적으로 소라껍데기의 형상을 모방한 포획기가 개발되고 있다.
공지의 예들로서, 두족류의 포획을 위해서는 천연 소라껍데기의 형상을 모방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3-90154(2005.07.08)호, 를 통해 인공적인 통발, 포획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인공적인 통발, 포획기 등은 주꾸미가 머물도록 내부를 나선형으로 형성시키거나 수용공간을 형성시켜 두족류를 유인한 후 포획하고 있고, 이러한 종래의 인공적인 통발, 포획기는 분리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소형 경량을 취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두족류의 생물학적 특성을 고려한 구조가 아니고, 단순히 대량생산을 위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결합부위가 파손되는 일이 자주 발생하였다.
이러한 천연 소라껍데기의 내부 및 외부 구조가 동일하지 않아 포획력이 떨어지고, 소형 경량화로 인해 물밑으로 가라앉지 않아 별도의 금속재 무게추가 필요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결합부위에 금속재 체결구를 사용하여 체결구와 무게추에 녹이 발생되어 체결력이 떨어지며, 환경오염이 발생하였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944424호 "주꾸미 포획기"를 통해 천연 재료인 소라껍데기를 이용하고, 천연의 소라껍데기 내부와 그 형상을 동일하게 제작하여 주꾸미를 더 쉽게 포획하였다.
그러나, 천연 재료인 소라껍데기를 구하기가 어렵고, 이를 분쇄시켜 분말화시키는데 있어서 과도한 비용발생으로 인하여 외국, 특히 중국산 제품과 가격에 대한 차별화가 없어져 그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3-90154호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0944424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제조비용을 경감시키고, 납 등 중금속을 포함하지 않은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주꾸미 포획기를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면과 외면으로 나선 형상을 이루고, 상기 외면으로는 나선형 곡선을 따라 돌기가 다수개로 형성되되, 두족류가 출입하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를 따라 나선형상으로 하향 연장되어 마감되는 마감부로 이루어지는 본체로 이루어진 주꾸미 포획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돌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합성수지 30 ~ 70 중량부, 공업용 펄 0.05 ~ 5 중량부, 야광분말 1 ~ 10 중량부와 상기 합성수지를 100 중량부로 할때 경화제 1~10 중량부가 혼합하여 마감부로 그 무게중심이 집중되도록 성형한 후 상기 성형된 본체의 외부는 상기 공업용 펄이 포함된 코팅제를 통해 코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합성수지는 PE, PP, HIPS, 멜라민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펄을 포함하는 주꾸미 포획기에 의하면, 무해한 성분으로 이루어져 해양환경에 적합하고, 종래 소라껍데기 등의 부산물을 이용하지 않아 재료 수급에 영향이 없어 연중 필요에 따라 주꾸미 포획기를 제조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유통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가 분리되거나 조립되는 구조가 아닌 일체의 형상으로 성형시켜 내면 및 외면을 천연 소라껍데기와 동일하게 하여 포획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더불어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꾸미 포획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꾸미 포획기의 사용 상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꾸미 포획기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꾸미 포획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꾸미 포획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 본 발명에 따른 주꾸미 포획기는 내면(102)과 외면(104)으로 나선 형상을 이루고, 상기 외면(104)으로는 나선형 곡선(106)을 따라 돌기(108)가 다수개로 형성된 본체(100)를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102)은 외면(104)보다 부드럽게 면처리되어 있고, 내면(102)의 면처리가 부드러워야 두족류와 같은 연체동물이 자연스럽게 본체(10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외면(104)은 통상의 소라껍데기의 형상처럼 울퉁불퉁하게 형성되어 있다.
외면(104)의 나선형 곡선(106)과 돌기(108)는 천연 소라껍데기의 외형을 더욱 현실적으로 표현하게 된다.
본체(100)의 내부는 나선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형상 역시 통상의 천연 소라껍데기 내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이 발명은 두족류의 생물학적 특성을 최대한 고려하여 두족류의 유인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친환경인 문제와 두족류의 유인을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본체(100)는 상기 본체는 돌가루 100중량부에 대하여 합성수지 30 ~ 70 중량부, 공업용 펄 0.05 ~ 5 중량부, 야광분말 1 ~ 10 중량부가 혼합하여 마감부로 그 무게중심이 집중되도록 성형한 후 상기 성형된 본체의 외부는 상기 공업용 펄이 포함된 코팅제를 통해 코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합성수지는 PE, PP 또는 HIPS(HIGH IMPACT POLYSTYRENE), 멜라민이 하나 이상으로 혼합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지를 적용하는 이유는 산, 알칼리, 염수, 오일 등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고, 성형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돌가루는 화산석 분말, 현무암 분말, 규조토 분말 등이 적용되며, 합성수지와 사출시 결합되어 견고한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는 공업용 펄이 적용되어 일체로 사출된다.
공업용 펄은 폴리에스테르 글리터 파우더와 레드 스팽글, 화이트 스팽글이 혼합된 상태로 적용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야광분말은 스트론튬 야광분말이 적용되며, 특히, 스트론튬 야광분말은 유화 아연계(ZnS : Cu)계, 스톤론튬(strontium)계가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경화제는 합성수지를 100 중량부로 할 때 경화제 1 ~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경화제는 아크릴폴리올 수지와 비황변성 이소시아네이트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하이 솔리드 타입이 적용된다.
이렇게 공업용 펄이 본체에 혼합되어 사출된 후 본체 외부로 코팅하여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코팅을 위한 코팅제는 합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돌가루 30 ~ 70 중량부, 공업용 펄 0.05 ~ 5 중량부, 야광분말 1 ~ 10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합성수지 100 중량부로 할 때 신나 80 ~ 90 중량부, 경화제 1 ~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경화제는 아크릴폴리올 수지와 비황변성 이소시아네이트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하이 솔리드 타입이 적용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를 사출할 때 코팅제를 포함하여 사출한 후 코팅하는 경우와 코팅제를 포함하지 않고, 사출한 후 코팅하는 경우를 더 포함한다.
다음에는 이러한 주꾸미 포획기를 이용하여 주꾸미를 포획하는 과정 및 이에 따른 효과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0)는 두족류가 출입하는 입구부(110)와, 상기 입구부(110)를 따라 나선형상으로 연장되어 마감되는 마감부(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마감부(120)는 그 무게중심이 마감부(120)로 집중되도록 내부가 충진되어 있다.
또한, 입구부(100)의 외측으로는 줄(200)과 고정되는 고정홀(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줄(200) 상에 다수개의 주꾸미 포획기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줄(200)을 순차적으로 바다에 던지게 되면 본체(100)의 마감부(120)의 무게에 의해 본체(100)는 바다 속으로 가라앉게 되며 바닥에 고정된다.
이때, 바다 속으로 가라앉기 적당하도록 주꾸미 포획기의 무게가 170 ~ 250g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전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듯이, 이 발명은 친환경적이고 자연스러운 주꾸미 포획기를 제공하여 주꾸미 포획을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104 : 외면 106 : 나선형 곡선
108 : 돌기 110 : 입구부
120 : 마감부 130 : 고정홀

Claims (3)

  1. 내면과 외면으로 나선 형상을 이루고, 상기 외면으로는 나선형 곡선을 따라 돌기가 다수개로 형성되되, 두족류가 출입하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를 따라 나선형상으로 하향 연장되어 마감되는 마감부로 이루어지는 본체로 이루어진 주꾸미 포획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화산석 분말, 현무암 분말, 규조토 분말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는 돌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합성수지 30 ~ 70 중량부, 폴리에스테르 글리터 파우더와 레드 스팽글, 화이트 스팽글이 혼합된 상태로 적용되는 공업용 펄 0.05 ~ 5 중량부, 스트론튬 야광분말 1 ~ 10 중량부와 상기 합성수지를 100 중량부로 할 때 아크릴폴리올 수지와 비황변성 이소시아네이트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경화제 1~10 중량부를 혼합하고,
    마감부로 그 무게중심이 집중되도록 성형한 후 상기 성형된 본체의 외부로는
    합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화산석 분말, 현무암 분말, 규조토 분말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는 돌가루 30 ~ 70 중량부, 폴리에스테르 글리터 파우더와 레드 스팽글, 화이트 스팽글이 혼합된 상태로 적용되는 공업용 펄 0.05 ~ 5 중량부, 스트론튬 야광분말 1 ~ 10 중량부와 상기 합성수지를 100 중량부로 할 때 신나 80 ~ 90 중량부, 아크릴폴리올 수지와 비황변성 이소시아네이트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경화제 1~10 중량부가 혼합된 코팅제를 통해 코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꾸미 포획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PE, PP, HIPS, 멜라민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되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을 포함하는 펄을 포함하는 주꾸미 포획기.
KR1020170181189A 2017-12-27 2017-12-27 펄을 포함하는 주꾸미 포획기 KR101901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189A KR101901533B1 (ko) 2017-12-27 2017-12-27 펄을 포함하는 주꾸미 포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189A KR101901533B1 (ko) 2017-12-27 2017-12-27 펄을 포함하는 주꾸미 포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1533B1 true KR101901533B1 (ko) 2018-09-21

Family

ID=63720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189A KR101901533B1 (ko) 2017-12-27 2017-12-27 펄을 포함하는 주꾸미 포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5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424B1 (ko) 2009-08-06 2010-02-25 박민규 주꾸미 포획기
KR100965617B1 (ko) * 2009-06-12 2010-06-23 최명길 낚시 인조 미끼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8076B1 (ko) * 2016-03-30 2017-06-15 박민규 석분과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주꾸미 포획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617B1 (ko) * 2009-06-12 2010-06-23 최명길 낚시 인조 미끼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44424B1 (ko) 2009-08-06 2010-02-25 박민규 주꾸미 포획기
KR101748076B1 (ko) * 2016-03-30 2017-06-15 박민규 석분과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주꾸미 포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424B1 (ko) 주꾸미 포획기
KR101748076B1 (ko) 석분과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주꾸미 포획기
MX2007013356A (es) Microparticulas modificadas en la superficie y metodos de formacion y uso de las mismas.
Fiedler et al. Dolphin prey abundance determined from acoustic backscatter data in eastern Pacific surveys
KR101901533B1 (ko) 펄을 포함하는 주꾸미 포획기
KR101923855B1 (ko) 황토 단지를 이용한 두족류 산란장치
KR20190009226A (ko) 펄을 포함하는 주꾸미 포획기
US10274291B2 (en) Luminescent archery target
WO2003103379A3 (en) HEAVY MONOFILAMENT FISHING LINE
KR101191489B1 (ko) 주꾸미 포획용 어구
KR101706696B1 (ko) 주꾸미 잡이용 어구
CN105123638A (zh) 一种新型仿生鱼饵
KR101769555B1 (ko) 두족류 포획용 인공소라 및 그 인공소라 성형용 금형장치
KR100846059B1 (ko) 두족류 포획구
US20170172126A1 (en) Fishing using sonic-visual stimulators method
Wilson The Enemy Within
JP2003047379A (ja) 漁業用重り
CN205694918U (zh) 一种宠物猫玩具
KR101769552B1 (ko) 두족류 포획용 인공 패각
KR102455575B1 (ko) 친환경 생분해 주꾸미 포획기
Hulett et al. Critical need for rigorous evaluation of salmonid propagation programs using local wild broodstock
KR200288929Y1 (ko) 하우스형 바이오 세라믹 인공어초
CN210900835U (zh) 一种头盔式宠物窝
CN202354244U (zh) 人造鱼饵
CN207832037U (zh) 一种三角针缝制的伪装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