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304B1 -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304B1
KR101901304B1 KR1020120114336A KR20120114336A KR101901304B1 KR 101901304 B1 KR101901304 B1 KR 101901304B1 KR 1020120114336 A KR1020120114336 A KR 1020120114336A KR 20120114336 A KR20120114336 A KR 20120114336A KR 101901304 B1 KR101901304 B1 KR 101901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wireless charging
battery
power
power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7947A (ko
Inventor
전찬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4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304B1/ko
Publication of KR20140047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상기 배터리에 저장하는 단계, 제1 전자기기와의 무선 충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제1 전자기기로 무선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동작방법{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점점 발전해 가면서 사용자들의 휴대가 가능한 전자기기의 선호도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기는 사용자드에게 유비쿼터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필수 요소가 되었다. 그리고 현재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전화선, 네트워크 케이블, 헤드폰 케이블 등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는 통신 방식에서 블루투스, 무선랜 등 무선을 이용한 통신 방식으로 옮겨가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의 전원 공급은 대부분 충전식 배터리가 담당하고 있으며, 무선 충전 기술이 점차 도입되고 있다.
무선 충전 기술이란 무선 전력 기술의 다른 말로써, 예를 들어 전자기기를 별도의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고, 충전 패드에 올려놓기만 하면 자동으로 전자기기의 배터리가 충전이 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무선 충전 기술은 유선 충전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자기기의 휴대성을 높일 수 있어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무선 충전 기술은 무선 충전 패드 자체는 외부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의 전력을 전자기기로 무선 공급하는 것으로서, 무선 충전 패드와 외부 전원을 유선으로 연결해야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남아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를 포함시켜, 외부 전원의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하고, 무선 충전 장치가 외부 전원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공급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전원 또는 외부 전자기기와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공급받을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 방법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상기 배터리에 저장하는 단계, 제1 전자기기와의 무선 충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제1 전자기기로 무선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배터리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무선 전송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 및 제1 전자기기와의 무선 충전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변환된 전력을 상기 제1 전자기기로 무선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가 외부 전원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공급할 수 있어, 외부 전원과의 유선 연결을 할 수 없는 경우에도, 무선 충전 장치를 휴대하여, 필요시에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자기기와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전력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충전 및 방전 시에 충전상태 정보를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11은 도 3 및 4의 동작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은 외부 전원(50), 무선 충전 장치(100) 및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자기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외부 전원(5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외부 전원(50)은 상용되는 교류 전원일 수 있으며, 도면에는 유선으로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외부 전원(50)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내부 배터리(13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200)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 형태를 가지는 무선 충전 장치(100) 상에 전자기기(200)를 올려놓으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전자기기(200)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200)는, 무선 충전 장치(100)를 통하여 무선 충전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전원(50)으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거나, 무선 충전 장치(100)의 배터리(130)에 저장된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는 자기장을 이용하는 자기 유도 방식, 전기적 에너지를 마이크로파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전파수신형 방식, 자기장과 전기장의 에너지 전환에 의한 자기 공명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자기 유도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자기기(2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전력 변환부(110), 코일(120), 배터리(130), 센싱부(140), 사용자 입력부(160), 제어부(180), 통신부(190), 알람부(170) 및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30)는 외부 전원(50)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180)의 명령에 따라, 저장된 전력을 전력 변환부(11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30)는 무선 충전 장치(100)와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전력 변환부(110)는 입력되는 전력을 무선 전송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변환된 전력은 전력변환부(100)에 연결된 코일(120)을 통해 전자기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외부 전원(5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130)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200)로부터 무선 충전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배터리(130)에 저장된 전력이 전자기기(200)에 무선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외부 전원(50)의 전력이 전자기기(200)에 무선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의 코일(120)은 전자기기(200)의 코일(미도시)과 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유도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력이 전자기기(200)로 무선 공급될 수 있다.
통신부(190)는 전자기기와 같은 외부 장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때, 무선 신호는, 외부 장치의 충전정보 및 무선 충전 장치의 충전정보에 관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60)는 사용자가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6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6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15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100)가 충전 모드 또는 방전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150)는 배터리(130)의 충전 상태, 충전량 및 충전 예상 소요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충전상태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50)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5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15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무선 충전 장치(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15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센싱부(140)는 외부 전원(50) 및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 등을 감지하여 무선 충전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감지센서, 압력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는 무선 충전 장치(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무선 충전 장치(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센서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는 무선 충전 장치(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는 사용환경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가 디스플레이(150)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150)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15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알람부(170)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외부 전원 및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된 경우, 충전이 완료된 경우 등 다양한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알람부(170)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70)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150)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11은 도 3 및 4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외부 전원(5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100)는 외부 전원(50)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외부 전원(50)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100)는 수신 코일(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상기 외부 전원(5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외부 전원(50)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100)는 충전모드로 진입하여 외부 전원(50)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배터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도 5(a)와 같이, 디스플레이(150)에는 외부 전원(50)과 연결되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외부 전원(50)과 연결된 경우, 무선 충전 장치(100)는 도 6과 같이, 충전모드로 진입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560)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모드에서, 무선 충전 장치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므로, 배터리에 남아있는 전력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배터리에 남아있는 전력량이 증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배터리 상태 바(540)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완충시까지 소요되는 예상시간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제1 전자기기(200)와의 무선 충전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320). 이때, 제1 전자기기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이때, 제1 전자기기(200)와 무선 충전 장치(100)가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무선 충전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기기의 코일이 무선 충전 장치(100)의 코일(120)과 자기적으로 커플링 될 수 있도록 위치해 있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는 제1 전자기기(200)로부터 무선 충전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100)가 제1 전자기기(200)와의 무선 충전이 가능함을 감지한 경우, 무선 충전을 명령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배터리(130)에 저장된 전력을 제1 전자기기(200)로 무선 공급할 수 있다(S330).
제어부(180)는 무선 충전 요청이 있는 경우, 배터리(130)에 저장된 전력이 전력변환부(11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전력변환부(110)는 입력되는 전력을 무선 전송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다. 이때, 변환된 전력은 전력 변환부(110)에 연결된 코일(120)을 통하여, 제1 전자기기(200)로 공급된다.
이때, 도 7(a)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제1 전자기기와 연결되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100)는 도 8과 같이, 방전모드로 진입하여, 배터리의 방전 상태 정보(660)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전모드에서,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제1 전자기기(200)로 전력을 공급하므로, 배터리에 남아있는 전력량이 줄어들게 된다. 이때, 배터리에 남아있는 전력량이 줄어드는 상태를 나타내는 배터리 상태 바(640)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기기(200)의 배터리의 완충시까지 소요되는 예상시간, 제1 전자기기의 충전상태 정보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외부 전원(50) 및 제1 전자기기(200)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10, S420, S450).
판단 결과, 외부 전원(50)에만 연결된 경우, 무선 충전 장치(100)는 외부 전원(5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S470). 한편, 도 4의 470 단계는 도 3의 310 단계에 대응된다.
판단 결과, 제1 전자기기(200)에만 연결된 경우, 무선 충전 장치(100)는 배터리(130)에 저장된 전력을 제1 전자기기(200)로 공급할 수 있다(S460). 한편, 도 4의 460 단계는 도 3의 330 단계에 대응된다.
판단 결과, 외부 전원(50) 및 제1 전자기기(200) 모두 연결된 경우, 무선 충전 장치(100) 및 제1 전자기기(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우선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100)가 외부 전원(50) 및 제1 전자기기(200)와의 연결을 감지한 경우, 도 10과 같이, 디스플레이(150)에 무선 충전 장치에 해당하는 오브젝트(715) 및 제1 전자기기에 대응하는 오브젝트(725)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오브젝트들(715, 72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장치를 우선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에 해당하는 오브젝트(715)가 선택되는 경우, 무선충전장치(100)는 외부 전원(5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S480). 이때, 무선 충전 장치(100)의 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즉, 완충상태가 되면, 2차적으로 제1 전자기기(200)가 충전될 수 있다.
반면에, 제1 전자기기에 해당하는 오브젝트(725)가 선택되는 경우, 외부 전원(50)의 전력은 무선 충전 장치(100)의 전력변환부(110)로 공급되어, 전력변환부(110)는 공급된 전력을 무선 전송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된 전력은 제1 전자기기(200)로 공급되어, 제1 전자기기(200)가 충전될 수 있다(S490). 이때, 제1 전자기기(200)의 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2차적으로 무선 충전 장치(100)가 충전될 수 있다.
또는, 무선 충전 장치 및 제1 전자기기에 해당하는 오브젝트(715, 725)가 모두 선택된 경우, 외부 전원(50)의 전력을 제1 전자기기(200) 및 무선 충전 장치(100)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원(50)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의 일부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배터리(130)에 저장하며, 일부는 전력변환부(110)에서 무선 전송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제1 전자기기(2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충전 장치(100)는 외부 전원(5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130)에 저장하고, 다시 배터리(130)에 저장된 전력을 전력변환부(110)에서 무선 전송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제1 전자기기(200)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전원(50) 및 제1 전자기기(200)가 모두 연결된 경우,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 입력 없이,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100) 및 제1 전자기기(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충전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모드와 방전모드에서의 무선 충전 장치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와 외부 전원(50)이 연결된 경우, 디스플레이(150)에 외부 전원(50)이 연결되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5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전원(5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외부 전원이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전원이 연결되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510)에는 외부 전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외부 전원(외부 전원 1, 외부 전원 2)이 연결된 경우, 도 5(b)와 같이, 복수의 외부 전원(외부 전원 1, 외부 전원 2)에 대응하는 오브젝트(520, 530)를 표시하여, 상기 오브젝트들(520, 53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이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100)는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외부 전원(50)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충전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충전모드로 진입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배터리(130)의 전력량을 디스플레이(150)에 표시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무선 충전 장치(100)의 가장자리 일 영역에, 배터리(130)의 전력량에 대한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낼 수 있는 배터리 상태 바(540)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상태 바(540)는 배터리의 전력량이 0인 경우, 제1 색이 표시되지 않으며, 배터리의 전력량이 완충상태에서의 전력량의 100%(완충상태)인 경우, 배터리 상태 바(540)의 전체 영역이 제1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전력량이 완충상태에서의 전력량의 50%인 경우, 배터리 상태 바(540)의 50% 영역이 제1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배터리 상태 바(540)는 완충상태에서의 전력량에 대한 배터리에 남아있는 전력량의 비율을 배터리 상태 바(540)의 전체 영역 중 제1 색으로 표시된 영역(550)의 비율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배터리(130)의 전력량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130)의 전력량이 증가하는 경우, 배터리 상태 바(540)의 제1 색으로 표시된 영역(550)이 증가하며, 배터리의 전력량이 감소하는 경우, 배터리 상태 바(540)의 제1 색으로 표시된 영역(550)이 감소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가 무선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외부 전자기기(200)와 연결된 경우, 디스플레이(150)에 무선 충전이 가능한 외부 전자기기(200)와 연결되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6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전자기기가 연결되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610)에는 외부 전자기기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무선 충전이 가능한 외부 전자기기(외부 전자기기 1, 외부 전자기기 2)와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외부 전자기기(외부 전자기기 1, 외부 전자기기 2)가 연결된 경우, 복수의 외부 전자기기에 대응하는 오브젝트(620, 630)를 표시하여, 상기 오브젝트들(620, 63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100)는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외부 전자기기로 전력을 무선 공급할 수 있다.
외부 전자기기(200)로 전력을 무선 공급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방전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방전모드로 진입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는 배터리의 전력량을 디스플레이(150)에 표시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무선 충전 장치(100)의 가장자리 일 영역에, 배터리(130)의 전력량에 대한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낼 수 있는 배터리 상태 바(640)가 표시될 수 있다. 배터리 상태 바(6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6 및 8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100)의 충전모드와 방전모드에서 각각 배터리 상태 바(540, 640)의 표시색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모드에서는 배터리의 상태 바의 표시색을 제1 색으로 하여, 제1 색으로 표시된 영역(550)이 증가되도록 표시할 수 있고, 방전모드에서는 배터리의 상태 바의 표시색을 제2 색으로 하여, 제2 색으로 표시된 영역(650)이 감소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배터리 상태 바(540, 640)의 표시색을 통하여, 현재 무선 충전 장치가 충전모드인지 방전 모드인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충전모드 및 방전모드에서의 배터리 상태 바를 디스플레이의 동일한 위치에 표시하거나 각각 다른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배터리 상태 바는 제1 배터리 상태 바(540) 및 제2 배터리 상태 바(6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충전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150)의 좌측에 위치한 제1 배터리 상태 바(540)에 표시되도록 하고, 방전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150)의 우측에 위치한 제2 배터리 상태 바(64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장치가 무선 충/방전이 가능한 제2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50)에 제2 전자기기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충전모드 및 방전모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815, 825)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충전모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815)를 선택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제2 전자기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무선 충전 장치(100)의 배터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반면에, 방전모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825)를 선택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100)는 배터리(130)에 저장된 전력을 전력변환부(110)에서 무선 전송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제2 전자기기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무선 충전 장치 110: 전력 변환부
120: 코일 130: 배터리
140: 센싱부 150: 디스플레이
160: 사용자 입력부 170: 알람부
180: 제어부 190: 통신부

Claims (6)

  1. 배터리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제1 전자기기와의 무선 충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외부전원이 상기 무선 충전 장치와 연결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외부전원 및 상기 제1 전자기기 모두와 연결된 경우, 디스플레이에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해당하는 제1 오브젝트 및 상기 제1 전자기기에 대응하는 제2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오브젝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장치를 우선적으로 충전하여, 완충된 상태가 되면 2차적으로 선택되지 않은 장치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오브젝트 모두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무선 충전 장치 및 상기 제1 전자기기를 동시에 충전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전원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제1 전자기기로 무선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 및 상기 제1 전자기기의 동시 충전은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의 일부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배터리에 저장하며, 일부는 전력변환부에서 무선 전송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전자기기로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에 저장하고, 다시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전력변환부에서 무선 전송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전자기기로 공급하는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방법.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무선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제2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2 전자기기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충전모드 및 방전모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충전모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2 전자기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방전모드를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제2 전자기기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방법.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완료 예상시간, 충전량, 충전 상태를 표시해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방법.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제1 전자기기로 무선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및 제1 전자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충전 상태를 표시해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방법.
  6.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배터리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무선 전송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 및
    제1 전자기기와의 무선 충전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외부전원이 무선 충전 장치와 연결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외부전원 및 상기 제1 전자기기 모두와 연결된 경우, 디스플레이에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해당하는 제1 오브젝트 및 상기 제1 전자기기에 대응하는 제2 오브젝트를 표시케 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오브젝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장치를 우선적으로 충전케 하고, 완충된 상태가 되면 2차적으로 선택되지 않은 장치를 충전케 하며, 상기 제1 및 제2 오브젝트 모두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무선 충전 장치 및 상기 제1 전자기기를 동시에 충전하케 하되,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에 저장하고, 다시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전력변환부에서 무선 전송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전자기기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외부전원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변환된 전력을 상기 제1 전자기기로 무선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KR1020120114336A 2012-10-15 2012-10-15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901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336A KR101901304B1 (ko) 2012-10-15 2012-10-15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336A KR101901304B1 (ko) 2012-10-15 2012-10-15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947A KR20140047947A (ko) 2014-04-23
KR101901304B1 true KR101901304B1 (ko) 2018-09-27

Family

ID=50654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336A KR101901304B1 (ko) 2012-10-15 2012-10-15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3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531B1 (ko) * 2014-12-24 2021-1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의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2184527B1 (ko) 2015-08-19 2020-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유무선 충전 방법
KR101682664B1 (ko) * 2015-08-25 2016-12-12 주식회사 알.에프.텍 유무선 충전 장치
KR102494466B1 (ko) * 2020-11-24 2023-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유무선 충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947A (ko)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300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wireless charging pad in electronic device
KR20140086000A (ko)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
EP3916520B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charging by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supplying power by power supply device
US9160180B2 (en) Charging apparatus for charging a secondary battery with a wireless feeding method
AU2014284843B2 (en) Method for switching digitizer mode
EP2866043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a remaining quantity of the battery thereof
JP5785221B2 (ja) ケーブル一体型充電制御装置に取り付けられるアドオン通信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US9583965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path of mobile terminal
US20150054458A1 (en)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WO2018034889A1 (en) Coordination of device operation on wireless charging surface
KR101901304B1 (ko)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40046707A1 (en) Charge reservation support system, mobile terminal device, charge reservation support method and program
JP5926327B2 (ja) ケーブル設置型充電制御装置に取り付けられるアドオン通信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101491378B1 (ko) 휴대장치의 무선충전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조작 장치 및 방법
CN111373629A (zh) 一种无线充电的对位检测方法及电子设备
CN109565171B (zh) 充电保护方法、终端及充电器
US11936205B2 (en) Wireless power systems with charging status information
US11146109B2 (en) Wireless power systems with charging status information
JP2013201863A (ja) 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充電器
JP6141175B2 (ja) 電子機器
US9762080B2 (en) Electronic apparatus, system and charging method thereof
KR20130119581A (ko) 무선링크 단말기 및 그의 무선 충전기
KR20130104310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013254507A (ja) 電子機器、ワイヤレス情報入力装置、ワイヤレス装置、プログラム及び充電方法
JP2004220315A (ja) 無線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無線マウスおよび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