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275B1 - 리프팅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275B1
KR101901275B1 KR1020170109403A KR20170109403A KR101901275B1 KR 101901275 B1 KR101901275 B1 KR 101901275B1 KR 1020170109403 A KR1020170109403 A KR 1020170109403A KR 20170109403 A KR20170109403 A KR 20170109403A KR 101901275 B1 KR101901275 B1 KR 101901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horizontal
lifting
lead screw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기
Original Assignee
이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기 filed Critical 이춘기
Priority to KR1020170109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66Multiple scissor linkages vertic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driven by screw or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부재와 승강작업대 사이에 개재되는 교차링크절과 수평링크절을 가지는 X링크기구와, 수평링크절을 접근 및 이격 구동하는 승강구동부를 가진다. 이때, 승강구동부는 수평링크절과 일체로 이동하는 가이드암나사부재에 결합되는 리드스크류 및 리드스크류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가지며, 리드스크류와 가이드암나사부재들은 리드스크류의 정역 회전에 수평링크절들이 상호 접근 및 이격하도록 나선방향의 대향 조합을 갖는다. 이로 인해 하나의 리드스크류와 구동모터로 승강작업대를 베이스부재로부터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수평링크절과 교차링크절의 높이 차이를 유지하여 수평링크절이 승강구동부에 의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수평링크절과 교차링크절의 높이 차이를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부재나, 승강작업대와 베이스부재의 높이차이를 유지하기 위한 기동스프링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리프팅장치{LIFTING DEVICE}
본 발명은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작업물을 소정 높이 승강시켜 작업의 편의를 추구하는 다양한 리프팅 장치에 관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존의 리프팅장치는 무거운 피작업물을 승강시키기 위해 주로 고가의 유압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어 제조단가가 높고, 유압시스템을 유지보수하기 불편했으며, 무거워 이동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가벼운 피작업물을 모터와 리드스크류를 통해 승강시킬 수 있는 경량화된 리프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리프팅장치에 있어서, 베이스부재와, 피작업물을 지지하는 승강작업대와,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승강작업대 사이에 개재되며, 교차링크절에 의해 시소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링크부재를 가지며, 상기 링크부재들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좌우방향으로 상호 접근 이격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수평링크절을 가지고, 상기 수평링크절들의 접근 이격에 의해 상기 승강작업대를 승강시키는 상호 평행한 한 쌍의 X링크기구를 갖는 제1링크유니트와, 상기 수평링크절을 접근 및 이격 구동하는 승강구동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X링크기구의 상호 대응하는 상기 수평링크절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연결바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수평연결바아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상기 수평링크절과 일체로 이동하는 가이드암나사부재와, 상기 가이드암나사부재에 결합되는 리드스크류 및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가지며, 상기 리드스크류와 상기 가이드암나사부재들은 상기 리드스크류의 정역 회전에 상기 수평연결바아들이 상호 접근 및 이격하도록 나선방향의 대향 조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연결바아에 고정된 상기 가이드암나사부재와 결합되는 상기 리드스크류의 축선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제1링크유니트와 동일하게 구성된 제2링크유니트를 더 포함하면 피작업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유니트와 상기 제2링크유니트의 상호 근접한 상기 수평연결바아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여 교차링크절과 수평링크절의 높이가 수평이 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작업대가 소정 범위 이상 하강하였을 때 상기 승강작업대에 상향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동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는 모터와 리드스크류를 사용하여 기존에 비해 경량화 가능하며, 제조단가가 낮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승강작업대가 상승 되었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승강작업대가 하강 되었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4은 승강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승강작업대가 상승 되었을 때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승강작업대가 하강 되었을 때의 측면도이며, 도 4는 승강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는 베이스부재(200)와 피작업물을 지지하는 승강작업대(100)와, 베이스부재(200)와 승강작업대(100) 사이에 개재되어 승강작업대(100)를 베이스부재(200)로부터 승강시키기 위한 링크유니트와 링크유니트를 구동시키는 승강구동부(400)를 갖는다.
승강작업대(100)는 피작업물을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진 프레임으로 피작업물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 길이에 대응하거나, 피작업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폭과 길이를 가지며, 링크유니트의 상부와 결합된다.
베이스부재(200)는 바닥에 고정되어 링크유니트의 하부와 결합되며, 링크유니트와 승강작업대(100) 및 피작업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폭과 길이를 가진다.
링크유니트는 베이스부재(200)와 승강작업대(100)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피작업물의 무게를 고려하거나 리프팅장치의 구조상의 안정을 위해 승강작업대(100)와 베이스부재(200) 사이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링크유니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된 제1링크유니트와 제2링크유니트로 구성된다.
링크유니트는 승강작업대(100)를 베이스부재(200)로부터 승강시키기 위한 X링크기구(300)를 가지며, X링크기구(300)는 승강작업대(100)의 폭 방향 길이에 따라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작업대(100)와 베이스부재(200)의 폭 방향 양 단에 각각 설치되어 한 쌍을 이룬다.
X링크기구(300)는 베이스부재(200)와 승강작업대(100) 사이에 개재되며, 교차링크절(10)에 의해 시소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링크부재를 가지며, 링크부재들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좌우방향으로 상호 접근 및 이격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수평링크절(20)을 가지고, 수평링크절(20)의 접근 및 이격에 의해 승강작업대(100)를 승강시키기 된다.
교차링크절(10)은 한 쌍의 링크부재의 중간부분이 서로 회동가능하게 핀 결합되어 형성된 것이고, 수평링크절(20)은 한 쌍의 링크부재의 일 단부 영역이다.
교차링크절(10)과 수평링크절(20)에는 또 다른 링크부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베이스부재(200) 또는 승강작업대(1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교차링크절(10)과 수평링크절(20)은 하나의 X링크(320)를 기준으로 교차링크절(10)은 1개, 수평링크절(20)은 4개가 형성된다. 이때 동일한 수평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수평링크절(20)들을 수평상태로 고정하여 상호 접근시키면 교차링크절(10)과 다른 수평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수평링크절(20)은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며 수평링크절(20)들은 상호 접근하게 된다. 반대로, 서로 접근되어 있는 동일한 수평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수평링크절(20)들을 수평상태로 고정하여 상호 이격시키면 교차링크절(10)과 다른 수평 상에 위치하는 2개의 수평절들은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며 상호 이격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수평링크절(20)들의 상호 접근 및 이격에 따라 발생하는 교차링크절(10)과 수평링크절(20)들의 상향 또는 하향 이동을 통해 베이스부재(200)로부터 승강작업대(100)를 승강시키게 된다.
X링크기구(300)는 승강작업대(100)의 승강 높이를 키우기 위해 X링크(320) 외에 상부링크(310)와 하부링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링크(310)는 일단이 X링크(320)의 수평링크절(20)들과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서로 연결되어 교차링크절(10)을 가지는 한 쌍의 링크부재로 이루어지고, 상부링크(310)의 교차링크절(10)은 승강작업대(100)에 회동가능하게 핀 결합되며, V자가 거꾸로 뒤집힌 형상을 가진다.
X링크(320)는 일단이 상부링크(310)들과 핀 결합되고 중간지점이 서로 회동가능하게 교차되어 핀 결합되는 교차링크절(10)을 가지며, 타단이 하부링크(330)들의 일단과 핀 결합되어 수평링크절(20)을 형성하는 한 쌍의 링크부재로 이루어진다.
하부링크(330)는 일단이 X링크(320)들의 타단과 핀 결합되며, 중간지점이 서로 회동가능하게 교차되어 핀 결합되는 교차링크절(10)을 가지며, 타단은 베이스부재(200)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X링크(320)를 상하로 복수 개 연결시키는 것으로 승강작업대(100)의 승강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X링크기구(300)의 교차링크절(10)이나 수평링크절(20)에 승강작업대(100)나 베이스부재(2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교차링크절(10)에 결합시킬 경우 결합 포인트가 1포인트이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한 반면 피작업물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는 상대적으로 부실해진다. 반면, 수평링크절(20)에 결합시킬 경우 구조가 복잡해지고 승강작업대(100)나 베이스부재(200)는 수평링크절(20)이 수평방향으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하도록 하는 슬릿홀(210)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취약해지지만 결합 포인트는 2포인트이기 때문에 안정적이다.
본 발명은 피작업물을 적절한 높이로 승강시킬 수 있고, 안정된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상부링크(310)는 승강작업대(100)와 교차링크절(10)에 의해 결합되고, 하부링크(330)는 베이스부재(200)와 수평링크절(20)에 의해 결합된다. 이는 승강작업대(100)는 슬릿홀(210)을 형성하지 않아 견고한 구조를 갖고, 바닥에 지지되는 면적이 넓은 베이스부재(200)는 슬릿홀(210)을 형성하여 하부링크(330)와 2포인트로 결합되게 하는 것으로 안정된 지지구조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베이스부재(200)에 형성된 슬릿홀(210)은 하부링크(330)의 수평링크절(20)이 베이스부재(200)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기 위해 베이스부재(200)의 측면을 절취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슬릿홀(210)에 끼워져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하부링크(330)의 수평링크절(20)은 슬릿홀(210)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핀부재와 결합된다. 따라서, 수평링크절(20)은 슬릿홀(21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핀부재에 의해 회동가능하다.
하부링크(330)의 링크부재들은 각각의 하단이 슬릿홀(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핀 결합된 경우 상호 접근하며 승강작업대(100)를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게 되지만, 이 경우 슬릿홀(210)과 링크부재들의 좌우방향 움직임으로 인한 진동이나 구조적 불안함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링크부재는 베이스부재(2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고, 다른 하나의 링크부재는 슬릿홀(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리프팅장치는 제1링크유니트와 제2링크유니트를 가진다. 이렇게 두 개의 링크유니트를 가지는 경우에는 제1링크유니트의 하부링크(330)의 링크부재들 중 좌측하부로 돌출되는 링크부재는 베이스부재(200)의 슬릿홀(210)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반대쪽 링크부재는 생략되어 하부링크(330)는 Y자의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제2링크유니트의 하부링크(330)의 링크부재들 중 우측하부로 돌출되는 링크부재는 베이스부재(20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반대쪽 링크부재는 생략되어 Y자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때, 승강작업대(100)와 베이스부재(200)에 연결되지 않는 제1링크유니트와 제2링크유니트의 교차링크절(10)은 가로지지부재(52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제1링크유니트와 제2링크유니트는 일체가 되어 거리가 유지된 채로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가로지지부재(520)는 리프팅장치의 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한 일종의 보강부재이다.
본 발명의 승강구동부(400)는 수평링크절(20)을 상호 접근 및 이격시키며 승강작업대(100)를 승강구동한다.
본 발명의 X링크기구(300)는 상부링크(310)와 X링크(320)의 결합부와, X링크(320)와 하부링크(330)의 결합부 및 하부링크(330)와 베이스부재(200)의 결합부에 각각 수평링크절(20)이 생성되며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링크절(20)은 승강구동부(400)에 의해 상호 접근 및 이격되어 승강작업대(1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승강구동부(400)는 X링크(320)와 하부링크(330)의 결합부위에 형성되는 수평링크절(20)을 상호 접근 및 이격시킨다. 만약 모든 수평링크절(20)에 승강구동부(400)를 설치하면 보다 안정적인 승강이 가능하겠지만, 하나의 승강구동부(400)만을 사용하여 승강작업대(100)를 효과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해서는 X링크기구(300)의 중간영역에 위치한 수평링크절(20)을 상호 접근 및 이격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수평링크절(20)의 단부를 통해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링크부재의 숫자가 많을수록 수평링크절(20)을 상호 접근 및 이격시키기 위한 힘이 많이 필요하고 그 힘이 과도한 경우 수평링크절(20)의 링크부재가 휘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리프팅장치는 X링크(320)와 하부링크(330)의 결합부위에 형성되는 수평링크절(20)에 승강구동부(400)를 설치하여 상호 접근 및 이격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하나의 승강구동부(400)로 승강작업대(100)를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링크유니트는 한 쌍의 X링크기구(300)를 가지며 X링크기구(300)의 상호 대응하는 수평링크절(20)을 상호 연결시켜주는 수평연결바아(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구동부(400)는 수평연결바아(510)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수평링크절(20)과 일체로 이동하는 가이드암나사부재(511)와, 가이드암나사부재(511)에 결합되는 리드스크류(420) 및 리드스크류(42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410)를 가지며, 리드스크류(420)와 가이드암나사부재(511)들은 리드스크류(420)의 정역 회전에 수평연결바아(510)들이 상호 접근 및 이격하도록 나산방향의 대향 조합을 갖는다.
이때, 본 발명의 링크유니트는 제1링크유니트와 제2링크유니트를 가지기 때문에 리드스크류(420)는 각 링크유니트의 한 쌍의 X링크기구(300)의 수평링크절(20)을 상호 연결시켜주는 수평연결바아(510)에 설치된 가이드암나사부재(511)와 모두 결합하여 구동모터(410)에 의해 회전하며 각 링크유니트의 수평링크절(20)을 각각 상호 접근 및 이격시킨다.
수평연결바아(510)는 한 쌍의 X링크기구(300)의 하부링크(330)와 X링크(320)의 결합부위에 생성되는 수평링크절(20)을 상호 연결시키며, 수평링크절(20)을 구성하는 핀부재와 결합된다. 수평연결바아(510)의 중앙영역에는 수평연결바아(510)의 폭 방향을 관통하며 가이드암나사부재(511)가 설치된다.
가이드암나사부재(511)는 외면이 수평연결바아(510)에 고정되고 내측에는 리드스크류(420)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가진다.
리드스크류(420)는 수평연결바아(510)를 모두 관통하여 링크유니트의 가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말단은 구동모터(410)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링크유니트가 제1링크유니트와 제2링크유니트를 가지는 조건 하에서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리드스크류(420)는 제1링크유니트에 형성된 수평연결바아(510)와 결합하고 있는 가이드암나사부재(511a, 511b)와, 제2링크유니트에 형성된 수평연결바아(510)와 결합하고 있는 가이드암나사부재(511c, 511d)를 모두 관통하여 설치된다. 만약, 링크유니트의 숫자가 더 많을 경우 리드스크류(420)는 모든 링크유니트의 수평연결바아(510)에 설치된 가이드암나사부재(511)를 관통하여 설치될 것이다.
구동모터(410)는 가장 외각에 위치한 수평연결바아(510)의 측면에 위치하여 리드스크류(420)를 정역 회전시킨다.
구동모터(410)의 하부에는 구동모터(410)를 지지하기 위한 슬라이딩지지판(411)이 설치된다. 슬라이딩지지판(411)은 근접한 수평연결바아(510)의 양단 하부로부터 구동모터(410)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측면에 슬라이딩지지판(411)이 슬라이딩 가능한 지지판슬롯(413)을 가지는 모터지지대(412)에 설치되며, 슬라이딩지지판(411)의 양단은 지지판슬롯(413)에 끼워져 지지판슬롯(413)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승강구동부(400)의 작동에 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4의 (a)는 승강구동부(400)에 의해 제1링크유니트와 제2링크유니트의 수평연결바아(510)가 상호 이격되어 승강작업대(100)가 하강했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의 (b)는 승강구동부(400)에 의해 승강작업대(100)가 상승했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구동부(400)의 리드스크류(420)는 각 수평연결바아(510)의 중간지점을 기준으로 나사산의 방향이 반대로 형성된다. 즉, 리드스크류(420a, 420c)와 리드스크류(420b, 420d)는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을 가지고, 이때, 이들과 결합되는 가이드암나사부재(511a, 511c)와 가이드암나사부재(511b, 511d) 또한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을 가지며 이러한 가이드암나사부재(511a, 511b, 511c, 511d)와 리드스크류(420a, 420b, 420c, 420d)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서로 반대로 형성되는 나사산의 조합으로 인해 리드스크류(420)가 정방향 회전할때는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산을 가지는 리드스크류(420a, 420b)와 이들과 결합되는 가이드암나사부재(511a, 511b)로 인해 가이드암나사부재(511a, 511b)와 연결된 수평연결바아(510)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반대로 리드스크류(420)가 역방향 회전할 때의 수평연결바아(510)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작용은 제2링크유니트에 해당하는 리드스크류(420c, 420d)와 가이드암나사부재(511c, 511d)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리드스크류(420a, 420b, 420c, 420d)는 순차적으로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을 가지고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리드스크류(420)로 이루어지고, 이들과 각각 결합되는 가이드암나사부재(511a, 511b, 511c, 511d)는 리드스크류(420a, 420b, 420c, 420d)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을 가진 채 수평연결바아(510)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스크류(420)의 정역회전을 통해 수평연결바아(510)를 상호 접근 및 이격시키며 승강작업대(1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410)는 슬라이딩지지판(411)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며, 슬라이딩지지판(411)은 모터지지대(412)에 형성된 지지판슬롯(41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구동모터(410)에 의해 리드스크류(420)가 정역회전할 때 구동모터(410)와 수평연결바아(510)의 거리가 멀어져 구동모터(410)의 자중 또는 진동에 의한 리드스크류(420)의 손상을 방지하고, 구동모터(4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회전력을 승강작업대(100)를 승강시키는 힘으로 효과적으로 전환시키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는 수평링크절(20)을 상호 접근 및 이격 시켜 승강작업대(100)를 승강시킨다. 이때, 수평링크절(20)의 높이와 교차링크절(10)의 높이가 서로 근접할수록 수평링크절(20)을 상호 접근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많이 소모되고, 높이가 동일할 경우 수평링크절(20)을 상호 접근시킬 수 없다. 따라서 승강작업대(100)에 과도한 무게의 피작업물이 올려 지거나, 보관이나 조립의 편의를 추구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도 X형태로 겹쳐지는 링크부재들이 눕혀져 서로 완전히 겹쳐지지 않도록 수평링크절(20)과 교차링크절(10)은 항상 소정의 높이 차이를 유지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는 수평링크절(20)과 교차링크절(10)이 항상 소정 높이 차이를 유지하도록, 제1링크유니트와 제2링크유니트의 상호 근접한 수평연결바아(510)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부재(42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승강작업대(100)가 소정 범위 이상 하강하였을 때 승강작업대(100)에 상향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동스프링(120)을 가질 수 있다.
스프링부재(4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유니트의 우측 수평연결바아(510)와 제2링크유니트의 좌측 수평연결바아(510)의 사이에 설치되며, 이들을 관통하고 있는 리드스크류(420)의 둘레에 스프링지지부재(421)에 의해 일측이 지지되어 설치된다. 스프링지지부재(421)는 리드스크류(420)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수평연결바아(510)의 측면에 결합되며 스프링이 리드스크류(420)의 둘레에 배치되도록 스프링의 일측을 고정한다.
스프링부재(422)는 수평연결바아(510)가 상호 이격 되었을 때에는 일측의 수평연결바아(510)와는 접촉하고 타측의 수평연결바아(510)와는 접촉되지 않지만, 수평연결바아(510)가 상호 접근 되었을 때에는 양쪽의 수평연결바아(510)와 모두 접촉하여 양측의 수평연결바아(510)를 향해 탄성력을 부여하며, 스프링부재(422)가 최대로 압축된 상태에서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수평연결바아(510)와 결합된 수평링크절(20)과 이와 연결된 교차링크절(10) 간의 최소한의 높이 차이를 설정할 수 있다.
기동스프링(120)은 승강작업대(100)의 하부에 설치된 기동스프링고정부재(1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승강작업대(100)와 베이스부재(200)의 간격이 좁아질 경우 베이스부재(200)에 설치되며 기동스프링(120)이 끼워질 수 있는 기동스프홈을 가지는 기동스프링가이드(220)에 끼워진다. 기동스프링(120)으로 인해 승강작업대(100)와 베이스부재(200)는 항상 최소한의 간격을 유지하게 되며 과도한 무게의 피작업물이 승강작업대(100)에 배치됨에 따라 리프트장치에 발생되는 하중을 완화해준다.
기동스프링(120)이 최대로 압축되었을 때의 길이는 수평링크절(20)이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하도록 하는 수평링크절(20)과 교차링크절(10)의 높이 차이를 감안하여 설계된다. 즉, 기동스프링(120)으로 인해 승강작업대(100)와 베이스부재(200)는 최소한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높이차이로 인해 교차링크절(10)과 수평링크절(20)의 높이 차이 또한 소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동스프링(120), 기동스프링고정부재(110) 및 기동스프링가이드(220)는 상기의 설명과 반대로, 기동스프링(120) 및 기동스프링고정부재(110)가 베이스부재(200)에 설치되고, 기동스프링가이드(220)는 승강작업대에 설치될 수 있다.
기동스프링(120)과, 스프링부재(422)는 교차링크절(10)과 수평링크절(20)의 높이 차이를 유지시켜 수평링크절(20)이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과, 수평링크절(20)이 이격된 상태에서 상호 접근하며 승강작업대(100)를 상승시킬 때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승강구동부(400)에 걸리는 부하를 줄여주는 역할도 한다. 즉, 구동모터(410)는 승강작업대(100)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부하를 받지 않지만, 피작업물을 승강시킬 때는 수평링크절(20)을 상호 접근시키기 위해 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때 피작업물이 무거울수록 이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모터(410)의 부하가 증가되지만, 이때 스프링 또한 압축되어 탄성력이 증가되기 때문에 피작업물을 승강시키기 위해 구동모터(410)의 부하와 스프링의 탄성력이 모두 사용되어 구동모터(410)의 부하를 덜어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세로방향으로 교차링크절(10)들을 상호 연결하여 리프팅장치의 폭방향의 구조를 견고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로지지부재(530)를 가질 수 있다.
세로지지부재(530)는 한 쌍의 X링크기구(300)의 대응되는 교차링크절(10)을 상호 연결하며 세로지지부재(530)에 의해 리프팅장치의 폭 방향 지지구조가 견고해진다. 이러한 세로지지부재(530)는 교차링크절(10)에 결합할 때 각 링크부재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일종의 핀 부재의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20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사용자가 발로 누르는 힘에 의해 수평연결바아(510)를 소정 폭 상승시키는 승강보조부(600)를 가질 수 있다.
승강보조부(600)는 베이스부재(200)의 프레임 상면에 설치되며, 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측에는 사용자의 발바닥 모양에 상응하는 발판(610)을 가지며, 타측에는 외곽에 위치하는 수평연결바아(510)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승강보조부재(620)를 가지는 승강부를 가진다.
승강보조부재(620)와 발판(610)은 지지부를 기준으로 V자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승강작업대(100)의 하향 이동에 따라 수평연결바아(510)는 하향 이동하며 수평연결바아(510)의 하부에 위치한 승강보조부재(620)를 누르게 되고 이로 인해 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부의 발판(610)은 상향이동하게 된다.
승강보조부(600)는 승강작업대(100) 위의 피작업물이 과도한 무게를 가지거나, 구동모터(410)의 과도한 부하가 예상될 때 사용자가 직접 발판(610)을 누르는 힘으로 수평연결바아(510)를 소정 폭 상승시켜 구동모터(410)의 부하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는 유압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 링크부재들과 구동모터(410), 리드스크류(420)를 사용하며, 하나의 리드스크류(420)와 구동 이용하여 다수의 링크유니트를 승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한 경량화가 가능하여 리프팅장치의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부재(200)와 승강작업대(100) 사이에 개재되는 교차링크절(10)과 수평링크절(20)을 가지는 X링크기구(300)와, 수평링크절(20)을 접근 및 이격 구동하는 승강구동부(400)를 가진다. 이때, 승강구동부(400)는 수평링크절(20)과 일체로 이동하는 가이드암나사부재(511)에 결합되는 리드스크류(420) 및 리드스크류(420)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410)를 가지며, 리드스크류(420)와 가이드암나사부재(511)들은 리드스크류(420)의 정역 회전에 수평링크절(20)들이 상호 접근 및 이격하도록 나선방향의 대향 조합을 갖는다. 이로 인해 하나의 리드스크류(420)와 구동모터(410)로 승강작업대(100)를 베이스부재(200)로부터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수평링크절(20)과 교차링크절(10)의 높이 차이를 유지하여 수평링크절(20)이 승강구동부(400)에 의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수평링크절(20)과 교차링크절(10)의 높이 차이를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부재(422)나, 승강작업대(100)와 베이스부재(200)의 높이 차이를 유지하기 위한 기동스프링(120)을 가질 수 있다.
10 : 교차링크절 20 : 수평링크절
100 : 승강작업대 110 : 기동스프링고정부재
120 : 기동스프링 200 : 베이스부재
210 : 슬릿홀 220 : 기동스프링가이드
300 : X링크기구 310 : 상부링크
320 : X링크 330 : 하부링크
400 : 승강구동부 410 : 구동모터
411 : 슬라이딩지지판 412 : 모터지지대
413 : 지지판슬롯 420, 420a, 420b, 420c, 420d : 리드스크류
421 : 스프링지지부재 422 : 스프링부재
510 : 수평연결바아 511, 511a, 511b, 511c, 511d : 가이드암나사부재
520 : 가로지지부재 530 : 세로지지부재
600 : 승강보조부 610 : 발판
620 : 승강보조부재

Claims (5)

  1. 리프팅장치에 있어서,
    베이스부재와,
    피작업물을 지지하는 승강작업대와,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승강작업대 사이에 개재되며, 교차링크절에 의해 시소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링크부재를 가지며, 상기 링크부재들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좌우방향으로 상호 접근 이격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수평링크절을 가지고, 상기 수평링크절들의 접근 및 이격에 의해 상기 승강작업대를 승강시키는 상호 평행한 한 쌍의 X링크기구를 갖는 제1링크유니트와,
    상기 제1링크유니트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1링크유니트와 동일하게 구성된 제2링크유니트와,
    상기 수평링크절을 접근 및 이격 구동하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한 쌍의 X링크기구의 상호 대응하는 상기 수평링크절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연결바아와,
    상기 제1링크유니트와 상기 제2링크유니트의 상호 근접한 상기 수평연결바아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유니트와 상기 제2링크유니트는 상기 수평연결바아에 고정된 가이드암나사부재와 결합되는 리드스크류의 축선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수평연결바아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상기 수평링크절과 일체로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암나사부재와, 상기 가이드암나사부재에 결합되는 상기 리드스크류 및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가지며, 상기 리드스크류와 상기 가이드암나사부재들은 상기 리드스크류의 정역 회전에 상기 수평연결바아들이 상호 접근 및 이격하도록 나선방향의 대향 조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작업대가 소정 범위 이상 하강하였을 때 상기 승강작업대에 상향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동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장치.
KR1020170109403A 2017-08-29 2017-08-29 리프팅장치 KR101901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403A KR101901275B1 (ko) 2017-08-29 2017-08-29 리프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403A KR101901275B1 (ko) 2017-08-29 2017-08-29 리프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1275B1 true KR101901275B1 (ko) 2018-09-28

Family

ID=63721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403A KR101901275B1 (ko) 2017-08-29 2017-08-29 리프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27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34547B1 (en) Surgical tables
US3336606A (en) Bed for persons having physical disability
US4405116A (en) Adjustable pedestal trestle for theater stages or the like
US5285992A (en) Adjustable step stool
US8474076B2 (en) Adjustable foot section for a patient support apparatus
US8910329B2 (en) Patient support having auto contour
EP0261344B1 (en) Low profile extensible support platform
US9364375B2 (en) Patient transport platform
US3983960A (en) Scissors lift
US4384378A (en) Mobile body lift
CA2963674C (en) Leg assembly for height adjustable patient support
US5090070A (en) Variable height bed
KR101901275B1 (ko) 리프팅장치
DE60220900T2 (de) Flex-Lift
KR200462021Y1 (ko) 의료용 침대 프레임
US5619762A (en) Apparatus for assisting a person in standing from a seated position
JPH11239986A (ja) 昇降作業台
CA2416123A1 (en) Epidural patient support
CN214129092U (zh) 一种重症病人安全转运装置
CN214713094U (zh) 一种升降式可折叠轮椅
JP2004210410A (ja) 段差解消階段
CN112754794A (zh) 一种升降式可折叠轮椅
CN217650674U (zh) 用于电梯检修的保护装置
CN108186249B (zh) 一种重症患者用换床装置
JP3543293B2 (ja) ストレッチャ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