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227B1 - 보일러의 고온감지소자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보일러의 고온감지소자 장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01227B1 KR101901227B1 KR1020160176764A KR20160176764A KR101901227B1 KR 101901227 B1 KR101901227 B1 KR 101901227B1 KR 1020160176764 A KR1020160176764 A KR 1020160176764A KR 20160176764 A KR20160176764 A KR 20160176764A KR 101901227 B1 KR101901227 B1 KR 1019012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hot water
- sensing element
- temperature sensing
- heat exchang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6—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heaters, e.g. boilers, other than space heating radi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의 출탕온도를 검지하는 고온감지소자를 열교환기의 온수 출탕 측에 설치되도록 하는 보일러의 고온감지소자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브라켓의 구조개선으로 1개의 브라켓 및 고온감지소자를 이용하여 열교환기의 환수 측은 물론이고 출탕 측의 온수 온도를 동시에 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ㄷ" 형태로 절곡된 본체(50)의 일면 상부에 열교환기 외관으로 돌출된 파이프에 접속되는 제1 접촉부(51)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접촉부(51)와 90°위상차를 갖도록 본체의 상기 일면 하부에는 열교환기 외관에 돌출된 타단의 파이프에 접속되는 제2 접촉부(52)를 형성하여 본체(50)의 상기 일면에 절곡된 타면에 고온감지소자(30)를 고정하도록 하며, 상기 타면에 절곡된 다른 면에는 스크류가 체결되는 스크류 체결공(15)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ㄷ" 형태로 절곡된 본체(50)의 일면 상부에 열교환기 외관으로 돌출된 파이프에 접속되는 제1 접촉부(51)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접촉부(51)와 90°위상차를 갖도록 본체의 상기 일면 하부에는 열교환기 외관에 돌출된 타단의 파이프에 접속되는 제2 접촉부(52)를 형성하여 본체(50)의 상기 일면에 절곡된 타면에 고온감지소자(30)를 고정하도록 하며, 상기 타면에 절곡된 다른 면에는 스크류가 체결되는 스크류 체결공(15)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온수의 출탕온도를 검지하는 고온감지소자를 열교환기의 온수 출탕 측에 설치되도록 하는 보일러의 고온감지소자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브라켓의 구조개선으로 1개의 브라켓 및 고온감지소자를 이용하여 열교환기의 환수 측은 물론이고 출탕 측의 온수 온도를 동시에 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일러의 고온감지소자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Boiler)는, 석유나 석탄 및 가스 등을 연료로 사용하여 이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여 각종 난방시설과 온수시설 등에 온수를 공급하는 기기로써, 주택용 보일러의 경우에는 실내의 바닥 등에 설치된 배관에 온수를 공급하여 난방을 하거나, 급수관을 통해 온수의 공급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보일러는 통상 본체와 제어부, 물탱크, 열교환기, 순환펌프, 순환파이프, 난방배관 등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와 열교환기의 출탕측 배관에는 출탕온도 검지용의 써미스터가 설치된다.
또한, 순환펌프의 고장이나 써미스터의 고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온수의 과열현상을 방지하도록, 열교환기의 주위에 온수의 출탕 온도를 감지하도록 온도퓨즈나 고온감지소자 등을 설치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장치가 열교환기의 출탕 측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로써, "ㄷ" 형태로 절곡된 브라켓(10)의 상면에 출탕 측 파이프(60)에 접속되는 반구형상의 파이프접촉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접촉부(11)가 구비된 열 전달면(12)의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고온감지소자 조립면(13)의 하부에는 고온감지소자(30)의 플랜지(31)가 끼워지는 플랜지 삽입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스크류(도시는 생략함)가 체결되는 스크류 체결공(1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브라켓(10)의 고온감지소자 조립면(13)에 형성된 플랜지 삽입부(14)에 고온감지소자(30)의 플랜지(31)를 끼운 다음 상기 브라켓(10)에 형성된 파이프 접촉부(11)를 열교환기(40)의 출탕 측 파이프(60)에 접속되게 설치한 후 브라켓(10)의 다른 일단에 형성된 스크류 체결공(15)에 스크류를 체결함에 따라 종래 장치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이렇게 설치된 종래의 장치는 고온감지소자(30)가 출탕 측 파이프(60)를 통해 고온의 온수가 통과할 때, 파이프접촉부(11) 및 열 전달면(12)을 통해 온수의 열이 고온감지소자(30)에 전달되므로 열교환기(40)의 출탕부 온수온도가 과열인지를 검지하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79818(2007.01.31.등록)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100538(2013.09.11.공개)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999-0027760(1999.07.15.공개)
이와 같은 보일러는 통상 본체와 제어부, 물탱크, 열교환기, 순환펌프, 순환파이프, 난방배관 등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와 열교환기의 출탕측 배관에는 출탕온도 검지용의 써미스터가 설치된다.
또한, 순환펌프의 고장이나 써미스터의 고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온수의 과열현상을 방지하도록, 열교환기의 주위에 온수의 출탕 온도를 감지하도록 온도퓨즈나 고온감지소자 등을 설치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장치가 열교환기의 출탕 측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로써, "ㄷ" 형태로 절곡된 브라켓(10)의 상면에 출탕 측 파이프(60)에 접속되는 반구형상의 파이프접촉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접촉부(11)가 구비된 열 전달면(12)의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고온감지소자 조립면(13)의 하부에는 고온감지소자(30)의 플랜지(31)가 끼워지는 플랜지 삽입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스크류(도시는 생략함)가 체결되는 스크류 체결공(1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브라켓(10)의 고온감지소자 조립면(13)에 형성된 플랜지 삽입부(14)에 고온감지소자(30)의 플랜지(31)를 끼운 다음 상기 브라켓(10)에 형성된 파이프 접촉부(11)를 열교환기(40)의 출탕 측 파이프(60)에 접속되게 설치한 후 브라켓(10)의 다른 일단에 형성된 스크류 체결공(15)에 스크류를 체결함에 따라 종래 장치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이렇게 설치된 종래의 장치는 고온감지소자(30)가 출탕 측 파이프(60)를 통해 고온의 온수가 통과할 때, 파이프접촉부(11) 및 열 전달면(12)을 통해 온수의 열이 고온감지소자(30)에 전달되므로 열교환기(40)의 출탕부 온수온도가 과열인지를 검지하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79818(2007.01.31.등록)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100538(2013.09.11.공개)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999-0027760(1999.07.15.공개)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복수 개의 파이프 접촉부(11)가 고온감지소자 조립면(13)에 절곡 형성됨으로써, 브라켓(10)을 접속 설치하는 파이프에 파이프 접촉부 간격 이상의 직진부가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는 내부에 열교환 파이프와 외부에 상기 열교환 파이프를 연결해 주는 환수 측 파이프, 입수 측 및 출수 측 파이프를 구비하는데, 열교환기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환수 측 파이프는 짧은 직진부를 구비하므로, 고온감지소자의 브라켓을 출탕 측 파이프에 접속 설치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출탕 측 파이프 이후의 온수가 흐르는 난방파이프가 막히거나, 순환펌프의 고장 등으로 보일러가 이상작동을 할 경우에는 온수의 과열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열교환기가 소손되거나,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열교환기 출탕 측 파이프에 난방수가 정체되어 있는 경우, 열교환기 내부 열교환 파이프, 환수 측 파이프, 입수 측 파이프는 과열되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으로 인해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온수가 흐르는 난방파이프가 막히거나, 순환펌프의 고장 등으로 보일러가 이상작동을 검지하도록 환수 측 파이프에 고온감지소자가 고정된 브라켓을 설치하여 온수의 온도를 검지할 경우에는 출탕 측의 온수가 과열되는 현상을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환수 측은 물론이고 출탕 측에 고온감지소자가 고정된 브라켓을 각각 설치하여야 되는데, 이 경우에는 부품의 증가로 인해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요인으로 작용되었다.
또한, 출탕 측 파이프(60)의 외주면에 파이프 접촉부(11)를 용접 등의 방식으로 설치하여야 되므로 출탕 측 파이프(60)의 외주면과 브라켓의 각도를 정해진 각도로 맞추면서 파이프 외주면에 밀착되게 지지하는 조립 지그(jig)를 브라켓 외주면과 파이프에 설치한 후, 용접 등의 방식으로 설치하여야 되므로 조립공수가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고온감지소자가 고정되는 브라켓의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1개의 고온감지소자를 이용하여 환수 측은 물론이고 출탕 측의 온수온도를 동시에 검지하여 열교환기가 소손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격된 2개의 파이프의 외주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브라켓의 접촉부가 서로 90°위상차를 갖도록 형성하여 파이프와 브라켓의 조립각도를 결정해주며, 조립지그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파이프에 접촉 설치 시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는 내부에 열교환 파이프와 외부에 상기 열교환 파이프를 연결해 주는 환수 측 파이프, 입수 측 및 출수 측 파이프를 구비하는데, 열교환기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환수 측 파이프는 짧은 직진부를 구비하므로, 고온감지소자의 브라켓을 출탕 측 파이프에 접속 설치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출탕 측 파이프 이후의 온수가 흐르는 난방파이프가 막히거나, 순환펌프의 고장 등으로 보일러가 이상작동을 할 경우에는 온수의 과열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열교환기가 소손되거나,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열교환기 출탕 측 파이프에 난방수가 정체되어 있는 경우, 열교환기 내부 열교환 파이프, 환수 측 파이프, 입수 측 파이프는 과열되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으로 인해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온수가 흐르는 난방파이프가 막히거나, 순환펌프의 고장 등으로 보일러가 이상작동을 검지하도록 환수 측 파이프에 고온감지소자가 고정된 브라켓을 설치하여 온수의 온도를 검지할 경우에는 출탕 측의 온수가 과열되는 현상을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환수 측은 물론이고 출탕 측에 고온감지소자가 고정된 브라켓을 각각 설치하여야 되는데, 이 경우에는 부품의 증가로 인해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요인으로 작용되었다.
또한, 출탕 측 파이프(60)의 외주면에 파이프 접촉부(11)를 용접 등의 방식으로 설치하여야 되므로 출탕 측 파이프(60)의 외주면과 브라켓의 각도를 정해진 각도로 맞추면서 파이프 외주면에 밀착되게 지지하는 조립 지그(jig)를 브라켓 외주면과 파이프에 설치한 후, 용접 등의 방식으로 설치하여야 되므로 조립공수가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고온감지소자가 고정되는 브라켓의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1개의 고온감지소자를 이용하여 환수 측은 물론이고 출탕 측의 온수온도를 동시에 검지하여 열교환기가 소손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격된 2개의 파이프의 외주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브라켓의 접촉부가 서로 90°위상차를 갖도록 형성하여 파이프와 브라켓의 조립각도를 결정해주며, 조립지그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파이프에 접촉 설치 시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ㄷ" 형태로 절곡된 본체의 일면 상부에 열교환기 외관으로 돌출된 파이프에 접속되는 제1 접촉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접촉부와 90°위상차를 갖도록 본체의 상기 일면 하부에는 열교환기 외관에 돌출된 타단의 파이프에 접속되는 제2 접촉부를 형성하여 본체의 상기 일면에 절곡된 타면에 고온감지소자를 고정하도록 하며, 상기 타면에 절곡된 다른 면에는 스크류가 체결되는 스크류 체결공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고온감지소자 장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1개의 브라켓에 제1, 2 접촉부를 90°위상차를 갖도록 형성하여 고온감지소자의 설치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하나의 접촉부가 환수 측 파이프에 접속될 때, 다른 하나의 접촉부는 입수 측 파이프에 접속되도록 설치함으로써, 1개의 브라켓 및 고온감지소자를 이용하여 환수 측은 물론이고 입수 측의 온수온도가 과열되었는지를 검지하게 되므로 열교환기의 이상과열을 방지함에 따라 열교환기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됨은 물론이고 열교환기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온감지소자를 파이프에 장착함에 있어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온감지소자를 파이프에 장착함에 있어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장치가 열교환기의 출탕 측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브라켓 일면에 고온감지소자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장치가 열교환기의 출탕 측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브라켓 일면에 고온감지소자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브라켓 일면에 고온감지소자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로써, 본 발명은 "ㄷ" 형태로 절곡된 본체(50)의 상부에 열교환기 외관으로 돌출된 파이프에 접속되는 제1 접촉부(5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접촉부(51)와 90°위상차를 갖는 본체의 하부에는 열교환기 외관으로 돌출된 타단의 파이프에 접속되는 제2 접촉부(52)가 형성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본체(50)의 어느 일면에 고온감지소자(30)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2 접촉부(51)(52)의 일 측에 파이프의 온도를 고온감지소자(30)에 전달하는 제1,2 열 전달부(53)(54)를 더 구비하면 환수 측 및 입수 측의 온수온도를 보다 정확히 검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접촉부(51)는 환수 측 파이프(70)에 접속되게 설치하고, 상기 제2 접촉부(52)는 입수 측 파이프(20)에 접속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1개의 본체(50) 및 고온감지소자(30)를 이용하여 환수 측 및 입수 측 온수온도를 동시에 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장치와 같이 상기 본체(50)의 전면 일단에 고온감지소자(30)의 플랜지(31)가 끼워지는 플랜지 삽입부(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스크류가 체결되는 스크류 체결공(15)이 형성됨은 물론이고, 상기 본체(50)의 전면에 형성된 플랜지 삽입부(14)의 이웃 면(56)에는 고온감지소자(30)가 고정되는 2개의 스크류 체결공(55)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40)의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공간부를 이용하여 본체(50)에 고온감지소자(30)를 정면 또는 측면에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본체(50)의 전면에 고온감지소자(30)를 고정하여 제1 접촉부(51)는 환수 측 파이프(70)에 접속되고, 제2 접촉부(52)는 입수 측 파이프(20)에 접속되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체(50)의 전면에 형성된 플랜지 삽입부(14)에 고온감지소자(30)의 플랜지(31)를 삽입함과 동시에 제1 접촉부(51)는 환수 측 파이프(70)에 접속되고, 제2 접촉부(52)는 입수 측 파이프(20)에 접속되게 본체(50)를 설치한 다음 스크류 체결공(15)을 통해 스크류(도시는 생략함)를 체결하여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열교환기(40)가 작동하여 온수를 가열하면 가열된 고온의 온수는 출탕 측 파이프(60)를 통해 온수로 공급되거나, 난방용 파이프로 공급되므로 난방이 이루어지고, 순환펌프(도시는 생략함)의 구동으로 차가워진 온수가 입수 측 파이프(20)를 통해 열교환기(40)로 환수될 때, 제1 접촉부(51)는 환수 측 파이프(70)에 접속되고, 제2 접촉부(52)는 입수 측 파이프(20)에 접속되게 본체(50)가 설치되어 있어 1개의 고온감지소자(30)가 온수의 과열상태를 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 접촉부(51)(52)에는 제1,2 열 전달부(53)(54)가 형성되어 있어 온수의 과열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일 실시예와는 달리 고온감지소자(30)가 본체(50)의 전면과 이웃하는 면(56)의 스크류 체결공(55)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즉, 본체(50)의 제1 접촉부(51)가 환수 측 파이프(70)에 접속되고, 제2 접촉부(52)는 입수 측 파이프(20)에 접속되게 설치된 상태는 일 실시예와는 동일하지만, 온수온도를 검지하는 고온감지소자(30)가 전면과 이웃하는 면(56)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고온감지소자(30)가 입수 측은 물론이고 환수 측의 온수가 과열되는 현상을 검지하는 동작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브라켓 일면에 고온감지소자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로써, 본 발명은 "ㄷ" 형태로 절곡된 본체(50)의 상부에 열교환기 외관으로 돌출된 파이프에 접속되는 제1 접촉부(5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접촉부(51)와 90°위상차를 갖는 본체의 하부에는 열교환기 외관으로 돌출된 타단의 파이프에 접속되는 제2 접촉부(52)가 형성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본체(50)의 어느 일면에 고온감지소자(30)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2 접촉부(51)(52)의 일 측에 파이프의 온도를 고온감지소자(30)에 전달하는 제1,2 열 전달부(53)(54)를 더 구비하면 환수 측 및 입수 측의 온수온도를 보다 정확히 검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접촉부(51)는 환수 측 파이프(70)에 접속되게 설치하고, 상기 제2 접촉부(52)는 입수 측 파이프(20)에 접속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1개의 본체(50) 및 고온감지소자(30)를 이용하여 환수 측 및 입수 측 온수온도를 동시에 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장치와 같이 상기 본체(50)의 전면 일단에 고온감지소자(30)의 플랜지(31)가 끼워지는 플랜지 삽입부(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스크류가 체결되는 스크류 체결공(15)이 형성됨은 물론이고, 상기 본체(50)의 전면에 형성된 플랜지 삽입부(14)의 이웃 면(56)에는 고온감지소자(30)가 고정되는 2개의 스크류 체결공(55)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40)의 종류에 따라 발생되는 공간부를 이용하여 본체(50)에 고온감지소자(30)를 정면 또는 측면에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본체(50)의 전면에 고온감지소자(30)를 고정하여 제1 접촉부(51)는 환수 측 파이프(70)에 접속되고, 제2 접촉부(52)는 입수 측 파이프(20)에 접속되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체(50)의 전면에 형성된 플랜지 삽입부(14)에 고온감지소자(30)의 플랜지(31)를 삽입함과 동시에 제1 접촉부(51)는 환수 측 파이프(70)에 접속되고, 제2 접촉부(52)는 입수 측 파이프(20)에 접속되게 본체(50)를 설치한 다음 스크류 체결공(15)을 통해 스크류(도시는 생략함)를 체결하여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열교환기(40)가 작동하여 온수를 가열하면 가열된 고온의 온수는 출탕 측 파이프(60)를 통해 온수로 공급되거나, 난방용 파이프로 공급되므로 난방이 이루어지고, 순환펌프(도시는 생략함)의 구동으로 차가워진 온수가 입수 측 파이프(20)를 통해 열교환기(40)로 환수될 때, 제1 접촉부(51)는 환수 측 파이프(70)에 접속되고, 제2 접촉부(52)는 입수 측 파이프(20)에 접속되게 본체(50)가 설치되어 있어 1개의 고온감지소자(30)가 온수의 과열상태를 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 접촉부(51)(52)에는 제1,2 열 전달부(53)(54)가 형성되어 있어 온수의 과열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일 실시예와는 달리 고온감지소자(30)가 본체(50)의 전면과 이웃하는 면(56)의 스크류 체결공(55)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즉, 본체(50)의 제1 접촉부(51)가 환수 측 파이프(70)에 접속되고, 제2 접촉부(52)는 입수 측 파이프(20)에 접속되게 설치된 상태는 일 실시예와는 동일하지만, 온수온도를 검지하는 고온감지소자(30)가 전면과 이웃하는 면(56)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고온감지소자(30)가 입수 측은 물론이고 환수 측의 온수가 과열되는 현상을 검지하는 동작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 : 입수 측 파이프 30 : 고온감지소자
31 : 플랜지 40 : 열교환기
50 : 본체 51, 52 : 제1,2 접촉부
53, 54 : 제1,2 열 전달부 55 : 스크류 체결공
56 : 이웃 면 60 : 출탕 측 파이프
70 : 환수 측 파이프
31 : 플랜지 40 : 열교환기
50 : 본체 51, 52 : 제1,2 접촉부
53, 54 : 제1,2 열 전달부 55 : 스크류 체결공
56 : 이웃 면 60 : 출탕 측 파이프
70 : 환수 측 파이프
Claims (5)
- "ㄷ" 형태로 절곡된 본체(50)의 일면 상부에 열교환기 외관으로 돌출된 파이프에 접속되는 제1 접촉부(51)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접촉부(51)와 90°위상차를 갖도록 본체의 상기 일면 하부에는 열교환기 외관에 돌출된 타단의 파이프에 접속되는 제2 접촉부(52)를 형성하여 본체(50)의 상기 일면에 절곡된 타면에 고온감지소자(30)를 고정하도록 하며, 상기 타면에 절곡된 다른 면에는 스크류가 체결되는 스크류 체결공(15)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고온감지소자 장착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2 접촉부(51)(52)의 일 측에 파이프의 온도를 고온감지소자(30)에 전달하는 제1,2 열 전달부(53)(54)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고온감지소자 장착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50)의 전면 일단에 고온감지소자(30)의 플랜지(31)가 끼워지는 플랜지 삽입부(14)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고온감지소자 장착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50)의 전면에 형성된 플랜지 삽입부(14)의 이웃 면(56)에 고온감지소자(30)가 고정되는 2개의 스크류 체결공(55)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고온감지소자 장착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51)는 환수 측 파이프(70)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접촉부(52)는 입수 측 파이프(20)에 접속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고온감지소자 장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6764A KR101901227B1 (ko) | 2016-12-22 | 2016-12-22 | 보일러의 고온감지소자 장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6764A KR101901227B1 (ko) | 2016-12-22 | 2016-12-22 | 보일러의 고온감지소자 장착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3771A KR20180073771A (ko) | 2018-07-03 |
KR101901227B1 true KR101901227B1 (ko) | 2018-09-28 |
Family
ID=6291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6764A KR101901227B1 (ko) | 2016-12-22 | 2016-12-22 | 보일러의 고온감지소자 장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1227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114004A (ja) | 2013-12-10 | 2015-06-22 | リンナイ株式会社 | 熱交換器 |
-
2016
- 2016-12-22 KR KR1020160176764A patent/KR10190122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114004A (ja) | 2013-12-10 | 2015-06-22 | リンナイ株式会社 | 熱交換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3771A (ko) | 2018-07-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37081B1 (en) | Sensor assembly for mounting a temperature sensor to a tank | |
US10481012B2 (en) | Heat exchanger | |
US20130025546A1 (en) | Combustion apparatus | |
EP3485203B1 (en) | Heat exchanger for boiler | |
US20170211844A1 (en) | Hot water supply device | |
KR101901227B1 (ko) | 보일러의 고온감지소자 장착장치 | |
CN109642751B (zh) | 换热器和热水装置 | |
US10731895B2 (en) | Mounting adaptor for mounting a sensor assembly to a water heater tank | |
US11585472B2 (en) | Sealing assembly with improved gasket | |
JP7086233B2 (ja) | 給湯装置 | |
KR20090127798A (ko) | 스팀보일러용 보일러탱크 | |
KR200188231Y1 (ko) | 가스보일러용 연소실커버의 화염확인창 고정구조 | |
US11333398B2 (en) | Baffles for thermal transfer devices | |
US11754318B2 (en) | Baffles for thermal transfer devices | |
KR102079210B1 (ko) | 보일러의 펌프와 온수 열교환기 일체형 모듈 | |
US11725888B2 (en) | Multi-position condensation kit and bracket | |
KR0140786Y1 (ko) | 가스보일러용 열교환기의 니플 용접구조 | |
KR20170030149A (ko) | 보일러의 잠열 열교환기 케이스 접합구조 | |
KR101781021B1 (ko) | 보일러의 난방 수로부 연결용 커넥터 | |
KR100591417B1 (ko) | 보일러 열교환기의 난방배관 결합 구조 | |
JP5790971B2 (ja) | 給湯システム | |
KR101834991B1 (ko) | 보일러의 물순환부 모듈화 구조 | |
JP6839404B2 (ja) | 温水機器ユニットにおける配管継手取付け構造および温水機器ユニット | |
KR200152394Y1 (ko) | 가스보일러용 열교환기의 난방 및 온수파이프결합구조 | |
KR950006545Y1 (ko) | 가스보일러용 차압스위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