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215B1 -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215B1
KR101901215B1 KR1020180041699A KR20180041699A KR101901215B1 KR 101901215 B1 KR101901215 B1 KR 101901215B1 KR 1020180041699 A KR1020180041699 A KR 1020180041699A KR 20180041699 A KR20180041699 A KR 20180041699A KR 101901215 B1 KR101901215 B1 KR 101901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field generating
unit
generating unit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나라
전선희
Original Assignee
전나라
전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나라, 전선희 filed Critical 전나라
Priority to KR1020180041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215B1/ko
Priority to CN201811219650.XA priority patent/CN110354394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61N2/008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for pain treatment or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장을 이용하여 환부를 자극 치료함에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부위에 대하여 집중 자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신에 대하여도 골고루 자극할 수 있도록 하며, 자기적인 자극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성 향상과 제품 경쟁력 확보를 도모할 수 있는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자 형태의 골격 또는 편평한 형태의 골격을 형성하는 바디 프레임을 포함하는 장치 바디; 상기 바디 프레임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 상기 장치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 발생유닛;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 및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과 구동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PART AND BODY ELECTRIC STIMULATOR USING MAGNETIC FIELD}
본 발명은 자기장을 이용한 자극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환부를 자극 치료함에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부위에 대하여 집중 자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신에 대하여도 골고루 자극할 수 있도록 하며, 자기적인 자극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성 향상과 제품 경쟁력 확보를 도모할 수 있는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질문명의 발달로 인해 최근에는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오래 유지하기 위하여 건강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도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산업화의 발달로 인한 환경오염이나 공해, 식생활 문화의 변화, 심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인간의 건강한 삶은 매우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건강한 삶을 오래 유지하기 위해서는 건강을 해치는 저해 요인들의 개선과 아울러 꾸준한 운동과 지속적인 건강 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서 물리적인 방법으로 아픈 부위를 치료하거나 아니면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각종 형태나 종류의 치료기기나 도구들이 많이 개발 사용되고 있고, 고주파 전류를 이용한 치료기도 그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자기장을 이용한 이러한 자극 치료기는 코일에 펄스 전류를 인가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자기장으로 인체 조직을 자극하여 통증을 치료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자기장을 이용한 자극 치료기는 접촉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예를 들면 질이나 항문의 내부 또는 외부를 자극하여 그 부위의 근육을 수축 및 이완시켜 주면서 혈류량이 증가되도록 하는 작용에 의해 요실금 및 전립선의 치료를 하는 것이 대부분으로서, 이와 같은 치료는 환자가 치료를 받기 위해 옷을 벗어야 하는 수치심을 유발시키거나 특정 장소에 구애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는 질이나 항문에 삽입하는 접촉식으로 인해 피부가 손상되거나 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많은 환자가 치료를 받기를 꺼리거나 치료를 소홀히 받아 더욱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자기장을 이용한 자극 치료기는, 특정 부위만을 전용으로 자극하도록 구성되는 장치가 대부분이어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자극 발생부를 사용자가 들고 필요 부위를 자극시키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으나, 이 또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86240(2010.07.30. 공개)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61451(2011.09.01. 공고) (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08222(2016.04.01. 공고) (문헌 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63618(2009.06.18.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기장을 이용하여 환부를 자극 치료함에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부위에 대하여 집중 자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신에 대하여도 골고루 자극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국소 및 전신을 동시에 또는 별개로 각각 자극할 수 있으며, 자기적인 자극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 향상과 더불어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의자 형태의 골격 또는 편평한 형태의 골격을 형성하는 바디 프레임을 포함하는 장치 바디; 상기 바디 프레임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 상기 장치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 발생유닛;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 및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과 구동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신체의 엉덩이부가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시트 프레임부; 신체의 등부가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등받이 프레임부; 및 상기 시트 프레임부와 등받이 프레임부를 연결하되 라운드지게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은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되는 함체 형태의 수용체; 상기 개방부에 대향하는 단부에 구비되는 냉각팬; 상기 냉각팬이 위치되는 측의 수용체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구; 상기 개방부가 위치되는 측의 수용체 내부에 구비되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 발생코일; 상기 자기장 발생코일을 상기 수용체에 지지 고정시키되, 상기 수용체와의 사이에 공기유통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상기 자기장 발생코일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수용체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자속방사 개구부; 상기 장치 바디의 내측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냉각팬과 자기장 발생코일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모듈; 및 상기 제어 회로모듈의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자기장 발생 코일로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자기장 발생 코일의 자기장 발생 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 측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의 일부 구간에서 피복체를 벗겨내어 전원 케이블의 전력선이 상기 구간에서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은 상기 수용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노출된 전력선을 커버 보호하는 케이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를 구성하는 모터 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정역 가능하게 회전하는 구동모터; 상기 수용체의 일단부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구동 기어; 상기 수용체의 타단부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종동 기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면 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구동 기어 및 종동 기어와 치합되는 랙기어; 및 상기 랙기어의 상부 측의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 기어 및 종동 기어가 상부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이탈방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비되는 리미트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정역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모터 제어부와,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의 자기장 세기와 펄스 주기를 제어하는 자기장 제어부와, 상기 장치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는 조작반과, 상기 조작반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 제어부 및 자기장 제어부로 소정의 조작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 및 장치 전체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은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조작반은 각각의 자기장 발생유닛을 조작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에 의하면, 자기장을 이용하여 환부를 자극 치료함에 있어 편안한 자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부위에 대하여 집중 자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신에 대하여도 골고루 자극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 향상과 제품 경쟁력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국소 및 전신을 동시에 또는 별개로 각각 비접촉식으로 자극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맞게 자기적인 자극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를 구성하는 자기장 발생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를 구성하는 자기장 발생유닛의 정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를 구성하는 자기장 발생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를 구성하는 자기장 발생유닛을 구성하는 제어 회로모듈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를 구성하는 자기장 발생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를 구성하는 자기장 발생유닛의 정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체의 엉덩이부와 등받이부가 안착될 수 있는 형태의 바디 프레임(110)을 포함하는 장치 바디(100); 장치 바디(100)의 바디 프레임(110)에 설치되되 안착되는 신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프레임(200); 장치 바디(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 발생유닛(300); 자기장 발생유닛(300)을 가이드 프레임(200)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 및 자기장 발생유닛(300)과 구동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장치 바디(100)의 바디 프레임은 등받이부와 시트부를 포함하는 의자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바디(100)는 평편한 침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장치 바디(100)의 바디 프레임은 아래 변형 예에서 후술하겠지만 등받이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 레스트부, 및 시트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리부를 더 포함하며, 등받이부와 시트부 그리고 시트부와 다리부 간이 회동 가능하게 구성(예를 들면, 리클라이너 형태)되어 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내부에 구성되는 가이드 프레임과도 연계되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장치 바디(100)의 내부에 구성되는 가이드 프레임(200)은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률을 갖고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가이드 프레임(200)은 장치 바디(100)의 시트부에 위치되는 시트 프레임부와, 장치 바디(100)의 등받이부에 위치되는 등받이 프레임부, 및 시트 프레임부와 등받이 프레임부를 연결하되 완만하게 라운드져서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형성된다. 즉, 가이드 프레임(200)은 장치 바디(1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의 골격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장치 바디(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 발생유닛(300)을 도 5 및 도 6을 더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를 구성하는 자기장 발생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를 구성하는 자기장 발생유닛을 구성하는 제어 회로모듈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자기장 발생유닛(30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부가 개방된 개방부(311)가 형성되는 함체 형태의 수용체(310)(도 5 참조)와, 개방부(311)에 대향하는 단부에 구비되는 냉각팬(320)과, 냉각팬(320)이 위치되는 수용체(310)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구(321)와, 개방부(311)가 위치되는 측의 수용체(310) 내부에 구비되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 발생코일(330)과, 자기장 발생코일(330)을 수용체(310)에 지지 고정시키되, 상하 또는 좌우로 공기유통로(341)가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40)와, 자기장 발생코일(330)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수용체(310)에 개구 형성되는 자속방사 개구부(312)와, 장치 바디(100)의 내측 하부에 마련되어 냉각팬(320)과 자기장 발생코일(330)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모듈(350)과, 제어 회로모듈(350)의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원을 자기장 발생 코일(330)로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360), 및 구동 유닛의 구동에 의해 자기장 발생유닛(300)의 이동 시 발생하는 전원 케이블의 비틀림으로 인하여 이동 제한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제한 방지수단을 포함한다.
고정부재(340)는 자기장 발생 코일(330)의 자기장 발생 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신축성을 가지면서 절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예를 들면, 고무류나 실리콘류).
자기장 발생 코일(330)은 공기유통로(341)에 의해 수용체(310) 내에서 공기유통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자기장 발생 코일(330)에는 상당한 정도의 크기를 가진 펄스 전류가 반복 또는 간헐적으로 흘러 그 자기장 발생 코일(330)에 큰 에너지의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냉각팬(320)의 팬 구동으로 수용체(310)와 자기장 발생 코일(330) 사이로 냉각용 공기가 통과되어 사용자의 화상을 예방할 수 있고, 수용체(3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어 회로모듈(35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전원 공급부(351), 상측 충전제어부(352), 하측 충전제어부(353), 출력용 충전부(354), 펄스감도 조절부(355), 펄스주기 설정부(356), 점호 펄스 생성부(357), 및 방전 경로부(358)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351)는 릴레이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교류 전원의 출력을 단속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 충전제어부(352)는 교류 전원의 하반주기(180 ~ 360도) 동안 교류 전원 전압을 충전하고, 교류 전원의 상반주기(0 ~ 180도) 동안 교류 전원 전압과 충전 전압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하측 충전제어부(353)는 교류 전원의 상반주기(0 ~ 180도) 동안 교류 전원 전압을 충전하고, 교류 전원의 하반주기(180 ~ 360도) 동안 교류 전원 전압과 충전 전압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출력용 충전부(354)는 상측 충전제어부(352)과 하측 충전제어부(353)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배압정류된 전압을 이용하여 충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펄스감도 조절부(355)는 출력용 충전부(354)와 병렬연결되고, 출력용 충전부(354)의 충전량을 조절함으로써 자기장 발생 코일(330)을 통해 사용자가 느끼는 펄스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펄스주기 설정부(356)는 전원 공급부(351)를 구성하는 파워 모듈(PWR Module)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용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자기장 발생 코일(330)에서의 펄스 주기를 조절하기 위한 발진신호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점호 펄스 생성부(357)는 발진 펄스를 이용하여 하나의 비교전압을 생성하고, 하나의 비교전압을 제1 및 제2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충전 점호 펄스와 방전 점호 펄스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방전 경로부(358)는 출력용 충전부(354)와 자기장 발생 코일(330) 사이에 연결되고, 점호 펄스 생성부로부터 출력되는 방전 점호 펄스에 따라 출력용 충전부(354)에 충전된 충전 전압을 자기장 발생 코일(330)을 통해 방전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 유닛의 구동에 의해 자기장 발생유닛(300)의 이동 시 발생하는 상기 전원 케이블의 비틀림으로 인한 이동 제한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제한 방지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이동제한 방지수단을 구성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발명자가 시제작한 제품 시현을 통해 확인한 결과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자기장 발생유닛(300)이 이동할 때 자기장 발생유닛(300)이 초기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 상사점(등받이부의 상부 측)으로 갈수록 자기장 발생유닛(300)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 발생유닛(300)에 상당한 정도의 크기를 가진 펄스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 케이블은 선형의 도체를 여러 가닥으로 꼬아 합쳐지고 피복체에 의해 피복된 상당한 직경의 전력선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의 이동 시 초기 위치로부터 멀어질수록 전력 케이블의 피복선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의 이동시 전력 케이블에서 트위스트가 발생하는데 전력 케이블의 전력선과 일체로 된 피복체에서 트위스트가 제한됨에 따라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의 이동이 구속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를 해결하고자 상기 전원 케이블의 비틀림으로 인한 이동 제한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제한 방지수단으로서, 수용체(310) 측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의 일부 구간에서 피복체를 벗겨내어 해당 구간에서 전원 케이블의 전력선이 노출되도록 하고, 수용체(310) 일측에 구비되어 자기장 발생 코일(33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의 노출된 전력선을 가이드하고 커버 보호하는 케이블 가이드부재(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자기장 발생유닛의 이동 시 케이블 가이드부재(370)에 의해 커버 호되는 해당 구간의 노출된 전력선이 비틀림되는 정도를 수용함으로써 자기장 발생유닛의 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자기장 발생유닛(300)은 개방부(311)를 커버하기 위한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특 재질의 망상 커버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자기장 발생유닛(300)을 가이드 프레임(200)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은, 자기장 발생유닛(300)의 일측(수용체(3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후술하는 제어부를 구성하는 모터 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정역 가능하게 회전하는 구동모터(미도시)와, 수용체(310)의 일단부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구동 기어(410)와, 수용체(310)의 타단부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종동 기어(420)와, 가이드 프레임(200)의 내면 측에 각각 구비되며, 구동 기어(410) 및 종동 기어(420)와 치합되는 랙기어(430)를 포함한다.
또한, 구동유닛에서 랙기어(430)는 가이드 프레임(200)의 내면 측에서 내측에서 소정 폭을 갖고 연장되는 연장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측에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연장 플레이트는 소정 폭을 갖고 연장되되 폭 방향을 기준으로 기단부(proximal end portion) 측에는 편평부로 형성되고, 말단부(distal end portion) 측에는 랙 기어부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에는 가이드 프레임(20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이동되는 자기장 발생유닛(300)을 검출하여 검출된 신호를 후술하는 구동모터 제어부로 전달하여 자기장 발생유닛(300)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리미트 센서 또는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에서 상기 편평부의 상부 측에는 구동 기어(410) 및 종동 기어(420)가 상부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랙 기어를 따라 안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편평부에 대하여 동일한 간격(편평부로부터의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이탈방지 플레이트(440)가 형성되고, 상기 편평부와 이탈방지 플레이트(440) 사이에는 구동 기어(410)와 종동 기어(420) 각각에 회전축 상으로 회전자재로 연결되는 가이드 롤러(45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은 편평부를 갖는 연장 플레이트와, 이탈방지 플레이트(440) 및 가이드 롤러(450)가 구비됨으로써 자기장 발생유닛의 이동을 더욱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유닛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을 케이블 및 이동롤러를 포함한 케이블 구동 이송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케이블 구동 이송 방식의 구동유닛은, 장치 바디(100)의 상부 및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하부 풀리부재와, 상기 상하부 풀리부재에 각각 감기되 중간부에서 교차되게 감기고 수용체(3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연결되는 이동 케이블과, 및 장치 바디(100)에 구비되며 제어부를 구성하는 모터 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하부 풀리부재 중 하나를 정역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정역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모터 제어부와,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의 자기장 세기와 펄스 주기를 제어하는 자기장 제어부와, 장치 바디(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조작반(510)과, 조작반(510)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 제어부 및 자기장 제어부로 조작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 및 장치 전체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조작 스위치는 구동모터에 정회전과 역회전 구동신호 및 구동 정지신호를 전달하여 자기장 발생유닛의 이동과 정지를 조작하는 이동조작 스위치, 및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의 자기장 세기와 펄스 주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자기장 조작 스위치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의 변형 실시 형태로는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이 둘 이상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자기장 발생유닛(제1 자기장 발생유닛과 제2 자기장 발생유닛)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조작반은 제1 자기장 발생유닛과 제2 자기장 발생유닛 각각을 조작 제어할 수 있도록 조작반이 구성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의 다른 변형 실시 형태로는 등받이부와 시트부가 각도조절 가능하게 구성(일측이 틸팅가능한 침대 타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등받이부와 시트부 각각에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이 별개로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반은 등받이부와 시트부 각각의 자기자 발생유닛을 조작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변형 예의 경우, 시트부에 구비되는 자기장 발생유닛은 회음부와 같은 국소 부위에 고정 위치되어 지속적인 자극을 주고, 등받이부에 구비되는 자기장 발생유닛은 일정 주기로 왕복하면서 등 부위를 골고루 자극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에 의하면, 자기장을 이용하여 환부를 자극 치료함에 있어 편안한 자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부위에 대하여 집중 자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신에 대하여도 골고루 자극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 향상과 제품 경쟁력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국소 및 전신을 동시에 또는 별개로 각각 비접촉식으로 자극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맞게 자기적인 자극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장치 바디
110: 바디 프레임
200: 가이드 프레임
300: 자기장 발생유닛
310: 수용체
311: 개방부
312: 개구부
320: 냉각팬
321: 흡입구
330: 자기장 발생코일
340: 고정부재
341: 공기 유통로
350: 제어 회로모듈
351: 전원 공급부
352: 상측 충전제어부
353: 하측 충전제어부
354: 출력용 충전부
355: 펄스감도 조절부
356: 펄스주기 설정부
357: 점호 펄스 생성부
358: 방전 경로부
360: 전원 케이블
370: 케이블 가이드부재
410: 구동 기어
420: 종동 기어
430: 랙기어
440: 이탈방지 플레이트
450: 가이드 롤러
510: 조작반

Claims (7)

  1. 의자 형태의 골격 또는 편평한 형태의 골격을 형성하는 바디 프레임을 포함하는 장치 바디; 상기 바디 프레임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 상기 장치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 발생유닛;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과 구동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신체의 엉덩이부가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시트 프레임부; 신체의 등부가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등받이 프레임부; 및 상기 시트 프레임부와 등받이 프레임부를 연결하되 라운드지게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를 구성하는 모터 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정역 가능하게 회전하는 구동모터;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 내에 구비된 수용체의 일단부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구동 기어; 상기 수용체의 타단부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종동 기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면 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구동 기어 및 종동 기어와 치합되는 랙기어; 및 상기 랙기어의 상부 측의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 기어 및 종동 기어가 상부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이탈방지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은,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되는 함체 형태의 상기 수용체;
    상기 개방부에 대향하는 단부에 구비되는 냉각팬;
    상기 냉각팬이 위치되는 측의 수용체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구;
    상기 개방부가 위치되는 측의 수용체 내부에 구비되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 발생코일;
    상기 자기장 발생코일을 상기 수용체에 지지 고정시키되, 상기 수용체와의 사이에 공기유통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상기 자기장 발생코일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수용체에 개구 형성되는 자속방사 개구부;
    상기 장치 바디의 내측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냉각팬과 자기장 발생코일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모듈; 및
    상기 제어 회로모듈의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자기장 발생 코일로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자기장 발생 코일의 자기장 발생 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 측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의 일부 구간에서 피복체를 벗겨내어 전원 케이블의 전력선이 상기 구간에서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은 상기 수용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노출된 전력선을 커버 보호하는 케이블 가이드부재
    를 더 포함하는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비되는 리미트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정역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모터 제어부와,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의 자기장 세기와 펄스 주기를 제어하는 자기장 제어부와, 상기 장치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는 조작반과, 상기 조작반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 제어부 및 자기장 제어부로 소정의 조작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 및 장치 전체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은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조작반은 각각의 자기장 발생유닛을 조작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
KR1020180041699A 2018-04-10 2018-04-10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 KR101901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699A KR101901215B1 (ko) 2018-04-10 2018-04-10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
CN201811219650.XA CN110354394B (zh) 2018-04-10 2018-10-19 利用磁场的局部及全身刺激治疗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699A KR101901215B1 (ko) 2018-04-10 2018-04-10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1215B1 true KR101901215B1 (ko) 2018-09-21

Family

ID=63720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699A KR101901215B1 (ko) 2018-04-10 2018-04-10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1215B1 (ko)
CN (1) CN11035439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696A1 (ko) * 2020-07-23 2022-01-27 대양의료기(주) 자기장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기기를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
WO2022019695A1 (ko) * 2020-07-23 2022-01-27 대양의료기(주) 자기장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3011A (ja) * 2012-01-10 2013-08-22 Toshiba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用の寝台装置及び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664C (zh) * 1993-02-07 1998-03-11 内蒙古新优佳企业联合总公司 一种磁场扫描式理疗机
CN1153594C (zh) * 1996-06-19 2004-06-16 罗伯特·R·霍尔库姆 电磁治疗仪
CN2548648Y (zh) * 2002-07-01 2003-05-07 乐茂康 运动磁场治疗仪
US8214053B2 (en) * 2006-08-29 2012-07-03 Nanotherapy Co., Ltd. Body hea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3011A (ja) * 2012-01-10 2013-08-22 Toshiba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用の寝台装置及び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696A1 (ko) * 2020-07-23 2022-01-27 대양의료기(주) 자기장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기기를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
WO2022019695A1 (ko) * 2020-07-23 2022-01-27 대양의료기(주) 자기장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54394B (zh) 2023-06-09
CN110354394A (zh)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542B1 (ko) 마사지 및 자극치료가 가능한 의료보조 장치
KR200491572Y1 (ko) 환자의 치료를 위한 자기장 생성 장치
EP3508188B1 (en) Massage apparatus providing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KR101511444B1 (ko) 헤드기어 타입의 tms 치료기
KR101227749B1 (ko) 골반저근 강화연습용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40155954A1 (en) Device for strengthening pelvic floor muscl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901215B1 (ko)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
KR102201967B1 (ko) 요실금 치료를 위한 의료 복합 기기
KR200490735Y1 (ko) 사용자의 신체에 펄스 전자기장을 제공하는 펄스전자기장 발생기를 장착한 안마의자
JPH09276418A (ja) 尿失禁治療装置
WO2016085305A1 (ko) 음향 압력을 이용한 회전복합형 안마용 마사지 장치 및 방법
KR20210072472A (ko) 요실금 치료장치
KR20140105154A (ko) 휴대용 얼굴 마사지기
KR101846011B1 (ko) 통증 치료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293630B1 (ko) 치료 및 근육 강화용 혈류 제한 에어커프 및 다방향 전기 자극 장치
KR101428526B1 (ko) 자기장 프로브의 구동 궤적 및 패턴 조작이 가능한 베드형 자기장 치료 장치
KR101754395B1 (ko) 자극코일을 구비하는 요실금 치료장치
KR102645639B1 (ko) 신체 마사지장치
KR102498705B1 (ko) Ems 장치
KR102647899B1 (ko) 안정적인 체결이 가능한 ems 장치
KR20000060068A (ko) 전자기장의 펄스와 파장에 의한 유전자 치료법 및 그 치료장치
KR102117010B1 (ko) 휴대용 음이온 진동 미용 장치
US11464995B2 (en) Magnetic nerve stimulator
US20240075309A1 (en) Magnetic nerve stimulator
KR102133187B1 (ko) 성 기능 향상 마사지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