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649B1 - 가변형 오배수관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가변형 오배수관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649B1
KR101900649B1 KR1020180060013A KR20180060013A KR101900649B1 KR 101900649 B1 KR101900649 B1 KR 101900649B1 KR 1020180060013 A KR1020180060013 A KR 1020180060013A KR 20180060013 A KR20180060013 A KR 20180060013A KR 101900649 B1 KR101900649 B1 KR 101900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on
piping
protrusions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철
Original Assignee
조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철 filed Critical 조성철
Priority to KR1020180060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49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being turned through an angle when passing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2Joints for pipes being spaced apart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연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한 가변형 오배수관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일측의 외경이 제1 배관 파이프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일측의 내경이 상기 제1 배관 파이프보다 작은 배관 파이프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일측의 입구 부분을 따라 상기 두 배관 파이프의 중간 크기의 배관 파이프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을 형성하여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제1 배관 파이프를 연결 설치하며,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연결 각도에 대응하여 제1 배관 파이프와 제2 배관 파이프를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타측이 기 설정된 곡률로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제1 연결 파이프; 및 일측에 상기 제1 연결 파이프의 휘어진 부분을 삽입한 후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결 파이프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타측의 외경이 제2 배관 파이프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일측의 내경이 상기 제2 배관 파이프보다 작은 배관 파이프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타측의 입구 부분을 따라 상기 두 배관 파이프의 중간 크기의 배관 파이프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을 형성하여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제2 배관 파이프를 연결 설치하는 제2 연결 파이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변형 오배수관 연결 구조{Variable Water Pipe Connec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가변형 오배수관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오배수관 사이의 연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한 가변형 오배수관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시설, 배수시설, 토목 및 산업시설, 위생시설 등은, 각종 생활용수의 공급 및 오수 배출을 안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관라인의 구축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배관라인의 구축은 주로 PVC 소재로 이루어진 수지파이프의 연결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PVC 파이프의 특징은, 가볍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무독 무취로서 유량이 크고, 내식성, 내약품성, 내유성, 전기절연성이 우수함은 물론, 특히, 가열 가공이 자유롭고 접착제에 의한 접속이 간편하고 용이하여, 배관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제품특성을 갖는 PVC 파이프를 설비에 필요한 다수개의 구성으로 재단 연결하여, 소정의 길이를 갖는 용도별 배관라인을 구축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배관라인을 구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종래의 배관연결구조, 예컨대, PVC 파이프의 연결 형태는, 주로 너트 형 또는 커플링 형 구조의 소켓을 이용하거나, 테이핑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소켓 또는 테이핑 방식의 연결구조는 상대적으로 밀폐력이 미약하여 누수현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주는 것일 뿐만 아니라, 그 연결작업 또한 매우 까다롭고 난해하여 작업효율을 저하되게 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6584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00127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파이프 상호간의 연결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의 파이프를 상호 연결 가능하도록 구현한 가변형 오배수관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오배수관 연결 구조는, 일측의 외경이 제1 배관 파이프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일측의 내경이 상기 제1 배관 파이프보다 작은 배관 파이프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일측의 입구 부분을 따라 상기 두 배관 파이프의 중간 크기의 배관 파이프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을 형성하여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제1 배관 파이프를 연결 설치하며,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연결 각도에 대응하여 제1 배관 파이프와 제2 배관 파이프를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타측이 기 설정된 곡률로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제1 연결 파이프; 및 일측에 상기 제1 연결 파이프의 휘어진 부분을 삽입한 후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결 파이프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타측의 외경이 제2 배관 파이프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일측의 내경이 상기 제2 배관 파이프보다 작은 배관 파이프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타측의 입구 부분을 따라 상기 두 배관 파이프의 중간 크기의 배관 파이프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을 형성하여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제2 배관 파이프를 연결 설치하는 제2 연결 파이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연결 파이프는, 외경이 제1 배관 파이프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내경이 상기 제1 배관 파이프보다 작은 배관 파이프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입구 부분을 따라 상기 두 배관 파이프의 중간 크기의 배관 파이프를 삽입하기 위한 파이프 삽입홈이 형성되어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제1 배관 파이프를 연결 설치하는 파이프 소켓부; 제1 배관 파이프와 제2 배관 파이프가 기 설정된 각도로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소켓부로부터 기 설정된 곡률로 휘어지면서 연장 형성되는 각도 조절부; 및 상기 제2 연결 파이프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각도 조절부의 상측에서 길이 발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볼트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각도 마다 적어도 하나의 볼트 삽입홀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연결 파이프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일측 또는 양측에 게이지홈을 포함하는 피체결 돌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이프 소켓부는, 제1 배관 파이프가 상기 각도 조절부까지 삽입되는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도 조절부가 연장 형성되는 외측면을 따라 삽입 방지턱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연결 파이프는, 상기 제1 연결 파이프의 피체결 돌기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피체결 돌기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개방 형성되는 체결홈을 형성하며, 제1 배관 파이프와 제2 배관 파이프가 기 설정된 각도로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결 파이프의 각도 조절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각도 조절부를 내부 공간으로 삽입하며, 파이프를 통해 흘러 들어오는 오배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내측면을 따라 일주하면서 밀봉부를 형성하는 체결 조절부; 상기 체결홈에 삽입된 상기 피체결 돌기부를 양측에서 밀착하여 상기 피체결 돌기부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홈의 양측 입구 부분을 따라 상기 피체결 돌기부에 대향하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피체결 돌기부의 게이지홈을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게이지에 대응하는 형태의 나사산을 상기 게이지홈에 대향하는 내측면에 형성하는 두 개의 체결 돌기부; 및 제2 배관 파이프를 끼울 수 있도록 상기 체결 조절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파이프 소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부는, 외부로부터 전류가 공급 될 경우 발열하는 열선이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열선이 발열하여 기 설정된 온도가 되면 녹아 상기 제1 연결 파이프와 상기 제2 연결 파이프 사이의 간극을 밀폐하되, 상기 열선은, 양측 말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전류를 공급 받으며, 좌우 수평 방향으로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3 종류(예를 들어, 65mm, 75mm 및 100mm 등)의 PVC 파이프를 서로 연결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 파이프 간의 연결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자로서 자신이 원하는 각도로 파이프의 종류 또는 연결 소켓의 규격에 구애됨이 없이 파이프를 연결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오배수관 연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있는 제1 연결 파이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는 도 1에 있는 제2 연결 파이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오배수관 연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변형 오배수관 연결 구조(10)는, 제1 연결 파이프(100) 및 제2 연결 파이프(200)를 포함한다.
제1 연결 파이프(100)는, 일측의 외경이 제1 배관 파이프(1)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일측의 내경이 제1 배관 파이프(1)보다 작은 배관 파이프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일측의 입구 부분을 따라 두 배관 파이프의 중간 크기의 배관 파이프를 삽입하기 위한 파이프 삽입홈(111)(도 3를 참조)을 형성하여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제1 배관 파이프(1)를 연결 설치하며,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연결 각도에 대응하여 제1 배관 파이프(1)와 제2 배관 파이프(2)를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타측이 기 설정된 곡률(얘를 들어, 30도 내지 50도 등)로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제1 연결 파이프(100)의 일측에 삽입된 후 체결된다.
제1 연결 파이프(100)는, 한 가지의 형태로 고정 형성되어 정해진 각도(예를 들어, 22.5도, 45도 또는 90도 등)만으로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시켜줄 수 있는 일반적인 PVC 파이프의 연결 소켓과는 달리, 제2 연결 파이프(200)와의 연결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두 파이프 사이의 연결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파이프 간의 연결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1 배관 파이프(1) 또는 제2 배관 파이프(2)는, PVC 파이프(Poly Vinyl Chloride Pipe)를 지칭하는 것으로, 다만, 배관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재료(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스틸 또는 강철 등)로 제작되는 파이프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일반적으로 PVC 파이프는, 25mm, 30mm, 45mm, 50mm, 65mm, 75mm, 100mm, 125mm 또는 150mm 등의 다양한 규격의 직선 형태로 제작되며, 이렇게 직선 형태로 제작된 PVC 파이프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구조물을 PVC 소켓이라고 한다.
제2 연결 파이프(200)는, 일측에 제1 연결 파이프(100)의 휘어진 부분을 삽입한 후 체결할 수 있도록 제1 연결 파이프(100)에 대응하는 형태(즉, 제1 연결 파이프(100)의 휘어진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로 형성되며, 타측의 외경이 제2 배관 파이프(2)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일측의 내경이 제2 배관 파이프(2)보다 작은 배관 파이프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타측의 입구 부분을 따라 두 배관 파이프의 중간 크기의 배관 파이프를 삽입하기 위한 파이프 삽입홈(제1 연결 파이프(100)와 동일한 형태)을 형성하여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제2 배관 파이프(2)를 연결 설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까지의 PVC 소켓은, 한 종류의 PVC 파이프의 규격에 대응하는 규격으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파이프가 설치된 후 연결 각도를 조절할 수 없도록 고정되어 제작됨으로써, 해당 규격의 PVC 파이프를 하나의 각도(예를 들어, 22.5도, 45도 또는 90도 등)를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시켜주는 것에 그쳐서, 여러 종류의 파이프를 다양한 각도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이에 대응하여 여러 종류의 소켓이 개별적으로 필요로 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변형 오배수관 연결 구조(10)는, 적어도 3 종류(예를 들어, 65mm, 75mm 및 100mm 등)의 PVC 파이프를 서로 연결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연결 파이프(100)와 제2 연결 파이프(200)의 연결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자로서는 자신이 원하는 각도로 제1 배관 파이프(1)와 제2 배관 파이프(2)를 연결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연결 파이프(100)와 제2 연결 파이프(200)의 연결 각도는 다음과 같다.
제1 연결 파이프(100)가 제2 연결 파이프(200)에 삽입되는 순간인 도 2a의 경우가 제1 연결 파이프(100)와 제2 연결 파이프(200)의 연결 각도가 가장 크고, 제1 연결 파이프(100)가 제2 연결 파이프(200)에 삽입됨에 따라, 즉 도 2a에서 도 2b를 지나 2c에 이르는 동안 제1 연결 파이프(100)와 제2 연결 파이프(200)의 연결 각도는 점진적으로 적어지게 되며, 제1 연결 파이프(100)가 제2 연결 파이프(200)에 완전히 삽입된 도 2c의 경우가 제1 연결 파이프(100)와 제2 연결 파이프(200)의 연결 각도가 최소가 된다.
도 3는 도 1에 있는 제1 연결 파이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1 연결 파이프(100)는, 파이프 소켓부(110), 각도 조절부(120) 및 피체결 돌기부(130)를 포함한다.
파이프 소켓부(110)는,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제1 배관 파이프(1)를 연결 설치한다.
도 4을 참조하면, 파이프 소켓부(110)는, 외경이 제1 배관 파이프(1)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예를 들어, 100mm)으로 형성되고, 내경이 제1 배관 파이프(1)보다 작은 배관 파이프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예를 들어, 65mm)으로 형성되며, 입구 부분을 따라 두 배관 파이프의 중간 크기(예를 들어, 75mm)의 배관 파이프를 삽입하기 위한 파이프 삽입홈(11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수관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상기 세 종류의 파이프를 예를 들고 있지만, 해당 규격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배수관으로 사용될 수 있는 파이프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하여 그 크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이프 소켓부(110)는, 제1 배관 파이프(1)가 각도 조절부(120)까지 삽입되는 방지할 수 있도록 각도 조절부(120)가 연장 형성되는 외측면을 따라 삽입 방지턱(112)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각도 조절부(120)는, 제1 배관 파이프(1)와 제2 배관 파이프(2)가 기 설정된 각도로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파이프 소켓부(110)로부터 기 설정된 곡률로 휘어지면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각도 조절부(120)의 곡률은,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연결 파이프(100)가 제2 연결 파이프(200)에 휘어지면서 삽입되기 위한 구조로서, 제1 연결 파이프(100)와 제2 연결 파이프(200)의 연결 각도에 대응하여 다양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피체결 돌기부(130)는, 제2 연결 파이프(200)의 체결 돌기부(220)에 체결될 수 있도록 각도 조절부(120)의 상측에서 길이 발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2 연결 파이프(200)의 체결홈(211)에 삽입되어 제1 연결 파이프(100)가 제2 연결 파이프(200)에 삽입됨에 따라 체결홈(211)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한다.
일 실시예에서, 피체결 돌기부(130)는, 볼트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각도 마다(예를 들어, 10도 내지 30도 등) 적어도 하나의 볼트 삽입홀(131)을 형성하며, 제2 연결 파이프(20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일측 또는 양측에 게이지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볼트 삽입홀(131)은, 피체결 돌기부(130)의 길이 방향의 길쭉한 형태인 타원형으로 다수 개 형성되며, 다른 볼트 삽입홀(131)과의 거리도 기 설정된 걸이 이내(예를 들어, 5mm 내지 15mm 등)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함에 있어 해당 홀의 개수 및 위치에 제한을 받아 원하고자 하는 위치에 제2 연결 파이프(200)를 체결하는 것이 방해 받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지홈(132)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빨래판 형태의 나사산이 나열된 구조이며, 제2 연결 파이프(200)의 체결 돌기부(220)의 내측에 역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 나사산(221)에 의해 체결되어 제1 연결 파이프(100)와 제2 연결 파이프(200)의 체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게이지홈(132)의 상측 면에는 제2 연결 파이프(200)와의 연결 각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눈금(133)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체결 돌기부(220) 역시 눈금(133)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측면의 중간 부분에 눈금(133)을 가리키는 지시선(222)이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게이지홈(132)은, 각 나사산들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필요로 하는 연결 각도에 해당하는 나사산을 시각적으로 확인한 후 제1 연결 파이프(100)와 제2 연결 파이프(200)를 체결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정밀하게 제1 연결 파이프(100)와 제2 연결 파이프(200)의 연결 각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는 도 1에 있는 제2 연결 파이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연결 파이프(200)는, 체결 조절부(210), 두 개의 체결 돌기부(220) 및 파이프 소켓부(230)를 포함한다.
체결 조절부(210)는, 제1 연결 파이프(100)의 피체결 돌기부(13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피체결 돌기부(130)에 대향하는 위치에 개방 형성되는 체결홈(211)을 형성하며, 제1 배관 파이프(1)와 제2 배관 파이프(2)가 기 설정된 각도로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연결 파이프(100)의 각도 조절부(120)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각도 조절부(120)를 내부 공간으로 삽입한다.
따라서, 체결 조절부(210)의 내경이 제1 연결 파이프(100)의 각도 조절부(120)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바, 체결 조절부(210)의 크기가 제1 연결 파이프(100)의 각도 조절부(120)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체결홈(211)은, 피체결 돌기부(130)의 너비에 대응하여 폭이 형성되며, 체결 조절부(210)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로 형성됨으로써 제1 연결 파이프(100)가 휘어지면서 삽입됨에 따라 피체결 돌기부(130)가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체결 돌기부(220)는, 체결홈(211)에 삽입된 피체결 돌기부(130)를 양측에서 밀착하여 피체결 돌기부(130)를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홈(211)의 양측 입구 부분을 따라 체결홈(211)에 삽입된 피체결 돌기부(130)에 대향하며 돌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 돌기부(220)는, 피체결 돌기부(130)의 게이지홈(132) 을 체결할 수 있도록 게이지홈(132)에 대응하는 형태의 나사산(221)을 게이지홈(132)에 대향하는 내측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할 수 있다.
파이프 소켓부(230)는, 제2 배관 파이프(2)를 끼울 수 있도록 체결 조절부(210)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파이프 소켓부(230)는, 도 4에 도시된 파이프 소켓부(110)와 같이 외경이 제2 배관 파이프(2)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예를 들어, 100mm)으로 형성되고, 내경이 제2 배관 파이프(2)보다 작은 배관 파이프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예를 들어, 65mm)으로 형성되며, 입구 부분을 따라 두 배관 파이프의 중간 크기(예를 들어, 75mm)의 배관 파이프를 삽입하기 위한 파이프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삽입 방지턱(112)과 동일한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체결 조절부(210)는, 밀봉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봉부(240)는, 파이프를 통해 흘러 들어오는 오배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체결 조절부(210)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어 파이프 사이의 사이의 간극을 메꿔 밀봉한다.
일 실시예에서, 밀봉부(240)는, 체결 조절부(210)의 내측면에 제작단계에서부터 일체로서 제작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체결 조절부(210)의 내측면에 후발적으로 장착 설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밀봉부(240)는, 외부로부터 전류가 공급 될 경우 발열하는 열선(241)이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며, 열선(241)이 발열하여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100도 내지 200도 등)가 되면 녹아 제1 연결 파이프(100)와 제2 연결 파이프(200) 사이의 간극을 밀폐하도록 하며, 여기서, 열선(241)은, 양측 말단이 체결홈(211)의 양측을 따라 형성되는 노출홈(2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전류를 공급 받으며, 접촉 면적을 넒혀 주기 위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삽입된다.
여기서, 밀봉부(240)는, 밀봉 재료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코킹(caulking)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열선(241)의 발열 온도에 대응하여 녹을 수 있는 연질(soft-melting)의 재질이면 그 명칭에 제한없이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열선(241)은, 동절기 파이프의 동파를 방지하거나, 내부에 유입된 오수가 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함으로써 파이프의 온도를 올려줌으로써, 동절기 파이프의 동파를 방지하거나 언 파이프를 효율적으로 해동시켜 줄 수 있다.
이때, 열선(24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순간적으로 또는 점진적으로 100도 내지 200도까지 발열하여 사용자로서는 짧은 시간만으로도 파이프가 언 것을 녹임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파이프와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 효율적인 열전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파이프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주기 위해, 열선(241)은 지그재그를 이루는 간격을 10mm 내지 200mm 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외부 전원 공급장치 대신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내장 배터리(예를 들어, AAA 건전지 또는 AA 건전지 등)를 밀봉부(240)의 일측에 구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제1 배관 파이프
2: 제2 배관 파이프
100: 제1 연결 파이프
110: 파이프 소켓부
111: 파이프 삽입홈
112: 삽입 방지턱
120: 각도 조절부
130: 피체결 돌기부
131: 볼트 삽입홀
132: 게이지홈
133: 눈금
200: 제2 연결 파이프
210: 체결 조절부
211: 체결홈
212: 노출홈
220: 체결 돌기부
221: 나사산
222: 지시선
230: 파이프 소켓부
240: 밀봉부
241: 열선

Claims (4)

  1. 배관 파이프가 연결 설치되는 일측의 외경이 제1 배관 파이프의 내경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일측의 내경이 상기 제1 배관 파이프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배관 파이프의 외경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일측의 입구 부분을 따라 상기 두 배관 파이프의 중간 크기의 배관 파이프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을 형성하여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제1 배관 파이프를 연결 설치하며,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연결 각도에 대응하여 제1 배관 파이프와 제2 배관 파이프를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타측이 기 설정된 곡률로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제1 연결 파이프; 및
    일측에 상기 제1 연결 파이프의 휘어진 부분을 삽입한 후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결 파이프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타측의 외경이 제2 배관 파이프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타측의 내경이 상기 제2 배관 파이프보다 작은 배관 파이프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타측의 입구 부분을 따라 상기 두 배관 파이프의 중간 크기의 배관 파이프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을 형성하여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제2 배관 파이프를 연결 설치하는 제2 연결 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 파이프는, 외경이 제1 배관 파이프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내경이 상기 제1 배관 파이프보다 작은 배관 파이프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입구 부분을 따라 상기 두 배관 파이프의 중간 크기의 배관 파이프를 삽입하기 위한 파이프 삽입홈이 형성되어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제1 배관 파이프를 연결 설치하는 파이프 소켓부; 제1 배관 파이프와 제2 배관 파이프가 기 설정된 각도로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소켓부로부터 기 설정된 곡률로 휘어지면서 연장 형성되는 각도 조절부; 및 상기 제2 연결 파이프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각도 조절부의 상측에서 길이 발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볼트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각도 마다 적어도 하나의 볼트 삽입홀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연결 파이프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일측 또는 양측에 게이지홈을 포함하는 피체결 돌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이프 소켓부는, 제1 배관 파이프가 상기 각도 조절부까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도 조절부가 연장 형성되는 외측면을 따라 삽입 방지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 파이프는, 상기 제1 연결 파이프의 피체결 돌기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피체결 돌기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개방 형성되는 체결홈을 형성하며, 제1 배관 파이프와 제2 배관 파이프가 기 설정된 각도로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결 파이프의 각도 조절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각도 조절부를 내부 공간으로 삽입하며, 파이프를 통해 흘러 들어오는 오배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내측면을 따라 일주하면서 밀봉부를 형성하는 체결 조절부; 상기 체결홈에 삽입된 상기 피체결 돌기부를 양측에서 밀착하여 상기 피체결 돌기부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홈의 양측 입구 부분을 따라 상기 피체결 돌기부에 대향하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피체결 돌기부의 게이지홈을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게이지에 대응하는 형태의 나사산을 상기 게이지홈에 대향하는 내측면에 형성하는 두 개의 체결 돌기부; 및 제2 배관 파이프를 끼울 수 있도록 상기 체결 조절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파이프 소켓부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지홈은, 상기 제1 연결 파이프와 상기 제2 연결 파이프의 체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빨래판 형태의 나사산이 나열된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 돌기부의 내측에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밀봉부는, 상기 체결 조절부의 내측면에 제작단계에서부터 일체로서 제작되거나, 상기 체결 조절부의 내측면에 후발적으로 장착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류가 공급 될 경우 발열하는 열선이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열선의 발열 온도에 대응하여 녹을 수 있는 연질(soft-melting)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열선이 발열하여 기 설정된 온도가 되면 녹아 상기 제1 연결 파이프와 상기 제2 연결 파이프 사이의 간극을 밀폐하며,
    상기 열선은, 동절기 파이프의 동파를 방지하거나 내부에 유입된 오수가 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측 말단이 상기 체결홈의 양측을 따라 형성되는 노출홈(2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여 파이프의 온도를 올려 주며, 좌우 수평 방향으로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삽입되는, 가변형 오배수관 연결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60013A 2018-05-26 2018-05-26 가변형 오배수관 연결 구조 KR101900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013A KR101900649B1 (ko) 2018-05-26 2018-05-26 가변형 오배수관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013A KR101900649B1 (ko) 2018-05-26 2018-05-26 가변형 오배수관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649B1 true KR101900649B1 (ko) 2018-09-19

Family

ID=63718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013A KR101900649B1 (ko) 2018-05-26 2018-05-26 가변형 오배수관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6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669B1 (ko) * 2005-08-03 2007-12-21 (주)대덕화학 내압성이 뛰어난 배관용 파이프부속 및 그 전기융착방법
US20180071765A1 (en) * 2015-04-07 2018-03-15 Arno Drechsel Articulated joint for sprinkl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669B1 (ko) * 2005-08-03 2007-12-21 (주)대덕화학 내압성이 뛰어난 배관용 파이프부속 및 그 전기융착방법
US20180071765A1 (en) * 2015-04-07 2018-03-15 Arno Drechsel Articulated joint for sprinkl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4872B1 (en) Wall mounted receiver
EP3006804A1 (en) Device for partially repairing pipe using hose band
KR101900649B1 (ko) 가변형 오배수관 연결 구조
EP2098768B1 (en) Locking device for locking tube clamping collars
RU2353882C2 (ru) Тепловой радиатор нагрева или охлаждения
KR102005277B1 (ko) 관 연결부 밀폐장치
KR101232319B1 (ko) 파이프 연결구
CN205207925U (zh) 管线侧固定封堵器
CN104455939B (zh) 交联聚乙烯保温管跨越三通报警线固定装置及固定方法
US20220314050A1 (en) Sprinkler box for embedded sprinkler pipe system
KR100779702B1 (ko) 길이 조정가능한 배관 연결장치
CN204201355U (zh) 智能交联聚乙烯保温管平行三通管件报警线固定装置
KR200493320Y1 (ko) 부착형 메탈히터
KR101739476B1 (ko) 관로내의 열선 고정장치
KR20030042773A (ko) 신축성 파이프를 이용한 수지관 연결소켓의 제조방법 및구조
KR200286782Y1 (ko) 보일러용 온수 분배기
KR102621013B1 (ko) 하수관 결빙에 의한 해빙용 소켓구조
JPH01277138A (ja) 温水循環式床暖房装置
CN104373690A (zh) 交联聚乙烯保温管平行三通报警线固定装置及固定方法
KR101585946B1 (ko) 두 개의 게이지를 장착할 수 있는 소켓
KR200299131Y1 (ko) 파이프 이음구
KR101920313B1 (ko) 배관동파방지를 위한 음파발생기
JPS5931808Y2 (ja) 導水管
CA2000020C (en) Counter flow tube-manifold heat exchanger
RU2277208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арматура для радиатора и способ ее установки на ради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