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018B1 -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시스템장치 - Google Patents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시스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018B1
KR101900018B1 KR1020170076937A KR20170076937A KR101900018B1 KR 101900018 B1 KR101900018 B1 KR 101900018B1 KR 1020170076937 A KR1020170076937 A KR 1020170076937A KR 20170076937 A KR20170076937 A KR 20170076937A KR 101900018 B1 KR101900018 B1 KR 101900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concrete structure
spring
distribution lin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산
Original Assignee
(주)극동아이피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극동아이피엘씨 filed Critical (주)극동아이피엘씨
Priority to KR1020170076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65Means for detecting or reacting to mechanical or electrical defe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 Y04S10/5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시스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오물이나 누수로 인한 지중배전선로의 수명 단축 및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한편, 선반의 승,하강에 따라 하우징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선반에 안착되는 지중배전선로에 대한 안정된 배치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시스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시스템장치{Insulation connecting system device of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시스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오물이나 누수로 인한 지중배전선로의 수명 단축 및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한편, 선반의 승,하강에 따라 하우징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선반에 안착되는 지중배전선로에 대한 안정된 배치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시스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가공배전선지중화는 간선 도로변의 전주를 뒷골목에 이설, 저압케이블을 사용 주상변압기로부터 인근 수용가를 공급함으로써 시작되었으며, 지속적으로 확장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지하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우수 또는 오수가 유입되어 차오르는 경우 미연에 감지하여 제대로 방출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지중배전선로에 우수 또는 오수가 접촉되면서 합선 및 누전 등의 전기 안전 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
또한, 지중배전선로는 겨울철이나 장마철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습기가 차면서 내부 구리선이 합선이나 단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05061호(2015.03.25.)에는 '지중배전선로 절연성 연결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중배전선로 절연성 연결대장치는 선반의 승,하강에 따라 하우징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기 어렵기 때문에 선반에 안착되는 지중배전선로가 선반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안전사고 등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05061호(2015.03.25.) '지중배전선로 절연성 연결대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오물이나 누수로 인한 지중배전선로의 수명 단축 및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한편, 선반의 승,하강에 따라 하우징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선반에 안착되는 지중배전선로에 대한 안정된 배치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시스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102)에 내설되어 상부에 배치되는 회동축(112)과, 상기 회동축(112)에 회전 가능하게 맞물려 고정되는 상부 연결부(114)와, 상기 상부 연결부(114)의 하부에 연결되어 지중배전선로(118)를 지지하는 받침판(116)을 구비한 선반(110); 상기 선반(110)의 받침판(116)의 하부면에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면에 'X'자 형태로 결합된 링크(212)와, 상기 링크(212)의 하단에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바닥면에 형성된 지지판(230)과,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면에 연결된 수직으로 결합된 피스톤로드(220)와, 상기 피스톤로드(220)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220)가 상하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고 상기 피스톤로드(220)의 하부끝단에 결합된 피스톤(222)을 내부에 구비한 메인실린더(224)와, 상기 피스톤로드(220)의 상부 끝단에 상부링크(221)와 상기 상부링크(221)의 반대측 메인실린더(224)의 하부 끝단에 하부링크(223)와 유압펌프(152)가 형성된 유압실린더를 구비하여 상기 선반(110)을 승강과 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200); 상기 선반(110)보다 상부 위치인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내부 상단에 압축공기를 수직 방향으로 분사하는 공기분사장치(120)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분사장치(120)의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분기되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다가 절곡되어 수직으로 좌측 공기배관(122)과 우측 공기배관(124)이 좌측 통로(126)와 우측 통로(128)에 삽입되어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내부 양측벽에 좌측 흡입통로(130)와 우측 흡입통로(140)가 형성되어 상기 좌측 흡입통로(130)와 상기 우측 흡입통로(140)의 일측에 설치된 각각의 흡입펌프(132,142)의 동작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바닥면의 오물이나 오수를 흡입하여 상기 좌측 흡입통로(130)와 상기 우측 흡입통로(14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바닥면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레일(311,321)과, 상기 각각의 이송레일(311,321) 상에서 이송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대(312,322)와, 상기 각각의 이송대(312,322)의 일측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송 리드 스크류(314,324)와, 상기 각각의 이송 리드 스크류(314,324)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이송 벨트(318,328)와 연결된 이송 구동기(319)를 구비한 이송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분사장치(120)를 제어하여 상기 좌측 공기배관(122)과 상기 우측 공기배관(124)을 통해 압축공기를 수직 방향으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바닥면에 분사하고, 상기 유압펌프(152)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실린더(224)에 오일을 공급하고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로드(22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돌출되어 신장되거나 삽입되어 단축되며 상기 X자 형태의 링크(212)도 동시에 승하강되어 상기 하우징(210)을 상승과 하강시키고, 습도센서(154)나 물감지센서(156)를 센싱하여 일정 기준치를 넘는 경우, 상기 유압펌프(152)를 구동시켜 상기 승하강장치(200)를 상승시키므로 상기 선반(110)의 지중배전선로(118)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바닥면과 멀어지도록 하며, 상기 습도센서(154)를 센싱하여 기준치를 넘는 경우, 상기 이송 구동기(319)를 작동시켜 상기 이송대(312,322)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히팅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내부를 건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0)로 구성되는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시스템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반(110)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하우징(210)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수평유지부(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210)은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랜지(21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유지부(400)는, 상기 지지판(23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플랜지(211)를 각각 통과하는 지지바(410); 상기 플랜지(211)와 상기 지지판(23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41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420); 상기 플랜지(21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410)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바(410)로부터 상기 플랜지(211)의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부재(430); 및 상기 지지판(230)으로부터 상기 스프링(420)을 지지하는 한편,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수단(440)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420)은, 상기 선반(110)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플랜지(211)의 가압 또는 가압해제에 의해 수축,이완되면서 상기 하우징(210)의 양측이 수평을 유지하며 승,하강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시스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콘크리트 구조물에 누수가 발생해도 지중배전선로를 바닥면에서 상승시켜 합선 및 누전 등의 전기안전사고를 예방하여 지중배전선로의 수명 단축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둘째, 오수 및 우수가 내부로 유입되어 차오르는 것을 미연에 외부로 배출하여 지중배전선로의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오수가 유입되어 습기가 발생하는 경우, 히팅된 공기를 분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지중배전선로의 온도 변화에 따른 단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선반의 승,하강에 따라 하우징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선반에 안착되는 지중배전선로에 대한 안정된 배치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 절연성 연결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 절연성 연결대 장치의 측면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에 형성된 이송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에서 수평유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에서 수평유지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505061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호 제1505061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505061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선반의 승,하강에 따라 하우징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505061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시스템장치(이하 "연결대시스템장치"라 한다)(100)는 콘크리트 구조물(102)과 이의 내부에 지중배전선로(118)가 거치된 선반(110)과, 선반(110)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200)와, 내부 바닥에 수직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장치(120)와, 흡입펌프와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바닥면을 따라 일측 방향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히팅공기를 분사하는 이송부(300)를 포함한다.
콘크리트 구조물(102)은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배전선로(118)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사각 관체 형상을 이루어 다수개가 일렬로 연결되어 지중에 매설된다.
회동축(112)은 둘레부가 원 형상의 봉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102)에 내설되며 상부 중앙에 고정체를 매개로 고정되어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선반(110)은 전기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해 절연 처리되며 회동축(112)에 고정되는 상부 연결부(114)와 지중배전선로(118)가 거치되는 받침판(116)으로 이루어진다.
선반(110)의 제일 아래단의 받침판(116)은 하부면에 승하강장치(200)가 설치된다.
승하강장치(200)는 받침판(116)의 하부면에 형성된 하우징(210)과, 하우징(210)의 하부면에 'X'자 형태로 결합된 링크(212)와, 링크(212)의 하단에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바닥면에 형성된 지지판(230)과, 'X'자 형태의 링크(212)의 일측과 결합된 유압실린더를 포함한다.
유압실린더는 하우징(210)의 하부면에 연결된 수직으로 결합된 피스톤로드(220)와, 피스톤로드(220)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피스톤로드(220)가 상하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고 피스톤로드(220)의 하부끝단에 결합된 피스톤(222)을 내부에 구비한 메인실린더(224)와, 피스톤로드(220)의 상부 끝단에 상부링크(221)와 상부링크(221)의 반대측 메인실린더(224)의 하부 끝단에 하부링크(223)와 유압펌프(152)를 포함한다.
유압실린더는 상부링크(221)가 'X'자 형태의 링크(212)의 일측에 결합하고 하부링크(223)가 지지판(230)의 일측에 결합되어 오일을 공급하는 유압펌프(152)의 작동에 따라 하우징(210)을 상승과 하강시키도록 신축되거나 신장된다.
승하강장치(200)는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220)의 슬라이딩 방식으로 신장시키면, 'X'자 형태로 결합된 링크(212)도 함께 신장된다.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내부 상단에는 압축공기를 수직 방향으로 분사하는 공기분사장치(120)가 설치되고, 압축공기를 수직 방향으로 분사하기 위해서 공기분사장치(120)의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분기되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다가 절곡되어 수직으로 좌측 공기배관(122)과 우측 공기배관(124)이 길게 형성된다.
좌측 공기배관(122)은 좌측 통로(126)에 삽입되어 형성되고 우측 공기배관(124)은 우측 통로(128)에 삽입되어 형성된다.
좌측 공기배관(122)의 하부 끝단에는 좌측 분사노즐(127)이 형성되고 우측 공기배관(124)의 하부 끝단에는 우측 분사노즐(129)이 형성된다.
좌측 공기배관(122)과 우측 공기배관(124)의 끝단에 형성된 좌측 분사노즐(127)과 우측 분사노즐(129)은 압축공기가 분사되어 오물이나 오수를 좌우측의 양측벽으로 이동시킨다.
콘크리트 구조물(102)은 양측벽에 따라 좌측 흡입통로(130)와 우측 흡입통로(140)가 형성되어 좌측 흡입통로(130)와 우측 흡입통로(140)를 통해서 바닥면의 오물이나 오수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동시킨다.
좌측 흡입통로(130)와 우측 흡입통로(140)는 일측에 각각 제1 흡입펌프(132)와 제2 흡입펌프(142)를 설치하고, 제1 흡입펌프(132)와 제2 흡입펌프(142)의 동작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바닥면의 오물이나 오수를 좌측 흡입통로(130)와 우측 흡입통로(140)를 통과하도록 흡입한다.
제1 흡입펌프(132)와 제2 흡입펌프(142)는 흡입된 오물이나 오수를 제1 배출구(134)와 제2 배출구(144)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이송부(300)는 한 쌍의 이송레일(311, 321)과, 한 쌍의 이송대(312,322)와, 한 쌍의 이송 리드 스크류(314,324)와, 이송 구동기(319)를 구비한다.
한 쌍의 이송레일(311,321)은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바닥면 일면 상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각각의 이송레일(311,321) 상에는 이송대(312,322)가 배치된다.
즉, 이송대(312,322)는 이송레일(311,321)과 맞물리어 이송레일(311,321)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다.
이송대(312,322)의 외측에는 이송 리드 스크류(314,324)가 배치되는데, 이송 리드 스크류(314,324)는 이송레일(311,321)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송대(312,322)는 일정 온도로 히팅된 공기를 분사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내부를 건조시키거나 세척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로서 일측에 히팅된 공기가 스프레이식으로 분사되는 분사노즐(312a,322a)이 설치된다.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바닥면의 일면 상에는 이송 리드 스크류 지지단(315,325)이 배치되고, 이송 리드 스크류 지지단(315,325)의 내측에는 저널 베어링 등이 배치된 관통공을 구비하여 이송 리드 스크류(314,324)가 관통공을 관통하여 장착됨으로써 이송 리드 스크류(314,324)는 이송 리드 스크류 지지단(315,325)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각각의 이송 리드 스크류(314,324)의 일단에는 이송 리드 스크류 피동 풀리(316,326)가 배치된다. 각각의 이송 리드 스크류 피동 풀리(316,326) 사이 영역에는 이송 리드 스크류(314,324)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이송 구동기(319)가 구비된다.
이송 구동기(319)는 이송 리드 스크류(314,324)에 적절한 이동력을 부여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송 구동기(319)의 중심축에는 두 개의 이송 리드 스크류 구동 풀리(317)가 장착된다. 각각의 이송 리드 스크류 구동 풀리(317)는 각각의 이송 벨트(318,328)를 각각의 이송 리드 스크류 피동 풀리(316,326)와 연결된다.
따라서, 이송 구동기(319)의 중심축이 회전하는 경우, 회전력은 이송 리드 스크류 피동 풀리(316,326), 이송벨트(318,328) 및 이송 리드 스크류 피동 풀리(316,326)를 통하여 이송 리드 스크류(314,324)로 전달되고, 이송 리드 스크류(314,324)가 회전함에 따라 이송 리드 스크류 지지단(315,325)은 이동력을 전달받음으로써 이송대(312,322)는 이송레일(311,321)을 따라 이송된다.
도 5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연결대시스템장치(100)는 공기분사장치(120), 흡입펌프, 유압펌프(152), 습도센서(154), 물감지센서(156) 및 이송 구동기(319)를 포함한다.
제어부(150)는 공기분사장치(120)를 제어하여 좌측 공기배관(122)과 우측 공기배관(124)을 통해 압축공기를 수직 방향으로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바닥면에 분사한다.
제어부(150)는 흡입펌프를 제어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바닥면에 존재하는 오물이나 오수를 좌측 흡입통로(130)와 우측 흡입통로(140)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제어부(150)는 유압펌프(152)를 제어하여 메인실린더(224)의 오일을 공급하고 이에 따라 피스톤로드(22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신장되거나 신축되며 X자 형태의 링크(212)도 동시에 승강되어 하우징(210)을 상승과 하강시킨다.
제어부(150)는 습도센서(154)나 물감지센서(156)를 센싱하여 일정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유압펌프(152)를 구동시켜 승하강장치(200)를 상승시켜 선반(110)의 지중배전선로(118)가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바닥면과 멀어지도록 하여 지중배전선로(118)가 오물이나 오수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습도센서(154)를 센싱하여 일정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이송 구동기(319)를 작동시켜 이송대(312,322)를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히팅된 공기를 분사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내부를 건조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110)의 승,하강에 따라 하우징(210)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수평유지부(4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수평유지부(400)는 승하강장치(200)의 구동에 따른 선반(110)의 승,하강시, 하우징(210)의 수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선반(110)이 수평을 유지하며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수평유지부(400)는 선반(110)에 안착되는 지중배전선로(118)가 선반으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안정된 배치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평유지부(400)는 선반(110)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210)은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랜지(211)가 형성된다.
수평유지부(400)는 지지판(23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한 쌍의 플랜지(211)를 각각 통과하는 지지바(410), 플랜지(211)와 지지판(230) 사이에 위치되도록 지지바(41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420), 플랜지(21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지지바(410)에 결합되며 지지바(410)로부터 플랜지(211)의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부재(430) 및 지지판(230)으로부터 스프링(420)을 지지하는 한편,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수단(440)을 포함한다.
플랜지(211)는 일측단부가 하우징(210)에 연결되고 타측단부가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벽체를 향하며, 전,후단부가 하우징(2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211)에는 지지바(410)의 상부가 통과하는 중공(211a)이 형성된다.
지지판(230)은 플랜지(211)가 지지판(230)과 상하 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양측이 하우징(210)보다 외측 즉,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벽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중공(211a)은 지지바(4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승하강장치(200)의 구동에 따른 선반(110)의 승,하강시, 하우징(210)과 함께 플랜지(211)가 지지바(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바(410)는 하부가 지지판(230)의 양측에 연결되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중공(211a)을 통과한다.
지지바(410)는 플랜지(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될 수 있으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체결부재(430)는 상,하부가 개방되면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플랜지(21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지지바(410)의 상부에 나사결합된다.
체결부재(43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바(410)에 나사결합되면서 지지바(410)로부터 플랜지(211)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승하강장치(200)의 구동에 따른 선반(110)의 승강이 일정지점에서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스프링(420)은 승하강장치(200)의 구동에 따른 선반(110)의 하강에 따라 수축되는 한편, 선반의 승강에 따라 이완되면서 하우징(210)의 양측을 지지한다.
여기서, 스프링(420)은 승하강장치(200)의 구동에 따른 선반(110)의 하강시, 선반(110)의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의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수평유지부(400)는 스프링(420)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수단(450)은 중공(211a)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스프링(420)의 상부 내측으로 인입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이드관(451),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스프링(4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가이드관(451)에 나사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스프링(42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부재(452)를 포함한다.
조절부재(452)는 너트 등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회전에 따라 가이드관(451)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되면서 스프링(420)에 대한 압착 정도를 통해 스프링(420)의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절한다.
조절수단(450)은 조절부재(452)와 스프링(420) 사이에 위치되도록 가이드관(45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압착판(4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착판(453)은 원판 링 형태를 이루며 외측 둘레가 조절부재(452)보다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압착판(453)은 스프링(42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안착 및 접촉되면서 조절부재(452)의 승,하강에 따라 스프링(420)의 수축, 이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관(451)은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턱(45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방지턱(451a)은 조절부재(452)의 풀림 회전에 따른 하강에 따라 조절부재(452)와 함께 압착판(453)이 가이드관(45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완충수단(440)은 승하강장치(200)의 구동과 함께 선반(110)의 승,하강시에 발생되는 진동 등을 완충하여 선반(110)에 안착되는 지중배전선로(118)에 대한 안정된 배치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완충수단(440)은 스프링(4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41) 및 지지판(230)으로부터 지지부재(441)를 지지하며 지지바(410)의 외측에 구비되는 완충부재(442)를 포함한다.
지지부재(441)는 완충부재(442)와 스프링(420) 사이에 위치되도록 지지바(41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링 형태의 플레이트(443) 및 플레이트(443)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으로 스프링(420)의 하부가 인입되는 측벽(444)을 포함한다.
완충부재(442)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하부가 개방되는 원기둥 형태를 이루면서 지지바(410)의 외측으로 결합된다.
지지부재(441) 및 완충부재(442)는 상,하부가 개방되면서 지지바(41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한편, 승하강징치(200)의 구동에 따른 선반(110)의 하강시, 가이드관(451)이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수평유지부(400)는 승하강장치(200)의 구동에 따른 선반(110)의 승,하강에 따라 하우징(210)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선반(110)에 안착되는 지중배전선로(118)에 대한 안정된 배치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100 : 연결대시스템장치 102 : 콘크리트 구조물
110 : 선반 118 : 지중배전선로
120 : 공기분사장치 122 : 좌측 공기배관
124 : 우측 공기배관 126 : 좌측 통로
128 : 우측 통로 130 : 좌측 흡입통로
132 : 제1 흡입펌프 140 : 우측 흡입통로
142 : 제2 흡입펌프 150 : 제어부
200 : 승하강장치 210 : 하우징
211 : 플랜지 211a : 중공
230 : 지지판 300 : 이송부
400 : 수평유지부 410 : 지지바
420 : 스프링 430 : 체결부재
440 : 완충수단 441 : 지지부재
442 : 완충부재 443 : 플레이트
444 : 케이싱 450 : 조절수단
451 : 가이드관 451a : 이탈방지턱
452 : 조절부재 453 : 압착판

Claims (1)

  1. 콘크리트 구조물(102)에 내설되어 상부에 배치되는 회동축(112)과, 상기 회동축(112)에 회전 가능하게 맞물려 고정되는 상부 연결부(114)와, 상기 상부 연결부(114)의 하부에 연결되어 지중배전선로(118)를 지지하는 받침판(116)을 구비한 선반(110);
    상기 선반(110)의 받침판(116)의 하부면에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면에 'X'자 형태로 결합된 링크(212)와, 상기 링크(212)의 하단에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바닥면에 형성된 지지판(230)과,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면에 연결된 수직으로 결합된 피스톤로드(220)와, 상기 피스톤로드(220)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로드(220)가 상하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고 상기 피스톤로드(220)의 하부끝단에 결합된 피스톤(222)을 내부에 구비한 메인실린더(224)와, 상기 피스톤로드(220)의 상부 끝단에 상부링크(221)와 상기 상부링크(221)의 반대측 메인실린더(224)의 하부 끝단에 하부링크(223)와 유압펌프(152)가 형성된 유압실린더를 구비하여 상기 선반(110)을 승강과 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200);
    상기 선반(110)보다 상부 위치인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내부 상단에 압축공기를 수직 방향으로 분사하는 공기분사장치(120)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분사장치(120)의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분기되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다가 절곡되어 수직으로 좌측 공기배관(122)과 우측 공기배관(124)이 좌측 통로(126)와 우측 통로(128)에 삽입되어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내부 양측벽에 좌측 흡입통로(130)와 우측 흡입통로(140)가 형성되어 상기 좌측 흡입통로(130)와 상기 우측 흡입통로(140)의 일측에 설치된 각각의 흡입펌프(132,142)의 동작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바닥면의 오물이나 오수를 흡입하여 상기 좌측 흡입통로(130)와 상기 우측 흡입통로(14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바닥면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레일(311,321)과, 상기 각각의 이송레일(311,321) 상에서 이송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대(312,322)와, 상기 각각의 이송대(312,322)의 일측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송 리드 스크류(314,324)와, 상기 각각의 이송 리드 스크류(314,324)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이송 벨트(318,328)와 연결된 이송 구동기(319)를 구비한 이송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분사장치(120)를 제어하여 상기 좌측 공기배관(122)과 상기 우측 공기배관(124)을 통해 압축공기를 수직 방향으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바닥면에 분사하고, 상기 유압펌프(152)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실린더(224)에 오일을 공급하고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로드(22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돌출되어 신장되거나 삽입되어 단축되며 상기 X자 형태의 링크(212)도 동시에 승하강되어 상기 하우징(210)을 상승과 하강시키고, 습도센서(154)나 물감지센서(156)를 센싱하여 일정 기준치를 넘는 경우, 상기 유압펌프(152)를 구동시켜 상기 승하강장치(200)를 상승시키므로 상기 선반(110)의 지중배전선로(118)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바닥면과 멀어지도록 하며, 상기 습도센서(154)를 센싱하여 기준치를 넘는 경우, 상기 이송 구동기(319)를 작동시켜 상기 이송대(312,322)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히팅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2)의 내부를 건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0)로 구성되는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시스템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200)의 구동에 따른 상기 선반(110)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하우징(210)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선반(110)이 수평을 유지하며 승,하강되면서 상기 선반(110)에 안착되는 지중배전선로(118)가 상기 선반(110)으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안정된 배치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수평유지부(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210)은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211a)이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21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유지부(400)는,
    상기 지지판(23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플랜지(211)의 각 중공(211a)을 통과하는 지지바(410);
    상기 플랜지(211)와 상기 지지판(23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41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420);
    상기 플랜지(21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410)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지지바(410)로부터 상기 플랜지(211)의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부재(430);
    상기 지지판(230)으로부터 상기 스프링(420)을 지지하는 한편,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수단(440); 및
    상기 스프링(42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수단(450)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420)은,
    상기 선반(110)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플랜지(211)의 가압 또는 가압해제에 의해 수축,이완되면서 상기 하우징(210)의 양측이 수평을 유지하며 승,하강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조절수단(450)은,
    상기 중공(211a)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420)의 상부 내측으로 인입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이드관(451);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4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이드관(451)에 나사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상기 스프링(42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부재(452); 및
    상기 조절부재(452)와 상기 스프링(42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이드관(451)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외측 둘레가 상기 조절부재(452)보다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스프링(420)과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압착판(453)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관(451)은,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조절부재(452)와 함께 상기 압착판(453)이 상기 가이드관(45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451a)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수단(440)은,
    상기 스프링(4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41); 및
    상기 지지판(230)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재(441)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바(410)의 외측에 구비되는 완충부재(44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441)는, 상기 완충부재(442)와 상기 스프링(42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41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링 형태의 플레이트(443); 및
    상기 플레이트(443)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으로 상기 스프링(420)의 하부가 인입되는 측벽(4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시스템장치.
KR1020170076937A 2017-06-16 2017-06-16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시스템장치 KR101900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937A KR101900018B1 (ko) 2017-06-16 2017-06-16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시스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937A KR101900018B1 (ko) 2017-06-16 2017-06-16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시스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018B1 true KR101900018B1 (ko) 2018-09-18

Family

ID=63718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937A KR101900018B1 (ko) 2017-06-16 2017-06-16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시스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0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5435A (zh) * 2019-07-08 2019-09-20 浙江八达电子仪表有限公司时通电气分公司 一种箱式变电站自卸装置
KR102336115B1 (ko) * 2021-03-05 2021-12-07 주식회사 동보활선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안전장치
CN117438920A (zh) * 2023-10-13 2024-01-23 临沂施乃通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高压环保气体开关柜
CN117438920B (zh) * 2023-10-13 2024-05-14 临沂施乃通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高压环保气体开关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475B1 (ko) 2009-06-23 2010-01-29 주식회사 일렉콤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505061B1 (ko) * 2014-12-02 2015-03-25 이윤정 지중배전선로 절연성 연결대 장치
KR101702349B1 (ko) * 2016-10-13 2017-02-03 문운하 평상시 사용성이 개선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475B1 (ko) 2009-06-23 2010-01-29 주식회사 일렉콤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505061B1 (ko) * 2014-12-02 2015-03-25 이윤정 지중배전선로 절연성 연결대 장치
KR101702349B1 (ko) * 2016-10-13 2017-02-03 문운하 평상시 사용성이 개선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5435A (zh) * 2019-07-08 2019-09-20 浙江八达电子仪表有限公司时通电气分公司 一种箱式变电站自卸装置
CN110255435B (zh) * 2019-07-08 2024-03-12 浙江八达电子仪表有限公司时通电气分公司 一种箱式变电站自卸装置
KR102336115B1 (ko) * 2021-03-05 2021-12-07 주식회사 동보활선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안전장치
CN117438920A (zh) * 2023-10-13 2024-01-23 临沂施乃通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高压环保气体开关柜
CN117438920B (zh) * 2023-10-13 2024-05-14 临沂施乃通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高压环保气体开关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061B1 (ko) 지중배전선로 절연성 연결대 장치
KR101900018B1 (ko)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시스템장치
CN204802753U (zh) 一种间距可调的电缆收卷装置
US20170224105A1 (en) Motorized home storage system
KR101597487B1 (ko) 터널 청소차량
KR101630968B1 (ko) 자동승강식 건조장치
KR101863438B1 (ko) 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가구장치
CN107055177A (zh) 一种下传动辊安装拆卸方便的可微调布料过渡架
KR102336115B1 (ko)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안전장치
KR101901667B1 (ko)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
KR101635367B1 (ko) 운반장치
CN108662353B (zh) 一种变径管道机器人
KR101823442B1 (ko) 무대설비용 케이블 가이드장치
KR101691506B1 (ko) 4주식 베드형 석재 자동 흡착 이송 및 적재장치
KR101956762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
KR102009652B1 (ko) 원단 공급장치
KR101766912B1 (ko)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장치
KR101640352B1 (ko) 수평 유지 레일 이동 구조를 갖는 빨래 건조 장치
CN210372538U (zh) 一种应用于清扫机器人上的行走装置
KR101897556B1 (ko) 세탁기 수리용 운반 장치
KR101789727B1 (ko) 소방호스 건조장치
KR102035194B1 (ko) 가이드 조정이 가능한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
CN203740526U (zh) 抽屉式皮带机用基座
CN110144836A (zh) 一种防止消防车库门前停车的阻拦装置
CN205818417U (zh) 一种智能高速电缆制作挤塑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