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885B1 -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9885B1 KR101899885B1 KR1020170099054A KR20170099054A KR101899885B1 KR 101899885 B1 KR101899885 B1 KR 101899885B1 KR 1020170099054 A KR1020170099054 A KR 1020170099054A KR 20170099054 A KR20170099054 A KR 20170099054A KR 101899885 B1 KR101899885 B1 KR 1018998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frame
- frame
- motor
- transmission assembly
- power transmis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1—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eddy currents induced in moved elements, e.g. by permanent magnets
- A63B21/005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eddy currents induced in moved elements, e.g. by permanent magnets induced by electromagne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맴돌이 전류를 발생시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조립체; 및 상기 모터 및 동력전달 조립체를 고정하면서 내부에 동력전달 조립체를 통해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서 작동하는 작동바를 포함하는 프레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중량체를 바벨봉에 끼우거나 교체할 필요 없이 전자석의 세기를 조절하여 세밀한 무게 조절이 가능하며, 다양한 자극을 위한 각도 변경이 자유로워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고, 운동 중에도 스위치로 중량을 감소시켜 타인의 도움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전자석으로 맴돌이 전류를 조절해 부하를 변화시키는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과중한 업무와 매연, 소음 등과 같은 주위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많이 나약해지는 현상과 스트레스에 의한 각종 성인병이 만연하고 있다.
근래에는 스트레스 해소에 운동이 적합하다는 연구에 따라 산책이나 조깅 등과 함께 웨이트 트레이닝(Weight Training)이 많이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 웨이트 트레이닝은 중량물을 들어올려 근육에 자극을 주어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으로서 건강과 몸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웨이트 트레이닝의 인기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기 위해서는 바벨봉 및 바벨원판 및 덤벨 등의 중량물이 필요하다. 보다 체계적인 트레이닝을 위해서는 상기 중량물들을 무게별로 보관이 필요하고 중량물들을 교체하면서 운동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운동기구는 상체단련용 운동기구와 하체단련용 운동기구 또는 미는 운동기구와 당기는 운동기구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들 운동기구에는 사용자에 따라 적절하게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중량체가 구비되어 중량체에 의해 사용자의 상체 또는 하체의 근육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하체운동기구는 사용자의 하체부분의 종아리 근육과 허벅지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이고, 상체운동기구는 사용자의 등근육과 어깨근육을 강화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팔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이다.
이와 같은 운동기구 중 일명 스미스머신이라 불리우는 운동기구가 있으며, 이는 양측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2개의 지지프레임과 2개의 지지프레임 사이에 걸어지는 바벨봉 및 바벨봉의 끝단에 끼워지는 원반형 중량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가 자신이 들 수 있는 중량만큼의 원반형 중량체를 바벨봉의 끝단에 끼운 후 바벨봉을 사용자의 뒷목부분에 위치한 상태에서 바벨봉이 사용자의 어깨에 위치되도록 바벨봉을 잡고 앉았다 일어서는 동작을 취하면서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외에도 스미스머신을 이용한 운동방법으로는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이 하늘을 향하도록 누운상태에서 양팔로 바벨봉을 잡고 사용자의 상체와 하체를 천천히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동작을 취하는 스미스머신 크런치동작이나 이를 응용한 스미스머신 사이드크런치 동작과 같은 다양한 운동방법으로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바벨봉을 잡은 상태에서 자신의 다리를 어깨넓이보다 좁게 벌린 후 가슴과 허리를 곧게 편 상태에서 바벨봉을 천천히 들었다 내렸다 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하는 데드리프트 운동방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동식 운동보조장치가 근력운동용 랙에 부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전동식 운동보조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전동식 운동보조장치(300)는, 근력운동에 사용되는 랙(10)의 수직 프레임에 부착이 가능하고, 운동 횟수 및 운동 속도를 감지하는 제1센서(311)와, 안전바가 물체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2센서(312)를 포함하는 센서(310)와,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외력을 발생시키고, 엔코더신호를 송출시키는 모터(320)와, 사용자 정보 및 운동 강도와, 제1센서(311)에서 검출된 운동 횟수 및 운동 속도와, 엔코더신호에 따라 운동 보조 시점 및 운동 보조 강도 및 운동 보조 위치에 대한 계산값을 운동보조장치 내의 구동 마찰력을 보정하여 도출하고, 계산값에 따라 모터(320)에서 발생시킬 외력치를 산출하여, 모터(320)로 제어신호를 송출시키는 마이컴과, 근력 운동에 사용되는 랙(10)의 수직 프레임에 탈부착되는 장착대(340)와, 장착대(340)에 평행으로 고정되되, 안전바(370)의 이동을 안내하는 베이스레일(350)과, 베이스레일(350)의 내부에 위치되되, 모터(320)의 동력을 안전바(370)에 전달시키는 동력전달부(360)와, 모터(320)에서 발생한 동력을 전달받아, 운동 보조 및 운동에 소요되는 외력을 작용시키게 되되, 근력운동을 위한 바벨봉(21)의 탈부착이 가능한 안전바(370)와, 장착대(340) 내지 베이스레일(350)에 걸림방식으로 고정되되, 근력운동에 사용되는 중량물을 운동 시작 위치에 거치시키는 거치대(3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스미스머신이라 불리우는 웨이트 운동기구는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강한 프레임이 필요하고, 중량체 보관을 위해 넓은 공간을 요구한다. 또한, 전체적인 디자인이 제한되어 구조 변경이 어려우며, 프레임과 중량체를 마련하기 위해서 고가의 비용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어깨 운동의 하중은 10kg, 가슴 운동의 하중은 20kg이 바람직한데, 그 사용성에 있어서 사용자가 중량체를 바벨봉에 끼우거나 빼내는 작업에 의해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들 수 있는 정도의 중량을 갖도록 원반형의 중량체를 바벨봉의 끝단에 끼우거나 끼워진 중량체를 빼냄이 용이하지 못하고, 또한 중량체를 끼우거나 빼내는 과정에서 자칫 잘못할 경우에는 중량체를 놓치게 되고 이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초래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더욱이, 중량체들은 성인 남성이 들기에는 큰 무리가 없으나 비교적 완력이 적은 여성들이 들기에는 무리가 따르기 때문에 여성들의 경우 중량체를 끼우거나 빼낼 때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 하고, 게다가 운동 중에는 하중 변화가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다. 운동 중 하중 변화의 이유를 살펴보면, 골격근은 유전 물질을 포함한 많은 핵을 각각 가지고 있는 개별적인 근섬유로 이루어져 있는데, 운동 중 한계점에서 추가적인 운동을 하면 근육이 이완 및 수축하면서 근섬유가 손상되고, 손상된 근섬유가 회복하면서 근육양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트레이너가 도와주면 한계점에서 운동을 하는 것이 가능한데 종래의 운동 기구는 트레이너 없이 한계점에서 운동하기 어렵고, 운동 중에 하중을 조절하는 것도 불가능하였다.
또한, 기존 바벨의 중량 단위가 1kg 단위로 제작되어서 미세한 중량의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스미스머신은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드는 운동만이 가능하여 사용자를 향해 당기거나 또는 지면으로 미는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운동기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중량체를 바벨봉에 끼우거나 교체할 필요 없이 전자석의 세기를 조절하는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맴돌이 전류를 발생시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조립체; 및 상기 모터 및 동력전달 조립체를 고정하면서 내부에 동력전달 조립체를 통해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서 작동하는 작동바를 포함하는 프레임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프레임체는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구비되는 제 1 지지 프레임체;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체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 2 지지 프레임체;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체와 제 2 지지 프레임체를 상단 전방에서 고정하는 제 1 상단 지지프레임;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체와 제 2 지지 프레임체를상단 후방에서 고정하는 제 2 상단 지지프레임;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체와 제 2 지지 프레임체를 하부에서 고정하는 하부 지지 프레임체;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체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한 제 1 회전 프레임체;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체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한 제 2 회전 프레임체; 및 상기 제 1 회전 프레임체 및 제 2 회전 프레임체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작동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제 1 회전 프레임체 및 제 2 회전 프레임체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 전달 조립체는, 모터 연결부; 상기 모터 연결부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판상형의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하측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전자석들; 및 상기 전자석들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자석들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동력 전달 조립체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롤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 조립체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작동바에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서포팅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에는 모터의 회전을 변화시키는 전환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체는 작동바의 속도, 무게 또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 판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는 구조 변경이 용이하며, 중량체를 바벨봉에 끼우거나 교체할 필요 없이 전자석의 세기를 조절하여 더욱 세밀한 무게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각도 변경이 자유로워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고, 운동 중에도 타인의 도움이 없이 하중을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동식 운동보조장치가 근력운동용 랙에 부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동식 운동보조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각도가 변경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스토퍼가 장착된 프레임체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조립체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동식 운동보조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각도가 변경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스토퍼가 장착된 프레임체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조립체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연결"이란 일 부재와 타 부재의 직접적인 연결, 간접적인 연결을 포함하며, 접착, 부착, 체결, 접합, 결합 등 모든 물리적인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각도가 변경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일부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6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일부 확대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스토퍼가 장착된 프레임체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맴돌이 전류를 발생시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조립체(200) 및 상기 모터 및 동력전달 조립체(200)를 고정하면서 내부에 동력전달 조립체(200)를 통해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서 작동하는 작동바(180)를 포함하는 프레임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프레임체(100)는 제 1 지지 프레임체(110), 제 2 지지 프레임체(120), 제 1 상단 지지프레임(130), 제 2 상단 지지프레임(140), 하부 지지 프레임체(150), 제 1 회전 프레임체(160), 제 2 회전 프레임체(170) 및 작동바(1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지지 프레임체(110)는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구비되어 있고, 제 2 지지 프레임체(120)는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체(110)와 평행하게 이격 구비되어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를 지지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상단 지지프레임(130)은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체(110)와 제 2 지지 프레임체(120)를 상단 전방에서 연결하여 고정하고 있고, 제 2 상단 지지프레임(140)은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체(110)와 제 2 지지 프레임체(120)를 상단 후방에서 연결하여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하부 지지 프레임체(150)는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체(110)와 제 2 지지 프레임체(120)를 하부 후방에서 고정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 1 회전 프레임체(160)는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체(110)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제 2 회전 프레임체(170)는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체(120)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 1 회전 프레임체(160) 및 제 2 회전 프레임체(170)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작동바(180)는 상기 제 1 회전 프레임체(160) 및 제 2 회전 프레임체(170) 사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작동바(180)에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서포팅 스위치(18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회전 프레임체(160)에는 상기 작동바(180)가 이동하는 경로의 양단부에는 스토퍼들(184)이 각각 장착되어 있어 작동바(180)의 양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여기서, 작동바(180)는 벨트 고정편(273)과 결합되되, 벨트 고정편(273)은 암 결합구(281)와 숫 결합구(282)의 결합에 의해 작동바(180)와 결합된다.
또한, 제 2 지지 프레임체(120)의 외측에는 작동바(180)의 속도, 무게 또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 판넬(19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동력 전달 조립체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또한, 동력 전달 조립체(20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연결부(210), 상기 모터 연결부(210)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판상형의 고정판(220), 상기 판형상의 고정판(220)에 양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전자석들(230), 상기 전자석들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240) 및 타이밍 벨트(2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동력 전달 조립체(200)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롤러들(261, 262, 263) 및 벨트들(271, 27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동력 전달 조립체(200)는 상기 모터에 의해 맴돌이 전류를 발생시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동력 전달 조립체(200)는 모터 연결부(210), 상기 모터 연결부(210)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판상형의 고정판(220), 전자석들(230), 상기 전자석들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240) 및 타이밍 벨트(2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 연결부(210)는 모터 축과 연결되어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고, 고정판(220)은 판상형 형상으로 모터 연결부(210)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전자석들(230)은 상기 고정판(220)의 하측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있고, 회전판(240)은 상기 전자석들(230)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자석들(23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타이밍 벨트(250)는 상기 회전판(240)의 회전 축에 연결되어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작동 관계를 기술하면,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는 동력 전달 조립체(200)가 모터의 회전에 의해 맴돌이 전류를 발생시켜 회전판(240)을 회전시킴으로써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고정판(220)의 하측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전자석들(230)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 맴돌이 전류가 발생되어 회전판(240)을 회전시킨다.
여기서, 맴돌이 전류는 도체의 내부 안에서 만들어지는 전류로, 도체 전체가 아닌 일부분에 소용돌이 모양으로 닫힌 통로를 흐르는 전류로서, 도체 내부를 지나는 자기력선속의 변화로 인해서 생기는 전류를 말한다. 따라서, 전자석들(230)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 이격되어 있는 회전판(240)이 맴돌이 전류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먼저, 벨트(272)에 장착되어 있는 벨트 고정편(273)과 작동바(180)를 결합하기 위해 결합구(280)를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결합구(280)는 암 결합구(281)와 숫 결합구(282)로 구성되어 있으며, 작동바(180) 내측에 암 결합구(281)를 결합하고 고정편(273)의 숫 결합구(282)를 회전시켜 암 결합구(281)와 숫 결합구(282)를 상호 결합시켜 벨트 고정편(273)과 작동바(180)를 결합시킨다.
사용자는 컨트롤 판넬(190)을 통해 하고자 하는 운동의 속도, 무게 또는 방향을 설정하여 운동을 준비한다. 사용자가 작동바(180)를 상방향으로 미는 운동을 하는 경우에, 동력 전달 조립체(200)에 의해 발생된 동력에 의해 작동바(180)에 설정된 하중을 하방향으로 가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판(240)은 전자석들(230)과 소정 간격, 바람직하게 0.5mm 내지 10mm, 더욱 바람직하게 0.5mm 내지 1mm 이격되어 있는 상태이며 동력원과 작용점을 분리시키는 구조이다. 즉, 상기 회전판(240)은 축에 연결되어 있는 타이밍 벨트(250)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게 되고, 롤러들(261, 262, 263) 및 벨트들(271, 272)을 통해 작동바(180)에 설정된 하중을 하방향으로 가하게 된다. 따라서, 하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반대로 작동바(180)를 들어올리면서 운동을 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타이밍 벨트(250)로부터 전달된 동력은 가운데 롤러(262)를 회전시키면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벨트(271)를 통해 전달된다. 이어서, 짧은 벨트(271)로부터 하부 롤러(263)를 통해 전달된 동력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벨트(272)를 통해 전달되고, 이와 같이 전달된 동력은 작동바(180)에 하중으로 작용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작동바(180)를 바닥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끌어당기는 운동을 하는 경우에 모터를 반대로 회전시켜 회전판(240)이 맴돌이 전류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작동바(180)에 하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회전 프레임체(160)와 제 2 회전 프레임체(170)가 회전 가능하므로 작동바(180)를 밀거나 당기는 운동이 자유로워 사용자가 소망하는 각도로 조정하여 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전방으로 밀거나 끌어당기는 운동을 하기 위해 제 1 회전 프레임체(160)와 제 2 회전 프레임체(170)를 회전시켜 소망하는 각도로 두고, 상기 회전판(240)의 회전 방향을 조절하여 작동바(180)에 하중이 걸리는 방향을 조절하면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작동바(180)의 서포팅 스위치(182)를 누르면 운동 중에도 가해지는 하중을 변경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과적인 운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는 구조 변경이 용이하며 중량체를 바벨봉에 끼우거나 교체할 필요 없이 전자석의 세기를 조절하여 세밀한 무게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운동을 위한 각도 변경이 자유로워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고, 운동 중에도 타인의 도움이나 바벨원판과 같은 중량물의 교체 없이 운동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프레임체 110: 제 1 지지 프레임체
120: 제 2 지지 프레임체 130: 제 1 상단 지지프레임
140: 제 2 상단 지지프레임 150: 하부 지지 프레임체
160: 제 1 회전 프레임체 170: 제 2 회전 프레임체
180: 작동바 182: 서포팅 스위치
184: 스토퍼 190: 컨트롤 판넬
200: 동력 전달 조립체 210: 모터 연결부
220: 고정판 230: 전자석들
240: 회전판 250: 타이밍 벨트
261, 262, 263: 롤러들 271, 272: 벨트들
273: 벨트 고정편 280: 결합구
281: 암 결합구 282: 숫 결합구
120: 제 2 지지 프레임체 130: 제 1 상단 지지프레임
140: 제 2 상단 지지프레임 150: 하부 지지 프레임체
160: 제 1 회전 프레임체 170: 제 2 회전 프레임체
180: 작동바 182: 서포팅 스위치
184: 스토퍼 190: 컨트롤 판넬
200: 동력 전달 조립체 210: 모터 연결부
220: 고정판 230: 전자석들
240: 회전판 250: 타이밍 벨트
261, 262, 263: 롤러들 271, 272: 벨트들
273: 벨트 고정편 280: 결합구
281: 암 결합구 282: 숫 결합구
Claims (9)
-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맴돌이 전류를 발생시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조립체; 및
상기 모터 및 동력전달 조립체를 고정하면서 내부에 동력전달 조립체를 통해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서 작동하는 작동바를 포함하는 프레임체;
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 전달 조립체는,
모터 연결부;
상기 모터 연결부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판상형의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하측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전자석들;
상기 전자석들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자석들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 벨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는,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구비되는 제 1 지지 프레임체;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체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 2 지지 프레임체;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체와 제 2 지지 프레임체를 상단 전방에서 고정하는 제 1 상단 지지프레임;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체와 제 2 지지 프레임체를 상단 후방에서 고정하는 제 2 상단 지지프레임;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체와 제 2 지지 프레임체를 하부에서 고정하는 하부 지지 프레임체;
상기 제 1 지지 프레임체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한 제 1 회전 프레임체;
상기 제 2 지지 프레임체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한 제 2 회전 프레임체; 및
상기 제 1 회전 프레임체 및 제 2 회전 프레임체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작동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 프레임체 및 제 2 회전 프레임체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조립체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롤러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조립체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에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서포팅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에는 모터의 회전을 변화시키는 전환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는 작동바의 속도, 무게 또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 판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9054A KR101899885B1 (ko) | 2017-08-04 | 2017-08-04 |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9054A KR101899885B1 (ko) | 2017-08-04 | 2017-08-04 |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99885B1 true KR101899885B1 (ko) | 2018-09-18 |
Family
ID=63718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9054A KR101899885B1 (ko) | 2017-08-04 | 2017-08-04 |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988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3450B1 (ko) * | 2012-04-19 | 2013-08-06 | 허재영 | 벤치프레스 운동기구 |
KR101707620B1 (ko) | 2015-09-30 | 2017-02-16 | 우정오 |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벤치프레스 운동기구 |
US20170173396A1 (en) * | 2015-12-18 | 2017-06-22 | Ningbo Jada Health Tech Co., Ltd., | Weight loading system for fitness equipments |
-
2017
- 2017-08-04 KR KR1020170099054A patent/KR1018998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3450B1 (ko) * | 2012-04-19 | 2013-08-06 | 허재영 | 벤치프레스 운동기구 |
KR101707620B1 (ko) | 2015-09-30 | 2017-02-16 | 우정오 |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벤치프레스 운동기구 |
US20170173396A1 (en) * | 2015-12-18 | 2017-06-22 | Ningbo Jada Health Tech Co., Ltd., | Weight loading system for fitness equipment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642564B2 (en) | Exercise machine | |
CN110037893B (zh) | 一种柔索驱动可穿戴式腰下肢康复机器人 | |
US20160346598A1 (en) | Exercise apparatus | |
US9005145B2 (en) | Muscle and/or joint exercise apparatus | |
US9517374B2 (en) | Air straps | |
CN201154173Y (zh) | 一种带有训练辅助装置的健身器 | |
US20120142496A1 (en) | Gym equipment or machine for improved mechanical neuromuscular stimulation | |
CN115397525A (zh) | 动态运动阻力模块 | |
KR101635637B1 (ko) | 치료용 운동 방법 및 치료용 운동 장치 | |
KR20210097651A (ko) | 스마트 복합 피트니스 머신 | |
CN111991749B (zh) | 力量训练机 | |
KR101934268B1 (ko) | 보행 재활 로봇 | |
US20120065035A1 (en) | Multifunction fitness device | |
KR101861240B1 (ko) | 케이블 구동형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 |
CN106994085A (zh) | 一种无轨迹等张力肌力康复训练装置 | |
TWI607784B (zh) | Sports training equipment | |
KR101899885B1 (ko) |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운동 기구 | |
CN110302019A (zh) | 车载式柔性踝关节训练器 | |
CN107320896B (zh) | 一种体育教学练习多功能组合器械 | |
KR20230153121A (ko) | 모터제어식 스마트 피트니스 머신 | |
KR20190119546A (ko) | 줄타기 운동기구 | |
WO2008063051A1 (en) | Training device, training assembly and training method | |
CN211705750U (zh) | 一种膝关节训练器 | |
CN106693297A (zh) | 腿部摆动训练器 | |
CN209696237U (zh) | 一种游泳辅助训练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