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461B1 - 분진 탈거장치가 구비된 목재용 샌드블래스터 - Google Patents

분진 탈거장치가 구비된 목재용 샌드블래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461B1
KR101899461B1 KR1020170026418A KR20170026418A KR101899461B1 KR 101899461 B1 KR101899461 B1 KR 101899461B1 KR 1020170026418 A KR1020170026418 A KR 1020170026418A KR 20170026418 A KR20170026418 A KR 20170026418A KR 101899461 B1 KR101899461 B1 KR 101899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and
coupled
processing chamber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0007A (ko
Inventor
김내현
허승량
김광희
조재봉
조준하
정병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공공스토리사업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공공스토리사업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공공스토리사업단
Priority to KR1020170026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46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0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 B24C9/003Removing abrasive powder out of the blasting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06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producing matt surfaces, e.g. on plastic materials, on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24C3/04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station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2Blast guns, e.g. for generating high velocity abrasive fluid jets for cutt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barking, Splitting, And Disintegration Of Timbe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진 탈거장치가 구비된 목재용 샌드블래스터에 관한 것으로, 모래저장부와 집진통로를 형성하는 가공챔버와, 상기 가공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착용하는 장갑과, 상기 가공챔버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공챔버에 수용된 피가공물로 모래저장부의 모래를 분사하는 샌드건과, 상기 집진통로를 통해 연통되어 유도팬의 부압을 통해 모래와 목재분말을 분리하여 회수하는 집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집진부는, 집진통로를 통해 가공챔버와 연통되어 상기 가공챔버의 후방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연결설치되어 가공챔버에서 발생한 모래와 목재분말 및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유도시키는 유도팬; 상기 유도팬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목재분말을 걸러내는 필터부재와,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필터부재를 하우징의 상판에 연결하도록 필터부재의 상부에 결합설치되는 상부캡과, 상기 필터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캡과, 상기 하우징의 상판과 상부캡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도록 연결설치되는 신축관을 구성한 필터카트리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베어링결합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동하는 회동축과, 지지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베어링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작동축과, 상기 회동축과 작동축에 결합되어 서로 치합되는 제1, 2기어를 구비한 베벨기어와, 상기 작동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연동하는 연동원판과, 일측이 상기 연동원판에 편심결합되고 타측이 필터카트리지에 결합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필터카트리지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전달바로 구성된 탈진수단; 상기 하우징의 내부 전방 측에 배치되어 집진통로를 통해 하우징으로 유도되는 모래를 충돌작용으로 낙하시키는 낙하부재; 상기 하우징을 필터카트리지가 설치된 제1하우징과, 낙하부재가 설치된 제2하우징으로 구분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배치되어 모래와 목재분말을 분리시키는 철망매쉬; 상기 철망매쉬에 의해 구획된 제1하우징의 하측에 연결되어 낙하부재 및 철망매쉬와의 충돌에 의해 낙하되는 모래를 가공챔버의 모래저장부로 회수시키는 모래회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진 탈거장치가 구비된 목재용 샌드블래스터{The sand blaster for wood with dust removal equipment}
본 발명은 분진 탈거장치가 구비된 목재용 샌드블래스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와 함께 집진부로 유도되는 모래와 목재분말이 낙하부재에 충돌하는 것에 의해 무거운 모래의 낙하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가벼운 목재분말을 부유시키도록 함으로써 모래와 목재분말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필터카트리지가 탄성부재를 통해 하우징의 상판에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연동되어 필터카트리지에 진동을 가하는 탈진수단을 통해 필터카트리지에 진동을 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필터카트리지에 쌓인 목재분말을 용이하게 털어낼 수 있으며, 하우징의 상판과 필터카트리지의 상부캡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신축관으로 인해 유도팬에 의한 목재분말의 유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진 탈거장치가 구비된 목재용 샌드블래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샌드 블래스터는 천연 실리카 샌드, 알루미나 또는 탄화규소의 분말, 글래스 비드(Glass Beads), 미소 강구 등으로 된 샌드 파우더를 공기 등의 유체와 함께 고속으로 분사하여 피가공물을 매끄럽게 가공하거나, 철골 구조물의 도장 처리 전에 표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석조물 또는 건축물의 실내외 장식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유리의 표면을 미세하게 가공하여 무늬를 인각하거나, 선박 교량 등의 페인트 녹을 제거하는 작업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는 장치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목재용 사인물과 같이 샌드 파우더(Sand Powder), 특히 모래로 목재 패널과 같은 피가공물의 표면을 가공하여 글자 또는 각종 무늬를 형성할 수 있는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가 개발되어 '우드 사인(Wood Sign)' 이라 하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는 모래와 피가공물인 목재에서 분리되는 목재 분말이 혼합된 상태로 가공챔버의 하부에 모이게 되므로, 모래 및 목재 분말을 분리하여 재활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근래에 들어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6941호와 같은 "목재 분말의 분리가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KR 10-1416941 B1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목재 분말의 분리가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는, 집진케이스의 전방측 내부에 설치되어 모래와 목재분말을 분리하는 분리필터가 그물망 형태의 거름망과, 상기 거름망을 지지하는 차단판으로 구성되어 단순히 수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모래와 목재분말의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걸러진 목재분말이 흡기를 하는데 방해는 하는 작용을 하므로, 필터카트리지의 청소가 요구되었는데, 종래의 구조에서는 필터카트리지의 청소를 위해서는 분해 조립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모래와 목재분말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카트리지의 탈진처리를 이룰 수 있는 분진 탈거장치가 구비된 목재용 샌드블래스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와 함께 집진부로 유도되는 모래와 목재분말이 낙하부재에 충돌하는 것에 의해 무거운 모래의 낙하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가벼운 목재분말을 부유시키도록 함으로써 모래와 목재분말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분진 탈거장치가 구비된 목재용 샌드블래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카트리지가 탄성부재를 통해 하우징의 상판에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연동되어 필터카트리지에 진동을 가하는 탈진수단을 통해 필터카트리지에 진동을 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필터카트리지에 쌓인 목재분말을 용이하게 털어낼 수 있으며, 하우징의 상판과 필터카트리지의 상부캡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신축관으로 인해 유도팬에 의한 목재분말의 유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진 탈거장치가 구비된 목재용 샌드블래스터를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래저장부와 집진통로를 형성하는 가공챔버와, 상기 가공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착용하는 장갑과, 상기 가공챔버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공챔버에 수용된 피가공물로 모래저장부의 모래를 분사하는 샌드건과, 상기 집진통로를 통해 연통되어 유도팬의 부압을 통해 모래와 목재분말을 분리하여 회수하는 집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집진부는, 집진통로를 통해 가공챔버와 연통되어 상기 가공챔버의 후방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연결설치되어 가공챔버에서 발생한 모래와 목재분말 및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유도시키는 유도팬; 상기 유도팬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목재분말을 걸러내는 필터부재와,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필터부재를 하우징의 상판에 연결하도록 필터부재의 상부에 결합설치되는 상부캡과, 상기 필터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캡과, 상기 하우징의 상판과 상부캡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도록 연결설치되는 신축관을 구성한 필터카트리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베어링결합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동하는 회동축과, 지지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베어링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작동축과, 상기 회동축과 작동축에 결합되어 서로 치합되는 제1, 2기어를 구비한 베벨기어와, 상기 작동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연동하는 연동원판과, 일측이 상기 연동원판에 편심결합되고 타측이 필터카트리지에 결합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필터카트리지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전달바로 구성된 탈진수단; 상기 하우징의 내부 전방 측에 배치되어 집진통로를 통해 하우징으로 유도되는 모래를 충돌작용으로 낙하시키는 낙하부재; 상기 하우징을 필터카트리지가 설치된 제1하우징과, 낙하부재가 설치된 제2하우징으로 구분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배치되어 모래와 목재분말을 분리시키는 철망매쉬; 상기 철망매쉬에 의해 구획된 제1하우징의 하측에 연결되어 낙하부재 및 철망매쉬와의 충돌에 의해 낙하되는 모래를 가공챔버의 모래저장부로 회수시키는 모래회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분진 탈거장치가 구비된 목재용 샌드블래스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분진 탈거장치가 구비된 목재용 샌드블래스터를 이용하면, 공기와 함께 집진부로 유도되는 모래와 목재분말이 낙하부재에 충돌하는 것에 의해 무거운 모래의 낙하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가벼운 목재분말을 부유시킬 수 있으므로 모래와 목재분말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카트리지가 탄성부재를 통해 하우징의 상판에 연결되어 있을 뿐만아니라,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연동되어 필터카트리지에 진동을 가하는 탈진수단을 통해 필터카트리지에 진동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필터카트리지에 쌓인 목재분말을 용이하게 털어낼 수 있으며, 하우징의 상판과 필터카트리지의 상부캡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신축관으로 인해 유도팬에 의한 목재분말의 유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진 탈거장치가 구비된 목재용 샌드블래스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진 탈거장치가 구비된 목재용 샌드블래스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탈진수단에 의해 필터카트리지가 진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저장부(1)와 집진통로(2)를 형성하는 가공챔버(3)와, 상기 가공챔버(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착용하는 장갑(4)과, 상기 가공챔버(3)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공챔버(3)에 수용된 피가공물(5)로 모래저장부(1)의 모래를 분사하는 샌드건(6)과, 상기 집진통로(2)를 통해 연통되어 유도팬(20)의 부압을 통해 모래와 목재분말을 분리하여 회수하는 집진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분진 탈거장치가 구비된 목재용 샌드블래스터(100)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가공챔버(3)는 피가공물(5)을 가공하기 위한 작업공간을 형성시키는 구성으로, 전면에는 내부 확인을 위한 공지된 투명창(3b)과, 작업자가 손을 투입하여 장갑(4)을 착용하기 위한 구멍(3c)을 형성한다.
그리고, 후면에 형성되는 집진통로(2)는 모래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그물망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공챔버의 내부 공간은 천공판(3d)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피가공물(5)을 작업하기 위한 작업공간과 모래가 저장되는 모래저장부(1)로 분리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샌드건(6)은 가공챔버(3)의 내부 하측 즉, 모래저장부(1)에 저장된 모래를 공급받아 피가공물(5)로 모래를 분사시키는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집진부(90)가 집진통로(2)를 통해 가공챔버(3)와 연통되어 상기 가공챔버(3)의 후방에 설치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연결설치되어 가공챔버(3)에서 발생한 모래와 목재분말 및 공기를 하우징(10) 내부로 유도시키는 유도팬(20); 상기 유도팬(20)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어 목재분말을 걸러내는 필터부재(31)와, 탄성부재(33)를 통해 상기 필터부재(31)를 하우징(10)의 상판(10a)에 연결하도록 필터부재(31)의 상부에 결합설치되는 상부캡(35)과, 상기 필터부재(31)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캡(37)과, 상기 하우징(10)의 상판(10a)과 상부캡(35)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도록 연결설치되는 신축관(39)을 구성한 필터카트리지(30);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설치되는 구동모터(41)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베어링결합되어 구동모터(41)의 구동에 따라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회동하는 회동축(42)과, 지지대(43)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베어링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작동축(44)과, 상기 회동축(42)과 작동축(44)에 결합되어 서로 치합되는 제1, 2기어(45a, 45b)를 구비한 베벨기어(45)와, 상기 작동축(44)의 하단에 결합되어 연동하는 연동원판(47)과, 일측이 상기 연동원판(47)에 편심결합되고 타측이 필터카트리지(30)에 결합되어 구동모터(41)의 구동에 따라 상기 필터카트리지(30)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전달바(48)로 구성된 탈진수단(4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전방 측에 배치되어 집진통로(2)를 통해 하우징(10)으로 유도되는 모래를 충돌작용으로 낙하시키는 낙하부재(50); 상기 하우징(10)을 필터카트리지(30)가 설치된 제1하우징(11)과, 낙하부재가 설치된 제2하우징(12)으로 구분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직배치되어 모래와 목재분말을 분리시키는 철망매쉬(60); 상기 철망매쉬(60)에 의해 구획된 제1하우징(11)의 하측에 연결되어 낙하부재(50) 및 철망매쉬(60)와의 충돌에 의해 낙하되는 모래를 가공챔버(3)의 모래저장부(1)로 회수시키는 모래회수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집진부(70)의 하우징(10)은 상기 가공챔버(3)의 후방에 설치되어 공기에 포함된 모래와 목재분말 즉, 상기 샌드건(6)을 통해 분사된 모래와, 분사된 모래에 의해 피가공물(5)이 가공되면서 발생하는 목재분말을 집진통로(2)를 통해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상기 모래와 나무를 분리 회수하기 위해 구성되는 통상의 케이스로서, 내부에는 목재분말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카트리지(30)를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집진부(70) 전방에는 하우징(10)으로 유도되는 모래와 목재분말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집진통로(2)와 이격되도록 가공챔버(3)의 내부에 배치되는 충돌판(3a)을 구성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충돌판(3a)은 일부가 가공챔버(3)에 조립 또는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공챔버(3)의 내부에 고정설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충돌판(3a)이 형성되어 있을 때에는 집진통로(2)가 하우징(10)의 전방 상측 즉, 충돌판(3a)의 상단에서 중단이 위치한 부분에만 형성됨으로써, 비중이 무거운 모래의 낙하가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충돌판(3a)에 의하면, 하우징(10) 내부로 유도되는 모래와 목재분말이 상기 충돌판(3a)에 각각 충돌하는 작용에 의해, 비중 차 즉, 무게가 무거운 모래는 낙하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무게가 가벼운 목재분말을 유도팬(20)의 흡기력에 의해 부유하여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므로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모래가 1차적으로 분리되어 진다.
둘째, 유도팬(20)는 하우징(10)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가공챔버(3)에서 발생한 모래와 목재분말 및 공기를 하우징(10) 내부로 유도시키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공지된 통상의 팬 블로워(Fan blower)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0) 내에서 목재 분말이 용이하게 걸러질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상판에 연통구(10b)를 형성하여 연결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필터카트리지(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도팬(20)을 통해 유입되는 목재분말을 걸러내는 통상의 필터로서, 상기 유도팬(20)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어 목재분말을 걸러내는 필터부재(31)와,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33)를 통해 상기 필터부재(31)를 하우징(10)의 상판(10a)에 연결하도록 필터부재(31)의 상부에 결합설치되는 상부캡(35)과, 상기 필터부재(31)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캡(37)을 구성하다.
여기서, 탄성부재()는 탈진수단에 의해 필터카트리지에 진동이 가해졌을 시, 필터카트리지가 상판에서 떨어지는 현상 없이 용이하게 흔들릴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 상기 필터카트리지의 용이한 지지를 위하여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용이한 설치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판과 상부캡에는 탄성부재의 끝단을 각각 걸기 위한 고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카트리지(30)에는 유도팬(20)에 의한 목재분말 및 공기의 유도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상판(10a)과 상부캡(35)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밀폐수단이 더 포함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밀폐수단은 상기 하우징(10)의 상판(10a)과 상부캡(35)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신축관(39)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이러한 신축관(39)은 밸로우즈(bellows) 타입의 주름관으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넷째, 탈진수단(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카트리지에 진동을 가하여 필터부재에 쌓인 목재분말을 털어내는 구성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설치되는 구동모터(41)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베어링결합되어 구동모터(41)의 구동에 따라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회동하는 회동축(42)과, 지지대(43)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베어링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작동축(44)과, 상기 회동축(42)과 작동축(44)에 결합되어 서로 치합되는 제1, 2기어(45a, 45b)를 구비한 베벨기어(45)와, 상기 작동축(44)의 하단에 결합되어 연동하는 연동원판(47)과, 일측이 상기 연동원판(47)에 편심결합되고 타측이 필터카트리지(30)에 결합되어 구동모터(41)의 구동에 따라 상기 필터카트리지(30)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전달바(48)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전달바(48)의 용이한 결합설치를 위하여, 상기 필터카트리지(30)의 하부캡(37)에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하측으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결합돌기(36)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탈진수단(40)의 연동원판(47) 하면에는 편심되게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결합돌기(46)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동전달바(48)에는 제1, 2결합돌기(36, 46)에 대응되는 제1, 2결합홀(48a, 48b)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진동전달바(48)의 일측이 하부캡(37)에 링크결합되고, 진동전달바(48)의 타측이 연동원판(47)에 링크결합되어야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2결합돌기(36, 46)의 끝단에는 링크결합된 진동전달바(48)의 탈착방지를 위한 체결부재(36a, 46a)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야 하는데, 상기 체결부재(36a, 46a)는 제1, 2결합돌기(36, 46)의 끝단에 결합되는 통상의 스냅링 등으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낙하부재(5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전방 측에 배치되어 가공챔버(3)의 집진통로(2)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유도되는 모래를 낙하시키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다수의 격판(53)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다수로 구성된 격판(53)은 하우징(10)의 내부로 유도되는 모래와 목재분말이 충돌되게 하는 것을 통해 모래의 낙하를 이루게 하는 구성으로, 목재분말이 유도팬(20)의 흡기작동을 통해 부유되어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낙하부재(50)에는 집진통로(2)와 연통되는 이동통로(51)가 형성되며, 이와 같은 이동통로(51)는 다수로 구성되는 격판(53)이 하우징(10)의 내부 전체면적을 다 가리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격판(53)은 제1하우징(11) 상측에 한 쌍으로 이격 설치되어 하부에 이동통로(51)와 연통되는 개구를 형성시키는 상측격판(53a)과,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측격판(53a)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하우징(11)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부에 이동통로(31)와 연결되는 개구를 형성시키는 하측격판(53b)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상, 하측격판(53a, 53b)은 각각의 개구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집진통로(2)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유도되어 이동통로(31)를 따라 상, 하측격판(53a, 53b)을 통과하는 모래와 목재분말은 상기 상, 하측격판(53a, 53b)에 각각 충돌하는 과정에서 비중 차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2차 분리가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상기 상, 하측격판(53a, 53b)에 각각 충돌하는 충격에 의해 비중이 무거운 모래는 낙하하게 되고, 비중이 가벼운 목재분말은 유도팬(20)의 흡기력에 의해 부유되어 이동통로(31)로 연속적으로 유도되는 작용이 이루어져 모래와 목재분말의 2차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섯째, 철망매쉬(60)는 낙하되지 않은 일부의 모래와 목재분말의 최종 분리를 위해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직배치되어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하우징(10)을 필터카트리지(30)가 설치되어 있는 제1하우징(11)과, 낙하부재(50)가 설치되어 있는 제2하우징(12)으로 구분시키며, 이를 통해, 비중이 무거운 일부의 모래는 철망매쉬(60)와의 충돌을 통해 제1하우징(11)의 하부에 쌓이도록 하고, 비중이 가벼운 목재분말은 유도팬(20)의 유도에 의해 철망매쉬(60)를 통과하여 제2하우징(12)에 모이도록 하는 완벽한 분리 작용이 이루어진다.
일곱째, 모래회수부(70)는 상기 철망매쉬(60)에 의해 구획된 제1하우징(10)의 하측에 연결되어, 격판(53)에 의해 제1하우징(11)의 하부로 낙하되어 쌓인 모래를 가공챔버(3)의 모래저장부(1)로 회수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모래회수부(70)가 하측격판(53b)이 위치한 제1하우징(11)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통해 상측격판(53a)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들 즉, 이동통로(51)와 연통되어 형성됨으로써 상, 하측격판(53a, 53b) 및 철망매쉬(60)와의 충돌에 따라 낙하된 모래를 모두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모래회수부(70)는 통상의 파이프로 형성되어 낙하되는 모래를 가공챔버(3)의 내부 즉, 모래저장부(1)로 곧바로 회수되게 할 수도 있으나, 상기 모래회수부(70)에 개폐밸브(71)를 더 포함시켜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원하는 시점에 제1하우징(11) 및 모래회수부(70)에 쌓인 모래를 모래저장부(1)로 회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철망매쉬(60)를 통과하여 제2하우징(12)으로 유도된 목재분말의 용이한 회수를 위해 상기 제2하우징(12)의 하부에는 목재분말회수부(8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목재분말회수부(80)는 통상의 관으로 형성되거나, 제2하우징(12)의 하부에 결합되는 서납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에 의해 피가공물(5)이 가공되는 상태에서 유도팬(20)이 작동되면, 샌드건(6)에서 분사되어 피가공물시(5) 가공하는 모래의 일부와, 상기 피가공물(5) 가공시 발생하는 목재분말이 공기와 함께 집진부(90)로 유도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유도되는 모래와 목재분말은 충돌판(3a)에 충돌하게 되어 모래와 목재분말의 1차 분리가 이루어지고, 이후 이동통로(51)를 통해 유도되는 과정에서 다수의 격판(53)에 충돌하여 2차 분리가 이루어지고, 마지막으로 철망매쉬(60)에 충돌하는 것에 의해 모래와 목재분말의 완전 분리가 이루어져, 상기 모래는 가공챔버(3)의 모래저장부(1)로 회수되고, 목재분말은 제2하우징(12)에 모이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유도팬(20)에 의해 일부의 모래와 목재분말이 충돌판(3a)에 충돌하게 되면, 비중이 무거운 모래는 낙하하여 모래저장부(1)로 회수되는 작용이 이루어지고, 비중이 가벼운 목재분말은 충돌 반발력 및 유도팬(20)의 흡기력에 의해 부유하게 되므로 더 많은 목재분말의 유도가 이루어져 가공챔버(3) 내에서 비산되는 목재분말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래와 목재분말의 1차 분리를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1차 분리 작동시에는 일부의 모래 및 목재분말이 충돌판(3a)에 충돌하지 않은 상태로 집진통로(2) 및 이동통로(51)를 통과하여 낙하부재(50)의 격판(53)에 충돌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격판(53)은 한 쌍의 상측격판(53a)과, 상기 상측격판(53a)의 사이에 배치되는 하측격판(53b)으로 이루어져, 이동통로(31)를 통과하는 모래 및 목재분말이 파형곡선의 형태로 유도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로 인해, 낙하부재(50)의 이동통로(51)를 통과하는 충돌 과정에서 대부분의 모래가 낙하하여 제1하우징(11)에 연결된 모래회수부(70)를 통해 모래저장부(1)로 회수되고, 비중이 가벼운 목재분말은 부유하는 것에 의해 유도팬 방향으로 유도되는 2차 분리가 이루어진다.
아울러, 2차 분리시 완벽한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일부의 모래는 철망매쉬(60)에 충돌하는 과정을 통해 목재분말과의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져 모래회수부(70)를 통해 모래저장부(1)로 모두 회수되는 작용이 이루어지고, 부유되는 목재분말은 철망매쉬(60)의 통공을 통해 제2하우징(12)으로 유입된 후, 카트리지필터(30)에 의해 걸려져 제2하우징(12) 내에 쌓이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모래의 자동 분리 및 회수를 통해 모래의 재충전 없이도 연속적인 피가공물(5) 가공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재분말회수부(80)를 통해 제2하우징(12) 내에 쌓인 목재분말을 손쉽게 수거할 수 있어 편리한 재사용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필터카트리지(30)에 목재분말이 많이 쌓이게 되면, 공기의 유동통로가 좁아져 공기 및 목재분말의 유도가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탈진수단(40)을 이용하여 필터카트리지(30)의 필터부재(31)에 쌓인 목재분말을 털어낼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헌다.
먼저, 탈진수단(40)에 구성된 구동모터(41)의 정,역회전 구동에 따라 회동축(42)이 회동하면, 베벨기어(45)를 통해 상기 회동축(42)에 결합되어 있는 작동축(44)이 연동되어 연동원판(47)이 회전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동원판(47)에 편심결합되어 있는 진동전달부(48)가 좌우방향으로 이송되는 작용이 이루어져, 상기 진동전달부(48)에 결합되어 있는 필터카트리지(30)가 흔들리게 되는데, 상기 필터카트리지(30)의 상부캡(35)는 탄성부재(33)를 통해 하우징(10)의 상판(10a)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탄성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해 필터카트리지(30)의 흔들림 즉, 진동이 용이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하우징(10)의 상판(10a)과 필터카트리지(30)의 상부캡(35)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신축관(39)의 신축이 연동되므로 필터카트리지(30)의 필터부재(31)에 쌓여 있는 목재분말의 탈리가 쉽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진 탈거장치가 구비된 목재용 샌드블래스터(100)를 이용하면 공기와 함께 집진부(90)로 유도되는 모래와 목재분말이 낙하부재(50)에 충돌하는 것에 의해 무거운 모래의 낙하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가벼운 목재분말을 부유시키도록 함으로써 모래와 목재분말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필터카트리지(30)가 탄성부재(33)를 통해 하우징(10)의 상판(10a)에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41)의 구동에 따라 연동되어 필터카트리지(30)에 진동을 가하는 탈진수단(40)을 통해 필터카트리지(30)에 진동을 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필터카트리지(30)에 쌓인 목재분말을 용이하게 털어낼 수 있으며, 하우징(10)의 상판(10a)과 필터카트리지(30)의 상부캡(35)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신축관(39)으로 인해 유도팬에 의한 목재분말의 유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1 : 모래저장부 2 : 집진통로 3 : 가공챔버 3a : 충돌판 3b : 투명창 3c : 구멍 3d : 천공판 4 : 장갑 5 : 피가공물 6 : 샌드건
10 : 하우징 11, 12 : 제1, 2하우징 15 : 필터
20 : 유도팬
30 : 필터카트리지 31 : 필터부재 33 : 탄성부재 35 : 상부캡 36 : 제1결합부재 36a : 체결부재 37 : 하부캡 39 : 신축관
40 : 탈진수단 41 : 구동모터 42 : 회동축 43 : 지지대 44 : 작동축 45 : 베벨기어 45a, 45b : 제1, 2기어 46 : 제2결합부재 46a : 체결부재 47 : 연동원판 48 : 진동전달바 48a, 48b : 제1, 2결합홀
50 : 낙하부재 51 : 이동통로 53 : 격판 53a, 53b : 상, 하측격판
60 : 철망매쉬 70 : 모래회수부 71 : 개폐밸브
80 : 목재분말회수부 90 : 집진부
100 : 목재용 샌드블래스트

Claims (2)

  1. 모래저장부(1)와 집진통로(2)를 형성하는 가공챔버(3)와, 상기 가공챔버(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착용하는 장갑(4)과, 상기 가공챔버(3)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공챔버(3)에 수용된 피가공물(5)로 모래저장부(1)의 모래를 분사하는 샌드건(6)과, 상기 집진통로(2)를 통해 연통되어 유도팬(20)의 부압을 통해 모래와 목재분말을 분리하여 회수하는 집진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집진부(90)는,
    집진통로(2)를 통해 가공챔버(3)와 연통되어 상기 가공챔버(3)의 후방에 설치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연결설치되어 가공챔버(3)에서 발생한 모래와 목재분말 및 공기를 하우징(10) 내부로 유도시키는 유도팬(20);
    상기 유도팬(20)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어 목재분말을 걸러내는 필터부재(31)와, 탄성부재(33)를 통해 상기 필터부재(31)를 하우징(10)의 상판(10a)에 연결하도록 필터부재(31)의 상부에 결합설치되는 상부캡(35)과, 상기 필터부재(31)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캡(37)과, 상기 하우징(10)의 상판(10a)과 상부캡(35)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도록 연결설치되는 신축관(39)을 구성한 필터카트리지(30);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설치되는 구동모터(41)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베어링결합되어 구동모터(41)의 구동에 따라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회동하는 회동축(42)과, 지지대(43)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베어링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작동축(44)과, 상기 회동축(42)과 작동축(44)에 결합되어 서로 치합되는 제1, 2기어(45a, 45b)를 구비한 베벨기어(45)와, 상기 작동축(44)의 하단에 결합되어 연동하는 연동원판(47)과, 일측이 상기 연동원판(47)에 편심결합되고 타측이 필터카트리지(30)에 결합되어 구동모터(41)의 구동에 따라 상기 필터카트리지(30)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전달바(48)로 구성된 탈진수단(4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전방 측에 배치되어 집진통로(2)를 통해 하우징(10)으로 유도되는 모래를 충돌작용으로 낙하시키는 낙하부재(50);
    상기 하우징(10)을 필터카트리지(30)가 설치된 제1하우징(11)과, 낙하부재가 설치된 제2하우징(12)으로 구분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직배치되어 모래와 목재분말을 분리시키는 철망매쉬(60);
    상기 철망매쉬(60)에 의해 구획된 제1하우징(11)의 하측에 연결되어 낙하부재(50) 및 철망매쉬(60)와의 충돌에 의해 낙하되는 모래를 가공챔버(3)의 모래저장부(1)로 회수시키는 모래회수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카트리지(30)의 하부캡(37)에는 하측으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36)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탈진수단(40)의 연동원판(47) 하면에는 편심되게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결합돌기(46)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진동전달바(48)에는 제1, 2결합돌기(36, 46)에 대응되는 제1, 2결합홀(48a, 48b)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 상기 진동전달바(48)가 하부캡(37)과 연동원판(47)에 각각 링크결합되며,
    상기 제1, 2결합돌기(36, 46)의 끝단에는 링크결합된 진동전달바(48)의 탈착방지를 위한 체결부재(36a, 46a)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탈거장치가 구비된 목재용 샌드블래스터.
  2. 삭제
KR1020170026418A 2017-02-28 2017-02-28 분진 탈거장치가 구비된 목재용 샌드블래스터 KR101899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418A KR101899461B1 (ko) 2017-02-28 2017-02-28 분진 탈거장치가 구비된 목재용 샌드블래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418A KR101899461B1 (ko) 2017-02-28 2017-02-28 분진 탈거장치가 구비된 목재용 샌드블래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007A KR20180100007A (ko) 2018-09-06
KR101899461B1 true KR101899461B1 (ko) 2018-09-18

Family

ID=63593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418A KR101899461B1 (ko) 2017-02-28 2017-02-28 분진 탈거장치가 구비된 목재용 샌드블래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4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137A (ko) 2020-06-15 2021-12-22 김규형 노즐 구동 라인 밀폐형 샌드 블라스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7107A (zh) * 2018-11-06 2019-03-01 广东江晟铝业有限公司 铝型材阳极氧化处理方法
KR101994197B1 (ko) * 2019-01-17 2019-07-01 주식회사 에이지 석영물체 자동 샌딩 시스템
CN115350517B (zh) * 2022-08-01 2024-03-15 黄山艾科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的布袋过滤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4961A (zh) * 2015-10-08 2015-12-30 宜昌市家和现代农业机械有限公司 一种烟尘循环过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941B1 (ko) 2012-10-25 2014-07-08 주식회사 나무공작소 목재 분말의 분리가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4961A (zh) * 2015-10-08 2015-12-30 宜昌市家和现代农业机械有限公司 一种烟尘循环过滤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137A (ko) 2020-06-15 2021-12-22 김규형 노즐 구동 라인 밀폐형 샌드 블라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007A (ko) 2018-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461B1 (ko) 분진 탈거장치가 구비된 목재용 샌드블래스터
EP0453177B1 (en) Unattended air cleaning system for surface maintenance machine
CN206604758U (zh) 一种砂石筛分机
CN210332034U (zh) 一种新型制鞋机械用除尘设备
US5042724A (en) Fluorescent tube crusher with particulate separation and recovery
CN1980772A (zh) 喷射处理装置
KR101102060B1 (ko) 샌드 블라스터 시스템
CN201574369U (zh) 一种气动磁选清扫车
CN105361815A (zh) 过滤器振动装置及其自清洁方法及吸尘器
JP6026978B2 (ja) 集塵機
EP0620033B1 (en) Dust collector with means for spraying water
KR101416941B1 (ko) 목재 분말의 분리가 가능한 목재용 샌드 블래스터
CN104289335A (zh) 粉末静电喷涂系统
JP2007508921A (ja) 静電粉末設備用供給ステーション
CN220125738U (zh) 一种选矿粉尘处理机
JP2013252481A (ja) エアフィルタ再生方法及びエアフィルタ再生装置
JP3220445U (ja) 集塵装置
US8256061B2 (en) Filter shaker assembly for sweeping machine
CN207401304U (zh) 一种混凝土膨胀剂生产用袋除尘器
CN214362772U (zh) 一种公路工程用的公路裂缝处理装置
KR102427485B1 (ko) 노즐 구동 라인 밀폐형 샌드 블라스터
CN107335298A (zh) 一种旋转式高效布袋除尘器
KR100923467B1 (ko) 스트립 그라인더 집진 설비의 스와프 필터링 장치
TWI442967B (zh) 粉末自動回收系統
KR20210073787A (ko) 싸이클론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