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207B1 - 복사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복사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복사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복사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207B1
KR101899207B1 KR1020160072273A KR20160072273A KR101899207B1 KR 101899207 B1 KR101899207 B1 KR 101899207B1 KR 1020160072273 A KR1020160072273 A KR 1020160072273A KR 20160072273 A KR20160072273 A KR 20160072273A KR 101899207 B1 KR101899207 B1 KR 101899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link
jig
wood
radi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0455A (ko
Inventor
이현진
Original Assignee
이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진 filed Critical 이현진
Priority to KR1020160072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207B1/ko
Publication of KR20170140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5/00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copying directly from a pattern or a master model; Devices for use in copying manu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5/02Machines with 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5/02Machines with table
    • B27C5/06Arrangements for clamping or feeding work

Abstract

본 발명은 복사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복사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목공 작업 테이블의 후면에 수직 상방으로 지지 고정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에 결합되어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Z축이동부재와, 복수의 관절을 포함하여 상기 Z축이동부재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면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절형이동부재와, 상기 관절형이동부재의 끝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하부끝단부가 축소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타겟의 테두리를 따라 안내되는 복사가이드부재와, 상기 관절형이동부재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복사가이드부재의 안내에 따라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축소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목재에 상기 타겟을 축소하여 복사 가공하는 복사가공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가공하고자 하는 형상, 문자 등을 축소하여 복사하고자 하는 목재에 쉽게 축소 복사 가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사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복사 가공 방법{DUPLICATION FABRICATING GIG AND IT USED UNEVEN STRUCTURE FABRICATING METHOD}
본 발명은 다목적 목공 장치에 복사 가공용 지그를 결합 및 장착하여 가공하고자 하는 형상, 문자 등을 축소시켜 복사하고자 하는 목재에 쉽게 복사 가공할 수 있는 복사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복사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목재 가공기는 각종 목재를 종류와 형식에 따라 가공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절단기(cutter), 루터기(router), 보링머신(boring machine), 면취기(deburring machine) 등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테이블쏘(table saw) 등과 같은 절단기는 목재원판을 절단하는데 사용되고, 루터기는 목재의 부분 가공, 층 가공, 라운드 가공, 몰딩 가공 등에 사용되며, 보링머신은 목재에 다양한 형태의 구멍을 가동하는데 사용되고, 면취기는 목재의 표면을 갈아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가공하고자 하는 형상, 문자 등이 포함된 목조 구조물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형상, 문자 등에 대응하는 도면을 작성한 후, 그 도면에 따라 목조 구조물에 가공하고자 하는 형상, 문자 등을 가공하고, 이를 반복함으로써 가공하고자 하는 형상, 문자 등이 포함된 복수의 목조 구조물을 가공할 수 있다.
하지만, 동일한 형상, 문자 등을 가공하기 위해 목조 구조물에 각각의 형상, 문자 등을 일일이 가공할 경우 생산성이 낮아 소비자 가격이 상승하고, 각각의 작업 중 작업환경과 작업상태에 따라 그 품질에 차이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목공 작업의 효율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6871호(2012.08.20.등록) : 자동 목재조각기 2.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92344호(2005.09.21.공개) : 목재가공 조각장치
본 발명은 다목적 목공 장치에 복사 가공용 지그를 결합 및 장착하여 가공하고자 하는 형상, 문자 등을 축소시켜 복사하고자 하는 목재에 쉽게 복사 가공할 수 있는 복사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복사 가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사 가공용 지그를 목공 작업 테이블에 결합시킨 후, 가공하고자 하는 형상, 문자 등에 안내되는 가이드구를 이용하여 복사하고자 하는 목재에 해당 형상, 문자 등을 축소시켜 복사 가공함으로써, 동일한 형상, 문자 등을 포함하는 목조 구조물의 제조 생산성을 증가시키면서 작업환경과 작업상태에 따라 품질 차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목공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사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복사 가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목공 작업 테이블의 후면에 수직 상방으로 지지 고정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에 결합되어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Z축이동부재와, 복수의 관절을 포함하여 상기 Z축이동부재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면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절형이동부재와, 상기 관절형이동부재의 끝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하부끝단부가 축소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타겟의 테두리를 따라 안내되는 복사가이드부재와, 상기 관절형이동부재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복사가이드부재의 안내에 따라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축소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목재에 상기 타겟을 축소하여 복사 가공하는 복사가공부재를 포함하는 복사 가공용 지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목공 작업 테이블의 상부에 축소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목재와 축소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타겟이 형성된 타겟목재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목공 작업 테이블에 관절 형태를 갖는 복사 가공용 지그를 장착한 후, 복사 가공용 지그에 구비된 복사가이드부재를 상기 타겟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복사 가공용 지그에 장착된 복사가공부재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복사 가공용 지그를 이용하여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을 조정하여 상기 타겟목재에 위치하는 상기 복사가이드부재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복사가이드부재가 상기 타겟의 테두리에 안내될 때, 상기 목재에 위치하는 복사가공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을 상기 목재에 축소하여 복사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사 가공용 지그를 이용한 복사 가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목적 목공 장치에 복사 가공용 지그를 결합 및 장착하여 가공하고자 하는 형상, 문자 등을 축소시켜 복사하고자 하는 목재에 쉽게 복사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사 가공용 지그를 목공 작업 테이블에 결합시킨 후, 가공하고자하는 형상, 문자 등에 안내되는 가이드구를 이용하여 복사하고자 하는 목재에 해당 형상, 문자 등을 축소시켜 복사 가공함으로써, 동일한 형상, 문자 등을 포함하는 목조 구조물의 제조 생산성을 증가시키면서 작업환경과 작업상태에 따라 품질 차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목공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 가공용 지그가 결합되는 다목적 목공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 가공용 지그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사 가공용 지그를 이용하여 축소 복사 가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계별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 가공용 지그가 결합되는 다목적 목공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 가공용 지그를 예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X축 방향은 목공 작업 테이블(100)의 좌우 방향이며, Y축 방향은 목공 작업 테이블(100)의 전후 방향이고, Z축 방향은 목공 작업 테이블(100)의 상하 방향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사 가공용 지그가 결합되는 다목적 목공 장치는 목공 작업 테이블(100), 복사 가공용 지그(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목공 작업 테이블(100)은 목공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테이블로서, 지지포스트 부재(110), 베이스프레임 부재(120), 바이스 부재(130), 슬라이딩 부재(140), 이송 부재(150), 치수가이드 부재(160), 목재 받침 부재(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포스트 부재(110)는 목공 작업 테이블(100)을 목공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높이(예를 들면, 사람의 허리 부근 등)로 설치되어 후술하는목공 작업 테이블(100)의 구성부들을 지지하는 것으로, 수직포스트(112), 수평포스트(114), 높이조절구(1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포스트(112)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목재 등으로 제작된 포스트 4개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목공 작업 테이블(100)의 구성부를 지지하고, 수평포스트(114)는 각각의 수직포스트(112)에 수평으로 고정 결합되어 수직포스트(112)가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며, 높이조절구(116)는 볼트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에 대응하여 목공 작업 테이블(100)을 대략 15-30mm 정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구(116)는 수직포스트(112)의 하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수평계를 통해 각 수직포스트(112)의 높이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바닥면의 경사에 상관없이 목공 작업 테이블(10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평포스트(114)에는 목재 가공기에 장착되어 램핑 가공, 측면 가공, 포켓 가공, 헬리컬 가공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앤드밀(end mill)을 보관하기 위해 복수의 보관공이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엔드밀을 쉽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목공 작업을 위해 쉽게 교체 및 장착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 부재(120)는 프레임구조로 지지포스트 부재(110)에 지지되는 것으로, 전후베이스프레임(122), 좌우가이드홈(123), 좌우베이스프레임(124), 고정슬라이드(125), 제 1 지그 결합홈(126), 보조 결합홈(127), 관통공(도시 생략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후베이스프레임(122) 및 좌우베이스프레임(124)은 목공 작업 테이블(110)의 틀이 되는 사각형의 프레임 구조물이며, 관통공은 전후베이스프레임(122) 중 전방베이스프레임(122a)의 내측 및 외측을 관통 형성되어 후술하는 이동 및 고정 부재(130)의 이동스크류(132)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후베이스프레임(122)은 전방베이스프레임(122a)와 후방베이스프레임(122b)을 포함하며, 지지포스트 부재(110)의 수직포스트(112)에 수평으로 지지되는데, 전방베이스프레임(122a)에는 이동스크류(132)의 회전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별도의 볼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고, 상부와 내측면에는 목재 가공을 위한 목공 지그가 결합되는 제 1 지그 결합홈(1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지그 결합홈(126)은 전후베이스프레임(122)의 상부 및 내측면에 전후 방향 기 설정된 간격(예를 들면, 50 mm, 100 mm 등)으로 적어도 하나가 배열되고, 좌우 방향 기 설정된 간격(예를 들면, 50 mm, 100 mm 등)으로 적어도 하나가 배열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제 1 지그 결합홈(126)은 필요에 따라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에서 서로 다른 간격(예를 들면, 50 mm, 100 mm 등)으로 배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방베이스프레임(122a)의 상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좌우가이드홈(123)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좌우가이드홈(123)을 따라 고정슬라이드(125)가 이동하면서 미세 조절된 위치에 나사, 볼트 등의 고정 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슬라이드(125)의 상부에는 보조 결합홈(127)이 형성되어 목공 지그가 고정될 수 있으며, 나사,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미세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됨으로써, 이에 결합되는 목공 지그의 위치를 미세 조절할 수 있다.
바이스 부재(130)는 베이스프레임 부재(120)에 전후단으로 결합되어 가공하고자 하는 목재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이동스크류(132), 이동바이스(134), 자유바이스(136), 바이스핸들(13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스크류(132)는 일단이 베이스프레임 부재(120)의 전후베이스프레임(122) 중 후방베이스프레임(122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전방베이스프레임(122a)에 형성된 관통공(도시 생략됨)에 관통 결합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이스핸들(138)을 통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스크류(132)는 X축 중앙부에 전후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고,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원형의 이동보조봉이 적어도 하나 구비됨으로써, 바이스 부재(130)를 이용하여 목재를 안정적으로 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이동바이스(134)는 이동스크류(132)의 회전(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며, 이동스크류(132)의 외부 나사산에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자유바이스(136)는 이동스크류(132)의 회전에 의한 이동바이스(134)의 전후방 이동에 따라 자유롭게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자유바이스(136)에는 이동스크류(132)의 회전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별도의 볼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동바이스(134)의 상부 및 측면에는 목재 가공을 위한 목공 지그가 결합되는 제 2 지그 결합홈(135)이 형성될 수 있고, 자유바이스(136)의 상부 및 측면에는 목재 가공을 위한 목공 지그가 결합되는 제 3 지그 결합홈(13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지그 결합홈(135) 및 제 3 지그 결합홈(137)은 각각 상부 및 측면에 전후 방향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가 배열되고, 좌우 방향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가 배열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제 2 지그 결합홈(135) 및 제 3 지그 결합홈(137)은 각각 필요에 따라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에서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이스핸들(138)은 이송스크류(132)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송스크류(132)의 타단에 고정결합되는 핸들블록(138a)과, 핸들블록(138a)의 폭방향으로 관통 결합되어 바이스핸들(138)을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138b)과, 이송스크류(13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전방베이스프레임(122a)을 관통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볼베어링(138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들(138b)은 핸들블록(138a)에 관통 결합된 상태로 외부로 돌출된 봉 형태를 가지며, 양단에 핸들블록(138a)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어느 한쪽으로 돌출시켜 바이스핸들(138)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중앙에 이송스크류(132) 및 바이스핸들(138)이 중앙에 하나가 구비되고, 보조하는 이동보조봉(133)이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송스크류(132) 및 바이스핸들(138)이 도 3에서 이동보조봉(133)이 위치하는 곳에 두 개가 각각 구비되면서, 각 이송스크류(132)에 체인, 기어 등을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하나의 이송스크류(132)가 회전할 경우 다른 이송스크류(132)로 동일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이송스크류(132)의 동일한 회전으로 인해 이동바이스(134)와 자유바이스(136)가 동일하게 이동됨으로써, 목공 작업 테이블(100)의 Y축 방향(예를 들면, 전방 방향)으로 동일한 힘을 가하여 가공하고자 하는 목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송스크류(132), 이동보조봉(133), 바이스핸들(138) 등의 구성은 이동바이스(134)와 자유바이스(136)의 안정적인 이동과 목재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필요에 따라 복수 개를 조합하여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베이스프레임 부재(120)에 구비된 전후베이스프레임(122)의 전방베이스프레임(122a) 및 후방베이스프레임(122b)에는 수평에서 보면, 전방베이스프레임(122a)의 후면 상단부와 후방베이스프레임(122b)의 전면 상단부에는 X축 방향으로 길게 일정 간격만큼 돌출된 돌출부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분에도 제 1 지그 결합홈(126)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이스 부재(130)의 이동바이스(134) 및 자유바이스(136)에도 각각 수평에서 보면 각 전면 및 각 후면의 상단부에 X축 방향으로 길게 일정 간격만큼 돌출된 돌출부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분에도 각각 제 2 지그 결합홈(135) 및 제 3 지그 결합홈(137)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돌출부분은 가공하고자 하는 목재는 길이방향(즉, X축 방향)으로 균일한 면을 갖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그 균일하지 않은 목재를 측면에서 길이방향(즉, X축 방향)으로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140)는 베이스프레임 부재(120)와 바이스 부재(13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이스 부재(130)를 전후 방향(즉,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으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 부재(120)의 전후베이스프레임(122)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외측롤러(142)와 복수의 내측롤러(144), 복수의 외측롤러(142) 및 복수의 내측롤러(144)를 따라 설치된 연결와이어(146), 바이스 부재(130)의 이동바이스(134) 및 자유바이스(136)의 하부에 구비되어 연결와이어(146)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구(14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를 들면, 복수의 외측롤러(142)가 왼쪽 상부에서 시계방향으로 제 1 외측롤러(142/1), 제 2 외측롤러(142/2), 제 3 외측롤러(142/3) 및 제 4 외측롤러(142/4)로 구비되고, 복수의 내측롤러(144)가 왼쪽 상부에서 시계방향으로 제 1 내측롤러(144/1), 제 2 내측롤러(144/2), 제 3 내측롤러(144/3) 및 제 4 내측롤러(144/4)로 구비되며, 복수의 고정구(148)가 복수의 내측롤러(144)에서 연장되는 연결와이어(146) 경로 상에 이동바이스(134)의 하부에 왼쪽부터 제 1 고정구(148/1) 및 제 2 고정구(148/2)가 구비되고, 자유바이스(136)의 하부에 왼쪽부터 제 3 고정구(148/3) 및 제 4 고정구(148/4)가 구비되는 경우에 연결와이어(146)가 연장되는 형태를 설명하면, 복수의 외측롤러(142) 중 제 1 외측롤러(142/1)에서 연장되는 연결와이어(146)는 대각선에 위치하는 제 3 외측롤러(142/3)에 감긴 후 제 2 고정구(148/2)를 통해 이동바이스(134)에 고정된 상태에서 직선 위치에 있는 제 2 외측롤러(142/2)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외측롤러(142/2)에 감긴 연결와이어(146)는 대각선에 위치하는 복수의 내측롤러(144) 중 제 4 내측롤러(144/4)로 연장되며, 제 4 내측롤러(144/4)에 감긴 연결와이어(146)는 제 3 고정구(148/3)를 통해 자유바이스(136)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 1 내측롤러(144/1)로 연장되고, 제 1 내측롤러(144/1)에 감긴 연결와이어(146)는 대각선에 위치하는 제 3 내측롤러(144/3)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 3 내측롤러(144/3)에 감긴 연결와이어(146)는 제 4 고정구(148/4)를 통해 자유바이스(136)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 2 내측롤러(144/2)로 연장되고, 제 2 내측롤러(144/2)에 감긴 연결와이어(146)는 대각선에 위치하는 제 4 외측롤러(142/4)로 연장되며, 제 4 외측롤러(142/4)에 감긴 연결와이어(146)는 제 1 고정구(148/1)를 통해 이동바이스(134)에 고정된 상태에서 직선 위치에 있는 제 1 외측롤러(142/1)로 연장되어 최초 연결와이어(146)와 연결됨으로써, 베이스프레임 부재(120)의 전후베이스프레임(122)에 대해 바이스 부재(130)의 이동바이스(134)와 자유바이스(136)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되어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슬라이딩 부재(140)는 간단한 구성으로 슬라이딩을 쉽게 수행할 수 있지만, 다양한 목재 가공 작업을 목공 작업 테이블(100)에서 진행할 경우 하부에서 목공 작업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슬라이딩 부재(140)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내측롤러(142′), 복수의 외측롤러(144′), 내측연결와이어(146′), 외측연결와이어(146″), 복수의 고정구(148′)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내측과 외측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바이스(134)와 자유바이스(136)가 각각 동일한 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슬라이딩 부재(140)를 구성할 경우 목공 작업 테이블(100)에서 목재 가공 작업을 진행할 경우에도 하부에서 방해됨이 없이 목재를 가공할 수 있다.
이송 부재(150)는 베이스프레임 부재(120)의 상부에 장착된 목재 가공기(예를 들면, 절단기, 루터기 등)를 X축, Y축 및 Z축으로 각각 이송시키는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152), X축이송기(154), Y축이송기(156), Z축이송기(15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52)은 직사각형 플레이트의 형태로 수직으로 전후방 양측에 구비되고, X축이송기(154)를 통해 X축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이송되며, Y축이송기(156) 및 Z축이송기(158)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152)와 베이스프레임 부재(120)의 결합 부분에는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잠금구(도시 생략됨)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잠금구는 해당 위치에서 베이스플레이트(152)를 관통하여 나사산 형태로 결합된 잠금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잠금(lock)하거나 잠금 해제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X축이송기(154)는 베이스플레이트(152)을 X축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베이스프레임 부재(120)의 전후베이스프레임(122)에 각각 좌우방향으로 구비되는 X축이송레일(154a), X축이송레일(154a)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X축이송레일홈(도시 생략됨), 베이스플레이트(152)의 하부 측면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어 베이스플레이트(152)을 X축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손잡이 역할을 하는 볼베어링 방식의 고정블록(154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X축이송레일홈에 대응하는 홈이 베이스플레이트(152)의 결합부분에 형성됨으로써, 고정블록(154b)에 작은 힘을 가하더라도 X축이송기(154)와 결합된 베이스플레이트(152)가 X축 방향으로 원활히 이송될 수 있다.
Y축이송기(156)는 베이스플레이트(152)에 Y축 방향(즉,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Y축으로 이송되는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블록으로 베이스플레이트(152)의 양단 상부 내측에 결합되는 Y축베이스블록(156a), Y축베이스블록(156a)의 내측에 돌출된 결합단 상부면에 형성된 Y축이송레일(156b), Y축이송레일(156b)에 결합되어 Y축 방향(즉,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는 Y축이송블록(156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Y축이송기(156)에는 장착된 목재 가공기(예를 들면, 루터기 등)를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157)가 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Y축 치수선, Y축 지시구 및 Y축 고정구가 구비되어 작업 위치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다.
Z축이송기(158)는 Y축이송기(156)에 Z축 방향(즉,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장착된 목재 가공기를 Z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Y축 이송기(156)의 Y축이송블록(156c)에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158a), 지지플레이트(158a)에 결합되어 Z축 방향으로 목재 가공기(예를 들면, 루터기 등)를 이송시키는 Z축이송모듈(도시 생략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Z축이송기(158)에는 Z축 치수선, Z축 지시구 및 Z축 고정구가 구비되어 목재 가공기의 Z축 위치를 조정한 후 해당 작업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Z축이송모듈은 유압, 공압, 스크류, 레일 등을 이용하여 이송시킬 수 있으며, 종래에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X축이송기(154)에는 고정블록(154b)에 작은 힘을 가하더라도 베이스플레이트(152)의 전단과 후단에서 동일한 위치만큼 X축 방향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측면롤러와 이를 연결하는 슬라이딩와이어(B)가 구비될 수 있는데, 복수개의 측면롤러는 베이스프레임 부재(120)의 외측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 부재(120)의 측면 모서리 4개에 각각 복수개의 측면롤러가 구비될 수 있는데, 도면에서 왼쪽 상부 모서리부터 시계방향으로 각 모서리에 제 1 측면롤러(A1), 제 2 측면롤러(A2), 제 3 측면롤러(A3) 및 제 4 측면롤러(A4)가 구비되고, 정면의 왼쪽 상부에서 시계방향으로 제 5 측면롤러(A5), 제 6 측면롤러(A6), 제 7 측면롤러(A7) 및 제 8 측면롤러(A8)가 구비되며, 제 1 측면롤러제 1 측면롤러(A1)와 제 2 측면롤러(A2)의 사이에 연장되는 슬라이딩와이어(B)에는 제 1 고정구(S1)가 구비되고, 제 5 측면롤러(A5)와 제 6 측면롤러(A6)의 사이에 연장되는 슬라이딩와이어(B)에는 제 2 고정구(S2)가 구비됨으로써, 제 1 고정구(S1)와 제 2 고정구(S2)를 통해 슬라이딩와이어(B)와 고정된 베이스플레이트(152)가 전단 및 후단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를 이동하는 슬라이딩와이어(B)를 통해 X축 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동될 수 있다.
치수가이드 부재(160)는 이송 부재(150)에 구비되어 X축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목재 가공 치수를 가이드하는 것으로, X축이송레일(154a)에 길이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표시된 치수선(162), 목재 가공 치수를 맞추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152)에 구비되어 치수선(162)을 지시하는 지시구(164), 목공 지그를 이용하여 지시구(164)를 통해 조절된 위치를 유지시키는 스토퍼(16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치수선(162)은 필요에 따라 센티미터 단위, 미리미터 단위, 인치 단위 등 다양한 종류의 단위를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고, 지시구(164)는 지시하고자 하는 위치와 목재 가공기의 위치에 따라 기 설정된 간격만큼 베이스플레이트(152)의 일단면에서 길이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66)는 이송 부재(150)에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152) 중 전방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된 스토퍼고정구(166a)와, 스토퍼고정구(166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X축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는 스토퍼편(166b) 등을 포함함으로써, 스토퍼편(166b)을 이용하여 이송 부재(150)가 X축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목공 작업의 간격 범위 내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목재 받침 부재(170)는 베이스프레임 부재(120)의 후면 하방으로 구비되어 가공하고자 하는 목재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로 지지하는 받침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 부재(120)에 구비된 전후베이스프레임(122)의 전방베이스프레임(122a) 후면에 수직 하방으로 구비되는 목재받침플레이트(171)와, 목재받침플레이트(171)의 표면에 조절하고자 하는 목재의 높이를 표시하는 높이치수선(172)과, 목재받침플레이트(171)의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높이조절가이드홀(173)과, 높이조절가이드홀(173)을 따라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목재받침구(174)와, 목재받침구(174)를 목재받침플레이트(171)에 고정시키는 목재받침고정구(17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목재 받침 부재(17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전방베이스프레임(122a)의 후면 상단부에 돌출된 돌출부분의 하부로 구비될 수 있다.
복사 가공용 지그(200)는 목공 작업 테이블(100)에 결합되어 가공하고자 하는 형상, 문자 등을 축소시켜 복사 가공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절 형태를 가지면서 지지부재(210), Z축이동부재(220), 관절형이동부재(230), 복사가이드부재(240), 복사가공부재(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210)는 목공 작업 테이블(100)의 후면에 수직 상방으로 지지 고정되는 것으로, 지지블록(212), 슬라이딩홈(214), 슬라이딩블록(2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블록(212)은 목공 작업 테이블(100)의 후면에 구비되는데, 상하로 긴 사각형 블록 형태로 구비되며, 베이스프레임 부재(120)에 구비된 전후베이스프레임(122)의 후방베이스프레임(122b) 후면에 하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홈(214)은 슬라이딩블록(216)이 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지지블록(212)의 전면에 수직 방향(즉, Z축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슬라이딩홈(214)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블록(2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지지블록(212)은 후방베이스프레임(122b)의 후면에 다양한 고정수단(예를 들면, 볼트, 나사, 클램프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이는 종래에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Z축이동부재(220)는 지지부재(210)의 전면에 결합되어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Z축이동체(222), Z축조정스프링(2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Z축이동체(222)는 'ㄷ'자 형태로 지지부재(210)의 슬라이딩블록(216)에 결합 고정될 수 있으며, Z축조정스프링(224)은 일단이 지지블록(212)의 상단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이 Z축이동체(222)에 고정되어 Z축 방향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즉, Z축이동체(222)는 지지블록(212)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딩블록(216)에 결합됨으로써,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Z축조정스프링(224)을 통해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Z축 방향의 이동을 더욱 더 원활하게 도와줄 수 있다.
관절형이동부재(230)는 복수의 관절을 포함하여 Z축이동부재(220)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면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제 1 링크축로드(231), 제 1 링크(232), 제 2 링크(233), 제 3 링크(234), 제 2 링크축로드(235), 제 4 링크(236), 제 3 링크축로드(237), 제 4 링크축로드(23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링크축로드(232)는 Z축이동부재(220)에 구비된 Z축이동체(222)의 상하부를 관통 결합되어 관절형이동부재(230)의 수평 회전축이 되는 것이며, 이러한 제 1 링크축로드(232)에는 회전 가능하게 제 1 링크(232) 및 제 2 링크(233)의 각 일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링크(232)는 상부링크와 하부링크가 결합된 형태로 구비되며, 그 간격은 제 2 링크(233)의 높이만큼 이격될 수 있고, 그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제 1 링크지지블록(232a)이 상부링크와 하부링크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즉, 제 1 링크축로드(232)의 위치에서는 제 1 링크(232)의 상부링크 일단, 제 2 링크(233)의 일단, 제 1 링크(232)의 하부링크 일단과 같은 배열 순서로 배치되면서, 제 1 링크축로드(232)를 회전축으로 하여 수평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 3 링크(234)는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포함하여 제 2 링크(233)의 타단에 제 2 링크축로드(235)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일단이 결합되며, 제 2 링크(233)의 높이만큼 상부링크와 하부링크가 이격되는데, 그 이격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제 2 링크지지블록(234a)이 상부링크와 하부링크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즉, 제 2 링크축로드(235)의 위치에서는 제 3 링크(234)의 상부링크 일단, 제 2 링크(233)의 타단, 제 3 링크(234)의 하부링크 일단과 같은 배열 순서로 배치되면서, 제 2 링크축로드(235)를 회전축으로 하여 수평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 링크(234)에는 중앙 부분에 복사가공부재(250)가 상하부를 관통하여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 4 링크(236)는 제 1 링크(232)의 타단에 제 3 링크축로드(237)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2 링크(233)의 길이만큼 이격된 부분에 제 4 링크축로드(237)를 통해 제 3 링크(234)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제 4 링크(236)는 제 4 링크축로드(237)의 위치에서 기 설정된 길이만큼 수평으로 더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그 끝단부에는 복사가이드부재(240)가 상하부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즉, 제 3 링크축로드(237)의 위치에서는 제 1 링크(232)의 상부링크 타단, 제 4 링크(236)의 일단, 제 1 링크(232)의 하부링크 타단과 같은 배열 순서로 배치되면서, 제 3 링크축로드(237)를 회전축으로 하여 수평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 4 링크축로드(238)의 위치에서는 제 3 링크(234)의 상부링크 타단, 제 4 링크(236)의 중앙부, 제 3 링크(234)의 하부링크 탄단과 같은 배열 순서로 배치되면서, 제 4링크축로드(238)를 회전축으로 하여 수평으로 회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링크축로드(231), 제 2 링크축로드(235), 제 3 링크축로드(237) 및 제 4 링크축로드(238)와 제 1 링크(232), 제 2 링크(233), 제 3 링크(234) 및 제 4 링크(236)가 4축 관절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 4 링크(236)의 연장된 끝단부에 배치되는 복사가이드부재(240)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따라 자유자재로 조정 및 이동시킬 수 있다.
복사가이드부재(240)는 관절형이동부재(230)의 끝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하부끝단부가 축소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타겟의 테두리를 따라 안내되는 것으로, 원통형의 몸체와 함께 하부끝단부가 축소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타겟(예를 들면, 형상, 문자 등)의 테두리를 따라 미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로 갈수록 가는 원뿔 형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사가공부재(250)는 관절형이동부재(230)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복사가이드부재(240)의 안내에 따라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축소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목재에 타겟을 축소하여 복사 가공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엔드밀(end mill)이 장착되어 복사 가공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복사가이드부재(240)의 관통홀(246)에 구비되어 축소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타겟(예를 들면, 형상, 문자 등)을 따라 이동하는 복사가이드부재(240)의 안내에 따라 축소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목재에 타겟을 복사 가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목재는 하부에 목재받침플레이트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목재의 각 모서리에 배치된 고정편의 내부 공간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축소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타겟이 이미 형성된 타겟목재도 타겟목재받침플레이트의 상부에 안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목적 목공 장치에 복사 가공용 지그를 결합 및 장착하여 가공하고자 하는 형상, 문자 등을 축소시켜 복사하고자 하는 목재에 쉽게 복사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사 가공용 지그를 목공 작업 테이블에 결합시킨 후, 가공하고자 하는 형상, 문자 등에 안내되는 가이드구를 이용하여 복사하고자 하는 목재에 해당 형상, 문자 등을 축소시켜 복사 가공함으로써, 동일한 형상, 문자 등을 포함하는 목조 구조물의 제조 생산성을 증가시키면서 작업환경과 작업상태에 따라 품질 차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목공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다목적 목공 장치에 결합되는 복사 가공용 지그를 이용하여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타겟을 축소시켜 복사하고자 하는 목재에 쉽게 복사 가공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사 가공용 지그를 이용하여 축소 복사 가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목공 작업 테이블(100)의 상부에 축소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목재와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타겟(예를 들면, 형상, 문자 등)이 형성된 타겟목재를 배치 고정할 수 있다(단계1102).
여기에서,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목재는 하부에 목재받침플레이트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목재의 각 모서리에 배치된 고정편의 내부 공간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축소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타겟이 이미 형성된 타겟목재도 타겟목재받침플레이트의 상부에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목공 작업 테이블(100)에 장착된 복사 가공용 지그(20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복사가이드부재(240)를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타겟(예를 들면, 형상, 문자 등)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단계1104).
여기에서, 복사 가공용 지그(200)는 관절 형태를 가지면서 지지부재(210), Z축이동부재(220), 관절형이동부재(230), 복사가이드부재(240), 복사가공부재(25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링크축로드(231), 제 2 링크축로드(235), 제 3 링크축로드(237) 및 제 4 링크축로드(238)와 제 1 링크(232), 제 2 링크(233), 제 3 링크(234) 및 제 4 링크(236)가 4축 관절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 4 링크(236)의 연장된 끝단부에 배치되는 복사가이드부재(240)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따라 자유자재로 조정하여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타겟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복사 가공용 지그(200)에 장착된 복사가공부재(250)를 작동시킨 후에(단계1106), Z축이동체(222) 및 Z축조정스프링(224)을 포함하는 Z축이동부재(220)를 이용하여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제 1 링크축로드(231), 제 2 링크축로드(235), 제 3 링크축로드(237) 및 제 4 링크축로드(238)와 제 1 링크(232), 제 2 링크(233), 제 3 링크(234) 및 제 4 링크(236)가 4축 관절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관절형이동부재(230)를 이용하여 타겟목재에 위치하는 복사가이드부재(240)를 타겟의 테두리에 따라 원하는 방향(즉, X축 방향 및 Y축 방향, 수평 방향으로 자유자재로)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단계1108).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1106)를 통해 복사가이드부재(240)가 타겟의 테두리에 안내될 때, 축소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목재에 위치하는 복사가공부재(250)를 이용하여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타겟(예를 들면, 형상, 문자 등)을 목재에 복사 가공할 수 있다(단계1110).
따라서, 본 발명은 다목적 목공 장치에 복사 가공용 지그를 결합 및 장착하여 가공하고자 하는 형상, 문자 등을 축소시켜 복사하고자 하는 목재에 쉽게 복사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사 가공용 지그를 목공 작업 테이블에 결합시킨 후, 가공하고자 하는 형상, 문자 등에 안내되는 가이드구를 이용하여 복사하고자 하는 목재에 해당 형상, 문자 등을 축소시켜 복사 가공함으로써, 동일한 형상, 문자 등을 포함하는 목조 구조물의 제조 생산성을 증가시키면서 작업환경과 작업상태에 따라 품질 차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목공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사가공부재(250)가 관절형이동부재(230)의 제 3 링크(234) 중앙부에 위치함으로써, 원래의 타겟 크기에 비해 대략 50% 정도로 축소된 형상 또는 문자가 복사 가공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복사가공부재(250)의 배치 위치를 제 1 링크(232), 제 2 링크(233), 제 3 링크(234) 및 제 4 링크(236)를 포함하는 관절형이동부재(230)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링크 일단부에서 1/3의 위치, 일단부에서 2/3의 위치 등으로 조정함으로써, 다른 비율로 축소된 형상 또는 문자를 복사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링크(232), 제 2 링크(233), 제 3 링크(234) 및 제 4 링크(236)에 복수개의 복사가공부재(250)를 구비하여 복수개의 축소된 형상 또는 축소된 문자를 복사 가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술한 바와 같은 두가지 방식을 조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목공 작업 테이블 110 : 지지포스트 부재
120 : 베이스프레임 부재 130 : 바이스 부재
140 : 슬라이딩 부재 150 : 이송 부재
160 : 치수가이드 부재 170 : 목재 받침 부재
200 : 복사 가공용 지그 210 : 지지부재
220 : Z축이동부재 230 : 관절형이동부재
240 : 복사가이드부재 250 : 복사가공부재

Claims (10)

  1. 목공 작업 테이블의 후면에 수직 상방으로 지지 고정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에 결합되어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Z축이동부재와,
    복수의 관절을 포함하여 상기 Z축이동부재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면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절형이동부재와,
    상기 관절형이동부재의 끝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하부끝단부가 축소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타겟의 테두리를 따라 안내되는 복사가이드부재와,
    상기 관절형이동부재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복사가이드부재의 안내에 따라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축소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목재에 상기 타겟을 축소하여 복사 가공하는 복사가공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목공 작업 테이블은, 기 설정된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포스트 부재와, 상기 지지포스트 부재에 지지되는 베이스프레임 부재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부재에 결합되어 가공하고자 하는 목재를 고정시키는 바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부재 및 바이스 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스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부재의 상부에 장착된 목재 가공기를 X축, Y축 및 Z축으로 각각 이송시키는 이송 부재와, 상기 이송 부재에 구비되어 X축 방향으로 목재 가공 치수를 가이드하는 치수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 부재는, 복수 개의 목공 지그 중 적어도 하나를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의 제 1 지그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스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목공 지그 중 적어도 하나를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의 제 2 지그 결합홈과 복수의 제 3 지그 결합홈을 포함하는 복사 가공용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하로 긴 사각형 블록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목공 작업 테이블의 베이스프레임 부재에 구비된 전후베이스프레임의 후면에 하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지지블록과,
    슬라이딩블록이 Z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기 위해 상기 지지블록의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슬라이딩홈
    을 포함하는 복사 가공용 지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Z축이동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블록에 결합 고정되는 Z축이동체와,
    일단이 상기 지지블록의 상단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Z축이동체에 고정되는 Z축조정스프링
    을 포함하는 복사 가공용 지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형이동부재는,
    상기 Z축이동체의 상하부를 관통 결합되어 수평 회전축이 되는 제 1 링크축로드와,
    상기 제 1 링크축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각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의 타단에 제 2 링크축로드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일단이 결합되는 제 3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의 타단에 제 3 링크축로드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2 링크의 길이만큼 이격된 부분에 제 4 링크축로드를 통해 상기 제 3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4 링크축로드의 위치에서 기 설정된 길이만큼 수평으로 더 연장되는 제 4 링크
    를 포함하는 복사 가공용 지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가공용 지그는, 상기 관절형이동부재에서 상기 복사가공부재의 배치 위치를 조절하여 축소 비율을 조정하는 복사 가공용 지그.
  6. 목공 작업 테이블의 상부에 축소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목재와 축소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타겟이 형성된 타겟목재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목공 작업 테이블에 관절 형태를 갖는 복사 가공용 지그를 장착한 후, 복사 가공용 지그에 구비된 복사가이드부재를 상기 타겟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복사 가공용 지그에 장착된 복사가공부재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복사 가공용 지그를 이용하여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을 조정하여 상기 타겟목재에 위치하는 상기 복사가이드부재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복사가이드부재가 상기 타겟의 테두리에 안내될 때, 상기 목재에 위치하는 복사가공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을 상기 목재에 축소하여 복사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목공 작업 테이블은, 기 설정된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포스트 부재와, 상기 지지포스트 부재에 지지되는 베이스프레임 부재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부재에 결합되어 가공하고자 하는 목재를 고정시키는 바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부재 및 바이스 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스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부재의 상부에 장착된 목재 가공기를 X축, Y축 및 Z축으로 각각 이송시키는 이송 부재와, 상기 이송 부재에 구비되어 X축 방향으로 목재 가공 치수를 가이드하는 치수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 부재는, 복수 개의 목공 지그 중 적어도 하나를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의 제 1 지그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스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목공 지그 중 적어도 하나를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의 제 2 지그 결합홈과 복수의 제 3 지그 결합홈을 포함하는 복사 가공용 지그를 이용한 복사 가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목공 작업 테이블의 후면에 수직 상방으로 지지 고정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Z축이동부재와, 복수의 관절을 포함하여 상기 Z축이동부재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면서 상기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절형이동부재와, 상기 관절형이동부재의 끝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하부끝단부가 축소 복사 가공하고자 하는 상기 타겟의 테두리를 따라 안내되는 복사가이드부재와, 상기 관절형이동부재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복사가이드부재의 안내에 따라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목재에 상기 타겟을 축소하여 복사 가공하는 복사가공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복사 가공용 지그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복사 가공용 지그를 이용한 복사 가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제 1 링크축로드, 제 2 링크축로드, 제 3 링크축로드 및 제 4 링크축로드와 제 1 링크, 제 2 링크, 제 3 링크 및 제 4 링크가 4축 관절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복사가이드부재를 상기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사 가공용 지그를 이용한 복사 가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Z축이동체 및 Z축조정스프링을 포함하는 상기 Z축이동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복사가이드부재를 상기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사 가공용 지그를 이용한 복사 가공 방법.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에 축소하여 복사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관절형이동부재에서 상기 복사가공부재의 배치 위치를 조절하여 축소 비율을 조정하여 복사 가공하는 복사 가공용 지그를 이용한 복사 가공 방법.
KR1020160072273A 2016-06-10 2016-06-10 복사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복사 가공 방법 KR101899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273A KR101899207B1 (ko) 2016-06-10 2016-06-10 복사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복사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273A KR101899207B1 (ko) 2016-06-10 2016-06-10 복사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복사 가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455A KR20170140455A (ko) 2017-12-21
KR101899207B1 true KR101899207B1 (ko) 2018-09-17

Family

ID=6093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273A KR101899207B1 (ko) 2016-06-10 2016-06-10 복사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복사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2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342B1 (ko) * 2020-09-10 2022-03-07 김연철 가공패턴 복제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게시물_MILESCRAFT 1298 3D Pantograph, [online], 2009년 1월, [2017년 10월 31일 검색], 인터넷:<URL: https://www.youtube.com/watch?v|=uUcHklj_qk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455A (ko)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9537B1 (ko) 목공 작업 테이블 및 다목적 목공 장치
KR101641029B1 (ko) 요철 구조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요철 구조 가공 방법
US8089024B2 (en) Torch spacing apparatus
KR101710838B1 (ko) 양두밀링장치
JP4473783B2 (ja) 丸鋸切断機のワーク供給装置およびそのワーク供給方法
US10335860B2 (en) Machine tool
US20220063033A1 (en) A sheet processing machine and a method for processing flat workpieces
KR101899207B1 (ko) 복사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복사 가공 방법
KR101899208B1 (ko) 복사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복사 가공 방법
JP6424028B2 (ja) 工作機械の配置構造
US57875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flat stock
CN107336300B (zh) 一种开榫机
KR101831052B1 (ko) 목심 가공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목심 가공 방법
CN111618333B (zh) 杆头镗孔装置
KR200415628Y1 (ko) 합판 절단장치
EP3760399A1 (en) Multiple spindle robot fixation devic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fixing object to be processed
JP2011093118A (ja) 柱材プレカット加工機
JP3203369U (ja) 加工機用ワーク支持治具および搬送台車
KR20160055469A (ko) 머시닝 센터를 이용한 제품의 3d 가공방법 및 그 장치
CN219562216U (zh) 一种铣床用支撑工装
KR101869610B1 (ko) 다목적 목공 장치
KR102446322B1 (ko) 전기자동차 배터리 케이스 양측 절단면 동시 가공용 머시닝센터
KR20240039804A (ko) 양두밀링장치를 이용한 금속 가공방법
KR101294832B1 (ko) 선박용 복합 가공장치
KR101639913B1 (ko)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절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