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870B1 - Movable streamlined flood protection plate - Google Patents

Movable streamlined flood protection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870B1
KR101898870B1 KR1020170171998A KR20170171998A KR101898870B1 KR 101898870 B1 KR101898870 B1 KR 101898870B1 KR 1020170171998 A KR1020170171998 A KR 1020170171998A KR 20170171998 A KR20170171998 A KR 20170171998A KR 101898870 B1 KR101898870 B1 KR 101898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late
wall
repellent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9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영식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엘케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엘케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아이엘케이
Priority to KR1020170171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8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8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streamlined waterproof plate in response to sudden floo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streamline waterproof plate comprises: a bottom board having a flat shape to be mounted on the ground, having a plurality of wrinkle units protruding up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having at least one inner guide for inducing the introduction of water between the plurality of wrinkle units; and a wall surface board vertically upward from the bottom board to form a wall surface and having an arc shape unit protruding in a round shape through the wall surface and disposed inclined toward the bottom board.

Description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MOVABLE STREAMLINED FLOOD PROTECTION PLATE}{MOVABLE STREAMLINED FLOOD PROTECTION PLATE}

본 발명은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수판 내부로 물이 차오를 경우 수압은 하부로 향하도록 유도하고 물의 흐름은 좌우로 향하도록 신속하게 유도하여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한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repellent water-repellent plate for water-immersion float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repellent wa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repellent water-repellent plate having a water-repellent, water-repellent,

강우에 의해 지표로 떨어진 물은 자연적으로 형성되거나 인공적으로 조성된 물길을 따라 지하로 스며들거나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게 되며, 최종적으로 바다로 향하게 된다. Water that has fallen to the surface by rainfall is naturally formed or flows along the artificially created waterways into the basin or into the river and eventually to the sea.

일반적으로 홍수 관리 기법은 이러한 물 순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홍수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된다.In general, flood management techniques are used to reduce the risk of floods occurring in this water cycle.

주지된 바와 같이, 홍수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사용되는 주요 기법에는 홍수 저류 기법, 하도 개선 및 흐름제어 구조물 설치 기법, 전환 수로 기법, 제방 및 홍수벽 기법 등이 소개되어 있다. As is well known, the main techniques used to reduce flood risk include flood retention techniques, river improvement and flow control structure installation techniques, conversion waterway techniques, bank and flood wall techniques.

홍수 저류 기법은 물의 흐름을 일시적으로 지연시키거나 물을 저류하며 일정한 양으로 조절하여 방류하는 기법이다. 하도 개선 및 흐름제어 구조물 설치 기법은 고수위 유지가 가능토록 통수능을 상향 조정하는 기법이다. 전환 수로 기법은 다른 지역으로 초과 유량을 전환하는 기법이다. 그리고 제방 및 홍수벽 기법은 제내지 범람을 방지하기 위하여 홍수방어 구조물을 설치하는 기법이다. Flood storage technique is a technique to temporarily delay the flow of water or to store the water and adjust it to a certain amount. The improvement of the underpass and the flow control structure installation technique is a technique to upgrade the overpass to enable high level maintenance. The transitional waterway technique is a technique that converts excess flow to other areas. And the embankment and flood wall techniques are techniques for installing flood defense structures to prevent flooding.

통상적으로 홍수 방어 시스템은 여러 구성 요소와 시설물 운영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내지로의 유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하여, 홍수 방어를 위한 상부 구조, 기초 및 토대 구조, 차수판, 구조물 내부와 주변 구조물 또는 하부 토양과 연결을 위한 밀봉재 또는 연결부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Typically, a flood protection system consists of several components and a facility operation system. In order to prevent overflows, the flood defenses include superstructures, foundation and foundation structures, aqueducts, It consists of a seal or connection for connection with the soil.

종래의 경우, 홍수 방어 수단으로서, 공기주입식 플라스틱 튜브, 아쿠아 댐, 투과재 채움 컨테이너, 불투과재 채움 컨테이너 등이 이용되었으며, 최근에는 물 자체 중량만으로 고정 가능한 자립식 홍수방어벽이 소개되었다.In the prior art, an inflatable plastic tube, an aqua dam, a permeable material filling container, an impermeable material filling container and the like have been used as flood defending means. Recently, an independent flood defensive wall capable of fixing water only by its own weight has been introduced.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이 차오를 경우 수압이 하부로 향하도록 유도하고 좌우로도 물의 흐름을 빠르게 유도하여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한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0006]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cooled stone watercourse corresponding to a portable water-immersion float capable of guiding a water pressure downward when water is cold and rapidly directing the flow of water to both sid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의 흐름을 좌우로 빠르게 유입시키며, 다수 개의 연결 시 전체적으로 물결 모양의 아치를 이루어 수압을 견디는 힘을 증가시키고 수압을 집중 분산시킬 수 있는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borne water-repellent plate for a portable water-immersion water immersion system capable of rapidly introducing the water flow to the right and left and forming a wavy-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이 안정적으로 빠르게 진입될 수 있도록 유도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수압을 가장 안쪽 깊은 곳으로 유도하여 무게중심의 안정감을 가져올 수 있는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cooled stone water surface water-repellent plate for a portable water-immersion floatation which can induce the water pressure to reach the deepest deep inside as a whole, .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면에 안착 가능하도록 평탄하게 형성되며, 복수 개의 주름부가 소정 간격을 두고 상향 돌출하여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 사이에는 물의 진입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너 가이드가 구비되는 바닥판재, 및 상기 바닥판재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결되어 벽면을 형성하며, 상기 벽면을 통해 라운드 진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닥판재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아치형상부를 구비하는 벽면판재를 포함한다. A plurality of wrinkle parts protruding up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to be able to be seated on the gr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t least one inner guide for guiding the entry of water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wrinkle parts And a wall plate member having an arched top portion formed vertically upward from the bottom plate member to form a wall surface and protruding in a round shape through the wall surface and inclined toward the bottom plate mem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치형상부는, 상기 벽면판재의 좌우 중심을 따라 상하로 길게 배치되되, 상기 벽면판재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돌출 크기가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Preferably, the arcuate section is arranged vertically along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all plate material, and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protrusion size increases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wall plate material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는, 상기 바닥판재 내에서 상기 벽면판재 쪽으로 갈수록 상향 돌출된 크기가 증가하는 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 각각의 말단은 상기 아치형상부의 하단부 좌우 양측에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rrugations may have a cone shape increasing in size upwardly protruding toward the wall plate member in the bottom plate, and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corrugations may b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arcuate section. .

또한, 상기 이너 가이드는,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 사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Further, the inner guide may be provi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lurality of folds between the plurality of folds.

또한, 상기 이너 가이드는,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와 평행을 이루어 직선 형상으로 돌출되는 전단부, 및 상기 전단부로부터 V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와 연결되는 후단부를 포함한다. The inner guide may include a front end portion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shape parallel to the plurality of wrinkle portions at a position where the plurality of wrinkle portions start, and a front end portion projecting from the front end portion to extend in a V- And a rear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portion.

또한, 상기 바닥판재의 일측에는 소정의 높이 단차를 갖도록 형성된 바닥 스텝 형상부가 마련되고, 상기 벽면판재의 일측에는 상기 바닥 스텝 형상부와 연결되며 상기 바닥 스텝 형상부와 동일한 높이 단차를 갖도록 형성된 벽면 스텝 형상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bottom plate member is provided at its one side with a bottom stepped port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step, and at one side of the wall plate member, a wall stepped portion connected to the bottom stepped portion, A shaping portion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바닥판재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와 나란하게 직선 형상으로 돌출되어 물의 진입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side guid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plate and projecting linearly in parallel to the plurality of wrinkles to induce entry of water.

또한, 상기 바닥 스텝 형상부에는 제1 연결 편이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재의 타측에는 상기 제1 연결 편이 삽입 가능한 형태의 제1 삽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벽면 스텝 형상부에는 제2 연결 편이 구비되고, 상기 벽면판재의 타측에는 상기 제2 연결 편이 삽입 가능한 형태의 제2 삽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ttom step-shaped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piece, and the other end of the bottom plate may have a first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first connecting piece can be inserted, a second connecting piece is provided on the wall- And a second insertion port into which the second connection piece can be inserted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wall plate member.

이때, 상기 제1 연결 편과 상기 제1 삽입구 간의 연결과, 상기 제2 연결 편과 상기 제2 삽입구 간의 연결을 통해 다수 개의 차수판이 필요한 길이만큼 좌우로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water level plates can be connected to the right and left by a required length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insertion port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insertion port.

한편, 상기 아치형상부의 돌출 단부는 상기 바닥판재와 예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차수판 내부로 물이 차오를 경우 수압이 하부로 향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좌우로도 물의 흐름을 빠르게 유도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해 질 수 있다.The protruding end of the arcuate upper portion may be formed at an acute angle with the bottom plate.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water pressure to be directed downward when the water is in the inside of the water level plate, and the water flow can be guided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water level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본 발명에 의하면 차수판의 측면에서 볼 때 상부와 하부의 가장자리는 90도를 이루지만, 상부 가운데 부분이 앞으로 기울어져 90도보다 작은 예각을 이루도록 한다. 그 결과 차수판 내부로 물이 차오를 경우 수압이 하부로 향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좌우로도 물의 흐름을 빠르게 유도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edges form an angle of 90 degrees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anchoring plate, but the upper center portion is inclined forward to form an acute angle smaller than 90 degrees. As a result, the water pressure can be guided to the lower side when the water is in the inside of the water level plate, and the water flow can be guided rapidly to the left and right, thereby providing more stable suppor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수판의 상부 형태가 아치형으로 구조를 이루어 물의 흐름을 좌우로 빠르게 유입시키며, 다수 개의 연결 시 전체적으로 물결 모양의 아치를 이루어 수압을 견디는 힘을 증가시키고 수압을 집중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level plate is structured in an arcuate shape to rapidly flow the water into the left and right, and when a plurality of water channe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water- There is an advantage.

아울러, 이러한 아치형 구조는 작업자가 가장자리를 잡고 있을 때 안쪽으로 굴곡진 공간으로 인해 몸을 밀착시킬 수 있어 설치상 편의성이 향상되며, 힘의 분산을 도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uch an arcuate structure allows the body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due to the bent space when the operator holds the edge, which improves the ease of installation and helps distribute the for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수판의 하부 가운데에 요철을 형성하여 물이 안정적으로 빠르게 진입될 수 있도록 유도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수압을 가장 안쪽 깊은 곳으로 유도하여 무게중심의 안정감을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dvantageous that the water pressure can be guided to the deepest deepest part by guiding the water to stably and quickly enter by forming the concave and convex in the middle of the lower part of the water plate.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을 간략히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을 필요한 길이로 좌우 연결하여 이용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자립식 홍수방어벽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의 (a)는 종래의 자립식 홍수방어벽의 물 흐름도이며,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의 물 흐름도이다.
도 7의 (a)는 종래의 자립식 홍수방어벽의 물 흐름 시 변위를 보여주는 해석결과이며,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의 물 흐름 시 변위를 보여주는 해석결과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cooled stone water-repellent plate corresponding to a portable floating flood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able water-repellent water-absorbing plate corresponding to a portable floating flood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vable water-repellent water-absorbing plate corresponding to a portable floating water immer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a movable type water-repelling water-absorbing plate corresponding to a floating water-immersion fl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of a required length.
5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self-supporting flood defense wall is installed.
6 (a) is a water flow chart of a conventional self-standing flood defensive wall, and FIG. 6 (b) is a water flow chart of a movable flood-flood-resistant streamworm water receiv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 is a result of analysis showing the displacement of the conventional self-standing flood defensive wall in the water flow, and FIG. 7 (b) This is the interpretation result showing the displacem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Furth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even if they are shown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first, second, A, B, (a), (b), and the like can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der, or number of the compon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intervening "or that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 coupled, "or "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s shown in FIG.

도면에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을 간략히 도시한 측면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movable water flood water receiv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ating water flood countermea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eamline water stone water-cooling plat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이하, 간략히 '차수판'이라 함)(100)은 바닥판재(110)와, 벽면판재(1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to 3, a movable water flood water receiving pla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plate 110, (130).

바닥판재(110)는 지면에 안착 가능하도록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bottom plate 110 may be flat so as to be seated on the ground.

구체적으로는, 바닥판재(110)에는 복수 개의 주름부(111, 113)(이하, 제1 주름부(111), 제2 주름부(113)라 함)가 소정 간격을 두고 위를 향하여 돌출 구비된다. Specifically, the bottom plate 1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rinkles 111 and 113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wrinkle portion 111 and a second wrinkle portion 113) do.

제1, 2 주름부(111, 113)는 바닥판재(110) 내에서 벽면판재(130) 쪽으로 향할수록 위로 돌출된 크기가 증가하는 형상, 예를 들어 콘(con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wrinkles 111 and 113 may have a cone shape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wrinkles 111 and 113 protrude upward toward the wall plate 130 in the bottom plate 110.

제1, 2 주름부(111, 113)의 시작 부위는 바닥판재(110)의 전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내측에 위치하며, 제1, 2 주름부(111, 113)의 말단은 후술될 벽면판재(130)의 아치형상부(131) 하단 좌우 양측에 연결될 수 있다.The star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wrinkles 111 and 113 ar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end of the bottom plate 110 and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wrinkles 111 and 113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arcuate portion 131 of the upper plate 130.

이와 같은 제1, 2 주름부(111, 113)는 차수판(100) 내부로 물이 안정적이면서 빠르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해주며, 이와 함께 수압에 견딜 수 있는 보강 기능을 제공한다.The first and second wrinkles 111 and 113 allow water to flow stably and rapidly into the water receiving plate 100 and provide a reinforcing function capable of enduring water pressure.

한편, 바닥판재(110)에는 제1 주름부(111), 제2 주름부(113) 사이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너 가이드(115)가 구비된다. The bottom plate 11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inner guide 115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rinkles 111 and 113.

이너 가이드(115)는 제1, 2 주름부(111, 113) 사이에 위치하는데, 물이 차수판(100)의 안쪽으로 원활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The inner guide 115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rinkles 111 and 113 and serves to guide water into the water guide plate 100 smoothly.

이러한 이너 가이드(115)는 제1, 2 주름부(111, 113)의 사이에서, 제1, 2 주름부(111, 113)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inner guide 11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rinkles 111 and 113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wrinkles 111 and 113.

구체적으로는, 이너 가이드(115)는 직선 형상으로 돌출되는 전단부(115a)와, 전단부(115a)로부터 V형상으로 돌출되어 제1, 2 주름부(111, 113)까지 연결되는 후단부(115b, 111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nner guide 115 has a front end portion 115a projecting in a linear shape and a rear end portion 115a projecting in a V shape from the front end portion 115a a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wrinkled portions 111 and 113 115b, and 111c.

이너 가이드(115)의 전단부(115a)는 제1, 2 주름부(111, 113)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제1, 2 주름부(111, 113)와 평행을 이루어 직선 형상으로 돌출된다. 도시된 바로는 전단부(115a)는 3가닥의 직선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러한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front end 115a of the inner guide 115 protrudes in a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wrinkles 111 and 113 at the positions where the first and second wrinkles 111 and 113 start. Although the front end portion 115a is shown as projecting in a straight line of three strands, it is not limited to this number.

또한, 이너 가이드(115)의 후단부(115b, 115c)는 전단부(115a)로부터 V형상으로 돌출되는 후단부의 시작 형상(115b)과, 전단부(115a)에 비해 폭이 확장되어 직선 형상으로 돌출되는 후단부의 말단 형상(115c)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ar end portions 115b and 115c of the inner guide 115 are formed such that the starting shape 115b of the rear end portion protruding in a V shape from the front end portion 115a and the starting shape 115b of the inner guide portion 115 extending in a linear shape And a distal end 115c of the projecting rear end.

이와 같이 구성된 이너 가이드(115)에 의해 물은 차수판(100)의 내부로 안정적이면서 신속하게 진입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수압을 가장 안쪽 깊은 곳으로 유도할 수 있다. 그 결과 무게중심의 안정감을 가져올 수 있는 유리한 장점이 있다. The inner guide 115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stably and quickly enter water into the water distributor plate 100, so that the water pressure as a whole can be guided to the deepest inside.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stabilized.

한편, 바닥판재(110)의 일측에는 바닥 스텝 형상부(114)가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a bottom step-shaped portion 114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ttom plate 110.

바닥 스텝 형상부(114)는 바닥판재(110)에 비해 소정의 높이 단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bottom step shape 114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bottom plate 110.

이러한 바닥 스텝 형상부(114)는 다른 하나의 차수판(100)과 좌우로 결합될 때 다른 차수판(100)의 바닥판재(110)의 타측 상부에 포개어져 결합되는 부위가 된다. The bottom step features 114 are joined to the other one of the water level plates 100 and joined to the oth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face 110 of the other water level plate 100 to be joined.

또한, 바닥 스텝 형상부(114)에는 제1 연결 편(118)이 구비되고, 바닥판재(110)의 타측에는 제1 연결 편(118)이 삽입 가능한 형태의 제1 삽입구(119)가 구비된다. The first stepped portion 114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ng piece 118 and the other end of the bottom plate 110 is provided with a first insertion hole 119 into which a first connecting piece 118 can be inserted .

한편, 바닥판재(110)의 타측에는 제1 주름부(111)와 나란하게 직선 형상으로 돌출된 사이드 가이드(117)가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side guide 117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plate 110 so as to be linearly protru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wrinkle portion 111.

이러한 사이드 가이드(117)는 전술한 이너 가이드(115)와 마찬가지로 물의 진입을 유도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ide guide 117, like the inner guide 115 described above, can provide a function of guiding the entry of water,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such a shape.

예를 들어, 사이드 가이드(117)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달리 필요에 따라 2개 또는 이보다 많은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at least one side guide 117 may be provided, and unlike the illustrated embodiment, two or more side guides 117 may be provided.

벽면판재(130)는 바닥판재(110)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결되어 물을 차단하기 위한 벽면을 형성한다.The wall plate 130 is connected vertically upward from the bottom plate 110 to form a wall for blocking water.

이러한 벽면판재(130)에는 아치형상부(131)가 구비된다. The wall plate member 130 is provided with an arcuate portion 131.

아치형상부(131)는 벽면을 통해 라운드 진 형상(즉, 아치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바닥판재(110)를 향해 경사지게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좋다.The arcuate portion 131 may protrude in a rounded shape (i.e., an arch shape) through the wall surface, and preferably has a shape that is arranged to be inclined toward the bottom plate 11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수판(100)을 측면에서 볼 때, 바닥판재(110)와 벽면판재(130) 사이의 각도는 90도를 이룬다.As shown in FIG. 3, the angle between the bottom plate 110 and the wall plate 130 is 90 degrees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water plate 100.

하지만, 아치형상부(131)가 바닥판재(110)를 향해 경사지게 돌출됨에 따라, 아치형상부(131)의 돌출 단부는 바닥판재(110)와 예각(b)을 이룬다.However, as the arcuate portion 131 projects obliquely toward the bottom plate 110, the projecting end of the arcuate portion 131 forms an acute angle b with the bottom plate 110.

이와 같은 형상적 특징에 따라, 차수판(100)의 내부로 물이 차오를 경우 수압이 하부로 향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차수판(100)의 좌우로도 물의 흐름을 빠르게 유도할 수 있다. 그 결과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such a feature, the water pressure can be guided downward when the water inside the water-saving plate 100 is cold, and the flow of water can be rapidly guid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water-leveling plate 100.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more stable support can be achieved.

그리고 이러한 아치형상부(131)를 통해 물의 흐름을 좌우로 빠르게 유입시킬 수 있으며, 다수 개의 차수판을 좌우로 연결하는 경우 다수 개의 아치형상부(131)는 전체적으로 물결 모양의 아치를 이룬다. 그 결과 구조적으로 수압을 견디는 힘이 증가될 수 있으며, 수압을 집중 분산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water-level plates are connected to the right and left, the plurality of arcuate portions 131 form a wavy-shaped arch as a whol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uctural bearing capacity for water pressure and to obtain a favorable effect of concentrating and dispersing the water pressure.

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아치형상부(131)는 벽면판재(110)의 좌우 중심을 따라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The arcuate section 131 providing such a function may be arranged vertically up and down along the left and right center of the wall panel 110.

구체적으로는, 아치형상부(131)는 벽면판재(130)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돌출 크기가 증가하는 콘 형상을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arcuate section 131 may have a cone shape whose protrusion size increases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wall plate member 130.

이러한 아치형상부(131)의 하단 좌우 양측에는 제1, 2 주름부(111, 113)의 말단이 연결된다.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wrinkles 111 and 113 are connected to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rcuate section 131.

즉, 제1, 2 주름부(111, 113)를 양측 경계로 하여 아치형상부(131)가 아치 형태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데, 벽면판재(130)의 상단으로 향할수록 돌출 크기가 증가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at is, the arcuate portion 131 protrudes in the form of an arch with the first and second wrinkles 111 and 113 as both sides boundaries. The arcuate portion 131 has a shape in which the protruding size increases toward the upper end of the wall plate 130 Lt; / RTI >

한편, 벽면판재(130)의 일측에는 벽면 스텝 형상부(134)가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a wall stepped portion 134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ll plate member 130.

벽면 스텝 형상부(134)는 바닥 스텝 형상부(114)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결되는데, 바닥 스텝 형상부(114)와 동일한 높이 단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wall step features 134 are connected vertically upwards in the bottom step features 114 and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step as the bottom step features 114.

이러한 벽면 스텝 형상부(134)는 다른 하나의 차수판(100)과 좌우로 결합될 때 다른 차수판(100)의 벽면판재(130)의 타측 전방으로 포개어져 결합되는 부위가 된다. The wall stepped portion 134 is joined to the other side of the wall plate member 130 of the other side plate 100 when joined to the other side plate 100 to the left and right.

또한, 벽면 스텝 형상부(134)에는 제2 연결 편(138)이 구비되고, 벽면판재(130)의 타측에는 제2 연결 편(138)이 삽입 가능한 형태의 제2 삽입구(139)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제2 삽입구(139)는 좌우 방향으로 절개된 일자(一) 형상 삽입 구멍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stepped portion 134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necting piece 138 and the other side of the wall plate 130 is provided with a second insertion hole 139 in which a second connecting piece 138 can be inserted . For example, the second insertion hole 139 may be in the form of a one-piece insertion hole cut in the left-right direction.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차수판(100)은 다른 하나의 차수판(100′, 도 4 참조)과 좌우로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heat plate 100 can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heat plate 100 '(see FIG. 4) to the right and lef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수판을 필요한 길이로 좌우 연결하여 이용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an aberra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a required length.

도 4를 참조하면, 2개의 차수판(100, 100′)이 준비된다. 이어서, 제1 차수판(100)의 제1 삽입구(119)를 통해 제2 차수판(100′)의 제1 연결 편(118)이 삽입된다. 이와 함께, 제1 차수판(100)의 제2 삽입구(139)을 통해 제2 차수판(100′)의 제2 연결 편(138)이 삽입된다. 이로써, 2개의 차수판(100, 100′)은 필요한 길이만큼 좌우로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wo order plates 100 and 100 'are prepared. Then, the first connection piece 118 of the second order plate 100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insertion opening 119 of the first order plate 100. At the same time, the second connection piece 138 of the second order plate 100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insertion opening 139 of the first order plate 100. Thereby, the two order plates 100 and 100 'can b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by a necessary length.

이때, 제2 차수판(100′)의 바닥 스텝 형상부(114)는 제1 차수판(100)의 바닥판재(110)의 타측 상부에 포개어져 결합되며, 제2 차수판(100′)의 벽면 스텝 형상부(134)는 제1 차수판(100)의 벽면판재(130)의 타측 전방으로 포개어져 결합된다. 이와 같이, 서로 연결되는 차수판의 일부 영역이 포개어지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강한 수압에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bottom step-shaped portion 114 of the second order plate 100 'is superposed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plate 110 of the first order plate 100, The wall stepped portion 134 is joined to the front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wall plate member 130 of the first water distributing plate 10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artial regions of the water-distributing plates connected to each other are superimpo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is stable even under strong water pressure.

도 5는 종래의 자립식 홍수방어벽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5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self-supporting flood defense wall is installed.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종래의 자립식 홍수방어벽(10)은 NOAQ 제품(스웨덴 産)으로서, 물 자체 중량만으로 고정이 가능한 구조물로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바닥과 같은 단단한 표면이 특징인 도시 환경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된 자립식 홍수방어벽이다. Referring to FIG. 5, the conventional self-standing flood defense wall 10 shown in FIG. 5 is a NOAQ product (manufactured in Sweden), which can be fixed only by its own weight. In the urban environment where a hard surface such as asphalt or concrete floor is characterized It is an autonomous flood defense wall designed for use.

도 6의 (a)는 종래의 자립식 홍수방어벽의 물 흐름도이며,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수판의 물 흐름도이다.FIG. 6 (a) is a water flow chart of a conventional self-standing flood defensive wall, and FIG. 6 (b) is a water flow chart of an aera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a)에 도시된 종래의 구조에 비해 도 6의 (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수판(100)의 경우에 물의 흐름이 원활하게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차수판(100)으로 진입된 물의 방향을 아래쪽과 양면으로 더욱 원활하게 유도함에 따라 무게압력성을 증가시키는 데 유리한 측면이 있어 품질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structure shown in FIG. 6 (a), in the case of the water plat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b) . Particularly, as the direction of the water entering the water receiving plate 100 is more smoothly guided toward the lower side and both sides, it is found that the quality is improved because there is an advantageous aspect to increase the weight pressureability.

도 7의 (a)는 종래의 자립식 홍수방어벽의 물 흐름 시 변위를 보여주는 해석결과이며,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수판의 물 흐름 시 변위를 보여주는 해석결과이다. 7 (a) is an analysis result showing a displacement of a conventional self-standing flood defensive wall in a water flow, and FIG. 7 (b) is a result of analysis showing a displacement in a water flow of an aberra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a)에 도시된 종래의 구조에 따르면 물 흐름 시 자립식 홍수방어벽의 변위(3.828×10-6)에 비해 도 7의 (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수판(100)의 변위(3.809×10-6)가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우 종래의 구조에 비해 물 흐름 시 변위 발생이 억제되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shown in FIG. 7 (a), compared with the displacement (3.828 × 10 -6 ) of the self-sustaining flood defense wall during water flow, The displacement (3.809 × 10 -6 ) of the aberration plat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relatively small. 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displacement during water flow and stably supporting the structur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ructur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차수판의 측면에서 볼 때 상부와 하부의 가장자리는 90도를 이루지만, 상부 가운데 부분이 앞으로 기울어져 90도보다 작은 예각을 이루도록 한다. 그 결과 차수판 내부로 물이 차오를 경우 수압이 하부로 향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좌우로도 물의 흐름을 빠르게 유도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한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edges are formed at an angle of 90 degrees as viewed from the side of the water-distributing plate, but the upper center portion is inclined forward to form an acute angle smaller than 90 degrees. As a result, the water pressure can be guided toward the lower side when the water is in the inside of the water receiving plate, and the water flow can be guided rapidly to the left and right, thereby providing a more advantageous technical effect.

나아가, 차수판의 상부 형태가 아치형으로 구조를 이루어 물의 흐름을 좌우로 빠르게 유입시키며, 다수 개의 연결 시 전체적으로 물결 모양의 아치를 이루어 수압을 견디는 힘을 증가시키고 수압을 집중 분산시킬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아치형 구조는 작업자가 가장자리를 잡고 있을 때 안쪽으로 굴곡진 공간으로 인해 몸을 밀착시킬 수 있어 설치상 편의성이 향상되며, 힘의 분산을 도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urther, the upper plate of the water level plate is structured in an arcuate shape to rapidly flow the water flow to the left and right, and when a plurality of water channe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wavy arch is formed to increase the force for enduring the water pressure, . In addition, such an arcuate structure allows the operator to closely contact the body due to the space curved inward when the operator is holding the edge,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installation and helping to distribute the force.

더 나아가, 차수판의 하부 가운데에 요철을 형성하여 물이 안정적으로 빠르게 진입될 수 있도록 유도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수압을 가장 안쪽 깊은 곳으로 유도하여 무게중심의 안정감을 가져올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water level can be steadily and quickly introduced into the center of the lower part of the water level plate, the water pressure can be guided to the deepest part of the water level and the stability of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improv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a transformation can be made.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effects that can be predicted by the configurations should also be recognized.

100: 차수판(또는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
110: 바닥판재
111: 제1 주름부
113: 제2 주름부
114: 바닥 스텝 형상부
115: 이너 가이드
115a: 전단부
115b, 115c: 후단부
117: 사이드 가이드
118: 제1 연결 편
119: 제1 삽입구
130: 벽면판재
131: 아치형상부
134: 벽면 스텝 형상부
138: 제2 연결 편
139: 제2 삽입구
100: Ordinary plate (or movable type water stone plate corresponding to floating water flood)
110:
111: first wrinkle portion
113: second wrinkle portion
114: bottom step shape
115: Inner guide
115a:
115b, 115c:
117: Side guide
118: first connecting piece
119: First insertion hole
130: Wall panel
131: arched top
134: wall step shape portion
138: second connecting piece
139: 2nd insertion hole

Claims (10)

지면에 안착 가능하도록 평탄하게 형성되며, 복수 개의 주름부가 소정 간격을 두고 상향 돌출하여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 사이에는 물의 진입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너 가이드가 구비되는 바닥판재; 및
상기 바닥판재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결되어 벽면을 형성하며, 상기 벽면을 통해 라운드 진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닥판재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아치형상부를 구비하는 벽면판재;를 포함하며,
상기 아치형상부는, 상기 벽면판재의 좌우 중심을 따라 상하로 길게 배치되되, 상기 벽면판재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돌출 크기가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는, 상기 바닥판재 내에서 상기 벽면판재 쪽으로 갈수록 상향 돌출된 크기가 증가하는 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 각각의 말단은 상기 아치형상부의 하단부 좌우 양측에 연결되며,
상기 이너 가이드는,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 사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이너 가이드는,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와 평행을 이루어 직선 형상으로 돌출되는 전단부; 및
상기 전단부로부터 V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와 연결되는 후단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
A bottom plate formed flat so as to be seated on the ground and having a plurality of wrinkles protruding up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t least one inner guide for guiding the entry of water between the plurality of wrinkles; And
And a wall plate member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member vertically upward to form a wall surface and having an arcuate portion protruding in a round shape through the wall surface and inclined toward the bottom plate member,
Wherein the arcuate section has a shape in which the protruding size increases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wall plate material,
Wherein the plurality of corrugations have a cone shape increasing in size upwardly protruding from the bottom plate material toward the wall plate member, wherein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corrugations are connected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arched top,
Wherein the inner guide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wrinkl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lurality of wrinkles,
Wherein the inner guide includes: a front end portion which is linearly projected parallel to the plurality of wrinkles at a position where the plurality of wrinkle portions start; And
And a rear en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portion to extend in a V shape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wrinkle portio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재의 일측에는 소정의 높이 단차를 갖도록 형성된 바닥 스텝 형상부가 마련되고,
상기 벽면판재의 일측에는 상기 바닥 스텝 형상부와 연결되며 상기 바닥 스텝 형상부와 동일한 높이 단차를 갖도록 형성된 벽면 스텝 형상부가 마련되는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ottom step-shaped port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ttom plate,
A wall stepped portion connected to the bottom step portion and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step as the bottom step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ll plate member
Removable water-repellent water-repellent plate for flood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재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주름부와 나란하게 직선 형상으로 돌출되어 물의 진입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가이드;
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t least one side guid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plate and projecting linearly in parallel to the plurality of wrinkles to induce entry of water;
A movable water flood-responsive streamlined water-repellent pla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스텝 형상부에는 제1 연결 편이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재의 타측에는 상기 제1 연결 편이 삽입 가능한 형태의 제1 삽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벽면 스텝 형상부에는 제2 연결 편이 구비되고,
상기 벽면판재의 타측에는 상기 제2 연결 편이 삽입 가능한 형태의 제2 삽입구가 구비되는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bottom step-shaped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ng piece,
And a first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first connection piece can be inserted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plate,
The wall stepped portion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necting piece,
And a second insertion port in which the second connection piece is insertable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wall plate member
Removable water-repellent water-repellent plate for flood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편과 상기 제1 삽입구 간의 연결과, 상기 제2 연결 편과 상기 제2 삽입구 간의 연결을 통해 다수 개의 차수판이 필요한 길이만큼 좌우로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plurality of water level plate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equired length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first insertion port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insertion port
Removable water-repellent water-repellent plate for floo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상부의 돌출 단부는 상기 바닥판재와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ng end of the arcuate section is at an acute angle with the bottom plate material
Removable water-repellent water-repellent plate for flooding.
KR1020170171998A 2017-12-14 2017-12-14 Movable streamlined flood protection plate KR1018988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998A KR101898870B1 (en) 2017-12-14 2017-12-14 Movable streamlined flood protection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998A KR101898870B1 (en) 2017-12-14 2017-12-14 Movable streamlined flood protection 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870B1 true KR101898870B1 (en) 2018-09-14

Family

ID=63599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998A KR101898870B1 (en) 2017-12-14 2017-12-14 Movable streamlined flood protection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87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645A (en) * 2018-11-15 2020-05-25 홍도찬 The fluid barrier
KR102180750B1 (en) * 2020-07-13 2020-11-19 오은호 Universal joint type water flow guiding assembly capable of adjusting to uneven groun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5025A (en) * 1997-05-12 2001-12-04 シグルト・メリン A dam device for forming a liquid dam protection dike.
KR101038488B1 (en) * 2010-06-28 2011-06-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Connecting revetment structure using flow velocity reduction device
KR101471468B1 (en) * 2013-03-19 2014-12-10 주식회사 지에스코 Waterproof structure for parap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5025A (en) * 1997-05-12 2001-12-04 シグルト・メリン A dam device for forming a liquid dam protection dike.
KR101038488B1 (en) * 2010-06-28 2011-06-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Connecting revetment structure using flow velocity reduction device
KR101471468B1 (en) * 2013-03-19 2014-12-10 주식회사 지에스코 Waterproof structure for parap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645A (en) * 2018-11-15 2020-05-25 홍도찬 The fluid barrier
KR102135225B1 (en) * 2018-11-15 2020-07-17 홍도찬 The fluid barrier
KR102180750B1 (en) * 2020-07-13 2020-11-19 오은호 Universal joint type water flow guiding assembly capable of adjusting to uneven grou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870B1 (en) Movable streamlined flood protection plate
ES2371091T3 (en) BASEMENT FOR A MARINE WIND FARM WITH AT LEAST ONE STEP OF MARINE CABLE.
EP2753824B1 (en) Caisson breakwater module
BG100279A (en) Impermeable protection envelop for hydraulic stuctures
KR20190042135A (en) Floating solar power system with hight adjustment pontoons
KR100678413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ecology institution of buoyancy type in pro- environment regulated rise and fall according as river slope
CN106592512A (en) Reinforced concrete and gabion combined ecological flood control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2079549A (en) Wet construction method for coverage system of refuse landfill sewage adjusting tank
IT201800005132A1 (en) System of interception and collection of waste and debris in the water
KR20110139963A (en) Underwater breakwater
JP3958170B2 (en) Protective equipment for embankments and structures
NL2011547C2 (en) DEVICE FOR TURNING A LIQUID IN A LIQUID BASIN.
CN206554018U (en) A kind of ecological flood control wall construction
JP3823273B2 (en) Float body sheet
JP3917912B2 (en) Embankment
KR101152068B1 (en) Artificial island having beautification functions
KR20130046242A (en) Drainage system using water storage block
KR101050541B1 (en) Drainage induction device for preventing soil outflow by running water
JP2009228268A (en) Leg type offshore breakwater
JP2003306920A (en) Steel sheet pile type quay structure
JP4776694B2 (en) Harbor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uch a structure
GB2456394A (en) Flood defence system
KR20140017796A (en) Pontoon
KR20080081115A (en) Soil dischargable and water level controllable, rubber dam and fish way
RU2449085C2 (en) Device to collect oil spilled on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