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842B1 - 제진 효율을 향상시킨 제진기 - Google Patents

제진 효율을 향상시킨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842B1
KR101898842B1 KR1020180031047A KR20180031047A KR101898842B1 KR 101898842 B1 KR101898842 B1 KR 101898842B1 KR 1020180031047 A KR1020180031047 A KR 1020180031047A KR 20180031047 A KR20180031047 A KR 20180031047A KR 101898842 B1 KR101898842 B1 KR 101898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ke
screen
plate
channel
endless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태광식
Original Assignee
태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광식 filed Critical 태광식
Priority to KR1020180031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 펌프장 및 하수처리장 또는 수로나 하천에 설치되어 물과 함께 떠내려 오는 이물질 또는 협잡물을 거르기 위하여 수로나 하천의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프레임에 지지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순환하도록 설치된 무한궤도와; 상기 무한궤도의 순환에 간섭받지 않도록 설치되어 협잡물은 걸러지되, 유체가 통과하도록 틈새가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과; 상기 무한궤도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스크린상에 걸린 협잡물을 수거하도록 무한궤도의 순환에 의해 함께 순환하는 복수의 레이크;로 이루어진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는 스크린의 후방에 위치하여 레이크의 끝단부에 형성된 갈퀴가 스크린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스크린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제진기는 스크린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퀴형상의 레이크의 끝단부가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스크린상에 포집된 협잡물을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진 효율을 향상시킨 제진기{Trash remover with improved efficiency of removing trash}
본 발명은 펌프장 및 하수처리장 또는 수로나 하천에 설치되어 물과 함께 떠내려 오는 이물질 또는 협잡물을 거르기 위한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로나 하천의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프레임에 지지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순환하도록 설치된 무한궤도와; 상기 무한궤도의 순환에 간섭받지 않도록 설치되어 협잡물은 걸러지되, 유체가 통과하도록 틈새가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과; 상기 무한궤도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스크린상에 걸린 협잡물을 수거하도록 무한궤도의 순환에 의해 함께 순환하는 복수의 레이크;로 이루어진 제진 효율을 향상시킨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제진기는 펌프장 및 하수처리장 또는 하천이나 수로를 가로막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우천시에 물이 범람하게 돌 경우 범람하는 물과 함께 떠내려오는 목재, 풀, 폐기물 등의 협잡물을 제거 및 펌프의 임펠러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제진기 관련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254450호에 스크린판이 결합된 설치프레임의 좌,우 양측면에 구동모터에 의해 순환 작동되는 한쌍의 리프트체인이 구비되고, 그 리프트체인에 의해 순환 안내되며 스크린판에 걸림된 이물질을 수거 배출하도록, 레이크를 구비시킨제진기 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제진기 본체 전방에 인양크레인을 일체화 구조로 더 연결 형성하되, 상기 인양크레인은, 제2구동축과, 제2종동축에 의해 좌,우 대칭 이격 구조로 연결되는 한쌍의 보조 설치프레임과, 상기 보조 설치프레임의 제2구동축과 제2종동축을 동력 연결하며 한쌍의 대칭구조로 설치되는 인양체인과, 상기 한 쌍의 인양체인에 규칙적인 간격 배열구조를 이루며 장착 고정되는 다수개의 인양레이크와, 상기 다수개의 인양레이크 사이에 규칙적인 간격 배열구조를 이루며 장착고정되는 차단판으로 이루어지는 스크린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인양레이크는, 전면에 배수공이 형성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 하단에 직각 연결구조로 결합되는 갈퀴 형상의 인양포크로 형성하되, 상기 지지편은, 인양되는 협잡물과의 접촉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다수개의 가변적 링크연결구조로 결합 형성되고, 상기 인양포크는, 평면형 포크부재와, 쐐기형 포크부재가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배열구조를 이루며 형성되며; 상기 차단판은, 전면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판의 설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다수개의 가변적 링크연결구조로 결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제진기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6592호의 제진기에 의하면, 수로의 폭방향에 설치된 제진스크린에 걸려진 오물 등의 쓰레기를 제거하는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제진기는 수로 양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되며, 수로의 바닥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경사가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 수평으로 연결된 수평부로 이루어진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 수직부와 동일한 각도로 중간부분에 배치된 제진스크린과; 상기 프레임본체의 수평부 단부에 폭방향으로 관통, 배치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축결합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구동부재를 매개로 연결된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부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내벽에 근접하도록, 상기 구동축 양단에 대칭형으로 축결합된 종동기어에 도르레식으로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프레임본체의 내벽에 대칭형으로 배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체인과; 상기 이송체인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진스크린에 걸려진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이송체인의 원주방향에 적어도 2개소 이상 배치된 제진부와; 상기 프레임본체 하단의 수로바닥에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전위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진기는 협잡물이 스크린상에 누적되어 스크린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많은 양의 협잡물을 이동시킬 때에는 과부하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크린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퀴형상의 레이크의 끝단부가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스크린상에 포집된 협잡물을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는 제진 효율을 향상시킨 제진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펌프장 및 하수처리장 또는 수로나 하천에 설치되어 물과 함께 떠내려 오는 이물질 또는 협잡물을 거르기 위하여 수로나 하천의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프레임에 지지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순환하도록 설치된 무한궤도와; 상기 무한궤도의 순환에 간섭받지 않도록 설치되어 협잡물은 걸러지되, 유체가 통과하도록 틈새가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과; 상기 무한궤도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스크린상에 걸린 협잡물을 수거하도록 무한궤도의 순환에 의해 함께 순환하는 복수의 레이크;로 이루어진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는 스크린의 후방에 위치하여 레이크의 끝단부에 형성된 갈퀴가 스크린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스크린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제진 효율을 향상시킨 제진기는 스크린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퀴형상의 레이크의 끝단부가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스크린상에 포집된 협잡물을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제진기의 측면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제진기의 정면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제진기에 장착되는 레이크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 제진기에 장착되는 레이크와 스크린의 관계를 나타낸 일부분 확대 상세개요도.
도 5는 본 발명 제진기의 스크린에 장착되는 고정수단을 나타낸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 제진기의 제2실시에 따른 레이크와 스크린의 관계를 나타낸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 제진기의 제2실시에 따른 레이크와 스크린의 관계를 나타낸 일부분 확대 상세개요도.
도 8은 본 발명 제진기의 제2실시에 따른 스크린 고정수단을 나타낸 개요도.
도 9는 본 발명 제진기의 제3실시에 따른 레이크와 스크린의 관계를 나타낸 개요도.
도 10은 본 발명 제진기의 제3실시에 따른 레이크와 스크린의 관계를 나타낸 일부분 확대 상세개요도.
도 11은 본 발명 제진기의 제3실시에 따른 스크린 고정수단을 나타낸 개요도.
도 12는 본 발명 제진기에 장착되는 레이크 보호수단을 나타낸 측면 개요도.
도 13은 본 발명 제진기에 장착되는 레이크 보수수단을 나타낸 정면 개요도.
본 발명 펌프장 및 하수처리장 또는 수로나 하천에 설치되어 물과 함께 떠내려 오는 이물질 또는 협잡물을 거르기 위하여 수로나 하천의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프레임(190)에 지지되어 구동모터(140)에 의해 순환하도록 설치된 무한궤도(110)와; 상기 무한궤도(110)의 순환에 간섭받지 않도록 설치되어 협잡물은 걸러지되, 유체가 통과하도록 틈새가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120)과; 상기 무한궤도(110)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스크린(120)상에 걸린 협잡물을 수거하도록 무한궤도(110)의 순환에 의해 함께 순환하는 복수의 레이크(130);로 이루어진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130)는 스크린(120)의 후방에 위치하여 레이크(130)의 끝단부에 형성된 갈퀴(131)가 스크린(120)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스크린(12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무한궤도(110)는 한 쌍의 풀리에 체인이나 벨트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이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순환하는 기기를 가리키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무한궤도(110)를 보호하기 위하여 길이가 길게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190)이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120)은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판재가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되, 상기 복수 개의 판재는 상단과 하단만이 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레이크(130)는 끝단부에 복수 개의 갈퀴(1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갈퀴 간에 형성된 틈새에는 갈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33)가 장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제진 효율을 향상시킨 제진기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제진기의 측면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제진기의 정면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제진기에 장착되는 레이크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 제진기에 장착되는 레이크와 스크린의 관계를 나타낸 일부분 확대 상세개요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펌프장 및 하수처리장 또는 수로나 하천에 설치되어 물과 함께 떠내려 오는 이물질 또는 협잡물을 거르기 위한 제진기(100)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제진기(100)는 수로나 하천의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프레임(190)에 지지되어 구동모터(140)에 의해 순환하도록 설치된 무한궤도(110)와; 상기 무한궤도(110)의 순환에 간섭받지 않도록 설치되어 협잡물은 걸러지되, 유체가 통과하도록 틈새가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120)과; 상기 무한궤도(110)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스크린(120)상에 걸린 협잡물을 수거하도록 무한궤도(110)의 순환에 의해 함께 순환하는 복수의 레이크(1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진기(100)에 장착되는 상기 레이크(130)는 스크린(120)의 후방에 위치하여 레이크(130)의 끝단부에 형성된 갈퀴(131)가 스크린(120)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스크린(12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120)은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판재가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되, 상기 복수 개의 판재는 상단과 하단만이 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레이크(130)의 순환시 스크린에 간섭이 되지 않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레이크(130)는 끝단부에 복수 개의 갈퀴(1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갈퀴(131) 간에 형성된 틈새에는 갈퀴(13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33)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인해 레이크(130)의 갈퀴(131)는 쉽게 변형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무한궤도(110)의 상부 측 후단에는 레이크(130)에 의해 상부로 이송된 협잡물이 수거되는 수집부(1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집부(150)는 컨베이어 타입으로 레이크(130)에 의해 이송된 협잡물이 후술한 스크래퍼(160)와 커팅수단에 의해 절단되어 낙하된 것을 이송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스크린(120)의 상단부 측에는 레이크(130)에 의해 이송된 협잡물을 자르기 위한 스크래퍼(1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크래퍼(160)는 레이크(130)의 끝단부에 형성된 갈퀴(131) 사이로 통과하도록 레이크(130)의 갈퀴(131)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레이크(130)의 갈퀴(131)가 스크래퍼(160)를 통과하게 되면 레이크(130)에 의해 이송된 협잡물이 남게 되고, 이때 원주연이 절삭날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형상의 커팅수단(도면 미도시)에 의해 협잡물을 자르게 되면 구동모터(140)에 발생하게 되는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커팅수단의 구동수단은 별도의 구동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동모터(140)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크린(120)은 복수 개의 판재로 이루어져 상단과 하단만이 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견고하게 스크린(12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180)이 필요하다.
도 5는 본 발명 제진기의 스크린에 장착되는 고정수단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프레임(190)의 내측면에 프레임(19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고정수단(180)을 장착하여 상기 고정수단(180)이 스크린(120)의 양측면에서 스크린(120)을 압박하도록 함으로써 스크린(120)이 양측 방향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고정수단(180)은 프레임(190)의 내측에 스크린(120)을 향하여 개구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도록 장착되는 찬넬(181)과, 상기 찬넬(181)의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182)과, 상기 스프링(182)의 장착되어 스크린(120)의 측면에 직접 접촉되는 완충부재(183)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완충부재(183)는 구형상의 비금속으로 제작됨으로써 금속재질의 스크린(120)과의 마찰을 줄이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찬넬(181)의 바닥면에 밀판(184)을 장착하고, 상기 프레임(190)의 외측면에는 찬넬(181)의 관통하여 밀판(184)에 끝단부가 체결되는 조정볼트(185)를 장착하여 조정볼트(185)에 의해 스크린(120)의 양측면을 압박하는 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찬넬(181)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밀판(184)은 찬넬(181)의 바닥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찬넬(181)의 내부 형상이 원형이면 찬넬(181)의 내부에 장착되는 밀판(184)의 형상을 원판형 판재로 형성하여 조정볼트(185)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속한다.
그리고, 상기 찬넬(181)의 내부 형상이 다각형이면 조정볼트(185)가 회전하면 밀판(184)은 직선운동을 하도록 상기 밀판(184)에 조정볼트(185)가 헛돌도록 결합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 제진기의 제2실시에 따른 레이크와 스크린의 관계를 나타낸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 제진기의 제2실시에 따른 레이크와 스크린의 관계를 나타낸 일부분 확대 상세개요도, 도 8은 본 발명 제진기의 제2실시에 따른 스크린 고정수단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참고로, 도 8은 고정수단(180)을 상부에서 본 개요도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크(130)와 스크린(120)의 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스크린(120)의 형상을 환봉형 스크린(120-1)으로 형성하였다.
한편, 상기 환봉형 스크린(120-1)에도 상기 환봉형 스크린(120-1)이 양측방향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압박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180)이 장착되게 되는데, 고정수단(180)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봉형 스크린(120-1)에 접촉되는 완충부재(183)는 환봉형 스크린(120-1)의 외주연에 대응하도록 접촉부분에 반구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레이크(130)와 갈퀴(131) 사이에는 비금속 재질의 보호판(132)을 장착하여 금속재질의 레이크(130)가 직접 금속재질의 환봉형 스크린(120-1)에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레이크(130)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더욱 효율적으로 줄였다.
상기와 같이 레이크(130)와 보호판(132) 그리고 갈퀴(131)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설명에 도시된 스크린(120)에도 접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 제진기의 제3실시에 따른 레이크와 스크린의 관계를 나타낸 개요도, 도 10은 본 발명 제진기의 제3실시에 따른 레이크와 스크린의 관계를 나타낸 일부분 확대 상세개요도, 도 11은 본 발명 제진기의 제3실시에 따른 스크린 고정수단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참고로, 도 11은 고정수단(180)을 상부에서 본 개요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크(130)와 스크린(120)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환봉 형상의 스크린(120-1)과 판재형상의 스크린(120)을 혼합하여 설치하였다.
즉, 환봉 형상의 스크린(120-1)과 판재형상의 스크린(120)을 적층하여 용접으로 결합한 후, 레이크(130)에 접촉되는 부분에 환봉 형상의 스크린(120-1)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서 레이크(130)와 스크린(120)의 마찰을 줄였다.
그리고 환봉 형상의 스크린(120-1)과 판재형상의 스크린(120)을 적층된 구조에서도 고정수단(180)을 장착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수단(180)의 완충부재(183)는 환봉 형상으 스크린(120-1)에 접촉되도록 장착함으로서 마찰력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레이크(130)에는 레이크(130)에 무거운 하중이 가해질 때, 레이크(1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레이크 보호수단(170)이 장착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 제진기에 장착되는 레이크 보호수단을 나타낸 측면 개요도, 도 13은 본 발명 제진기에 장착되는 레이크 보수수단을 나타낸 정면 개요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레이크 보호수단(170)은 레이크(130)의 하면 끝단부에 하부로 돌출되는 상부 브래킷(172)과, 상기 상부 브래킷(172)의 하단에 상단이 힌지결합되는 하부 브래킷(173)과 상기 하부 브래킷(173)의 하단에 고정되는 판재형상의 지지판(171)과, 상기 레이크(130)의 하면과 지지판(171)의 상면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면이 개구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74)과, 상기 하우징(174)의 내부에 양단이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175)으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하우징(174)은 상·하부 브래킷(172, 173)보다는 스크린(120)에 근접하는 곳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레이크(130)의 상면에 스프링(175)의 탄성력보다 무거운 협잡물이 위치하게 되면 상·하부 브래킷(172, 173)이 서로 힌지결합되어 있는 관계로 스프링(175)이 압축되면서 레이크(130)의 끝단부가 하부로 회동하여 하부를 향한 경사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레이크(130)의 상면에 위치하고 있는 협잡물이 미끄러져 하부로 낙하하게 되어 레이크(130)의 상면에 가해지는 외력이 사라지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175)의 복원력에 의해 레이크(130)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진기는 스크린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퀴형상의 레이크의 끝단부가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스크린상에 포집된 협잡물을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제진기
110. 무한궤도
120. 스크린 120-1. 환봉형 스크린
130. 레이크 131. 갈퀴 132. 보호판
133. 지지부재
140. 구동모터
150. 수집부
160. 스크래퍼
170. 레이크 보호수단 171. 지지판 172. 상부 브래킷
173. 하부 브래킷 174. 하우징 175. 스프링
180. 고정수단 181. 찬넬 182. 스프링
183. 완충부재 184. 밀판 185. 조정볼트
190. 프레임

Claims (3)

  1. 펌프장 및 하수처리장 또는 수로나 하천에 설치되어 물과 함께 떠내려 오는 이물질 또는 협잡물을 거르기 위하여 수로나 하천의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프레임(190)에 지지되어 구동모터(140)에 의해 순환하도록 설치된 무한궤도(110)와; 상기 무한궤도(110)의 순환에 간섭받지 않도록 설치되어 협잡물은 걸러지되, 유체가 통과하도록 틈새가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120)과; 상기 무한궤도(110)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스크린(120)상에 걸린 협잡물을 수거하도록 무한궤도(110)의 순환에 의해 함께 순환하는 복수의 레이크(130);로 이루어진 제진 효율을 향상시킨 제진기로써,
    상기 레이크(130)는 스크린(120)의 후방에 위치하여 레이크(130)의 끝단부에 형성된 갈퀴(131)가 스크린(120)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스크린(12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진 효율을 향상시킨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120)은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 개의 판재가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되, 상기 복수 개의 판재는 상단과 하단만이 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레이크(130)는 끝단부에 복수 개의 갈퀴(1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갈퀴(131) 간에 형성된 틈새에는 갈퀴(13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33)가 장착되는 것이며,
    상기 무한궤도(110)의 상부 측 후단에는 레이크(130)에 의해 상부로 이송된 협잡물이 수거되는 수집부(150)가 설치되되, 상기 수집부(150)는 컨베이어 타입으로 레이크(130)에 의해 이송된 협잡물이 스크래퍼(160)와 커팅수단에 의해 절단되어 낙하된 것을 이송하는 장치인 것이며,
    상기 스크린(120)의 상단부 측에는 레이크(130)에 의해 이송된 협잡물을 자르기 위한 스크래퍼(160)가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스크래퍼(160)는 레이크(130)의 끝단부에 형성된 갈퀴(131) 사이로 통과하도록 레이크(130)의 갈퀴(131)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레이크(130)의 갈퀴(131)가 스크래퍼(160)를 통과하게 되면 레이크(130)에 의해 이송된 협잡물이 남게 될 때, 원주연이 절삭날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형상의 커팅수단에 의해 협잡물을 자르게 되면 구동모터(140)에 발생하게 되는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한 쌍의 프레임(190)의 내측면에 프레임(19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고정수단(180)을 장착하여 고정수단(180)이 스크린(120)의 양측면에서 스크린(120)을 압박하도록 함으로써 스크린(120)이 양측 방향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되, 상기 고정수단(180)은 프레임(190)의 내측에 스크린(120)을 향하여 개구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도록 장착되는 찬넬(181)과, 상기 찬넬(181)의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182)과, 상기 스프링(182)의 장착되어 스크린(120)의 측면에 직접 접촉되는 완충부재(183)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완충부재(183)는 구형상의 비금속으로 제작됨으로써 금속재질의 스크린(120)과의 마찰을 줄인 것이며,
    상기 찬넬(181)의 바닥면에 밀판(184)을 장착하고, 상기 프레임(190)의 외측면에는 찬넬(181)의 관통하여 밀판(184)에 끝단부가 체결되는 조정볼트(185)를 장착하여 조정볼트(185)에 의해 스크린(120)의 양측면을 압박하는 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찬넬(181)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밀판(184)은 찬넬(181)의 바닥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찬넬(181)의 내부 형상이 원형이면 찬넬(181)의 내부에 장착되는 밀판(184)의 형상을 원판형 판재로 형성하여 조정볼트(185)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속하는 것이며,
    상기 찬넬(181)의 내부 형상이 다각형으로서 조정볼트(185)가 회전하면 밀판(184)은 직선운동을 하도록 밀판(184)에 조정볼트(185)가 헛돌도록 결합하는 것이며,
    상기 레이크(130)와 갈퀴(131) 사이에는 비금속 재질의 보호판(132)을 장착하여 금속재질의 레이크(130)가 직접 금속재질의 환봉형 스크린(120-1)에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레이크(130)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더욱 효율적으로 줄이는 것이며,
    상기 환봉형 스크린(120-1)과 판재형상의 스크린(120)을 적층하여 용접으로 결합한 후, 레이크(130)에 접촉되는 부분에 환봉 형상의 스크린(120-1)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서 레이크(130)와 스크린(120)의 마찰을 줄인 것이며,
    상기 레이크(130)에는 레이크(130)에 무거운 하중이 가해질 때, 레이크(1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이크 보호수단(170)이 장착되되, 상기 레이크 보호수단(170)은 레이크(130)의 하면 끝단부에 하부로 돌출되는 상부 브래킷(172)과, 상기 상부 브래킷(172)의 하단에 상단이 힌지결합되는 하부 브래킷(173)과 상기 하부 브래킷(173)의 하단에 고정되는 판재형상의 지지판(171)과, 상기 레이크(130)의 하면과 지지판(171)의 상면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면이 개구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74)과, 상기 하우징(174)의 내부에 양단이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175)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며,
    상기 레이크(130)의 상면에 스프링(175)의 탄성력보다 무거운 협잡물이 위치하게 되면 상·하부 브래킷(172, 173)이 서로 힌지결합되어 있는 관계로 스프링(175)이 압축되면서 레이크(130)의 끝단부가 하부로 회동하여 하부를 향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레이크(130)의 상면에 위치하고 있는 협잡물이 미끄러져 하부로 낙하하게 되어 레이크(130)의 상면에 가해지는 외력이 사라지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175)의 복원력에 의해 레이크(130)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 특징인 제진 효율을 향상시킨 제진기.

  2. 삭제
  3. 삭제
KR1020180031047A 2018-03-16 2018-03-16 제진 효율을 향상시킨 제진기 KR101898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047A KR101898842B1 (ko) 2018-03-16 2018-03-16 제진 효율을 향상시킨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047A KR101898842B1 (ko) 2018-03-16 2018-03-16 제진 효율을 향상시킨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842B1 true KR101898842B1 (ko) 2018-09-13

Family

ID=6359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047A KR101898842B1 (ko) 2018-03-16 2018-03-16 제진 효율을 향상시킨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8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628B1 (ko) * 2018-10-10 2019-04-30 김해동 광폭 수로형 제진기
KR101977568B1 (ko) * 2018-10-22 2019-05-10 태광식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하수처리장용 평면스크린
KR102212858B1 (ko) * 2020-07-01 2021-02-05 홍석범 대형협잡물 제거가 가능한 전위스크린 미설치형 제진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2544A (ja) * 2005-06-08 2006-12-21 Tokai Kogyo Kk 除塵装置の掻塵具
KR101099430B1 (ko) * 2011-04-15 2011-12-27 금전기업 주식회사 로타리 제진기
KR101119517B1 (ko) * 2011-12-02 2012-02-28 주식회사 아이엔텍 로터리 제진기
KR101132083B1 (ko) * 2011-04-22 2012-04-02 주식회사 성진기계 제진기의 전위스크린
KR101642238B1 (ko) * 2015-12-31 2016-07-22 김선아 협잡물 이송을 위한 로타리식 제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2544A (ja) * 2005-06-08 2006-12-21 Tokai Kogyo Kk 除塵装置の掻塵具
KR101099430B1 (ko) * 2011-04-15 2011-12-27 금전기업 주식회사 로타리 제진기
KR101132083B1 (ko) * 2011-04-22 2012-04-02 주식회사 성진기계 제진기의 전위스크린
KR101119517B1 (ko) * 2011-12-02 2012-02-28 주식회사 아이엔텍 로터리 제진기
KR101642238B1 (ko) * 2015-12-31 2016-07-22 김선아 협잡물 이송을 위한 로타리식 제진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628B1 (ko) * 2018-10-10 2019-04-30 김해동 광폭 수로형 제진기
KR101977568B1 (ko) * 2018-10-22 2019-05-10 태광식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하수처리장용 평면스크린
KR102212858B1 (ko) * 2020-07-01 2021-02-05 홍석범 대형협잡물 제거가 가능한 전위스크린 미설치형 제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842B1 (ko) 제진 효율을 향상시킨 제진기
KR101642238B1 (ko) 협잡물 이송을 위한 로타리식 제진기
KR101995674B1 (ko) 제진 효율을 향상시킨 제진기
KR101408394B1 (ko) 스크린이 상하로 분리되는 스크린 인양식 제진기
KR101752106B1 (ko) 더블 레이크가 적용된 스크린 인양식 로터리 제진기
KR101099431B1 (ko) 로타리 제진기
KR101893203B1 (ko) 스프링캡 내장형 레이크를 구비한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KR101797114B1 (ko) 링크체인 타입 제진기
KR102285379B1 (ko) 협잡물겸 침사 수거용 제진기
KR101891054B1 (ko) 스크류 타입의 침사인양기를 이용한 협잡물 처리기
KR200411808Y1 (ko) 제진기의 진개물 유입 방지장치
KR102243084B1 (ko) 제진기
KR200332449Y1 (ko) 로터리식 제진기
KR20020092765A (ko) 로터리식 제진기
KR102284268B1 (ko) 협잡물 탈락 및 이탈 방지용 레이크가 장착된 제진기
KR101698188B1 (ko) 레이크와 에이프런 보호 기능을 갖는 제진기
KR101824663B1 (ko) 협잡물 감지기능을 갖는 제진기
KR101892859B1 (ko)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더블 레이크가 장착된 로터리 제진기 인양방법
KR20190095758A (ko) 보조레이크를 갖는 제진기
KR102182705B1 (ko) 제진기
KR101575784B1 (ko)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
KR102621559B1 (ko) 스텝식 제진기
KR101995902B1 (ko) 자동 승강식 제진기
KR101892858B1 (ko) 권선기를 이용한 더블 레이크가 장착된 로터리 제진기 인양방법
KR20190095757A (ko) 내진형 제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