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481B1 -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481B1
KR101898481B1 KR1020170043882A KR20170043882A KR101898481B1 KR 101898481 B1 KR101898481 B1 KR 101898481B1 KR 1020170043882 A KR1020170043882 A KR 1020170043882A KR 20170043882 A KR20170043882 A KR 20170043882A KR 101898481 B1 KR101898481 B1 KR 101898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management
service
management service
parking
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현
이상일
이재희
이선혜
김두영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70043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4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06F17/5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무 서비스 모델링을 통해 생성한 주차 관리 서비스를 실행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업(task)을 포함하는 주차 관리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원(resource)을 제공하는 주차 관리 자원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업의 워크 플로우(workflow)로 구성된 주차 관리 서비스의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주차 관리 서비스의 모델을 주차 관리 서비스 파일로 변환하는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 및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 파일을 기초로 상기 주차 관리 자원부를 제어하며,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를 실행하는 주차 관리 서비스 실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업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업 각각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service)와 매칭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각각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원과 매칭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MISSION SERVICE}
본 발명은 임무 서비스 모델링을 통해 생성한 주차 관리 서비스를 실행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프트웨어의 보급이 급속이 증가함에 따라 인간의 생활과 소프트웨어 간에 밀접한 관계가 성립되었으며, 이에 따라 품질 좋은 소프트웨어를 빠르게 생산해 내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개발하지 않고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들을 함께 고려하여 개발하는, 소프트웨어 제품 라인(Software Product Line, SPL)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SPL 기술은 동일한 도메인에 속한 여러 시스템의 기능적 측면과 품질을 고려하여 공통점 및 차이점 분석을 통해 충분한 핵심 자산(core asset)을 확보하고, 이러한 핵심 자산들을 조합하여 원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5-0133902호에는, 소프트웨어 제품 라인에 기반한 서비스 개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서비스"는 명확한 기능적인 의미를 지닌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의미하며, 고차원의 비즈니스 개념을 캡슐화 하고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SOA) 관점에서의 "서비스"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이 가진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는 컴포넌트를 의미한다.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여 임의의 임무(mission 또는 duty)에 대한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임무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임무란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개인 또는 단체에 부여된 주요한 과업(즉, “일”)들로 구성된다. 이때, 과업이란 임의의 임무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는 활동의 단위를 의미하며, 하나의 임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과업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기존 주차 관리 시스템은 각종 디바이스가 사전에 설정된 방식으로만(즉, 의존적으로) 작동하며, 이에 따라 고정된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뿐, 디바이스의 재사용을 통한 다양하고 편리한 주차 관리 서비스의 제공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즉, 기존의 주차 관리 시스템은 단순히 주차와 관련하여 발생된 정보를 사용자(또는 관리자)가 확인하는 정도의 서비스만 가능할 뿐이며, 수정되거나 새로운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주차 관리용 디바이스를 설치하거나 관리 시스템을 새로 개발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주차 관리용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을 자원으로 사용하는 임무 서비스 모델링을 이용하여, 신규 또는 수정한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업(task)을 포함하는 주차 관리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원(resource)을 제공하는 주차 관리 자원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업의 워크 플로우(workflow)로 구성된 주차 관리 서비스의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주차 관리 서비스의 모델을 주차 관리 서비스 파일로 변환하는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 및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 파일을 기초로 상기 주차 관리 자원부를 제어하며,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를 실행하는 주차 관리 서비스 실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업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업 각각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service)와 매칭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각각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원과 매칭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자원부는, 주차 공간에 설치된 센서 디바이스 및 액츄에이터, 주차 관련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는, 상기 주차 관리 자원부에 포함된 자원에 대해 복수의 서비스를 각각 매칭하여, 상이한 주차 관리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 표기법(Business Process Modeling Notation: BPMN)을 적용하여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의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는, 임무, 과업, 서비스 및 자원을 선택 및 수정할 수 있는 편집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는, 상기 편집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임무, 과업, 서비스 및 자원 별로 복수의 후보군을 제공하고, 상기 후보군 중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결과에 근거하여,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 실행부는,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 파일을 디플로이(deploy) 처리하여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업 각각에 사용할 템플릿(template) 및 구성(configuration)을 설정한 후, 대응하는 자원을 연결하여 주차 관리 서비스의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주차 관리”라는 “임무”에 대해 임무 서비스(mission service) 개념을 적용하여, 주차 관리 시스템 상에 포함된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임무 서비스화 함으로써, 주차 관리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다양하게 재사용하여 새로운 주차 관리 서비스를 간편하게 개발 및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무 서비스 모델링 방식을 활용함으로써, 주차 관리 서비스를 시각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주차 관리 서비스를 직접 편집 및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무 서비스를 구성하는 계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 표기법을 적용한 임무 서비스 워크플로우 작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에 대한 워크플로우 상의 서브 프로세스에 과업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XML 형태로 표현된 임무 서비스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일 디바이스를 사용한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 관리”라는 “임무”에 대해 임무 서비스(mission service) 개념을 적용하여, 주차 관리 시스템 상에 포함된 디바이스(이하, “주차 관리 디바이스”라고 지칭함)의 레벨을 서비스화하고, 주차 관리 디바이스를 다양하게 재사용하여 새로운 주차 관리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은, 임무 서비스 모델링 방식을 활용함으로써, 주차 관리 서비스를 시각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주차 관리 서비스를 직접 편집 및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에 설치된 각종 디바이스들 및 주차 관리와 관련하여 제공될 수 있는 API(Application) 서비스를 사용자가 조합하는 바에 따라 다양한 주차 관리 서비스를 생성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란, 말 그대로 주차에 관련된 각종 장치로서 주차장마다 각각 설정된 영역에 설치된 장치를 의미하며, 해당 장치를 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각종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100)은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110), 주차 관리 서비스 실행 엔진(실행부)(120) 및 주차 관리 자원부(130)를 포함한다.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110)는 임무 서비스를 모델링 및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110)는 자원(resource)의 재사용과 임무 서비스를 활용하여, 이들을 필요에 따라 동적으로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임무 서비스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임무”는 “주차 관리”이며, 이에 따라 “임무 서비스”는 “주차 관리 서비스”라 지칭하도록 한다. 즉, 하나의 주차 관리 서비스는 하나의 워크플로우로서 하나 이상의 과업(task)으로 구성된다.
이때, 주차 관리 서비스를 위한 과업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자원과 연결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주차 관리를 위한 자원으로서 센서 디바이스, 액츄에이터 디바이스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i) 서비스가 포함된 것을 예로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주차 관리를 위해 제공될 수 있는 자원은 이들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무 서비스를 구성하는 계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임무 서비스 모델”은, 임의의 임무 계획 및 수립에 소요되는 노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임무 수행에 필요한 정보 요소들을 분석하고 분석된 요소들을 기반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식별하여, 분산된 자원들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들을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조합함으로써, 성공적인 임무 수행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임무 표현 방법을 의미한다.
“임무 서비스”는 임무 서비스 모델의 구현체로서, 임무 서비스 모델링을 통해 생성된 임무 서비스 모델에 의해 구체화 및 설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무 서비스 모델은 사용자가 원하는(또는 선택/결정한) 특정 “임무”와, 특정 임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과업”, 및 과업을 구현하기 위한 복수의 “서비스” 간의 계층형 구조로 구성된다.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110)는 어느 하나의 주차 관리 서비스 별로 각 임무에 대응하는 요구 능력을 분석하고, 분석된 요구 능력을 통하여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과업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과업 간의 수행 순서에 기초하여 워크플로우(즉, 임무 서비스 모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110)는 설정된 각 과업 별로 자원을 매칭한다. 자원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예를 들어, 제공 가능한 기능 또는 능력)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자원은 주차 관리 디바이스로서, 센서 디바이스, 액츄에이터 디바이스 및 각종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110)는 자체적으로 포함된 온톨로지(미도시)를 활용하여, 임무와 과업, 과업과 서비스, 서비스와 자원 간의 시맨틱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연관 관계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온톨로지는 임무, 과업, 서비스 및 자원에 대한 종속 관계 및 인과 관계 등을 계층적으로 정의한 것으로서, 임무, 과업, 서비스 및 자원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하나로 정의된 온톨로지 일 수 있으며, 임무, 과업, 서비스 및 자원 별로 정의된 복수의 온톨로지일 수 있다.
이처럼,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110)는 임무 및 자원의 서비스를 시맨틱 매칭하는 매치메이커(matchmaker)로서의 역할 또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각 서비스 별로 매칭된 자원을 매핑한다. 이때, 매핑 된 자원은 각각 복수의 단일 자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110)는 사용자(즉, 개발자 또는 관리자 등)가 임무, 과업, 서비스, 및 자원을 선택 및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편집 도구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임무, 과업, 서비스 및 자원의 후보군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대상을 선택하여 임무 서비스 모델을 모델링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110)는 도 2에서 설명한 임무 서비스 구조에 기반하여 임무 서비스 워크플로우(즉,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를 작성한다. 그리고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110)는 모델링 된 주차 관리 서비스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 관리한다.
이와 같은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110)를 통해 임무 서비스를 모델링하는 방법은,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주차 관리 서비스 실행 엔진(120)은 모델링이 완료된 임무 서비스 파일(즉, 주차 관리 서비스 파일)을 실행 엔진에 핫 디플로이(hot deploy)하여 실행 가능한 상태로 처리한다.
참고로, 디플로이는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서버상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구동시키는 것(즉, 배포하는 것)을 의미하며, 핫 디플로이는 서버의 재시작 없이 응용프로그램의 동적 변경을 바로 적용 시키는 기능을 의미한다.
이때, 임무 서비스 실행 엔진은 클라이언트 API를 통해 임무서비스 핫디플로이/언디플로이(Hot Deploy/UnDeploy) 및 임무서비스 Start/Stop 기능을 처리함으로써, 임무 서비스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한다.
참고로, 임무 서비스 실행 엔진은 HTTP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를 통한 자동(Remote) 프로시저 콜로서 임무 서비스의 디플로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임무 서비스 실행 엔진은 HTTP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를 통한 수동(local) 프로시저 콜로서 임무 서비스의 시작 및 종료를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 관리 서비스 실행 엔진(120)은 주차 관리 서비스 구동부(121), 데이터베이스(122), 주차 관리 자원 관리부(123) 및 통신 모듈(124)을 포함한다.
주차 관리 서비스 구동부(121)는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110)를 통해 생성된 주차 관리 서비스 파일을 실행 엔진의 재시작 없이 디플로이(즉, 핫 디플로이) 처리한다.
이때, 주차 관리 서비스 구동부(121)는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주차 관리 서비스 파일을 획득하여 핫 디플로이 처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2)는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110)를 통해 생성된 주차관리 서비스 모델 및 파일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들에 대한 이력 및 상태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된다.
주차 관리 자원 관리부(123)는 적용된 주차 관리 서비스에 따라 주차 관리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자원부(130)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어하는 대상(즉, 자원)이 센서 디바이스, 액츄에이터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이므로, 주차 관리 자원 관리부(123)는 센서 컨트롤러, 액츄에이터 컨트롤러 및 애플리케이션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이러한 컨트롤러의 종류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컨트롤러는 통신 모듈(124)을 통해 주차 관리를 위한 센서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센서 디바이스 정보 및 센싱 정보를 요청 및 획득한다.
액츄에이터 컨트롤러는 통신 모듈(124)을 통해 주차 관리를 위한 액츄에이터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각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애플리케이션 컨트롤러는 통신 모듈(124)을 통해 주차 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되는 서비스를 호출하고, 호출된 서비스를 제어한다.
즉, 통신 모듈(124)은 주차 관리 서비스 실행 엔진(120)과 주차 관리 자원부(130) 간의 in/out 통신을 담당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110)의 주차 관리 서비스를 모델링하는 방식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110)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 표기법(BPMN, Business Process Modeling Notation)을 적용하여 임무 서비스 플로우를 작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 표기법을 적용한 임무 서비스 워크플로우 작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BPMN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표현하기 위해 시각화 된 표기법으로서, 프로세스의 시간 흐름 및 서로 다른 액티비티(activities)에 대해서 각 부분들 사이에 흐름을 표시할 수 있는 표기법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BPMN은, 플로우 오브젝트, 연결 오브젝트, 스윔 라인(Swim Line) 및 아티팩트의 4가지 카테고리로 구성될 수 있다.
플로우 오브젝트는, 프로세스를 정의하기 위해 가장 주요한 엘리먼트이다. 플로우 오브젝트 간에는 이벤트, 액티비티, 및 게이트웨이 엘리먼트가 존재한다.
이벤트 엘리먼트는 비즈니스 상에서 어떠한 사건이 발생함을 나타내며, 프로세스의 흐름에 영향을 주고 원인과 결과를 갖는다. 이벤트 엘리먼트는 시작 이벤트, 중간 이벤트 및 종료 이벤트를 포함하며, BPMN 상에 다양한 방법의 시작 및 종료 프로세스가 존재함에 따라 시작, 중간 및 종료 이벤트 또한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액티비티 엘리먼트는 비즈니스 프로세서의 특정 부분에서 어떠한 작업을 수행하는 엘리먼트를 의미하며, 복합적 액티비티와 비복합적 액티비티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액티비티 엘리먼트에는 과업(task) 및 서브 프로세스(sub-process) 등의 액티비티가 포함되며, 각 종류는 그 깊이(depth)가 상이하여 깊이가 깊을수록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서브 프로세스(Sub-Process)의 단위는 하나의 임무(또는 과업)를 의미하며, 가독성 향상을 위해 어느 하나의 과업(Activity)의 서브 프로세스의 내부에는 사용자 과업(User Task) 및 서비스 과업(Service Task)이 사용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엘리먼트는 플로우에 대해서 확산 및 수렴에 대한 표현을 가능하게 하며, 익스클루시브 게이트웨이(Exclusive Gateway), 이벤트 기반 게이트웨이(Gateway Based on events), 병렬 게이트웨이(Parallel Gateway), OR 게이트웨이(Inclusive Gateway), 컴플레스 게이트웨이(Complex Gateway) 등을 포함한다.
또한, 연결 오브젝트는 두 오브젝트를 연결하는 객체로서 프로세스 플로우 상에서 사용된다. 그리고 스윔 라인(Swim line)은 서로 다른 비주얼 카테고리 내에서 조직의 플로우 액티비티를 표현하는데 사용되며, 풀(pool) 엘리먼트와 선(lane 또는 line)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아티팩트(artifacts)는 프로세스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기술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데이터 오브젝트, 그룹 및 주석(Annotations)의 3가지 타입을 포함한다.
즉, 임무 서비스의 워크 플로우를 작성하는 것은 임무 서비스 전체의 구성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BPMN 적용 시 임무 서비스 워크 플로우에는 시작 이벤트, 종료 이벤트, 게이트웨이, 서브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액티비티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참고로 일반적인 BPMN 방식에서는 복합적 액티비티에 서브 프로세스(sub-process)가 포함될 경우, 내부적으로 프로세스 증가로 인한 복잡성 증가 및 과업 내부의 데이터 바인딩(data-binding)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임무 서비스 모델 생성 시 일반적인 BPMN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 실행 레벨에서의 처리가 복잡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110)는 기존의 BPMN 방식에 과업 별 내부 프로세스를 자동 생성 처리를 추가하여 임무 서비스 모델을 생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에 대한 서브 프로세스에 과업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110)는 과업(Task)을 서브프로세스(Sub- Process)를 사용하여 표현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임무 서비스 모델링을 지원한다.
하나의 과업(Task)은 하나의 기능을 담당하는 서브프로세스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센서 정보” 과업의 서브프로세스의 내부는 센서들과 통신을 담당하는 서비스 과업(Service Task)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주차 구역 센서 정보 획득’ 과업으로서, 단순히 주차 센서 정보를 획득하여 다음 과업에 값을 전달하는 과업이다. 참고로, 사용자의 개입이 필요할 경우 사용자 과업(User Task)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 가능 정보” 과업의 서브프로세스의 내부는 템플릿(Template) 형태로 과업을 미리 정의해, 사용자에게는 단순한 프로세스 모델링을 제시하고 이를 사용하는 시점에 환경 변수, 프로퍼티(Properties) 및 파라미터(parameters)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주차 출입 차단기 제어’ 과업으로서, 사용자 승인의 설정이 없을 경우 작동 승인을 하지 않고 바로 차단기 작동으로 진행되는 템플릿 과업이다. 이를 통해 주차 관리 디바이스의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임무 서비스 모델링이 완료되면,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110)는 생성된 임무 서비스 모델을 실제 소프트웨어 가공물로 구현한 임무 서비스 파일을 생성한다. 이때, 임무 서비스 파일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XML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이하, 임무 서비스 모델링을 통해 생성된 주차 관리 서비스가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의 표 1에서와 같이 주차 관리 자원부(130)의 구성에 따라 다양한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Figure 112017033087519-pat00001
한편, 상기 표 1에 포함된 복수의 디바이스 및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재사용하여 다양한 주차 관리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 디바이스를 사용한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의 예시들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의 다른 예이다.
도 6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 디바이스 중 입구/출구 번호판 인식센서를 통해 “입/출차 번호판 인식 정보 요청” 과업을 처리할 수 있다.
이처럼,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여 “입/출차 번호판 인식 정보 요청”이라는 동일한 과업을 수행한 이후, 도 6의 (a)는 주차장 진입 시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고, 시간을 기록하며, 출차 시 번호판을 인식하고 총 주차 시간을 산출하여 요금을 징수하는 “주차 요금 징수 서비스” 모델을 도시하였다.
한편,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여 “입/출차 번호판 인식 정보 요청”이라는 동일한 과업을 수행한 이후, 도 6의 (b)는 주차장 진입 전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차량 10부제에 해당하는 차량일 경우 전광판에 이를 알리고 주차장에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차량 10부제 적용 서비스” 모델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센서 디바이스 중 주차장 입구 차량 감지 센서에 차량이 인식되면, 전광판에 현재 주차 가능한 차량 수와 위치를 표시하고, 입구에 설치된 차단기를 열어 차량이 들어 올 수 있도록 하며, 만차일 경우는 안내 메시지를 표시해 차량을 다른 곳으로 유도하는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을 도시하였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주차 관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에서와 같이, 주차 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임무 서비스를 생성하는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을 처리한다.
먼저, 주차 관리 서비스 전체 구성도를 표시한다(S810).
이는, 임무 서비스 워크플로우를 작성하기 위해 임무 서비스 전체의 구성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BPMN 적용 시 임무 서비스 워크 플로우에는 시작 이벤트, 종료 이벤트, 게이트웨이, 서브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액티비티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각 과업에 연결된 자원을 확인하고, 과업 별로 해당 자원을 연결한다(S820).
즉, 주차 관리와 관련된 과업들은 주차 관리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실행되므로, 각 과업 별로 해당 자원을 연결한다.
그런 다음, 각 과업에 사용할 탬플릿 및 컨피규레이션(configuration)을 설정한 후 이에 대응하는 주차 관리 자원을 연결한다(S830).
이상의 단계 S810 내지 S830은 임무 서비스 모델링 과정이며, 이를 통해 생성된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은 소프트웨어 가공물 형태의 주차 관리 서비스 파일로 변환된다.
다음으로, 모델링이 완료된 서비스 파일을 임무 서비스 실행 엔진에 디플로이 처리한다(S840).
마지막으로, 디플로이된 주차 관리 서비스의 시작 및 종료 등을 처리함으로써 임무 서비스를 제공한다(S850).
본 발명에 따른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주차 관리”라는 “임무”에 대해 임무 서비스(mission service) 개념을 적용하여, 주차 관리 시스템 상에 포함된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임무 서비스화 함으로써, 주차 관리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다양하게 재사용하여 새로운 주차 관리 서비스를 간편하게 개발 및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무 서비스 모델링 방식을 활용함으로써, 주차 관리 서비스를 시각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주차 관리 서비스를 직접 편집 및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임무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110: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
120: 주차 관리 서비스 실행부(엔진)
130: 주차 관리 자원부

Claims (8)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업(task)을 포함하는 주차 관리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원(resource)을 제공하는 주차 관리 자원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업의 워크 플로우(workflow)로 구성된 주차 관리 서비스의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주차 관리 서비스의 모델을 주차 관리 서비스 파일로 변환하는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 및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 파일을 기초로 상기 주차 관리 자원부를 제어하며,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를 실행하는 주차 관리 서비스 실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업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업 각각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service)와 매칭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각각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원과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주차 관리 자원부는,
    주차 공간에 설치된 센서 디바이스 및 액츄에이터, 주차 관련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는,
    상기 주차 관리 자원부에 포함된 자원에 대해 복수의 서비스를 각각 매칭하여, 상이한 주차 관리 서비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 표기법(Business Process Modeling Notation: BPMN)을 적용하여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의 모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는,
    임무, 과업, 서비스 및 자원을 선택 및 수정할 수 있는 편집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는,
    상기 편집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임무, 과업, 서비스 및 자원 별로 복수의 후보군을 제공하고, 상기 후보군 중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결과에 근거하여,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 실행부는,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 파일을 디플로이(deploy) 처리하여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 모델링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과업 각각에 사용할 템플릿(template) 및 구성(configuration)을 설정한 후, 대응하는 자원을 연결하여 주차 관리 서비스의 모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KR1020170043882A 2017-04-04 2017-04-04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KR101898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882A KR101898481B1 (ko) 2017-04-04 2017-04-04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882A KR101898481B1 (ko) 2017-04-04 2017-04-04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481B1 true KR101898481B1 (ko) 2018-09-14

Family

ID=6359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882A KR101898481B1 (ko) 2017-04-04 2017-04-04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4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5413A (ja) * 2000-05-16 2001-11-22 Kankoku Joho Tsushin Gakuen コネクター志向ワークフロー管理システム及びワークフロー検出方法
JP2003132187A (ja) * 2001-07-19 2003-05-09 Oce Technologies Bv ワークフローを作成するための方法
JP2008226157A (ja) * 2007-03-15 2008-09-25 Ricoh Co Ltd ワークフロー管理システム
KR20110114173A (ko) * 2010-04-13 2011-10-19 한국과학기술원 비즈니스 프로세스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웹 서비스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5413A (ja) * 2000-05-16 2001-11-22 Kankoku Joho Tsushin Gakuen コネクター志向ワークフロー管理システム及びワークフロー検出方法
JP2003132187A (ja) * 2001-07-19 2003-05-09 Oce Technologies Bv ワークフローを作成するための方法
JP2008226157A (ja) * 2007-03-15 2008-09-25 Ricoh Co Ltd ワークフロー管理システム
KR20110114173A (ko) * 2010-04-13 2011-10-19 한국과학기술원 비즈니스 프로세스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웹 서비스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389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ject managemen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US6237020B1 (en) Task-oriented automatic distribution of software
US9342364B2 (en) Workflow managed composite applications
Lewis et al. Service-oriented migration and reuse technique (smart)
Santander et al. Deriving use cases from organizational modeling
Foster A rigorous approach to engineering web service compositions
Aleixo et al. Automating the variability management, customization and deployment of software processes: A model-driven approach
Neubauer et al. Higher-order process modeling: product-lining, variability modeling and beyond
US7024670B1 (en) Timed start-conditions for activities in workflow management systems
Lewis et al. Smart: Analyzing the reuse potential of legacy components in a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environment
EP2819005A1 (en) Lifecycle management system with conditional approvals and corresponding method
Wiecher et al. Iterative and scenario-based requirements specification in a system of systems context
Soybir et al. Project management and RPA
Derakhshanmanesh et al. Model-integrating development of software systems: a flexible component-based approach
KR101898481B1 (ko) 임무 서비스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Wagner et al. Developing self-adaptive automotive systems: On the integration of service-orientation into automotive development processes
Brahe et al. A pattern-based approach to business process modeling and implementation in web services
Sivasubramanian et al. Dynamic web service composition: Challenges and techniques
Sinnhofer et al. Combining business process variability and software variability using traceable links
Knauss et al. Towards Enabling Cross-Organizational Modeling in Automotive Ecosystems.
Huynh et al. A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variability modeling for building adaptive software architectures
Kampik et al. Agent-based business process orchestration for IoT
Balasubramaniam et al. SMART: Application of a method for migration of legacy systems to SOA environments
Wirsing et al. Sensoria: Engineering for service-oriented overlay computers
Rodríguez-Echeverría et al. Model-driven Generation of a REST API from a Legacy Web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