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905B1 -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905B1
KR101897905B1 KR1020170035975A KR20170035975A KR101897905B1 KR 101897905 B1 KR101897905 B1 KR 101897905B1 KR 1020170035975 A KR1020170035975 A KR 1020170035975A KR 20170035975 A KR20170035975 A KR 20170035975A KR 101897905 B1 KR101897905 B1 KR 101897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wave
pile foundation
pile
reinforcing bars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섭
유정동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35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9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1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defects or foreign mat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는, 말뚝기초에 내장된 복수의 철근; 복수의 철근에 인접하게 말뚝기초에 설치된 복수의 전선; 및 복수의 전선 중 어느 하나의 전선과 복수의 철근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을 신호전송선로로 하여, 어느 하나의 철근과 어느 하나의 전선에 연결되어, 말뚝기초의 길이방향 및 말뚝기초의 원주방향을 따라 어느 하나의 철근과 어느 하나의 전선 사이에 존재하는 말뚝기초의 결함여부 및 결함위치를 검출하는 전자기파 측정부를 포함하고, 전자기파 측정부에서, 특성 임피던스(Characteristic impedance)가 변하는 곳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전자기파의 신호가 측정되고, 반사된 전자기파 신호의 도달시간(Round-trip travel time)과 전자기파의 속도를 이용하여 특성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구간의 위치가 산출되어, 특성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구간에 따른 말뚝기초의 결함여부 및 결함위치가 검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Pile integrity testing apparatus for using electromagnetic waves}
본 발명은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주변지반의 굴착없이도 말뚝기초의 결함을 조사할 수 있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말뚝 기초는 지지력이 약한 지반에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공법이다. 말뚝 기초는 구조물의 하중을 깊은 깊이의 지지층까지 전달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깊은 기초의 일종이다. 말뚝 기초는 지지력의 확보가 우수하며, 시공성, 경제성 등에서도 뛰어난 면모를 보이기 때문에 깊은 기초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말뚝 시공 시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시멘트 유실, 이물질 함유, 공벽 붕괴 등으로 인해 말뚝에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말뚝에 발생된 결함을 평가하는 기법으로 충격반향기법(Sonic echo), 공대공음파검출법(Crosshole Sonic Logging, CSL)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충격반향기법의 경우 말뚝길이와 직경비(L/D)가 30~60을 초과하면 조사 깊이에 한계가 있으며, 결함이 다수 발생했을 경우 모든 결함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말뚝의 결함을 길이 방향의 위치로만 파악할 수 있고, 원주 방향으로는 파악하기 어렵다.
공대공음파검출법은 말뚝 내에 다수의 검측공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말뚝의 몸체 및 주변지반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시간과 비용면에서 경제성이 낮다.
일본특허공개 특개평5-179646호에는 말뚝박 공사 품질 검사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변지반의 굴착없이도 전자기파의 전파 특성을 이용하여 말뚝기초의 결함여부 및 결함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말뚝기초의 길이 및/또는 직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말뚝기초의 결함을 측정할 수 있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사에 사용되는 방법이 매우 간편하며, 장비의 사용법과 획득 신호의 해석법이 간단하여 측정과 동시에 말뚝의 결함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는, 말뚝기초에 내장된 복수의 철근; 복수의 철근에 인접하게 말뚝기초에 설치된 복수의 전선; 및 복수의 전선 중 어느 하나의 전선과 복수의 철근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을 신호전송선로로 하여, 어느 하나의 철근과 어느 하나의 전선에 연결되어, 말뚝기초의 길이방향 및 말뚝기초의 원주방향을 따라 어느 하나의 철근과 어느 하나의 전선 사이에 존재하는 말뚝기초의 결함여부 및 결함위치를 검출하는 전자기파 측정부를 포함하고, 전자기파 측정부에서, 특성 임피던스(Characteristic impedance)가 변하는 곳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전자기파의 신호가 측정되고, 반사된 전자기파 신호의 도달시간(Round-trip travel time)과 전자기파의 속도를 이용하여 특성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구간의 위치가 산출되어, 특성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구간에 따른 말뚝기초의 결함여부 및 결함위치가 검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는, 말뚝기초에 내장된 복수의 철근; 복수의 철근에 인접하게 말뚝기초에 설치된 복수의 전선; 및 복수의 전선 중 복수의 철근 중 서로 다른 위치에 놓인 두 개의 철근에 각각 인접하게 위치된 두 개의 전선을 신호전송선로로 하여, 두 개의 전선에 연결되어, 말뚝기초의 길이방향 및 말뚝기초의 원주방향을 따라 두 개의 철근 사이에 존재하는 말뚝기초의 결함을 검출하는 전자기파 측정부를 포함하고, 전자기파 측정부에서, 특성 임피던스(Characteristic impedance)가 변하는 곳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전자기파의 신호가 측정되고, 반사된 전자기파 신호의 도달시간(Round-trip travel time)과 전자기파의 속도를 이용하여 특성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구간의 위치가 산출되어, 특성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구간에 따른 말뚝기초의 결함여부 및 결함위치가 검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조사에 사용되는 방법이 매우 간편하며, 장비의 사용법과 획득 신호의 해석법이 간단하여 측정과 동시에 말뚝기초의 결함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선을 철근을 따라 배치함으로써 말뚝기초의 전 길이에 대해 말뚝에 발생한 복수의 결함을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건전도 평가 시험과 동시에 현장에서 바로 말뚝기초에 발생된 결함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기파의 신호전송선로로 전선과 말뚝의 철근을 이용하고 전자기파의 전파 특성을 이용하여 말뚝에 발생한 결함을 조사할 수 있어, 기존의 말뚝 건전도 평가법보다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변지반의 굴착 없이 말뚝의 결함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결함이 다수 발생된 경우에도 결함의 위치를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말뚝의 직경과 길이의 제한 없이 말뚝의 결함을 조사할 수 있어, 결함이 발생한 위치를 길이 방향 뿐 아니라 원주 방향으로도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a)는 결함이 존재하는 말뚝기초의 구조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의 (b)는 신호전송선로로의 전자기파 제공시, 결함이 존재하는 말뚝기초에 대한 전자기파 측정 신호를 그래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a)의 X-X선에 따른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의 다른 예에 따른 말뚝기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말뚝기초의 구조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말뚝기초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 및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철근(110), 전선(120) 및 전자기파 측정부(13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100)는, 말뚝기초(10)의 결함여부 및 결함위치를 측정하여, 말뚝기초(10)의 건전도를 평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기파 측정부(130)는 철근(110)과 전선(120)을 신호전송선로로 하여, 말뚝기초(10)의 결함을 측정한다. 전자기파 측정부(130)의 동축케이블은 철근(110)과 전선(120)에 연결된다.
전자기파 측정부(130)는 전자기파가 신호전송선로를 따라 진행하다가 특성 임피던스(Characteristic impedance)가 변하는 곳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신호를 측정하고, 반사된 신호의 도달시간(Round-trip travel time)과 전자기파의 속도를 이용하면 특성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구간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철근(110)이 동축케이블의 내부도체에 연결되고, 전선(120)이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에 연결되어, 신호전송선로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는, 철근(110)이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에 연결되고, 전선(120)이 동축케이블의 내부도체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철근(110)과 전선(120)이 한세트로 입력신호와 출력신호를 주고받으면 되도록 구성된다.
철근(110)과 전선(120)은 말뚝기초(10)에 마련된 것이다.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철근(110)과 전선(120)은 철근(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철근(110)과 전선(120)의 설치개수는 말뚝기초(10)의 크기 및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110)은 말뚝기초(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전선(120)은 철근(110)에 인접하게 배치되다. 일예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전선(120)이 인접하게 위치된 철근(110)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20)은 철근(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철근(110)의 외주면에 감긴 형태로 말뚝기초(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함이 말뚝기초(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된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함이 마련된 부분에서 임피던스 변화가 나타난다. 이는, 말뚝기초(10)를 이루는 콘크리트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과의 물성 차이로 인한 것이다.
말뚝기초(10)의 선단과 끝단을 제외한 부분에서,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하면, 임피던스 변화가 일어나는 부분에 결함이 발생한 것이다. 즉,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함이 발생된 부분은 결함이 발생되지 않은 부분과 비교하여 임피던스의 변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말뚝길이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는 결함이 생긴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된 철근(110)과 전선(120)에 연결된 경우에 해당된다. 만약, 결함이 발생되지 않은 부분에 위치된 철근(110)과 전선(120)을 신호전송선로로 선택된 경우, 말뚝길이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는 말뚝길이의 선단과 끝단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임피던스가 변화가 없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20)이 철근(110)에 인접하게 말뚝기초(10)에 설치된다. 전선(120)은 철근(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철근(110)과 인접한 위치에서 철근(110)과 나란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전자기파 측정부(130)가 측정을 원하는 곳에 위치된 철근(110)과 전선(120)에 연결된다. 여기서, 철근(110)과 전선(120)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것으로서, 전자기파 측정부(130)의 동축케이블에 연결된다. 상술했듯이, 철근(110)과 전선(120)은 전자기파 측정부(130)의 신호전송선로로 이용된다.
다음으로, 전자기파 측정부(130)에서 신호전송선로로 전자기파가 제공되고, 전자기파가 신호전송선로를 따라 진행하다가 특성 임피던스(Characteristic impedance)가 변하는 곳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신호가 측정된다. 전자기파 측정부(130)에서, 반사신호의 도달시간(Round-trip travel time)과 전자기파의 속도에 의해, 특성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구간의 위치가 산출된다. 특성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구간이 말뚝기초의 결함(11)이 존재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은 특성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구간의 유무에 따라 말뚝기초(10)의 결함(11)의 개수를 산출할 수 있고, 전선(120)을 철근(110)을 따라 배치함으로써 말뚝기초(10)의 전 길이에 대해 말뚝에 발생한 복수의 결함을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사신호의 도달시간(Round-trip travel time)과 전자기파의 속도에 의해 특성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구간의 위치가 산출되어, 건전도 평가 시험과 동시에 현장에서 바로 말뚝기초(10)에 발생된 결함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변지반의 굴착 없이 말뚝의 결함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결함이 다수 발생된 경우에도 결함의 위치를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기파의 신호전송선로로 전선(120)과 말뚝의 철근(110)을 이용하고 전자기파의 전파 특성을 이용하여 말뚝에 발생한 결함을 조사할 수 있어, 기존의 말뚝 건전도 평가법보다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 및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100b) 및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방법은 전자기파 측정부(130)의 신호전송선로로 두 개의 전선을 이용한 것이다.
여기서, 두개의 전선은 제 1 전선(120a)과 제 2 전선(120b)으로 구분된다. 제 1 전선(120a)과 제 2 전선(120b)은 어느 하나의 철근(110)에 인접하게 설치된 것이다. 제 1 전선(120a)과 제 2 전선(120b)은 말뚝기초(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위치된다. 제 1 전선(120a)과 제 2 전선(120b)은 전자기파 측정부(130)의 동축케이블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기파 측정부(130)의 전자기파가 철근(110)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신호전송선로가 철근(110)과 전선에서 두 개의 전선으로 대체된 것 이외에는 말뚝기초(10)의 건전도를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방법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3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 및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100c) 및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방법은 전자기파 측정부(130)의 신호전송선로로 두 개의 전선을 이용한 것이다. 이때, 두 개의 전선은 서로 다른 철근(110)에 인접하게 설치된 것이다. 두 개의 전선은 전자기파 측정부(130)의 동축케이블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신호전송선로가 철근(110)과 전선에서 두 개의 전선으로 대체된 것 이외에는 말뚝기초(10)의 건전도를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는 서로 다른 철근(110)에 인접하게 위치된 두 개의 전선을 신호전송선로로 이용하여,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달리 어느 하나의 철근(110)과 다른 하나의 철근(110) 사이에 생긴 결함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말뚝기초(10)에 복수의 철근(110)과 복수의 전선이 내장된 경우, 어떤 방식으로 두개의 전선을 이용하여 말뚝기초(10)의 결함을 측정하는지 여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철근(110)에 각각 인접하게 위치된 복수의 전선에 대해 제 1 전선(120c1) 내지 제 4 전선(120c4)으로 구분지어 지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제 1 전선(120c1) 내지 제 4 전선(120c4) 중 선택된 두 개의 전선을 통해, 선택된 두 개의 전선 사이에 존재하는 결함(11c)을 측정할 수 있다. 전자기파 측정부(130)는 제 1 전선(120c1)과 제 2 전선(120c2), 제 2 전선(120c2)과 제 3 전선(120c3), 제 3 전선(120c3)과 제 4 전선(120c4), 제 4 전선(120c4)과 제 1 전선(120c1), 제 1 전선(120c1)과 제 3 전선(120c3), 또는, 제 2 전선(120c2)과 제 4 전선(120c4) 중 어느 하나를 신호전송선로로 이용하여, 복수의 철근(110) 사이에 위치된 결함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함이 제 1 전선(120c1)과 제 2 전선(120c2)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전자기파 측정부(130)가 제 1 전선(120c1)과 제 2 전선(120c2)을 신호전송선로로 이용하는 경우 특성 임피던스 변화가 측정된다.
본 발명은 말뚝의 직경과 길이의 제한 없이 말뚝의 결함을 조사할 수 있어, 결함이 발생한 위치를 길이 방향뿐 아니라 원주 방향으로도 파악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100b, 100c: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
10, 10b,10c: 말뚝기초
110: 철근
120: 전선
130: 전자기파 측정부

Claims (12)

  1. 말뚝기초에 내장된 복수의 철근;
    상기 복수의 철근에 인접하게 상기 말뚝기초에 설치된 복수의 전선; 및
    상기 복수의 전선 중 어느 하나의 전선과 상기 복수의 철근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을 신호전송선로로 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철근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전선에 연결되어, 상기 말뚝기초의 길이방향 및 상기 말뚝기초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철근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전선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말뚝기초의 결함여부 및 결함위치를 검출하는 전자기파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파 측정부에서, 특성 임피던스(Characteristic impedance)가 변하는 곳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전자기파의 신호가 측정되고, 반사된 전자기파 신호의 도달시간(Round-trip travel time)과 전자기파의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특성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구간의 위치가 산출되어, 상기 특성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구간에 따른 상기 말뚝기초의 결함여부 및 결함위치가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말뚝기초에 내장된 복수의 철근;
    상기 복수의 철근에 인접하게 상기 말뚝기초에 설치된 복수의 전선; 및
    상기 복수의 전선 중 상기 복수의 철근 중 서로 다른 위치에 놓인 두 개의 철근에 각각 인접하게 위치된 두 개의 전선을 신호전송선로로 하여, 상기 두 개의 전선에 연결되어, 상기 말뚝기초의 길이방향 및 상기 말뚝기초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두 개의 철근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말뚝기초의 결함을 검출하는 전자기파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파 측정부에서, 특성 임피던스(Characteristic impedance)가 변하는 곳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전자기파의 신호가 측정되고, 반사된 전자기파 신호의 도달시간(Round-trip travel time)과 전자기파의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특성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구간의 위치가 산출되어, 상기 특성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구간에 따른 상기 말뚝기초의 결함여부 및 결함위치가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70035975A 2017-03-22 2017-03-22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 KR101897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975A KR101897905B1 (ko) 2017-03-22 2017-03-22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975A KR101897905B1 (ko) 2017-03-22 2017-03-22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905B1 true KR101897905B1 (ko) 2018-09-12

Family

ID=63592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975A KR101897905B1 (ko) 2017-03-22 2017-03-22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9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2301A (zh) * 2020-12-31 2021-05-25 成都理工大学 一种基于柱坐标系的电磁灌注桩、预制桩检测方法
KR102487780B1 (ko) * 2021-07-14 2023-01-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기파를 이용한 지중 구조물의 건전도 평가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9646A (ja) 1991-12-30 1993-07-20 Yookon Kk 杭打ち工事品質検査方法
JPH11326292A (ja) * 1998-05-18 1999-11-26 Shimizu Corp 杭の健全性調査におけるひび割れ位置検出装置及び方法
JP2000002503A (ja) * 1998-06-16 2000-01-07 Yoshihiro Sugimura 構造部材の健全性モニタリングセンサー
JP2008134117A (ja) * 2006-11-28 2008-06-12 Railway Technical Res Inst 構造物の状態検出装置とその状態検出システム及び埋設物
JP2009008521A (ja) * 2007-06-28 2009-01-15 Sakae:Kk 打設コンクリートの検査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9646A (ja) 1991-12-30 1993-07-20 Yookon Kk 杭打ち工事品質検査方法
JPH11326292A (ja) * 1998-05-18 1999-11-26 Shimizu Corp 杭の健全性調査におけるひび割れ位置検出装置及び方法
JP2000002503A (ja) * 1998-06-16 2000-01-07 Yoshihiro Sugimura 構造部材の健全性モニタリングセンサー
JP2008134117A (ja) * 2006-11-28 2008-06-12 Railway Technical Res Inst 構造物の状態検出装置とその状態検出システム及び埋設物
JP2009008521A (ja) * 2007-06-28 2009-01-15 Sakae:Kk 打設コンクリートの検査方法及び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2301A (zh) * 2020-12-31 2021-05-25 成都理工大学 一种基于柱坐标系的电磁灌注桩、预制桩检测方法
CN112832301B (zh) * 2020-12-31 2022-05-17 成都理工大学 一种基于柱坐标系的电磁灌注桩、预制桩检测方法
KR102487780B1 (ko) * 2021-07-14 2023-01-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기파를 이용한 지중 구조물의 건전도 평가 장치
WO2023286999A1 (ko) * 2021-07-14 2023-01-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기파를 이용한 지중 구조물의 건전도 평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00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omalies on internal surfaces of hollow elongate structures using time domain or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US497046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ulse propagation analysis of a pipeline or the like
US7421910B2 (en) Strain sensitive coax cable sensors for monitoring structures
Chen et al. Damage detection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 novel distributed crack/strain sensors
Lee et al. Application of time domain reflectometer for detecting necking defects in bored piles
CN109470769B (zh) 一种超声反射法检测套筒灌浆饱满度的方法及系统
KR101897905B1 (ko) 전자기파를 이용한 말뚝 건전도 평가 장치
CN104807883A (zh) 一种墙体灌浆密实度实体的检测方法
White et al. Comparing cross-hole sonic logging and low-strain integrity testing results
KR101936849B1 (ko) 비접촉식 공동 탐지 시스템 및 방법
CN104049038A (zh) 一种复合材料的超声-声发射检测方法
US20220170888A1 (en) Evaluation Method for Reflected Wave
Liu et al. Corrosion detection of steel cables using time domain reflectometry
JP5663319B2 (ja) ガイド波検査方法及び装置
US20200110050A1 (en) Reflectometry devices and methods for detecting pipe defects
CN112832301A (zh) 一种基于柱坐标系的电磁灌注桩、预制桩检测方法
Donazzolo et al. Determination of wall thickness and condition of asbestos cement pipes in sewer rising mains using surface penetrating radar
KR20040052961A (ko) 현장 시공 말뚝의 비파괴 검사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JP2019052866A (ja) 管体検査方法
CN109239183B (zh) 一种基于套筒表面超声波反射判断测点处无灌浆的方法
KR102487780B1 (ko) 전자기파를 이용한 지중 구조물의 건전도 평가 장치
KR20070050615A (ko) 누수와 파손의 탐지가 가능한 파이프 및 탐지 시스템
Lee et al. Applic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for evaluating the integrity of model pile
CN105220715A (zh) 一种应用瑞利波检测超深旋喷桩防水帷幕完整性的方法
Bachiri et al. Examinating GPR based detection of defects in RC buil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