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783B1 -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783B1
KR101897783B1 KR1020170070888A KR20170070888A KR101897783B1 KR 101897783 B1 KR101897783 B1 KR 101897783B1 KR 1020170070888 A KR1020170070888 A KR 1020170070888A KR 20170070888 A KR20170070888 A KR 20170070888A KR 101897783 B1 KR101897783 B1 KR 101897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pair
link
cylind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은아
송해식
이재옥
김기수
Original Assignee
부산항만공사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주)미래지반연구소
(주)미래기술
김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항만공사,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주)미래지반연구소, (주)미래기술, 김기수 filed Critical 부산항만공사
Priority to KR1020170070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e.g. interconnected by piv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4Gearing between driving motor and 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2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 F15B15/06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for mechanically converting rectilinear movement into non- rectilinear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6Tubes an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1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 B65G2812/016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 B65G2812/018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between conveyor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87Driv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각 쌍을 이루며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를 각각 포함하되, 피이송물을 기준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 외면에 각각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피이송물을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하간격조절부를 통해 회전체의 상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피이송물과의 접촉면접을 넓힐 수 있어서 기존에 비래 보다 안장적으로 지지하며 압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이송장치{DRAIN BOARD DRIVING APPARATUS OF CRANE FOR IMPROVING SOFT GROUND}
본 발명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약지반에 압입되는 드레인재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의 개량을 위해 사용되는 연직배수공법은 인위적으로 압밀을 촉진하기 위해 배수로를 형성하여주는 것으로서, 연직배수재를 지중에 압입하여 지중에 함유되어있는 간극수 등의 물을 배수 또는 배출시켜서 지반의 침하를 조기에 완료시키고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연약지반처리공법 중의 하나이다.
여기서, 연직배수재는 플라스틱 코어재를 다공성 필터재로 감싸서 만든 드레인보드(drain board)로서, 봉형 구조체이다.
이렇게 연직배수재를 이용하는 연직배수공법은 PBD(Plastic Board Drain) 공법 또는 PVD(Prefabricated Vertical Drain) 공법으로 불리워지고 있으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연약지반처리공법을 통해 연약지반을 개량함으로써 도로, 철도, 공항, 항만, 산업단지 등과 같은 각종 구조물의 구축을 위한 기초로 활용할 수 있다.
부연하여, 상기 PBD 공법 또는 PVD 공법으로 불리워지는 연직배수공법은 하모니카 또는 벌집 등과 같은 모양의 플라스틱 코어재를 다공성 필터재로 감싸서 만든 드레인보드(연직배수재)를 지중의 소정 심도까지 타설하며, 이렇게 설치된 드레인보드를 통하여 그 주변의 간극수를 지상으로 신속하게 배출시킴으로써 연약한 지반층을 단단하게 개량할 수 있게 하는 연약지반개량공법이다.
이러한 연직배수공법은 장비가 간편하고, 시공속도가 비교적 빠르며, 드레인보드의 자재비가 비교적 저렴할 뿐만 아니라 케이싱 파이프의 지중 관입으로 인한 지반 교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토질의 함수비가 높은 연약한 지반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204639호에서는 상술한 PBD 공법을 수행하기 위한 드레인재 압입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압입롤러의 회전을 통해 드레인재와 마찰 접촉되게 하여 드레인재를 지중에 압입 처리토록 하는 구성을 갖게 한 것으로서, 드레인재와 압입롤러 간 접촉면적이 좁은 구조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어 압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보다 신속한 압입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드레인재의 지중 압입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드레인재의 수직 배치 및 지지를 위해 리더가 사용되는데, 상기 리더는 드레인재의 길이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형태로 변형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드레인재 자체가 상당한 중량체인데 수직 배치에 따라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이를 잡아주기 위한 와이어로프 및 권취드럼과 구동모터 등의 전도방지구조물을 리더의 상부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오히려 리더 측에 중량을 더하여주고 드레인재의 지반 압입시 하중을 하부로 전달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드레인재와 압입롤러 간 접촉면적이 적은 구성이므로 드레인재의 지반압입을 위해 파이프 구조의 케이싱이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케이싱을 지반 압입 후 인발에 사용하기 위한 승하강 와이어와 드럼 및 구동모터 등의 보조압입수단들이 리더 측에 함께 설치되는데, 이러한 보조압입수단들도 리더 측에 하중을 전달 및 중량을 더하여주는 요소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리더 측에 전도방지구조물 및 보조압입수단들을 모두 설치하여야 하므로 그만큼 리더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고 강성이 매우 뛰어난 구조를 확보하여야 하므로 장비의 비용이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하여, 연약지반에 압입되는 상기 드레인재는 대략 70m 이상이 것이 사용되는데, 지반에 압입되는 드레인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골재를 지반에 설치하는 등 별도의 기초공사를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 및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04639호 (1999.03.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드레인재를 하측에서 지지하고, 지지하는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리더의 길이와 상관없이 드레인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압입할 수 있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는, 각각 쌍을 이루며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를 각각 포함하되, 피이송물을 기준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 외면에 각각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피이송물을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는 실린더에 의해 서로 인접되거나 이격되어 상기 피이송물의 일측과 타측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실린더는, 상기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가 결합되어 서로 이격 또는 인접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1 회전부에 결합된 제1 실린더와 상기 제2 회전부에 결합된 제2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서로 이격 또는 인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가 각각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회전전달체 및 제2 회전전달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는 풀리 또는 스프로켓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전달체 및 제2 회전전달체는 벨트 또는 체인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가 서로 제1 링크부 및 제2 링크부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1 링크부 및 제2 링크부는 상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링크부 및 제2 링크부의 상하 간격 조절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의 상하 배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링크부는 한 쌍의 제1 링크체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링크체의 각 일단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타단은 상기 한 쌍의 제1 회전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2 링크부는 한 쌍의 제2 링크체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링크체의 각 타단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일단은 상기 한 쌍의 제2 회전체 각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송장치에 따르면, 상하간격조절부를 통해 회전체의 상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피이송물과의 접촉면접을 넓힐 수 있어서 기존에 비래 보다 안장적으로 지지하며 압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이송부를 통해 피이송물의 하측 부분을 양측에서 지지함으로써, 간단한 설비 구조로 신속한 작업 실시가 가능하여 작업시간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에 결합된 이송장치의 계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통해 사이 가격이 가변된 이송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이송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에 결합된 이송장치의 계략적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크를 통해 사이 가격이 가변된 이송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송장치(100)는 압입장치(1)의 하부에 설치되어, 피이송물(10)을 이송하는 장치이다.
예컨대, 여기서 상기 압입장치(1)는 상기 이송장치(100)의 작동을 조작하는 주행운전장비(2)가 구비되되, 상기 주행운전장비(2)는 리더(4)를 결합 및 각도 조절하여 수직 배치할 수 있도록 크랭크암(3)이 구비되며, 상기 리더(4)는 상기 피이송물(10)을 수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피이송물(10)은 원형 파이프 또는 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직배수재인 드레인보드를 압입하는데 사용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반에 압입되어 연약지반 개량에 실제 사용되는 드레인보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100)는 상기 피이송물(10)을 기준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제1 회전부(110a)와, 제2 회전부(110b)를 각각 구비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회전부(110a)와 제2 회전부(110b)는 각각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피이송물(10)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각 쌍을 이루며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제1 회전체(111a)와 제2 회전체(111b)를 각각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회전부(110a)와 제2 회전부(110b) 외면에 각각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피이송물(10)을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120a) 및 제2 이송부(120b)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이송부(120a)는 상기 한 쌍의 제1 회전체(110a)가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회전전달체(121a)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이송부(120b)는 상기 한 쌍의 제2 회전체(110b)가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회전전달체(121b)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회전부(110a) 측에는 상하 간격 배치한 한 쌍의 회전체(111)에 동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 회전전달체(121a)가 장착되어 지지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전달체(121a)의 외면 둘레에 무한궤도형태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피이송물(10)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회전에 따른 연속 압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1 이송판(122a)가 결합되며, 상기 제1 회전부(110a)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모터(M)가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회전부(110a)가 갖는 한 쌍의 제1 회전체(111a)에는 각각 2개 1조로 한 쌍 구비되는 제1 링크부(130a)의 일단을 결합하고 타단을 공통으로 힌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회전부(110a)가 갖는 한 쌍의 제1 회전체(111a)에 대해 상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링크부(130a)는 한 쌍의 제1 링크체(131a)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링크체(131a)의 각 일단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제1 회전체(111a)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회전부(110b) 측에는 상하 간격 배치한 한 쌍의 제2 회전체(111b)에 동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2 회전전달체(121b)가 장착되어 지지 결합되고, 상기 제2 회전전달체(121b)의 외면 둘레에 무한 궤도형태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피이송물(10)의 타측면에 접촉되어 회전에 따른 연속 압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이송판(122b)가 결합되며, 상기 제2 회전부(110b)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모터(M)가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회전부(110b)가 갖는 한 쌍의 제2 회전체(111b)에는 각각 2개 1조로 한 쌍 구비되는 제2 링크부(130b)의 일단을 결합하고 타단을 공통으로 힌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제2 회전부(110b)가 갖는 한 쌍의 제2 회전체(111b)에 대해 상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 링크부(130b)는 한 쌍의 제2 링크체(131b)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링크체(131b)의 각 타단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각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제2 회전체(111b)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모터(M)는 각각 상기 제1 회전부(110a)와 제2 회전부(110b)가 상대 회전하여 피이송물(10)을 압입할 수 있도록 동작할 때, 상기 제1 회전체(111a) 중 어느 하나 이상 및 상기 제2 회전체(111b)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M)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링크부(130a)가 공통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1 힌지(150a)에는 제1 상하실린더(160a) 또는 서보모터 등을 결합하는 구성을 통해 자동으로 상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링크부(130b)가 공통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2 힌지(150b)에는 제2 상하실린더(160b) 또는 서보모터 등을 결합하는 구성을 통해 자동으로 상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110a)에 제1 링크부(130a)를 결합하고, 상기 제2 회전부(110b)에 제2 링크부(130b)를 결합하여 이들의 상하방향 회동을 통해 상하 간격 배치된 한 쌍의 제1 회전체(111a) 및 제2 회전체(111b)에 대해 상하 간격을 조절 가능케 함으로써 피이송물(10)의 구비되는 길이에 따라 대응하여 접촉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피이송물(10)의 구비되는 길이에 관계없이 접촉면적을 넓혀 피이송물(10)의 신속한 압입을 가능하게 하는 등의 장점을 발휘토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1 링크부(130a)와 제2 링크부(130b)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각각의 상하 간격 배치한 제1 회전체(111a) 및 제2 회전체(111b)를 갖는 상기 제1 회전부(110a)와 제2 회전부(110b)의 상하 간격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회전전달체(121a)와 제2 회전전달체(121b)를 그에 적합한 길이의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하면 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1 회전부(110a)와 제2 회전부(110b)가 갖는 각각의 한 쌍 제1 회전체(111a) 및 제2 회전체(111b)를 스프로킷으로 구성할 수 있고, 이에 적합하게 상기 제1 회전전달체(121a)와 제2 회전전달체(121b)는 각각 체인을 장착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때로는, 상기 제1 회전부(110a)와 제2 회전부(110b)가 갖는 각각의 한 쌍 제1 회전체(111a) 및 제2 회전체(111b)를 풀리로 구성할 수 있고, 이에 적합하게 상기 제1 회전전달체(121a)와 제2 회전전달체(121b)는 각각 벨트를 장착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이송부(120a)와 제2 이송부(120b)는 각각에 대해 피이송물(10)과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상기 피이송물(10)의 외면 일부를 감싸 접촉하는 구조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이송부(120a)와 제2 이송부(120b)는 각각 상기 피이송물(10)을 원형으로 구비하는 경우 원형 피이송물(1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 접촉하도록 제1 이송판(122a) 및 제2 이송판(122b)을 라운드 형성한 곡면 구조로 구성할 수 있으며, 대략 "C"형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이송부(120a)와 제2 이송부(120b)는 각각 상기 피이송물(10)을 사각형으로 구비하는 경우 사각형 피이송물(10)의 외면 일부를 감싸 접촉하도록 제1 이송판(122a) 및 제2 이송판(122b)을 직각 절곡면 구조로 구성할 수 있으며, 대략 "디귿(ㄷ)"형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이송부(120a)와 제2 이송부(120b)는 각각 피이송물(10)과 접촉하게 되는 내측면에 대해 요철구조 등을 포함하는 거친 표면을 형성함으로써 상호간 접촉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신속한 압입효과를 발휘토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회전부(110a)와 제2 회전부(110b)는 브라켓(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부(110a)와 제2 회전부(110b)는 실린더(140)에 의해 서로 인접되거나 이격되어 상기 피이송물의 일측과 타측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회전부(110a) 또는 제2 회전부(110b)에는 실린더(140)를 결합하여 피이송물(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상기 제1 회전부(110a)와 제2 회전부(110b)의 좌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제1 회전부(110a) 또는 제2 회전부(110b)를 이동함으로써 피이송물(10)과의 접촉에 따른 클램핑을 수행 및 압입 처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부(110a) 또는 제2 회전부(110b)는 상기 실린더(140)의 로드(141)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린더(140)는 상기 제1 회전부(110a)에 결합된 제1 실린더(미도시)와 상기 제2 회전부(110b)에 결합된 제2 실린더(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서로 이격 또는 인접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를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상하실린더(160a) 및 제2 상하실린더(160b)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힌지(150a)에는 상기 제1 회전부(110a)와 일체로 이동되되, 타측에 상기 한 쌍의 제1 회전체(111a)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이송부(120a)를 지지하는 제1 가이드(171a)가 형성된 제1 플레이트(170a)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170a)는 상기 제1 회전부(110a)가 상기 실린더(140) 및 제1 실린더에 의해 좌우측으로 이동될 때 일체로 이동되는데, 상기 제1 회전부(110a)가 좌우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피이송물(10)의 일측을 제1 이송부(120a)를 통해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이송부(120a) 중 상기 한 쌍의 제1 회전체(110a) 사이에 위치한 부분은 상기 한 쌍의 제1 회전체(111a)에 접촉된 부분 보다 상기 피이송물(10)을 가압하는 힘이 작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제1 회전체(111a)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1 이송부(120a)의 내측에는 상기 제1 가이드(171a)를 통해 상기 제1 이송부(120a)가 상기 피이송물(10)을 가압할 때 상기 피이송물(10)과 밀착된 부분이 모두 동일한 힘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힌지(150b)에는 상기 제2 회전부(110b)와 일체로 이동되되, 일측에 상기 한 쌍의 제2 회전체(111b)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이송부(120b)를 지지하는 제2 가이드(171b)가 형성된 제2 플레이트(170b)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플레이트(170b)는 상기 제2 회전부(110b)가 상기 실린더(140) 및 제2 실린더에 의해 좌우측으로 이동될 때 일체로 이동되는데, 상기 제2 회전부(110b)가 좌우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피이송물(10)의 일측을 제2 이송부(120b)를 통해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이송부(120b) 중 상기 한 쌍의 제2 회전체(110b) 사이에 위치한 부분은 상기 한 쌍의 제2 회전체(111b)에 접촉된 부분 보다 상기 피이송물(10)을 가압하는 힘이 작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제2 회전체(111b)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2 이송부(120b)의 내측에는 상기 제2 가이드(171b)를 통해 상기 제2 이송부(120b)가 상기 피이송물(10)을 가압할 때 상기 피이송물(10)과 밀착된 부분이 모두 동일한 힘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압력센서(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실린더(140)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이송부(120a) 및 제2 이송부(120b)가 피이송물(10)에 작용되는 압력을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린더(140)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감지된 압력값에 따라 기설정된 압력값을 유지하도록 실린더(140)의 압력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피이송물을 이송장치로 접촉하여 클램핑한 상태에서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를 회전시킴에 의해 피이송물을 하강시켜 지반에 압입 처리한다.
이때, 이송장치는 피이송물의 케이싱을 실제적으로 접촉하여 클램핑한 상태가 되고, 케이싱을 압입처리함으로써 이에 내재된 드레인보드까지 함께 지반 내에 압입 처리한다.
즉, 접촉면적을 높인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피이송물을 지중에 압입 처리 및 배치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피이송물을 지중에 압입하여 배치한 상태에서 압입 작용과는 반대 방향으로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를 회전시킴에 의해 인발작용력을 가함으로써 피이송물의 케이싱만을 상승시켜 지반으로부터 인발 처리하며, 케이싱 내에 삽입 배치된 드레인보드를 지중에 위치시킴으로써 지중 내 배수로를 형성하여주는 작용을 통해 연약지반을 개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를 통해 지중에 압입 처리하기 위한 피이송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어 기존에 비해 보다 효율적인 압입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피이송물의 보다 신속한 압입 작업을 가능하게 하며, 구비되는 피이송물의 길이에 따라 접촉면적을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피이송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어 기존에 비해 더욱 안정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연약지반에 압입 처리 되는 피이송물이 부러지는 현상을 없앨 수 있고, 리더의 하부에서 피이송물을 폭넓게 지지하여 지탱하여주므로 리더의 길이가 피이송물에 비해 짧아도 피이송물을 안정적으로 지지 및 전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 전도방지를 위해 리더의 상부에 설치하던 구조물들을 제거할 수 있는 등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이송물의 압입에 따른 전반적인 작업공정까지도 전체적으로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압입장치 2: 주행운전장비
3: 크랭크아암 4: 리더
10: 피이송물 100: 이송장치
110a: 제1 회전부 110b: 제2 회전부
111a: 제1 회전체 111b: 제2 회전체
120a: 제1 이송부 120b: 제2 이송부
121a: 제1 회전전달체 121b: 제2 회전전달체
122a: 제1 이송판 122b: 제2 이송판
130a: 제1 링크부 130b: 제2 링크부
131a: 제1 링크체 131a: 제2 링크체
140: 실린더 141: 로드
150a: 제1 힌지 150b: 제2 힌지
160a: 제1 상하실린더 160b: 제2 상하실린더
170a: 제1 플레이트 171a: 제1 가이드
170b: 제2 플레이트 171b: 제2 가이드
M: 구동모터

Claims (8)

  1. 각각 쌍을 이루며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제1 회전체와 제2 회전체를 각각 포함하되, 피이송물을 기준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 외면에 각각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피이송물을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가 서로 제1 링크부 및 제2 링크부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링크부 및 제2 링크부는 상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링크부 및 제2 링크부의 상하 간격 조절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의 상하 배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는 실린더에 의해 서로 인접되거나 이격되어 상기 피이송물의 일측과 타측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가 결합되어 서로 이격 또는 인접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1 회전부에 결합된 제1 실린더와 상기 제2 회전부에 결합된 제2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서로 이격 또는 인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가 각각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회전전달체 및 제2 회전전달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는 풀리 또는 스프로켓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전달체 및 제2 회전전달체는 벨트 또는 체인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는 한 쌍의 제1 링크체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링크체의 각 일단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타단은 상기 한 쌍의 제1 회전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2 링크부는 한 쌍의 제2 링크체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링크체의 각 타단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일단은 상기 한 쌍의 제2 회전체 각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KR1020170070888A 2017-06-07 2017-06-07 이송장치 KR101897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888A KR101897783B1 (ko) 2017-06-07 2017-06-07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888A KR101897783B1 (ko) 2017-06-07 2017-06-07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783B1 true KR101897783B1 (ko) 2018-09-13

Family

ID=6359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888A KR101897783B1 (ko) 2017-06-07 2017-06-07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7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1226A (ja) * 1985-11-19 1987-06-02 Ohbayashigumi Ltd ドレ−ン材の共上り防止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204639B1 (ko) 1996-10-02 1999-06-15 배병갑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JP2005048480A (ja) * 2003-07-29 2005-02-24 Kajima Corp ドレン材打設機械
KR20100109308A (ko) * 2009-03-31 2010-10-08 선길섭 벨트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1226A (ja) * 1985-11-19 1987-06-02 Ohbayashigumi Ltd ドレ−ン材の共上り防止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204639B1 (ko) 1996-10-02 1999-06-15 배병갑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JP2005048480A (ja) * 2003-07-29 2005-02-24 Kajima Corp ドレン材打設機械
KR20100109308A (ko) * 2009-03-31 2010-10-08 선길섭 벨트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306447T1 (de) Joch zum halten einer förderrollenachse
US5082036A (en) Forest harvester
US4333301A (en) Roll wrapping arrangement
KR101897783B1 (ko) 이송장치
SE8303078D0 (sv) Anordning for lengsgaende styrning av en endlos bana
KR101897784B1 (ko) 이송장치
NO994141D0 (no) Apparat og fremgangsmåte for å beskjaere avlingsprodukter
KR100775317B1 (ko) 가역벨트콘베어의 사행조정장치
US3965767A (en) Driving pulley mechanism
KR101897785B1 (ko) 이송장치
KR101897786B1 (ko) 이송장치
KR101762890B1 (ko)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CN209112951U (zh) 一种传送带拉紧装置
FR2508876A1 (fr) Dispositif de deviation pour marchandises
KR101853031B1 (ko)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JP2003176009A (ja) ハンキングローラ用ベルトの蛇行調芯装置
GB2331740A (en) A bale wrapping machine
KR101875859B1 (ko)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KR101871417B1 (ko)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KR101897787B1 (ko) 천공장치
KR101871416B1 (ko)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CA2169206A1 (en) Method and Device in Contact-Free Treatment of a Web
KR101871418B1 (ko)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KR101871415B1 (ko)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압입장치
KR102284035B1 (ko) Pbd 공법용 드레인재 압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