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777B1 -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777B1
KR101897777B1 KR1020180036283A KR20180036283A KR101897777B1 KR 101897777 B1 KR101897777 B1 KR 101897777B1 KR 1020180036283 A KR1020180036283 A KR 1020180036283A KR 20180036283 A KR20180036283 A KR 20180036283A KR 101897777 B1 KR101897777 B1 KR 101897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pping motor
zoom
unit
sig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오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오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오넷
Priority to KR1020180036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04N5/2259
    • H04N5/23206
    • H04N5/2329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방법은 PTZ 카메라의 팬(Pan), 틸트(Tilt), 줌(Zoom)을 제어하고 PTZ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카메라 제어 수단이 PTZ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 제어 수단이 현재 모니터상에 표시된 줌인(Zoom-In) 영상을 줌아웃(Zoom-out) 시키는 리버스 에리어 줌(reverse area zoom) 버튼으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상시 확인하는 단계; 상기 리버스 에리어 줌 버튼으로부터 카메라 제어 수단으로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상기 카메라 제어 수단은 마우스(Mouse) 입력 신호를 상시 확인하는 단계; 및 마우스 포인터(mouse pointer)가 현재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된 줌인 영상의 센터(Center)를 중심으로 제1 사각 박스를 그렸다면, 상기 카메라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사각 박스(91)의 크기에 따라 PTZ 카메라의 줌(Zoom) 배율을 조정하여 현재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된 줌 인(Zoom-In) 영상이 줌 아웃(Zoom-Out)되어 제1 사각 박스 안으로 들어가도록 하고 나머지 배경 영상은 제1 사각 박스의 바깥에 디스플레이(Display)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The image surveillance system for simply setting angle of image surveillance's view,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상에 표시된 줌인(Zoom-In) 영상을 간단한 조작으로 줌아웃(Zoom-Out)시킬 수 있는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PTZ(Pan Tilt Zoom) 카메라의 경우 원하는 감시 영역을 줌 인(Zoom-in)하거나 줌 아웃(Zoom-Out)시킬 필요가 있다.
이때, 기존의 줌인 제어나 줌아웃 제어는 가상 조이스틱이나 조작 레버를 이용할 수 있으나 현재에는 에리어 줌(Area Zoom) 기능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에리어 줌(Area Zoom) 기능은 제조사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모니터 화면상에 확대를 원하는 영역 중앙에 마우스 포인트를 찍고 마우스 포인트를 찍은 점으로부터 마우스 드래그를 마친 점까지 사각 박스를 형성하면 상기 카메라는 카메라의 팬, 틸트, 줌을 동시에 제어하여 상기 사각 박스의 센터가 다음 카메라 영상의 센터가 되도록 하고, 상기 사각 박스의 상하 또는 좌우가 다음 카메라 영상의 상하좌우가 되도록 한다.
즉, 한번의 마우스 드래그로 카메라의 화각을 원하는 위치로 조정 가능하다.
반면, 상기 에리어 줌 기능의 반대 기능, 즉, 줌 아웃(Zoom out)을 한번에 실행할 수 있는 기능으로는 팬(Pan), 틸트(Tilt)는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의 줌배율만 조정함으로써 줌(Zoom) 기능만 조정할 수 있는 정도이다.
특히, 불법 주정차 단속의 경우 영상 내 차량 번호를 인식하기 위해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확대한 다음 다시 차량의 주정차 위치를 증명하기 위해 차량이 주정차된 배경이 나오도록 줌 아웃(Zoom-out)을 해야 하는데, 이때, 최소한의 조작으로 줌 아웃 기능을 설정할 수 있어야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선행 기술로는 특허공개번호 "10-2005-0082789"호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확대 표시 장치"가 출원되어 공개되었는데,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확대 표시 장치는 표시부상에 이미지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표시 화면상에 포인트를 표시하기 위한 포인트 표시부와, 표시된 상기 포인트를 사용자 명령에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포인트 위치 이동부, 상기 포인트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표시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영역 표시부, 상기 표시 영역을 사용자 명령에 따라 확대 혹은 축소하기 위한 표시 영역 사이즈 조절부, 및 사이즈 조절 완료된 표시 영역내 이미지를 확대 표시하는 이미지 확대 표시부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05-0082789 (2005.08.24)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81796 (2016.11.10)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리버스 에리어 줌(Reverse Area Zoom) 기능을 이용하여 현재 줌인(Zoom-in)된 영상을 원하는 배율로 줌아웃(Zoom-out)시킬 수 있도록 하여 모니터링 요원의 감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방법은 PTZ 카메라의 팬(Pan), 틸트(Tilt), 줌(Zoom)을 제어하고 PTZ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카메라 제어 수단이 PTZ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 제어 수단이 현재 모니터상에 표시된 줌인(Zoom-In) 영상을 줌아웃(Zoom-out) 시키는 리버스 에리어 줌(reverse area zoom) 버튼으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상시 확인하는 단계; 상기 리버스 에리어 줌 버튼으로부터 카메라 제어 수단으로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상기 카메라 제어 수단은 마우스(Mouse) 입력 신호를 상시 확인하는 단계; 및 마우스 포인터(mouse pointer)가 현재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된 줌인 영상의 센터(Center)를 중심으로 제1 사각 박스를 그렸다면, 상기 카메라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사각 박스의 크기에 따라 PTZ 카메라의 줌(Zoom) 배율을 조정하여 현재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된 줌 인(Zoom-In) 영상이 줌 아웃(Zoom-Out)되어 제1 사각 박스 안으로 들어가도록 하고 나머지 배경 영상은 제1 사각 박스의 바깥에 디스플레이(Display)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절차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방법은 줌인(Zoom-in)된 영상 위에 마우스(Mouse)를 이용하여 소정 크기의 사각 박스를 그리면 현재 줌인 영상을 사각 박스의 크기에 비례하는 줌 배율로 줌 아웃(Zoom-out)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방법은 리버스 에리어 줌(Reverse Area Zoom) 기능을 이용하여 현재 줌인(Zoom-in)된 영상을 원하는 크기로 줌아웃(Zoom-out)시킬 수 있어 모니터링 요원의 감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불법 주정차 단속의 경우 영상 내 차량 번호를 인식하기 위해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확대한 다음 다시 차량의 주정차 위치를 증명하기 위해 차량이 주정차된 배경이 나오도록 줌 아웃(Zoom-out)을 해야 하는데, 이때, 한번의 조작으로 줌 아웃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상에 표시된 마우스 포인트(Mouse Point)를 간편하게 조작하는 것만으로 현재 모니터상에 줌인(Zoom-in)된 영상을 줌아웃(Zoom-out)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줌인 영상을 줌 아웃 시키는데 조이스틱과 같은 별도의 컨트롤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자동화하여 불법 주정차 자동 단속의 핵심 기술로 활용할 수 있다.
도면 1a와 도면 1b는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방법에 대한 플로우 챠트(Flow Chart),
도면 2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줌인(Zoom-in) 영상의 센터를 중심으로 사각 박스를 그린 상태도,
도면 3은 도면 2의 과정을 거쳤을 때 줌인(Zoom-in) 영상 내 사각 박스의 크기에 따라 PTZ 카메라의 줌(Zoom) 배율이 조정되어 줌인(Zoom-in) 영상이 줌아웃(Zoom-out)된 결과 화면,
도면 4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줌인 영상의 센터가 아닌 다른 위치를 중심으로 사각 박스를 그린 상태도,
도면 5는 도면 4의 과정을 거쳤을 때 줌인 영상 내 사각 박스의 크기와 사각 박스의 중심 좌표에 따라 PTZ 카메라의 줌 배율과 팬, 틸트 위치가 조정되어 줌인 영상이 줌아웃된 결과 화면,
도면 6은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
도면 7은 사각 박스 크기 계산부의 제어 블록도,
도면 8은 팬 제어부의 제어 블록도,
도면 9는 틸트 제어부의 제어 블록도,
도면 10은 팬 구동부 또는 틸트 구동부의 제어 블록도,
도면 11은 구동 드라이버의 제어 블록도,
도면 12는 구동 드라이버의 제어 회로도,
도면 13은 스테핑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쉬프트 레지스터의 타이밍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방법은 도면 1a와 도면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PTZ 카메라(1)의 팬(Pan), 틸트(Tilt), 줌(Zoom)을 제어하고 PTZ 카메라(1)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카메라 제어 수단이 PTZ 카메라(1)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와; 상기 카메라 제어 수단이 현재 모니터상에 표시된 줌인(Zoom-In) 영상을 줌아웃(Zoom-out) 시키는 리버스 에리어 줌(reverse area zoom) 버튼으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상시 확인하는 단계(S2); 상기 리버스 에리어 줌 버튼으로부터 카메라 제어 수단으로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상기 카메라 제어 수단은 마우스(6)(Mouse) 입력 신호를 상시 확인하는 단계(S3); 및 마우스 포인터(mouse pointer)가 현재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된 줌인 영상의 센터(Center)를 중심으로 제1 사각 박스(91)를 그렸다면, 상기 카메라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사각 박스(91)의 크기에 따라 PTZ 카메라(1)의 줌(Zoom) 배율을 조정하여 현재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된 줌 인(Zoom-In) 영상이 줌 아웃(Zoom-Out)되어 제1 사각 박스(91) 안으로 들어가도록 하고 나머지 배경 영상은 제1 사각 박스(91)의 바깥에 디스플레이(Display)되도록 하는 단계(S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줌인 영상 내 제1 사각 박스(91)의 크기와 줌 배율은 비례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사각 박스(91)의 크기가 작아지면, 상기 PTZ 카메라(1)의 줌(Zoom) 배율이 작아져 모니터상에 보다 넓은 영역이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우스 포인터가 현재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된 줌인 영상의 센터를 제외한 다른 포인트(Point)를 중심으로 제2 사각 박스(93)를 그렸다면, 상기 카메라 제어 수단은 팬(Pan) 틸트(Tilt)를 조정하여 카메라 렌즈의 중심을 제2 사각 박스(93)의 중심에 맞춘 다음, 상기 제2 사각 박스(93)의 크기에 따라 PTZ 카메라(1)의 줌(Zoom) 배율을 조정하여 현재 줌인 영상을 줌아웃시키고 줌아웃된 촬영 영상을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마우스 포인터가 현재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된 줌인 영상의 센터를 제외한 다른 포인트(Point)를 중심으로 제2 사각 박스(93)를 그렸다면, 상기 카메라 제어 수단은 팬(Pan) 틸트(Tilt)를 조정하여 카메라 렌즈의 중심을 제2 사각 박스(93)의 중심에 맞춘 다음, 상기 제2 사각 박스(93)의 크기에 따라 PTZ 카메라(1)의 줌(Zoom) 배율을 조정하여 현재 줌인 영상을 줌아웃시키고 줌아웃된 촬영 영상을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5)에서
상기 카메라 제어 수단은
Figure 112018031145119-pat00001
,
Figure 112018031145119-pat00002
식에 따라 PTZ 카메라(1)의 팬(Pan)과 틸트(Tilt)를 조정한다.
여기서, 상기
Figure 112018031145119-pat00003
는 Pan축 비례 상수이고, 상기
Figure 112018031145119-pat00004
는 Tilt축 비례 상수이다.
상기 마우스 포인터(mouse pointer)가 현재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된 줌인 영상의 센터(Center)를 중심으로 제1 사각 박스(91)를 그렸다면, 상기 카메라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사각 박스(91)의 크기에 따라 PTZ 카메라(1)의 줌(Zoom) 배율을 조정하여 현재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된 줌 인(Zoom-In) 영상이 줌 아웃(Zoom-Out)되어 제1 사각 박스(91) 안으로 들어가도록 하고 나머지 배경 영상은 제1 사각 박스(91)의 바깥에 디스플레이(Display)되도록 하는 단계(S4)와, 상기 마우스 포인터가 현재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된 줌인 영상의 센터를 제외한 다른 포인트(Point)를 중심으로 제2 사각 박스(93)를 그렸다면, 상기 카메라 제어 수단은 팬(Pan) 틸트(Tilt)를 조정하여 카메라 렌즈의 중심을 제2 사각 박스(93)의 중심에 맞춘 다음, 상기 제2 사각 박스(93)의 크기에 따라 PTZ 카메라(1)의 줌(Zoom) 배율을 조정하여 현재 줌인 영상을 줌아웃시키고 줌아웃된 촬영 영상을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5)에서 줌인(Zoom-in) 영상이 줌 아웃(Zoom-out) 되었을 때 줌인 영상은 1/X로 축소되고, 상기 X는 유리수이다.
도면 2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줌인(Zoom-in) 영상의 센터를 중심으로 제1 사각 박스(91)를 그린 상태도이고, 도면 3은 도면 2의 과정을 거쳤을 때 줌인(Zoom-in) 영상 내 제1 사각 박스(91)의 크기에 따라 PTZ 카메라의 줌(Zoom) 배율이 조정되어 줌인(Zoom-in) 영상이 줌아웃(Zoom-out)된 결과 화면이다.
도면 4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줌인 영상의 센터가 아닌 다른 위치를 중심으로 제2 사각 박스(93)를 그린 상태도이고, 도면 5는 도면 4의 과정을 거쳤을 때 줌인 영상 내 제2 사각 박스(93)의 크기와 제2 사각 박스(93)의 중심 좌표에 따라 PTZ 카메라(1)의 줌 배율과 팬, 틸트 위치가 조정되어 줌인 영상이 줌아웃된 결과 화면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은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Pan) 틸트(Tilt) 줌(Zoom) 기능이 갖추어진 PTZ 카메라(1)와; 상기 PTZ 카메라(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디스플레이부(3); 스위치 온(On) 되었을 때 마우스(6)를 통해 줌인 영상위에 그려진 사각 박스의 크기에 따라 PTZ 카메라(1)의 줌 아웃 배율을 자동 조정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중앙 제어부(7)로 전송하는 리버스 에리어 줌(Reverse Area Zoom) 버튼부(5); 상기 리버스 에리어 줌 버튼부(5)가 스위치 온(On)되었을 때 상기 리버스 에리어 줌 버튼부(5)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를 상시 감시하고 PTZ 카메라(1)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에 표시함과 더불어 PTZ 카메라의 팬(Pan), 틸트(Tilt), 줌(Zoom)을 제어하며 마우스(6)(Mouse)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중앙 제어부(7); 상기 중앙 제어부(7)를 통해 상기 리버스 에리어 줌 버튼부(5)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가 감시되었을 때 마우스(6)를 통해 줌인 영상 위에 그려진 사각 박스의 크기를 계산하는 사각 박스 크기 계산부(9); 상기 중앙 제어부(7)를 통해 상기 리버스 에리어 줌 버튼부(5)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가 감시되었을 때 마우스(6)를 통해 줌인 영상 위에 그려진 사각 박스의 중심 좌표를 계산하는 사각 박스 중심 좌표 계산부(11); 상기 사각 박스 중심 좌표 계산부(11)에 의해 계산된 사각 박스의 중심 좌표와 현재 디스플레이부(3)에 표시된 줌인 영상의 중심 좌표가 동일할 경우 상기 마우스(6)를 통해 줌인 영상 위에 그려진 사각 박스안에 현재 디스플레이부(3)에 표시된 줌인 영상이 삽입되도록 PTZ 카메라(1)의 줌 배율을 조정하는 줌(Zoom) 배율 조정부(13)로 이루어져, 줌인 영상위에 마우스(6)를 통해 그려진 사각 박스의 크기에 따라 PTZ 카메라(1)의 줌 배율이 자동 조정되어 디스플레이부(3)에 줌아웃된 영상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부(7)는 PTZ 카메라(1)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 특정 영역에 대한 촬영 영상, 및 촬영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차량 번호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 특정 영역에 대한 촬영 영상, 및 촬영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차량 번호를 검색하는 검색 모듈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각 박스 중심 좌표 계산부(11)에 의해 계산된 사각 박스의 중심 좌표와 현재 디스플레이부(3)에 표시된 줌인 영상의 중심 좌표가 다를 경우 사각 박스의 중심좌표에 PTZ 카메라(1)의 카메라 렌즈 중심을 맞추기 위해 PTZ 카메라(1)의 팬과 틸트를 조정하는 팬(Pan)· 틸트(Tilt) 제어부(23,2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각 박스 크기 계산부(9)는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제어부(7)를 통해 상기 리버스 에리어 줌 버튼부(5)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가 감시되었을 때 마우스(6) 왼쪽 버튼이 눌렸는지 감시하고, 마우스(6) 왼쪽 버튼이 눌렸을 때 줌인 영상 위 마우스 포인트의 위치 좌표를 시작점으로 저장하는 시작점 감시부(15)와, 상기 마우스(6) 왼쪽 버튼이 눌린 채 마우스(6)가 드래그(Drag)되는지 감시하고, 마우스(6)가 드래그될 때 디스플레이부(3)에 표시된 줌인 영상 위 마우스 포인트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산하는 드래그(Drag) 감시부(17), 상기 마우스(6)가 드래그(Drag) 후 마우스(6) 왼쪽 버튼이 눌리지 않았는지 감시하고, 마우스(6) 왼쪽 버튼이 눌리지 않는 순간 줌인 영상 위 마우스 포인트의 위치 좌표를 종료점으로 저장하는 종료점 감시부(19), 및 상기 시작점 감시부(15)에 저장된 시작점과 종료점 감시부(19)에 저장된 종료점을 포함하는 사각 박스의 크기를 계산하는 박스 크기 계산부(21)를 포함한다.
상기 팬 제어부(23)는 도면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렌즈가 사각 박스의 중심 좌표를 마주보도록
Figure 112018031145119-pat00005
를 이용하여 카메라 렌즈의 좌우 회전량을 계산하는 팬 위치 계산부(27)와, 상기 팬 위치 계산부(27)에 의해 계산된 카메라 렌즈의 좌우 회전량에 따라 카메라 렌즈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팬 구동부(2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Figure 112018031145119-pat00006
는 Pan축 비례 상수이다.
상기 틸트 제어부(25)는 도면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렌즈가 사각 박스의 중심 좌표를 마주보도록
Figure 112018031145119-pat00007
를 이용하여 카메라 렌즈의 상하 회전량을 계산하는 틸트 위치 계산부(31)와, 상기 틸트 위치 계산부(31)에 의해 계산된 카메라 렌즈의 상하 회전량에 따라 카메라 렌즈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틸트 구동부(33)를 포함한다.
상기
Figure 112018031145119-pat00008
는 Tilt축 비례 상수이다.
상기 팬(Pan) 구동부(29) 또는 틸트(Tilt) 구동부(33)는 공통적으로 도면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회전력을 이용하여 PTZ 카메라(1) 내 카메라 렌즈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축 회전시키거나 상하 수직 방향으로 축 회전시키는 스테핑 모터(89)(Stepping Motor)와, 스테핑 모터 제어부(35)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테핑 모터(89)를 시계(CW: Clockwise) 방향이나 반시계(CCW: Counter Clock Wise)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스테핑 모터(89)의 회전량 및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구동 드라이버(37), 및 상기 구동 드라이버(37)에 스테핑 모터(89)를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스테핑 모터(89)의 회전량 및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스테핑 모터 제어부(35)를 포함한다.
상기 PTZ 카메라(1)에 적용되는 스테핑 모터(89)는 유니폴라(Unipolar) 구동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드라이버(37)는 도면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핑 모터(89)의 회전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스테핑 모터 제어부(35)로부터 출력되는 1비트 제어 신호를 2비트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쉬프트 레지스터(43)의 회전 방향 제어 신호 입력단에 공급하는 회전 방향 신호 처리부(39)와, 상기 스테핑 모터 제어부(35)로부터 스테핑 모터(89)의 회전량 및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클럭(Clock) 신호가 들어왔을 때 최초 입력된 클럭 신호를 소정 시간 지연시킨 다음 쉬프트 레지스터(43)의 클럭 신호 입력단에 공급하는 클럭(Clock) 신호 발생부(41), QA와 QB, QC, QD로 구성된 4개의 출력 단자로부터 스테핑 모터(89)를 회전시키기 위한 4비트 출력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회전 방향 신호 처리부(39)로부터 스테핑 모터(89)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2비트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4개의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4비트 출력 신호를 클럭 신호 발생부(41)로부터 출력되는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Rising Edge) 신호에 맞춰 QA에서 QD 방향으로 1비트씩 이동시켜 스테핑 모터(89)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반면, 상기 회전 방향 신호 처리부(39)로부터 스테핑 모터(89)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2비트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4개의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4비트 출력 신호를 클럭 신호 발생부(41)로부터 출력되는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 신호에 맞춰 QD에서 QA 방향으로 1비트씩 이동시켜 스테핑 모터(89)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쉬프트 레지스터(43)(Shift Register),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43)로부터 출력되는 4비트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Turn-On) 되거나 턴 오프(Turn-Off) 되면서 유니폴라 구동 회로로 구성된 스테핑 모터(89)의 A상 코일이나 A'상 코일, B상 코일, 또는 B'상 코일에 전류를 흘려보내 스테핑 모터(89)의 모터축을 회전시키는 스위칭(Switching)부(45), 및 상기 스테핑 모터(89)가 회전될 때 역기전력에 의해 스위칭부(45)가 손상됨을 방지하는 회로 보호부(47)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 방향 신호 처리부(39)는 도면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류 전원이 입력되었을때 입력된 직류 전원을 소정 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시간 지연 회로부(49)와, 상기 시간 지연 회로부(49)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상기 스테핑 모터 제어부(35)로부터 출력된 스테핑 모터(89) 회전 방향 제어 신호를 낸드(NAND) 연산한 다음 출력 신호를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43)의 회전 방향 제어 신호 입력단에 공급하는 제1 낸드 게이트(51)(Nand Gate), 상기 스테핑 모터(89)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스테핑 모터 제어부(35)로부터 하이(High) 디지털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하이 디지털 신호를 로우(Low) 디지털 신호로 반전시켜 출력하는 반면, 상기 스테핑 모터(89)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스테핑 모터 제어부(35)로부터 로우 디지털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로우 디지털 신호를 하이 디지털 신호로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1 부논리 게이트(53), 및 상기 시간 지연 회로부(49)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제1 부논리 게이트(53)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낸드(NAND) 연산한 다음 출력 신호를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43)의 회전 방향 제어 신호 입력단에 공급하는 제2 낸드(NAND) 게이트(5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간 지연 회로부(49)는 도면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단이 전원 연결된 제1 저항(65)과, 한쪽 전극이 제1 저항(65)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전극이 접지된 제1 커패시터(67)로 이루어져,
Figure 112018031145119-pat00009
의 시정수를 가진다.
상기 시간 지연 회로부(49)는 회전 방향 신호 처리부(39)에 전원이 입력되었을 때 시간 지연 회로부(49)에 설정된 시정수동안 제1 낸드 게이트(51)와 제2 낸드 게이트(55)로부터 각각 하이 디지털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43)는 도면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낸드 게이트(51)와 제2 낸드 게이트(55)로부터 각각 하이(High) 디지털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4비트 입력 코드 '1100'을 쉬프트 레지스터(43)의 내부 플립플롭에 저장한다.
한편,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43)는 제1 낸드 게이트(51)로부터 로우 디지털 신호가 출력되고 제2 낸드 게이트(55)로부터 하이 디지털 신호가 출력될 때 클럭 신호 발생부(41)로부터 출력되는 클럭 신호에 맞춰 4비트 출력 신호 '1100' 코드를 우측으로 1비트씩 이동시켜 스테핑 모터(89)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43)는 제1 낸드 게이트(51)로부터 하이 디지털 신호가 출력되고 제2 낸드 게이트(55)로부터 로우 디지털 신호가 출력될 때 클럭 신호 발생부(41)로부터 출력되는 클럭 신호에 맞춰 4비트 출력 신호 '1100' 코드를 좌측으로 1비트씩 이동시켜 스테핑 모터(89)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클럭 신호 발생부(41)는 도면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단이 시간 지연 회로부(49)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시간 지연 회로부(49)로부터 하이(Hight) 디지털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로우(Low)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반면, 상기 시간 지연 회로부(49)로부터 로우(Low) 디지털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하이(High)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부논리 게이트(57)와; 상기 제2 부논리 게이트(57)로부터 출력되는 노이즈(Noise) 성분을 감쇄하는 로우 패스 필터(59)(LPF: Low Pass Filter); 입력단이 스테핑 모터 제어부(35)의 클럭 신호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테핑 모터 제어부(35)의 클럭 신호 출력단으로부터 하이(High) 디지털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하이 디지털 신호를 로우(Low)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반면 상기 스테핑 모터 제어부(35)의 클럭 신호 출력단으로부터 로우(Low) 디지털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로우 디지털 신호를 하이(High)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3 부논리 게이트(61); 및 상기 로우 패스 필터(59)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제3 부논리 게이트(6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OR 연산하여 쉬프트 레지스터(43)의 클럭 신호 입력단에 제공하는 OR 게이트(63)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로우 패스 필터(59)(Low Pass Filter)는 입력단이 제2 부논리 게이트(57)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2 저항(69)과, 한쪽 전극이 제2 저항(69)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전극이 접지된 제2 커패시터(71)로 이루어져, 상기 제2 부논리 게이트(5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중
Figure 112018031145119-pat00010
이후의 교류 신호를 감쇄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클럭 신호 발생부(41)는 도면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간 지연 회로부(49)에 의해 시간 지연 회로부(49)에 세팅된 시정수 동안 하이(High)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고 시정수 이후에는 상기 스테핑 모터 제어부(35)의 클럭 신호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한다.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43)는 클럭 신호 발생부(41)로부터 출력되는 클럭 주파수에 따라 스테핑 모터(89)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클럭 갯수에 따라 스테핑 모터(89)의 회전량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스위칭부(45)는 도면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렉터(Collecotor) 단자가 스테핑 모터(89)의 A상 코일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베이스 단자가 저항을 통해 쉬프트 레지스터(43)의 QA 출력단에 연결되며 컬렉터 단자가 접지되어 베이스 단자에 하이(High)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턴 온(Turn On)되어 스테핑 모터(89)의 A상 코일에 전류를 유입시키는 반면, 베이스 단자에 로우(Low)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턴 오프(Turn Off)되어 스테핑 모터(89)의 A상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제1 NPN 트랜지스터(73)와; 컬렉터(Collecotor) 단자가 스테핑 모터(89)의 B상 코일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베이스 단자가 저항을 통해 쉬프트 레지스터(43)의 QB 출력단에 연결되며 컬렉터 단자가 접지되어 베이스 단자에 하이(High)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턴 온(Turn On)되어 스테핑 모터(89)의 B상 코일에 전류를 유입시키는 반면, 베이스 단자에 로우(Low)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턴 오프(Turn Off)되어 스테핑 모터(89)의 B상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제2 NPN 트랜지스터(75); 컬렉터(Collecotor) 단자가 스테핑 모터(89)의 A'상 코일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베이스 단자가 저항을 통해 쉬프트 레지스터(43)의 QC 출력단에 연결되며 컬렉터 단자가 접지되어 베이스 단자에 하이(High)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턴 온(Turn On)되어 스테핑 모터(89)의 A'상 코일에 전류를 유입시키는 반면, 베이스 단자에 로우(Low)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턴 오프(Turn Off)되어 스테핑 모터(89)의 A'상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제3 NPN 트랜지스터(77); 및 컬렉터(Collecotor) 단자가 스테핑 모터(89)의 B'상 코일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베이스 단자가 저항을 통해 쉬프트 레지스터(43)의 QD 출력단에 연결되며 컬렉터 단자가 접지되어 베이스 단자에 하이(High)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턴 온(Turn On)되어 스테핑 모터(89)의 B'상 코일에 전류를 유입시키는 반면, 베이스 단자에 로우(Low)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턴 오프(Turn Off)되어 스테핑 모터(89)의 B'상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제4 NPN 트랜지스터(79)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로 보호부(47)는 도면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소드(Cathode) 단이 제1 NPN 트랜지스터(73)의 컬렉터(Collector)단에 연결되고 애노드(Anode) 단이 접지되어 스테핑 모터(89)로부터 역기전력이 발생되었을 때 제1 NPN 트랜지스터(73)를 보호하는 제1 다이오드(81)(Diode)와, 캐소드(Cathode) 단이 제2 NPN 트랜지스터(75)의 컬렉터(Collector)단에 연결되고 애노드(Anode) 단이 접지되어 스테핑 모터(89)로부터 역기전력이 발생되었을 때 제2 NPN 트랜지스터(75)를 보호하는 제2 다이오드(83)(Diode), 캐소드(Cathode) 단이 제3 NPN 트랜지스터(77)의 컬렉터(Collector)단에 연결되고 애노드(Anode) 단이 접지되어 스테핑 모터(89)로부터 역기전력이 발생되었을 때 제3 NPN 트랜지스터(77)를 보호하는 제3 다이오드(85)(Diode), 및 캐소드(Cathode) 단이 제4 NPN 트랜지스터(79)의 컬렉터(Collector)단에 연결되고 애노드(Anode) 단이 접지되어 스테핑 모터(89)로부터 역기전력이 발생되었을 때 제4 NPN 트랜지스터(79)를 보호하는 제4 다이오드(8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절차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방법은 줌인(Zoom-in)된 영상 위에 마우스(6)(Mouse)를 이용하여 소정 크기의 사각 박스를 그리면 현재 줌인 영상을 사각 박스의 크기에 비례하는 줌 배율로 줌 아웃(Zoom-out)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방법은 리버스 에리어 줌(Reverse Area Zoom) 기능을 이용하여 현재 줌인(Zoom-in)된 영상을 원하는 크기로 줌아웃(Zoom-out)시킬 수 있어 모니터링 요원의 감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불법 주정차 단속의 경우 영상 내 차량 번호를 인식하기 위해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확대한 다음 다시 차량의 주정차 위치를 증명하기 위해 차량이 주정차된 배경이 나오도록 줌 아웃(Zoom-out)을 해야 하는데, 이때, 최소한의 조작으로 줌 아웃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상에 표시된 마우스 포인트(Mouse Point)를 간편하게 조작하는 것만으로 현재 모니터상에 줌인(Zoom-in)된 영상을 줌아웃(Zoom-out)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줌인 영상을 줌 아웃 시키는데 조이스틱과 같은 별도의 컨트롤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불법 주정차 위반 차량을 검지하는데 루프 코일이나 레이저 검지기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1. PTZ 카메라 3. 디스플레이부
5. 리버스 에리어 줌 버튼부 7. 중앙 제어부
9. 사각 박스 크기 계산부 11. 사각 박스 중심 좌표 계산부
13. 줌 배율 조정부 15. 시작점 감시부
17. 드래그 감시부 19. 종료점 감시부
23. 팬 제어부 25. 틸트 제어부
27. 팬 위치 계산부 29. 팬 구동부
31. 틸트 위치 계산부 33. 틸트 구동부
35. 스테핑 모터 제어부 37. 구동 드라이버
39. 회전 방향 신호 처리부 41. 클럭 신호 발생부
43. 쉬프트 레지스터 45. 스위칭부
47. 회로 보호부 49. 시간 지연 회로부
51. 제1 낸드 게이트 53. 제1 부논리 게이트
55. 제2 낸드 게이트 57. 제2 부논리 게이트
59. 로우 패스 필터 61. 제3 부논리 게이트
63. OR 게이트 65. 제1 저항
67. 제1 커패시터 69. 제2 저항
71. 제2 커패시터 73. 제1 NPN 트랜지스터
75. 제2 NPN 트랜지스터 77. 제3 NPN 트랜지스터
79. 제4 NPN 트랜지스터 81. 제1 다이오드
83. 제2 다이오드 85. 제3 다이오드
87. 제4 다이오드 89. 스테핑 모터
91. 제1 사각 박스 93. 제2 사각 박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팬(Pan) 틸트(Tilt) 줌(Zoom) 기능이 갖추어진 PTZ 카메라(1)와;
    상기 PTZ 카메라(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디스플레이부(3);
    스위치 온(On) 되었을 때 마우스(6)를 통해 줌인 영상위에 그려진 사각 박스의 크기에 따라 PTZ 카메라(1)의 줌 아웃 배율을 자동 조정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중앙 제어부(7)로 전송하는 리버스 에리어 줌(Reverse Area Zoom) 버튼부(5);
    상기 리버스 에리어 줌 버튼부(5)가 스위치 온(On)되었을 때 상기 리버스 에리어 줌 버튼부(5)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를 상시 감시하고 PTZ 카메라(1)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에 표시함과 더불어 PTZ 카메라의 팬(Pan), 틸트(Tilt), 줌(Zoom)을 제어하며 마우스(6)(Mouse)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중앙 제어부(7);
    상기 중앙 제어부(7)를 통해 상기 리버스 에리어 줌 버튼부(5)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가 감시되었을 때 마우스(6)를 통해 줌인 영상 위에 그려진 사각 박스의 크기를 계산하는 사각 박스 크기 계산부(9);
    상기 중앙 제어부(7)를 통해 상기 리버스 에리어 줌 버튼부(5)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가 감시되었을 때 마우스(6)를 통해 줌인 영상 위에 그려진 사각 박스의 중심 좌표를 계산하는 사각 박스 중심 좌표 계산부(11);
    상기 사각 박스 중심 좌표 계산부(11)에 의해 계산된 사각 박스의 중심 좌표와 현재 디스플레이부(3)에 표시된 줌인 영상의 중심 좌표가 동일할 경우 상기 마우스(6)를 통해 줌인 영상 위에 그려진 사각 박스안에 현재 디스플레이부(3)에 표시된 줌인 영상이 삽입되도록 PTZ 카메라(1)의 줌 배율을 조정하는 줌(Zoom) 배율 조정부(13)로 이루어져,
    줌인 영상위에 마우스(6)를 통해 그려진 사각 박스의 크기에 따라 PTZ 카메라(1)의 줌 배율이 자동 조정되어 디스플레이부(3)에 줌아웃된 영상이 표시되고,
    상기 사각 박스 크기 계산부(9)는 상기 중앙 제어부(7)를 통해 상기 리버스 에리어 줌 버튼부(5)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가 감시되었을 때 마우스(6) 왼쪽 버튼이 눌렸는지 감시하고, 마우스(6) 왼쪽 버튼이 눌렸을 때 줌인 영상 위 마우스 포인트의 위치 좌표를 시작점으로 저장하는 시작점 감시부(15)와,
    상기 마우스(6) 왼쪽 버튼이 눌린 채 마우스(6)가 드래그(Drag)되는지 감시하고, 마우스(6)가 드래그될 때 디스플레이부(3)에 표시된 줌인 영상 위 마우스 포인트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산하는 드래그(Drag) 감시부(17),
    상기 마우스(6)가 드래그(Drag) 후 마우스(6) 왼쪽 버튼이 눌리지 않았는지 감시하고, 마우스(6) 왼쪽 버튼이 눌리지 않는 순간 줌인 영상 위 마우스 포인트의 위치 좌표를 종료점으로 저장하는 종료점 감시부(19),
    및 상기 시작점 감시부(15)에 저장된 시작점과 종료점 감시부(19)에 저장된 종료점을 포함하는 사각 박스의 크기를 계산하는 박스 크기 계산부(21)를 포함하며,
    상기 사각 박스 중심 좌표 계산부(11)에 의해 계산된 사각 박스의 중심 좌표와 현재 디스플레이부(3)에 표시된 줌인 영상의 중심 좌표가 다를 경우 사각 박스의 중심좌표에 PTZ 카메라(1)의 카메라 렌즈 중심을 맞추기 위해 PTZ 카메라(1)의 팬과 틸트를 조정하는 팬(Pan)· 틸트(Tilt) 제어부(23,25)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팬 제어부(23)는 카메라 렌즈가 사각 박스의 중심 좌표를 마주보도록
    Figure 112018501919109-pat00033
    를 이용하여 카메라 렌즈의 좌우 회전량을 계산하는 팬 위치 계산부(27)와,
    상기 팬 위치 계산부(27)에 의해 계산된 카메라 렌즈의 좌우 회전량에 따라 카메라 렌즈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팬 구동부(29)를 포함하고,
    상기 틸트 제어부(25)는 카메라 렌즈가 사각 박스의 중심 좌표를 마주보도록
    Figure 112018501919109-pat00034
    를 이용하여 카메라 렌즈의 상하 회전량을 계산하는 틸트 위치 계산부(31)와,
    상기 틸트 위치 계산부(31)에 의해 계산된 카메라 렌즈의 상하 회전량에 따라 카메라 렌즈를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틸트 구동부(33)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Figure 112018501919109-pat00035
    는 Pan축 비례 상수이고,
    상기
    Figure 112018501919109-pat00036
    는 Tilt축 비례 상수이다,
    상기 팬(Pan) 구동부(29) 또는 틸트(Tilt) 구동부(33)는 공통적으로 모터 회전력을 이용하여 PTZ 카메라(1) 내 카메라 렌즈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축 회전시키거나 상하 수직 방향으로 축 회전시키는 스테핑 모터(89)(Stepping Motor)와,
    스테핑 모터 제어부(35)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테핑 모터(89)를 시계(CW: Clockwise) 방향이나 반시계(CCW: Counter Clock Wise)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스테핑 모터(89)의 회전량 및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구동 드라이버(37),
    및 상기 구동 드라이버(37)에 스테핑 모터(89)를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스테핑 모터(89)의 회전량 및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스테핑 모터 제어부(35)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드라이버(37)는, 상기 스테핑 모터(89)의 회전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스테핑 모터 제어부(35)로부터 출력되는 1비트 제어 신호를 2비트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쉬프트 레지스터(43)의 회전 방향 제어 신호 입력단에 공급하는 회전 방향 신호 처리부(39)와, 상기 스테핑 모터 제어부(35)로부터 스테핑 모터(89)의 회전량 및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클럭(Clock) 신호가 들어왔을 때 최초 입력된 클럭 신호를 소정 시간 지연시킨 다음 쉬프트 레지스터(43)의 클럭 신호 입력단에 공급하는 클럭(Clock) 신호 발생부(41), QA와 QB, QC, QD로 구성된 4개의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스테핑 모터(89)를 회전시키기 위한 4비트 출력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회전 방향 신호 처리부(39)로부터 스테핑 모터(89)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2비트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4개의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4비트 출력 신호를 클럭 신호 발생부(41)로부터 출력되는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Rising Edge) 신호에 맞춰 QA에서 QD 방향으로 1비트씩 이동시켜 스테핑 모터(89)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반면, 상기 회전 방향 신호 처리부(39)로부터 스테핑 모터(89)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2비트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4개의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4비트 출력 신호를 클럭 신호 발생부(41)로부터 출력되는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 신호에 맞춰 QD에서 QA 방향으로 1비트씩 이동시켜 스테핑 모터(89)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쉬프트 레지스터(43)(Shift Register),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43)로부터 출력되는 4비트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Turn-On) 되거나 턴 오프(Turn-Off) 되면서 유니폴라 구동 회로로 구성된 스테핑 모터(89)의 A상 코일이나 A'상 코일, B상 코일, 또는 B'상 코일에 전류를 흘려보내 스테핑 모터(89)의 모터축을 회전시키는 스위칭(Switching)부(45), 및 상기 스테핑 모터(89)가 회전될 때 역기전력에 의해 스위칭부(45)가 손상됨을 방지하는 회로 보호부(47)로 이루어지는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향 신호 처리부(39)는, 직류 전원이 입력되었을때 입력된 직류 전원을 소정 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시간 지연 회로부(49)와, 상기 시간 지연 회로부(49)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상기 스테핑 모터 제어부(35)로부터 출력된 스테핑 모터(89) 회전 방향 제어 신호를 낸드(NAND) 연산한 다음 출력 신호를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43)의 회전 방향 제어 신호 입력단에 공급하는 제1 낸드 게이트(51)(Nand Gate), 상기 스테핑 모터(89)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스테핑 모터 제어부(35)로부터 하이(High) 디지털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하이 디지털 신호를 로우(Low) 디지털 신호로 반전시켜 출력하는 반면, 상기 스테핑 모터(89)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스테핑 모터 제어부(35)로부터 로우 디지털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로우 디지털 신호를 하이 디지털 신호로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1 부논리 게이트(53), 및 상기 시간 지연 회로부(49)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제1 부논리 게이트(53)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낸드(NAND) 연산한 다음 출력 신호를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43)의 회전 방향 제어 신호 입력단에 공급하는 제2 낸드(NAND) 게이트(5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신호 발생부(41)는, 입력단이 시간 지연 회로부(49)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시간 지연 회로부(49)로부터 하이(Hight) 디지털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로우(Low)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반면, 상기 시간 지연 회로부(49)로부터 로우(Low) 디지털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하이(High)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부논리 게이트(57)와; 상기 제2 부논리 게이트(57)로부터 출력되는 노이즈(Noise) 성분을 감쇄하는 로우 패스 필터(59)(LPF: Low Pass Filter); 입력단이 스테핑 모터 제어부(35)의 클럭 신호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테핑 모터 제어부(35)의 클럭 신호 출력단으로부터 하이(High) 디지털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하이 디지털 신호를 로우(Low)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반면 상기 스테핑 모터 제어부(35)의 클럭 신호 출력단으로부터 로우(Low) 디지털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로우 디지털 신호를 하이(High)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3 부논리 게이트(61); 및 상기 로우 패스 필터(59)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제3 부논리 게이트(6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OR 연산하여 쉬프트 레지스터(43)의 클럭 신호 입력단에 제공하는 OR 게이트(63)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우 패스 필터(59)(Low Pass Filter)는 입력단이 제2 부논리 게이트(57)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2 저항(69)과, 한쪽 전극이 제2 저항(69)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전극이 접지된 제2 커패시터(71)로 이루어져, 상기 제2 부논리 게이트(5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중
    Figure 112018078578053-pat00037
    이후의 교류 신호를 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45)는, 컬렉터(Collecotor) 단자가 스테핑 모터(89)의 A상 코일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베이스 단자가 저항을 통해 쉬프트 레지스터(43)의 QA 출력단에 연결되며 컬렉터 단자가 접지되어 베이스 단자에 하이(High)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턴 온(Turn On)되어 스테핑 모터(89)의 A상 코일에 전류를 유입시키는 반면, 베이스 단자에 로우(Low)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턴 오프(Turn Off)되어 스테핑 모터(89)의 A상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제1 NPN 트랜지스터(73)와; 컬렉터(Collecotor) 단자가 스테핑 모터(89)의 B상 코일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베이스 단자가 저항을 통해 쉬프트 레지스터(43)의 QB 출력단에 연결되며 컬렉터 단자가 접지되어 베이스 단자에 하이(High)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턴 온(Turn On)되어 스테핑 모터(89)의 B상 코일에 전류를 유입시키는 반면, 베이스 단자에 로우(Low)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턴 오프(Turn Off)되어 스테핑 모터(89)의 B상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제2 NPN 트랜지스터(75); 컬렉터(Collecotor) 단자가 스테핑 모터(89)의 A'상 코일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베이스 단자가 저항을 통해 쉬프트 레지스터(43)의 QC 출력단에 연결되며 컬렉터 단자가 접지되어 베이스 단자에 하이(High)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턴 온(Turn On)되어 스테핑 모터(89)의 A'상 코일에 전류를 유입시키는 반면, 베이스 단자에 로우(Low)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턴 오프(Turn Off)되어 스테핑 모터(89)의 A'상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제3 NPN 트랜지스터(77); 및 컬렉터(Collecotor) 단자가 스테핑 모터(89)의 B'상 코일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베이스 단자가 저항을 통해 쉬프트 레지스터(43)의 QD 출력단에 연결되며 컬렉터 단자가 접지되어 베이스 단자에 하이(High)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턴 온(Turn On)되어 스테핑 모터(89)의 B'상 코일에 전류를 유입시키는 반면, 베이스 단자에 로우(Low)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턴 오프(Turn Off)되어 스테핑 모터(89)의 B'상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제4 NPN 트랜지스터(7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보호부(47)는, 캐소드(Cathode) 단이 제1 NPN 트랜지스터(73)의 컬렉터(Collector)단에 연결되고 애노드(Anode) 단이 접지되어 스테핑 모터(89)로부터 역기전력이 발생되었을 때 제1 NPN 트랜지스터(73)를 보호하는 제1 다이오드(81)(Diode)와, 캐소드(Cathode) 단이 제2 NPN 트랜지스터(75)의 컬렉터(Collector)단에 연결되고 애노드(Anode) 단이 접지되어 스테핑 모터(89)로부터 역기전력이 발생되었을 때 제2 NPN 트랜지스터(75)를 보호하는 제2 다이오드(83)(Diode), 캐소드(Cathode) 단이 제3 NPN 트랜지스터(77)의 컬렉터(Collector)단에 연결되고 애노드(Anode) 단이 접지되어 스테핑 모터(89)로부터 역기전력이 발생되었을 때 제3 NPN 트랜지스터(77)를 보호하는 제3 다이오드(85)(Diode), 및 캐소드(Cathode) 단이 제4 NPN 트랜지스터(79)의 컬렉터(Collector)단에 연결되고 애노드(Anode) 단이 접지되어 스테핑 모터(89)로부터 역기전력이 발생되었을 때 제4 NPN 트랜지스터(79)를 보호하는 제4 다이오드(8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
KR1020180036283A 2018-03-29 2018-03-29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97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283A KR101897777B1 (ko) 2018-03-29 2018-03-29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283A KR101897777B1 (ko) 2018-03-29 2018-03-29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777B1 true KR101897777B1 (ko) 2018-10-29

Family

ID=64101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283A KR101897777B1 (ko) 2018-03-29 2018-03-29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7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15804A (zh) * 2020-08-26 2020-12-22 北京博睿维讯科技有限公司 一种重点区域监控视频控制方法、系统、智能终端及储存介质
CN114205523A (zh) * 2021-11-18 2022-03-18 苏州长风航空电子有限公司 一种光电转台监控图像控制方法
CN112115804B (zh) * 2020-08-26 2024-05-24 北京博睿维讯科技有限公司 一种重点区域监控视频控制方法、系统、智能终端及储存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2556A (ja) * 2014-10-10 2016-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2556A (ja) * 2014-10-10 2016-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15804A (zh) * 2020-08-26 2020-12-22 北京博睿维讯科技有限公司 一种重点区域监控视频控制方法、系统、智能终端及储存介质
CN112115804B (zh) * 2020-08-26 2024-05-24 北京博睿维讯科技有限公司 一种重点区域监控视频控制方法、系统、智能终端及储存介质
CN114205523A (zh) * 2021-11-18 2022-03-18 苏州长风航空电子有限公司 一种光电转台监控图像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0205B2 (en) Image capturing method and display method for recognizing a relationship among a plurality of images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US9774788B2 (en) Providing area zoom functionality for a camera
JP4250543B2 (ja) 撮像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US6362850B1 (en) Interactive movie creation from one or more still images in a digital imaging device
JP3326426B2 (ja) ポートレート画像及びランドスケープ画像を管理するためにディスプレイを自動回転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6697105B1 (en) Camera control system and method
US6876762B1 (en) Apparatus for imaging and image processing and method thereof
WO2022161240A1 (zh) 拍摄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US7847837B2 (en) Imagine pickup device and imagine pickup method
KR101897777B1 (ko) 영상 감시 화각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JP6107354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画像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こ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12740651B (zh) 用于操作包括显示器的系统的方法、设备、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JP2017118318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04363707A (ja) 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CN112929566B (zh) 显示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JP2013255226A (ja) 画像取込装置の改良された制御
CN113873157B (zh) 拍摄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3905170A (zh) 变焦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JP4777486B2 (ja) カメラ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およびその動作処理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2005258034A (ja) 電動雲台
EP4333447A1 (en) Imaging control apparatus, image pickup apparatus, imag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14225846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064128B2 (en) Exposure set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WO2021131325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2010183364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