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184B1 - 계량기박스 - Google Patents

계량기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184B1
KR101897184B1 KR1020160111028A KR20160111028A KR101897184B1 KR 101897184 B1 KR101897184 B1 KR 101897184B1 KR 1020160111028 A KR1020160111028 A KR 1020160111028A KR 20160111028 A KR20160111028 A KR 20160111028A KR 101897184 B1 KR101897184 B1 KR 101897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fixing
breaker
fixed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575A (ko
Inventor
김근태
Original Assignee
남영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영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영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1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184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89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utility meter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부품고정대를 구성하여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의 설치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설치부재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계량기 박스에 관한 것으로,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를 포함하는 부품들을 실장 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을 가지며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부품고정대가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대와, 전선이 고정되는 복수의 배선부재와, 계량기 박스를 고정하는 나사 또는 볼트의 위치를 가변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고정부재가 형성되는 계량기함체와;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를 포함하는 부품들이 설치되어 계량기함체 내측에 고정되는 부품고정대와; 전기의 사용량을 확인하는 투명창, 계량기함체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환기구 및 복수의 원터치잠금장치가 설치되어 계량기함체 전면에 설치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계량기 박스를 나사못 또는 볼트 등을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계량기 박스를 고정할 때 고정부재의 위치를 가변시켜 고정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계량기 박스의 설치가 용이하고, 계량기 박스에 설치되는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 등과 연결되는 배선의 정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전선들 간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것은 물론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계량기박스{Electric gauge box}
본 발명은 계량기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부품고정대를 구성하여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의 설치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계량기함체를 설치하는 장소에 따라 설치하는 방식을 달리하여 작업공정의 단순화 및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계량기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가 사용되는 건물의 시공시에는 건물 외부와 내부 사이에 계량기박스조립체를 설치한다. 상기 계량기박스조립체는 건물의 내부로 공급되는 전기의 양을 계량하기 위한 계량기, 건물 내부에서 과부하가 걸렸을 때 이를 차단하는 차단기, 그리고 계량기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단자가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계량기박스조립체는 일반적으로 건물의 시공중에 미리 계량기박스가 건물 벽체에 설치되고, 어느 정도 건물이 완성되어가는 단계에서 상기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 등이 계량기박스 내부에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계량기박스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최근에는 원격검침이 일반화되면서 계량기박스 내부에 통신단자도 설치된다. 하지만, 계량기박스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고정판에 별도로 통신단자가 장착될 수 있는 부분이 없어 부품고정판에는 계량기 계량기와 차단기만이 장착되고 통신단자는 별도로 계량기박스에 장착하였다. 이때, 건물에 전기가 아직 들어오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되므로, 상기 부품고정판과 통신단자를 각각 계량기박스에 고정하는 것은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계량기박스 내부에는 상기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 등이 설치되므로 이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이 상대적으로 많다. 이와 같은 전선들은 상기 계량기박스 내부에서 서로 엉키게 되면 쇼트를 일으킬 위험성이 많아지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계량기박스조립체에서 사용되는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 등은 각각의 제조사가 틀리는데, 제조사마다 이들 부품의 크기가 약간씩 다를 수 있어 상기 부품고정판을 여러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0703호(2008.06.26. 공고) "계량기박스 조립체"는 내부에 형성된 장착공간이 전면으로 개구되고 내부에 고정돌부와 바닥체결공이 형성되는 계량기박스와, 상기 계량기박스에 상기 고정볼부와 바닥체결공에 체결되어 장착되고 판상의 고정판몸체의 표면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 차례로 계량기고정부, 통신단자고정부 및 차단기고정부가 형성되는 부품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계량기고정부에는 부품고정판의 고정판몸체 표면에 돌출되게 스페이서단과 보조지지단이 형성되어 계량기가 장착된다. 상기 통신단자고정부에는 부품고정판의 고정판몸체 표면에 돌출되게 상기 고정판몸체의 중간 부분이 양분되도록 고정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리브의 양단에 해당되는 고정판몸체의 표면에 고정바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통신단자가 고정된다. 상기 차단기고정부에는 상기 부품고정판의 고정판몸체 표면에 돌출되게 걸이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걸이후크와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제1차단기장착공이 형성되어 차단기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행기술은 형성되어 부품고정판이 복수로 형성되기 때문에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 등을 설치한 후 이를 각각 계량기박스에 개별적으로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부품고정판에 설치된 각각의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 등에 연결되되는 배선이 하나의 구멍을 통해 인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선 배선이 복잡해 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계량기박스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없어 계량기박스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드릴을 이용하여 계량기박스의 배면판에 별도의 구멍을 형성하여 고정해야 불편함이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0703호(2008.06.26.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계량기박스 내부에 부품고정대를 설치하여 부품의 실장 시 공간활용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계량기 박스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량기 박스에 설치되는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 등과 연결되는 배선이 잘 정리될 수 있도록 한 계량기 박스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량기 박스를 나사못에 의해 고정할 때 고정위치를 가변적으로 구성하여 현장의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계량기 박스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를 포함하는 부품들을 실장 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을 가지며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부품고정대가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대와, 전선이 고정되는 복수의 배선부재와, 계량기 박스를 고정하는 나사 또는 볼트의 위치를 가변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고정부재가 형성되는 계량기함체와;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를 포함하는 부품들이 설치되어 계량기함체 내측에 고정되는 부품고정대와; 전기의 사용량을 확인하는 투명창, 계량기함체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환기구 및 복수의 원터치잠금장치가 설치되어 계량기함체 전면에 설치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계량기함체에는,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를 포함하는 부품들이 부품고정대에 설치된 상태에서 배선되는 전선들을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해 형성한 전선입출공의 일측에 전선입출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정부재는, 계량기함체를 나사 또는 볼트를 포함하는 설치부재를 이용해 고정할 수 있도록 계량기함체 배면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이 형성된 배면판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레일부재와 제2레일부재와; 고정부재와 결합하여 제1레일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고정편과; 제1레일부재에 결합한 고정부재와 결합하여 계량기함체가 고정되도록 제2레일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품고정대는, 상부와 하부에 고정돌기를 가지며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를 포함하는 부품들이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패널과;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를 포함하는 부품들이 설치된 고정패널을 손으로 잡아 계량기함체 내측에 설치하거나 또는 고정패널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고정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정패널은, 계량기가 지지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부 일측에 형성하는 복수의 계량기설치부와; 통신단자가 일정 높이로 설치되도록 계량기설치부의 하방향에 위치되어 고정패널에 형성되는 복수의 스페이서와; 차단기가 설치될 수 있도록 스페이서 하방향에 위치되어 돌출부 일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차단기설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단기설치부는, 고정패널에 차단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을 형성하고, 안착홈의 상부 쪽에는 차단기의 일측이 고정되도록 제1걸림돌기를 갖는 차단기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안착홈의 하부 쪽에는 차단기의 일측이 고정되도록 제2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를 대향되게 형성하여 차단기의 각 측면에 체결되어 안착홈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계량기박스 내부에 부품고정대를 설치하여 부품의 실장 시 공간활용을 높일 수 있으므로 기존의 계량기 박스에 비해 크기가 작아지면서 다양한 부품의 실장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량기 박스에 설치되는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 등과 연결되는 배선이 용이하게 정리되므로 전선들 간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고,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에 설치되는 설치부재의 폭이 좁거나 넓게 위치되어 있어도 나사못 또는 볼트 등을 포함하는 고정부재의 위치를 가변시켜 고정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계량기 박스의 설치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계량기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계량기박스의 계량기함체에 부품고정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계량기박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계량기박스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계량기박스에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가 설치되어 배선된 상태를 나탄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계량기박스가 H현강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제1고정편과 제2고정편이 제1레일부재와 제2레일부재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결 확대도.
도 8은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가 설치된 본 발명의 계량기박스가 건물벽면에 매립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계량기박스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계량기박스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계량기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계량기박스의 계량기함체에 부품고정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계량기박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계량기박스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계량기박스에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가 설치되어 배선된 상태를 나탄내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계량기박스가 H현강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제1고정편과 제2고정편이 제1레일부재와 제2레일부재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결 확대도이고, 도 8은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가 설치된 본 발명의 계량기박스가 건물벽면에 매립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계량기박스는 계량기함체(100)와 부품고정대(200)와 덮개(300)를 포함한다.
상기 계량기함체(100)는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를 포함하는 부품들을 실장 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을 가지며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개방되게 형성된 부분에 단턱(110)을 형성하여 덮개(300)가 설치되도록 하고, 단턱(110)에는 걸림홈(120)을 형성하여 덮개(300)의 일측이 걸려지도록 하며, 내측 배면판(130)에는 부품고정대(200)가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대(140)가 설치되고, 전선이 고정되는 복수의 배선부재(150)가 지지대(140) 일측에 복수로 형성되며, 계량기박스를 고정하는 나사 또는 볼트의 위치를 가변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고정부재(17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계량기함체(100)에는 부품고정대(200)에 설치된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를 포함하는 부품들과 배선되는 전선이 배선부재(150)에 고정되어 계량기함체(100)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배면판(130)에 전선입출공(151)이 형성된다.
또한, 전선입출공(151)으로 인출되는 전선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계량기함체(100)의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전선입출공(151)이 형성된 부분에 전선입출부재(160)를 설치한다.
상기 전선입출부재(160)의 상부에 하기에서 설명할 부품고정대(200)가 지지되도록 하여 부품이 설치된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계량기함체(100)의 배면판(130)의 내측과 외측에는 계량기함체(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170)를 구성한다.
상기 고정부재(170)는 나사 또는 볼트를 포함하는 설치부재(400)를 이용해 계량기함체(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배면판(130)에 복수의 설치공(171)을 형상하고, 상기 설치공(171)이 형성된 배면판(130)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제1레일부재(172)와 제2레일부재(174)를 설치하며, 상기 나사 또는 볼트를 포함하는 설치부재(400)와 결합하여 제1레일부재(172)에 이동 가능하게 제1고정편(176)을 설치하고, 상기 제1레일부재(172)에 결합한 설치부재(400)와 결합하여 계량기함체(100)가 고정되도록 제2레일부재(174)에 이동 가능하게 제2고정편(177)을 설치한다.
상기 제2고정편(177)은 제2레일부재(174)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기에서 설명할 H현강과 같은 설치부재(400) 일측에 걸려지도록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설치부재(400)와 설치부재(400)의 사이가 계량기함체보다 약간 넓게 형성되어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편(177)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이 2단 절곡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고정편(177)을 'ㅡ'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H현강과 같은 설치부재(40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설명과 같이 설치부재(400)이 꼭 복수로 구성되어야만 본 발명의 계량기박스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설치부재(400)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제2레일부재(174)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제2고정편(177)의 방향을 바꿔 고정한다. 즉, 본 발명의 계량기박스가 설치되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 제1고정편(176) 및 제2고정편(177)을 활용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부품고정대(20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돌기(211)를 가지며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를 포함하는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평판형으로 고정패널(210)이 구성되고,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를 포함하는 부품들이 설치된 고정패널(210)을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 계량기함체(100) 내측에 설치하거나 또는 고정패널(210)이 견고하게 지지 되도록 고정패널(210) 사이에 복수의 돌출부(220)를 형성한다.
상기 돌출부(220)에는 하기에서 설명한 계량기의 일측이 지지되도록 계량기를 밀착시킨 상태로 설치하므로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패널(210)에는 계량기가 돌출부(220) 일측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돌출부(220) 측면에 계량기설치부(230)를 각각 형성하고, 통신단자가 일정 높이로 설치되도록 계량기설치부(230)의 하방향에 복수의 스페이서(240)가 형성되며, 차단기가 설치될 수 있도록 스페이서(240) 하방향에 위치되어 돌출부(220) 일측에 차단기설치부(250)가 복수로 구성된다.
상기 차단기설치부(250)는 고정패널(210)에 차단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251)을 형성하고, 안착홈(251)의 상부 쪽에는 차단기의 일측이 고정되도록 제1걸림돌기(253)를 갖는 차단기결합돌기(252)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안착홈(251)의 하부 쪽에는 차단기 일측에 걸려지도록 제2걸림돌기(254)를 형성하고, 상기 제1걸림돌기(253)와 제2걸림돌기(254)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차단기의 각 측면에 결합하여 차단기가 안착홈(251)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덮개(300)는 계량기함체(100)의 전면 형상과 동일하게 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사각형 형상의 하부에는 단턱(110)에 형성한 걸림홈(120)에 걸려질 수 있도록 하부에 걸림돌기(310)를 복수로 형성한다.
상기 덮개(300)를 설치할 때에는 상기 걸림돌기(310)가 걸림홈(120)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덮개(300)를 단턱(110)이 형성된 부분으로 밀착시켜 하기에서 설명할 원터치잠금장치(340)를 통해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덮개(300)에는 부품고정대(200)에 설치되는 계량기의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복수의 투명창(320)을 형성하며, 투명창(320)에는 계량기에 적힌 숫자를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확대렌즈(321)가 형성되고, 계량기함체(100) 내측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복수의 환기구(330)가 설치되며, 상기 투명창(320)과 환기구(330) 사이에는 덮개(300)가 계량기함체(100) 전면에 고정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원터치로 작동하는 원터치잠금장치(34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계량기 박스에 부품들을 실장하고, 계량기함체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부품고정대(200)에 계량기함체(100) 내측에 실장 할 부품들을 설치한다. 이때 부품고정대(200)의 상부 쪽에는 덮개(300)의 투명창(320)과 대응되도록 계량기를 설치하며, 상기 투명창(320)을 통해 계량기를 검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계량기는 최대 2개까지 설치할 수 있는데, 이는 계단식으로 이루어진 아파트의 경우 계량기를 실내공간에 설치하지 않고 외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계량기의 교체 및 점검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세대구성이 많은 경우에는 본 발명의 계량기박스의 크기가 큰 것을 설치하여 다수의 계량기, 통신단자, 차단기 등의 개수를 늘려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계량기를 설치한 상태에서 고정패널(210) 중간 부분에 형성한 스페이서(240)에는 통신단자가 고정되는 체결부재(미부호)를 나사로 고정하고, 고정된 체결부재에 통신단자를 결합한다.
상기 통신단자는 검침원이 계량기를 일일이 확인하면서 사용량을 검침하지 않고 원격으로 계량기를 검침할 수 있도록 실내에 설치된 홈오토메이션과 연결하거나 또는 별도의 지그비(Zigbee) 통신 가능한 컨트롤러와 연결한다.
그리고 차단기설치부(250)에는 차단기를 설치하는데, 이때 차단기는 고정패널(210)이 형성된 안착홈(251)으로 차단기 일측을 먼저, 안착시켜 차단기결합돌기(252)에 형성한 제1걸림돌기(253)에 결합되게 한다.
상기 차단기의 일측을 제1걸림돌기(253)에 결합한 상태에서 안착홈(251)에 차단기의 완전하게 시키고,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2결림돌기(254)가 형성된 부분으로 차단기를 이동시켜 결합되도록 하여 안착홈(251)에 고정되게 한다.
상기 제1걸림돌기(253)와 제2검림돌기(254)가 차단기의 각 측면에 결합되어 있어 차단기를 제1걸림돌기(253)가 형성된 부분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한 차단기는 안착홈(251)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차단기를 별도의 나사 또는 볼트를 통해 고정하지 않고 제1걸림돌기(253)와 제2걸림돌기(254)에 의해 차단기가 고정되므로 차단기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은 물론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지 않아도 설치가 편리해진다.
상기의 부품들을 단수 또는 복수로 설치하는 것은 설치되는 현장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품고정대(200)에 계량기, 통신단자 및 차단기 등을 포함하는 부품들을 설치한 상태에서 각 부품에 전선을 연결한다.
상기 부품고정대(200)에 계량기, 통신단자 및 차단기 등을 포함하는 부품들을 설치하고, 전선을 연결한 상태에서 고정패널(210) 사이에 형성한 둘출부(220)를 작업자가 잡고 계량기함체(100) 내측으로 인입시켜 복수의 지지대(140)에 고정패널(210)이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계량기함체(100)에 부품고정대(200)를 인입시키기 전에 부품들에 연결한 전선을 먼저 전선입출부재(160)의 측면 쪽으로 인입시켜 전선입출공(151)으로 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부품고정대(200)를 계량기함체(100) 내측에 인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품고정대(200)를 지지대(140)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지지대(140)에 형성한 체결공(미도시)에 고정돌기(211)의 고정공(미부호)이 위치되도록 서로 맞춘 상태에서 나사를 이용하여 부품고정대(200)를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계량기함체(100) 내측에 부품고정대(200)를 설치한 상태에서 계량기함체(100)를 설치하는데, 이때 계량기함체(100)를 두 가지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계량기함체(100)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부품고정대(200)를 지지대(140)에 고정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전선입출부재(160)를 통해 전선입출공(151)으로 인출시킨 전선과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메인전선 또는 통신단자에 설치한 전선을 다른 통신전선과 연결되도록 하는 과정은 계량기함체(100)를 고정하기 전 또는 고정한 후에 수행한다.
하기에서 계량기함체(100)를 설치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상기 전선을 다른 메인전선 또는 다른 통신전선과 연결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첫 번째 고정은 계량기함체(100)를 건물의 벽면에 매립되도록 설치하는 방식이다. 상기 계량기함체(100)를 벽면에 매립시키기 전에 부품들과 연결된 전선을 다른 메인전원선 및 다른 통신전선들과 연결한다.
상기 벽면에 매립된 상태에서 계량기함체(100)의 배면판(130)에 설치한 고정부재(170)를 통해 계량기함체(100)가 고정되도록 하는데, 이때 제1고정편(176)과 제2고정편(177)에 나사가 결합되도록 하고, 나사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고정편(176)과 제2고정편(177)을 제1레일부재(172)와 제2레일부재(174) 각각에 형성한 제1결합홈(173)과 제2결합홈(175)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벽면에 설치한 다른 부재들의 측면에 제2고정편(177)의 일측이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피스로 고정한다.
두 번째는 계량기함체(100)를 H현강과 같은 설치부재(400)에 고정하는 방식이다.
상기 설치부재(400)에 고정하는 과정을 보면, 상기 계량기박스의 설치 위치를 먼저, 설정한 상태에서 제1레일부재(172)와 제2레일부재(174)에 설치한 제1고정편(176)과 제2고정편(177)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때 피스 등을 이용하여 제1고정편(176)과 제2고정편(177) 같이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한다.
상기 제1고정편(176)과 제2고정편(177)의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설치부재 일측에 계량기박스의 배면판(130)이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피스에 의해 결합된 제1고정편(176)과 제2고정편(177)을 이동시켜 설치부재(400)의 측면에 제2고정편(177)의 일측이 걸리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2고정편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설치부재(400)에 별도의 구멍(미도시)을 형성하고, 그 구명에 나사를 형성하여 제1고정편(176)에 결합되는 피스와 직접 결합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설치부재(400) 측면에 건축물의 벽면에 매립된 상태에서 표면만 노출된 상태에서는 제2고정편(177)의 절곡된 부분이 걸려질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는 상기와 같이 설치부재(400)에 나사가 형성되는 구멍을 형성하여 제1고정편(176)에 결합한 피스가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벽면에 설치된 복수의 설치부재(400)의 사이의 거리가 본 발명의 계량기박스보다 약간 큰 경우 일자 형태로 형성한 제2고정편(177)으로 교환하고, 교환한 제2고정편(177)에 의해 설치부재(400)에 걸려지도록 한 상태에서 피스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고정판(176) 만을 이용한 고정 또는 제1고정(176)과 제2고정판(177)에 의한 고정 또는 제1고정판(176)과 다른 형태의 제2고정판(177)에 의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계량기박스가 설치되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 맞춰 설치하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계량기함체(100)가 설치되는 위치 또는 장소에 따라 그 고정 방식을 달리할 수 있으므로 공사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미리 제조업체에서 판단하여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므로 계량기함체(100)를 설치하는 작업시간 및 설치과정이 단순화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계량기함체 110: 단턱
120: 걸림홈 130: 배면판
140: 지지대 150: 배선부재
151: 전선입출공 160: 전선입출부재
170: 고정부재 171: 설치공
172: 제1레일부재 173: 제1결합홈
174: 제2레일부재 175: 제2결합홈
176: 제1고정편 177: 제2고정편
200: 부품고정대 210; 고정패널
211: 고정돌기 220: 돌출부
230: 계량기설치부 240: 스페이서
250: 차단기설치부 251: 안착홈
252: 차단기결합돌기 253: 제1걸림돌기
254: 제2걸림돌기 300: 덮개
310: 걸림돌기 320: 투명창
330: 환기구 340: 원터치잠금장치
400: 설치부재

Claims (6)

  1. 계량기 박스에 있어서,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를 포함하는 부품들을 실장 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을 가지며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부품고정대(200)가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대(140)와, 전선이 고정되는 복수의 배선부재(150)와, 나사 또는 볼트의 위치를 가변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고정부재(170)가 형성되는 계량기함체(100)와;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를 포함하는 부품들이 설치되어 계량기함체(100) 내측에 고정되는 부품고정대(200)와;
    계량기함체(100) 전면에 걸려지도록 하부에 형성하는 걸림돌기(310), 전기의 사용량을 확인하는 투명창(320), 계량기함체(10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환기구(330) 및 복수의 원터치잠금장치(340)가 설치되어 계량기함체(100) 전면에 설치되는 덮개(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부품고정대(20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돌기(211)를 가지며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를 포함하는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계량기가 지지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부(220) 일측에 형성하는 복수의 계량기설치부(230)와, 통신단자가 일정 높이로 설치되도록 계량기설치부(230)의 하방향에 위치되어 고정패널(210)에 형성되는 복수의 스페이서(240)와, 차단기가 설치될 수 있도록 스페이서(240) 하방향에 위치되어 돌출부(220) 일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차단기설치부(250)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고정패널(210)과;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를 포함하는 부품들이 설치된 고정패널(210)을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 계량기함체(100) 내측에 설치하거나 또는 고정패널(210)을 견고하게 지지 하도록 고정패널(210)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함체(100)에는
    계량기, 차단기 및 통신단자를 포함하는 부품들이 부품고정대(200)에 설치된 상태에서 배선되는 전선들을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전선입출공(151)의 일측에 전선입출부재(1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70)는,
    나사 또는 볼트를 포함하는 설치부재(400)를 이용해 계량기함체(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배면판(130)에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공(142)과;
    상기 체결공(142)이 형성된 배면판(130)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제1레일부재(172)와 제2레일부재(174)와;
    설치부재(400)와 결합하여 제1레일부재(17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고정편(176)과;
    제1레일부재(172)에 결합한 설치부재(400)와 결합하여 계량기함체(100)가 고정되도록 제2레일부재(174)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고정편(17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박스.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설치부(250)는
    고정패널(210)에 차단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251)을 형성하고,
    안착홈(251)의 상부 쪽에는 차단기의 일측이 고정되도록 제1걸림돌기(253)를 갖는 차단기결합돌기(252)가 형성되며,
    안착홈(251)의 하부 쪽에는 차단기의 일측이 고정되도록 제2걸림돌기(254)를 형성하고,
    상기 제1걸림돌기(253)와 제2걸림돌기(254)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차단기의 측면과 결합하여 안착홈(251)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박스.
KR1020160111028A 2016-08-30 2016-08-30 계량기박스 KR101897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028A KR101897184B1 (ko) 2016-08-30 2016-08-30 계량기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028A KR101897184B1 (ko) 2016-08-30 2016-08-30 계량기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575A KR20180024575A (ko) 2018-03-08
KR101897184B1 true KR101897184B1 (ko) 2018-09-12

Family

ID=6172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028A KR101897184B1 (ko) 2016-08-30 2016-08-30 계량기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1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5398B (zh) * 2018-08-30 2021-08-03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带有换表工装的电能计量用多功能联合接线盒
CN109188337B (zh) * 2018-08-30 2022-03-04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现场校验设备用多功能联合接线盒电压检测开关结构
CN109188336B (zh) * 2018-08-30 2021-08-03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现场校验设备用多功能联合接线盒电流检测开关结构
CN109085400B (zh) * 2018-08-30 2021-09-28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电能计量用多功能联合接线盒用电流检测开关结构
CN109085399B (zh) * 2018-08-30 2021-09-28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电能计量用多功能联合接线盒用电压检测开关结构
CN109085396B (zh) * 2018-08-30 2021-09-17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带有换表工装的电能计量用多功能联合接线盒
CN109085401B (zh) * 2018-08-30 2021-08-03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带有测试工装的电能计量用多功能联合接线盒
CN109085397B (zh) * 2018-08-30 2021-08-06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电能计量用多功能联合接线盒用测试工装结构
CN112582910A (zh) * 2020-11-17 2021-03-30 国网天津市电力公司营销服务中心 一种电力计量箱进出表配线装置
KR102520235B1 (ko) * 2022-03-25 2023-04-11 더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신속한 화재확인이 가능한 전선접속형 154kv 지중송전라인 고정기구
KR102520236B1 (ko) * 2022-03-25 2023-04-12 더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154kv 지중송전선 연결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928B1 (ko) 2011-12-12 2013-07-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자기 펄스 측정용 센서 위치 고정 장치
KR200477699Y1 (ko) * 2014-01-09 2015-07-09 채석 계량기 박스 조립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354A (ko) * 2003-06-02 2004-11-03 남영기전 주식회사 계량기 박스
KR200440703Y1 (ko) 2007-04-30 2008-06-26 박철규 계량기박스 조립체
KR200457588Y1 (ko) * 2008-07-24 2011-12-26 김대규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928B1 (ko) 2011-12-12 2013-07-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자기 펄스 측정용 센서 위치 고정 장치
KR200477699Y1 (ko) * 2014-01-09 2015-07-09 채석 계량기 박스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575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184B1 (ko) 계량기박스
KR200457588Y1 (ko)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계량기함
KR101665018B1 (ko) 정보통신 리모델링용 공동주택 세대단자함 장치
JP5300660B2 (ja) 壁掛け型空気調和装置
US20040149475A1 (en) Cable entry box
KR101375798B1 (ko) 전기계량기함 및 그 설치방법
US20090071180A1 (en) Window air conditioner support platform
KR101852780B1 (ko) 정보통신 리모델링용 공동주택 세대단자함장치
US20120211275A1 (en) System for fitt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lighting elements
CN113015357A (zh) 箱体以及具有所述箱体的户外设备
US6624534B1 (en) Optional meter panel utilizing a current transformer, for use with a transfer switch
KR102225871B1 (ko) 건축물 외부설치형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구조
CN210469596U (zh) 通信装置组件和空调机系统
CN210480504U (zh) 电梯控制柜
KR101171700B1 (ko) 케이블 트레이용 전기 계량기함 설치방법
CN217656263U (zh) 一种配电箱用便于调整的安装架
CN106522549B (zh) 定型化装配式门禁系统
CN218632967U (zh) 一种多安装形式电力机箱
CN215645449U (zh) 一种用于变电站建设的整体框架式模块化二次设备
CN219199351U (zh) 电器盒、换热器及空调
CN217135935U (zh) 用于5g基站的电源装置
JP4207563B2 (ja) 壁パネル用配線システム
CN220421137U (zh) 一种便于排线的户外配电箱
CN214069787U (zh) 一体式驱动电源
US20240090143A1 (en) Tamper-resistant enclosure coup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