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141B1 - 코크스 오븐용 도어 - Google Patents

코크스 오븐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141B1
KR101897141B1 KR1020170083280A KR20170083280A KR101897141B1 KR 101897141 B1 KR101897141 B1 KR 101897141B1 KR 1020170083280 A KR1020170083280 A KR 1020170083280A KR 20170083280 A KR20170083280 A KR 20170083280A KR 101897141 B1 KR101897141 B1 KR 101897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frame
disposed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83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1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5/00Doors or closures for coke ovens
    • C10B25/02Doors; Door fra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5/00Doors or closures for coke ovens
    • C10B25/02Doors; Door frames
    • C10B25/08Closing and opening the do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는 탄화실 입구를 따라 배치되는 오븐 프레임; 상기 오븐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 프레임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 플레이트; 및 상기 구획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된 상기 도어 프레임의 각각의 영역에 배치되어 개폐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크스 오븐용 도어{DOOR FOR COKE OVEN}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입구에 적용되는 코크스 오븐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오븐(coke oven)은 유연탄을 장입한 후에 유연탄을 건류 시킨 코크스를 제조한다. 코크스 오븐에서 건류된 코크스는 용광로의 연료로 이용된다.
이와 같은 코크스 오븐은 유연탄을 건류시키기 위한 탄화실이 구비된다. 탄화실은 입구는 코크스 오븐용 도어를 통해 폐쇄된다.
한편, 코크스 오븐은 탄화실에서 유연탄을 건류하여 코크스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탄화수소(HC) 계열의 코크스 오븐 가스(COG)가 생성된다. 코크스 오븐 가스는 열분해에 의해 카본과 타르의 고착물이 생성된다. 고착물은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내부에 침착되어 탄화실 내부 손상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탄화실을 내부의 고착물을 제거하고 탄화실을 보수하기 위하여 도어 익스트렉터(DOOR EXTRACTOR)가 코크스 오븐용 도어를 분리하여 탄화실 입구를 개방한다.
이때, 탄화실 입구가 분리되며, 외기가 탄화실 내부로 유입되어 탄화실 온도가 하강하게 된다. 이에 탄화실 입구는 내화재 블록을 통해서 탄화실 입구를 부분적으로 폐쇄하고, 탄화실의 보수가 필요한 부분만을 개방하여 보수 장비를 사용하여 탄화실을 보수한다. 그리고 내화재 블록은 탄화실 입구에서 탈락되지 않게 턴버클을 통해 내화재 블럭을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탄화실을 보수 시에는 탄화실 내부의 방산열에 의해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화재 블록을 통해 탄화실 입구를 폐쇄하더라도 폐쇄 분분에서 기밀성이 저하되어 탄화실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어 탄화실 내부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탄화실을 보수하기 위하여, 도어 프레임을 탄화실 입구에서 분리한 후 탄화실 보수가 완료 시에는 도어 프레임을 탄화실에 재설치 해야 함으로 보수 작업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10-065177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탄화실의 보수 작업 시 코크스 오븐용 도어를 탄화실 입구에서 분리하지 않고 보수 작업을 실시하여 탄화실 내부로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며, 탄화실의 손상된 부분에 대응되는 탄화실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보수함으로 탄화실 보수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코크스 오븐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는 탄화실 입구를 따라 배치되는 오븐 프레임; 상기 오븐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 프레임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 플레이트; 및 상기 구획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된 상기 도어 프레임의 각각의 영역에 배치되어 개폐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오븐 프레임의 측벽에는 서로 마주하는 체결 브라켓이 배치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체결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을 착탈 시키는 레치부가 상기 체결 브라켓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브라켓은 오븐 프레임에 상호 이격되게 오븐 프레임의 측벽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며, 상기 레치부는 체결 브라켓에 대응되게 상기 도어 프레임에 복수 개가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레치부는 커넥팅 로드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일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 로드를 구비하는 회동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 블록은 상기 도어 프레임의 각각의 영역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을 형성하는 결합 블록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각각의 영역에서 양측으로 배치되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의 내측에는 내화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거치바가 상기 도어 프레임의 횡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바의 양단에는 상기 도어 프레임 양측에서 상기 거치바를 탈부착 시킬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탈부착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의 외측에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각각의 영역에서 배치된 도어를 고정 시키는 도어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탄화실을 보수 시 도어 프레임을 탄화실 입구에서 분리하지 않고 탄화실의 보수 작업이 가능하여 탄화실 보수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어 프레임은 탄화실 입구에서 설치된 상태로 탄화실의 보수가 가능함으로 탄화실 내부의 방산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어 프레임은 탄화실 입구에서 구획된 복수 개의 도어 구조로 이루어져, 탄화실의 손상된 부분에 대응되는 도어를 개방함으로 탄화실의 손상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보수가 가능하여, 탄화실의 보수 시 외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가 탄화실 입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에 도어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에 있어서, 도어에 내화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가 탄화실 입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에 도어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에 있어서, 도어에 내화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코크스 오븐용 도어(1)는 코크스 오븐(2)의 탄화실에 장입된 유연탄을 건류 시킬 때 탄화실 입구(3)를 폐쇄하여, 탄화실로 유입되는 외기를 차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코크스 오븐용 도어(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 프레임(10), 도어 프레임(20), 구획 플레이트(30) 및 도어(40)를 포함한다.
오븐 프레임(10)은 탄화실 입구(3)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오븐 프레임(10)은 탄화실 입구(3)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오븐 프레임(10)의 측벽에는 서로 마주하는 체결 브라켓(11)이 배치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20)은 오븐 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도어 프레임(20)은 오븐 프레임(10)의 내측 테두리에 착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 프레임(20)에는 체결 브라켓(11)에 결합되어 도어 프레임(20)을 오븐 프레임(10)에 착탈 시키는 레치부(21)가 체결 브라켓(11)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브라켓(11)은 오븐 프레임(10)에 상호 이격되게 오븐 프레임(10)의 측벽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레치부(21)는 체결 브라켓(11) 대응되게 도어 프레임(20)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레치부(21)는 케넥팅 로드(22)를 통해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즉, 레치부(21)는 케넥팅 로드(22)에 의해 상호 연동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어 프레임(20)은 고중량의 구조물로 별도의 도어 익스트렉터(DOOR EXTRACTOR)(미도시)를 통해서 오븐 프레임(10)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익스트렉터(미도시)는 레치부(21)를 회전 시켜 복수 개의 체결 브라켓(11)에 레치부(21)를 체결 시켜 도어 프레임(20)을 오븐 프레임(10)에 체결 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어 프레임(20)은 내측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구획 플레이트(30)는 도어 프레임(20)에 하나 이상이 배치되어 도어 프레임(20)을 구획할 수 있다.
즉, 구획 플레이트(30)는 도어 프레임(20)에 복수개가 배치되어 도어 프레임(20)을 복수 개의 영역(23)로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40)는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 플레이트(30)에 의해 구획된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40)는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을 개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40)는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40)는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 로드(43)를 구비하는 회동 블록(4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동 블록(42)은 도어(40)의 일측면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회동 블록(42)은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의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25)을 형성하는 결합 블록(24)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블록(24)은 회동 블록(42)과 대응되게 도어 프레임(20)의 일측면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어(40)는 회동 블록(42)에 구비된 결합 로드(43)가 결합 블록(24)의 결합홀(25)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40)는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도어(40)는 회동 블록(42)에 구비된 결합 로드(43)가 결합 블록(24)의 결합홀(25)에 결합되어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어(4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에서 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도어(40)는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을 일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도어(40)는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에서 양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도어(40)는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을 양문으로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40)의 내측에는 내화재(R)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40)의 내측에는 안착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부(41)는 도어(40)의 내측에 각각 형성되어, 내화재(R)가 도어(4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내화재(R)는 안착부(41)에 삽입된 상태로 별도의 결합 수단(70)을 통해서 도어(4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수단(70)은 볼트와 너트의 결합으로 내화재(R)를 도어(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어(40)의 외측에는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에 배치된 도어(40)를 고정 시키는 도어 고정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고정부(50)는 걸림바(51), 조절 손잡이(53) 및 유동 방지턱(52)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바(51)는 도어(40)가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에 서 일 방향으로 배치 시 도어(40)의 외측에서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바(51)의 타측은 도어 프레임(20) 측으로 접촉되며 회동 될 수 있다. 유동 방지턱(52)은 도어(40)의 외측과 도어 프레임(20)에 각각 배치되어, 걸림바(51)의 일단과 타단의 하면을 각각 지지하여 걸림바(5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조절 손잡이(53)는 걸림바(51)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걸림바(51)는 도어(40)가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에서 양방향으로 배치 시 도어 프레임(20)의 일측면에 배치된 도어(40)의 외측에서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바(51)의 타측은 도어 프레임(20) 타측면에 배치된 도어(40)에 접촉되며 회동 될 수 있다. 유동 방지턱(52)은 도어 프레임(20)의 일측면에 배치된 도어(40)와 도어 프레임(20)의 타측면에 배치된 도어(40)에 각각 배치되어, 걸림바(51)의 일단과 타단의 하면을 각각 지지하여 걸림바(5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조절 손잡이(53)는 걸림바(51)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프레임(20)에는 탄화실을 보수하는 보수 장비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바(60) 도어 프레임(20)의 횡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거치바(60)는 도어 프레임(20)에서 탈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거치바(60)의 양단에는 도어 프레임(20) 양측에서 거치바(60)를 탈부착 시킬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탈부착 플레이트(6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코크스 오븐용 도어(1)는 탄화실 입구(3)에 설치된 상태로 탄화실을 보수 시 구획 플레이트(30)에 의해 구획된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에서 도어(40)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탄화실의 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8은 도1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인 코크스 오븐용 도어(1)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 프레임(20)은 도어 익스트렉터에 의해서 오븐 프레임(10)에 체결될 수 있다. 즉, 도어 프레임(20)은 도어 익스트렉터(미도시)를 통해서 오븐 프레임(10)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익스트렉터(미도시)는 레치부(21)를 회전 시켜 체결 브라켓(11)에 레치부(21)를 체결 시켜 도어 프레임(20)을 오븐 프레임(10)에 결합 시킬 수 있다.
한편, 탄화실 내부는 유연탄을 건류 시키면서 발생하는 카본과 타르의 고착물에 의해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탄화실의 손상된 부분에 맞춰 구획 플레이트(30)에 의해 구획된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에서 도어(40)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즉, 도어(40)는 구획 플레이트(30)에 의해 구획된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에 각각 배치되어, 탄화실의 손상된 부분에 대응하여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에서 도어(40)를 부분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보수 장비를 이용하여,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에서 부분적으로 개방된 도어(40)를 통해서 탄화실 내부를 보수할 수 있다. 이때, 거치바(60)는 탈부착 플레이트(61)를 통해서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에서 개방된 도어(40) 측에 위치시켜 고정할 수 있다. 그런 후 작업자는 보수 장비를 거치바(60)에 거치할 수 있다. 한편, 탄화실의 보수가 완료된 후에는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을 폐쇄할 수 있다. 이때, 도어(40)는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에서 회동되어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을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40)는 도어 고정부(50)를 통해서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에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탄화실의 또 다른 부분에 보수 가 필요시에는 탄화실의 보수 위치에 대응되는 도어(40)를 선택하여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을 부분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바(60)는 도어 프레임(20)의 각각의 영역(23)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개방 위치에 부착 시켜 보수 장비를 거치시킬 수 있다.
지금 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1)는 탄화실을 보수 시 도어 프레임(20)을 탄화실 입구(3)에서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탄화실의 보수 작업이 가능하여 탄화실 보수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어 프레임(20)은 탄화실 입구에서 설치된 상태로 탄화실의 보수가 가능함으로 탄화실 내부의 방산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어 프레임(20)에는 탄화실 입구(3)에서 구획된 복수 개의 도어 구조로 이루어져, 탄화실의 손상된 부분에 대응되는 도어만 개폐함으로 탄화실의 손상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보수가 가능하며, 탄화실의 보수 시 외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코크스 오븐용 도어 2: 코크스 오븐
3: 탄화실 입구 10: 오븐 프레임
11: 체결 브라켓 20: 도어 프레임
21: 레치부 22: 커넥팅 로드
23: 영역 24: 결합 블록
25: 결합홀 30: 구획 플레이트
40: 도어 41: 안착부
42: 회동 블록 43: 결합 로드
50: 도어 고정부 51: 걸림바
52: 유동 방지턱 53: 조절 손잡이
60: 거치바 61: 탈부착 플레이트
70: 결합 수단 R: 내화재

Claims (9)

  1. 탄화실 입구를 따라 배치되는 오븐 프레임;
    상기 오븐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 프레임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 플레이트; 및
    상기 구획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된 상기 도어 프레임의 각각의 영역에 배치되어 개폐되는 도어;
    를 포함하고,
    상기 오븐 프레임의 측벽에는 서로 마주하는 체결 브라켓이 배치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체결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을 착탈 시키는 레치부가 상기 체결 브라켓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코크스 오븐용 도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브라켓은 오븐 프레임에 상호 이격되게 오븐 프레임의 측벽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며,
    상기 레치부는 체결 브라켓에 대응되게 상기 도어 프레임에 복수 개가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레치부는 커넥팅 로드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코크스 오븐용 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일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 로드를 구비하는 회동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 블록은 상기 도어 프레임의 각각의 영역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을 형성하는 결합 블록에 결합되는 코크스 오븐용 도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각각의 영역에서 양측으로 배치되어 개폐되는 코크스 오븐용 도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측에는
    내화재가 결합되는 코크스 오븐용 도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거치바가 상기 도어 프레임의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코크스 오븐용 도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바의 양단에는
    상기 도어 프레임 양측에서 상기 거치바를 탈부착 시킬 수 있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탈부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코크스 오븐용 도어.
  9.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외측에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각각의 영역에서 배치된 도어를 고정 시키는 도어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코크스 오븐용 도어.
KR1020170083280A 2017-06-30 2017-06-30 코크스 오븐용 도어 KR101897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280A KR101897141B1 (ko) 2017-06-30 2017-06-30 코크스 오븐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280A KR101897141B1 (ko) 2017-06-30 2017-06-30 코크스 오븐용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141B1 true KR101897141B1 (ko) 2018-09-10

Family

ID=63594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280A KR101897141B1 (ko) 2017-06-30 2017-06-30 코크스 오븐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1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776A (ko) * 2021-03-24 2022-10-04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오븐용 도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773B1 (ko) 2005-12-08 2006-12-01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 도어의 탈락 방지 장치
KR101443106B1 (ko) * 2013-04-29 2014-09-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오븐용 도어장치
KR20150019050A (ko) * 2013-08-12 2015-02-25 주식회사 포스코 도어 어셈블리
KR20150063676A (ko) * 2013-12-02 2015-06-10 주식회사 태을성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단열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773B1 (ko) 2005-12-08 2006-12-01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 도어의 탈락 방지 장치
KR101443106B1 (ko) * 2013-04-29 2014-09-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오븐용 도어장치
KR20150019050A (ko) * 2013-08-12 2015-02-25 주식회사 포스코 도어 어셈블리
KR20150063676A (ko) * 2013-12-02 2015-06-10 주식회사 태을성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단열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776A (ko) * 2021-03-24 2022-10-04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오븐용 도어 장치
KR102515767B1 (ko) 2021-03-24 2023-03-29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오븐용 도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189B1 (ko) 코크스 오븐용 도어
KR101495436B1 (ko) 가스 포집관용 댐퍼장치
KR101421805B1 (ko) 코크스 오븐 상승관 내화물 형성기구
CN101878281B (zh) 用于可自动化地闭锁水平焦炉室的门、门体或者门框的机构
US4217177A (en) Vented coke oven door apparatus
KR101897141B1 (ko) 코크스 오븐용 도어
US3889654A (en) Self-locking oven door hinge
JP2011505477A (ja) コークス炉団の耐火性の炉ドアおよび耐火性の炉ドア取囲み壁
KR20150063676A (ko)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단열판
KR100651773B1 (ko) 코크스 오븐 도어의 탈락 방지 장치
KR101142497B1 (ko) 코크스 오븐 도어 지지장치
KR200177965Y1 (ko) 코크스오븐의 탄화실도어 장착 및 탈착장치
KR101535544B1 (ko) 도어 어셈블리
KR101289144B1 (ko) 코크스 오븐 도어장치
CN208927877U (zh) 一种具有滤板快换结构的vocs净化设备
JP4060995B2 (ja) コークス炉用の炉蓋
KR101027221B1 (ko) 코크스 오븐의 상승관 댐퍼 조작장치
KR101443106B1 (ko) 코크스오븐용 도어장치
KR101833403B1 (ko) 플랫폼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문 및 비상문 교체방법
KR101166241B1 (ko) 코크스 오븐 도어
CN205616917U (zh) 一种转炉滑板法挡渣出钢装置
CN216361398U (zh) 一种节能燃烧炉排气结构
KR101660775B1 (ko) 도어장치
SU384855A1 (ru) Дверь-перемычка для ремонта кладки простенков коксовых печей
CN218846890U (zh) 电石炉气动炉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