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761B1 - 프라모델용 전사지 - Google Patents

프라모델용 전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761B1
KR101896761B1 KR1020160074860A KR20160074860A KR101896761B1 KR 101896761 B1 KR101896761 B1 KR 101896761B1 KR 1020160074860 A KR1020160074860 A KR 1020160074860A KR 20160074860 A KR20160074860 A KR 20160074860A KR 101896761 B1 KR101896761 B1 KR 101896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coating layer
water
transfer film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1884A (ko
Inventor
김정탁
Original Assignee
김정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탁 filed Critical 김정탁
Priority to KR1020160074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761B1/ko
Publication of KR20170141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next to another layer of paper or cardboar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Landscapes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라모델용 전사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부품으로 조립된 프라모델의 데칼작업에 사용되는 전사지의 상면에 상기 각각의 프라모델 부품에 해당하는 전사필름을 선택적으로 탈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컷팅부를 형성하여 프라모델의 데칼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프라모델용 전사지에 관한 것으로서, 전사지의 수용성대지 상면에 전사필름을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도록 다수개로 형성하고, 상기 수용성대지의 상면에 상기 각각의 전사필름의 둘레보다 큰 둘레로 컷팅된 컷팅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프라모델의 데칼작업 시에 프라모델의 각각의 부품에 해당하는 문양 또는 텍스트가 인쇄된 전사필름이 형성된 수용성대지를 선택적으로 탈거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가위 또는 칼을 사용하여 일일이 프라모델 부품에 해당하는 전사필름을 컷팅하지 않아도 되어 다수의 부품으로 조립된 프라모델의 데칼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라 하겠다.

Description

프라모델용 전사지{Plastic model transfer paper}
본 발명은 프라모델용 전사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부품으로 조립된 프라모델의 데칼작업에 사용되는 전사지의 상면에 상기 각각의 프라모델 부품에 해당하는 전사필름을 선택적으로 탈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컷팅부를 형성하여 프라모델의 데칼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프라모델용 전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라모델은 플라스틱 모델(모형)의 줄임말로, 사물을 일정 비율별로 축소한 제품과 건담 프라모델 제품으로 나뉘며, 대부분의 제품이 조립과 도색을 필요로 하며, 실제 사물에서부터 건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있다.
한편, 상기한 프라모델의 외형을 꾸미고자 모형의 표면에 데칼(스티커)을 접착 또는 부착시키는 데칼작업을 시행하고 있는데, 상기한 데칼작업에 사용되는 데칼의 종류는 물전사지를 이용하여 문양 또는 텍스트가 인쇄된 필름을 물전사지로부터 박리시켜 모형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습식데칼과, 판박이스티커와 같이 문양 또는 텍스트를 모형의 표면에 긁어서 전사(轉寫)시키는 건식데칼과, 일반적인 접착제가 구비된 스티커를 모형의 표면에 접착시키는 스티커씰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건식데칼을 이용한 데칼작업은 다양한 문양 또는 텍스트가 인쇄된 필름을 가위로 자른 뒤 모형의 표면에 부착한 뒤, 문양 또는 텍스트가 인쇄되지 않은 필름의 외측을 도구로 긁어서 문양 또는 텍스트를 모형의 표면에 전사(轉寫)시키나, 이러한 건식데칼은 사용자가 일일이 필름의 외측을 도구로 긁어야 되고, 데칼작업이 능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은 문양 또는 텍스트가 모형의 표면에서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쏠리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수정이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프라모델 데칼작업이 능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은 데칼작업을 하고자하는 부품에 해당하는 문양 또는 텍스트가 인쇄된 전사대지의 일부분을 가위나 칼로 컷팅한 후, 컷팅된 전사대지를 물에 적셔 문양 또는 텍스트가 인쇄된 필름을 전사대지로부터 박리시켜 해당 부품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 및 수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습식데칼을 사용하고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10-0424089호(특) 전사대지와; 상기 전사대지의 상면에 형성된 백색 베이스 코팅층, 상기 백색 베이스 코팅층의 상면에 형성된 인쇄층, 상기 인쇄층의 상면에 소정 두께로 형성된 투명 코팅층을 포함하는 전사필름과; 상기 투명 코팅층의 상면에 상기 투명 코팅층보다 후박한 두께를 갖도록 임시 코팅된 박리 코팅층과; 상기 전사대지와 상기 백색 베이스 코팅층이 박리되도록 상기 전사대지의 상면과 상기 전사필름의 백색 베이스 코팅층의 밑면 사이에 형성된 수용성 풀층을 포함하는 물전사인쇄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전사필름의 박막을 얇게 만들어 인쇄품질을 극대화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다수의 부품으로 조립된 프라모델 각각의 부품에 전사되는 전사필름이 컷팅 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직접 일일이 칼 또는 가위를 이용하여 각각의 부품에 해당하는 문양 또는 텍스트가 인쇄된 인쇄층을 컷팅하여 사용해야 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수용성대지의 상면에 전사필름을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도록 다수개로 형성하고, 상기 수용성대지의 상면에 상기 각각의 전사필름의 둘레보다 큰 둘레로 컷팅된 컷팅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프라모델의 데칼작업 시, 다수개의 부품으로 조립된 프라모델의 각각의 부품에 해당하는 문양 또는 텍스트가 인쇄된 전사필름을 일일이 칼 또는 가위로 컷팅해야 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는 프라모델용 전사지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사대지(100); 상기 전사대지(100)의 상면에 구성되는 수용성대지(200); 상기 수용성대지(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 1코팅층(310)과, 상기 제 1코팅층(310)의 상면에 문양 또는 텍스트가 인쇄되는 인쇄층(320)과, 상기 인쇄층(3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 2코팅층(330)으로 구성되는 전사필름(300); 으로 구성된 전사지(10)에 있어서, 상기 전사필름(300)은 상기 수용성대지(200)의 상면에 상호 0.5mm ~ 1.5mm의 간격으로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성대지(200)의 상면에는 상기 각각의 전사필름(300)의 둘레보다 큰 둘레로 컷팅되는 컷팅부(210)가 형성되되, 상기 컷팅부(210)는 상기 전사대지(100)의 상면에 구성되는 수용성대지(200)만이 컷팅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사필름(300)의 둘레로부터 외측방향으로 0.3 ~ 0.5mm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사필름(300)의 일 측에는 선택적으로 절개가 가능한 절개부(5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모델용 전사지를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라모델용 전사지에 의하면, 프라모델의 각각의 부품에 해당하는 문양 또는 텍스트가 인쇄된 전사필름이 형성된 수용성대지를 선택적으로 탈거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가위 또는 칼을 사용하여 일일이 프라모델 부품에 해당하는 전사필름을 컷팅하지 않아도 되어 다수의 부품으로 조립된 프라모델의 데칼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본 발명은 다수개의 부품으로 조립된 프라모델의 데칼작업에 사용되는 전사지의 상면에 상기 각각의 프라모델 부품에 해당하는 전사필름을 선택적으로 탈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컷팅부를 형성하여 프라모델의 데칼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프라모델용 전사지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전사대지(100); 상기 전사대지(100)의 상면에 구성되는 수용성대지(200); 상기 수용성대지(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 1코팅층(310)과, 상기 제 1코팅층(310)의 상면에 문양 또는 텍스트가 인쇄되는 인쇄층(320)과, 상기 인쇄층(3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 2코팅층(330)으로 구성되는 전사필름(300); 으로 구성된 전사지(10)에 있어서, 상기 전사필름(300)은 상기 수용성대지(200)의 상면에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성대지(200)의 상면에는 상기 각각의 전사필름(300)의 둘레보다 큰 둘레로 컷팅된 컷팅부(210)가 형성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전사지(10)는 전사대지(100)와, 수용성대지(200), 전사필름(300)으로 대분 구성된다.
상기 전사대지(100)는 상면에 수용성대지(200)가 부착되며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수용성대지(200)는 상면에 전사필름(300)이 부착되며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성대지(200)를 물에 적시면 상면에 부착되며 형성된 전사필름(300)이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사필름(300)은 제 1코팅층(310), 인쇄층(320), 제 2코팅층(33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 1코팅층(310)은 상기 수용성대지(20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인쇄층(320)은 상기 제 1코팅층(310)의 상면에 문양 또는 텍스트가 인쇄되며 형성되며, 상기 제 2코팅층(330)은 상기 인쇄층(320)의 상면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코팅층(310) 및 제 2코팅층(330)은 상기 문양 또는 텍스트가 인쇄되며 형성된 인쇄층(320)을 상, 하부에서 물이나 기타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일반적인 전사지(10)는 다수개의 부품으로 조립된 프라모델의 각 부품 표면에 부착하여 외형을 꾸미는 데칼작업에 사용되고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전사지(10)를 이용하여 프라모델의 각 부품에 해당하는 문양 또는 텍스트가 인쇄된 전사지(10)의 일부분을 가위나 칼로 컷팅한 후, 컷팅된 전사지(10)를 물에 적셔 문양 또는 텍스트가 인쇄된 전사필름(300)을 수용성대지(200)로부터 박리시켜 해당 부품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량의 부품으로 조립된 프라모델 각각의 부품에 부착되는 다양한 문양 또는 텍스트가 인쇄된 전사필름이 각각 개별적으로 컷팅 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직접 칼 또는 가위를 이용하여 각각의 부품에 해당하는 문양 또는 텍스트가 인쇄된 전사필름 부분을 컷팅하여 사용해야 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대량의 부품에 해당하는 문양 또는 텍스트가 인쇄된 대량의 전사필름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컷팅해야 됨에 따라 데칼작업의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그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전사지(10)에 있어서,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사필름(300)은 상기 수용성대지(200)의 상면에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코팅층(310), 인쇄층(320), 제 2코팅층(330)으로 구성된 전사필름(300)은 상기 수용성대지(200)의 상면에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로 형성되는데, 이는 다수의 부품으로 조립된 프라모델의 각각의 부품에 부착되는 다양한 문양 또는 텍스트가 하나의 전사지(10)안에 다양하게 형성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각각의 전사필름(300)이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전사필름(300)이 형성된 전사지(10)의 일부분을 전사지(10)로부터 용이하게 탈거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전사필름(300)은 수용성대지(200)의 상면에 0.5mm ~ 1.5mm의 간격으로 이격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성대지(200)의 상면에는 상기 각각의 전사필름(300)의 둘레보다 큰 둘레로 컷팅된 컷팅부(2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컷팅부(210)는 상기 수용성대지(200)의 상면에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형성된 각각의 전사필름(300)의 외측에 전사필름(300)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가지도록 컷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사필름(300)이 형성된 수용성대지(200)가 상기 컷팅부(210)에 의해 상기 전사대지(100)로부터 선택적으로 탈거가 가능토록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컷팅부(210)는 컷팅부(210)의 둘레가 상기 전사필름(300)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어 전사필름(300)의 사용자의 작업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컷팅부(210)는 상기 전사대지(100)의 상면에 구성된 수용성대지(200)만이 컷팅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사용자가 전사대지(100)로부터 상기 전사필름(300)이 형성된 수용성대지(200)를 탈거할 시, 전사대지(100)의 일부분이 같이 탈거되지 않도록 하여 전사지(10)의 형태가 손상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가위 또는 칼을 사용하여 일일이 프라모델의 각각의 부품에 해당하는 문양 또는 텍스트가 인쇄된 전사지(10)의 전사필름(300) 부분을 컷팅하지 않고, 손쉽게 각 부품에 해당하는 전사필름(300)이 형성된 수용성대지(200)를 탈거시킬 수 있어 다수의 부품으로 조립된 프라모델의 데칼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컷팅부(210)는 상기 전사필름(300)의 둘레에서 외측방향으로 0.3 ~ 0.5mm의 간격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사용자의 작업상에 생길 수 있는 실수로 인해 전사필름(300)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될 수 있는 간격을 확보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사필름(300)은 일 측으로 연장되는 파지부(40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코팅층(310), 인쇄층(320) 및 제 2코팅층(330)으로 구성된 전사필름(300)의 일 측이 외측으로 연장되며 손이나 핀셋과 같은 도구로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부(400)가 형성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전사지(10)로부터 탈거된 전사필름(300)이 형성된 수용성대지(200)를 물에 담그거나 적셔 상기 수용성대지(200)로부터 전사필름(300)을 박리시킬 시, 박리된 얇은 전사필름(300)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사필름(300)의 일 측에는 프라모델 부품의 곡면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절개가 가능한 절개부(50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절개부(500)는 곡면을 가지는 프라모델의 부품에 대해서 상기 수용성대지(200)로부터 박리된 전사필름(300)이 밀착성이 불완전하여 완전히 밀착되지 않는 것을 보완하는 것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전사필름(300)의 일 측에 선택적으로 절개가 가능토록 형성된 절개부를 필요에 따라 절개하여 곡면을 가지는 프라모델의 부품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상기 전사필름(300)과 상기 곡면을 가지는 프라모델 부품간의 생기는 단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500)는 상기 제 1코팅층(310), 인쇄층(320) 및 제 2코팅층(330)으로 구성된 전사필름(300)의 제 1코팅층(310) 및 제 2코팅층(330)의 일 측에 선택적으로 절개가 가능토록 절개부(50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인쇄층(320)의 인쇄된 문양 또는 텍스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프라모델용 전사지(10)의 제조방법을 도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단계별로 설명하면,
① 전사대지구비단계(S100)
상면에 수용성대지(200)가 구성된 전사대지(100)를 구비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수용성대지(200)가 구성된 전사대지(100)는 수용성대지(200)의 상면에 하기될 제 1코팅층(310)이 형성되어 물에 담겨지거나 적셔질 시, 상기 제 1코팅층(310)이 상기 수용성대지(200)로부터 박리될 수 있도록 하는 수용성대지(200)가 상면에 구성된 전사대지(100)를 구비하는 단계이다.
② 제 1코팅층형성단계(S200)
상기 수용성대지(200)의 상면에 제 1코팅층(31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제 1코팅층(310)은 하기될 인쇄층(320)의 하부에 물이나 기타 외부요인이 작용하여 인쇄층(32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용성대지(200)의 상면에 제 1코팅층(31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제 1코팅층(310)은 상기 수용성대지(200)의 상면에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도록 다수개로 형성되며, 상기한 간격은 0.5mm ~ 1.5mm의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개로 형성된 각각의 제 1코팅층(310)의 상면에 하기될 인쇄층형성단계(S300)와, 제 2코팅층형성단계(S400)가 순차적으로 모두 적용되어 인쇄층(320)과, 제 2코팅층(330)이 다수개의 제 1코팅층(310)의 상면에 모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③ 인쇄층형성단계(S300)
상기 제 1코팅층(310)의 상면에 문양 또는 텍스트를 인쇄하여 인쇄층(32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제 1코팅층(310)의 상면에 프라모델의 부품에 해당하는 문양 또는 텍스트를 상기 제 1코팅층(310)에 형성하는 단계이다.
④ 제 2코팅층형성단계(S400)
상기 인쇄층(320)의 상면에 제 2코팅층(33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제 2코팅층(330)은 상기 인쇄층(320)의 상부에 물이나 기타 외부요인이 작용하여 인쇄층(32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인쇄층(320)의 상면에 제 2코팅층(33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제 1코팅층형성단계(S200) 및 제 2코팅층형성단계(S400)에서 제 1코팅층(310) 및 제 2코팅층(330)을 형성할 시, 상기 제 1코팅층(310) 및 제 2코팅층(330)의 일 측을 연장하여 파지부(400)를 형성한다.
즉 , 상기 제 1코팅층(310) 및 제 2코팅층(330)의 일 측을 외측으로 연장하여 손이나 핀셋과 같은 도구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400)를 형성한다.
⑤ 컷팅부형성단계(S500)
상기 수용성대지(200)의 상면에 상기 제 1코팅층(310), 인쇄층(320) 및 제 2코팅층(330)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가지는 컷팅부(21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수용성대지(200)의 상면을 컷팅하여 컷팅부(210)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상면에 수용성대지(200)가 형성된 전사대지(100)의 상부를 제 1코팅층(310), 인쇄층(320) 및 제 2코팅층(330)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가지는 틀이 다수개 구성된 프레스기로 눌러 컷팅하는 톰슨컷팅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톰슨컷팅방법을 사용하면 프라모델의 각각의 부품에 부착되는 제 1코팅층(310), 인쇄층(320) 및 제 2코팅층(330)으로 구성된 전사지(10)의 일부분을 선택적으로 탈거할 수 있어, 종래의 전사지(10)가 프라모델의 부품에 해당하는 부분을 칼 또는 가위로 컷팅하면 전사지(10)의 전체가 컷팅되어 컷팅된 전사지(10)가 손상되거나 프라모델의 부품에 해당하는 부분이 사방으로 흩어지거나 분실되는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⑥ 절개부형성단계(S600)
상기 제 1코팅층(310) 및 제 2코팅층(330)의 일 측을 컷팅하여 선택적으로 절개가 가능한 절개부(50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제 1코팅층(310) 및 제 2코팅층(330)의 일 측을 컷팅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절개가 가능한 절개부(500)를 형성한 후, 상기 절개부(500)를 절개하여 곡면을 가지는 프라모델의 부품에 1코팅층(310) 및 제 2코팅층(330)을 부착할 수 있어 곡면을 가지는 프라모델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라모델용 전사지에 의하면, 프라모델의 각각의 부품에 해당하는 문양 또는 텍스트가 인쇄된 전사필름이 형성된 수용성대지를 선택적으로 탈거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가위 또는 칼을 사용하여 일일이 프라모델 부품에 해당하는 전사필름을 컷팅하지 않아도 되어 다수의 부품으로 조립된 프라모델의 데칼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라 하겠다.
10 : 전사지
100 : 전사대지
200 : 수용성대지 210 : 컷팅부
300 : 전사필름
310 : 제 1코팅층 320 : 인쇄층
330 : 제 2코팅층
400 : 파지부
500 : 절개부
S100 : 전사대지구비단계
S200 : 제 1코팅층형성단계
S300 : 인쇄층형성단계
S400 : 제 2코팅층형성단계
S500 : 컷팅부형성단계
S600 : 절개부형성단계

Claims (4)

  1. 전사대지(100); 상기 전사대지(100)의 상면에 구성되는 수용성대지(200); 상기 수용성대지(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 1코팅층(310)과, 상기 제 1코팅층(310)의 상면에 문양 또는 텍스트가 인쇄되는 인쇄층(320)과, 상기 인쇄층(3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 2코팅층(330)으로 구성되는 전사필름(300); 으로 구성된 전사지(10)에 있어서,
    상기 전사필름(300)은 상기 수용성대지(200)의 상면에 상호 0.5mm ~ 1.5mm의 간격으로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성대지(200)의 상면에는 상기 각각의 전사필름(300)의 둘레보다 큰 둘레로 컷팅되는 컷팅부(210)가 형성되되,
    상기 컷팅부(210)는 상기 전사대지(100)의 상면에 구성되는 수용성대지(200)만이 컷팅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사필름(300)의 둘레로부터 외측방향으로 0.3 ~ 0.5mm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사필름(300)의 일 측에는 선택적으로 절개가 가능한 절개부(5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모델용 전사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필름(300)은 일 측으로 연장되는 파지부(4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모델용 전사지.
  3. 삭제
  4. 삭제
KR1020160074860A 2016-06-16 2016-06-16 프라모델용 전사지 KR101896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860A KR101896761B1 (ko) 2016-06-16 2016-06-16 프라모델용 전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860A KR101896761B1 (ko) 2016-06-16 2016-06-16 프라모델용 전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884A KR20170141884A (ko) 2017-12-27
KR101896761B1 true KR101896761B1 (ko) 2018-09-07

Family

ID=60938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860A KR101896761B1 (ko) 2016-06-16 2016-06-16 프라모델용 전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761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6163U (ja) * 1983-09-09 1985-04-01 株式会社 タカラ プラスチツクモデル塗装用マスキングシ−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884A (ko)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72964B (zh) 法式指甲贴及其制造方法
EP1628304A3 (en) Printable label assembly
US20060240233A1 (en) Fishing fly manufacturing devices and materials
US20170119105A1 (en) Decorative enhancement of footwear
US20060099412A1 (en) Masking tape with stencil and method of use
KR101896761B1 (ko) 프라모델용 전사지
CA2534775A1 (en) Non-slip measuring tool and method of making
US20180043391A1 (en) Painting tape system
US5275871A (en) Particulate matter image transfer apparatus
US20150090135A1 (en) Paint stencil
JP2004526590A (ja) デザインを基板に適用するための方法
KR20200071499A (ko) 네일아트용 스티커
US5755911A (en) Method for making a custom shim for a die component having blind holes
KR102033322B1 (ko) 의류용 2중합지 점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접착방법
EP3012114A1 (en) Multiple layer decalcomania and method of application / removal of the same
US20030041959A1 (en) Pattern for glass cutting and method for using the pattern
JP7175498B2 (ja) マニキュア用のシート材の製作用プレートおよびマニキュアシートの製作方法
JP3558006B2 (ja) 電気機器の絵柄形成方法
JP3214019U (ja) 剥離治具
JP4641735B2 (ja) 印刷用シリンダー端面汚れ防止法及び汚れ防止フィルム
US20020167691A1 (en) Cutting-free method for making a hologram sticker and the structure of the sticker
JP3085297U (ja) ネイルアート紙
JP4475764B2 (ja) 剥離装置
WO2001078904A1 (en) Mask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762380B1 (ko) 네일젤 제거용 필름 및 네일젤 제거필름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