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315B1 -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315B1
KR101896315B1 KR1020130164104A KR20130164104A KR101896315B1 KR 101896315 B1 KR101896315 B1 KR 101896315B1 KR 1020130164104 A KR1020130164104 A KR 1020130164104A KR 20130164104 A KR20130164104 A KR 20130164104A KR 101896315 B1 KR101896315 B1 KR 101896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tion line
low
temperature radiator
temperature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5790A (ko
Inventor
남종우
조현
이준호
정한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4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315B1/ko
Publication of KR20150075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 F01N5/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 F01N5/02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the device being thermo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8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0Profiting from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2Profiting from waste heat of exhaust ga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8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 F01P2003/182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with multiple heat-exchan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 전방의 외기를 엔진룸으로 유입시키는 외기 흡기구 상에 구비되는 저온 라디에이터;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 후방에 배치된 고온 라디에이터;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냉각수가 엔진을 경유하여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로 순환하도록 구비된 고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냉각수가 수냉식 컨덴서를 통과하여 다시 저온 라디에이터를 순환하도록 구비된 저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 냉매가 상기 컨덴서를 통과하여 흐르도록 구비된 냉매 라인; 및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상기 냉각수와 상기 냉매 라인을 흐르는 냉매를 이용하여 열전 발전을 하는 열전 발전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COOLING AND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키고, 버려지는 폐열을 이용하여 발전을 수행하는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열전 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열전 발전은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폐회로에서 양 접점의 온도가 다르면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열전 발전을 차량에 이용하는 방식으로 엔진의 배기열을 이용한 열전 발전 시스템이 있으며, 이는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파이프 경로상에 열전 소자를 장착하여 열전 모듈 내측에 고온의 배기 가스를 흐르게 하여 고온부를 형성하고 외측에 별도의 장치에 의하여 냉각된 냉각수를 공급하여 저온부를 형성시켜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저온부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냉각 장치 (보조 라디에이터, 팬, 워터 펌프 등)가 필요하므로 시스템이 복잡하고, 이로 인한 패키지 구성에 불리하고 재료비와 차량 중량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기 파이프 중간에 열전 시스템이 설치되어 배기 가스의 배출 흐름을 방해하여 엔진 출력 저하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키며, 냉각 시스템에서 버려지는 열을 이용하여 차량에 필요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은 차량 전방의 외기를 엔진룸으로 유입시키는 외기 흡기구 상에 구비되는 저온 라디에이터;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 후방에 배치된 고온 라디에이터;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냉각수가 엔진을 경유하여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로 순환하도록 구비된 고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냉각수가 수냉식 컨덴서를 통과하여 다시 저온 라디에이터를 순환하도록 구비된 저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 냉매가 상기 컨덴서를 통과하여 흐르도록 구비된 냉매 라인; 및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상기 냉각수와 상기 냉매 라인을 흐르는 냉매를 이용하여 열전 발전을 하는 열전 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은 상기 차량 전방의 외기를 차량의 휠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대칭되게 형성된 사이드 덕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덕트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를 통과하는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냉각하는 보조 고온 라디에이터가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 덕트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를 통과하는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냉각하는 보조 저온 라디에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은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냉각수가 상기 컨덴서로 흐르도록 구비된 제1 저온 순환 라인; 상기 컨덴서로부터 배출된 냉각수를 상기 열전 발전기로 전달하는 제2 저온 순환 라인; 상기 열전 발전기를 통과한 냉각수를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로 전달하는 제3 저온 순환 라인; 및 상기 제1 저온 순환 라인에서 분기하여 상기 보조 저온 라디에이터와 연결되고, 다시 상기 제1 저온 순환 라인에 연결된 제4 저온 순환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저온 순환 라인과 상기 제4 저온 순환 라인이 분기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1 저온 순환라인을 흐르는 냉각수가 상기 제4 저온 순환 라인으로 선택적으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제1 콘트롤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엔진에는 터보 차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저온 순환 라인상에는 상기 터보 차저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 시키는 수냉식 인터 쿨러가 구비되어 상기 컨덴서를 통과한 냉각수가 상기 인터 쿨러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제2 저온 순환 라인상에는 수냉식 EGR 쿨러가 구비되어 상기 컨덴서를 통과한 냉각수가 상기 EGR 쿨러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은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냉각수를 상기 엔진으로 전달하는 제1 고온 순환 라인; 상기 엔진을 통과한 냉각수를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로 전달하는 제2 고온 순환 라인; 및 상기 제2 고온 순환 라인에서 분기하여 상기 보조 고온 라디에이터와 연결되고, 다시 상기 제2 고온 순환 라인에 연결되는 제3 고온 순환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온 순환 라인과 상기 제3 고온 순환 라인이 분기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2 고온 순환 라인을 흐르는 냉각수가 상기 제3 고온 순환 라인으로 선택적으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제2 콘트롤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온 순환 라인에서 분기하여 EGR 쿨러를 통화한 후 상기 제2 고온 순환 라인과 합류하는 제4 고온 순환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고온 순환 라인은 상기 제2 콘트롤 밸브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덕트는 상기 차량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차량의 폭방향 내측으로 유도되도록 곡선으로 휘어진 전방 덕트; 및 상기 전방 덕트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차량의 휠 방향으로 흐르도록 상기 차량의 폭방향 외측으로 곡선으로 휘어진 후방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덕트에는 상기 차량의 휠 방향으로 공기가 유도되도록 가이드 에어 포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과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 상에는 각각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과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 상에는 각각 냉각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원웨이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키며, 냉각 시스템에서 버려지는 열을 이용하여 차량에 필요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도1은 열전 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은 차량(10) 전방의 외기를 엔진룸으로 유입시키는 외기 흡기구(20) 상에 구비되는 저온 라디에이터(30),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30) 후방에 배치된 고온 라디에이터(40),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40)를 통과한 냉각수가 엔진(12)을 경유하여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40)로 순환하도록 구비된 고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70),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30)를 통과한 냉각수가 수냉식 컨덴서(60)를 통과하여 다시 저온 라디에이터(30)를 순환하도록 구비된 저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80), 냉매가 상기 컨덴서(60)를 통과하여 흐르도록 구비된 냉매 라인(90) 및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30)를 통과한 상기 냉각수와 상기 냉매 라인(90)을 흐르는 냉매를 이용하여 열전 발전을 하는 열전 발전기(100)를 포함한다.
상기 열전 발전기(100)가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30)를 통과한 상기 냉각수와 상기 냉매 라인(90)을 흐르는 냉매를 이용하여 열전 발전을 수행 하므로, 별도의 열공급을 위한 구성이나, 열배출을 위한 구성이 필요하지 않아 전체 시스템이 단순해지고, 상기 냉각수와 상기 냉매의 온도차에 의해 높은 열전 발전 효율이 기대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은 상기 차량 전방의 외기를 차량의 휠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대칭되게 형성된 사이드 덕트(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덕트(5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40)를 통과하는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냉각하는 보조 고온 라디에이터(42)가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 덕트(50)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30)를 통과하는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냉각하는 보조 저온 라디에이터(32)가 구비된다.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80)은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30)를 통과한 냉각수가 상기 컨덴서(60)로 흐르도록 구비된 제1 저온 순환 라인(81), 상기 컨덴서(60)로부터 배출된 냉각수를 상기 열전 발전기(100)로 전달하는 제2 저온 순환 라인(82), 상기 열전 발전기(100)를 통과한 냉각수를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30)로 전달하는 제3 저온 순환 라인(83) 및 상기 제1 저온 순환 라인(81)에서 분기하여 상기 보조 저온 라디에이터(32)와 연결되고, 다시 상기 제1 저온 순환 라인(81)에 연결된 제4 저온 순환 라인(8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저온 순환 라인(81)과 상기 제4 저온 순환 라인(84)이 분기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1 저온 순환라인(81)을 흐르는 냉각수가 상기 제4 저온 순환 라인(84)으로 선택적으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제1 콘트롤 밸브(11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저온 콘트롤 밸브(110)는 전달되는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그 내측에 충진된 왁스 성분의 용적이 팽창 또는 수축하는 기계적인 써모스텟일 수 있고, 또는 미도시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는 전자식 써모스탯일 수 있으며,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80)을 흐르는 냉각수의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30)만의 냉각 외에 추가적인 냉각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1 저온 순환 라인(81)을 흐르는 냉각수의 일부를 상기 제4 저온 순환 라인(84)으로 흐르도록 하여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70)은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40)를 통과한 냉각수를 상기 엔진(12)으로 전달하는 제1 고온 순환 라인(71), 상기 엔진(12)을 통과한 냉각수를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40)로 전달하는 제2 고온 순환 라인(72) 및 상기 제2 고온 순환 라인(72)에서 분기하여 상기 보조 고온 라디에이터(42)와 연결되고, 다시 상기 제2 고온 순환 라인(72)에 연결되는 제3 고온 순환 라인(73)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고온 순환 라인(72)과 상기 제3 고온 순환 라인(73)이 분기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2 고온 순환 라인(72)을 흐르는 냉각수가 상기 제3 고온 순환 라인(73)으로 선택적으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제2 콘트롤 밸브(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온 콘트롤 밸브(120)도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70)을 흐르는 냉각수의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40)만의 냉각 외에 추가적인 냉각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2 고온 순환 라인(72)을 흐르는 냉각수의 일부를 상기 제3 고온 순환 라인(73)으로 흐르도록 하여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2 저온 순환 라인(82)상에는 수냉식 EGR 쿨러(140)가 구비되어 상기 컨덴서(60)를 통과한 냉각수가 상기 EGR 쿨러(140)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엔진(12)에는 터보 차저(13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저온 순환 라인(82)상에는 상기 터보 차저(130)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 시키는 수냉식 인터 쿨러(132)가 구비되어 상기 컨덴서(60)를 통과한 냉각수가 상기 인터 쿨러(132)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70)은 상기 제2 고온 순환 라인(72)에서 분기하여 상기 EGR 쿨러(132)를 통화한 후 상기 제2 고온 순환 라인(72)과 합류하는 제4 고온 순환 라인(74)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4 고온 순환 라인(74)은 상기 제2 콘트롤 밸브(1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온 콘트롤 밸브(120)는 상기 EGR 쿨러(123)의 냉각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4 고온 순환 라인(74)으로 냉각수가 흐를 수 있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인터 쿨러(132)와 상기 수냉식 EGR 쿨러(140)는 별도의 쿨러일 수도 있고, 상기 터보 차저(130)를 통과한 공기와, EGR 가스를 동시에 냉각하는 수냉식 복합 쿨러(142)로 결합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70)과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80) 상에는 각각 펌프(150)가 구비되어 냉각수를 순환시킬 수 있으며, 각각 냉각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원웨이 밸브(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덕트(50)는 상기 차량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차량의 폭방향 내측으로 유도되도록 곡선으로 휘어진 전방 덕트(52) 및 상기 전방 덕트(52)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차량의 휠 방향으로 흐르도록 상기 차량의 폭방향 외측으로 곡선으로 휘어진 후방 덕트(5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방 덕트(52)와 상기 후방 후방 덕트(54)가 "S"자로 휘어져 상기 보조 저온 라디에이터(32) 및 상기 보조 고온 라디에이터(42)로 흐르는 공기가 치우져 지지 않고 흐르게 하여 상기 보조 저온 라디에이터(32) 및 상기 보조 고온 라디에이터(42)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후방 덕트(54)에는 상기 차량의 휠 방향으로 공기가 유도되도록 가이드 에어 포일(56)이 구비되어 휠 방향으로 에어 커튼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패드의 냉각과 공력(aero-dynamic)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차체 12: 엔진
20: 외기 흡기구 30: 저온 라디에이터
32: 보조 저온 라디에이터 40: 고온 라디에이터
42: 보조 고온 라디에이터 50: 사이드 덕트
52: 전방 덕트 54: 후방 덕트
56: 가이드 에어 포일 60: 컨덴서
70: 고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
71~74: 제1~4 고온 순환 라인
80: 저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
81~84: 제1~4 저온 순환 라인
90: 냉매 라인 100: 열전 발전기
110: 제1 콘트롤 밸브 120: 제2 콘트롤 밸브
130: 터보 차저 132: 인터 쿨러
140: EGR 쿨러 142: 복합 쿨러
150: 펌프 160: 원웨이 밸브

Claims (12)

  1. 차량 전방의 외기를 엔진룸으로 유입시키는 외기 흡기구 상에 구비되는 저온 라디에이터;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 후방에 배치된 고온 라디에이터;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냉각수가 엔진을 경유하여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로 순환하도록 구비된 고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냉각수가 수냉식 컨덴서를 통과하여 다시 저온 라디에이터를 순환하도록 구비된 저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
    냉매가 상기 컨덴서를 통과하여 흐르도록 구비된 냉매 라인; 및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상기 냉각수와 상기 냉매 라인을 흐르는 냉매를 이용하여 열전 발전을 하는 열전 발전기;
    를 포함하는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은
    상기 차량 전방의 외기를 차량의 휠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대칭되게 형성된 사이드 덕트;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덕트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를 통과하는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냉각하는 보조 고온 라디에이터가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 덕트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를 통과하는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냉각하는 보조 저온 라디에이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은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냉각수가 상기 컨덴서로 흐르도록 구비된 제1 저온 순환 라인;
    상기 컨덴서로부터 배출된 냉각수를 상기 열전 발전기로 전달하는 제2 저온 순환 라인;
    상기 열전 발전기를 통과한 냉각수를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로 전달하는 제3 저온 순환 라인; 및
    상기 제1 저온 순환 라인에서 분기하여 상기 보조 저온 라디에이터와 연결되고, 다시 상기 제1 저온 순환 라인에 연결된 제4 저온 순환 라인;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저온 순환 라인과 상기 제4 저온 순환 라인이 분기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1 저온 순환라인을 흐르는 냉각수가 상기 제4 저온 순환 라인으로 선택적으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제1 콘트롤 밸브;
    가 구비된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엔진에는 터보 차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저온 순환 라인상에는 상기 터보 차저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 시키는 수냉식 인터 쿨러가 구비되어 상기 컨덴서를 통과한 냉각수가 상기 인터 쿨러를 냉각하는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
  5. 제3항에서,
    상기 제2 저온 순환 라인상에는 수냉식 EGR 쿨러가 구비되어 상기 컨덴서를 통과한 냉각수가 상기 EGR 쿨러를 냉각하는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
  6. 제2항에서,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은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냉각수를 상기 엔진으로 전달하는 제1 고온 순환 라인;
    상기 엔진을 통과한 냉각수를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로 전달하는 제2 고온 순환 라인; 및
    상기 제2 고온 순환 라인에서 분기하여 상기 보조 고온 라디에이터와 연결되고, 다시 상기 제2 고온 순환 라인에 연결되는 제3 고온 순환 라인;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온 순환 라인과 상기 제3 고온 순환 라인이 분기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2 고온 순환 라인을 흐르는 냉각수가 상기 제3 고온 순환 라인으로 선택적으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제2 콘트롤 밸브;
    가 구비된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
  7. 제6항에서,
    상기 제2 고온 순환 라인에서 분기하여 EGR 쿨러를 통화한 후 상기 제2 고온 순환 라인과 합류하는 제4 고온 순환 라인;
    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
  8. 제7항에서,
    상기 제4 고온 순환 라인은 상기 제2 콘트롤 밸브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
  9. 제2항에서,
    상기 사이드 덕트는
    상기 차량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차량의 폭방향 내측으로 유도되도록 곡선으로 휘어진 전방 덕트; 및
    상기 전방 덕트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차량의 휠 방향으로 흐르도록 상기 차량의 폭방향 외측으로 곡선으로 휘어진 후방 덕트;
    를 포함하는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
  10. 제9항에서,
    상기 후방 덕트에는 상기 차량의 휠 방향으로 공기가 유도되도록 가이드 에어 포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과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 상에는 각각 펌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상기 고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과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 순환 라인 상에는 각각 냉각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원웨이 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
KR1020130164104A 2013-12-26 2013-12-26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 KR101896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104A KR101896315B1 (ko) 2013-12-26 2013-12-26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104A KR101896315B1 (ko) 2013-12-26 2013-12-26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790A KR20150075790A (ko) 2015-07-06
KR101896315B1 true KR101896315B1 (ko) 2018-09-07

Family

ID=53788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104A KR101896315B1 (ko) 2013-12-26 2013-12-26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3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7265A (ja) 2004-12-22 2006-07-06 Denso Corp 熱電発電装置
JP2006523813A (ja) 2003-04-17 2006-10-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ネルギ回収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526B1 (ko) * 2011-09-29 2013-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전발전장치의 냉각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3813A (ja) 2003-04-17 2006-10-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ネルギ回収システム
JP2006177265A (ja) 2004-12-22 2006-07-06 Denso Corp 熱電発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790A (ko)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7947B2 (en) Cool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having such a cooling system
KR101542992B1 (ko) 자동차의 냉각 장치
US11479079B2 (en) Circuit for the thermal management of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KR101542993B1 (ko)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
CN105626222B (zh) 用于车辆特别是用于商用车辆的冷却系统
CN105874182B (zh) 进气冷却装置
JP2010012961A (ja) 燃料電池車両の冷却装置
JP2013086717A (ja) ハイブリッド車両用冷却システム
KR101575254B1 (ko) 차량 엔진 냉각 시스템
JP6327032B2 (ja) 吸気冷却装置
KR102299301B1 (ko)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
JP2013079614A (ja) ハイブリッド過給車用冷却装置
KR20210016731A (ko)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
KR102276253B1 (ko) 차량의 통합 열관리 회로
KR101927000B1 (ko) 차량용 열관리시스템
KR101896315B1 (ko)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
CN111114264B (zh) 车辆换热循环系统和具有其的车辆
KR101927165B1 (ko) 차량의 냉각/열전 발전 시스템
JP2011162115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冷却装置
JP5012588B2 (ja) 廃熱回収装置
JP2009174362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排気還流ガス冷却装置
JP7375648B2 (ja) 車両用冷却装置
CN106894905B (zh) 混合动力汽车及其冷却系统
JP2013221459A (ja) 内燃機関の周辺構造
KR20180126115A (ko) 차량용 열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