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176B1 - 전자기기 특성 평가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특성 평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176B1
KR101896176B1 KR1020170026493A KR20170026493A KR101896176B1 KR 101896176 B1 KR101896176 B1 KR 101896176B1 KR 1020170026493 A KR1020170026493 A KR 1020170026493A KR 20170026493 A KR20170026493 A KR 20170026493A KR 101896176 B1 KR101896176 B1 KR 101896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electronic devices
voltag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0014A (ko
Inventor
임홍우
형재필
이영주
정의효
이민혁
원동조
김준성
장인혁
이성재
김수경
송정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26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176B1/ko
Publication of KR20180100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 특성 평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기기 특성 평가장치는 다수의 전자 기기와 독립적인 채널들을 이루도록 접속되는 연결부와; 상기 채널들을 통해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 각각의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 각각의 전류 및 전압을 통해 전력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측정부를 사용하여, 상기 채널들을 온오프하여,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 각각의 전류 및 전압을 선택적으로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특성 평가장치{ELECTRONIC INSTRUMENT CHARACTER TESTER}
본 발명은 전자기기 특성 평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시에 다수의 전자 기기의 특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기기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전자기기 특성 평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자기기는 전기적 특성을 갖는다.
종래에는, 전자 기기를 개별적으로 평가 지그에 안착시키는 상태로 전기적 특성 검사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대량의 기기에 대한 특성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랜덤 추출하여 진행함으로써, 실제 정확한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수명 또한 예측이 어려웠다.
근래에 들어, 하나의 지그에서 다수의 전자 기기에 대한 전기적 특성 검사를 동시에 진행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20-2006-0025762호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시에 다수의 전자 기기의 특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기기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전자기기 특성 평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자기기 특성 평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기기 특성 평가장치는 다수의 전자 기기와 독립적인 채널들을 이루도록 접속되는 연결부와; 상기 채널들을 통해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 각각의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 각각의 전류 및 전압을 통해 전력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측정부를 사용하여, 상기 채널들을 온오프하여,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 각각의 전류 및 전압을 선택적으로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채널들을 개별적 또는 전체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모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 별, 예측 수명이 설정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부로부터 전달 받은 상기 산출된 전력에 따라 상기 예측 수명을 산출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를 사용하여,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별 상기 전류 및 전압 측정 회수를 설정된 회수로 반복 측정하고,
반복되어 측정된 상기 전류 및 전압이, 상기 예측 수명 시간을 이루는 예측 전력에 이르는 회수를 기초로, 상기 예측 수명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 별 산출된 상기 전력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상기 전력을 통해,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 각각의 전류 및 전압중, 상기 저장된 상기 전력을 이루는 전류 및 전압이 있는 전자 기기가 있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의 저장된 전력과, 상기 측정되는 전력을 비교하여, 전력차를 산출하고, 상기 전력차가 기설정되는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력차를 이루는 각각의 전력을 포함하는 전류 및 전압을 평균처리하여, 재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동시에 다수의 전자 기기의 특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기기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전력이 산출되는 전자 기기가 발생되는 경우, 이들 각각의 전력을 이루는 전류 및 전압을 비교하여, 이들을 평균처리하여 재저장하여, 추후 동일 전력이 측정되는 전자 기기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전자 기기의 평균처리된 전류 및 전압을 비교하여, 동일 전력을 이루는 전기 장치의 특성 평가의 오차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 특성 평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 특성 평가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어부를 통해 예측 수명을 산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어부의 다른 가능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채널들 간, 선택적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전자기기 특성 평가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 특성 평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 특성 평가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전자기기 특성 평가장치는 연결부(100)와, 측정부(200)와, 산출부(300)와, 제어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100)는 다수의 채널(110)을 구비한다.
상기 다수의 채널(110)은 다수의 전자 기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채널(110)은 독립적인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측정부(200)는, 상기 다수의 채널(110)과 독립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측정부(200)는, 상기 다수의 채널(110)과 연결되는 각각의 전자 기기로부터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한다.
상기 측정부(200)는 산출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산출부(300)는 상기 측정부(200)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 각각의 전류 및 전압을 통해 전력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산출부(300) 및 측정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측정부(200)를 사용하여, 상기 채널들(110)을 온오프하여,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 각각의 전류 및 전압을 선택적으로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어부(400)에는, 상기 채널들(110)을 개별적 또는 전체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모드부(410)를 포함한다.
상기 선택 모드부(410)를 통해 다수의 채널(110) 중, 일부 또는 모두를 선택하여 측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제어부(400)에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 별, 예측 수명이 설정된다.
예컨대, 전자 기기로부터 전류 및 전압 측정을 통해 전력을 산출하되, 반복적인 측정을 통해 산출되는 전력이 기설정된 예측 수명에 해당되는 전력을 이루는 경우의 측정 회수를 통해 예측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산출부(300)로부터 전달 받은 상기 산출된 전력에 따라 상기와 같이 예측 수명을 산출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어부를 통해 예측 수명을 산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제어부(400)는, 상기 측정부(200)를 사용하여,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별 상기 전류 및 전압 측정 회수를 설정된 회수로 반복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반복되어 측정된 상기 전류 및 전압이, 상기 예측 수명 시간을 이루는 예측 전력에 이르는 회수를 기초로, 상기 예측 수명을 산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어부의 다른 가능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제어부(400)에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 별 산출된 상기 전력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저장된 상기 전력을 통해, 상기 측정부(200)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 각각의 전류 및 전압 중, 상기 저장된 상기 전력을 이루는 전류 및 전압이 있는 전자 기기가 있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의 저장된 전력과, 상기 측정되는 전력을 비교하여, 전력차를 산출하고, 상기 전력차가 기설정되는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력차를 이루는 각각의 전력을 포함하는 전류 및 전압을 평균처리하여, 재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채널들 간, 선택적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채널들(110)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다만, 어느 하나의 채널(110)은, 다른 채널들(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라인(120)을 갖는다.
상기 연결 라인(120)에는 전기적 신호 온오프를 이루는 스위치(130)를 갖는다. 상기 스위치(130)는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온오프 동작된다.
각 채널(110)에 전자 기기가 연결된다.
측정부(200)는 각 채널들(110)을 통해 각 전자 기기로부터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한다.
여기서, 측정부(200)는 어느 하나의 채널(110)에서 전류 및 전압이 측정되지 않는 경우, 에러 신호를 제어부(400)로 전송한다.
이어, 상기 제어부(400)는, 에러 신호가 발생된 채널(110)을 다른 채널들(110)의 연결 라인(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치를 온 시킨다.
이에 따라, 에러 신호가 발생된 채널(110)에 연결된 전자 기기로부터의 전류 및 전압은 다른 채널들(110)을 통해 측정부(200)에서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에러가 발생되는 전자 기기는, 다른 채널들(110)을 통해 동시에 반복적으로 전류 및 전압이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부(300)는 반복되어 측정된 전류 및 전압을 통해 전력들을 산출하여 제어부(400)로 전송한다.
이어, 상기 제어부(400)는 산출된 전력들을 평균처리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예측 수명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일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채널 어느 하나가 에러가 발생되는 경우, 다른 채널들(110)을 통해 동시에 반복 측정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오히려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동시에 다수의 전자 기기의 특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기기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동일한 전력이 산출되는 전자 기기가 발생되는 경우, 이들 각각의 전력을 이루는 전류 및 전압을 비교하여, 이들을 평균처리하여 재저장하여, 추후 동일 전력이 측정되는 전자 기기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전자 기기의 평균처리된 전류 및 전압을 비교하여, 동일 전력을 이루는 전기 장치의 특성 평가의 오차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연결부
110 : 채널
200 : 측정부
300 : 산출부
400 : 제어부
410 : 선택 모드부

Claims (5)

  1. 다수의 전자 기기와 독립적인 채널들을 이루도록 접속되는 연결부;
    상기 채널들을 통해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 각각의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 각각의 전류 및 전압을 통해 전력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측정부를 사용하여, 상기 채널들을 온오프하여,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 각각의 전류 및 전압을 선택적으로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 별, 예측 수명이 설정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부로부터 전달 받은 상기 산출된 전력에 따라 상기 예측 수명을 산출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를 사용하여,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별 상기 전류 및 전압 측정 회수를 설정된 회수로 반복 측정하고, 반복되어 측정된 상기 전류와 전압이, 상기 예측 수명 시간을 이루는 예측 전력에 이르는 회수를 기초로, 상기 예측 수명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 별 산출된 상기 전력이 저장되되,
    상기 제어부는, 저장된 상기 전력을 통해, 상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다수의 전자 기기들 각각의 전류 및 전압 중, 저장된 상기 전력을 이루는 전류 및 전압이 있는 전자 기기가 있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의 저장된 전력과, 상기 측정되는 전력을 비교하여, 전력차를 산출하고, 상기 전력차가 기설정되는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력차를 이루는 각각의 전력을 포함하는 전류 및 전압을 평균처리하여 재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특성 평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상기 채널들을 개별적 또는 전체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모드부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특성 평가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26493A 2017-02-28 2017-02-28 전자기기 특성 평가장치 KR101896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493A KR101896176B1 (ko) 2017-02-28 2017-02-28 전자기기 특성 평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493A KR101896176B1 (ko) 2017-02-28 2017-02-28 전자기기 특성 평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014A KR20180100014A (ko) 2018-09-06
KR101896176B1 true KR101896176B1 (ko) 2018-10-05

Family

ID=63593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493A KR101896176B1 (ko) 2017-02-28 2017-02-28 전자기기 특성 평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1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929B1 (ko) * 2010-07-02 2011-11-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기기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 전기 기기의 에너지 관리 장치, 전기 기기의 에너지 관리 방법
JP2014241289A (ja) * 2014-08-08 2014-12-25 ローム株式会社 電気機器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929B1 (ko) * 2010-07-02 2011-11-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기기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 전기 기기의 에너지 관리 장치, 전기 기기의 에너지 관리 방법
JP2014241289A (ja) * 2014-08-08 2014-12-25 ローム株式会社 電気機器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014A (ko) 2018-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910B1 (ko) 친환경 차량의 절연파괴 검출장치 및 방법
KR102295771B1 (ko) 컨택터 코일 전류를 이용한 컨택터 수명 진단 시스템 및 방법
US9678134B2 (en) Method for determining maintenance time for contacts, and testing apparatus
US9606162B2 (en) Insulation inspection method and insulation inspection apparatus
JP4369949B2 (ja) 絶縁検査装置及び絶縁検査方法
KR20190117775A (ko) 검사 시스템, 및 검사 시스템의 고장 해석 및 예지 방법
JP5507430B2 (ja) 回路基板検査装置
JP2012154839A (ja) 寿命予測評価装置および寿命予測評価方法
JP5215148B2 (ja) 絶縁検査装置および絶縁検査方法
JP4865516B2 (ja) 測定装置
US20210296058A1 (en) Relay state prediction device, relay state prediction system, relay state predic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1896176B1 (ko) 전자기기 특성 평가장치
JP4925042B2 (ja) 絶縁検査装置
KR20140146535A (ko) 기판검사장치
JP2004177514A (ja) 表示駆動回路
KR100942188B1 (ko) 고압차단기 자동시험장치
KR101961536B1 (ko) 기판 검사 장치 및 기판 검사 방법
JP4777828B2 (ja) 測定装置および検査装置
JP6116419B2 (ja) 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基板検査システム
JP6008493B2 (ja) 基板検査装置および基板検査方法
WO2014148050A1 (en) Insulation inspection method and insulation inspection apparatus
JP2009079990A (ja) 抵抗測定装置および抵抗測定方法
JP5215026B2 (ja) 絶縁検査装置および絶縁検査方法
JP2017101947A (ja) 基板検査装置および基板検査方法
JP4911598B2 (ja) 絶縁検査装置及び絶縁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