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737B1 - 스프링클러의 동파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의 동파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737B1
KR101894737B1 KR1020180042473A KR20180042473A KR101894737B1 KR 101894737 B1 KR101894737 B1 KR 101894737B1 KR 1020180042473 A KR1020180042473 A KR 1020180042473A KR 20180042473 A KR20180042473 A KR 20180042473A KR 101894737 B1 KR101894737 B1 KR 101894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rooves
sprinkler
portions
divided hea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이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이엠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이엠이
Priority to KR1020180042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5Ohmic-resistance he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면적에 따라 필요한 수의 분할히터를 임의로 증설할 수 있도록 한 스프링클러의 동파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프링클러 레듀서(20)의 둘레에 밀착되고 복수로 적층되는 분할히터(30)(40); 분할히터(30)(40)의 양단에 형성되는 걸림턱(31)(32)(41)(42); 단자(31t)(32t)(41t)가 표면에 노출되어 있고, 걸림턱(31)(32)(41)(42)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사다리꼴 단면의 단자노출홈(31g)(32g)(41g)(42g); 단자노출홈(31g)(32g)(41g)(42g)으로 각각 삽입되고, 단자(31t)(32t)(41t)에 접속되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절곡된 단자접속부(51)(61); 접합부(52)(62)가 단자접속부(51)(61)의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통전밴드(50)(60); 접합부(52)(62)의 표면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브이커팅홈(53)(63); 걸림턱(31)(32)(41)(42)에 걸리면서 분할히터(30)(4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판스프링(54)(64); 걸림턱(31)(32)(41)(42)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홈(33)(43); 판스프링(54)(64)으로부터 부분 절개된 후 안쪽으로 절곡되어 걸림홈(33)(43)에 걸리는 탄성편(54a)(64a); 분할히터(30)(4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21)(22)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볼트(23)(24)가 결합되고, 판스프링(54)(64)에 형성되는 버링너트(55)(65); 걸림턱(31)(32)(41)(42)에 형성되어 버링너트(55)(65)를 수용하는 너트진입홈(34)(44)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의 동파방지장치{Anti-freezing Device of Sprinkler}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의 동파를 방지하는데 이용되는 스프링클러의 동파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면적에 따라 필요한 수의 분할히터를 임의로 증설할 수 있도록 한 스프링클러의 동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소방차가 신속하게 출동하여 고가사다리차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한다고 하더라도 고가사다리차의 상승 높이에 제한을 받을 뿐만 아니라 건물 내부의 깊은 곳에서 발생된 화재는 진화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고층건물의 각 층 천정에는 온도에 반응해서 고압의 물을 자동으로 살수함으로써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가 의무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화재 발생에 따른 열이나 연기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물을 분사하는 소화설비로, 배관을 실내의 천장에 배치하고 분기되는 가지배관 말단에 스프링클러 헤드부가 설치된다.
또한, 스프링클러는 배관 내 용수의 유무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배관 내에 물이 항상 들어 있는 습식타입과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배관 내에 물이 들어 있지 않는 건식타입이 있다.
먼저, 습식타입의 스프링클러는 폐쇄형 헤드부가 주변 최고온도 보다 40도 이상 높은 경우(대략 70도 이상) 개방되어 배관 내 용수가 스프링클러 헤드부를 통하여 방수될 때 배관 내 압력 저하를 감지한 제어부에서 용수의 압력과 유량을 충족하도록 가압송수장치가 동작하도록 해서 계속된 방수로서 화재를 진화한다.
따라서, 습식타입의 스프링클러는 수조, 가압송수장치, 배관, 습식밸브, 헤드부까지 모두 소화용수인 물로 충만되어 있어 화재 시 즉시 헤드부가 개방되고 소화용수인 물이 방수되어 화재진압에 매우 훌륭한 설비이나 배관내 용수가 동절기 결빙으로 인해 동파에 취약하게 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건식타입의 스프링클러는 습식타입의 단점인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수조, 가압송수장치, 건식밸브, 배관, 헤드부 중 동파의 발생이 많은 헤드부와 배관을 보호하기 위하여 가압송수장치 이후에 건식밸브를 폐쇄해 두었다가 화재발생시 열과 연기를 감지하면 건식밸브가 자동 개방되면서 배관과 헤드부에 가압된 소화용수를 헤드부를 통하여 방수함으로써 화재를 진화한다.
이러한, 건식타입의 스프링클러 또한 건식밸브가 작동하여 배관 내에 물이 흐르면 배관 내의 물을 완전히 제거하더라도 배관과 연결되어 아래로 향하는 폐쇄형 헤드부에 물이 고여서 잔류하게 되므로 동파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통상의 스프링클러는 결빙으로 인한 동파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이고, 동파에 의해 화재시 작동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스프링클러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클러의 동파방지장치가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50729호로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은 말굽형태의 히터를 파이프의 외측에 끼운 다음 내측에 위치된 금속판의 끝 부분을 파이프의 단면모양에 따라 말아서 설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느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은 겨울철 온도 저하에 따라 파이프와 히터가 같이 수축하게 되는데, 파이프와 히터가 열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이종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의 수축량이 크게 되면 히터가 헐겁게 되면서 파이프로부터 이탈되거나 틈새에 의해 열전도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가열면적에 대응해서 히터를 증설해야 하는 경우에는 히터를 간격을 두고 일일이 설치하고 여러 가닥의 전선을 이용해서 배선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50729호 (공고일 2015.09.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설치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히터의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가열면적에 따라 히터의 증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의 동파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프링클러의 동파방지장치는, 스프링클러 레듀서의 둘레에 밀착되고, 스프링클러 레듀서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적층되는 분할히터; 분할히터의 양단에 형성되는 걸림턱; 분할히터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가 표면에 노출되어 있고, 걸림턱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사다리꼴 단면의 단자노출홈; 단자노출홈으로 각각 삽입되고, 단자에 접속되어 통전되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절곡된 단자접속부; 단자접속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서로 겹쳐서 접합하기 위한 접합부가 단자접속부의 사이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걸림턱의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통전밴드; 접합부의 표면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브이커팅홈; 단자접속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대칭되게 형성되고, 걸림턱에 걸리면서 분할히터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판스프링; 걸림턱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홈; 판스프링으로부터 부분 절개된 후 안쪽으로 절곡되어 걸림홈에 걸리는 탄성편; 분할히터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볼트가 결합되고, 판스프링에 형성되는 버링너트; 걸림턱에 형성되어 버링너트를 수용하는 너트진입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판스프링이 형성된 반대편 가장자리인 단자접속부의 타측 가장자리에 서로 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형성되고, 단자접속부의 안쪽을 향해 말려서 끝 부분이 단자접속부에 지지되는 ㄷ자 단면의 보강편; 보강편과 스프링클러 레듀서의 사이에 위치되는 절연캡; 절연캡으로부터 보강편을 향해 나란하게 형성되어 보강편의 사이로 삽입되고, 보강편의 상하단에 걸리는 T자 단면을 갖는 한 쌍의 삽입부; 보강편의 단부에 걸리도록 삽입부에 형성되는 반원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분할히터(30)(40)를 스프링클러 레듀서(2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통전밴드(50)(60)에 형성된 판스프링(54)(64)을 걸림턱(31)(32)(41)(42)에 끼우면, 분할히터(30)(40)를 스프링클러 레듀서(20)에 간단히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복수의 분할히터(30)(40)에 공급되는 전력을 두 조의 통전밴드(50)(60)를 통해 전달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두 개의 전선(21)(22)을 이용해서 전력공급이 가능하게 되어 배선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겨울철 온도 저하에 의해 스프링클러 레듀서(20)가 수축하는 경우 통전밴드(50)(60)에 구비된 판스프링(54)(6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분할히터(30)(40)가 스프링클러 레듀서(20)의 표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분할히터(30)(40)로부터 스프링클러 레듀서(20)로 전달되는 열전도 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자접속부(51)(61)의 안쪽으로 말려 있는 보강편(56)(66)과 두 보강편(56)(66)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삽입부(71)(72)에 의해 단자접속부(51)(61)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판스프링(54)(64)에 형성된 탄성편(54a)(64a)이 걸림홈(33)(43)에 걸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통전밴드(50)(60)가 분할히터(30)(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분할히터(30)(40)를 스프링클러 레듀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하도록 되어 있고, 적층 된 분할히터(30)(40)의 수에 맞게 통전밴드(50)(60)를 절단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분할히터(30)(40)의 증설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강편(56)(66)에 설치된 절연캡(70)에 의해 통전밴드(50)(60)로부터 스프링클러 레듀서(20)로의 누전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접합부(52)(62)에 형성된 브이커팅홈(53)(63)에 의해 통전밴드(50)(60)의 길이를 분할히터(30)(40)의 수에 대응해서 편리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버링너트(55)(65)를 수용하기 위한 너트진입홈(34)(44)이 걸림턱(31)(32)(41)(42)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54)(64)이 걸림턱(31)(32)(41)(42)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판스프링(54)(64)에 형성된 버링너트(55)(65)에 의해 전선(21)(22)에 설치된 압착단자(27)(28)를 단자볼트(23)(24)를 이용해서 판스프링(54)(64)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전밴드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을 반대편에서 바라 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를 확대해서 보인 분리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캡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4의 상태로부터 결합된 것을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편과 단자접속부의 연결을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 레듀서(20)의 둘레에 밀착되고, 스프링클러 레듀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적층되는 분할히터(30)(40); 분할히터(30)(40)의 양단에 형성되는 걸림턱(31)(32)(41)(42); 분할히터(30)(4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31t)(32t)(41t)가 표면에 노출되어 있고, 걸림턱(31)(32)(41)(42)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사다리꼴 단면의 단자노출홈(31g)(32g)(41g)(42g)을 포함한다.
분할히터(30)(40)는, 스프링클러 레듀서(20)가 육각파이프의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는 정육각형을 2등분 한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형상에 한정하지 않으며, 스프링클러 레듀서(20)가 원형파이프의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는 분할히터(30)(40)의 내측면을 반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분할히터(30)(40)는,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된 전력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36)(46)의 외부를 전기적 절연재로 된 내열피복부(35)(45)로 감싼 다음, 발열체(36)(46)의 양단으로 인출된 도선(37)(47)을 단자(31t)(32t)(41t)에 용접해서 구성할 수 있다.
또, 내열피복부(35)(45)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내열성 소재를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으며, 단자노출홈(31g)(32g)(41g)(42g)의 표면으로 노출되어 있는 단자(31t)(32t)(41t)는 단자노출홈(31g)(32g)(41g)(42g)의 표면에 일치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자노출홈(31g)(32g)(41g)(42g)으로 각각 삽입되고, 단자(31t)(32t)(41t)에 접속되어 통전되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절곡된 단자접속부(51)(61); 단자접속부(51)(61)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서로 겹쳐서 접합하기 위한 접합부(52)(62)가 단자접속부(51)(61)의 사이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걸림턱(31)(32)(41)(42)의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통전밴드(50)(60)를 포함한다.
접합부(52)(62)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겹친 상태에서 스포트 용접에 의해 접합부(52)(62)에 다수의 용접부(W1)를 형성할 수 있다.
통전밴드(50)(6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스프링 강판을 이용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자접속부(51)(6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정육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접합된 통전밴드(50)(60)는 전후에 한 조씩 총 두 조를 이용해서 설치하며, 이때 최소 두 개의 전선(21)(22)을 이용해서 모든 분할히터(30)(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접합부(52)(62)의 표면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브이커팅홈(53)(63); 단자접속부(51)(61)의 일측 가장자리에 대칭되게 형성되고, 걸림턱(31)(32)(41)(42)에 걸리면서 분할히터(30)(4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판스프링(54)(64); 걸림턱(31)(32)(41)(42)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홈(33)(43); 판스프링(54)(64)으로부터 부분 절개된 후 안쪽으로 절곡되어 걸림홈(33)(43)에 걸리는 탄성편(54a)(64a)을 포함한다.
브이커팅홈(53)(63)은, 절단에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접합부(52)(62)를 반복해서 구부리고 펴면 브이커팅홈(53)(63)이 절곡되면서 경화되어 파단되는 현상을 이용해서 절단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는 철판가위, 절단석, 금속톱, 일자정 등의 절단공구를 이용해서 절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브이커팅홈(53)(63)은 일직선으로 절단하기 위한 마킹선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
판스프링(54)(64)은, 단자접속부(51)(61)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한 다음 다시 그 끝 부분을 걸림턱(31)(32)(41)(42)의 측면을 향해 나란하게 절곡해서 형성할 수 있다.
탄성편(54a)(64a)은, 판스프링(54)(64)의 일부를 ㄷ자 모양으로 절개한 다음 절개된 부분을 안쪽으로 절곡해서 형성할 수 있으며, 판스프링(54)(64)을 걸림턱(31)(32)(41)(42)에 끼우는 동안 탄성편(54a)(64a)이 바깥쪽으로 휘게 되고, 탄성편(54a)(64a)의 에지부가 걸림홈(33)(43)에 일치되는 순간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걸리게 된다.
본 발명은 분할히터(30)(4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21)(22)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볼트(23)(24)가 결합되고, 판스프링(54)(64)에 형성되는 버링너트(55)(65); 걸림턱(31)(32)(41)(42)에 형성되어 버링너트(55)(65)를 수용하는 너트진입홈(34)(44)을 포함한다.
버링너트(55)(65)는 예를 들면 펀치(도시생략)를 이용해서 판스프링(54)(64)에 원형의 구멍을 천공한 다음 가공된 구멍보다 더 큰 버링펀치(도시생략)를 이용해서 구멍의 가방자리를 반대편을 향해 원통형으로 성형하는 과정에 의해 성형될 수 있으며, 버링펀치에 의한 가공 후에는 탭과 같은 암나사산을 가공할 수 있는 공구를 이용해서 탭구멍을 가공함으로써 최종 성형할 수 있다.
버링너트(55)(65)와 단자볼트(23)(24)는, 전선(21)(22)의 끝에 설치된 압착단자(27)(28)를 판스프링(54)(64)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압착단자(27)(28)에 형성된 구멍으로 단자볼트(23)(24)를 삽입한 다음 버링너트(55)(65)에 결합하면 압착단자(27)(28)가 판스프링(54)(64)의 표면에 밀착되면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단자볼트(23)(24)의 길이는 버링너트(55)(65)를 통과해서 너트진입홈(34)(44)의 안쪽 끝에 걸리지 않는 길이를 갖도록 하면 판스프링(54)(64)이 휘거나 걸림턱(31)(32)(41)(42)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판스프링(54)(64)이 형성된 반대편 가장자리인 단자접속부(51)(61)의 타측 가장자리에 서로 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형성되고, 단자접속부(51)(61)의 안쪽을 향해 말려서 끝 부분이 단자접속부(51)(61)에 지지되는 ㄷ자 단면의 보강편(56)(66)을 포함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편(56)(66)의 끝 부분에 보강편(56)(66)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사각돌출부(56e)를 형성하고, 단자접속부(51)(61)에는 사각돌출부(56e)에 대응하는 사각구멍(51h)을 형성해서 보강편(56)(66)을 단자접속부(51)(61)를 향해 ㄷ자 모양으로 말 때 사각돌출부(56e)을 사각구멍(51h)에 삽입해서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보강편(56)(66)의 끝 부분과 사각돌출부(56e)의 경계에 단턱부(56c)(56d)를 형성해서 사각돌출부(56e)를 사각구멍(51h)으로 삽입할 때 단턱부(56c)(56d)가 단자접속부(51)(61)의 표면에 걸리면서 일정한 깊이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강편(56)(66)과 스프링클러 레듀서(20)의 사이에 위치되는 절연캡(70); 절연캡(70)으로부터 보강편(56)(66)을 향해 나란하게 형성되어 보강편(56)(66)의 사이로 삽입되고, 보강편(56)(66)의 상하단에 걸리는 T자 단면을 갖는 한 쌍의 삽입부(71)(72); 보강편(56)(66)의 단부에 걸리도록 삽입부(71)(72)에 형성되는 반원돌기(71a)(72a)를 포함한다.
절연캡(7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정육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자노출홈(31g)(32g)(41g)(42g)의 안쪽으로 진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중 부호 25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나타낸 것이며, 26은 스프링클러 헤드(25)에 연결된 플렉시블관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할 분할히터(30)(40)의 수에 맞는 길이로 2조의 통전밴드(50)(60)를 절단한 다음 보강편(56)(66) 사이로 삽입부(71)(72)를 삽입해서 절연캡(70)을 보강편(56)(66)에 설치해 둔다.
이때 T자 단면으로 된 삽입부(71)(72)가 보강편(56)(66)의 사이에 끼워져 있고, 보강편(56)(66)의 상하단에도 걸려 있기 때문에 절연캡(70)이 상하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삽입부(71)(72)에 형성된 반원돌기(71a)(72a)가 보강편(56)(66)의 단부에 걸리기 때문에 절연캡(70)이 보강편(56)(6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분할히터(30)(40)를 스프링클러 레듀서(20)의 외측면에 밀착시키면서 스프링클러 레듀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히터(30)(40)를 적층한 다음 통전밴드(50)(60)에 형성된 접합부(52)(62)를 걸림턱(31)(32)(41)(42) 사이로 삽입하고, 단자접속부(51)(61)를 단자노출홈(31g)(32g)(41g)(42g)에 끼우게 되면, 통전밴드(50)(60)가 분할히터(30)(40)에 설치된다.
이때 통전밴드(50)(60)에 형성된 판스프링(54)(64)이 걸림턱(31)(32)(41)(42)의 측면을 잡기 때문에 분할히터(30)(40)가 스프링클러 레듀서(20)의 외측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열전도 효율이 증대되며, 판스프링(54)(64)이 걸림턱(31)(32)(41)(42)에 밀착될 때 탄성편(54a)(64a)이 걸림홈(33)(43)에 걸리면서 통전밴드(50)(60)가 분할히터(30)(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단자접속부(51)(61)가 단자노출홈(31g)(32g)(41g)(42g)으로 삽입될 때 보강편(56)(66)과 삽입부(71)(72)는 단자접속부(51)(61)의 좌굴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 단자접속부(51)(61)가 단자노출홈(31g)(32g)(41g)(42g)으로 삽입되면, 단자노출홈(31g)(32g)(41g)(42g)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단자(31t)(32t)(41t)와 단자접속부(51)(61)가 서로 접촉되면서 통전 가능한 상태로 되며, 보강편(56)(66)에 설치된 절연캡(70)에 의해 통전밴드(50)(60)로부터 스프링클러 레듀서(20)로 흐를 수 있는 전류의 흐름을 차단해서 누전을 방지하게 된다.
그 다음 두 개의 전선(21)(22)에 설치된 압착단자(27)(28)를 단자볼트(23)(24)를 이용해서 통전밴드(50)(60)에 형성된 버링너트(55)(65)에 결합하게 되면, 압착단자(27)(28)가 판스프링(54)(64)의 표면에 밀착되면서 통전 가능한 상태에로 된다.
한편, 전선(21)(22)을 통해 분할히터(30)(40)에 내장된 발열체(36)(46)에 전력을 공급하게 되면, 전류가 통전밴드(50)(60)에 형성된 판스프링(54)(64)과 단자접속부(51)(61)를 통해 단자(31t)(32t)(41t)와 도선(37)(47)으로 공급되어 발열체(36)(46)가 발열되면서 스프링클러 레듀서(20)를 가열하게 되어 겨울철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겨울철 온도 저하에 의해 스프링클러 레듀서(20)가 수축되면서 분할히터(30)(40)와 스프링클러 레듀서(20) 간에 틈새가 발생하는 경우 판스프링(54)(6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분할히터(30)(40)가 스프링클러 레듀서(20)에 밀착되기 때문에 분할히터(30)(40)가 스프링클러 레듀서(20)의 표면에 항상 밀착되어 있게 되며, 이로 인해서 열전도 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20 : 스프링클러 레듀서 21,22 : 전선
23,24 : 단자볼트 25 : 스프링클러 헤드
26 : 플렉시블관 27,28 : 압착단자
30,40 : 분할히터 31,32,41,42 : 걸림턱
31g,32g,41g,42g : 단자노출홈 31t,32t,41t : 단자
33,43 : 걸림홈 34,44 : 너트진입홈
35,45 : 내열피복부 36,46 : 발열체
37,47 : 도선 50,60 : 통전밴드
51,61 : 단자접속부 51h : 사각구멍
52,62 : 접합부 53,63 : 브이커팅홈
54,64 : 판스프링 54a,64a : 탄성편
55,65 : 버링너트 56,66 : 보강편
56c,56d : 단턱부 56e : 사각돌출부
70 : 절연캡 71,72 : 삽입부
71a,72a : 반원돌기 W1 : 용접부

Claims (2)

  1. 스프링클러 레듀서(20)의 둘레에 밀착되고, 상기 스프링클러 레듀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적층되는 분할히터(30)(40);
    상기 분할히터(30)(40)의 양단에 형성되는 걸림턱(31)(32)(41)(42);
    상기 분할히터(30)(4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31t)(32t)(41t)가 표면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31)(32)(41)(42)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사다리꼴 단면의 단자노출홈(31g)(32g)(41g)(42g);
    상기 단자노출홈(31g)(32g)(41g)(42g)으로 각각 삽입되고, 상기 단자(31t)(32t)(41t)에 접속되어 통전되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절곡된 단자접속부(51)(61);
    상기 단자접속부(51)(61)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서로 겹쳐서 접합하기 위한 접합부(52)(62)가 상기 단자접속부(51)(61)의 사이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31)(32)(41)(42)의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통전밴드(50)(60);
    상기 접합부(52)(62)의 표면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브이커팅홈(53)(63);
    상기 단자접속부(51)(61)의 일측 가장자리에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31)(32)(41)(42)에 걸리면서 상기 분할히터(30)(4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판스프링(54)(64);
    상기 걸림턱(31)(32)(41)(42)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홈(33)(43);
    상기 판스프링(54)(64)으로부터 부분 절개된 후 안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걸림홈(33)(43)에 걸리는 탄성편(54a)(64a);
    상기 분할히터(30)(4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21)(22)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볼트(23)(24)가 결합되고, 상기 판스프링(54)(64)에 형성되는 버링너트(55)(65);
    상기 걸림턱(31)(32)(41)(42)에 형성되어 상기 버링너트(55)(65)를 수용하는 너트진입홈(34)(44);
    을 포함하는 스프링클러의 동파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54)(64)이 형성된 반대편 가장자리인 상기 단자접속부(51)(61)의 타측 가장자리에 서로 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단자접속부(51)(61)의 안쪽을 향해 말려서 끝 부분이 상기 단자접속부(51)(61)에 지지되는 ㄷ자 단면의 보강편(56)(66);
    상기 보강편(56)(66)과 상기 스프링클러 레듀서(20)의 사이에 위치되는 절연캡(70);
    상기 절연캡(70)으로부터 상기 보강편(56)(66)을 향해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보강편(56)(66)의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보강편(56)(66)의 상하단에 걸리는 T자 단면을 갖는 한 쌍의 삽입부(71)(72);
    상기 보강편(56)(66)의 단부에 걸리도록 상기 삽입부(71)(72)에 형성되는 반원돌기(71a)(72a);
    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의 동파방지장치.
KR1020180042473A 2018-04-12 2018-04-12 스프링클러의 동파방지장치 KR101894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473A KR101894737B1 (ko) 2018-04-12 2018-04-12 스프링클러의 동파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473A KR101894737B1 (ko) 2018-04-12 2018-04-12 스프링클러의 동파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737B1 true KR101894737B1 (ko) 2018-09-04

Family

ID=6359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473A KR101894737B1 (ko) 2018-04-12 2018-04-12 스프링클러의 동파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7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195B1 (ko) * 2020-05-21 2020-06-24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건축물의 소방배관용 절첩형 동파방지시설
CN111921146A (zh) * 2020-08-17 2020-11-13 王淼 一种消防用灭火效果好的管道
CN113181581A (zh) * 2021-03-24 2021-07-30 朱恩娇 一种冬季防爆式消防喷淋头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4943A (ja) * 1997-01-28 1998-08-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管カバー
KR20040013366A (ko) * 2002-08-06 2004-02-14 정규천 수도계량기의 동결 및 동파 방지장치
KR20080003218U (ko) * 2007-02-06 2008-08-11 남효갑 배관 동파방지 히터
US20100307622A1 (en) * 2007-12-14 2010-12-09 Amogreentech Co., Ltd. Pipe having function capable of preventing freezing burst using strip type surface heater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1165965B1 (ko) * 2012-01-13 2012-07-18 (주) 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구조물 외벽 배관 동파방지구조
US20120305543A1 (en) * 2011-06-01 2012-12-06 Heerema Marine Contractors Nederland B.V. Heating of pipe sections
KR101550729B1 (ko) 2014-01-16 2015-09-07 주식회사 상민이엔지 스프링클러의 동파방지장치
KR101811240B1 (ko) * 2017-06-01 2017-12-20 주식회사 디에이치기술단 소방급수관용 동파방지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4943A (ja) * 1997-01-28 1998-08-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管カバー
KR20040013366A (ko) * 2002-08-06 2004-02-14 정규천 수도계량기의 동결 및 동파 방지장치
KR20080003218U (ko) * 2007-02-06 2008-08-11 남효갑 배관 동파방지 히터
US20100307622A1 (en) * 2007-12-14 2010-12-09 Amogreentech Co., Ltd. Pipe having function capable of preventing freezing burst using strip type surface heater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20120305543A1 (en) * 2011-06-01 2012-12-06 Heerema Marine Contractors Nederland B.V. Heating of pipe sections
KR101165965B1 (ko) * 2012-01-13 2012-07-18 (주) 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구조물 외벽 배관 동파방지구조
KR101550729B1 (ko) 2014-01-16 2015-09-07 주식회사 상민이엔지 스프링클러의 동파방지장치
KR101811240B1 (ko) * 2017-06-01 2017-12-20 주식회사 디에이치기술단 소방급수관용 동파방지장치의 전원공급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195B1 (ko) * 2020-05-21 2020-06-24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건축물의 소방배관용 절첩형 동파방지시설
CN111921146A (zh) * 2020-08-17 2020-11-13 王淼 一种消防用灭火效果好的管道
CN113181581A (zh) * 2021-03-24 2021-07-30 朱恩娇 一种冬季防爆式消防喷淋头
CN113181581B (zh) * 2021-03-24 2022-08-26 福建步盛消防有限公司 一种冬季防爆式消防喷淋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737B1 (ko) 스프링클러의 동파방지장치
US11837854B2 (en) Sleeve protector for wires
US7967972B2 (en) Electrical connection to impressed current anode in concrete construction
JPH0245732B2 (ko)
KR100838634B1 (ko) 이중 박판도체를 이용한 관로 탐사선 및 그 연결 방법
KR100965910B1 (ko) 중공형 가변 관로 탐사선 및 그 연결 방법
KR101064391B1 (ko) 특 고압 전차선 송전선로의 안전보호 장치.
CN203895627U (zh) 一种电力设备线夹
JP2010007824A (ja) 断熱被覆銅管用固定金具及び固定方法
KR20160046156A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0766576B1 (ko) 전력 케이블의 보호커버 설치구조
GB2245772A (en) Electrical connectors
WO1994019641A1 (en) Heat insulated pipe system, method of laying the pipes, and means for joining the pipes
US11648427B2 (en) Fire-protection collar
US20070190839A1 (en) Cable end joint assembly
KR102101079B1 (ko)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
KR101132390B1 (ko)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
KR102174844B1 (ko) 스프링클러용 배관
KR102341289B1 (ko)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케이블 고정장치
KR20110003924U (ko) 통신케이블 파이프 보수 커버
AU2018246334A1 (en) Fire-protection collar
KR200454160Y1 (ko) 비닐하우스의 비닐고정용 스프링 연결구
KR200494247Y1 (ko)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
CN219011638U (zh) 一种竖向幕墙结构上横向灯具的固定装置
KR101986079B1 (ko) 조류 접근방지용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