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044B1 - A slow feeder bowl for pet animal - Google Patents

A slow feeder bowl for pet anim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044B1
KR101894044B1 KR1020170002429A KR20170002429A KR101894044B1 KR 101894044 B1 KR101894044 B1 KR 101894044B1 KR 1020170002429 A KR1020170002429 A KR 1020170002429A KR 20170002429 A KR20170002429 A KR 20170002429A KR 101894044 B1 KR101894044 B1 KR 101894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
center
pedestal
curvature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4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81324A (en
Inventor
진경희
임은진
Original Assignee
(주)몬도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몬도미오 filed Critical (주)몬도미오
Priority to KR1020170002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044B1/en
Publication of KR20180081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3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0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14Pet food dispensers; Pet food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07Transportable fodder pails or troughs

Abstract

본 발명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사료를 수용하는 그릇, 복수의 분리대를 포함하며, 상기 그릇의 내부에 형성되어 구획을 나누는 분리부 및 중심에 상기 그릇의 외면과 상응하는 형태의 받침대 홈을 포함하며, 상기 그릇의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그릇 외면의 곡률과 상기 받침대 홈 내면의 곡률이 일치하여, 상기 받침대 홈에 결합된 상기 그릇의 회전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feeding a feed, comprising a vessel for receiving feed, a plurality of separators, a separator formed inside the vessel and dividing the vessel, and a pedestal groov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vessel, Wherein the bowl is formed with a pedestal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wl so that the curv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wl coincides with the curvatur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edestal groove so that the bowl coupled to the pedestal groove is free to rotate. It is a tableware set.

Description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A slow feeder bowl for pet animal}{A slow feeder bowl for pet animal}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사용하는 식기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돌기나 칸막이로 식기를 나누어 강아지가 급하게 먹는 것을 방지하는 슬로우 피더용 훈련 식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washer used by a companion anim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ining dish for a slow feeder that prevents a dog from eating quickly by dividing a dishwasher by a projection or a partition.

선진국형 산업으로 분류되는 반려동물 산업은 해마다 반려동물의 수가 증가하면서 경기 불황 속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추세 속에서 반려동물의 건강을 염려하는 사람들의 수가 급증하고 있고, 반려동물의 식습관을 개선하여주는 슬로우 피더(slow feeder)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The companion animal industry, which is classified as a developed country industry, shows a steady rise despite the economic recession as the number of companion animals increases annually. In this trend, the number of people concerned about the health of companion animals is increasing rapidly, and the usage of slow feeder for improving the eating habits of companion animals is increasing.

슬로우 피더는 반려동물의 식사를 수용하는 식기 내부를 칸막이가 각각의 섹션을 구획함으로써 식사시간을 늘려주게 되어 반려동물에게 하여금 천천히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칸막이 이외에도 돌기 등의 구성으로 그릇 자체를 한 번에 많은 양을 먹을 수 없는 구조로 제작된 형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The slow feeder increases the meal time by partitioning each section of the dish inside the dish to accommodate the companion meal, allowing the companion animal to eat slowly. In addition to the cubicle, it is easy to find a shape made of a structure such as a protrusion that can not eat a large amount of food at a time.

이는 반려동물이 식사를 함에 있어서 식사시간을 늘려주어 과식을 방지할 수 있고, 소화를 증진시켜 장과 소화기관의 피로를 줄여주게 된다. 또한, 급하게 음식을 섭취함으로 인한 구토와 소화기관 내에 가스가 차게 되는 현상도 현저히 감소시켜준다.This increases the meal time for companion animals to prevent overeating and improves digestion, reducing bowel and digestive system fatigue. In addition, the vomiting caused by the ingestion of food quickly and the gas in the digestive tract are also significantly reduced.

그러나 종래에 유통되고 있는 슬로우 피더는 반려견이 식사를 하게 되는 최적의 높이를 고려하지 않아 식기의 높이가 낮은 형태로 제작되고, 이는 반려견이 앞다리를 접고 고개를 많이 숙여 식사를 하게 되는 불편한 자세를 야기하게 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slow feeder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optimum height at which the dogs eat, so that the height of the dishes is made low. This is because the dogs folded their front legs and bowed their heads a lot, .

또한, 높이가 낮은 슬로우 피더는 많은 사료의 양을 수용하기 위하여 밑면이 넓은 형태가 대부분으로써, 반려견이 돌기에 얼굴이 닿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좌우로 이리저리 왔다갔다 식사를 하는 현상도 발생한다.In addition, the slower slow feeder has a wide bottom shape in order to accommodate a large amount of feed, and a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dog feeds back and forth from side to side in order to prevent the dog from touching the surface of the protrusion.

무엇보다도 식기 내에 형성되는 돌기나 칸막이들이 식기와 일체형으로 제작됨으로 인하여 견주가 설거지를 실행할 시에 불편할 수 있고, 물그릇을 별도로 구비해야 된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Above all, since the projections and the partition formed in the tableware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tableware, it can be inconvenient when the dishes are washed and the water container must be provided separately.

국내공개특허공보 10-2016-0063112호 ("애완동물용 식기")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063112 ("pet food dishwar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슬로우 피더를 사용하는 반려견에게 보다 편한 자세로 식사할 수 있고, 견주에게는 설거지를 실행할 시에 높은 청결도를 유지할 수 있는 슬로우 피더를 구성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ow feeder which can maintain a high degree of cleanliness when a dishwasher is carried out.

본 발명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사료를 수용하는 그릇, 복수의 분리대를 포함하며, 상기 그릇의 내부에 형성되어 구획을 나누는 분리부 및 중심에 상기 그릇의 외면과 상응하는 형태의 받침대 홈을 포함하며, 상기 그릇의 하부에 형성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그릇 외면의 곡률과 상기 받침대 홈 내면의 곡률이 일치하여, 상기 받침대 홈에 결합된 상기 그릇의 회전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feeding a feed, comprising a vessel for receiving feed, a plurality of separators, a separator formed inside the vessel and dividing the vessel, and a pedestal groov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vessel, And a pedestal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essel, wherein a curv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vessel coincides with a curvatur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edestal groove, so that the vessel coupled to the pedestal groove is free to rotate.

상기 그릇의 내면의 곡률과 상기 분리부 밑면의 곡률이 일치하여, 상기 그릇 내면에 결합된 상기 분리부의 회전 및 이동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urvatur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vessel coincides with the curvatur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parator, so that the separator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essel is free to rotate and move.

상기 그릇의 외면의 곡률은 상기 그릇의 내면의 곡률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urv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vessel is larger than the curvatur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vessel.

상기 분리부는 상기 그릇의 내면에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eparating uni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vessel.

상기 그릇은 그릇 하부를 구성하는 재질의 밀도가 그릇 상부를 구성하는 재질의 밀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w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nsity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vessel is higher than the density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vessel.

상기 그릇 상부 외면에 난간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에서 상기 그릇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ailing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wl top to prevent the bow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wl.

상기 난간은 상기 그릇 테두리의 임의의 한 점에 힘을 가할 시에 상기 그릇의 외면이 상기 받침대 홈을 이탈하지 않는 높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railing is formed at a height such that an outer surface of the vessel does not deviate from the pedestal groove when a force is applied to an arbitrary point of the vessel rim.

상기 그릇의 외면과 내면 사이에 무게중심 이동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무게중심 이동구간 내부에 유동이 가능한 무게중심 구슬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enter-of-gravity movement section is formed between an outer surfac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bowl, and a center-of-gravity bead capable of flowing into the center-of-gravity movement section is inserted.

상기 무게중심 이동구간은 상기 무게중심 구슬이 상기 무게중심 이동구간의 가장자리에 위치하였을 시에 상기 그릇의 외면이 상기 받침대 홈을 이탈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center-of-gravity movement section is such that an outer surface of the bowl does not separate from the pedestal groove when the center-of-gravity bead is positioned at the edge of the center-of-gravity movement section.

본 발명은 반려견이 식사를 할 때 지면의 상태와 관계없이 식기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 사료를 섭취하는 최적의 각도를 제공함에 따라, 반려견들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줄여주어, 식기의 360도 중 임의의 한 방향에서 안정감 있는 식사 자세를 제공하고, 식기의 구획을 나누어 섭취시간을 연장시키는 분리부가 탈착됨에 따라서 견주가 설거지를 할 때 기존의 슬로우 피더보다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timum angle for feeding a feed without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tableware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ground when the dog is eating, thereby reducing the unnecessary movement of the dog,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leaner state than the conventional slow feeder when the dish is washed as the separating section for extending the time for consuming is divided by dividing the section of the tableware by providing a stable eating posture in one direction.

또한 분리부가 분리가 된 상태의 그릇은 물그릇으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반려견이 섭취하는 물을 수용하는 별도의 식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ed bowl can be used as a water bowl, so that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dish for accommodating the water consumed by the do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의 구성품인 분리부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의 구성품인 그릇과 받침대의 결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의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t of dishware for preventing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a set of dishware for preventing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a set of dishware for preventing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t of dishes for preventing leaning against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paration unit which is a component of a set for dishwasher pre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 bowl and a pedestal, which are components of a dish set for preventing a companion animal fee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a set of dishes for preventing leaning against anima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t of dishes for preventing leaning against anima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t of dishes for preventing leaning against anima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can be made.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의 예시도이다. 그릇(100)의 360도 어떤 방향에서든지 안정감 있는 식사 자세를 제공하기 위하여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t of dishware for preventing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60 degrees of the bowl 100 are formed hemispherically to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in any direction.

그러나 반구형의 상기 그릇(100)의 외면이 지면과 직접 접하여 서있게 된다면, 반려견이 식사를 할 때에 상기 그릇(100)의 무게중심이 쏠려 내부에 수용되어있던 사료가 지면으로 엎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그릇(100)의 하부에 받침대를 형성하여 상기 그릇(100)의 하부의 마찰력을 약간 높여주어 쉽게 엎어지지 않도록 구성하였다.However, if the outer surface of the hemispherical bowl 10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wl 100 is tilted when the dog is eating, and the feed contained therein falls down to the ground . In order to prevent such a phenomenon, a pedestal is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bowl 100 so that the frictional force of the lower part of the bowl 100 is slightly raised, so that it can not be easily turned over.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의 평면도이다. 상기 그릇(100)의 내부를 살펴보면, 분리부(200)가 상기 그릇(100) 내부를 각각의 섹션으로 나누게 된다. 상기 분리부(200)는 선행문헌의 돌기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반려견들의 식사시간을 줄여주게 된다.2 is a plan view of a set of dishware for preventing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inside of the bowl 100, the separating unit 200 divides the inside of the bowl 100 into respective sections. The separator 200 serves as a protrusion of the prior art, thereby reducing the meal time of the dog.

상기 분리부(200)는 복수의 분리대(210)가 상기 그릇(100)의 내부를 섹션으로 나누어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복수의 분리대(210)가 동일한 너비의 구간을 섹션으로 나눌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분리대(210)와 결합하는 분리부 중심(220)으로 구성된다.The separation unit 200 divides the inside of the bowl 100 into a plurality of separators 210 and separates the plurality of separators 210 so that the plurality And a separating portion center 220 coupled with the separating portion 210 of the separating portion 210.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의 분해도이다. 상기 받침대(300) 상부에는 상기 그릇(100)을 수용할 수 있는 받침대 홈(310)을 형성한다. 이는 상기 그릇(100)이 반구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그릇(100)이 지면에 직접 닿아있을 때의 면적보다 상기 받침대 홈(310)에 수용되었을 때 닿게 되는 면적이 더 넓어져서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반구형으로 형성된 상기 그릇(100)이 작은 힘으로 무게중심이 쏠려 엎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FIG. 3 is an exploded view of a set of dishware for preventing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 pedestal groove 310 capable of receiving the bowl 100 is formed on the pedestal 300. Since the bowl 100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the area of the bowl 100 when the bowl 100 is received in the bowl groove 310 is wider than the area when the bowl 10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thereby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 This can preven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wl 100, which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from being tilted by a small force.

상기 그릇(100)의 내부에는 상기 분리부(200)가 삽입되어 상기 그릇(100)의 내부를 각각의 섹션으로 나누게 되어 반려견의 사료 섭취시간을 늘리게 된다. 상기 분리부(200)는 상기 그릇(100)과 탈착이 가능하여 견주가 설거지를 할 때 종래의 슬로우 피더보다 높은 청결도를 유지할 수 있다.The separating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bowl 100 to divide the inside of the bowl 100 into separate sections, thereby increasing the feed intake time of the dog. The separating unit 200 can be detached from the bowl 100 and can maintain a cleanliness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slow feeder when washing it.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의 단면도이다. 상기 받침대 홈(310)의 내면이 형성하는 곡률과 상기 그릇(100)의 외면이 형성하는 곡률은 R1으로 일치시킴으로써, 상기 받침대 홈(310)과 상기 그릇(100)의 마찰력을 최대한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받침대 홈(310)이 형성하는 구간 내에서 상기 그릇(100)의 회전운동이 자유로워진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t of dishes for preventing leaning against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ature form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cradle groove 310 and the curvature formed by the outer surface of the cradle 100 are matched with R1 so that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cradle groove 310 and the cradle 100 is maximized, The rotation of the bowl 100 is made free within the section formed by the base groove 310.

또한, 상기 그릇(100)의 내면이 형성하는 곡률과 상기 분리부(200)의 하부가 형성하는 곡률은 R2로 일치시킴으로써, 상기 분리부(200)가 상기 그릇(100)의 내에서의 이동이 자유로워진다.The curvature form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bowl 100 and the curvature formed by the lower portion of the separation unit 200 are matched by R2 so that the movement of the separation unit 200 within the bowl 100 It becomes free.

상기 그릇(100)은 그릇 하부(110)와 그릇 상부(120)로 나뉘게 된다. 이는 상기 그릇(100)을 형성하는 재질의 차이를 기준으로 구분하게 된다. 상기 그릇 하부(110)의 재질은 상기 그릇 상부(120)를 형성하는 재질보다 무거운 것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받침대(300)와 상기 그릇(100) 사이에 형성되는 마찰력보다 높은 외력이 상기 그릇(100) 테두리의 임의의 한 점에 작용하였을 시에 상기 그릇(100)이 상기 받침대(30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bowl 100 is divided into a bowl bottom 110 and a bowl top 120. This is based on the difference of the material forming the bowl 100. The material of the lower portion 110 of the vessel is formed to be heavier than the material of the upper portion 120 of the vessel. This is because when the external force higher than the frictional force formed between the pedestal 300 and the bowl 100 acts on an arbitrary point of the rim of the bowl 100, the bowl 100 is separated from the pedestal 300 .

이와 더불어 상기 그릇(100) 외면의 곡률 R1은 상기 그릇(100) 내면의 곡률 R2보다 큰 값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그릇(100)의 중심부 쪽으로 무게중심을 형성하여 상기 그릇(100)이 상기 받침대(300)에 안정적으로 결합이 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urvature R1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wl 10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urvature R2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wl 100. This forms a center of gravity toward the center of the bowl 100 so that the bowl 100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pedestal 30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의 구성품인 분리부(200)의 예시도이다. 상기 분리부(200)는 상기 복수의 분리대(210)가 상기 분리부 중심(220)에 결합된다. 이는 상기 복수의 분리대(210)로 나눠지게 되는 구간이 상기 분리부 중심(220)에 결합되는 결합력에 의해서 변경되지 않게 되고 동일한 면적의 섹션을 구획할 수 있다.FIG. 5 is an exemplary view of a separation unit 200 which is a component of a set for dishwashing prevention of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separators 210 are coupled to the separator center 220 of the separator 200. This is because the section divided by the plurality of separators 210 is not changed by the coupling force of the separator section 220, and the sections of the same section can be divided.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의 구성품인 그릇과 받침대의 결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분리부(200)는 상기 그릇(100) 내면과 탈착이 가능하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 bowl and a pedestal, which are components of a dish set for preventing a companion animal fee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or 200 is detachabl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owl 100.

상기 분리부(200)가 분리가 된 상기 그릇(100)은 견주가 설거지를 할 때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반려견의 물그릇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 물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식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The bowl 100 separated from the separating unit 200 can be easily used for washing dishes, and can also be used as a water bowl for a dog, so that a separate dish for providing water is provided You do not have to.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의 평면도이다. 상기 분리부(200)가 수용되는 상기 그릇(100)의 외면에 별도의 난간(130)을 형성하게 된다. 이는 상기 그릇(100)이 한쪽으로 쏠리는 무게중심에 의해 상기 받침대(300)를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7 is a plan view of a set of dishes for preventing leaning against anima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railing 13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wl 100 in which the separating unit 200 is received. This is to prevent the bowl 10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pedestal 300 by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wl 100 being pushed to one side.

또한 상기 난간(130)은 상기 그릇(100)의 외면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그릇(100)이 360도 어떤 방향에서든지 상기 받침대(30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railing 130 is formed around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bowl 100 to prevent the bowl 10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pedestal 300 in any direction of 360 degrees.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의 단면도이다. 상기 그릇(100)의 외면에 형성되는 상기 난간(130)이 상기 받침대(300)에 걸쳤을 때 상기 그릇(100)의 무게중심이 한 쪽으로 쏠리지 않는 최대 높이에 형성한다. 이로써 상기 그릇(100)이 엎어지지 않고 상기 받침대(300)에 수용되어 움직일 수 있는 최대 범위를 회전할 수 있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t of dishes for preventing leaning against anima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ailing 13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wl 100 hits the pedestal 300,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wl 100 is formed at a maximum height that does not deviate toward one side. Thereby, the bowl 100 can be rotated in a maximum range that can be received and accommodated in the pedestal 300 without tipping over.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의 단면도이다. 반구형으로 형성된 상기 그릇(100)은 R1의 곡률로 형성된 외면과 R2의 곡률로 형성된 내면 사이의 공간에 무게중심이 움직일 수 있는 무게중심 이동구간(140)을 형성하고, 상기 무게중심 이동구간(140) 내부에서 중력으로 인하여 운동을 하게 되는 무게중심 구슬(150)을 삽입한다. 이는 상기 그릇(100) 테두리 임의의 한 점에 과도한 힘이 작용할 시에 상기 그릇(100)의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과도하게 치우쳐져 상기 받침대(300)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t of dishes for preventing leaning against anima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wl 100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forms a center-of-gravity movement section 140 in which a center of gravity can move in a space between an outer surface formed by a curvature of R1 and an inner surface formed by a curvature of R2, A center-of-gravity bead 150 is inserted which is moved due to gravity. This is becaus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wl 100 is excessively biased to one side when an excessive force is exerted on any one of the edges of the bowl 100 to prevent the support 300.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그릇 110 : 그릇 하부
120 : 그릇 상부 130 : 난간
140 : 무게중심 이동구간 150 : 무게중심 구슬
200 : 분리부 210 : 분리대
220 : 분리부 중심
300 : 받침대 310 : 받침대 홈
R1 : 그릇 외면 곡률 R2 : 그릇 내면 곡률
100: bowl 110: bowl bottom
120: bowl top 130: railings
140: center of gravity moving zone 150: center of gravity ball
200: separator 210: separator
220: separation center
300: pedestal 310: pedestal groove
R1: Outside curvature of the bowl R2: Curvature inside the bowl

Claims (9)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사료를 수용하는 그릇(100);
복수의 분리대(210)를 포함하며, 상기 그릇(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구획을 나누는 분리부(200); 및
지면에 상기 그릇(100)이 안착되도록 상기 그릇(100)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태의 받침대 홈(310)이 형성된 받침대(300);
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받침대 홈(310)에 결합된 상기 그릇(100)은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그릇(100) 상부의 형성되며, 상기 그릇(100)이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난간(1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
A bowl (100) formed into a hemispherical shape to receive the feed;
A separator 200 including a plurality of separators 210 and formed inside the bowl 100 to divide the compartments; And
A pedestal 300 formed with a pedestal groove 310 corresponding to an outer surface of the vessel 100 so that the pedestal 100 is seated on the ground;
Respectively,
The bowl 100 coupled to the pedestal groove 310 is characterized by being rotatable in any direction,
A handrail 130 formed on the bowl 100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bowl 100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Wherein the set includes a plurality of dish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릇(100)의 내면의 곡률과 상기 분리부(200) 밑면의 곡률이 일치하여, 상기 그릇(100) 내면에 결합된 상기 분리부(200)의 회전 및 이동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parating part (200) is free to rotate and move with the curvatur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wl (100) being coincident with the curvatur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parating part (200) Set of utensil to prevent skidd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릇(100)의 외면의 곡률은 상기 그릇(100)의 내면의 곡률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curvature of an outer surface of the bowl (100) is larger than a curvature of an inner surface of the bowl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200)는 상기 그릇(100)의 내면에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parator (200) is detachabl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wl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릇(100)은
그릇 하부(110)를 구성하는 재질의 밀도가 그릇 상부(120)를 구성하는 재질의 밀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wl (100)
Wherein the density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container lower portion (110) is higher than the density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container upper portion (12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130)은
상기 그릇(100) 테두리의 임의의 한 점에 힘을 가할 시에 상기 그릇(100)의 외면이 상기 받침대 홈(310)을 이탈하지 않는 높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rail 130
Wherein an outer surface of the bowl (100) is formed at a height such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bowl (100) does not detach from the pedestal groove (310) when a force is applied to an arbitrary point of the rim of the bowl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릇(100)의 외면과 내면 사이에 무게중심 이동구간(140)을 형성하고 상기 무게중심 이동구간(140) 내부에 유동이 가능한 무게중심 구슬(150)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enter-of-gravity movement section 140 is formed between an outer surfac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bowl 100 and a center-of-gravity bead 150 capable of flowing into the center-of-gravity movement section 140 is inserted. A set of preventive utensil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중심 이동구간(140)은
상기 무게중심 구슬(150)이 상기 무게중심 이동구간(14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였을 시에 상기 그릇(100)의 외면이 상기 받침대 홈(310)을 이탈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enter-of-gravity movement section 140
Wherein when the center-of-gravity bead (150) is positioned at the edge of the center-of-gravity-moving section (140), the outer surface of the bowl (100) does not separate from the pedestal groove (310) set.
KR1020170002429A 2017-01-06 2017-01-06 A slow feeder bowl for pet animal KR1018940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429A KR101894044B1 (en) 2017-01-06 2017-01-06 A slow feeder bowl for pet anim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429A KR101894044B1 (en) 2017-01-06 2017-01-06 A slow feeder bowl for pet anim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324A KR20180081324A (en) 2018-07-16
KR101894044B1 true KR101894044B1 (en) 2018-09-04

Family

ID=63048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429A KR101894044B1 (en) 2017-01-06 2017-01-06 A slow feeder bowl for pet anim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04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3501A (en) 2021-09-24 2023-03-31 류승만 Dishes for preventing pets from feeding quickly
KR102622184B1 (en) 2023-04-06 2024-01-05 오현민 Multifunctional food container assembly for companion animals to prevent sudden body stagn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56426A (en) * 2019-03-27 2020-10-01 株式会社ワークスタジオ Spherical surface support
KR102094433B1 (en) * 2019-08-14 2020-03-30 임은진 Top-type cat dis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7221B2 (en) 1997-09-22 2000-05-29 株式会社宗商 Crustacean coloring method and colored crustaceans
KR200450595Y1 (en) * 2009-10-16 2010-10-15 곽상현 A container of multi-functional rotation type
KR101306485B1 (en) 2013-02-27 2013-09-09 이평우 Supporter apparatus of bowl for animal
JP2015213436A (en) * 2014-05-07 2015-12-03 株式会社テラモト Eating utensil for pe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7221U (en) * 1997-09-18 1998-04-10 株式会社イケダ Pet tableware
KR101695520B1 (en) 2014-11-26 2017-01-23 이기현 A Bowl For Pet Anim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7221B2 (en) 1997-09-22 2000-05-29 株式会社宗商 Crustacean coloring method and colored crustaceans
KR200450595Y1 (en) * 2009-10-16 2010-10-15 곽상현 A container of multi-functional rotation type
KR101306485B1 (en) 2013-02-27 2013-09-09 이평우 Supporter apparatus of bowl for animal
JP2015213436A (en) * 2014-05-07 2015-12-03 株式会社テラモト Eating utensil for p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3501A (en) 2021-09-24 2023-03-31 류승만 Dishes for preventing pets from feeding quickly
KR102622184B1 (en) 2023-04-06 2024-01-05 오현민 Multifunctional food container assembly for companion animals to prevent sudden body stag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324A (en) 201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044B1 (en) A slow feeder bowl for pet animal
KR20130047141A (en) Food container for pet
US8348084B2 (en) Container having surrounding handle and gimbal
KR200488396Y1 (en) height adjustable and rotatable Pet bowl
US4351444A (en) Bowl for maintaining liquids and solid foods separate
US5117778A (en) Moated animal feeding dish
US20170105386A1 (en) Pet feeder table
US20050242100A1 (en) Spill-proof container
CN211066041U (en) Inner cup structure and double-layer cup structure
CN102961005A (en) Chinese soup spoon
US20170143135A1 (en) Infant Support Having Tray with Repositionable Insert
US10051983B2 (en) Cereal bowl
KR20120038858A (en) Tableware for infant
US10398126B2 (en) Animal feeding assembly
JP2007075546A (en) Seasoning container tray also serving as seating for platter
CN219939281U (en) Multi-layer combined pet bowl
WO2008020844A1 (en) Spill proof container having gimbal
KR200463573Y1 (en) A drink cup assembly container
JP2006211918A (en) Feeder for cat
CN112790573B (en) Beverage cup
CN213029457U (en) Pet bowl convenient for pet to use
KR20190001017U (en) Bowl For Pets
KR20180111022A (en) Baby food plate
JP3118370U (en) Pet tableware
WO2017084086A1 (en) Pet fee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