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869B1 -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 - Google Patents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869B1
KR101893869B1 KR1020180047037A KR20180047037A KR101893869B1 KR 101893869 B1 KR101893869 B1 KR 101893869B1 KR 1020180047037 A KR1020180047037 A KR 1020180047037A KR 20180047037 A KR20180047037 A KR 20180047037A KR 101893869 B1 KR101893869 B1 KR 101893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hammer
air supply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금섭
Original Assignee
노금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금섭 filed Critical 노금섭
Priority to KR1020180047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00Drives for drilling, used in the borehole
    • E21B4/06Down-hole impacting means, e.g. hammers
    • E21B4/14Fluid operated ham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4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ball-shaped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with a mechanism, other than pulling-or pushing-rod, between fluid motor and closur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을 천공하기 위해 선단장치에 장착되어 햄머를 장착히기 위한 햄머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햄머 어댑터로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 공급 구조를 유로를 개폐하는 볼과 그 볼의 개폐를 단속하는 개폐 디스크로 구성함으로써, 햄머 어댑터 구조의 개선과 이에 따른 제작상의 편리함과 제작 단가의 절감을 가져오게 하며, 또한 힌지 회동에 의해 개폐 작동되는 개폐 디스크 구조를 이루게 구성함으로써, 그 구조 및 작동상의 간소화에 따른 고장률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Hammer adapter}
본 발명은 지반을 천공하기 위해 선단장치에 장착되어 햄머를 장착히기 위한 햄머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 구조를 개선하여 구조적인 간소화 및 안정된 공기 흐름의 개폐가 가능하게 하는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반으로 이루어진 지반에 말뚝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크레인 등의 선단장치를 이용하여 햄머에 의해 암반을 파쇄하여 말뚝공을 굴착하게 된다.
이때, 암반을 타격하여 파쇄하는 상기 햄머는 선단의 햄머 비트와 햄머 몸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압에 의하여 상기 햄머가 수직으로 진동하여 햄머 비트가 암반을 타격함과 동시에 모터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햄머가 회전하여 굴진함으로써 말뚝공을 천공하게 된다. 즉, 햄머 비트가 지반을 타격하여 암반 등을 분쇄함과 동시에 회전하여 지반을 굴착하여 말뚝공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공압에 의해 수직 진동하는 햄머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그 햄머(10)가 햄머 어댑터(20)의 내부에 수용되게 구성되며, 그 햄머 어댑터(20)에는 수직으로 관통되어 공압이 작용하는 유로(21)가 구성되며, 그 유로(21)는 스프링 작동하는 체크밸브(30)에 의해 개폐되게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체크밸브를 이용한 개폐 구조는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면서도 햄머 어댑터 제작 비용이 증대되며, 특히 반복 사용시 스프링의 부식으로 인해 고장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제10-1081176호.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제10-117827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햄머 어댑터로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 공급 구조를 유로를 개폐하는 볼과 그 볼의 개폐를 단속하는 개폐 디스크로 구성함으로써, 햄머 어댑터 구조의 개선과 이에 따른 제작상의 편리함과 제작 단가의 절감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힌지 회동에 의해 개폐 작동되는 개폐 디스크 구조를 이루게 구성함으로써, 그 구조 및 작동상의 간소화에 따른 고장률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내부가 중공되고 하부로 개방되어 햄머가 삽탈되는 햄머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단면 중앙에 햄머 수용홈과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부 둘레에는 선단장치에 장착 가능한 나사부가 형성된 어댑터 몸체;
어댑터 몸체의 상단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부로 개방되고 유로와 연통되는 에어 공급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에어 공급공간과 연통되는 에어 공급공이 관통 형성된 개폐 작동부; 및
개방된 에어 공급공간의 상단을 마감하는 마감캡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개폐 작동부에는,
에어 공급공간에 수용되어 유로의 개폐를 단속하는 금속재로된 "구(球)"형 개폐볼; 및
에어 공급공간의 내측에서 개폐 작동부에 힌지 연결되어 에어 공급공으로 에어가 공급시 개폐볼을 밀어 유로를 개방하고 에어 공급이 중단시 자동 복귀되어 개폐볼을 원상 복귀 시키는 개폐 디스크가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는, 햄머 어댑터의 상부에 일측으로 관통되는 에어 공급공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에어 공급공을 통해 에어가 공급시 회동 작동하는 개폐 디스크 및 그 개폐 디스크의 작동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는 구형 볼로 구성된 것인바, 햄머 어댑터의 구조가 간소화되는 한편, 이에 따른 햄머 어댑터 제작상의 편리함 및 단가의 현격한 절감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개폐 디스크가 힌지 작동되는 단순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인바, 그 고장률이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의 개폐볼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의 다른 실시예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의 다른 실시예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의 장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의 작동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1)는, 어댑터 몸체(100)와, 개폐 작동부(200)와, 마감캡(3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어댑터 몸체(100)는, 통상의 천공장치에 적용되는 햄머(도면중 미도시함)가 장착되게 구성된다.
이때, 어댑터 몸체(100)는 내부가 중공된 관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부는 막히고 하부로 개방되어 햄머가 삽탈되는 햄머 수용홈(110)이 구성된다.
그리고, 어댑터 몸체(100)에는 그 막힌 상부 중앙에는 햄머 수용홈(110)으로 관통되어 공압이 어댑터 몸체(100)의 상부로부터 햄머 수용홈(110)으로 작용 가능하게 하는 유로(120)가 구성된다.
그리고, 어댑터 몸체(100)의 상부 둘레는 어댑터 몸체(100)를 선단장치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나사부(130)가 구성된다.
즉, 어댑터 몸체(100)는 햄머 수용홈(110)에 햄머(2)가 수용된 상태에서 유로(120)를 통해 고압의 에어(공압)를 부여시 그 공압에 의해 햄머(2)를 타격 및 하방 돌출되게 한다.
한편, 상기 햄머 어댑터(1)의 상부면은 외측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140)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그 경사면(140)의 중앙에 유로(120)가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햄머 어댑터(1)의 상부면을 경사면(140) 구성함으로, 하기하는 개폐볼(210)이 항시 중앙을 향하려는 구름력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 개폐 작동부(200)는, 어댑터 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로(120)의 개폐가 가능하게 하는 개폐 작동부(200)가 구성된다.
이때, 개폐 작동부(200)는 상기 어댑터 몸체(100)의 상단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내부에는 상부로 개방되는 에어 공급공간(201)을 으로는 관체 형태로 구성되며, 그 에어 공급공간(201)은 상기 유로(120)와 연통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개폐 작동부(200)의 측면에는 외부와 에어 공급공간(201)을 연통하는 에어 공급공(202)이 관통 구성된다.
한편, 개폐 작동부(200)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유로(120)의 개폐가 가능하게 하는 개폐볼(210)과, 개폐 디스크(220)가 더 포함되게 구성된다.
먼저, 개폐볼(210)은 금속재로 구성되며 상기 유로(120) 보다 큰 직경을 이루는 구(球)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어댑터 몸체(100)의 상부 경사면(140)에 장착되어 항시 경사면(140)을 따라 중앙으로 향하려는 구름력을 가지게 구성된다.
즉, 개폐볼(210)은 경사면(140)에 의해 항시 중아으로 향하게 자중 구름력을 가지게 구성된 것으로,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시에는 항시 유로(120) 상단을 덮어 마감하게 되고, 그 개폐볼(210)에 외력을 가할시 유로(120)로부터 벗어나 그 유로(120)의 개방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개폐볼(210)을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5의 도시와 같이 개폐볼(210)의 둘레에는 유로(120)에 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실리콘이 코팅된 실리콘 코팅층(211)이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 디스크(220)는 개폐 작동부(200)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볼(210)에 외력을 부여 및 유로(120)를 개방하게 구성된다.
이때 개폐 디스크(220)는 에어 공급공간(201)의 내부에 수용되는 한편 개폐 작동부(200)에 힌지(H)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설치 위치는 에어 공급공(202)의 전방에 위치되게 구성되며, 외력을 부여시 회동되게 구성된다.
즉, 개폐 디스크(220)는 평상시에는 개폐볼(210)에 밀려 복귀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에어 공급공(202)을 통해 고압의 에어가 공급시 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게 구성된 것으로, 그 밀리는 과정에서 개폐볼(210)을 밀어내어 유로(120)의 개방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마감캡(300)은 개폐 작동부(200)의 상단을 덮어 개방된 에어 공급공간(201)을 마감하게 구성된다.
이때, 마감캡(300)을 개폐 작동부(200)에 결합함에 있어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나사 결합 또는 억지 끼움 결합 등을 통해 마감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폐 작동부(200)를 구성함에 있어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먼저, 개폐 작동부(200)는 도 2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어댑터 몸체(100)의 상단에서 그 어댑터 몸체(100)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일체 구성은 단일 규격의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개폐 작동부(200)는 도 6 및 도 7의 도시와 같이 어댑터 몸체(10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어댑터 몸체(100)의 상단에는 상부로 소정 돌출되는 작동부 결합부(15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작동부 결합부(150)는 상부로 개방되는 형태를 이루며, 그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51)가 구성되고, 그 내측 하단 둘레에는 패킹(153)이 장착되는 패킹홈(152)을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 작동부(200)의 하단 둘레에는 상기 작동부 결합부(150)의 암나사부(151)에 나사 체결이 가능한 수나사부(251)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다.
즉, 개폐 작동부(200)는 어댑터 몸체(100)의 상단에 착탈 장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착탈 장착 구조는 햄머 어댑터(1)를 구성함에 있어, 에어 공급공간(201)의 규격 조절에 따른 에어 공급량의 조절 사용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1)는, 통상의 암반 천공을 위해 햄머를 선단장치에 장착 및 고압의 에어를 햄머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하되, 본 발명에서는 그 에어의 공급 구조의 개선에 따른 햄머 어댑터 제작상의 편리함 및 제작 단가의 절감이 가능하게 하며 유로의 개폐 구조 간소화에 따른 고장률을 최소화 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1)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8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1)는 어댑터 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130)를 이용하여 선단장치(50)에 장착 및 햄머 수용홈(110)에는 햄머(2)가 장착되고, 개폐 작동부(200)의 에어 공급공(202)에는 선단장치(50)의 에어 공급수단(51)과 연결되어 에어 공급공간(201)으로 에어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도 9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1)를 이용하여 햄머(2)를 작동하기 위한 에어를 공급하게 되면, 그 에어는 에어 공급수단(51)을 통해 공급된 고압의 에어는 에어 공급공간(201)으로 진입함과 동시에 개폐 디스크(220)를 타격 및 그 개폐 디스크(220)를 밀어내게 된다.
이후, 에어의 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지는 개폐 디스크(220)는 개폐볼(210)과 간섭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간섭을 통해 개폐볼(210)을 밀어내어 유로(120)를 개방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유로(120)가 개방되게 되면 고압의 에어는 유로(120)를 통해 햄머 수용홈(110) 상부로 진입되어 햄머 수용홈(110)에 수용된 햄머(2) 상단을 타격 및 그 햄머(2)를 하방으로 돌출시켜 암반을 타격 및 파쇄하게 된다.
이후, 고압의 에어 공급을 차단하게 되면 개폐볼(210)은 그 중량에 의한 자중이 발생하게 되는 것인바, 경사면(140)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 및 유로(120) 상부를 덮어 마감하게 되어 잔류 에어가 유로(120)로 유입되어 햄머(2)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고압의 에어의 공급 및 차단에 따라 개폐 디스크(220) 및 개폐볼(210)의 기계적인 작용으로 유로(120)의 개폐가 반복되는 것인바, 햄머(2)의 반복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는, 비교적 제작이 편리하고 단가가 저렴한 개폐 디스크 및 개폐볼의 작동 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구조적인 간소화에 따른 제작이 편리하고 고장률을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된다.
100 : 어댑터 몸체 110 : 햄머 수용홈
120 : 유로 130 : 나사부
140 : 경사면 150 : 작동부 결합부
151 : 암나사부 152 : 패킹홈
153 : 패킹
200 : 개폐 작동부 201 : 에어 공급공간
202 : 에어 공급공 210 : 개폐볼
211 : 실리콘 코팅층 220 : 개폐 디스크
251 : 수나사부 300 : 마감캡

Claims (4)

  1. 내부가 중공되고 하부로 개방되어 햄머가 삽탈되는 햄머 수용홈(110)이 형성되고, 상단면 중앙에 햄머 수용홈(110)과 연통되는 유로(120)가 형성되며, 상부 둘레에는 선단장치에 장착 가능한 나사부(130)가 형성된 어댑터 몸체(100);
    어댑터 몸체(100)의 상단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부로 개방되고 유로(120)와 연통되는 에어 공급공간(201)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에어 공급공간(201)과 연통되는 에어 공급공(202)이 관통 형성된 개폐 작동부(200); 및
    개방된 에어 공급공간(201)의 상단을 마감하는 마감캡(30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개폐 작동부(200)에는,
    에어 공급공간(201)에 수용되어 유로(120)의 개폐를 단속하는 금속재로된 "구(球)"형 개폐볼(210); 및
    에어 공급공간(201)의 내측에서 개폐 작동부(200)에 힌지(H) 연결되어 에어 공급공(202)으로 에어가 공급시 개폐볼(210)을 밀어 유로(120)를 개방하고 에어 공급이 중단시 자동 복귀되어 개폐볼(210)을 원상 복귀 시키는 개폐 디스크(220)가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
  2. 제 1항에 있어서,
    어댑터 몸체(100)의 상부면은,
    외측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를 이루를 경사면(140)으로 구성하되,
    하부 중앙에 유로(120)를 형성하여 개폐볼(210)이 항시 구름력에 의해 유로(120) 상부에 위치하려는 복귀력을 가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
  3. 제 1항에 있어서,
    개폐 작동부(200)는,
    어댑터 몸체(100)의 상단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되,
    어댑터 몸체(100)의 상단에는 상부로 돌출되며 내주면에는 상부로부터 암나사부(151)와 패킹(153)이 장착되는 패킹홈(152)이 형성된 작동부 결합부(150)를 구성하며,
    개폐 작동부(200)의 하단 둘레에는 작동부 결합부(150)의 암나사부(151)에 내삽되는 수나사부(251)가 형성되게 구성하되,
    선단장치의 규격에 따라 다양한 직경의 개폐 작동부(200)가 어댑터 몸체(100)에 장착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
  4. 제 1항에 있어서,
    개폐볼(210)은,
    유로(120)에 밀착력을 부여하기 위해 둘레에 실리콘 코팅층(211)이 더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
KR1020180047037A 2018-04-24 2018-04-24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 KR101893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037A KR101893869B1 (ko) 2018-04-24 2018-04-24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037A KR101893869B1 (ko) 2018-04-24 2018-04-24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869B1 true KR101893869B1 (ko) 2018-10-04

Family

ID=63862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037A KR101893869B1 (ko) 2018-04-24 2018-04-24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8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373B1 (ko) * 2019-03-25 2020-06-01 노금섭 선단 장치용 해머 어댑터
KR102274526B1 (ko) * 2020-01-06 2021-07-08 김홍빈 진공펌핑방식의 밀폐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5023A (ja) 2004-10-28 2006-05-18 Taiheiyo Material Kk 圧力弁付き噴霧ノズル
KR101472783B1 (ko) 2014-03-27 2014-12-15 성렬수 지반굴착용 선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5023A (ja) 2004-10-28 2006-05-18 Taiheiyo Material Kk 圧力弁付き噴霧ノズル
KR101472783B1 (ko) 2014-03-27 2014-12-15 성렬수 지반굴착용 선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373B1 (ko) * 2019-03-25 2020-06-01 노금섭 선단 장치용 해머 어댑터
KR102274526B1 (ko) * 2020-01-06 2021-07-08 김홍빈 진공펌핑방식의 밀폐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869B1 (ko) 선단장치용 햄머 어댑터
US7654474B2 (en) Rotating sprinkler head valve
JP5351890B2 (ja) 流水検知装置
US20090016805A1 (en) Cosmetics case
US20120005815A1 (en) Dual Flush Activation
US20010040055A1 (en) Rock drill bit and a check valve therefor
WO2017195939A1 (ko) 소방 관창
US10935146B2 (en) T-joint having push-button switch
JP4890008B2 (ja) 流量調整弁
CN209762311U (zh) 防水锤球阀
US5960680A (en) Ratchet wrench
JPS582796B2 (ja) シヨウゲキドライバ−
CN211412383U (zh) 一种高压喷头
KR100709383B1 (ko) 소방 호스 연결용 요동방지 결합구
WO2005040544A3 (en) Internal blow out preventer ball and seat
KR102444242B1 (ko) 수압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수전 헤드
JP2010185469A (ja) 制御バルブおよびエアハンマ
KR200194674Y1 (ko) 여닫이 문용 경첩
KR101592157B1 (ko) 알람밸브
CN108692040B (zh) 一种高安全性铝制阀门
KR102061949B1 (ko) 에어로졸 스프레이용 중력밸브
CN212719832U (zh) 一种双火焰朗声打火机
CN219263192U (zh) 一种截止阀
CN101070709A (zh) 新型节水器
CN114602681A (zh) 一种喷枪自主防爆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