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429B1 - Shoes for protecting backbone and joint - Google Patents

Shoes for protecting backbone and joi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429B1
KR101893429B1 KR1020170020834A KR20170020834A KR101893429B1 KR 101893429 B1 KR101893429 B1 KR 101893429B1 KR 1020170020834 A KR1020170020834 A KR 1020170020834A KR 20170020834 A KR20170020834 A KR 20170020834A KR 101893429 B1 KR101893429 B1 KR 101893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mid
sole
absorbing
out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8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4564A (en
Inventor
최윌리엄병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처360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처360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처360
Priority to KR1020170020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429B1/en
Publication of KR20180094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5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4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후족에서의 충격흡수 기능을 제공하고 전족에서의 반발탄성 기능을 갖는 신발창이 구비된 척추와 관절보호를 위한 자세교정신발이 소개된다.
신발은 후족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아웃 충격흡수부와, 지면에 대한 전족의 반발력을 제공하도록 아웃 충격흡수부보다 높은 반발력을 갖는 아웃 반발탄성부와, 아웃 충격흡수부 및 아웃 반발탄성부를 연결하여 발바닥을 지지하는 아웃 지지부를 제공하는 아웃솔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hoe is equipped with a shoe sole with shock absorbing function in the rear and a full-bodied resilient function, and a posture correction shoe for joint protection is introduced.
An out-shock absorbing portion for absorb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rear leg; an out-repulsive elastic portion having a higher repulsive force than the out-shock absorbing portion to provide a full- And an outsole providing an out support for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sole.

Description

척추와 관절보호를 위한 자세교정신발{SHOES FOR PROTECTING BACKBONE AND JOINT}{SHOES FOR PROTECTING BACKBONE AND JOINT}

본 발명은 척추와 관절보호를 위한 자세교정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하중이 다르게 작용하는 발바닥의 위치에 따라 층격흡수 및 반발탄성을 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는 척추와 관절보호를 위한 자세교정신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ture correcting shoe for protecting the vertebrae and a joi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sture correcting shoe for protecting the vertebrae and the joint, which can appropriately provide the absorbency and rebound resilien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ole, It is about shoes.

일반적으로 신발은 인체의 발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와 종류로 제작되고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발등과 발목 부위를 덮어서 보호하는 외피와, 보행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신발창으로 구성된다.In general, shoes are worn to protect the foot area of a human body. Various types and types of shoes are generally used. The shoe is generally composed of a skin covering the foot and the ankle to protect the foot, and a sole .

신발은 보행시 지면으로부터 발바닥으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완충력이 우수한 고무 및 발포 스폰지 등의 완충부재로 제작된 신발창을 제공하거나, 에어백(Air bag)이나 스프링 등의 탄성복원체가 내장된 신발창을 제공하기도 한다.In order to absorb shock transmitted from the ground to the sole during walking, the shoe may be provided with a sole made of a shock absorbing member such as a rubber or foam sponge having excellent buffering ability or a sole having an elastic restoring body such as an air bag or a spring .

그런데, 완충부재나 탄성복원체가 신발창에 적용되는 경우, 이들 완충부재나 탄성복원체는 발의 하중에 대해 단순한 충격 흡수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을 뿐이고, 보행자의 발뒤꿈치(후족)로부터 발가락(전족)에 이르기까지 능률적인 보행을 수행하도록 하는 측면에는 거의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However, when the cushioning member or the elastic restoring body is applied to the sole, the cushioning member or the elastic restoring body can perform only a simple shock absorbing function with respect to the load of the foot, And thus it is hardly contributed to the aspect of performing efficient walking.

예컨대, 후족(後足)이 지면에 닿는 동안 발생하는 힘은 충격력이 체중보다 크게 나타나는데 반해, 전족(前足)이 런닝을 위해 지면에서 도약하는 동안 발생하는 힘은 추진력이 체중보다 크게 나타나는 바, 충격흡수를 위한 완충부재나 탄성복원체 만이 신발창에 적용될 경우, 이들 완충부재나 탄성복원체가 발에 가해지는 충격흡수에는 도움을 줄 수 있으나, 사용자의 장시간 보행이나 런닝시, 지면반발력을 감소시키므로 사용자의 피로감을 가중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ile the force generated while the hind legs touch the ground is greater than the weight, the force generated during the leap from the ground to the forefoot is greater than the weight, When only the cushioning member or the elastic restoring member for absorption is applied to the sole, the cushioning member or the elastic restoring member can help to absorb the shock applied to the foot. However, since the resting force of the ground is reduced when the user is walking or running for a long time, Fatigue can be increased.

특허공개공보 10-2010-0137914(2010. 12. 31.)Patent disclosure publication 10-2010-0137914 (December 31, 20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서, 하중이 다르게 작용되는 발바닥의 위치에 맞추어 층격흡수 및 반발탄성을 조화롭게 매칭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e capable of matching the absorbency and rebound resilience in harmony with the position of the sole under different load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와 관절보호를 위한 자세교정신발은, 지면에 맞닿는 아웃솔에 인솔이 적층되는 신발창과, 상기 아웃솔에 결합된 외피로 구성되는 신발로서, 상기 아웃솔은 후족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아웃 충격흡수부와, 지면에 대한 전족의 반발력을 제공하도록 아웃 충격흡수부보다 높은 반발력을 갖는 아웃 반발탄성부와, 상기 아웃 충격흡수부 및 상기 아웃 반발탄성부를 연결하여 발바닥을 지지하는 아웃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솔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아웃 세로홈과, 상기 아웃 세로홈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아웃 가로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아웃 가로홈은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sture correcting shoe for protecting a vertebra and a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oe sole having an insole layered on an outsole contacting a ground surface, An out-shock absorbing portion for absorbing a shock applied to the rear end of the outsole, an out-repulsion elastic portion having a higher repulsive force than the out-shock absorbing portion to provide a full-body repulsive force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an outsole supporting the foot by connecting the elastic part, wherein the outsole includes an outflow groove formed to extend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and a pair of outflow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outflow groove, The pair of out-side grooves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이때, 상기 아웃 가로홈은 상기 아웃솔의 후방측에 위치할수록 충격 흡수력이 증가되도록 상기 아웃솔의 후방측에 위치한 후방측 아웃 가로홈의 홈 너비가 상기 아웃솔의 전방측에 위치한 전방측 아웃 가로홈의 홈 너비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roove width of the rear side out lateral groove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outsole is larger than the groove width of the front side out horizontal groove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outsole so that the outward groove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outsole, Can be formed wider than the width.

또한, 상기 인솔은 후족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인 충격흡수부와, 지면에 대한 전족의 반발력을 제공하도록 인 충격흡수부보다 높은 반발력을 갖는 인 반발탄성부와, 상기 인 충격흡수부 및 인 반발탄성부를 연결하여 발바닥을 지지하는 인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솔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인 세로홈과, 상기 인 세로홈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인 가로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인 가로홈은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로 제공되며, 상기 인 가로홈은 상기 인솔의 후방측에 위치할수록 충격 흡수력이 증가되도록 상기 인솔의 후방측에 위치한 후방측 인 가로홈의 홈 너비가 상기 인솔의 전방측에 위치한 전방측 인 가로홈의 홈 너비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ole has a phosphorus absorbing portion for absorbing impact applied to the rear end, a repulsive elastic portion having a repulsive force higher than that of the phosphorus absorbing portion to provide a repulsive force to the ground surface, And a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sole by connecting the resilient resilient portion, wherein the insole has an innershaft groove ext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pair of inners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innershaft groove And a pair of transverse grooves are provided 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grooves are formed in the rear side of the insole, May be formed to be wider than the groove width of the transverse groove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inso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웃솔 및 상기 인솔 사이에 위치되는 미드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드솔은 후족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미드 충격흡수부와, 지면에 대한 전족의 반발력을 제공하도록 미드 충격흡수부보다 높은 반발력을 갖는 미드 반발탄성부와, 상기 미드 충격흡수부 및 미드 반발탄성부를 연결하여 발바닥을 지지하는 미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드솔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미드 세로홈과, 상기 미드 세로홈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미드 가로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미드 가로홈은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idsole disposed between the outsole and the insole, wherein the midsole comprises a mid impact absorbing portion for absorbing impact applied to the rear flank, and a mid shock absorbing portion for providing a full- And a mid support portion connecting the mid impact resilient portion and the mid spring resilient portion to support the sole, wherein the midsole includes a meandering groov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 pair of mid-lateral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longitudinal grooves are formed, and the pair of mid-lateral grooves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또한, 상기 인 세로홈 및 상기 인 가로홈과, 상기 미드 세로홈과 미드 가로홈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인 세로홈 및 상기 미드 세로홈의 사이공간에는, 상기 신발창의 폭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 1 완충튜브가 마련되고, 상기 인 가로홈과 상기 미드 가로홈의 사이공간에는, 상기 신발창의 전후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 2 완충튜브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grooves and the transverse grooves, and the mid-grooves and the mid-grooves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in the space between the grooves and the mid-grooves, And a second buffer tube for absorbing an impact appli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hoe sole may be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transverse groove and the mid-transverse groove.

또한, 상기 제 1 완충튜브는 상기 인 세로홈 및 상기 미드 세로홈의 사이공간과 같은 용적을 갖거나, 상기 인 세로홈 및 상기 미드 세로홈의 사이공간보다 작은 용적을 갖고, 상기 제 2 완충튜브는 상기 인 가로홈과 상기 미드 가로홈의 사이공간과 같은 용적을 갖거나, 상기 인 가로홈과 상기 미드 가로홈의 사이공간의 사이공간보다 작은 용적을 갖을 수 있다.The first buffer tube may have a volume equal to the space between the phosphorus grooves and the mid flutes, or have a volume smaller than the space between the phosphorus flutes and the mid flutes, May have a volume equal to the space between the transverse grooves and the mid-transverse grooves, or may have a smaller volume than the space between the transverse grooves and the mid-transverse groov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장 많은 하중이 작용되는 후족(後足) 측 신발창에 충격흡수 기능을 증대시키고 반발탄성이 요구되는 전족(前足) 측 신발창에 반발탄성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발을 디디거나 땔 때, 필요한 층격흡수력 및 반발탄성력을 신발창의 위치에 맞추어 상호 조화롭게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impact absorbing function on the shoe sole to which the greatest load is applied and improves the rebound resilience function in the sole of the front foot where rebound resilience is requir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necessary stiffness absorbing force and repulsive elastic force can be matched to the position of the sole so as to be harmoniously provided.

또한, 본 실시예는 세로홈 및 가로홈을 신발창에 균형있게 형성함으로써, 인체의 하중을 신발에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고, 신발창의 폭방향 및 전후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충격으로부터 척추와 관절을 보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vertical grooves and the lateral grooves are balancedly formed in the sole, the load of the human body can be evenly distributed to the shoe, the impact appli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back and forth direction of the sole can be effectively absorbed, The spine and joints can be protected from.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척추와 관절보호를 위한 자세교정신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의 일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신발창의 일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척추와 관절보호를 위한 자세교정신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척추와 관절보호를 위한 자세고정신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rtebrae and a posture correction shoe for joint prote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one side of a so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one side of a sol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rtebrae and a posture correction shoe for joint prote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rtebrae and a posture fixing shoe for joint protec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e of many aspects of the claimed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form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for clarity.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its various embodiments, it is intended to illustrate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And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constituent elements are not limited by such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척추와 관절보호를 위한 자세교정신발(이하, 신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의 일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rtebrae and a posture correcting sho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hoe) for protecting a joi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side of a so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10)은, 충격흡수 기능 및 반발탄성 기능을 후족 측 및 전족 측에 각각 제공하는 신발창(100)과, 신발창에 결합되는 외피(200)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신발창(100)은 사용자의 발을 전체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발바닥 형태로 제공되거나, 발바닥의 형상에 적어도 일부 대응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신발창(100)의 형상은 발바닥의 형상에 정확하게 매칭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아니하며, 대략적으로 발바닥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되, 발바닥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갖는 형태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1 and 2, a sho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le 100 for providing a shock absorbing function and a repulsive elastic function on the rear side and a front side respectively, and a shroud 100 200 can be provided. Here, the sole 1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ole for supporting the user's foot as a whole, or may be provided in a form corresponding at least partially to the shape of the sole. However, the shape of the sole 100 does not mean that the shape of the sole 100 is exactly matched to the shape of the sole, but it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ole of the foot and has an area enough to support the sole Can be understoo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신발창(100)은, 지면에 맞닿도록 신발(10)의 가장 아랫부분에 마련되는 아웃솔(110)과, 아웃솔(110)의 상면에 적층되어 사용자의 발바닥면에 접촉 가능한 인솔(120)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hoe so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sole 110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hoe 1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n insole 12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ole surface.

여기서, 아웃솔(110)은 신발창(100)의 후족 측에 위치되는 아웃 충격흡수부(111)와, 신발창(100)의 전족 측에 위치되는 아웃 반발탄성부(112)와, 아웃 충격흡수부(111) 및 아웃 반발탄성부(112) 사이를 연결하는 아웃 지지부(113)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utsole 110 includes an out-shock absorber 111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sole 100, an out-repulsion elastic portion 112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sole 100, an out- And an out-support part 113 connecting the out-of-bounce elastic part 112 and the out-repulsive elastic part 112.

아웃 충격흡수부(111)는 신발이 지면에 닿을 때, 발의 뒤꿈치 부위, 다시 말해 후족측 신발창(100)이 지면에 제일 먼저 닿게 됨으로써, 체중보다 크게 나타나는 충격력을 신발창(100)의 후족측에서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Out shock absorber 111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shoe touches the ground surface, the heel of the foot, that is, the rear foot sole 100 first touches the ground, so that the impact force, which is greater than the body weight, .

이를 위해, 아웃 충격흡수부(111)는 아웃 반발탄성부(112)보다 낮은 반발력을 갖고, 신발창(100)에서 가장 많은 하중이 작용되는 후족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높은 충격흡수력을 제공할 수 있는 충격흡수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충격흡수소재로는 완충력이 우수한 고무, 실리콘이나 폴리프로필렌을 원료로 하는 저반발 소재, 반발 탄성이 낮으면서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저반발 폴리우레탄 소재, 발포 스폰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out-shock absorber 111 has a repulsive force lower than that of the out-spring resilient portion 112 and can provide a high impact absorbing force against the impact applied to the rear foot, It can be composed of a shock absorbing material. As the shock absorbing material, it is possible to use a rubber having excellent buffering ability, a low rebound material made of silicon or polypropylene, a low rebound polyurethane material having a low rebound resilience and a shock absorbing property, and a foamed sponge.

아웃 반발탄성부(112)는 신발이 지면에서 도약될 때, 발의 발가락 부위, 다시 말해 전족측 신발창(100)이 지면에 대해 안정적으로 반발되도록 함으로써, 체중보다 크게 나타나는 추진력에 대해 신발창(100)의 전족측에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When the shoe is leaped from the ground, the out-spring resilient part 112 stably repels the toe part of the foot, that is, the front foot sole 100 against the ground, The front side can effectively cope.

아웃 반발탄성부(112)는 아웃 충격흡수부(111)보다 낮은 충격흡수력을 갖고, 전족이 지면에 대해 높은 반발력을 제공할 수 있는 반발탄성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발탄성소재로는 반발탄성력이 우수한 고반발 폴리우레탄 소재, 아이오노머 플라스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out-spring resilient portion 112 may be made of a resilient material having a lower impact absorbing force than the out-shock absorbing portion 111 and capable of providing a high repulsive force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out-shock absorbing portion 111. The rebound resilient material may be a high-resilience polyurethane material, ionomer plastic material, etc. having excellent resilience.

아웃 지지부(113)는 아웃 충격흡수부(111) 및 아웃 반발탄성부(112) 사이를 연결하여 발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다. 아웃 지지부(113)는 탄성재질의 합성수지, 강화합성수지, 또는 충격흡수소재 및 반발탄성소재가 혼합된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아웃 충격흡수부(111)보다 높은 반발력을 갖지만 아웃 반발탄성부(112)보다 낮은 반발력을 갖고, 아웃 반발탄성부(112)보다 높은 충격흡수력을 갖지만 아웃 충격흡수부(111)보다 낮은 충격흡수력을 갖을 수 있다. Out support portion 113 can support between the out-shock absorbing portion 111 and the out-repulsion elastic portion 112 to support the sole surface. The out-support part 113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reinforced synthetic resin, or a mixture of an impact-absorbing material and a rebound-elastic material so that the out-support part 113 has a higher repulsive force than the out- It has a lower repulsive force and a higher impact absorbing force than the outbound resilient portion 112 but a lower impact absorbing force than the outbound shock absorbing portion 111. [

아웃솔(110)에는 신발창(100)의 폭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아웃 세로홈(114a)과, 신발창(100)의 전후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아웃 가로홈(114b)이 형성될 수 있다. The outsole 110 is provided with an outline groove 114a capable of absorbing the impact appli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le 100 and an outline groove 114b capable of absorbing the impact appli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sole 100. [ May be formed.

예컨대, 아웃 세로홈(114a)은 아웃솔(11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에어가 유동 가능한 충격 흡수공간을 아웃솔(110)의 전후방향으로 형성하므로, 신발창(100)의 폭방향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집중시킬 수 있고, 결국, 신발창(100)의 폭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아웃 가로홈(114b)은 아웃 세로홈(114a)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에어가 유동 가능한 충격 흡수공간을 아웃솔(110)의 폭방향으로 형성하므로, 신발창(100)의 전후방향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집중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신발창(100)의 전후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line grooves 114a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outsole 110 to form a shock absorbing space capable of flowing air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outsole 110, The load can be concentrated, and eventually the shock appli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le 100 can be absorbed. The outer lateral grooves 114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outflow grooves 114a interposed therebetween so as to form a shock absorbing space capable of flowing ai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utsole 110, It is possible to concentrate the load appli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reby absorbing the impact appli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sole 100.

특히, 한 쌍의 아웃 가로홈(114b)은 아웃솔(110)의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로 제공되므로, 아웃솔(110)에는 다수개의 아웃 가로홈(114b)이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결국, 다수개의 아웃 가로홈(114b)은 하중을 아웃솔(110)에 고르게 분산하여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pair of outcrossing grooves 114b are provided 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outsole 110, a plurality of outcrossing grooves 114b can be evenly distributed in the outsole 110. [ As a result, the plurality of outboard lateral grooves 114b can evenly distribute the load to the outsole 110, effectively absorbing the impact.

본 실시예에서, 아웃 세로홈(114a) 및 아웃 가로홈(114b)은 아웃솔(110)의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홈 형태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아웃 세로홈(114a) 및 아웃 가로홈(114b)은 아웃솔(110)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홈 형태로 제공되거나, 아웃솔(11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line groove 114a and the outline groove 114b may be in the form of concave recesse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utsole 11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utline groove 114a and the out- The groove 114b may be provided in a recessed shape formed concave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110, o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outsole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인솔(120)은 아웃 충격흡수부(111)의 상측에 위치되는 인 충격흡수부(121)와, 아웃 반발탄성부(112)의 상측에 위치되는 인 반발탄성부(122)와, 인 충격흡수부(121) 및 인 반발탄성부(122)를 사이를 연결하는 인 지지부(123)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sole 120 includes an impact absorbing portion 121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sole impact absorbing portion 111, a resilient resilient portion 122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ward resilient elastic portion 112, And a phosphorus support part 123 connecting the part 121 and the repulsive elastic part 122 to each other.

인 충격흡수부(121)는 인 반발탄성부(122)보다 낮은 반발력을 갖고, 후족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높은 충격흡수력을 제공할 수 있는 충격흡수소재로 구성됨으로써, 아웃 충격흡수부(111)와 더불어, 발의 뒤꿈치 부위에서, 체중보다 크게 나타나는 충격력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The shock absorber 121 having a lower repulsive force than the repulsive resilient portion 122 and the shock absorber capable of providing a higher shock absorbing force against the impact applied to the rear shock absorber 121, , It is possible to stably absorb the impact force which is larger than the body weight at the heel portion of the foot.

인 반발탄성부(122)는 인 충격흡수부(121)보다 낮은 충격흡수력과 높은 반발력을 제공할 수 있는 반발탄성소재로 이루어져, 아웃 반발탄성부(112)와 더불어, 발의 발가락 부위에서, 체중보다 크게 나타나는 추진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The repulsive elastic part 122 is made of a resilient elastic material capable of providing a lower impact absorbing force and a higher repulsive force than the impact absorbing part 121. The resilient resilient part 122 is provided with an ou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driving force which appears largely.

인 지지부(123)는 인 충격흡수부(121) 및 인 반발탄성부(122) 사이를 연결하여 발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인 지지부(123)는 인 충격흡수부(121)보다 높은 반발력을 갖지만 인 반발탄성부(122)보다 낮은 반발력을 갖고, 인 반발탄성부(122)보다 높은 충격흡수력을 갖지만 인 충격흡수부(121)보다 낮은 충격흡수력을 갖을 수 있다. The supporting portion 123 can support the foot surface by connecting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121 and the repulsive elastic portion 122 together. The support portion 123 having a higher repulsive force than the phosphorus impact absorbing portion 121 but having a repulsive force lower than that of the repulsive elastic portion 122 and having a higher impact absorption force than the repulsive elastic portion 122, ) Can be obtained.

인솔(120)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인 세로홈(124a)과, 인 세로홈(124a)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인 가로홈(124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 세로홈(124a)은 에어가 유동 가능한 충격 흡수공간을 인솔(120)의 전후방향으로 형성하므로, 신발창(100)의 폭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한 쌍의 인 가로홈(124b)은 인 세로홈(124a)을 사이에 두고 전후방향으로 고르게 분산 배치되므로, 전후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인솔(120)에 고르게 분산하여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The insole 120 may have an innershaft 124a ext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pair of innershaft grooves 124b spaced apart from the innershaft 124a. Herein, the vertical grooves 124a form the shock absorbing space in which the air can flow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insole 120, so that the impact appli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le 100 can be absorbed. Since the pair of transverse grooves 124b are uniformly disper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vertical grooves 124a interposed therebetween, the load appli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evenly distributed to the insole 120 to effectively absorb the impact .

본 실시예에서, 인 세로홈(124a) 및 인 가로홈(124b)은 인솔(120)의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홈 형태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아웃 세로홈(114a) 및 아웃 가로홈(114b)은 아웃솔(110)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홈 형태로 제공되거나, 아웃솔(11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vertical grooves 124a and the horizontal transverse grooves 124b may be concave shapes formed concave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ole 12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outline grooves 114a and the out- The groove 114b may be provided in a recessed shape formed concave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110, o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outsole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신발창의 일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showing one side of a sol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르면, 아웃솔(110)의 아웃 가로홈(114b)과 관련해서, 아웃솔(110)의 후방측에 위치한 후방측 아웃 가로홈(114ba)의 홈 너비는, 아웃솔(110)의 전방측에 위치한 전방측 아웃 가로홈(114bb)의 홈 너비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인솔(120)의 인 가로홈(124b)과 관련해서, 인솔(120)의 후방측에 위치한 후방측 인 가로홈(124ba)의 홈 너비는, 인솔(120)의 전방측에 위치한 전방측 인 가로홈(124bb)의 홈 너비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3, in relation to the outboard lateral groove 114b of the outsole 110, a rear outboard lateral groove 114ba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outsole 110 The groove width may be formed to be wider than the groove width of the front side out lateral groove 114bb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outsole 110. [ The groove width of the transverse groove 124ba on the rear side of the insole 120 relative to the transverse groove 124b of the insole 120 is larger than the groove width of the transverse groove 124ba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insole 120, The width of the groove 124bb may be larger than the groove width of the lateral groove 124bb.

이와 같이, 후방측 아웃 가로홈(114ba) 및 후방측 인 가로홈(124ba)의 홈 너비가, 전방측 아웃 가로홈(114bb) 및 전방측 인 가로홈(124bb)의 홈 너보다 더 넓게 형성되므로, 발의 뒤꿈치 부위(후족)에서 크게 작용하는 충격력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발의 발가락 부위(전족)에서 크게 작용하는 추진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Since the groove widths of the rear side out lateral groove 114ba and the rear lateral groove 124ba are formed to be wider than the grooves of the front side out lateral groove 114bb and the front side lateral groove 124bb, , The impact force acting largely on the heel portion (rear) of the foot can be stably absorbed, an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driving force largely acting on the toe portion (forehead) of the foot.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발(10')의 신발창(100')은, 지면에 맞닿도록 신발의 가장 아랫부분에 마련되는 아웃솔(110)과, 사용자의 발바닥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인솔(120)과, 아웃솔(110) 및 인솔(120) 사이에 마련되는 미드솔(130)로 구성될 수 있다.4, the sole 100 'of the shoe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n outsole 110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ho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 midsole 130 provided between the outsole 110 and the insole 120. In this case,

여기서, 미드솔(13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 예를 들어, 아웃솔(110) 및 인솔(120) 구성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아웃솔(110) 및 인솔(120) 구성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outsole 110 and the insole 120 except for the midsole 130 corresponds to the configuration of the outsole 110 and the insole 12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Is omitted.

미드솔(130)은 아웃 충격흡수부(111) 및 인 충격흡수부(121) 사이에 위치되는 미드 충격흡수부(131)와, 아웃 반발탄성부(112) 및 인 반발탄성부(122) 사이에 위치되는 미드 반발탄성부(132)와, 미드 충격흡수부(131) 및 미드 반발탄성부(132)를 사이를 연결하는 미드 지지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The midsole 130 includes a mid impact absorbing portion 131 positioned between the out impact absorbing portion 111 and the impact absorbing portion 121 and a mid impact absorbing portion 131 positioned between the outward resilient elastic portion 112 and the resilient resilient portion 122 And a mid support portion 133 connecting between the mid impact resilient portion 132 and the mid shock absorbing portion 131 and the mid spring resilient portion 132.

미드 충격흡수부(131)는 신발이 지면에 닿을 때, 발의 뒤꿈치 부위가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 체중보다 크게 나타나는 충격력을 신발창(100)의 후족측에서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 미드 충격흡수부(131)는 미드 반발탄성부(132)보다 낮은 반발력을 갖는 충격흡수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The mid-shock absorber 131 is a portion directly contacting the heel portion of the foot when the shoe touches the ground, and can stably absorb the impact force that is greater than the weight of the foot, on the rear side of the shoe window 100. [ The intermediate shock absorbing portion 131 may be made of an impact absorbing material having a repulsive force lower than that of the mid spring rebounding portion 132.

미드 반발탄성부(132)는 신발이 지면에서 도약될 때, 발의 발가락 부위가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 체중보다 크게 나타나는 추진력에 대해 신발창(100)의 전족측에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 미드 반발탄성부(132)는 미드 충격흡수부(131)보다 낮은 충격흡수력을 갖는 반발탄성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id springback elastic part 132 is a part directly contacting the toe part of the foot when the shoe is leaped from the ground, and can effectively cope with the front side of the sole 100 for the driving force that is greater than the weight. The midbounce elastic portion 132 may be made of a resilient elastic material having a lower impact absorbing force than the mid impact absorbing portion 131.

미드 지지부(133)는 미드 충격흡수부(131) 및 미드 반발탄성부(132)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미드 지지부(133)는 미드 충격흡수부(131)보다 높은 반발력을 갖지만 미드 반발탄성부(132)보다 낮은 반발력을 갖고, 미드 반발탄성부(132)보다 높은 충격흡수력을 가지만 미드 충격흡수부(131)보다 낮은 충격흡수력을 갖는 혼합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The mid support portion 133 can connect between the mid impact absorbing portion 131 and the mid springback elastic portion 132. The mid support portion 133 has a repulsive force higher than that of the mid impact absorbing portion 131 but has a repulsive force lower than that of the mid spring rebound portion 132 and has a higher impact absorbing force than the mid spring rebound portion 132, ). ≪ / RTI >

미드솔(130)에는 아웃솔(110) 및 인솔(120)과 마찬가지로,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미드 세로홈(134a)과, 미드 세로홈(134a)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미드 가로홈(134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미드 가로홈(134b)은 미드솔(130)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방측 미드 가로홈(134ba)과, 미드솔(130)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측 미드 가로홈(134bb)으로 구성될 수 있다.Like the outsole 110 and the insole 120, the midsole 130 has a meandering groove 134a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pair of meandering grooves 134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meandering groove 134a interposed therebetween. (134b) may be formed. The mid-lateral groove 134b may be composed of a rear-side mid-lateral groove 134ba positioned on the rear side of the midsole 130 and a front-side mid-lateral groove 134bb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idsole 130 have.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발(10")의 신발창(100")은, 지면에 맞닿도록 신발(10")의 가장 아랫부분에 마련되는 아웃솔(110)과, 사용자의 발바닥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인솔(120)과, 아웃솔(110) 및 인솔(120) 사이에 마련되는 미드솔(130)과, 인솔(120) 및 미드솔(130) 사이에 마련되는 완충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5, the sole 100 "of the shoe 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n outsole 110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hoe 1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 insole 120 directly contacting the foot surface of the insole 120 and a midsole 130 provided between the outsole 110 and the insole 120 and a cushioning tube provided between the insole 120 and the midsole 130 .

보다 자세하게, 인솔(120)의 하면에는 인 세로홈(124a) 및 인 가로홈(124b)이 형성되고, 미드솔(130)의 상면에는 인 세로홈(124a) 및 인 가로홈(124b)에 대향되도록 미드 세로홈(134a) 및 미드 가로홈(134b)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인솔(120) 및 미드솔(130) 간의 결합시, 인 세로홈(124a) 및 미드 세로홈(134a)은 크기, 형상 및 위치 등이 서로 매칭될 수 있고, 인 가로홈(124b) 및 미드 가로홈(134b)은 크기, 형상 및 위치 등이 서로 정확하게 매칭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n innershaft 124a and an innershorthole 124b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ole 1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130, the innersholes 124a and 124b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 meandering groove 134a and a meandering groove 134b may be formed. For example, when engaging between the insole 120 and the midsole 130, the inward grooves 124a and the meandering grooves 134a may be matched to each other in size, shape and position, The lateral grooves 134b can be precisely matched in size, shape and position.

완충튜브는 인솔(120) 및 미드솔(130) 사이에 마련되는 제 1 완충튜브(141) 및 제 2 완충튜브(14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제 1 완충튜브(141) 및 제 2 완충튜브(142)는 인솔(120) 및 미드솔(130)의 세로홈 및 가로홈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튜브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완충튜브(141) 및 제 2 완충튜브(142)는 에어튜브 또는 고무튜브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buffer tube may be composed of a first buffer tube 141 and a second buffer tube 142 provided between the insole 120 and the midsole 130. These first cushioning tubes 141 and second cushioning tubes 14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ushioning tube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longitudinal grooves and lateral grooves of the insole 120 and the midsole 130 to absorb impact . For example, the first buffer tube 141 and the second buffer tube 14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air tube or a rubber tube.

예컨대, 제 1 완충튜브(141)는 신발창(100)의 폭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인솔(120) 및 미드솔(130) 간의 결합시, 제 1 완충튜브(141)의 상부는 인 세로홈(124a)에 적어도 인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 1 완충튜브(141)의 하부는 미드 세로홈(134a)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 1 완충튜브(141)는 인 세로홈(124a) 및 미드 세로홈(134a)의 사이공간과 같은 용적을 갖거나, 인 세로홈(124a) 및 미드 세로홈(134a)의 사이공간보다 작은 용적을 갖을 수 있다. For example, in order to absorb the impact appli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oe sole 100, the first buffer tube 141 is formed such that when the insole 120 and the midsole 130 are coupled, The lower end of the first buffer tube 141 can be maintained at a state of being drawn into the longitudinal groove 124a at least. At this time, the first buffer tube 141 has a volume equal 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grooves 124a and the middle grooves 134a, or the inner space between the inner grooves 124a and the middle grooves 134a You can have a small volume.

이와 같이, 제 1 완충튜브(141)의 상부 및 하부는 인 세로홈(124a) 및 미드 세로홈(134a)에 적어도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신발창(100)의 폭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제 1 완충튜브(141)는 인 세로홈(124a) 및 미드 세로홈(134a)의 사이공간에서 유동되거나 압축되면서, 폭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Sinc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cushioning tube 141 are at least partially retracted into the vertical grooves 124a and the middle longitudinal grooves 134a as described above, , The first cushioning tube 141 can be effectively absorbed in the width direction while being flowed or compressed in the space between the vertical grooves 124a and the middle longitudinal grooves 134a.

제 2 완충튜브(142)는 신발창(100)의 전후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인 가로홈(124b)과 미드 가로홈(134b)의 사이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인솔(120) 및 미드솔(130) 간의 결합시, 제 2 완충튜브(142)의 상부는 인 가로홈(124b)에 적어도 인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 2 완충튜브(142)의 하부는 미드 가로홈(134b)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완충튜브(142)는 인 가로홈(124b)과 미드 가로홈(134b)의 사이공간과 같은 용적을 갖거나, 인 가로홈(124b)과 미드 가로홈(134b)의 사이공간의 사이공간보다 작은 용적을 갖을 수 있다.The second buffering tube 142 may be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transverse groove 124b and the mid-lateral groove 134b in order to absorb the impact appli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ole 100. [ For example, upon coupling between the insole 120 and the midsole 130,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ushioning tube 142 may remain at least partially retracted into the transverse groove 124b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ushioning tube 142 Can be maintained in the state of being drawn into the mid-lateral groove 134b. The second buffer tube 142 has a volume equal to the space between the transverse grooves 124b and the middle transverse grooves 134b or between the transverse grooves 124b and the middle transverse grooves 134b It is possible to have a volume smaller than the interspace.

이와 같이, 제 2 완충튜브(142)의 상부 및 하부는 인 가로홈(124b) 및 미드 가로홈(134b)에 적어도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신발창(100)의 상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제 1 완충튜브(141)는 인 가로홈(124b) 및 미드 가로홈(134b)의 사이공간에서 유동되거나 압축되면서, 전후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발의 피로가 효과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Sinc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cushioning tube 142 are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transverse grooves 124b and the mid-transverse grooves 134b as described above, when an impact is applied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sole 100 , The first buffer tube 141 can be effectively absorb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while being fluidized or compressed in the space between the transverse grooves 124b and the mid-transverse grooves 134b, Can be reduc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장 많은 하중이 작용되는 후족 측 신발창에 충격흡수 기능을 증대시키고 반발탄성이 요구되는 전족 측 신발창에 반발탄성 기능을 향상시켜, 사용자가 발을 디디거나 땔 때, 필요한 층격흡수력 및 반발탄성력을 신발창의 위치에 맞추어 상호 조화롭게 제공할 수 있고, 세로홈 및 가로홈을 신발창에 균형있게 형성하여, 인체의 하중을 신발에 고르게 분포시키면서, 신발창의 폭방향 및 전후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척추와 관절을 보호하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impact absorbing function of the rear foot sole to which the greatest load is applied, and improves the rebound resilience function of the front foot sole in which rebound resilience is requir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tiffness absorbing force and the repulsive elastic force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shoe sole and to provide them in a mutually harmonious manner and to form the longitudinal grooves and the lateral grooves in a balanced manner in the sole so that the load of the human body is evenly distributed on the shoe, It has excellent merits such as effectively protecting the spine and joints by effectively absorbing the impact.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신발창 110 :아웃솔
111 :아웃 충격흡수부 112 :아웃 반발탄성부
113 :아웃 지지부 114a :아웃 세로홈
114b :아웃 가로홈 120 :인솔
121 :인 충격흡수부 122 :인 반발탄성부
123 :인 지지부 124a :인 세로홈
124b :인 가로홈 130 :미드솔
131 :미드 충격흡수부 132 :미드 반발탄성부
133 :미드 지지부 134a :미드 세로홈
134b :미드 가로홈
100: sole window 110: outsole
111: out-shock absorber 112: out-of-
113: out support portion 114a:
114b: Outside horizontal groove 120: Insole
121: shock absorbing part 122: resilient resilient part
123: phosphorus support portion 124a: phosphorus vertical groove
124b: Inner horizontal groove 130: Midsole
131: Mid shock absorbing part 132: Mid-rebound elastic part
133: Mead supporting portion 134a: Mead vertical groove
134b: Mid-horizontal groove

Claims (6)

지면에 맞닿는 아웃솔에 인솔이 적층되는 신발창과, 상기 아웃솔에 결합된 외피로 구성되는 척추와 관절보호를 위한 자세교정신발로서,
상기 아웃솔은, 후족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아웃 충격흡수부와, 지면에 대한 전족의 반발력을 제공하도록 아웃 충격흡수부보다 높은 반발력을 갖는 아웃 반발탄성부와, 상기 아웃 충격흡수부 및 상기 아웃 반발탄성부를 연결하여 발바닥을 지지하는 아웃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솔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아웃 세로홈과, 상기 아웃 세로홈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아웃 가로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아웃 가로홈은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로 제공되며,
상기 인솔은, 후족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인 충격흡수부와, 지면에 대한 전족의 반발력을 제공하도록 인 충격흡수부보다 높은 반발력을 갖는 인 반발탄성부와, 상기 인 충격흡수부 및 인 반발탄성부를 연결하여 발바닥을 지지하는 인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솔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인 세로홈과, 상기 인 세로홈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인 가로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인 가로홈은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로 제공되며,
상기 인 가로홈은, 상기 인솔의 후방측에 위치할수록 충격 흡수력이 증가되도록 상기 인솔의 후방측에 위치한 후방측 인 가로홈의 홈 너비가 상기 인솔의 전방측에 위치한 전방측 인 가로홈의 홈 너비보다 더 넓게 형성되며,
상기 아웃솔 및 상기 인솔 사이에 위치되는 미드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드솔은, 후족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미드 충격흡수부와, 지면에 대한 전족의 반발력을 제공하도록 미드 충격흡수부보다 높은 반발력을 갖는 미드 반발탄성부와, 상기 미드 충격흡수부 및 미드 반발탄성부를 연결하여 발바닥을 지지하는 미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드솔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미드 세로홈과, 상기 미드 세로홈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미드 가로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미드 가로홈은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로 제공되며,
상기 인 세로홈 및 상기 인 가로홈과, 상기 미드 세로홈과 미드 가로홈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인 세로홈 및 상기 미드 세로홈의 사이공간에는, 상기 신발창의 폭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 1 완충튜브가 마련되고,
상기 인 가로홈과 상기 미드 가로홈의 사이공간에는, 상기 신발창의 전후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 2 완충튜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와 관절보호를 위한 자세교정신발.
A shoe sole comprising a shoe sole layered with an insole and an outer skirt coupled to the outsole,
The outsole includes an out-shock absorbing portion for absorbing impact applied to the rear end, an out-repulsion elastic portion having a higher repulsive force than the out-shock absorbing portion to provide a full- And an out-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sole by connecting the out-
The outsole is provided with an out flut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pair of out-side flutes spaced apart by the out flute, and the pair of out-side flut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Provided in multiple,
The insole includes a phosphorus absorbing portion for absorb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rear end, a repulsive resilient portion having a higher repulsive force than the phosphorus absorbing portion to provide a repulsive force to the ground surface, And a human-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sole by connecting the resilience elastic portion,
The insoles are provided with an insulative flut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pair of insulative flu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insulative flute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the insulative flut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Provided in multiple,
Wherein the groove width of the transverse groove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insole is larger than the groove width of the transverse groove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insole so that the impact absorbing force increases as the insole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insole Lt; RTI ID = 0.0 >
Further comprising a midsole positioned between the outsole and the insole,
The midsole includes a mid impact absorbing portion for absorbing impact applied to the rear end, a mid spring rebounding portion having a higher repulsive force than the mid impact absorbing portion so as to provide a repulsive force to the ground surface, And a meander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sole by connecting the resilience elastic portion,
The midsole has a meandering groove formed to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pair of meandering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meandering groov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pair of meandering groov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Provided in multiple,
The in-groove and the in-groove, and the mid-groove and the mid-groove are opposed to each other,
A first cushioning tube for absorbing an impact appli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le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groove and the mid-groove,
And a second buffering tube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transverse groove and the mid-transverse groove for absorbing an impact appli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hoe s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가로홈은
상기 아웃솔의 후방측에 위치할수록 충격 흡수력이 증가되도록 상기 아웃솔의 후방측에 위치한 후방측 아웃 가로홈의 홈 너비가 상기 아웃솔의 전방측에 위치한 전방측 아웃 가로홈의 홈 너비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와 관절보호를 위한 자세교정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
The groove width of the rear side out lateral groove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outsole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groove width of the front side out lateral groove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outsole so that the impact absorbing force increases as the rear side of the outsole increases Featuring posture correction shoes for spine and joint prot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완충튜브는
상기 인 세로홈 및 상기 미드 세로홈의 사이공간과 같은 용적을 갖거나, 상기 인 세로홈 및 상기 미드 세로홈의 사이공간보다 작은 용적을 갖고,
상기 제 2 완충튜브는
상기 인 가로홈과 상기 미드 가로홈의 사이공간과 같은 용적을 갖거나, 상기 인 가로홈과 상기 미드 가로홈의 사이공간의 사이공간보다 작은 용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와 관절보호를 위한 자세교정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ushioning tube
A volume that is equal to a space between the in flutes and the mid flutes, a volume that is smaller than a space between the in flutes and the mid flutes,
The second cushioning tube
And a volume smaller than a space between the in-transverse grooves and the mid-transverse grooves or a volume smaller than a space between the transverse grooves and the mid-transverse grooves. Proof shoes.
KR1020170020834A 2017-02-16 2017-02-16 Shoes for protecting backbone and joint KR1018934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834A KR101893429B1 (en) 2017-02-16 2017-02-16 Shoes for protecting backbone and jo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834A KR101893429B1 (en) 2017-02-16 2017-02-16 Shoes for protecting backbone and joi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564A KR20180094564A (en) 2018-08-24
KR101893429B1 true KR101893429B1 (en) 2018-08-30

Family

ID=63453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834A KR101893429B1 (en) 2017-02-16 2017-02-16 Shoes for protecting backbone and joi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42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746B1 (en) * 2020-04-10 2021-10-12 국승원 Foot orthodontic
KR102327063B1 (en) * 2020-11-27 2021-11-17 주식회사 아이더 Footwea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26428A1 (en) 2009-11-30 2011-06-02 Klaas Pieter Hazenberg Channeled sole for an article of footwear
KR101298196B1 (en) * 2012-11-27 2013-08-20 김영호 The functional shoes solefor walking balan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0537B2 (en) * 1996-03-13 2002-08-05 株式会社アシックス Athletic shoes
KR101098019B1 (en) 2009-06-23 2011-12-22 (재)부산경제진흥원 A shoes for compensating
KR101400912B1 (en) * 2012-05-02 2014-06-17 주식회사 트렉스타 Outsole of sho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26428A1 (en) 2009-11-30 2011-06-02 Klaas Pieter Hazenberg Channeled sole for an article of footwear
KR101298196B1 (en) * 2012-11-27 2013-08-20 김영호 The functional shoes solefor walking balan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746B1 (en) * 2020-04-10 2021-10-12 국승원 Foot orthodontic
KR102327063B1 (en) * 2020-11-27 2021-11-17 주식회사 아이더 Footw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564A (en) 2018-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2601B2 (en) Footwear with flexible cage and wedge
US8732984B2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triangle shock absorbing space
KR101178266B1 (en) Customized shoe sole having multi-level cushion column
US20100242305A1 (en) Therapeutic cushioned sole
US9943132B1 (en) Support insole for shoes
KR101893429B1 (en) Shoes for protecting backbone and joint
KR101433564B1 (en) Shoe midsole assembly equipped airbag system
US20090183391A1 (en) Rigid orthotic with resilient member
KR101265080B1 (en) Article of footwear
KR101251572B1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a triangle shock absorbing space
KR102221319B1 (en) Ergonomic shoe insole
KR100761897B1 (en) duplicated shock absorbing shoe-sole
KR101253208B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structure for light weight and high elasticity
KR20110112975A (en) Sole of shoes
KR101600973B1 (en) Shoe sole
KR200461631Y1 (en) Shoes having selectable shock-absorber at arch portion of sole
CN211833103U (en) Sports shoe sole with elastic module
KR20150143981A (en) Article of footwear
KR101352091B1 (en) Light weight article of footwear with high elasticity
KR101395840B1 (en) Article of footwear
KR101063735B1 (en) Health walking sandals
KR20110034878A (en) Insole for shoe with walking correction and shock-absorption structure
KR101288691B1 (en) Sole of shoe
KR101400912B1 (en) Outsole of shoe
KR100818789B1 (en) Footwear having functional base pie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