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196B1 - The functional shoes solefor walking balance - Google Patents

The functional shoes solefor walking bal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196B1
KR101298196B1 KR1020120135245A KR20120135245A KR101298196B1 KR 101298196 B1 KR101298196 B1 KR 101298196B1 KR 1020120135245 A KR1020120135245 A KR 1020120135245A KR 20120135245 A KR20120135245 A KR 20120135245A KR 101298196 B1 KR101298196 B1 KR 101298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balance
foot
center
out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2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호
양기은
Original Assignee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1020120135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196B1/en
Priority to PCT/KR2013/002984 priority patent/WO201408445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1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43B13/127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the midsole being multi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PURPOSE: Functional shoes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stably walk by absorbing shocks applied to the heel of the user and adjusting the balance of feet. CONSTITUTION: Functional shoes comprise an outsole (10), a rear midsole (20), a front midsole (30), and a balance maintenance body (40) and surrounds the edge of a heel part when absorbing external shocks. The outsole is made of natural or synthetic resinous rubber materials. The rear midsole becomes thin toward the center of gravity. The front midsole becomes thick toward the center of gravity and is harder than the rear midsole. The balance maintenance body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midsole and the rear lower surface of the front midsole. The edge of the rear midsole is contracted inwards when the heel part of the rear midsole is contracted downwards.

Description

보행 안정성을 강화시킨 기능성 신발창.{THE FUNCTIONAL SHOES SOLEFOR WALKING BALANCE}Functional sole which reinforced walking stability. {THE FUNCTIONAL SHOES SOLEFOR WALKING BALANCE}

본 발명은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시간 보행을 위한 워킹시 충격흡수 기능강화 및 워킹발란스를 유지토록 한 보행안정성을 강화시킨 기능성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sho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ctional shoe sole that enhances walking stability to maintain shock absorbing function and walking balance during walking for a long time walking.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람의 발을 보호하는 것으로, 신발을 신고 뛰거나 걷는 경우에 발을 외부와 차단시킴과 동시에 발을 보호시킨다.In general, a shoe protects a person's foot. When a shoe is running or walking, the shoe is blocked from the outside and the foot is protected.

체중 약 60kg의 사람이 하루 평균 6000보를 걷는다면 발에는 약 432ton 의 하중이 걸리는 것이 되고 이는 국제선 취항의 점보기의 무게(약 400ton)를 넘는 하중이다.If a person weighing about 60kg walks an average of 6000 steps per day, the foot will carry a load of about 432 tons, which is more than the weight of the jumbo for international flights (about 400 tons).

이와 같이, 발바닥에 전해지는 충격흡수를 위하여 신발을 개발하는데 가장 간단한 방법은 신발의 경도를 낮추는 것이다. 만일 쿠션을 단순히 최대 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정의한다면 좋은 쿠션이란 골격근계에 무리가 가지 않을 정도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쿠션 외에도 추진력은 운동수행능력에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주어진 힘이 쿠션시스템에 의해 완전히 흡수되는 것도 좋지 않다. 결국 이것은 복잡한 문제로서 반복된 충격력에 대해여 골격근의 반응 충격흡수를 위한 최적의 신발 경도에 대하여 정의 하기는 쉽지 않다. 힘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As such, the simplest way to develop a shoe for absorbing impact on the sole is to lower the hardness of the shoe. If we define the cushion as simply reducing the maximum force, a good cushion can be defined as absorbing the shock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overwhelm the skeletal muscle system. However, in addition to cushioning, propuls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athletic performance, so it is not good for a given force to be completely absorbed by the cushion system. After all, this is a complex problem and it is not easy to define the optimal shoe hardness for the shock shock absorption of skeletal muscle against repeated impact forces. This is because you need to know information about the magnitude of the force.

압력판을 이용하여 런닝 중의 지면반발력을 분석한 결과 지면과 발 사이에서의 수직력의 크기는 체중의 2-3배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런닝시 두 발의 지면과 접촉하는 횟수가 100m당 1000회 정도 된다고 한다면, 체중의 2-3배 크기의 힘이 반복적인 부하로서 작용될 때, 충분한 충격흡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관절에 퇴행적인 변화가 일어나며, 또한 요통과도 관련이 있다고 한다. 따라서 충격흡수가 잘 이루어지는 좋은 운동화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round repulsion force using the pressure plate, it can be seen that the magnitude of the vertical force between the ground and the foot appears 2-3 times the weight. If the number of feet in contact with the ground is 1000 times per 100m during running, when the force of 2-3 times the weight acts as a repetitive load, the degenerative change in the joint occurs if sufficient shock absorption is not achieved. It is also associated with low back pai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t is desirable to select a good sneaker with good shock absorption.

그러나, 착지 시 가해지는 충격흡수능력과 보행시 가해지는 반발 탄성능력은 상호 대칭적인 것으로 어느 하나의 기능을 강화할 경우 다른 하나를 희생해야하는 모순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However, the shock absorbing ability applied when landing and the resilience elasticity applied when walking ar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and when one function is strengthened, there is a contradiction to sacrifice the other.

도 1은 보행시의 발바닥에 닫는 체중 충격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1(a)과 같이 후족(後足)이 지면에 닿는 초기 20-30ms 동안 충격력은 체중보다 크게 나타나는데, 즉 몸무게의 2.2배의 충격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 1(b)와 같이 그 후 발바닥이 모두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는 지지력보다 체중이 크게 나타났으며, 도 1(c)와 같이 다음 런닝을 위해 추진을 하기 위해 전족(前足)이 지면에 닿고, 이지할 때까지의 100ms동안 발생하는 힘은 추진력이 체중보다 크게 나타나는데, 즉 몸무게의 2.8배의 하중을 받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Figure 1 schematically shows the weight impact site close to the sole of the foot during walking, as shown in Fig. 1 (a) during the initial 20-30ms when the foot touches the ground, the impact force is greater than the weight, that is, the weight of The impact was 2.2 times, and as shown in FIG. 1 (b), when the soles all touched the ground, the weight was greater than the supporting force, and as shown in FIG. 1 (c), the propulsion was performed for the next run. The force generated during the 100ms until the forefoot touches the ground and reaches the ground is reported that the driving force is greater than the weight, that is, the load is 2.8 times the weight.

이와 같이 보행이나 런닝에 있어서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량은 생각이상으로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충격흡수체, 예를 들면 에어백 또는 스폰지폼 등의 완충부재 등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충격흡수체를 사용할 경우 충격흡수에는 어느정도 효용성이 있으나 전체적인 균형유지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로 인해 내 디딜때 지면반발력을 감소시켜 보행이나 런닝을 더욱 어렵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way, it can be seen that the amount of impact applied to the soles of walking or running is greater than expected. Therefore, in order to alleviate such a shock, various types of shock absorbers, for example, cushioning members such as airbags or sponge foams, are used. However, when the shock absorber is used, the shock absorber is somewhat effective, but there is a difficulty in maintaining the overall balance.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more difficult to walk or run by reducing the ground repulsion force during the treadmill.

즉, 신발의 구조에 있어서 발을 디딜때 감소시켜야 하는 충격흡수와 발을 땔때 증대시켜야 하는 반발탄성은 상호 대칭적인 것으로 어느 하나를 만족시킬 경우 다른 하나를 희생하여야 하는 이중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That is, in the structure of the shoe, the shock absorption to be reduced when stepping on the foot and the rebound elasticity to be increased when the foot is symmetrical are symmetrical, and when one satisfies one, there is a double problem of sacrificing the other.

그러나, 최근에는 건강을 위하여 장시간 워킹이나 보행을 하는 경우 고려하여야 할 점은 이것 이외에도 신발 무게에 따른 피로감을 고려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근 골격근의 자세유지를 위하여 올바른 보행습관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존하는 워킹화는 단순히 충격흡수 등 단편적인 기능만 부여하고 있어 복합적인 해결을 위한 대안을 줄 수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recent years, when walking or walking for a long time for health, in addition to this, in addition to considering the fatigue of the weight of the shoes,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should be able to induce the correct walking habits for maintaining the posture of the skeletal muscle Existing walking shoes simply provide fragmentary functions such as shock absorption, so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give an alternative for a complex solu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장시간 워킹을 위한 워킹화로써 피로감을 줄여주는 경량구조와 발 뒷부분의 정확한 보행 유지 및 충격흡수에 따른 발 균형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여 워킹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보행 안정성을 강화시킨 기능성 신발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king structure for long time walking to reduce the fatigue and to maintain the foot balance according to the accurate walking and shock absorption of the back of the foo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unctional shoe sole to enhance the walking stability to help walk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은, 천연 또는 합성수지재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지면과 접하는 발바닥면을 이루는 아웃솔과; 상기 아웃솔의 후방 상면에 위치되고, 후방측에서 발의 전방에서 60 내지 65% 지점에 위치되는 무게중심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 후방 미드솔과; 상기 아웃솔의 전방 상면에 위치되고, 전방에서 후방 상기 무게중심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고상기 후방미드솔 보다는 고경도로 이루어지는 전방미드솔; 그리고 연질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미드솔 상면전체와 전방미드솔의 후반 저면에 걸쳐 형성되어, 가해지는 수직방향의 외력에 의해 후방미드솔의 발뒤꿈치 부분의 하방수축시 테두리 부분은 내측 방향으로 수축이 이루어지는 균형유지체;로 이루어져, 외력에 의한 충격흡수시 발 뒤꿈치 부분의 테두리를 감싸는 보행 안정성을 강화시킨 기능성 신발창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hoe 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sole is made of a natural or synthetic resin rubber material, and forms a sol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round; A rear midsole positioned on the rear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and formed to become thinner toward the center of gravity located at 60 to 65% from the front of the foot at the rear; A front midsole positioned on a front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the thickness of which is thicker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center of gravity, and made of a higher hardness than the rear midsole; And it is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is formed over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rear midsole and the rear bottom of the front midsole, and the edge portion shrinks inward when the heel portion of the rear midsole is contracted by the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onsisting of a balance retainer made of, the technical feature is to provide a functional shoe reinforcement walking stability surrounding the rim of the heel when absorbed by the external force.

그리고 바람직 하기로는, 상기 후방미드솔은, 아스커 타입 에이(Asker type A) 경도계로 25 내지 40의 경도를 가지고, 전방미드솔은 40 내지 60의 경도를 가지도록 하고, 상기 균형유지체는 전단 중앙부분에서 후방길이방향으로 균형유지홈이 형성되고, 발뒤꿈치를 감싸는 테두리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균형유지홈은 전단 중앙부분에서 후방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줄어들고, 상기 후방미드솔 상면과 전방미드솔 후방 저면에는 상기 균형유지홈에 대응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결합되도록 한다.Preferably, the rear midsole has an hardness of 25 to 40 with an Asker type A durometer, and the front midsole has a hardness of 40 to 60, and the balance retainer has a shear center portion. In the rear length direction balance maintenance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rim surrounding the heel is formed. In addition, the balance maintenance groove is reduced in width toward the rear length direction from the front center portion, and the guide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balance maintenance groove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rear midsole upper surface and the rear bottom surface of the front midso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행중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발뒷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후방미드솔에서 흡수하고, 이에따른 발의 불균일성을 균형유지체에서 조절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에도 착용자에게 최적의 안정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the shock applied to the heel by the load applied while walking, and provides the optimum stability to the wearer even in long time use by adjusting the nonuniformity of the foot in the balance retainer. It works.

도 1은 보행시의 발바닥에 닫는 체중 충격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신발창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균형유지체의 확대 사시도.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eight impact site that closes to the sole of the foot when walking.
Figure 2 is a side view of a shoe 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oe 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balance re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신발을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ing the functional foot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features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간략하게 발의 무게 분포를 설명하도록 한다. 인체의 발에서 발의 무게중심부는 정중앙 부분이 아니라 정중앙에서 약간 후방측에 위치하며, 이를 전체 길이에 대비하면 전방 끝에서 약 60 내지 65% 정도 되는 지점에 무게중심부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무게중심부를 중심으로 정지시에는 발바닥 전체에 걸쳐 압력이 분산되며, 보행시에는 무게중심부의 뒷부분에서는 디딜때의 충격흡수가 고려되어야 하고 전방부분에서는 지면반발력이 고려되어야 한다. First, briefly explain the weight distribution of the foot. In the foot of the human body,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oot is located at the rear side slightly from the center, not at the center of the center, and the center of gravity is located at about 60 to 65% of the front end in contrast to the total length. Therefore, when stopping around the center of gravity, the pressure is distributed throughout the sole of the foot, and when walking, the shock absorption during treading should be considered at the back of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ground repulsion force should be considered at the front.

그리고 보행시 발 뒷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은 발의 뒷꿈치 최외측에서 무게중심부측으로 점차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충격흡수를 고려할 경우 발뒤꿈치부에서 무게중심부(a)측으로 전방으로 갈수록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전체적인 균형잡힌 고른 충격흡수가 이루어 지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발 뒷꿈치부는 완전히 편평한것이 아니라 약간 라운드져 있으며, 이 역시 인체가 자연적으로 충격을 줄이기 위한 발의 회내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신발에서는 이러한 발의 회내운동과 발뒤꿈치부에서 발의 무게중심부 측으로의 충격량 등을 고려하여 충격흡수가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야 한다.The impact applied to the back of the foot during walking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outermost heel of the foot to the center of gravity. Therefore, when considering shock absorption, the overall balanced even shock absorption should be made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from the heel to the center of gravity (a). In addition, the heel portion is not completely flat but slightly rounded, which also allows the human body to perform the internal exercise of the foot to naturally reduce the impact. Therefore, the shoes should be designed to absorb the shock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nal movement of the foot and the amount of impact from the heel to the center of the weight of the foot.

이와는 반대로 무게중심부 전방부분에서 발생되는 지면 반발력은 전방측으로 갈수록 강해지고, 발가락이 시작되기전 최전방끝에서 약 10 내지 15% 정도 부분에 위치하는 지면반력부에서 최대한 지면 반력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신발이 제작되어야 한다.On the contrary, the ground reaction force generated in the front part of the center of gravity becomes stronger toward the front side, and the ground reaction force should be made in the ground reaction part located about 10 to 15% at the foremost end before the toe starts. This should be made.

상기와 같은 관점하에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신발창을 도시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rom the above point of view, a sho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도3의 A-A선단면도이다.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oe 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A-A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발창을 이루는 부위로는, 지면과 접하며 바닥창을 이루는 아웃솔(10)과, 충격흡수를 담당하는 중창을 이루는 후방미드솔(20), 지면반력을 담당하는 전방미드솔(30) 그리고 상기 후방미드솔(20)과 전방미드솔(30) 사이에 위치하고 발의 균형을 유지하는 균형유지체(40)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구성이외에 인솔(미도시)이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As shown, the part forming th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sole 10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form the outsole 10, the rear midsole 20 to form a midsole responsible for shock absorption, the front midsole responsible for ground reaction force ( 30) and a balance retainer 40 positioned between the rear midsole 20 and the front midsole 30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feet.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nsole (not shown)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먼저 아웃솔(10)을 설명하기로 한다. 지면과 접하는 발바닥면을 이루는 아웃솔(10)은 지면과의 접착력, 미끄럼 방지 및 마모 등을 고려하여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재질의 변경보다는 바닥면에 다양한 형태의 모양을 형성하여 미끄럼방지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러한 아웃솔(10)은 통상 사용되는 아웃솔(10)을 이용하면 족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rst, the outsole 10 will be described. The outsole 10 forming the sol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round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adhesion to the ground, anti-slip and wear, and to prevent slipping by forming a variety of shapes on the bottom surface rather than changing the material. Would be nice. Since the outsole 10 is sufficient to use the outsole 10 that is commonly us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 중창을 이루는 후방미드솔(20)과 전방미드솔(30)을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적으로 고유의 중창은 보행시 발의 편안함과 충격흡수 및 지면반력 등이 고려되어야 하며, 통상 파일론이라 불리우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발포팽창시켜 사용하거나, 폴리우레탄 재질을 사용한다. 그리고 종래 일반적인 중창의 경우에는 전방부분 보다는 후방부분이 보다 두껍게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는 후방부분이 충격흡수 역활을 담당하고 전방부분은 지면반력을 담당하므로 보다 낳은 충격흡수를 위한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도 파일론을 주소재로 하여 발포 팽창된 미드솔을 사용하나, 폴리우레탄 재질 또는 티피유 등 소프트한 경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재질로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전체적인 경도는 후방미드솔(20)과 전방미드솔(30)의 각각의 역활에 충실할 수 있도록 제작되며, 후방미드솔(20)은 아스커타입 에이(Asker type A) 경도계로 25 내지 40 정도가 되도록 하고, 전방미드솔(30)은 50 내지 60 정도 되도록 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무게중심부를 중심으로 전방부분과 후방부분의 역활에 따른 것이다. 이하 후방미드솔(20)과 전방미드솔(30)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rear midsole 20 and the front midsole 30 forming the midsole will be described. In general, intrinsic midsole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omfort of the foot and shock absorption and ground reaction when walking, it is usually used to expand and expand the ethylene vinyl acetate called pylon, or use a polyurethane material.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idsole, the rear portion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plays a role of shock absorption and the front portion plays a ground reaction force, so that the rear portion has a structure for better absorp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using a foam-expanded midsole with a pylon as an address material, as long as it can maintain a soft hardness, such as polyurethane material or tip oil, it may be used as any material. The overall hardness is produced to be faithful to the respective roles of the rear midsole 20 and the front midsole 30, the rear midsole 20 is to be about 25 to 40 by the Asker type A (Asker type A) hardness tester , The front midsole 30 is to be about 50 to 60. This is in accordance with the role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around the center of gravity as described above. Hereinafter, the rear midsole 20 and the front midsole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후방미드솔(20)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미드솔(20)의 주 역활은 보행시 가해지는 발뒤꿈치의 충격흡수를 주역활로 한다. 이를 위해 아스카 경도계로 25 내지 40 정도의 경도를 가지도록 한다. 25이하의 경도를 가질 경우 너무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충격흡수에는 바람직하나 보행에는 악영향을 끼쳐 오히려 무릎 연골에 손상을 끼치게 된다. 40이상의 경도로 이루어질 경우 일반 종래의 미드솔 경도와 별 차이가 없어 충분한 충격흡수 기능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30 내지 40 경도하에서는 충격흡수의 본연 기능과 무릎연골 손상방지 기능을 가지되, 충격흡수에 따른 후방미드솔(20)의 변형에 따른 보행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발의 균형유지 및 지면반력으로의 이동을 고려할 때,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균형유지체(40)가 필요하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후방미드솔(20)의 구조를 살펴보면, 발뒤꿈치의 형상에 대응하여 최후방단부는 라운드진 형상을 이루고, 후방부분에서 전방부분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구조를 이루며, 이러한 후방미드솔(20)의 전체 크기는 상술한 무게중심부까지 이르도록 하고 있다. First, the rear midsole 20 will be described. As shown, the main role of the rear midsole 20 is the main role of the shock absorption of the heel applied during walking. For this purpose, asuka hardness tester to have a hardness of about 25 to 40. If you have a hardness of 25 or less because it is made of a soft material is preferable for shock absorption, but it adversely affects walking, but rather damages the knee cartilage. When the hardness is more than 40, there is no difference from the hardness of the general conventional midsole, and thus it is impossible to achieve a sufficient shock absorption function. Therefore, under the hardness of 30 to 40 has the natural function of shock absorption and knee cartilage damage prevention function, for stability of the walking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rear midsole 20 according to the shock absorption, the balance of the foot and the movement to ground reaction force Considering this, problems may arise. To this end, the balance holder 40 is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rear midsole 20,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eel, the rearmost end forms a rounded shape, the thickness becomes thinner from the rear portion to the front portion, and the entire rear midsole 20 The size is to reach the center of gravity described above.

그리고 상면에는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후방가이드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돌기(22)는 후술하는 균형유지체(40)의 균형유지홈(42)와 결합되어 전체적인 균형유지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30 내지 40의 경도하에서는 가해지는 외력에 따른 충격흡수를 충분히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충격흡수에 따른 수축변형시 발생되는 발의 균형유지 및 안정성은 후술하는 균형유지체(40)가 해소해 준다.And the upper surface is formed with a rear guide protrusion 22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The guide protrusion 22 is combined with the balance maintenance groove 42 of the balance holder 40 to be described later to achieve the overall balance. Therefore, under the hardness of 30 to 4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perform the shock absorption according to the external force applied, the balance maintenance and stability of the foot generated when the shrinkage deformation caused by the shock absorption is solved by the balance retainer 40 to be described later Do it.

전방미드솔(30)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전방미드솔은 후방미드솔(20)보다 고경도인 400 내지 60 정도로 일반적인 미드솔의 경도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는 전방미드솔(30)의 역활은 충격흡수보다는 지면반력이 주 역활이므로 이에 대응하여 후방미드솔(20)보다 고경도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최전방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전방미드솔(30)의 후방부는 후방미드솔(20)과 결합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방향으로 라운드진 결합부(32)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결합부(32)의 저면 중앙부분에는 돌출된 전방가이드돌기(3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방가이드돌기(32a)는 후술하는 균형유지체(40)의 가이드홈단부(42a)와 결합되도록 하여 균형유지체(40)의 안정적인 결합을 이루도록 한다. The front midsole 30 will be described. The front midsole is made of a hardness of the general midsole about 400 to 60 of higher hardness than the rear midsole 20. This is because the role of the front midsole 30 is the main role of the ground reaction force rather than shock absorption to correspond to this to be made of a higher hardness than the rear midsole 20, so as to form a thicker thickness from the front to the rear side. In addition, the rear portion of the front midsole 30 forms a coupling portion 32 rounded upward in a corresponding shape to be coupled to the rear midsole 20. A protruding front guide protrusion 32a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32. The front guide protrusion 32a i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end portion 42a of the balance holder 40 to be described later to achieve a stable coupling of the balance holder 40.

다음, 본 발명에 의한 균형유지체(40)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균형유지체(40)는 발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충격흡수가 이루어지는 발 뒷꿈치 부분의 안정적인 균형유지를 위한 것이다. 즉, 보행시 발에 힘이 가해져 후방미드솔(30)이 충격흡수시 수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발 전체가 견고한 균형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충격 흡수시에도 발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위함이다. 이를 위해 후방미드솔(20)이 충격흡수에 따른 수축변형시 발이 신발창에 밀착할 수 있도록 균형유지체(40)는 발 둘레를 견고하게 감쌀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후방미드솔(20)의 수축변형시 균형유지체(40)의 테두리(44)는 내측방향으로 오므라 들도록 하여 수축에 따른 발을 견고하게 잡아주는 역활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Next, the balance retainer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balance retainer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foot, and particularly for maintaining a stable balance of the heel portion where the shock absorption is made. That is, a force is applied to the foot during walking, and the rear midsole 30 contracts upon absorbing the shock, and thus the entire foot cannot be firmly balanced. Therefore, it is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foot even when absorbing shock. To this end, the balance retainer 40 can be wrapped tightly around the foot so that the rear midsole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hoe sole when shrinkage deformation due to shock absorption. This is to play a role of holding the foot firmly according to the contraction so as to lift the edge 44 of the balance retainer 40 in the inward direction during shrinkage deformation of the rear midsole 20.

상기 균형유지체(40)는 이를 위해 후방미드솔(20) 상면전체와 전방미드솔(30) 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부(32)에 걸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후방미드솔(20) 상면에 안착되는 균형유지체(40)의 저면은 후방미드솔(20)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발둘레를 감싸는 테두리부(4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미드솔(30)의 결합부(32) 저면에 결합되는 균형유지체(40)의 전방부분 역시 결합부(32)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균형유지체(40)의 전단 중앙부분에서 후방부분으로 길이 방향으로 균형유지홈(42)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균형유지홈(42)은 전단부분에서 후방길이방향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약간 적도록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균형유지홈(42)의 전방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전방미드솔(30)의 결합부(32)에 형성된 전방가이드돌기(32a)에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 균형유지홈(42) 부분은 후방미드솔(20) 상면에 형성된 후방가이드돌기(22)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미드솔(20,30)과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져 하나의 신발창을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균형유지체(40)는 재질이 합성수지재인 티피유로 연질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외력에 따른 변형성을 가지도록 한다. 따라서 발 뒤꿈치에 의한 외력이 수직하방측으로 가해질 때, 후방미드솔(20)은 수축되고, 이에 의해 균형유지체(40) 역시 발뒤꿈치 부분은 후방미드솔(40)이 수축되는 하방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때, 발뒤꿈치 중앙부분에 해당하는 균형유지홈(42)의 끝 부분을 중심으로 수직 하중이 발생되므로 균형유지체(40)의 이 부분은 후방미드솔과 일체로 수직으로 내려가고, 이에따라 균형유지홈(42)은 외측으로 밀려남과 동시에 테두리 부분(44)는 중앙부분이 수직으로 내려가는 만큼 내측방향으로 수축이 일어나게 되어 테두리 부분(44)이 발의 외측부분을 단단히 감쌀 수 있어 발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균형유지홈(42)는 전단부 보다는 발뒤꿈치가 위치되는 후방부분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게 형성되므로 후방측의 균형유지홈(42)이 끝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으로 내측방향으로 수축이 이루어지게 되어 발의 외면을 전체적으로 고루 감쌀 수 있게된다.The balance retainer 40 has a structure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32 form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rear midsole 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midsole 30 for this purpose.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balance retainer 40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midsole 2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midsole 20, and the edge portion 44 surrounding the foot circumference is formed. The front portion of the balance holder 40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32 of the front midsole 30 is also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portion 32. On the other hand, the balance maintaining groove 42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front center portion to the rear portion of the balance retainer 40. The balancing groove 42 is formed so that the diameter thereof is slightly smaller toward the rear length direction in the front end portion. Therefore, the front guide protrusion 32a formed at the engaging portion 32 of the front midsole 30 is connected to the front midsole 30 through the front open portion of the balancing groove 42,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balancing groove 42 is the rear midsole ( 20) By being coupled to the rear guide protrusion 2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s made of a solid sole and a midsole (20,30) to form a shoe sole. And the balance retainer 40 is made of a soft form of the tip material,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so as to have a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external force. Therefore, when the external force due to the heel is applied vertically downward, the rear midsole 20 is contracted, whereby the balance retainer 40 also goes down to the heel portion of the rear midsole 40 is contracted. At this time, since a vertical load is generated about the end of the balancing groove 42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heel, this portion of the balancing member 40 descends vertically integrally with the rear midsole, and accordingly the balancing groove 42 is pushed outward and at the same time the edge portion 44 is contracted in the inward direction as the center portion is lowered vertically so that the edge portion 44 can tightly wrap the outer portion of the foot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foot. . At this time, the balance maintenance groove 42 is narrower toward the rear portion where the heel is located rather than the front end portion, so that the width is concentrically concentrically concentrically around the end of the balance maintenance groove 42 on the rear side. This is done so that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foot can be evenly wrapped.

다음,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신발창을 신고 보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Next, the process of wearing a sho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신발을 신고 보행 또는 런닝 등을 행할 경우, 통상적으로 발뒤꿈치부터 지면에 먼저 닫게 된다. 가해지는 외력은 수직하방으로 전달되고, 일차적으로 소프트한 재질인 후방미드솔(20)측으로 전달되고, 이에 의해 후방미드솔(20)은 충격흡수를 위해 수축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수축변형과 동시에 후방미드솔(20)의 상면에 위치된 균형유지체(40)의 발뒤꿈치 부분 역시 수축하게 되며, 이러한 수축과 동시에 균형유지홈(42)를 중심으로 테두리(44) 부분은 내측방향으로 수축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테두리(44) 부분은 내측 방향으로 수축되는 만큼 발의 외측둘레를 압박함으로써 밀착하게 된다. 이때 수축되는 정도를 살펴보면, 균형유지홈(42)는 전방부분이 그 폭이 후방부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외력에 따라 전방부분이 더 많은 내측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후방부분의 균형유지홈(42)이 끝나는 부위에 가장 강한 외력이 작용하여 이 부분은 하방 수축이 일어나므로 균형유지홈(42)이 끝나는 부위를 중심점으로 하여 테두리 부분이 내측방향으로 수축되어 발의 외면을 감싸게 된다. 따라서 후방미드솔(20)의 수축 변형시 발뒤꿈치 부분은 테두리(44)에 의해 전체적으로 고루 밀착 감싸게 되어 전체적인 신발창과 일체화 되어 안정적인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First, when walking, running, etc. wearing shoes, the heel is normally closed to the ground first from the heel. The external force applied is transmitted vertically downward, and is primarily transmitted to the rear midsole 20 which is a soft material, whereby the rear midsole 20 undergoes shrinkage deformation for absorbing shock. Simultaneously with this shrinkage deformation, the heel portion of the balance holder 40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midsole 20 is also contracted, and at the same time, the edge 44 is centered around the balance groove 42. Contraction occurs in the direction. The edge 44 is in close contact by press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oot as much as it is contracted in the inward direction. At this time, looking at the degree of shrinkage, the balance maintenance groove 42 is the front portion is formed larger than the rea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may be more inner deformation depending on the external force. And, since the strongest external force acts on the end portion of the balance maintaining groove 42 of the rear portion, and this portion is contracted downward, the edge portion is contracted inward with the center point of the portion where the balance maintaining groove 42 ends. It wraps around the outside of the foot. Therefore, the heel portion during the shrinkage deformation of the rear midsole 20 is evenly wrapped around the entire edge by the edge 44 is integrated with the overall shoe sole can maintain a stable balance.

그 다음, 보행을 위해 지면반력을 이용하여 발의 전방부분을 ?게 될 경우, 발 뒷부분에 가해지는 외력은 없으지며, 이에 따라 균형유지체(40) 및 후방미드솔(20)은 원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한편, 지면반력시 가해지는 충격은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충분히 적으므로 전방미드솔(30)의 경도인 40 내지 60의 일반미드솔 경도로 충분히 감당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발의 착지시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최초 외력은 저경도인 소프트한 후방미드솔(20)이 충분히 충격흡수가 이루어지고, 이에 따다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균형유지체(40)의 가이드홈(42)을 중심으로 테두리(44) 부분이 내측방향으로 발의 외면을 충분히 가압하여 감싸므로 신발창과 발의 일체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발의 불균일성은 해소되게 된다. Then, when the front part of the foot is applied using the ground reaction force for walking, there is no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rear part of the foot, and thus the balance holder 40 and the rear midsole 20 are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 On the other hand, since the impact applied during the ground reaction is relatively sufficiently small compared to the impact applied to the heel can be adequately handled with a general midsole hardness of 40 to 60, the hardness of the front midsole 30. Therefore, the initial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heel at the time of landing of the foot is a low hardness soft rear midsole 20 is sufficiently absorbed shock, according to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guide groove 42 of the balance retainer 40 Since the edge 44 portion to the center to press the outer surface of the foot sufficiently inwardly wrapped to maintain the unity of the sole and the foot, the non-uniformity of the foot is eliminated.

10 : 아웃솔 20 : 후방미드솔
22 : 후방가이드돌기 30 : 전방미드솔
32 : 전방미드솔 결합부 32a : 전방가이드돌기
40 : 균형유지체 42 : 균형유지홈
44 : 테두리
10: Outsole 20: Rear midsole
22: rear guide protrusion 30: front midsole
32: front midsole coupling portion 32a: front guide protrusion
40: balance 42 42: balance groove
44: border

Claims (5)

천연 또는 합성수지재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지면과 접하는 발바닥면을 이루는 아웃솔과; 상기 아웃솔의 후방 상면에 위치되고, 후방측에서 발의 전방에서 60 내지 65% 지점에 위치되는 무게중심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 후방 미드솔과; 상기 아웃솔의 전방 상면에 위치되고, 전방에서 후방 상기 무게중심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고 상기 후방미드솔 보다는 고경도로 이루어지는 전방미드솔; 그리고, 연질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미드솔 상면전체와 전방미드솔의 후반 저면에 걸쳐 형성되어, 가해지는 수직방향의 외력에 의해 후방미드솔의 발뒤꿈치 부분의 하방수축시 테두리 부분은 내측 방향으로 수축이 이루어지는 균형유지체;로 이루어져 외력에 의한 충격흡수시 발 뒤꿈치 부분의 테두리를 감싸고,
상기 균형유지체는 전단 중앙부분에서 후방길이방향으로 균형유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미드솔 상면과 전방미드솔 후방 저면에는 상기 균형유지홈에 대응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안정성을 강화시킨 기능성 신발창.
An outsole made of natural or synthetic resin rubber material and forming a sol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round; A rear midsole positioned on the rear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and formed to become thinner toward the center of gravity located at 60 to 65% from the front of the foot at the rear; A front midsole positioned on a front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the thickness being thicker from the front to the rear side of the center of gravity, and made of a higher hardness than the rear midsole; And, it is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s formed over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rear midsole and the bottom half of the front midsole, and the edge portion contracts inward when the heel portion of the rear midsole is contract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consists of a balance retaining body; wraps around the rim of the heel when absorbing shock by external force,
The balance retaining body is formed with a balancing groove in the rear length direction at the front center portion, and a guide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balancing groove is formed on the rear midsole upper surface and the rear bottom surface of the front midsole, and is coupled to walk stability. Functional shoe sole reinforc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미드솔은, 아스커 타입 에이(Asker type A) 경도계로 25 내지 40의 경도를 가지고, 전방미드솔은 40 내지 60의 경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안정성을 강화시킨 기능성 신발창.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ar midsole has an hardness of 25 to 40 with an Asker type A durometer, and the front midsole has a hardness of 40 to 60, wherein the walking stability is enhanced. S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135245A 2012-11-27 2012-11-27 The functional shoes solefor walking balance KR1012981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245A KR101298196B1 (en) 2012-11-27 2012-11-27 The functional shoes solefor walking balance
PCT/KR2013/002984 WO2014084459A1 (en) 2012-11-27 2013-04-10 Functional shoe sole having enhanced walking st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245A KR101298196B1 (en) 2012-11-27 2012-11-27 The functional shoes solefor walking bal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8196B1 true KR101298196B1 (en) 2013-08-20

Family

ID=49220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245A KR101298196B1 (en) 2012-11-27 2012-11-27 The functional shoes solefor walking balan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98196B1 (en)
WO (1) WO2014084459A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518B1 (en) 2013-12-06 2015-04-07 박정극 Crampons
KR20160000949U (en) * 2014-09-15 2016-03-23 삼성물산 주식회사 Sole for shoes with excellent ventilation and shock absorbing function
KR20180094564A (en) * 2017-02-16 2018-08-24 주식회사 포스처360 Shoes for protecting backbone and joint
KR101949422B1 (en) * 2018-10-31 2019-02-18 정수식 Internal air circulation type ventilation shoe sol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5092A (en) 1996-02-20 1997-11-11 Prieskorn; David W. Physiological motion enhancing shoe sole
JP3009837B2 (en) 1995-08-04 2000-02-14 美津濃株式会社 Cup stabilizer
KR20100006466U (en) * 2008-12-17 2010-06-25 김길동 Functional shoe sole
KR101075172B1 (en) * 2011-03-04 2011-10-19 주식회사 블랙야크 Shoe midsole consisting of three parts with different hardnes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9837B2 (en) 1995-08-04 2000-02-14 美津濃株式会社 Cup stabilizer
US5685092A (en) 1996-02-20 1997-11-11 Prieskorn; David W. Physiological motion enhancing shoe sole
KR20100006466U (en) * 2008-12-17 2010-06-25 김길동 Functional shoe sole
KR101075172B1 (en) * 2011-03-04 2011-10-19 주식회사 블랙야크 Shoe midsole consisting of three parts with different hardnes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518B1 (en) 2013-12-06 2015-04-07 박정극 Crampons
KR20160000949U (en) * 2014-09-15 2016-03-23 삼성물산 주식회사 Sole for shoes with excellent ventilation and shock absorbing function
KR200481007Y1 (en) * 2014-09-15 2016-08-02 삼성물산 주식회사 Sole for shoes with excellent ventilation and shock absorbing function
KR20180094564A (en) * 2017-02-16 2018-08-24 주식회사 포스처360 Shoes for protecting backbone and joint
KR101893429B1 (en) * 2017-02-16 2018-08-30 주식회사 포스처360 Shoes for protecting backbone and joint
KR101949422B1 (en) * 2018-10-31 2019-02-18 정수식 Internal air circulation type ventilation shoe so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4459A1 (en)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25071B (en)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multi-component sole structure
JP6505895B2 (en) shoes
US8146272B2 (en) Outsole having grooves forming discrete lugs
EP2471400B1 (en) Sole and article of footwear
US9451805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upport assembly having primary and secondary members
US9456657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upport assembly having tubular members
US20110179669A1 (en) Cushioning and shock absorbing midsole
KR100887625B1 (en) The elastic sole and its shoes having elastic reaction force and shock absorption
US20140026438A1 (en)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AU2016268834A1 (en) Shoe insole
WO2011100216A1 (en) Shoe construction having a rocker shaped bottom and integral stabilizer
US20130318828A1 (en) Two-part sole for footwear
JP6884777B2 (en) Midsole or insole mainly for shoes
KR101298196B1 (en) The functional shoes solefor walking balance
KR20090012624A (en) Shoes with elastic bodies
CN107847014A (en) Heel damping system and the footwear for including heel damping system
US20210282496A1 (en) Mid-sole for shoes
KR101251572B1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a triangle shock absorbing space
WO2010062722A2 (en) Multilayer shoe sole
KR100926670B1 (en) The functional shoes for the extension growth
KR200427366Y1 (en) An sandal for shock absorption having support form of arch type
KR101478955B1 (en) Midsole and insole
KR101222850B1 (en) The shoes having a heel having the other elastic force and exchang
CN213307803U (en) Shock-absorbing running sole structure
US9648925B2 (en) Footwear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