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974B1 - 과전류 검출 기능을 갖춘 인버터 - Google Patents

과전류 검출 기능을 갖춘 인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974B1
KR101892974B1 KR1020170067410A KR20170067410A KR101892974B1 KR 101892974 B1 KR101892974 B1 KR 101892974B1 KR 1020170067410 A KR1020170067410 A KR 1020170067410A KR 20170067410 A KR20170067410 A KR 20170067410A KR 101892974 B1 KR101892974 B1 KR 101892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total input
bridge
current
output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9691A (ko
Inventor
크리스토프 닙
스테판 웨커
카롯즈 필립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09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G01R31/42AC power suppl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inverters, i.e. dc/ac converters
    • H02H7/1227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inverters, i.e. dc/ac converters responsive to abnormalities in the output circuit, e.g. short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9Devices or circuits for detecting current in a converter
    • H02M2001/0009

Abstract

본 발명은 인버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인버터는 반도체 스위치들을 구비한 다수의 반브리지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 출력단 및 상기 인버터의 전체 입력 전압과 전체 입력 전류 강도를 측정하고, 그리고 상기 전체 입력 전압과 전체 입력 전류 강도를 기초로 상기 인버터의 전체 입력 전력을 산출하도록 설치된 제 1 측정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인버터는 또한 반브리지 회로들 내에서 개별 브리지 전류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제 2 측정 유닛을 포함한다. 추가로 상기 인버터는 상기 전체 입력 전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인버터의 과전류 오류를 검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임계값은 상기 브리지 전류를 기초로 결정된다.

Description

과전류 검출 기능을 갖춘 인버터{INVERTER WITH OVERCURRENT DETECTION}
본 발명은 예컨대, 차량의 공기 조화 장치에서 사용되는 전동 컴프레서(electric compressor)용 인버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전동 컴프레서를 도시한다. 상기 전동 컴프레서는 전력 출력단(power output stage), 인버터-제어 유닛 및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 출력단은 전력 반도체(예컨대, IGBT(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 또는 전력 MOSFET(power-Metal Oxide Silicon Field Effect transistor)들의 브리지 회로(소위 B6-브리지) 및 중간 회로 커패시터(C)를 포함한다. 전력 출력단은 고전압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전압(HV+, HV-)을 모터용 교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상기 인버터-제어 유닛은 차량-제어 유닛으로부터 속도 설정값을 수신하고, 상응하는 스위치 신호(switch signal)들을 전력 출력단으로 전송한다. 전력 출력단을 정확히 제어하기 위하여, 인버터-제어 유닛은 전력 출력단으로부터 여러 측정 신호(전류 및 전압값)들을 수신한다.
또한, 인버터-제어 유닛은 측정 신호들을 기초로 차량-제어 유닛에 전력 출력단의 소비 전력을 전송한다.
뿐만 아니라 인버터-제어 유닛은 단락 또는 과부하로 인해 야기되는 과전류로부터 인버터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인버터 내부에서 여러 위치에 전류 및 전압 센서들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버터-제어 유닛은 예컨대 중간 회로 커패시터(C)보다 높은 전체 입력 전압과 전체 입력 전류 강도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인버터의 전체 입력 전력을 산출한다.
그 밖에도 인버터-제어 유닛은 전력 출력단으로부터 모터로 출력되는 개별 상전류(phase current)들을 홀센서(hall sensor)들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홀센서들은 고전압(450V 이상)의 경우에는 차량에 사용할 수 없다. 또한, 홀센서들 사용 시에는, 전류 측정 동력학(dynamic of the current measurement)이 상당히 제한적이고, 과전류가 충분히 신속하게 감지될 수 없다는 단점이 언급될 수 있다. 추가로 홀센서들 사용은 전력 출력단과 모터 사이에서 반브리지 단락 검출(예컨대, HV+에서 HV-까지 - 전력 반도체 1 및 2를 경유하여)을 허용하지 않는다.
개별 상전류들은 간접적으로도 측정될 수 있다(예컨대, US 2002/117992 A1호, US 2004/125622 A1호, US 6049474 A호, US 2003/173946 A1호, US 5969958 A호, US 2010/128505 A1호).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안정된 모터 제어를 제공하기 위한 전류 변화량이 너무 작고, 그리고 모터 속도가 낮은 경우 전류의 진폭이 너무 작다는 단점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내용을 배경으로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인버터에서 과전류(특히 브리지 단락)를 확실하게 검출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은 청구항 1에 규정된 전동 컴프레서용 인버터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인버터는 전력 출력단과 제 1 측정 유닛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전력 출력단은 반도체 스위치들을 구비한 다수의 반브리지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측정 유닛은 인버터의 전체 입력 전압과 전체 입력 전류 강도를 측정하고, 그리고 상기 전체 입력 전압과 전체 입력 전류 강도를 기초로 인버터의 전체 입력 전력을 산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인버터는 또한 제 2 측정 유닛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제 2 측정 유닛은 반브리지 회로들 내에서 개별 브리지 전류를 측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추가로 상기 인버터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이러한 제어 유닛은 상기 전체 입력 전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인버터의 과전류 오류를 검출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임계값은 상기 브리지 전류를 기초로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임계값은 처음부터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측정된 브리지 전류에 적합하게 조정된다. 그 결과 과전류 오류가 신속하게 검출될 수 있다.
바람직한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유닛은 PWM-제어에 의해 전력 출력단을 제어하고, 사전 설정된 PWM-클록 수에서 측정된 다수의 상전류를 기초로 임계값을 결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상전류가 정해진 시간 동안 관찰된다.
바람직한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임계값은 다수의 상전류의 이동 평균(moving average)의 유효값을 기초로 산출된다.
바람직한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임계값은 또한 전체 입력 전압을 기초로 산출된다.
바람직한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임계값(Pin_limit)은 하기의 식에 의해 산출된다:
Figure 112017051892557-pat00001
이때
t는 현재 PWM-클록을 나타내고,
N은 반브리지 수이며,
k는 브리지 전류로 변환되는 상전류의 변환 계수(conversion factor)이고,
n은 사전 설정된 PWM-클록 수이며,
Iphx는 반브리지(phx) 내 브리지 전류이고,
c는 허용된 전류 오프셋이며, 그리고
Vin은 전체 입력 전압이다.
바람직한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2 측정 유닛은 반브리지 회로들의 저전압 측에서 분로 저항(shunt resistance)에 의해 상전류를 측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한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유닛은 과전류 오류가 감지되면, 전력 출력단 내에 있는 모든 반도체 스위치를 개방하기 위해 과전류 오류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한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유닛은 인버터가 제어 상태로 있을 때 과전류 오류를 검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동 컴프레서용 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과도 관련이 있으며, 이때 상기 인버터는 전력 출력단을 포함하고, 이 전력 출력단은 반도체 스위치들을 구비한 다수의 반브리지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인버터의 전체 입력 전압과 전체 입력 전류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체 입력 전압과 전체 입력 전류 강도를 기초로 인버터의 전체 입력 전력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반브리지 회로들 내에서 개별 브리지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체 입력 전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인버터의 과전류 오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임계값은 브리지 전류를 기초로 결정된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상기 인버터 제어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를 프롬프팅(prompting) 하는 기계 판독 가능 코드(machine-readable code)를 저장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도 관련이 있다.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전동 컴프레서용 인버터의 기본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인버터를 도시한다.
도 3은 분로 저항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인버터를 도시한다.
도 4는 선행 기술과 비교한 본 발명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오류 규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방법을 도시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때 상이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또는 상응하는 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또는 유사한 도면 부호로 표기되었다.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은 차량의 냉매 압축기에서 사용되는 전동 컴프레서용 인버터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기술된다. 그러나 이때 유의할 점은, 하기 설명은 단지 예들을 제공할 뿐,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인버터를 도시한다.
상기 인버터는 전력 출력단(10)을 포함하고, 이 전력 출력단은 반도체 스위치(1, 2, 3, 4, 5, 6)들을 구비한 다수의 반브리지 회로를 포함한다. 각각 2개의 반도체 스위치가 하나의 반브리지(예컨대, 반도체 스위치 1 및 2)를 형성한다. 상기 반도체 스위치들은 예를 들면 IGBT들과 전력 MOSFET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개별 반브리지들은 각각 전동 컴프레서의 부분인 전기 모터용 상전류를 출력한다.
도 2는 예시적으로 소위 B6-브리지를 보여주며, 이때 상기 B6-브리지는 모터에 3상 교류를 출력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3개의 위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임의의 위상 수 또는 반브리지 수가 사용될 수 있다.
전력 출력단(10)은 또한 중간 회로 커패시터(C)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출력단(10)에는 고전압 배터리(HV+ 및 HV-)에 의해 전압이 공급된다.
인버터는 또한 제 1 측정 유닛(20)을 포함하고, 이 제 1 측정 유닛은 상기 인버터의 전체 입력 전압(Vin)과 전체 입력 전류 강도(Iin)를 측정하고, 그리고 상기 전체 입력 전압과 전체 입력 전류 강도를 기초로 상기 인버터의 전체 입력 전력(Pin)을 산출(Pin = Vin x Iin)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중간 회로 커패시터(C)보다 높은 전체 입력 전압(Vin)을 측정하는 제 1 측정 유닛(20)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그러나 전체 입력 전압(Vin)은 인버터의 다른 지점들에서도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 전체 입력 전류 강도(Iin)는 저전압측(HV-)에서 측정된다. 고전압측(HV+)에서의 측정에 비해, 이러한 저전압측 측정이 갖는 장점은, 저전압 측에서는 분리된 전류 측정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 밖에도 인버터는 제 2 측정 유닛(30)을 포함하며, 이 제 2 측정 유닛은 반브리지 회로들 내에서 개별 브리지 전류를 측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브리지 전류는 바람직하게 동기적으로 측정된다. 반도체 스위치(1 및 2)들에 의해 형성된 반브리지 내 브리지 전류는 하기에서 Iph1로 명명된다. 반도체 스위치(3 및 4)들에 의해 형성된 반브리지 내 브리지 전류는 하기에서 Iph2로 명명된다. 반도체 스위치(5 및 6)들에 의해 형성된 반브리지 내 브리지 전류는 하기에서 Iph3으로 명명된다.
바람직한 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 2 측정 유닛(30)이 반브리지 회로들의 저전압 측에서 분로 저항에 의해 브리지 전류를 측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분로 저항(31)에 의해 브리지 전류(Iph1)가 측정되는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상기 분로 저항(31)보다 높은 전압 하강은 증폭기(32)에 의해 증폭되어 제어 유닛(40)으로 출력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다른 반브리지들 내 브리지 전류(Iph2 및 Iph3)가 측정될 수 있다.
저전압 측에서 이루어지는 브리지 전류 측정은 분리된 전류 측정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2는 모든 반브리지 내 브리지 전류가 측정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경우로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브리지 전류는 단지 반브리지들의 부분에서도 측정될 수 있다.
인버터는 또한 제어 유닛(40)을 포함하고, 이 제어 유닛은 전체 입력 전력(Pin)이 임계값(Pin_limit)을 초과하면, 인버터의 과전류 오류를 감지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임계값은 브리지 전류(Iph1, Iph2, Iph3)를 기초로 결정된다.
따라서 임계값은 고정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측정된 브리지 전류에 맞게 조정된다. 그 결과 과전류를 신속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 유닛(40)은 제 1 측정 유닛(20)과 제 2 측정 유닛(30)으로부터 측정 신호들을 수신한다. 그 밖에 제어 유닛(40)은, 전력 출력단(10)이 모터로 교류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반도체 스위치(1, 2, 3, 4, 5, 6)들을 스위칭하기 위해 상기 전력 출력단(10)에 제어 신호들을 전송한다. 추가로 제어 유닛(4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차량-제어 유닛(도 1과 비교)과 서로 통신한다.
바람직한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유닛(40)은 PWM-제어에 의해 전력 출력단(10)을 제어하고, 그리고 사전 설정된 PWM-클록 수에서 측정된 다수의 브리지 전류를 기초로 임계값을 결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임계값 산출 시 과거에 측정된 다수의 브리지 전류가 고려된다. 그 결과 전체 입력 전력(Pin)의 너무 갑작스런 차이를 감지하여 과전류를 신속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임계값은 다수의 브리지 전류의 이동 평균의 유효값을 기초로 산출된다. 이동 평균의 예는
Figure 112017051892557-pat00002
이고,
이때 Iphx(i)는 PWM-클록(i)의 반브리지(phx) 내 브리지 전류이고, t는 현재 PWM-클록을 나타내며, 그리고 n은 사전 설정된 PWM-클록의 수다. 상기 PWM-클록 수는 예컨대 n=250일 수 있다.
상기 유효값은 전체 입력 전력(Pin)과 과거에 측정된 전체 입력 전력의 지나치게 큰 차이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과전류 발생이 신속하게 검출될 수 있다.
바람직한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임계값은 또한 전체 입력 전압(Vin)을 기초로 산출된다.
특히, 브리지 전류의 유효값과 전체 입력 전압(Vin)이 곱해질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예를 들면, 내리막 길 주행에서 회생(recuperation) 제동 동안) 배터리 전압의 변동량도 검출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 결과 오류가 있는 과전류 측정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한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임계값(Pin_limit)은 하기의 식에 의해 산출된다:
Figure 112017051892557-pat00003
이때
t는 현재 PWM-클록을 나타내고,
N은 반브리지 수이며,
k는 상전류 변환되는 브리지 전류의 변환 계수이고,
n은 사전 설정된 PWM-클록 수이며,
Iphx는 반브리지(phx) 내 브리지 전류이고,
c는 허용된 전류 오프셋이며, 그리고
Vin은 전체 입력 전압이다.
도 2의 예에서 N은 3이다. PWM-클록의 수는 예컨대, n=250일 수 있다. 변환 계수의 예는 k=
Figure 112017051892557-pat00004
이다.
허용된 전류 오프셋(c)은, 과전류 검출 없이 상전류의 이동 평균이 변경될 수 있는 정도의 값을 의미한다. 허용된 전류 오프셋(c)은 특히 측정 유닛(20, 30)들과 제어 유닛(40)이 배치되어 있는 회로 기판상에서 추가 부품(예: μC)들의 소비 전력도 고려한다. 허용된 전류 오프셋(c)은 온도 의존적일 수 있다. 허용된 오프셋(c)은 정해져 있다.
또한, 브리지 전류의 유효값과 전체 입력 전압(Vin)이 곱해진다. 이러한 전체 입력 전력을 통해 평균을 산출할 필요는 없는데, 그 이유는 전체 입력 전압은 전류와 비교해서 서서히 변경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100㎳ 크기의 전압과 ㎲ 또는 ㎱ 크기의 전류 강도가 변경된다. 이러한 깨달음을 통해 임계값 산출이 간소화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전체 입력 전압을 통한 평균 산출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어 유닛(40)은, 과전류 오류가 검출되면 모든 반도체 스위치(1, 2, 3, 4, 5, 6)를 개방하기 위해 과전류 오류 신호를 출력한다. 그 결과 브리지 단락 발생이 방지된다.
도 4는 Pin-limit을 산출하기 위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식을 사용하여 얻어진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다. 도 4의 왼쪽 그래프는 본 발명에 따른 Pin-limit 산출을 사용 없이 시뮬레이션을 도시한다. 도 4의 오른쪽 그래프는 본 발명에 따른 Pin-limit 산출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도시한다.
상기 두 그래프의 상부는 반도체 스위치들의 온도(℃)를 나타낸다. 상기 두 그래프의 하부는 3개의 상전류(A)를 나타낸다. X축은 시간(단위: 초)을 나타낸다.
도 4는 0.45초 직후에 2.4 팩터 만큼 모터의 갑작스런 부하 증가가 발생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왼쪽 그래프는, 네거티브 영역에서 40A의 임계값 초과가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몇 밀리초 이내에 반도체 스위치들의 온도가 240℃를 초과하는 온도로 상승하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와 같은 임계값 초과는, 브리지 전류가 포지티브 영역에서 40A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비로소 검출된다. 이는 반도체 스위치들의 고장을 야기하는데, 이러한 반도체 스위치들은 통상적으로 최대 175℃로 가열될 수 있다.
다른 한 편으로 오른쪽 그래프에 도시된 본 발명은 과전류를 매우 신속하게(이미 0.452초 시점에) 검출한다. 특히, 브리지 회로가 포지티브 영역에서 40A의 임계값을 초과하기 전에 이미 과전류가 검출된다. 따라서 반도체 스위치들의 온도 상승 및 그에 따른 반도체 스위치들의 고장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해서는 네거티브 브리지 전류의 임계값 모니터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모니터링은 추가 부품(예컨대, 분로 저항 및 네거티브 기준 전압을 갖는 비교 회로(comparator))들과 기판 회로를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버터 기판 회로상에서 과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추가 부품들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유닛(40)에 의해 수행되는 과전류 오류 규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경우 측정된 전체 입력 전력(Pin), 측정된 전체 입력 전류 강도(Iin) 및 측정된 브리지 전류(Iph1, Iph2, Iph3)가 사용된다. 제 1 측정 유닛(20)에 의해 측정된 전체 입력 전류 강도(Iin)는 비교 회로에 의해 전체 입력 전류 강도 임계값(max_Iin)과 비교된다. 상기 비교 회로는 "+" 입력부의 값이 "-" 입력부의 값보다 큰 경우 논리 함수 1을 출력한다.
추가로 최대 브리지 전류는 또 다른 비교 회로에 의해 브리지 전류 임계값(max_Iph)과 비교된다.
상기 전체 입력 전류 강도 임계값(max_Iin)과 브리지 전류 임계값(max_Iph)은 사전 설정된 값으로서, 인버터와 모터의 실제 결합에서 시뮬레이션/실험을 통해 정해진다.
전체 입력 전력(Pin)은 추가 비교 회로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산출된 임계값과 비교된다. 이러한 비교 결과는 사전 설정된 PWM-클록 수만큼 지연된다(예컨대, 1 PWM-클록).
상기 비교 회로들의 도시된 연결은 단지 예이며 서로 바뀔 수도 있다. 3개의 비교 회로의 임무는 논리 회로에 의해 결합되며, 그 결과 임계값들 중 하나의 임계값이 초과되면, 논리 회로가 오류 신호를 출력한다. 논리 회로는 NOR(부정논리합) 소자(또는 XOR(배타적논리합) 소자)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 결과 스타트 업-맹목 회로(start-up blind circuit)로 출력된다. 이러한 스타트 업-맹목 회로는, 인버터 시작 과정 동안 NOR 소자의 출력(10,000개의 제 1 PWM-클록)에 의해 과전류 오류가 전달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 결과 시작 과정 동안 오류가 있는 과전류 규정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 제어 유닛(40)은, 인버터가 제어 상태에 있을 때 과전류 오류를 검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홀드 소자(hold element)는 리셋 신호(reset signal)가 수신될 때까지 검출된 과전류 오류를 출력한다. 상기 리셋 신호는 제어 유닛(40) 내에 포함된 마이크로 제어기에 의해 출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방법을 도시한다. 상기 실시 형태는 전동 컴프레서용 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이 있으며, 이때 상기 인버터는 전력 출력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출력단은 반도체 스위치들을 구비한 다수의 반브리지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인버터의 전체 입력 전압과 전체 입력 전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단계(S1)와 상기 전체 입력 전압과 전체 입력 전류 강도를 기초로 인버터의 전체 입력 전력을 산출하기 위한 단계(S2)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반브리지 회로들 내 개별 브리지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S3)와 전체 입력 전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인버터의 과전류 오류를 감지하는 단계(S4)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임계값은 브리지 전류를 기초로 결정된다.
전술한 측정 유닛들과 제어 유닛들은 버스(bus), 처리 유닛(processing unit), 기억 장치, ROM, 그리고 통신용 인터페이스(communications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는 부품들간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처리 유닛은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싱 로직(processing logic)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명령을 해석하고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는 RAM 또는 다른 타입의 동적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상기 처리 유닛을 통한 실행을 위해 정보와 소프트웨어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측정 유닛들과 제어 유닛들은 전술한 연산 및 처리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다. 처리 유닛과 제어 유닛들은 소프트웨어 명령을 수행하는 처리 유닛에 의해 상기와 같은 연산 작업들을 실행하며, 이때 상기 소프트웨어 명령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매체 내에 들어 있다.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매체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 저장 장치로 규정될 수 있다. 논리적 저장 장치는 개별 물리적 저장 장치 내부에 있는 저장 영역일 수 있거나 다수의 물리적 저장 장치를 통해 분할될 수 있다.
저장 장치에 들어 있는 명령은, 프로세서상에서 전술한 연산 또는 처리 작업들이 수행되면 처리 유닛을 프롬프팅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술한 프로세스 및/또는 처리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명령에 의해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과 결합 대신 하드와이어적 회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구현(implementation)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특정 결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측정 유닛과 제어 유닛의 개념이 사용되면, 결과적으로 어떻게 이러한 유닛들이 분할되고 결합되는지와 관련하여서는 제한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상기 유닛들은 기술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부품 또는 다른 소자들 내에서 분할될 수 있다. 다수의 상이한 소자는 기술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결합될 수도 있다.
측정 유닛들과 제어 유닛들의 소자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펌웨어(firmware) 등에서 실행될 수 있다.

Claims (10)

  1. 전동 컴프레서(electric compressor)용 인버터로서, 상기 인버터가
    반도체 스위치들을 구비한 다수의 반브리지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 출력단(power output stage)(10);
    상기 인버터의 전체 입력 전압과 전체 입력 전류 강도를 측정하고, 그리고 상기 전체 입력 전압과 전체 입력 전류 강도를 기초로 상기 인버터의 전체 입력 전력을 산출하도록 설치된 제 1 측정 유닛(20);
    반브리지 회로들 내에서 개별 브리지 전류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제 2 측정 유닛(30); 및
    상기 전체 입력 전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인버터의 과전류 오류를 검출하도록 설치된 제어 유닛(40)을 포함하며,
    상기 임계값은 상기 브리지 전류를 기초로 결정되고,
    상기 제어 유닛(40)이 PWM-제어에 의해 상기 전력 출력단(10)을 제어하고, 그리고 사전 설정된 PWM-클록 수에서 측정된 다수의 브리지 전류를 기초로 상기 임계값을 결정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인버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이 다수의 브리지 전류의 이동 평균(moving average)의 유효값을 기초로 산출되는, 인버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이 또한 상기 전체 입력 전압을 기초로 산출되는, 인버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Pin_limit)이 하기의 식
    Figure 112017051892557-pat00005

    에 의해 산출되고,
    이때
    t는 현재 PWM-클록을 나타내고,
    N은 반브리지 수이며,
    k는 상전류(phase current)로 변환되는 브리지 전류의 변환 계수(conversion factor)이고,
    n은 사전 설정된 PWM-클록 수이며,
    Iphx는 반브리지(phx)내 브리지 전류이고,
    c는 허용된 전류 오프셋이며, 그리고
    Vin은 전체 입력 전압인, 인버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정 유닛(30)이 반브리지 회로들의 저전압 측에서 분로 저항(shunt resistance)에 의해 상전류를 측정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인버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40)은 과전류 오류가 검출되면, 상기 전력 출력단 내 모든 반도체 스위치를 개방하기 위해 과전류 오류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인버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40)은 상기 인버터가 제어 상태(controlled state)에 있을 때, 과전류 오류를 검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인버터.
  9. 인버터가 전력 출력단을 포함하고, 이 전력 출력단은 반도체 스위치들을 구비한 다수의 반브리지 회로를 포함하는, 전동 컴프레서용 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이
    상기 인버터의 전체 입력 전압과 전체 입력 전류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S1);
    상기 전체 입력 전압과 전체 입력 전류 강도를 기초로 상기 인버터의 전체 입력 전력을 산출하는 단계(S2);
    반브리지 회로들 내 개별 브리지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S3);
    상기 전체 입력 전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인버터의 과전류 오류를 검출하는 단계(S4)를 포함하며, PWM-제어에 의해 상기 전력 출력단을 제어하고, 그리고 사전 설정된 PWM-클록 수에서 측정된 다수의 브리지 전류를 기초로 상기 임계값을 결정하는, 인버터 제어 방법.
  10. 삭제
KR1020170067410A 2016-07-19 2017-05-31 과전류 검출 기능을 갖춘 인버터 KR1018929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13170.2 2016-07-19
DE102016213170.2A DE102016213170A1 (de) 2016-07-19 2016-07-19 Wechselrichter mit Überstromerken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691A KR20180009691A (ko) 2018-01-29
KR101892974B1 true KR101892974B1 (ko) 2018-08-30

Family

ID=6088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410A KR101892974B1 (ko) 2016-07-19 2017-05-31 과전류 검출 기능을 갖춘 인버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2974B1 (ko)
DE (1) DE1020162131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635B1 (ko) 2020-04-27 2020-11-24 산일전기 주식회사 인버터 고장 검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인버터 고장 검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4848B1 (fr) 2019-04-05 2021-04-23 Schneider Electric Ind Sas Procédés et systèmes de protection électrique
KR102186763B1 (ko) * 2019-04-11 2020-12-04 엘에스일렉트릭(주) 과전류 보호 인버터
CN110346708B (zh) * 2019-06-13 2021-04-16 爱士惟新能源技术(扬中)有限公司 一种光伏并离网逆变器的继电器故障检测方法
CN110703085B (zh) * 2019-11-11 2021-04-16 爱士惟新能源技术(扬中)有限公司 一种并网逆变器的继电器故障检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1322A (ja) * 2006-08-30 2008-03-13 Hitachi Appliances Inc 三相コンバータ・インバータ装置及びモジュール
JP2010154642A (ja) * 2008-12-25 2010-07-08 Hitachi Ltd 3相インバータの電源回路保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72570B1 (da) 1995-01-23 1999-01-25 Danfoss As Vekselretter og fremgangsmåde til måling af vekselretterens fasestrømme
FR2752111B1 (fr) 1996-07-30 1998-10-30 Texas Instruments France Procede et dispositif de commande d'onduleurs
US7035064B2 (en) * 1998-05-29 2006-04-25 Semikron Elektronik Gmbh Method and circuit arrangement with adaptive overload protection for power switching devices
JP2002199773A (ja) 2000-12-27 2002-07-12 Sanden Corp 圧縮機モータ駆動制御方法及び圧縮機駆動用インバータ装置
US6735537B2 (en) 2002-03-15 2004-05-11 Motorola, Inc. Procedure for measuring the current in each phase of a three-phase device via single current sensor
JP4055992B2 (ja) 2002-12-25 2008-03-05 サンデン株式会社 インバータの電流検出装置
ATE547713T1 (de) 2008-09-23 2012-03-15 Abb Oy Strommessung in einem wechselrichter und in einem frequenzwandl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1322A (ja) * 2006-08-30 2008-03-13 Hitachi Appliances Inc 三相コンバータ・インバータ装置及びモジュール
JP2010154642A (ja) * 2008-12-25 2010-07-08 Hitachi Ltd 3相インバータの電源回路保護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635B1 (ko) 2020-04-27 2020-11-24 산일전기 주식회사 인버터 고장 검출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인버터 고장 검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213170A1 (de) 2018-01-25
KR20180009691A (ko) 2018-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974B1 (ko) 과전류 검출 기능을 갖춘 인버터
EP3258280B1 (en) Insulation resistance measuring system and device
US10821967B2 (en) Control device and temperature detection condition determination method for motor system
US9042069B2 (en) Power supply controller
JP4624400B2 (ja) 車両用の電線保護方法および電線保護装置
CN110249519B (zh) 电力转换装置和短路位置判断方法
US9806520B2 (en) Inrush current limiting circuit
US9571026B2 (en) Inverter apparatus
US10823768B2 (en) Overcurrent detection circuit for switches
JP2008058085A (ja) 電動車両用の組電池の漏電検出方法
EP3065244B1 (en) Inrush current limiter
US9941815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with overcurrent simulating circuit
KR20170083556A (ko) 전력 변환기 및 전력 변환기 작동 방법
US20190207508A1 (en) Inverter device
US11374397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for AC power supply
CN106464196B (zh) 具有安全断电的控制设备
US9843279B2 (en) Phase current detection system
US9825577B2 (en) Drive control device of a brushless DC motor
JP6334367B2 (ja) インバータ制御装置
US11161414B2 (en) Circuit and method for detecting a creeping short circuit in bridge connections
US20220231497A1 (en)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for protecting a consumer arranged in a dc grid
KR20180012724A (ko) Dc-dc 전압 컨버터를 위한 진단 시스템
US9859739B2 (en) Load driver circuit including load model parameter estimation
CN108141146B (zh) 电力转换器
JP2008301617A (ja) 電力変換器の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