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933B1 - 가습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가습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933B1
KR101892933B1 KR1020160141672A KR20160141672A KR101892933B1 KR 101892933 B1 KR101892933 B1 KR 101892933B1 KR 1020160141672 A KR1020160141672 A KR 1020160141672A KR 20160141672 A KR20160141672 A KR 20160141672A KR 101892933 B1 KR101892933 B1 KR 101892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ser
unit
humidifier
humid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6493A (ko
Inventor
김연호
김시원
Original Assignee
김연호
김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호, 김시원 filed Critical 김연호
Priority to KR1020160141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933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15Sleep qua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18Sleep apno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 Y02B30/8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가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도록, 내부에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대응하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내측에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보습제를 무화시켜 무화된 수증기를 하우징으로 유도하는 가습부를 포함하되, 무화된 수증기는 하우징에 포함된 통공을 통해 하우징 내부에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습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HUMIDIFICATION}
본원은 가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가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수분의 건조를 막는 주요 기관으로, 피부의 표피층에서는 분화라는 과정을 통하여 수분을 함유하면서 얇은 각질층으로 발달하게 된다. 구조적으로 각질층의 세포들은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하고, 각질세포의 세포간 지질들은 모르타르로서 작용하여 피부 장벽을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각질 세포에는 고농도의 자연보습인자가 존재하여 피부의 수분 보유를 돕는다. 따라서, 정상적인 피부의 보습을 위해서는 세포간 지질의 보충뿐 아니라 수용성 성분을 내 외부로부터 공급할 필요가 있다.
피부의 관리를 위해 증기를 피우는 세안 용기에 얼굴을 넣어 훈증하거나, 방사형 미스트를 휴대하여 사용하거나, 한지 등을 이용한 시트 마스크팩을 이용하여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훈증하는 방법의 경우 그 특성 상 절차의 번거로움이 있고, 미스트의 경우, 피부에 수분을 주는 것이 목적이지만, 오히려 증발하면서 피부에 있던 열과 피부 수분이 함께 증발되는 단점이 있다. 마스크팩의 경우, 일반적으로 시트가 젖은 상태에서 피부에 부착해 사용하게 되는데, 누워서 사용하는 경우 머리카락이나 목 등을 타고 해당 성분이 흘러내릴 수 있는 단점을 포함하여 마스크팩 사용 시 활동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2-0094882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습 유닛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머리 형상에 맞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씌어지는 형태를 갖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수면 시에도 쾌적한 수면 환경을 제공하고, 수면 시 지속적으로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포함하는 수분을 공급하여 수면과 동시에 호흡기 질환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가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도록, 내부에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대응하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내측에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보습제를 무화시켜 무화된 수증기를 하우징으로 유도하는 가습부를 포함하되, 무화된 수증기는 하우징에 포함된 통공을 통해 하우징 내부에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습부는 보습제를 무화시키는 무화부, 무화부에 의해 무화된 수증기를 하우징으로 유도하는 송풍기 및 보습제를 저장하고, 탈착 가능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습부는 무화부에 의해 무화되는 보습제의 누수를 방지하는 개폐부, 무화부에 의해 무화되는 수증기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장치.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하우징의 위측 일단과 힌지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시야부, 하우징 및 가습부와 연결되어, 무화된 수증기를 하우징으로 유도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된 이후, 하우징이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야부는 하우징의 위측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습부는 가습부가 동작하는 동작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무화부는 결정된 동작 시간에 기초하여 보습제를 무화시키되, 무화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보습제의 무화를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하우징의 내부에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충격 흡수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적외선부를 더 포함하되, 원적외선부는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머리 방향으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수면 깊이를 측정하는 수면 센서를 더 포함하고, 수면 센서는 사용자의 수면 여부, 수면 호흡, 코골이, 수면 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습 장치를 통해 가습하는 방법에 있어서 내부에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대응하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내측에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단계 및 보습제를 무화시켜 무화된 수증기를 하우징으로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무화된 수증기는 하우징에 포함된 통공을 통해 하우징 내부에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화된 수증기를 하우징으로 유도하는 단계는 보습제를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보습제를 무화시키는 단계 및 송풍기를 통해 무화된 수증기를 하우징으로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가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가습 유닛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머리 형상에 맞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씌어지는 형태를 갖는 가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머리에 는 형태 가습 할 수 있어 번거로움 없이 피부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지속적으로 수증기를 통해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건조함에의해 생기는 잦은 기침 또는 코 가려움 등을 방지할 수 있고, 건조한 환경 및 장시간의 컴퓨터 사용 등에 따른 눈 건조함을 해소할 수도 있다. 또한, 건조한 날씨 등으로 피부에 생기는 수분 손실 등에 대처할 수도 있다. 또한, 수면 시 사용함으로써 쾌적한 수면 환경을 제공하고, 수면과 동시에 피부 건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3b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습 장치(10)는 하우징(101) 및 가습부(102)를 포함한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가습 장치(10)의 구성이 앞서 설명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습 장치(10)는 가습 장치(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원 공급 장치는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01)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도록 내부에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대응하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내측에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1)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도록 헬멧의 형상으로 사용자의 머리 전체에 거치되어 가습 장치(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하우징(101)는 하우징(101) 내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되는 부위에 탄성부재, 스펀지,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 등으로 이루어진 충격 흡수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충격 흡수체는 하우징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고, 가습 장치(10)의 고정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가습 장치(10)를 이용하는 경우, 안면 이외의 부분으로의 보습을 방지하여 머리카락 등에 의해 수증기가 맺혀 안면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101)은 그 끝단이 원만한 둥근 형상을 가져 가습 장치(10)를 착용하는 사용자가 끝단에 의해 긁히거나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1)는 시야부(1011), 연결부(1012)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부 및 원적외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야부(1011)는 하우징(101)의 위측 일단과 힌지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장치(10)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 2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하우징(101)은 하우징(101)을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경우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투명한 소재의 시야부(1011)를 포함할 수 있다. 시야부(1011)는 투명 플라스틱 또는 유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야에 방해가 되지 않는 투명한 소재의 다른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시야부(1011)는 불투명 소재로서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빛의 유입을 막아, 가습 장치(10)를 착용한 사용자가 수면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시야부(1011)는 투명한 소재로서 가습 장치(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불투명 소재로서 사용자에게 수면에 적합한 어두운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시야부(10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으며 각각의 시야부(1011)는 하우징(101)과 힌지 결합되어 결합 위치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다른 예에서 시야부(1011)는 하우징의 양 측단에 회전 결합되어 결합 위치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시야부(1011)는 일반적인 헬멧에서와 같이 하우징의 형상을 따라 윗측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다른 예에서, 시야부(1011)는 하우징(101)의 위측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야부(1011)(제 1 시야부, 제 2 시야부 및 제 3 시야부)를 포함하는 하우징(101)에 있어서, 제 2 시야부는 하우징과 힌지 결합되어 결합 위치를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하우징(101)의 위측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시야부 내지 제 3 시야부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하거나, 시야부(1011)가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시야부(1011)는 사용자의 수면 중 질식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시야부(1011)는 힌지 결합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힌지 결합 센서는 시야부(1011)가 하우징(101)로부터 열리거나 닫힘을 인지할 수 있고, 힌지 결합 센서를 통해 시야부(1011)가 개방되지 않은 닫힌 상태에서만 가습 장치(10)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시야부(1011)는 내측에 소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된 공간에 아로마 등 사용자에게 유익한 약초, 약재, 허브 또는 유익한 성분을 포함하는 패드, 주머니 등을 넣음으로써 가습 장치(10)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고정부(미도시)는 하우징(101)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두부 또는 안면에 무화된 수증기가 제공되는 동안, 하우징(101)과 함께 가습 장치(10)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미도시)는 하우징(101)의 하부에 소정 고정 부재를 포함하여 수증기가 제공되는 동안, 가습 장치(10)를 고정할 수 있다.
원적외선부(미도시)는 원적외선을 발생시키고,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 방향으로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다. 원적외선은 적외선 영역을 파장에 따라 세분화 했을 때 가시광선에서 가장 먼 파장이 가장 길고 진동수가 가장 낮은 범위에 해당하는 전자기파를 의미할 수 있다. 원적외선부는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가습 장치(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체온을 적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가습 장치(10)를 측면에서 바라보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 3a에 의하면, 연결부(1012)는 하우징(101) 및 가습부(102)와 연결되어, 가습부(102)를 통해 무화되어 하우징(101)로 유도되는 수증기를 하우징(101) 내에 형성된 통공으로 유도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습부(102)를 통해 무화되는 수증기는 연결부(1012)를 통해 하우징(101)으로 유도되고, 유도된 수증기는 하우징(101) 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분사되거나 또는 제공될 수 있다.
가습부(102)는 보습제를 무화시켜 무화된 수증기를 하우징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 때, 무화된 수증기는 하우징(101)에 포함된 통공을 통해 하우징(101) 내부에 토출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습부(102)는 무화부(1021), 송풍기(1022) 및 저장부(102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앞서 개시된 구성들로 본원발명의 가습부(102)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습부(102)는 개폐부(미도시), 제어부(미도시) 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연결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밖에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화부(1021)는 보습제를 무화시킬 수 있다. 이 때, 보습제는 물 뿐만 아니라, 약초 또는 약재 성분을 포함하는 물, 약재 자체가 포함되는 물 이외에도 보습을 위한 화장수, 아로마오일 등 보습을 위한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는 액체 상태의 보습제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수증기, 습기 또는 수분 이라 함은 보습제가 무화된 상태를 의미하며, 보습제의 성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어, 무화부(1021)는 초음파기 등의 진동자를 이용하여 보습제를 진동시켜 잘게 쪼갠 물방울로 만들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무화부(1021)는 전기로 물을 끓여서 수증기를 만들어 낼 수도 있다. 즉, 무화부(1021)는 보습제를 무화시키는데 있어, 초음파기 등의 진동자를 이용할 수 있고, 다른 예에서 열에 의한 무화기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열에 의한 무화기의 경우, 열 공급의 효율을 위해 열선을 발열시켜, 무화된 수증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수증기의 움직임을 활발히 시켜 수분의 분포를 확대시키거나 사용자의 피부에 적당한 온습을 가할 수 있어 피부에의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호흡하는 동안 충분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어, 건조한 환경에서 수면을 취함으로써 생기는 기침 또는 코가려움 등의 호흡기 질환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무화부(1021)는 하부에 열판을 구비하고, 열판 위에 보습제를 저장하는 저장부(1023)를 위치시켜 하부에서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보습제를 무화시켜 가습할 수도 있다. 좀 더 상세히 말하면, 무화부(1021)는 전기밥솥과 같은 방식으로 물을 가열하여 가습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1023)는 보습제를 저장하는 내부 저장부 및 외부에서 내부 저장부를 고정시키는 외부 저장부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로 무화부(1021)의 동작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화부(1021)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연결선을 수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화부(1021)는 가습 장치(1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 연결선을 무화부(1021)의 별도의 공간에 수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납된 전원 연결선을 이용하여 가습 장치(1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연결할 수 있다.
송풍기(1022)는 무화부(1021)에 의해 무화된 수증기를 하우징(101)로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풍기는 무화부(1021)에 의해 무화된 수증기가 하우징(101)로 이동할 수 있도록 팬(Fan)을 통해 수증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송풍기(1022)는 앞서 설명한 구성 이외에도 수증기를 하우징(101)로 이동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023)는 보습제를 저장하고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023)는 사용자의 두부, 얼굴 또는 안면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보습제를 저장할 수 있으며, 보습제의 보충 또는 변경 등이 필요한 경우, 저장부를 탈착하여 보습제를 보충하거나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023)는 내부에 내부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저장부(1023)는 하우징(101)에 고정되며, 내부 저장부가 탈착 될 수 있다.
개폐부는 저장부(1023) 내부에 저장된 보습제 또는 무화부(1021)에 의해 무화되는 보습제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저장부(1023)에 저장된 보습제는 기본적으로 액체 상태에 있어 누수될 수 있는 우려를 가질 수 있으며, 무화부(1021)에 의해 무화 또는 기화된 수증기 또한 하우징(101)로 유도되지 않고 누수될 수 있다. 개폐부는 액체 또는 기화된 상태에 있는 보습제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개폐부는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내기 위해 공기구멍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물 등의 보습제를 저장부에 보충하기 위한 투명한 뚜껑을 포함하는 소정의 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재 저장부(1023)에 저장된 보습제의 양을 파악하거나 보습제를 추가로 보충하는 경우에 보습제의 양을 파악할 수 있다.
도 3b에 의하면, 송풍기(1022)는 하우징(101)과 힌지 결합되어 연결 축을 중심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송풍기(1022)의 이동을 통해 개폐부 개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송풍기(1022)가 연결축을 중심으로 이동한 뒤, 개폐부를 개폐하여, 저장부에 보습제를 추가하거나, 사용 후 남은 보습제를 제거할 수 있다.
송풍기(1022)는 가습 장치(10)의 뒷측 상단에 위치하여 무화부(1021)를 통해 무화되는 수증기를 가습 장치(10)의 앞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며, 힌지결합을 통해 뒷측 위 방향으로 들릴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무화부(1021)에 의해 무화되는 보습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부(미도시)는 무화부(1021)의 강도를 조절하여 하우징으로 유도되는 수증기의 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의 이러한 동작은 무화부(1021)에 의한 무화 효과를 증대시키고, 하우징 내부에 공급되는 수분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타이머(미도시)는 가습부(102)가 동작하는 동작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무화부(1021)는 타이머를 통해 결정된 동작 시간에 기초하여 보습제를 무화시키되, 무화부(102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보습제의 무화를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머는 15분 단위로 설정하여 180분 까지 결정될 수 있고, 무화부(1021)는 결정된 시간 동은 보습제를 무화시킬 수 있다. 다만, 타이머를 통해 결정되는 시간이 앞서 설명된 예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타이머는 1분 단위로 결정될 수 있으며, 다른 예에서 지정된 시간까지만 동작되도록 하는 동작 종료 시간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습 장치(10)는 전면에 하우징(101)이 위치하고, 후면에 가습부(102)가 위치할 수 있다. 이는 가습 장치(10)가 동작하는 동안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는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가습 장치(10)를 착용한 사용자가 수면 시에도 이를 방해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도 5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따른 가습 방법은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가습 장치(10)의 각 부에서 처리되는 내용이 설명된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지 않은 내용이라 할지라도,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가습 장치(10)의 동작 설명에 포함되거나 유추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01에서 가습 장치(10)는 내부에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대응하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내측에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는 하우징(101)을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고, 단계 S502에서 보습제를 무화시켜, 무화된 수증기를 하우징(101)로 유도시켜 가습 장치(1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머리, 두부 또는 안면에 수증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무화된 수증기는 하우징(10)에 포함된 통공을 통해 하우징 내부에 토출될 수 있다. 단계 S502의 무화된 수증기를 하우징으로 유도하는 단계는 보습제를 저장하고, 저장된 보습제를 무화시키고, 송풍기를 통해 무화된 수증기를 하우징으로 유도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가습 장치(10)는 사용자의 수면 깊이를 측정하는 수면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면 센서는 사용자의 수면 여부, 수면 호흡, 코골이, 수면 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습 장치(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면하는 경우 수면 여부, 수면 깊이, 뒤척임, 코골이 등 수면과 관련된 다양한 파라미터를 측정할 수 있고, 가습 장치(10)와 연결된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에 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가습 장치
101: 하우징
102: 가습부
1011: 시야부
1021: 무화부
1022: 송풍기
1023: 저장부

Claims (13)

  1. 가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도록, 내부에 상기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대응하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는 헬멧 형상이고, 그를 착용한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무화된 수증기가 제공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는 하우징;
    보습제를 무화시켜 상기 무화된 수증기를 상기 하우징으로 유도하는 가습부; 및
    사용자의 수면 깊이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수면 여부, 수면 호흡, 코골이, 수면 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수면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무화된 수증기는 상기 하우징에 포함된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토출되어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위측 일단과 힌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시야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가습부와 연결되어, 상기 무화된 수증기를 상기 하우징으로 유도하는 연결부; 및
    상기 사용자의 체온이 소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적외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적외선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머리 방향으로 상기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상기 시야부는, 하우징으로부터 열리거나 닫힘을 인지하는 힌지 결합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위측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인, 가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부는
    보습제를 무화시키는 무화부;
    상기 무화부에 의해 무화된 수증기를 상기 하우징으로 유도하는 송풍기; 및
    상기 보습제를 저장하고, 탈착 가능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부는
    상기 무화부에 의해 무화되는 보습제의 누수를 방지하는 개폐부;
    상기 무화부에 의해 무화되는 보습제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된 이후, 상기 하우징이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장치.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부는 상기 가습부가 동작하는 동작 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화부는 상기 결정된 동작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보습제를 무화시키되,
    상기 무화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보습제의 무화를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충격 흡수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 결합의 연결 축을 중심으로 이동하되,
    상기 저장부는 상기 송풍기가 이동하는 경우 탈착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장치.
  12. 삭제
  13. 삭제
KR1020160141672A 2016-10-28 2016-10-28 가습 장치 및 그 방법 KR101892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672A KR101892933B1 (ko) 2016-10-28 2016-10-28 가습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672A KR101892933B1 (ko) 2016-10-28 2016-10-28 가습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493A KR20180046493A (ko) 2018-05-09
KR101892933B1 true KR101892933B1 (ko) 2018-08-30

Family

ID=62200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672A KR101892933B1 (ko) 2016-10-28 2016-10-28 가습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9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676Y1 (ko) * 2004-03-26 2004-07-01 윤복현 미용·건강증진용 온열 보습기
JP3933594B2 (ja) * 2003-03-24 2007-06-20 株式会社大廣製作所 毛髪加湿器
JP2008212603A (ja) * 2007-03-02 2008-09-18 Shinyo Sangyo Kk 新鮮空気吹き出しのサンバイザ−。
KR101276911B1 (ko) * 2012-03-26 2013-06-24 권라희 안면 수분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015B1 (ko) * 2010-04-12 2012-06-08 주식회사 유니온 메디칼 탈모 방지용 모자
KR101234821B1 (ko) * 2010-11-25 2013-02-19 (주)유엔씨 수면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097542A (ko) * 2012-02-24 2013-09-03 김민숙 피부상태 측정 기능을 구비한 미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3594B2 (ja) * 2003-03-24 2007-06-20 株式会社大廣製作所 毛髪加湿器
KR200354676Y1 (ko) * 2004-03-26 2004-07-01 윤복현 미용·건강증진용 온열 보습기
JP2008212603A (ja) * 2007-03-02 2008-09-18 Shinyo Sangyo Kk 新鮮空気吹き出しのサンバイザ−。
KR101276911B1 (ko) * 2012-03-26 2013-06-24 권라희 안면 수분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493A (ko)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26952T3 (es) Dispositivos inhaladores nebulizadores
KR100767814B1 (ko) 안면 전용 기능성 스팀 미용기
JP6723570B2 (ja) モイスチャーミストの噴霧装置
US8535363B1 (en) Facial heating pad device
JP6331208B2 (ja) アイマスク型水素供給器
US10376659B2 (en) Personal care vaporizer device for the eye area of the face
JP5419236B2 (ja) ガスミストマスク装置
JP3140444U (ja) 携帯用水分供給器
JP2005515026A5 (ko)
US11491285B2 (en) Ultrasonic medicine application device that strongly promotes medicine absorption
CN109602977A (zh) 个人用呼吸机
EP2377421A1 (en) Functional beauty applicator using cold steam
CN112107472A (zh) 眼球保湿器
KR200473945Y1 (ko) 스팀 맛사지 장치
EP1147752A1 (en) Steam generating unit, mask and eye pillow respectively containing the same, and use thereof
KR101892933B1 (ko) 가습 장치 및 그 방법
CN204709594U (zh) 一种空气加湿装置
JP5395741B2 (ja) 目元用美容器具
KR20090011177A (ko) 안면 미용 마스크
CN219439699U (zh) 水汽热敷眼罩
CN106510935A (zh) 温热型雾化湿房镜
CN209108062U (zh) 一种可调节温度的密封式艾灸装置
KR102340242B1 (ko) 스팀 마사지 미용장치
KR101276911B1 (ko) 안면 수분 공급 장치
CN206178274U (zh) 一种可为眼部加湿的眼镜、镜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