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676B1 - 음식물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676B1
KR101892676B1 KR1020180028222A KR20180028222A KR101892676B1 KR 101892676 B1 KR101892676 B1 KR 101892676B1 KR 1020180028222 A KR1020180028222 A KR 1020180028222A KR 20180028222 A KR20180028222 A KR 20180028222A KR 101892676 B1 KR101892676 B1 KR 101892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ood
sensor
wastewater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클
Priority to KR1020180028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음식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물(오수)만 공급될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고 음식물이 공급될 경우 자동으로 동작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음식물 및 오수가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음식물은 분쇄하고 상기 오수는 통과시키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분쇄된 음식물을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오수를 상기 제1방향의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제1방향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쇄된 음식물을 보관하는 보관부; 상기 이송부의 제2방향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수를 배수하는 배수부; 상기 투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음식물을 감지하는 음식물 센서; 상기 투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수를 감지하는 오수 센서; 및 상기 음식물 센서 및 상기 오수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분쇄부 및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식물 센서로부터 음식물 감지 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분쇄부 및 상기 이송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음식물 센서로부터 음식물 감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고 상기 오수 센서로부터 오수 감지 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분쇄부 및 상기 이송부를 동작시키지 않는 음식물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처리 장치{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음식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는 매일 일정량의 잔반(음식물 찌꺼기 및 쓰레기)이 배출되는데, 각 가정 또는 음식점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 및 쓰레기는 대다수가 많은 양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 처리없이 그대로 폐기하면 토양 및 하천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일반적인 음식물 쓰레기 및 찌꺼기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법에 의거하여 침출수가 없이 건조된 상태로 규격화된 쓰레기봉투에 담아 배출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음식물을 분리하고 침출수가 없는 상태로 건조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어, 아직도 많은 경우에 있어서는 음식물 쓰레기에 수분이 그대로 남아 있는 상태로 쓰레기봉투에 담아 배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하여 여름철과 같은 혹서기에는 음식물 쓰레기봉투 주위로 파리 등이 모이거나 곰팡이와 같은 세균이 번식하는 환경이 제공되고,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가 하천 또는 지하수로 스며들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 장치가 시판되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더욱더 진보한 장치로서 미생물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분해하고 교반한 후에 히터로 수분을 제거하고, 이때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악취를 플라즈마, 이온 및 필터 등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일반 가정 및 업소의 싱크대 즉,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결되어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하고 이를 탈수 및 건조시키는 음식물 처리 장치도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처리 장치는 대개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음식물 찌꺼기를 하천으로 흘려보내지 않고 이를 걸러내어 분쇄 과정, 탈수 과정 및 건조 과정을 거친 후 별도로 수거하여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오수)만 공급될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고 음식물이 공급될 경우 자동으로 동작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식물의 공급 및 분쇄후 오수의 배출 시 음식물 슬러지가 배수망(타공)을 막지 않고 오수만 원할하게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식물이 아닌 수저나 젓가락 같은 금속을 구별하여 동작을 정지하거나 역회전하여 장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는 음식물 및 오수가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음식물은 분쇄하고 상기 오수는 통과시키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분쇄된 음식물을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오수를 상기 제1방향의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제1방향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쇄된 음식물을 보관하는 보관부; 상기 이송부의 제2방향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수를 배수하는 배수부; 상기 투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음식물을 감지하는 음식물 센서; 상기 투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수를 감지하는 오수 센서; 및 상기 음식물 센서 및 상기 오수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분쇄부 및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식물 센서로부터 음식물 감지 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분쇄부 및 상기 이송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음식물 센서로부터 음식물 감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고 상기 오수 센서로부터 오수 감지 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분쇄부 및 상기 이송부를 동작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식물 센서로부터 음식물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동시에 상기 오수 센서로부터 오수 감지 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분쇄부 및 상기 이송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이송 스크류; 상기 이송 스큐류의 일측 외곽을 감싸며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쇄된 음식물을 상기 보관부로 이송하는 이송 하우징; 상기 이송 스크류의 타측 외곽을 감싸며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오수를 상기 배수부로 배수하는 배수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망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망의 타공에 상기 분쇄된 음식물의 슬러지가 끼지 않도록 하는 배수망 청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망 청소부는 상기 배수망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리드 스크류; 상기 리드 스크류에 결합되어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배수망의 하부 영역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동시에 상기 배수망에 접촉하는 다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표면에 형성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의 피치는 상기 타공의 피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롤러의 회전 시 상기 배수망의 타공에 결합 및 분리됨으로써, 상기 타공에 상기 분쇄된 음식물의 슬러지가 상기 타공에 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투입부에 설치되어 금속을 센싱하는 금속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금속 센서로부터 금속 감지 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분쇄부를 역회전하여 상기 금속을 상부로 밀어 올려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쇄부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전류를 센싱하는 전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센서로부터 감지된 전류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류 레벨보다 높으면 상기 분쇄부를 역회전하여 상기 음식물을 상부로 밀어 올려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물(오수)만 공급될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고 음식물이 공급될 경우 자동으로 동작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투입부에 음식물 센서 및 오수 센서를 설치하고, 오수 센서를 통해 오수만 감지될 경우 동작하지 않고, 음식물 센서를 통해 음식물이 감지될 경우 비로소 자동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사용자 터치에 의한 수동 동작이 아니라 자동 동작에 의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음식물의 공급 및 분쇄후 오수의 배출 시 음식물 슬러지가 배수망(타공)을 막지 않고 오수만 원활하게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수망의 외측에 설치되어 배수망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배수망 청소부를 설치함으로써, 배수망의 타공에 음식물 슬러지가 끼지 않도록 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음식물이 아닌 수저나 젓가락 같은 금속을 구별하여 동작을 정지하거나 역회전하여 장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식물 투입부에 금속 센서를 설치하거나, 또는 분쇄부를 회전시키는 모터의 전류 또는 토크를 센싱하여, 분쇄부에 금속(예를 들면, 수저나 젓가락)이 투입될 경우, 분쇄부룰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분쇄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주요부 단면도 및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중에서 음식물과 물을 구별하여 자동 동작하기 위한 구성 및 방법을 도시한 블럭도 및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중 음식물 센서 및 오수 센서의 설치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중에서 금속의 끼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 및 방법을 도시한 블럭도 및 순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중에서 금속의 끼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 및 방법을 도시한 블럭도 및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중 오수 배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중 오수 배수부 청소 장치를 도시한 측면 개략도, 정면 개략도 및 돌기를 갖는 롤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중 오수 배수부에 부착된 청소 장치를 도시한 정면 개략도, 측면 개략도 및 돌기를 갖는 롤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은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펌웨어(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집적회로 칩 상에, 또는 별개의 집적회로 칩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컨트롤러)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구현 될 수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제어부(컨트롤러)와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컨트롤러)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표준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상호간 결합되거나,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통합되거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들에 분산될 수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100)를 도시한 사시도 및 주요부 사시도이고,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100)를 도시한 단면도, 주요부 단면도 및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 도 1b 및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100)는 투입부(110), 모터부(120), 분쇄부(130), 이송부(140), 보관부(150), 건조부(160) 및 배수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부(110)는 싱크대 아래의 배수구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음식물 및/또는 오수(물)가 투입될 수 있다.
모터부(120)는 투입부(11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분쇄부(130) 및 이송부(14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모터부(120)는 분쇄부(130) 및 이송부(14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기어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분쇄부(130) 및 이송부(140)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분쇄부(130)는 투입부(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음식물을 분쇄하고 오수를 하부 방향으로 통과시킨다. 이러한 분쇄부(130)는 한쌍이 구비됨으로써, 그 사이로 음식물 및/또는 오수가 공급될 수 있다.
이송부(140)는 분쇄부(130)의 하부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분쇄된 음식물을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오수를 제1방향의 반대인 제2방향으로 배수할 수 있다. 이송부(140)의 수평 방향 길이는 분쇄부(13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수 있으며, 특히, 전방향(제1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보관부(150)는 이송부(140)의 제1방향 하부(전방의 하부 방향)에 설치되어 분쇄된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다. 보관부(150)는 내부에 분쇄된 음식물이 가득 채워질 경우, 이를 전방으로 분리하여 비울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건조부(160)는 분쇄부(130)의 측부로서 보관부(15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건조부(160)는 송풍팬(161)과 팬 모터(162)를 포함할 수 있다. 팬 모터(162) 및 송풍팬(161)의 동작에 의해 공기가 보관부(150)로 강제 송풍됨으로써, 보관부(150) 내의 분쇄된 음식물이 자연 건조될 수 있다. 건조 시간 단축을 위해, 송풍 팬(161)의 후단에 히터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송풍 팬(161)의 후단에 히터가 설치됨으로써, 가열된 공기가 분쇄된 음식물에 제공되고, 이에 따라 분쇄된 음식물이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다.
배수부(170)는 이송부(140)의 제2방향 하부(후방 하부 방향)에 설치되어 오수를 배수할 수 있다. 즉, 배수부(170)는 보관부(150)의 후방에 설치되어, 분쇄부(130) 및 이송부(140)를 통해 낙하된 오수가 외측으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100)중에서 음식물과 물(오수)을 구별하여 자동 동작하기 위한 구성 및 방법을 도시한 블럭도 및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100)중 음식물 센서(184) 및 오수 센서(185)의 설치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100)는 전원부(181), 제어부(183), 음식물 센서(184), 오수 센서(185), 스위치(186), 분쇄부(130)와 이송부(140)를 동작시키는 모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부(181)는 스위치(186)를 경유하여 모터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음식물 센서(184)는 투입부(110)에 투입된 음식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183)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오수 센서(185)는 투입부(110)에 투입된 오수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183)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3)는 음식물 센서(184)로부터 음식물 감지 신호를 입력받을 경우(S1), 스위치(186)를 턴온시켜 전원부(181)의 전원이 모터부(120)에 공급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분쇄부(130) 및 이송부(140)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S2).
또한, 제어부(183)는 오수 센서(185)로부터 오수 감지 신호를 입력 받는 경우(S3), 여전히 음식물 센서(184)로부터 음식물 감지 신호를 입력받으면(S4), 스위치(186)를 계속 턴온시켜 전원부(181)의 전원이 모터부(120)에 공급되도록 하여 분쇄부(130) 및 이송부(140)가 동작하도록 하고, 오수 센서(185)로부터 오수 감지 신호를 입력받으나, 음식물 감지 센서로부터 음식물 감지 신호를 입력받지 못할 경우, 스위치(186)를 턴오프하여(또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여) 모터부(120)에 전원부(181)의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고, 이에 따라 분쇄부(130) 및 이송부(140)가 동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S5).
즉, 제어부(183)는 음식물 센서(184) 및 오수 센서(185)의 각각으로부터 음식물 감지 신호 및 오수 감지 신호를 입력받을 경우에도 스위치(186)를 턴온시켜 전원부(181)의 전원이 모터부(120)에 공급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분쇄부(130) 및 이송부(140)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83)는 음식물 센서(184)로부터 음식물 감지 신호를 입력받지 못하고, 오수 센서(185)로부터 오수 감지 신호만을 입력받을 경우 스위치(186)를 턴오프시킴으로써, 전원부(181)의 전원이 모터부(120)에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이에 따라 분쇄부(130) 및 이송부(140)가 동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센서(184) 및 오수 센서(185)는 음식물 및 오수가 투입되는 투입부(110)에 설치됨으로써, 분쇄부(130)에 음식물 및/또는 오수의 유입 여부를 바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음식물 센서(184)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오수 센서(185)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오수가 흐르면 저항값 및/또는 전압값이 변하는 워터 센서, 수위 센서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물(오수)만 공급될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고 음식물이 공급될 경우 자동으로 동작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투입부(110)에 음식물 센서(184) 및 오수 센서(185)를 설치하고, 오수 센서(185)를 통해 오수만 감지될 경우 동작하지 않고, 음식물 센서(184)를 통해 음식물이 감지될 경우 자동적으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사용자 터치에 의한 수동 동작이 아니라 자동 동작에 의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100)중에서 금속의 끼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 및 방법을 도시한 블럭도 및 순서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100)는 전원 극성 절환부(182)를 갖는 전원부(181), 제어부(183), 금속 센서(187), 스위치(186), 분쇄부(130)와 이송부(140)를 동작시키는 모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센서(187) 역시 투입부(110)에 설치됨으로써, 투입부(110)를 통해 투입될 수 있는 금속의 존재 여부를 제어부(183)가 인식하도록 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3)는 기본적으로 스위치(186)를 턴온시킬때 모터부(120)를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전원 극성 절환부(182)를 제어할 수 있다.(S11) 이어서, 제어부(183)는 금속 센서(187)를 통해 음식물 및 오수가 투입되는 투입부(110)에 수저나 젓가락과 같은 금속 이물이 투입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2) 제어부(183)는 금속 센서(187)를 통해 금속 이물을 감지하게 되면, 스위치(186)를 턴오프함으로써 모터부(120)가 턴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S13)
이어서, 제어부(183)는 전원부(181)의 전원 극성 절환부(182)를 제어하여 출력 극성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S14) 예를 들어, 도 5a에서 전원부(181)의 상부가 양극 및 전원부(181)의 하부가 음극이었다면, 전원 극성 절환부(182)를 제어하여 전원부(181)의 상부가 음극 및 전원부(181)의 하부가 양극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스위치(186)의 바디 다이오드 또는 기생 다이오드를 통하여 스위치(186)를 턴온하지 않아도 모터부(120) 및 스위치(186)를 경유하여 전류가 흐르고, 이에 따라 모터부(120)는 역회전하게 된다.(S15) 따라서, 투입부(110) 및 분쇄부(130)에 수저나 젓가락과 같은 금속 이물이 투입되었을 경우, 이것이 분쇄되지 않고 투입부(11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입부(110), 분쇄부(130) 및/또는 이송부(140) 등의 손상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3)는 이러한 동작을,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0.1초 내지 1초 동안 수행하고 정지하도록 프로그램됨으로써, 음식물이나 오수의 역류 현상 등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부(183)는 전극 극성 절환부(182)를 제어하여 원래의 극성으로 전환되도록 한 이후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16) 물론, 이러한 단계(S16) 이후 투입부(110)에 음식물 및/또는 오수가 감지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음식물의 분쇄 또는 오수의 통과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도 3a 및 도 3b 참조)
여기서, 스위치(186)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 절연게이트바이폴라트랜지스터(IGBT)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186)의 형태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100)중에서 금속의 끼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 및 방법을 도시한 블럭도 및 순서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100)는 전원 극성 절환부(182)를 갖는 전원부(181), 제어부(183), 전류 센서(188), 스위치(186) 및 분쇄부(130)와 이송부(140)를 동작시키는 모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류 센서(188)는 전원 공급 경로 자체에 형성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투입부(110) 등에 별도로 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3)는 기본적으로 스위치(186)를 턴온시킬때 모터부(120)를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전원 극성 절환부(182)를 제어할 수 있다.(S21) 이어서, 제어부(183)는 전류 센서(188)를 통해 음식물 및 오수가 투입되는 투입부(110)에 금속과 같이 분쇄되기 어려운 이물이 투입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22) 즉, 투입부(110) 및 분쇄부(130)에 금속과 같이 분쇄되기 어려운 이물이 투입되었을 경우, 모터부(120)의 회전수가 현저히 감소되거나 또는 회전되지 않음으로써, 모터부(120)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를 전류 센서(188)가 감지하게 된다. 즉, 제어부(183)는 전류 센서(188)를 통한 감지 전류가 미리 정해진 기준 전류보다 클 경우, 투입부(110) 및 분쇄부(130)에 분쇄될 수 없는 이물이 끼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83)는 전류 센서(188)를 통해 이물을 감지하게 되면, 스위치(186)를 턴오프함으로써, 모터부(120)가 턴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S23)
이어서, 제어부(183)는 전원부(181)의 전원 극성 절환부(182)를 제어하여 출력 극성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S24) 예를 들어, 도 6a에서 전원부(181)의 상부가 양극 및 전원부(181)의 하부가 음극이었다면, 전원 극성 절환부(182)를 제어하여 전원부(181)의 상부가 음극 및 전원부(181)의 하부가 양극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스위치(186)의 바디 다이오드를 통하여 스위치(186)를 턴온하지 않아도 모터부(120)를 경유하여 전류가 흐르고, 이에 따라 모터부(120)는 역회전하게 된다.(S25) 따라서, 투입부(110) 및 분쇄부(130)에 분쇄 될 수 없는 이물이 투입되었을 경우, 이것이 분쇄되지 않고 투입부(110)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투입부(110), 모터부(120), 분쇄부(130) 및/또는 이송부(140) 등의 손상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동작은,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0.1초 내지 1초동안 수행되고 정지됨으로써, 음식물의 역류 현상 등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부(183)는 전극 극성 절환부(182)를 제어하여 원래의 극성으로 전환되도록 한 이후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26) 물론, 이러한 단계(S26) 이후 투입부(110)에 음식물 및/또는 오수가 감지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음식물의 분쇄 또는 오수의 통과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도 3a 및 도 3b 참조)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음식물이 아닌 수저나 젓가락 같은 금속 또는 분쇄되기 어려운 이물을 구별하여 동작을 정지하거나 역회전하여 장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식물 투입부(110)에 금속 센서(187)를 설치하거나, 또는 분쇄부(130)를 회전시키는 모터부(120)의 전류 또는 토크를 센싱하는 전류 센서(188)를 설치하여, 분쇄부(130)에 금속(예를 들면, 금속수저나 금속 젓가락)이 투입될 경우, 분쇄부(130)룰 잠깐동안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분쇄부(1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100)중 오수 배수부(17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100)중 오수 배수부 청소 장치(190)를 도시한 측면 개략도, 정면 개략도 및 돌기(198)를 갖는 롤러(197)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100)중 오수 배수부(170)에 부착된 청소 장치(190)를 도시한 정면 개략도, 측면 개략도 및 돌기(198)를 갖는 롤러(197)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 도 8a 내지 도 8c, 및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40)는 이송 스크류(141)와, 이송 스크류(141)의 일측을 감싸는 이송 하우징(142)과, 이송 스크류(141)의 타측을 감싸는 배수망(1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하우징(142)은 이송 스크류(141)의 일측 외곽을 감싸며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분쇄된 음식물을 보관부(150)로 이송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 하우징(142)은 보관부(150)로 갈수록 중앙을 중심으로 직경이 점차 감소함으로써, 오수는 보관부(150)로 이송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이송 하우징(142)은 보관부(150)로 갈수록 그 하부 영역이 대략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함으로써, 오수가 이러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구조를 넘어 보관부(150)로 이송되기 어렵도록 할 수 있다.
배수망(143)은 이송 스크류(141)의 타측 외곽을 감싸며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오수를 배수부(170)로 배수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배수부(170)는 다수의 타공(144)을 갖는 배수망(143)을 포함함으로써, 오수가 자연스럽게 배수부(170)로 배출(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분쇄부(130)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에는 슬러지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슬러지가 배수망(143)의 타공(144)을 막게 되면 오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100)는 배수망(143)의 슬러지 제거를 위해 배수망 청소 장치(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100)는 배수망(143)의 외측에 설치되어 배수망(143)의 타공(144)에 음식물의 슬러지가 끼지 않도록 하는 배수망 청소 장치(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망 청소 장치(190)는 모터(191)와, 리드 스크류(193)와, 지지대(195)와, 롤러(197)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91)는 회전축에 기어(192)가 설치될 수 있으며, 리드 스크류(193)에도 기어(194)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모터(191)의 기어(192)와 리드 스크류(193)의 기어(194)가 상호간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리드 스크류(193)는 배수망(143)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모터(19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정방향의 반대인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95)에도 기어(196)가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대(195)의 기어(196)는 리드 스크류(193)에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리드 스크류(193)의 회전 방향(정방향 또는 역방향)에 따라 리드 스크류(193)의 길이를 따라 제1방향 또는 제1방향의 반대인 제2방향으로 지지대(195)가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195)는 배수망(143)의 하부 영역을 감싸는 대략 "∪"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롤러(197)는 지지대(19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롤러(197)는 지지대(195)가 배수망(143)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움직일 때, 배수망(143)의 외주면에 접촉한 채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197)는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198)를 더 포함하고, 돌기(198)의 피치는 배수망(143)에 형성된 타공(144)의 피치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195)가 배수망(143)을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롤러(197)는 배수망(143)과 접촉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롤러(197)에 형성된 돌기(198)가 배수망(143)의 타공(144)에 결합 및 분리됨으로써, 타공(144)에 끼인 음식물의 슬러지가 상부 방향으로 빠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빠진 음식물 슬러지는 이송부(140) 즉, 이송 스크류(141)에 의해 보관부(150)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도 8a에서는 지지대(195)의 일측만이 리드 스크류(193)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지지대(195)의 안정적인 수평 방향 왕복 운동을 위해, 지지대(195)의 양측에 각각 리드 스크류(193)가 설치되고, 이러한 양측의 리드 스크류(193)에 지지대(195)의 양측이 각각 기어(196)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195)는 양측이 리드 스크류(193)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더불어, 롤러(197)에 형성된 돌기(198)의 직경 또는 크기는 배수망(143)에 형성된 타공(144)의 직경 또는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롤러(197)에 형성된 돌기(198)의 두께는 배수망(143)의 두께 또는 타공(144)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롤러(197)가 회전하면서 돌기(198)가 배수망(143)의 타공(144)에 결합되기 쉽고, 또한 타공(144)에 끼인 슬러지는 배수망(143) 안쪽으로 다시 확실하게 집어 넣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리드 스크류(193) 및 지지대(195)는 오수에 의해 녹이 나지 않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스테인레스 스틸, 플라스틱 및 이의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롤러(197) 및 돌기(198)는 배수망(143)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할 수 있고 타공(144)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실리콘(silicone),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음식물의 공급 및 분쇄후 오수의 배출 시 음식물 슬러지가 배수망(143)(타공(144))을 막지 않고 오수만 원할하게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수망(143)의 외측에 설치되어 배수망(143)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배수망 청소 장치(190)를 설치함으로써, 배수망(143)의 타공(144)에 음식물 슬러지가 끼지 않도록 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음식물 처리 장치
110; 투입부 120; 모터부
130; 분쇄부 140; 이송부
141; 이송 스크류 142; 이송 하우징
143; 배수망 144; 타공
150; 보관부 160; 건조부
161; 송풍팬 162; 팬 모터
170; 배수부 181; 전원부
182; 전원 극성 절환부 183; 제어부
184; 음식물 센서 185; 오수 센서
186; 스위치 187; 금속 센서
188; 전류 센서 190; 청소 장치
191; 모터 192; 기어
193; 리드 스크류 194; 기어
195; 지지대 196; 기어
197; 롤러 198; 돌기

Claims (9)

  1. 음식물 및 오수가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음식물은 분쇄하고 상기 오수는 통과시키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분쇄된 음식물을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오수를 상기 제1방향의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제1방향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쇄된 음식물을 보관하는 보관부;
    상기 이송부의 제2방향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수를 배수하는 배수부;
    상기 투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음식물을 감지하는 음식물 센서;
    상기 투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오수를 감지하는 오수 센서; 및
    상기 음식물 센서 및 상기 오수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분쇄부 및 상기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식물 센서로부터 음식물 감지 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분쇄부 및 상기 이송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음식물 센서로부터 음식물 감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고 상기 오수 센서로부터 오수 감지 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분쇄부 및 상기 이송부를 동작시키지 않고,
    상기 이송부는
    이송 스크류;
    상기 이송 스큐류의 일측 외곽을 감싸며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쇄된 음식물을 상기 보관부로 이송하는 이송 하우징;
    상기 이송 스크류의 타측 외곽을 감싸며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오수를 상기 배수부로 배수하는 배수망; 및
    상기 배수망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망의 타공에 상기 분쇄된 음식물의 슬러지가 끼지 않도록 하는 배수망 청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망 청소부는
    상기 배수망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리드 스크류;
    상기 리드 스크류에 결합되어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배수망의 하부 영역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동시에 상기 배수망에 접촉하는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식물 센서로부터 음식물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동시에 상기 오수 센서로부터 오수 감지 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분쇄부 및 상기 이송부를 동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표면에 형성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의 피치는 상기 타공의 피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롤러의 회전 시 상기 배수망의 타공에 결합 및 분리됨으로써, 상기 타공에 상기 분쇄된 음식물의 슬러지가 상기 타공에 끼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에 설치되어 금속을 센싱하는 금속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금속 센서로부터 금속 감지 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상기 분쇄부를 역회전하여 상기 금속을 상부로 밀어 올려 배출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전류를 센싱하는 전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센서로부터 감지된 전류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류 레벨보다 높으면 상기 분쇄부를 역회전하여 상기 음식물을 상부로 밀어 올려 배출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
KR1020180028222A 2018-03-09 2018-03-09 음식물 처리 장치 KR101892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222A KR101892676B1 (ko) 2018-03-09 2018-03-09 음식물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222A KR101892676B1 (ko) 2018-03-09 2018-03-09 음식물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676B1 true KR101892676B1 (ko) 2018-08-28

Family

ID=63454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222A KR101892676B1 (ko) 2018-03-09 2018-03-09 음식물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6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3852A (ko) * 2004-11-12 2004-12-09 고정순 싱크대 부착형 다기능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20050111540A (ko) * 2005-09-02 2005-11-25 김형수 수평분쇄이송탈수식 소형 음식물잔반처리기
KR20120004880U (ko) * 2010-12-27 2012-07-05 (주)현대가전업 거름망 찌꺼기 제거기능을 갖는 착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3852A (ko) * 2004-11-12 2004-12-09 고정순 싱크대 부착형 다기능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20050111540A (ko) * 2005-09-02 2005-11-25 김형수 수평분쇄이송탈수식 소형 음식물잔반처리기
KR20120004880U (ko) * 2010-12-27 2012-07-05 (주)현대가전업 거름망 찌꺼기 제거기능을 갖는 착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81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124295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3986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7011411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38717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의 미생물 공급방법 및장치
KR10108190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TW200902174A (en) Blending device
KR101892676B1 (ko) 음식물 처리 장치
KR2010004006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7996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980000664A (ko) 공동주택의 음식물 쓰레기 공동처리시스템
KR100792024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30034472A (ko) 싱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3006326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100000689A (ko) 싱크볼 매입형 건조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150130677A (ko) 음식물 처리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308800B1 (ko) 압축탈수 기능이 향상된 음식물처리기
KR101445111B1 (ko) 양변기 음식물처리장치
JP4107866B2 (ja) 生ゴミ処理装置
KR20160000474U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200199330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1723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434264B1 (ko) 재순환부를 구비한 분쇄물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85295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841273B1 (ko)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포장배출이 가능한 분리수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