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452B1 -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제조방법 및 그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 Google Patents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제조방법 및 그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452B1
KR101892452B1 KR1020180036142A KR20180036142A KR101892452B1 KR 101892452 B1 KR101892452 B1 KR 101892452B1 KR 1020180036142 A KR1020180036142 A KR 1020180036142A KR 20180036142 A KR20180036142 A KR 20180036142A KR 101892452 B1 KR101892452 B1 KR 101892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plate
reinforcing
frame
heat insulating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성
Original Assignee
이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성 filed Critical 이종성
Priority to KR1020180036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83Small buildings of the ISO container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제조방법 및 그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에 관한 것으로 크로스멤버와 합판을 사용하는 종래 컨테이너 바닥구조를 벗어나, 바닥을 이루는 양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요철부가 형성된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콘크리트 및 단열재를 용도 및 요구되는 중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강과 단열 문제를 동시에 해결함과 아울러, 단열 마감 시, 마감재료에 탄소성분을 갖는 시트 또는 띠 형태의 발열체를 사용토록 함으로써 보온 및 단열 기능을 극대화 하도록 하기 위하여,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수직하게 이격된 양 수직내측면부(19)가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상하 외측으로 보강살(11,12)이 각각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 각각의 마주하는 내측 하단부에 고정되어지되, 상부면(21)이 수평면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하단지지프레임(20); 상기 양측 하단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 안착 고정되며, 하단지지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가 연속 형성되어 요철홈부(32)에 의한 사이공간에 채움부(36)가 형성되는 데크플레이트(30); 상기 하단지지프레임(20)의 상부면(21)에 안착 고정된 데크플레이트(30)의 양단 상부측과 사이드프레임(10)의 수직내측면부(19)에 동시에 고정되어지되, 상부면(42)이 상기 사이드프레임(10)의 상부 보강살(11)의 상부면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어 하단지지프레임(20) 상에 안착된 데크플레이트(30)를 고정하는 상단고정프레임(40); 상기 데크플레이트(30)의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의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채움부(36)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30)와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 사이에 충진되는 보강재(50); 상기 보강재(50)의 상부면에 밀착 구비되어 바닥 구조체의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단열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재(50)는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 보다 낮게 충진되고, 상기 단열재(60)는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과 동일 수평선상으로 형성되어 바닥 구조체의 단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열재(60)는 탄소성분이 첨가된 3∼8㎜의 두께를 갖는 탄소발열패드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제조방법 및 그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Manufacturimg method for floor module of container}
본 발명은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제조방법 및 그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로스멤버와 합판을 사용하는 종래 컨테이너 바닥구조를 벗어나, 바닥을 이루는 양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요철부가 형성된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콘크리트 및 단열재를 용도 및 요구되는 중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강과 단열 문제를 동시에 해결함과 아울러, 단열 마감 시, 마감재료에 탄소성분을 갖는 시트 또는 띠 형태의 발열체를 사용토록 함으로써 보온 및 단열 기능을 극대화 하도록 하는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제조방법 및 그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는 화물을 능률적이고 경제적으로 수송하기 위하여 널리 이용되는 조립식의 큰 상자로서 화물을 실은 컨테이너는 육로, 해상 및 항공운반 등의 운송수단을 매개로 하여 간편하게 적하 및 하역이 이루어지게 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도 1에서와 같이 바닥면과 측면부 및 천정부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의 함체 형상의 컨테이너(100') 본체를 형성하고, 바닥면과 측면부 및 천장부 모두를 철재로 성형된 판넬(40')로 구성한 상태에서 내부바닥에는 주로 목재가 배치되어 있다
컨테이너 본체 구조를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함체 네 모서리에 지주(10')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지주(10')를 기준으로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에 "ㄴ"자 형상의 세로프레임(20')을 용접하여 형성하고, 상기 세로프레임(20') 내측으로 폭방향으로 다수개의 철재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의 가로프레임(30')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함에 있어 상기 가로프레임(30')의 양끝단면은 상기 세로프레임(20')과 용접으로 접합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가로프레임(30') 위에 일정 크기의 천연 목재들을 배치한 후 체결용 볼트로 프레임과 나사 체결하여 컨테이너 내부 바닥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종래의 컨테이너 바닥 구조에서는 철재로 된 가로프레임(30') 및 세로프레임(20')을 상호 용접하고, "ㄷ"자 형상의 가로프레임(30') 상부에 목재를 배치하여 결합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서, 목재가 내구성이 현저히 낮기 때문에 바닥체의 보수 및 교체가 잦을 수 밖에 없고, 단열재를 목재 상부에 부착하는 방법 외에는 별도의 방법을 찾을 수 없어 단열효율 및 시공효율을 높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10-2012-0028764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크로스멤버와 합판을 사용하는 종래 컨테이너 바닥구조를 벗어나, 바닥을 이루는 양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요철부가 형성된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콘크리트 및 단열재를 용도 및 요구되는 중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강과 단열 문제를 동시에 해결함과 아울러, 단열 마감 시, 마감재료에 탄소성분을 갖는 시트 또는 띠 형태의 발열체를 사용토록 함으로써 보온 및 단열 기능을 극대화 하도록 하는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제조방법 및 그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수직하게 이격된 양 수직내측면부(19)가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상하 외측으로 보강살(11,12)이 각각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 각각의 마주하는 내측 하단부에 고정되어지되, 상부면(21)이 수평면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하단지지프레임(20); 상기 양측 하단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 안착 고정되며, 하단지지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가 연속 형성되어 요철홈부(32)에 의한 사이공간에 채움부(36)가 형성되는 데크플레이트(30); 상기 하단지지프레임(20)의 상부면(21)에 안착 고정된 데크플레이트(30)의 양단 상부측과 사이드프레임(10)의 수직내측면부(19)에 동시에 고정되어지되, 상부면(42)이 상기 사이드프레임(10)의 상부 보강살(11)의 상부면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어 하단지지프레임(20) 상에 안착된 데크플레이트(30)를 고정하는 상단고정프레임(40); 상기 데크플레이트(30)의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의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채움부(36)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30)와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 사이에 충진되는 보강재(50); 상기 보강재(50)의 상부면에 밀착 구비되어 바닥 구조체의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단열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보강재(50)는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 보다 낮게 충진되고, 상기 단열재(60)는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과 동일 수평선상으로 형성되어 바닥 구조체의 단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열재(60)는 탄소성분이 첨가된 3∼8㎜의 두께를 갖는 탄소발열패드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재(50)는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과 동일 수평선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60)는 탄소성분이 첨가된 120∼230㎛의 두께를 갖는 탄소발열띠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열재(60)의 상부에 바닥마감재(70)를 구비하되, 상기 바닥마감재(70)의 양측단부가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고정프레임(40)은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가 연속 형성된 데크플레이트(30)에 밀착고정이 용이하도록 상단고정프레임(40)의 하부면(44)에 채움부(36)에 삽입밀착되는 연장돌부(45)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연장돌부(45)의 외측면에는 마찰완화패드(46)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크플레이트(30)의 하부면(38)에는 채움부(32)에 충진된 보강마감재(50)의 습기가 배출되도록 그 하부면(38)에 통공(3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재(50)가 충진된 데크플레이트(3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데크플레이트(30)의 양단 하부측에 지지된 마주하는 양측 하단지지프레임(20) 사이에 “X”자 형태의 바닥보강살대(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수직하게 이격된 양 수직내측면부(19)가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상하 외측으로 보강살(11,12)이 각각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을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 각각의 마주하는 내측 하단부에 고정되어지되, 상부면(21)이 수평면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하단지지프레임(20)을 준비하는 단계(S2); 상기 양측 하단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 안착 고정되며, 하단지지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가 연속 형성되어 요철홈부(32)에 의한 사이공간에 채움부(36)가 형성되는 데크플레이트(30)를 준비하는 단계(S3); 상기 하단지지프레임(20)의 상부면(21)에 안착 고정된 데크플레이트(30)의 양단 상부측과 사이드프레임(10)의 수직내측면부(19)에 동시에 고정되어지되, 상부면(42)이 상기 사이드프레임(10)의 상부 보강살(11)의 상부면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어 하단지지프레임(20) 상에 안착된 데크플레이트(30)를 고정하는 상단고정프레임(40)을 준비하는 단계(S4); 상기 데크플레이트(30)의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의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채움부(36)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30)와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 사이에 충진되는 보강재(50)를 준비하는 단계(S5); 상기 보강재(50)의 상부면에 밀착 구비되어 바닥 구조체의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단열재(60)를 준비하는 단계(S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단열재(60)의 상부에 바닥마감재(70)를 구비하되, 상기 바닥마감재(70)의 양측단부가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보강재(50)는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 보다 낮게 충진되고, 상기 단열재(60)는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과 동일 수평선상으로 형성되어 바닥 구조체의 단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열재(60)는 탄소성분이 첨가된 3∼8㎜의 두께를 갖는 탄소발열패드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재(50)는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과 동일 수평선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60)는 탄소성분이 첨가된 120∼230㎛의 두께를 갖는 탄소발열띠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고정프레임(40)은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가 연속 형성된 데크플레이트(30)에 밀착고정이 용이하도록 상단고정프레임(40)의 하부면(44)에 채움부(36)에 삽입밀착되는 연장돌부(45)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연장돌부(45)의 외측면에는 마찰완화패드(46)가 형성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30)의 하부면(38)에는 채움부(32)에 충진된 보강마감재(50)의 습기가 배출되도록 그 하부면(38)에 통공(3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재(50)가 충진된 데크플레이트(3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데크플레이트(30)의 양단 하부측에 지지된 마주하는 양측 하단지지프레임(20) 사이에 “X”자 형태의 바닥보강살대(8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단열재(60)는 사이드프레임(10)의 상부외측 보강살(11)의 상부에 고정되는 벽체(80)의 내측면에 더 부착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크로스멤버와 합판을 사용하는 종래 컨테이너 바닥구조를 벗어나, 바닥을 이루는 양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요철부가 형성된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콘크리트 및 단열재를 용도 및 요구되는 중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강과 단열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열 마감 시, 마감재료에 탄소성분을 갖는 시트 또는 띠 형태의 발열체를 사용토록 함으로써 보온 및 단열 기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컨테이너의 사시 예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의 분해 상태에서 단계별 조립 상태 사시 예시도
도 5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단계별 조립 상태 측면 예시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크로스멤버와 합판을 사용하는 종래 컨테이너 바닥구조를 벗어나, 바닥을 이루는 양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요철부가 형성된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콘크리트 및 단열재를 용도 및 요구되는 중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강과 단열 문제를 동시에 해결함과 아울러, 단열 마감 시, 마감재료에 탄소성분을 갖는 시트 또는 띠 형태의 발열체를 사용토록 함으로써 보온 및 단열 기능을 극대화 하도록 하는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제조방법 및 그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보면 사이드프레임(10), 하단지지프레임(20), 데크플레이트(30), 상단고정프레임(40), 보강재(50), 단열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의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사이드프레임(10)은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수직하게 이격된 양 수직면부(19)가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상하 외측으로 보강살(11,12)이 각각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한쌍의 사이드프레임(10)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 바닥 구조체의 양측 지지수단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지지프레임(20)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 각각의 마주하는 내측 하단부에 고정되어지되, 상부면(21)이 수평면을 이루도록 고정 설치된다. 하단지지프레임(20)은 후술되는 데크플레이트(30)의 양단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또한 후술되는 바닥보강살대(80)의 지지체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지지프레임(20)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 각각의 마주하는 내측 하단부에 고정되어지되, 상부면(21)이 수평면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양측에 구비된 양 사이드프레임(10)의 중심을 잡아주게 된다.
상기 양측 하단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는 데크플레이트(30)가 안착 고정된다. 상기 데크플레이트(30)는 도 3에서와 같이 하단지지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가 연속 형성되어 요철홈부(32)에 의한 사이공간에 채움부(36)가 형성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채움부(36)는 후술되는 보강재(50)가 충진되는 공간으로서, 보강재(50)의 충진공간 확보의 조절을 위해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의 상호간 이격 간격을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지지프레임(20)의 상부면(21)에 안착 고정된 데크플레이트(30)의 양단 상부측과 사이드프레임(10)의 수직내측면부(19)에 동시에 상단고정프레임(40)을 고정한다. 이때, 상부면(42)이 상기 사이드프레임(10)의 상부 보강살(11)의 상부면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어 하단지지프레임(20) 상에 안착된 데크플레이트(30)를 고정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도 6의 (b)에서와 같이 상기 데크플레이트(30)의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의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채움부(36)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30)와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 사이에 보강재(50)를 충진하고, 상기 보강재(50)의 상부면에 밀착 구비되어 바닥 구조체의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단열재(60)를 구비 설치한다.
이때, 상기 보강재(50)는 중량체이어야 하므로 주로 콘크리트재가 사용되나, 사용조건 및 필요에 따라 그 재질을 선택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재로 된 보강재(50)의 상부에 보온성을 높이기 위해 단열재(60)가 구비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보강재(50)는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 보다 낮게 충진되고, 상기 단열재(60)는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과 동일 수평선상으로 형성되어 바닥 구조체의 단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열재(60)는 탄소성분이 첨가된 3∼8㎜의 두께를 갖는 탄소발열패드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탄소발열패드는 보강재(50)의 상부 전체면에 골고루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위 탄소발열패드의 두께가 3㎜ 미만이면 컨테이너 바닥부의 단열성을 확보하기 곤란하게 되고, 그 두께가 8㎜ 초과하면 컨테이너 바닥부의 불필요한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보강재(50)는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과 동일 수평선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60)는 탄소성분이 첨가된 120∼230㎛의 두께를 갖는 탄소발열띠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탄소발열띠는 보강재(50)로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타설 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상부면에 안착시켜 일체로 되게 할 수 있고, 콘크리트의 양생 전에 내부에 침투시켜 사용토록 할 수 있다.
위 탄소발열패드 또는 탄소발열띠와 같이 사용되는 탄소발열체는, 탄소가 전기저항에 의해 발열하는 것을 이용하여 만든 가열체로서, 주로 흑연이 사용되며, 탄소-탄소복합재료가 사용되기도 한다. 탄소발열체는 용융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일반 금속발열체에서 기대할 수 없는 1500℃ 이상의 열을 발생시킬 수 있고, 실용적인 면에서는 3000℃ 까지 발열시킬 수 있는 성능을 가진다.
위 사용되는 상기 단열재(60)는 도 7에서와 같이 사이드프레임(10)의 상부외측 보강살(11)의 상부에 고정되는 벽체(80)의 내측면에 더 부착 형성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단열재(60)의 상부에 바닥마감재(70)를 구비하되, 상기 바닥마감재(70)의 양측단부가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단고정프레임(40)은 도 9에서와 같이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가 연속 형성된 데크플레이트(30)에 밀착고정이 용이하도록 상단고정프레임(40)의 하부면(44)에 채움부(36)에 삽입밀착되는 연장돌부(45)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때, 연장돌부(45)의 외측면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마찰완화패드(46)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단고정프레임(40)과 데크플레이트(30)와의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흔들림과 같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컨테이너의 안정적인 바닥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장돌부(45)는 미도시되었으나, 상단고정프레임(40)의 하부면(44) 상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데크플레이트(30)의 하부면(38)에는 채움부(32)에 충진된 보강마감재(50)의 습기가 배출되도록 그 하부면(38)에 통공(39)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주로 콘크리트재로 된 보강마감재(50)에 습기가 머무르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보강재(50)가 충진된 데크플레이트(3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데크플레이트(30)의 양단 하부측에 지지된 마주하는 양측 하단지지프레임(20) 사이에 “X”자 형태의 바닥보강살대(80)가 더 구비되게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확고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가 완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먼저, 수직하게 이격된 양 수직내측면부(19)가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상하 외측으로 보강살(11,12)이 각각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을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 각각의 마주하는 내측 하단부에 고정되어지되, 상부면(21)이 수평면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하단지지프레임(20)을 준비하는 단계(S2); 상기 양측 하단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 안착 고정되며, 하단지지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가 연속 형성되어 요철홈부(32)에 의한 사이공간에 채움부(36)가 형성되는 데크플레이트(30)를 준비하는 단계(S3); 상기 하단지지프레임(20)의 상부면(21)에 안착 고정된 데크플레이트(30)의 양단 상부측과 사이드프레임(10)의 수직내측면부(19)에 동시에 고정되어지되, 상부면(42)이 상기 사이드프레임(10)의 상부 보강살(11)의 상부면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어 하단지지프레임(20) 상에 안착된 데크플레이트(30)를 고정하는 상단고정프레임(40)을 준비하는 단계(S4); 상기 데크플레이트(30)의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의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채움부(36)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30)와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 사이에 충진되는 보강재(50)를 준비하는 단계(S5); 상기 보강재(50)의 상부면에 밀착 구비되어 바닥 구조체의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단열재(60)를 준비하는 단계(S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단열재(60)의 상부에 바닥마감재(70)를 구비하되, 상기 바닥마감재(70)의 양측단부가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에 밀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재(50)는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 보다 낮게 충진되고, 상기 단열재(60)는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과 동일 수평선상으로 형성되어 바닥 구조체의 단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열재(60)는 탄소성분이 첨가된 3∼8㎜의 두께를 갖는 탄소발열패드 형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보강재(50)는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과 동일 수평선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60)는 탄소성분이 첨가된 120∼230㎛의 두께를 갖는 탄소발열띠 형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고정프레임(40)은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가 연속 형성된 데크플레이트(30)에 밀착고정이 용이하도록 상단고정프레임(40)의 하부면(44)에 채움부(36)에 삽입밀착되는 연장돌부(45)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연장돌부(45)의 외측면에는 마찰완화패드(46)가 형성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30)의 하부면(38)에는 채움부(32)에 충진된 보강마감재(50)의 습기가 배출되도록 그 하부면(38)에 통공(39)이 형성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보강재(50)가 충진된 데크플레이트(3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데크플레이트(30)의 양단 하부측에 지지된 마주하는 양측 하단지지프레임(20) 사이에 “X”자 형태의 바닥보강살대(8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단열재(60)는 사이드프레임(10)의 상부외측 보강살(11)의 상부에 고정되는 벽체(80)의 내측면에 더 부착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제조방법 및 그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에 의하면 크로스멤버와 합판을 사용하는 종래 컨테이너 바닥구조를 벗어나, 바닥을 이루는 양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요철부가 형성된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콘크리트 및 단열재를 용도 및 요구되는 중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강과 단열 문제를 동시에 해결함과 아울러, 단열 마감 시, 마감재료에 탄소성분을 갖는 시트 또는 띠 형태의 발열체를 사용토록 함으로써 보온 및 단열 기능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사이드프레임 20 : 하단지지프레임
30 : 데크플레이트 40 : 상단고정프레임
50 : 보강재 60 : 단열재

Claims (12)

  1. 삭제
  2.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수직하게 이격된 양 수직내측면부(19)가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상하 외측으로 보강살(11,12)이 각각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 각각의 마주하는 내측 하단부에 고정되어지되, 상부면(21)이 수평면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하단지지프레임(20);
    상기 양측 하단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 안착 고정되며, 하단지지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가 연속 형성되어 요철홈부(32)에 의한 사이공간에 채움부(36)가 형성되는 데크플레이트(30);
    상기 하단지지프레임(20)의 상부면(21)에 안착 고정된 데크플레이트(30)의 양단 상부측과 사이드프레임(10)의 수직내측면부(19)에 동시에 고정되어지되, 상부면(42)이 상기 사이드프레임(10)의 상부 보강살(11)의 상부면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어 하단지지프레임(20) 상에 안착된 데크플레이트(30)를 고정하는 상단고정프레임(40);
    상기 데크플레이트(30)의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의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채움부(36)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30)와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 사이에 충진되는 보강재(50);
    상기 보강재(50)의 상부면에 밀착 구비되어 바닥 구조체의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단열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재(50)는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 보다 낮게 충진되고, 상기 단열재(60)는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과 동일 수평선상으로 형성되어 바닥 구조체의 단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열재(60)는 탄소성분이 첨가된 3∼8㎜의 두께를 갖는 탄소발열패드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3.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수직하게 이격된 양 수직내측면부(19)가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상하 외측으로 보강살(11,12)이 각각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 각각의 마주하는 내측 하단부에 고정되어지되, 상부면(21)이 수평면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하단지지프레임(20);
    상기 양측 하단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 안착 고정되며, 하단지지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가 연속 형성되어 요철홈부(32)에 의한 사이공간에 채움부(36)가 형성되는 데크플레이트(30);
    상기 하단지지프레임(20)의 상부면(21)에 안착 고정된 데크플레이트(30)의 양단 상부측과 사이드프레임(10)의 수직내측면부(19)에 동시에 고정되어지되, 상부면(42)이 상기 사이드프레임(10)의 상부 보강살(11)의 상부면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어 하단지지프레임(20) 상에 안착된 데크플레이트(30)를 고정하는 상단고정프레임(40);
    상기 데크플레이트(30)의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의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채움부(36)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30)와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 사이에 충진되는 보강재(50);
    상기 보강재(50)의 상부면에 밀착 구비되어 바닥 구조체의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단열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재(50)는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과 동일 수평선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60)는 탄소성분이 첨가된 120∼230㎛의 두께를 갖는 탄소발열띠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60)의 상부에 바닥마감재(70)를 구비하되, 상기 바닥마감재(70)의 양측단부가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고정프레임(40)은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가 연속 형성된 데크플레이트(30)에 밀착고정이 용이하도록 상단고정프레임(40)의 하부면(44)에 채움부(36)에 삽입밀착되는 연장돌부(45)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연장돌부(45)의 외측면에는 마찰완화패드(46)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플레이트(30)의 하부면(38)에는 채움부(32)에 충진된 보강마감재(50)의 습기가 배출되도록 그 하부면(38)에 통공(3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50)가 충진된 데크플레이트(3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데크플레이트(30)의 양단 하부측에 지지된 마주하는 양측 하단지지프레임(20) 사이에 “X”자 형태의 바닥보강살대(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8. 삭제
  9. 수직하게 이격된 양 수직내측면부(19)가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상하 외측으로 보강살(11,12)이 각각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을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 각각의 마주하는 내측 하단부에 고정되어지되, 상부면(21)이 수평면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하단지지프레임(20)을 준비하는 단계(S2);
    상기 양측 하단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 안착 고정되며, 하단지지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가 연속 형성되어 요철홈부(32)에 의한 사이공간에 채움부(36)가 형성되는 데크플레이트(30)를 준비하는 단계(S3);
    상기 하단지지프레임(20)의 상부면(21)에 안착 고정된 데크플레이트(30)의 양단 상부측과 사이드프레임(10)의 수직내측면부(19)에 동시에 고정되어지되, 상부면(42)이 상기 사이드프레임(10)의 상부 보강살(11)의 상부면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어 하단지지프레임(20) 상에 안착된 데크플레이트(30)를 고정하는 상단고정프레임(40)을 준비하는 단계(S4);
    상기 데크플레이트(30)의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의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채움부(36)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30)와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 사이에 충진되는 보강재(50)를 준비하는 단계(S5);
    상기 보강재(50)의 상부면에 밀착 구비되어 바닥 구조체의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단열재(60)를 준비하는 단계(S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단열재(60)의 상부에 바닥마감재(70)를 구비하되, 상기 바닥마감재(70)의 양측단부가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보강재(50)는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 보다 낮게 충진되고, 상기 단열재(60)는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과 동일 수평선상으로 형성되어 바닥 구조체의 단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열재(60)는 탄소성분이 첨가된 3∼8㎜의 두께를 갖는 탄소발열패드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제조방법.
  10. 수직하게 이격된 양 수직내측면부(19)가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상하 외측으로 보강살(11,12)이 각각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을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0) 각각의 마주하는 내측 하단부에 고정되어지되, 상부면(21)이 수평면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하단지지프레임(20)을 준비하는 단계(S2);
    상기 양측 하단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 안착 고정되며, 하단지지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가 연속 형성되어 요철홈부(32)에 의한 사이공간에 채움부(36)가 형성되는 데크플레이트(30)를 준비하는 단계(S3);
    상기 하단지지프레임(20)의 상부면(21)에 안착 고정된 데크플레이트(30)의 양단 상부측과 사이드프레임(10)의 수직내측면부(19)에 동시에 고정되어지되, 상부면(42)이 상기 사이드프레임(10)의 상부 보강살(11)의 상부면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어 하단지지프레임(20) 상에 안착된 데크플레이트(30)를 고정하는 상단고정프레임(40)을 준비하는 단계(S4);
    상기 데크플레이트(30)의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의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채움부(36)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30)와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 사이에 충진되는 보강재(50)를 준비하는 단계(S5);
    상기 보강재(50)의 상부면에 밀착 구비되어 바닥 구조체의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단열재(60)를 준비하는 단계(S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단열재(60)의 상부에 바닥마감재(70)를 구비하되, 상기 바닥마감재(70)의 양측단부가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보강재(50)는 양측 상단고정프레임(40)의 상부면(42)과 동일 수평선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60)는 탄소성분이 첨가된 120∼230㎛의 두께를 갖는 탄소발열띠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제조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고정프레임(40)은 요철돌부(31) 및 요철홈부(32)가 연속 형성된 데크플레이트(30)에 밀착고정이 용이하도록 상단고정프레임(40)의 하부면(44)에 채움부(36)에 삽입밀착되는 연장돌부(45)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연장돌부(45)의 외측면에는 마찰완화패드(46)가 형성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30)의 하부면(38)에는 채움부(32)에 충진된 보강마감재(50)의 습기가 배출되도록 그 하부면(38)에 통공(3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50)가 충진된 데크플레이트(3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데크플레이트(30)의 양단 하부측에 지지된 마주하는 양측 하단지지프레임(20) 사이에 “X”자 형태의 바닥보강살대(8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단열재(60)는 사이드프레임(10)의 상부외측 보강살(11)의 상부에 고정되는 벽체(80)의 내측면에 더 부착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제조방법.
KR1020180036142A 2018-03-28 2018-03-28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제조방법 및 그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KR101892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142A KR101892452B1 (ko) 2018-03-28 2018-03-28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제조방법 및 그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142A KR101892452B1 (ko) 2018-03-28 2018-03-28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제조방법 및 그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452B1 true KR101892452B1 (ko) 2018-08-28

Family

ID=63454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142A KR101892452B1 (ko) 2018-03-28 2018-03-28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제조방법 및 그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4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523B1 (ko) * 2020-07-03 2020-10-12 진우건철(주) 양압 컨테이너
KR102164518B1 (ko) * 2020-07-03 2020-10-12 진우건철(주) 음압병동 컨테이너
KR102164526B1 (ko) * 2020-07-03 2020-10-12 이종성 양압 교실 컨테이너
WO2024091265A1 (en) * 2022-10-25 2024-05-02 Siemens Energy, Inc. Reduced weight packaging system for industrial equip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8764A (ko) 2010-09-15 2012-03-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ㄷ자형 부재와 역티자형 부재를 조립한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20140036458A (ko) * 2012-09-14 2014-03-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모듈러 건축물의 프리패브 바닥 시스템
KR20150065985A (ko) * 2013-12-05 2015-06-1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및 이를 활용한 모듈유닛
KR20150081392A (ko) * 2014-01-03 2015-07-14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가림판을 가지는 목재 데크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8764A (ko) 2010-09-15 2012-03-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ㄷ자형 부재와 역티자형 부재를 조립한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20140036458A (ko) * 2012-09-14 2014-03-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모듈러 건축물의 프리패브 바닥 시스템
KR20150065985A (ko) * 2013-12-05 2015-06-1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및 이를 활용한 모듈유닛
KR20150081392A (ko) * 2014-01-03 2015-07-14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가림판을 가지는 목재 데크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523B1 (ko) * 2020-07-03 2020-10-12 진우건철(주) 양압 컨테이너
KR102164518B1 (ko) * 2020-07-03 2020-10-12 진우건철(주) 음압병동 컨테이너
KR102164526B1 (ko) * 2020-07-03 2020-10-12 이종성 양압 교실 컨테이너
WO2024091265A1 (en) * 2022-10-25 2024-05-02 Siemens Energy, Inc. Reduced weight packaging system for industrial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452B1 (ko) 보강 및 조립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제조방법 및 그 컨테이너의 바닥 구조체
KR101136582B1 (ko) 무용접 철근트러스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2182923B1 (ko) 외부 보강구조를 갖는 조립식 스테인리스 물탱크
KR102037005B1 (ko) 콘크리트 물탱크용 스테인레스 라이닝 패널
WO2016095652A1 (zh) 底板单元
KR101106699B1 (ko) 인장력이 강화된 지붕의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KR20160084697A (ko) 조립식 물탱크용 판재
US6189854B1 (en) Perfected horizontal formwork
JP2012215067A (ja) 太陽光パネル架台
KR101321498B1 (ko) 외부보강재만으로 강성 확보가 가능한 조립식 물탱크
US4609305A (en) Floor for use in off-shore technique and ship building
KR20130084910A (ko) 조립설치가 용이한 칸막이 설치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KR20130068856A (ko) 단열효율이 우수한 건축패널
KR101186273B1 (ko) 단면강성이 보강된 프리플렉스 합성형교 거더의 시공방법
KR20120029257A (ko) 트러스거더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0823953B1 (ko) 수질 오염 방지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JP2009007821A (ja) 太陽電池パネルを設置した瓦葺き屋根における瓦補強構造
KR101763033B1 (ko) 합성보용 거푸집
US9090434B2 (en) Floor for an elevator cage
KR100910172B1 (ko) 두께가 상이한 강판으로 웨브와 플랜지를 구성한 용접빔
EA032618B1 (ru) Многослойный элемент типа "сэндвич", применение многослойного элемента
JP2009084908A (ja) ボイド型枠付床板ユニット及び合成中空床板
KR101111349B1 (ko)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강판보
KR101429195B1 (ko) 복합 빔 데크
KR101171294B1 (ko) 무보강 무앵커 라이닝 물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