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087B1 -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087B1
KR101892087B1 KR1020160079231A KR20160079231A KR101892087B1 KR 101892087 B1 KR101892087 B1 KR 101892087B1 KR 1020160079231 A KR1020160079231 A KR 1020160079231A KR 20160079231 A KR20160079231 A KR 20160079231A KR 101892087 B1 KR101892087 B1 KR 101892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ding machine
portable terminal
terminal
displaying
ti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924A (ko
Inventor
전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티
Priority to KR1020160079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0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4Betting or bookmaking, e.g. Internet bett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Regular and instant lottery, e.g. electronic scratch 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은, 발매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인증정보가 전송되어 휴대용 단말기가 인증되는 휴대용 단말기 인증단계와,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발매기가 제어되어 발매기가 유지보수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발매기가 유지보수되는 단계는, 휴대용 단말기에 발매기의 전자저널이 표시되는 전자저널 표시단계, 휴대용 단말기에 발매기에 설치된 디바이스의 상태가 표시되는 디바이스 표시단계,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발매기에 설치된 디바이스가 제어되는 디바이스 제어단계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발매기에 설치된 디바이스가 초기화되는 디바이스 초기화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Ticket issue machine maintenance system and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매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발매기를 유지보수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권이라 함은 국가 또는 공공기관 등에서 특정한 사업자금을 마련할 목적으로 발행ㅇ판매하는, 당첨금이 따르는 표를 일컫는 것으로, 복권의 종류는 추첨복권ㅇ로또(Lotto)ㅇ즉석복권ㅇ숫자게임ㅇ경기복권 등이 있다.
복권의 종류를 복권 구매자의 참여방법에 따라 나누어 볼 때, 복권의 당첨 결정요소인 숫자나 기호가 미리 인쇄되어 있는 것을 구매하는 방식으로는 추첨복권과 즉석복권이 있고, 복권 구매자가 숫자나 기호를 직접 선택 또는 기입하여 구매하는 방식으로는 로또ㅇ숫자게임ㅇ경기복권(예를 들어, 경마, 경륜, 경정, 소싸움 등)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권 구매자가 숫자나 기호를 직접 선택 또는 기입하여 구매하는 경우, 복권 구매자는 구매표(Betting Slip)에 자신이 원하는 숫자나 기호를 기입한 후 해당 구매표를 현금과 함께 판매자에게 제출하여 구매요청을 한다.
이후 판매자가 복권 구매자로부터 제출받은 구매표를 발매기에 투입시키면, 발매기는 구매표에 기입된 구매 정보를 스캐너로 읽어 이를 메인 서버로 보내며, 메인 서버는 복권 발매기로부터 수신한 구매 정보를 바탕으로 복권을 발행한 후, 발행된 복권 정보를 복권 발매기로 전송한다.
이후, 메인 서버로부터 복권 정보를 수신한 복권 발매기는 메인 서버로부터 수신한 복권 정보를 인쇄하여 복권을 발행하고, 판매자는 발행된 복권을 복권 구매자에게 전달한다.
한편, 이러한 발매기에는 정기적으로 또는 고장 등에 의해 비정기적으로 유지보수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발매기의 유지보수 시, 발매기 및 내부 장착 디바이스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발매기 화면이 설치된 전면 도어를 열어야 하고, 그에 따라 작업자가 발매기 화면을 보면서 유지보수 업무를 처리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발매기의 내부에 장착된 디바이스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작업자가 발매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를 통해 디바이스를 제어해야 하는데 화면이 보이지 않아 전면 도어를 반복적으로 개폐해야 하는 불편함이 야기되며, 장애 처리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238901호, (2013.03.06.)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매기의 유지보수 작업이 간편해지며 유지보수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발매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인증정보가 전송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인증되는 휴대용 단말기 인증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상기 발매기가 제어되어 상기 발매기가 유지보수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발매기가 유지보수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발매기의 전자저널이 표시되는 전자저널 표시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발매기에 설치된 디바이스의 상태가 표시되는 디바이스 표시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상기 발매기에 설치된 디바이스가 제어되는 디바이스 제어단계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상기 발매기에 설치된 디바이스가 초기화되는 디바이스 초기화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저널 표시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관리자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입력된 상기 관리자 비밀번호의 일치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발매기에 전자저널 열람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매기가 상기 전자저널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전자저널의 정보가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표시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관리자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입력된 상기 관리자 비밀번호의 일치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발매기에 디바이스 확인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매기가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발매기가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확인 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확인 결과가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제어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관리자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입력된 상기 관리자 비밀번호의 일치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발매기에 상기 디바이스 동작시키는 디바이스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매기가 상기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발매기가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결과가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초기화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관리자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입력된 상기 관리자 비밀번호의 일치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발매기에 디바이스 초기화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매기가 상기 디바이스를 초기화하는 단계; 상기 발매기가 상기 디바이스의 초기화 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디바이스의 초기화 결과가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판독소인모듈, 티켓 프린터모듈, 통신모듈 및 오디오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인증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발매기 고유번호 및 관리자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입력된 상기 발매기 고유번호 및 상기 관리자 비밀번호의 일치여부가 판단되는 인증정보 판단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결과가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정보 판단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발매기 고유번호 및 상기 관리자 비밀번호를 상기 발매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매기가 상기 발매기 고유번호 및 상기 관리자 비밀번호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발매기가 상기 발매기 고유번호 및 상기 관리자 비밀번호의 일치여부 판단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발매기용 디스플레이모듈과 다수개의 디바이스와 상기 발매기용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발매기용 주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발매기; 및 상기 발매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을 제어하는 단말기용 주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는, 상기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에 상기 발매기의 전자저널을 표시하는 작업, 상기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에 상기 발매기에 설치된 디바이스의 상태를 표시하는 작업, 상기 발매기에 설치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작업 또는 상기 발매기에 설치된 디바이스를 초기화하는 작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에 상기 발매기의 전자저널을 표시하는 작업은,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가 상기 발매기용 주제어장치에 전자저널 열람신호를 전송하는 작업;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가 상기 발매기용 주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전자저널의 정보를 전달받는 작업; 및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가 상기 전자저널의 정보를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에 표시하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에 상기 발매기에 설치된 디바이스의 상태를 표시하는 작업은,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가 상기 발매기용 주제어장치에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신호를 전송하는 작업;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가 상기 발매기용 주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확인 결과를 전달받는 작업; 및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가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확인 결과를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에 표시하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매기에 설치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작업은,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가 상기 발매기용 주제어장치에 상기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디바이스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작업;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가 상기 발매기용 주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결과를 전달받는 작업; 및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가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결과를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에 표시하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매기에 설치된 디바이스를 초기화하는 작업은,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가 상기 발매기용 주제어장치에 상기 디바이스를 초기화시키는 초기화신호를 전송하는 작업;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가 상기 발매기용 주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초기화 결과를 전달받는 작업; 및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가 상기 디바이스의 초기화 결과를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에 표시하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발매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발매기를 제어함으로써, 발매기의 유지보수 작업을 간편하게 하며 유지보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발매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휴대용 단말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의 휴대용 단말기 인증단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의 전자저널 표시단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의 디바이스 표시단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의 디바이스 제어단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의 디바이스 초기화단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발매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휴대용 단말기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의 휴대용 단말기 인증단계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의 전자저널 표시단계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6은 도 1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의 디바이스 표시단계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의 디바이스 제어단계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8은 도 1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의 디바이스 초기화단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 시스템은, 발매기(110)와, 발매기(11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발매기(110)는 복권, 마권(馬券), 경륜 경주권, 경정 경주권, 우권(牛券) 등과 같이 복권 구매자가 원하는 숫자나 기호를 기입하여 구매하게 되는 모든 종류의 기입식 복권 및 스포츠(축구, 야구, 농구, 배구, 골프, 씨름 등) 복권을 발매하는 발매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발매기(110)는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발매기용 디스플레이모듈(111), 발매기용 주제어장치(112) 및 발매기(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발매기용 주제어장치(112)는 메모리(112a), 메인보드(112b), 저장모듈(112c)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발매기(110)의 발매기용 디스플레이모듈(111)은 발매기(110)의 내부를 개폐하는 전면 도어(미도시)에 설치되어 발매기(110)의 전면에 배치된다.
발매기(110)의 발매기용 디스플레이모듈(111)의 화면에는 발매기(110)의 유지보수 시 작업자의 확인을 위한 발매기(110)의 전저저널의 정보, 발매기(110) 디바이스의 상태 및 발매기(110) 디바이스의 제어메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저널은 발매기(110)의 운전 상태나 시스템 동작상태 및 통신기록 등이 저장된 전자파일 형태의 기록매체를 말한다.
또한 발매기(110)의 디바이스는, 통신모듈(113), 오디오모듈(114), 전원모듈(115), 입출력모듈(116), 판독소인모듈(117), 티켓 프린터모듈(118) 및 저널 프린터모듈(119) 등을 포함한다.
판독소인모듈(117)은, 복권 구매자가 자신이 원하는 숫자나 기호를 기입한 구매표(Betting Slip)의 기입된 정보를 인식하여 주제어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발매기용 주제어장치(112)는 복권발행 서버(미도시)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구매표에 기입된 정보를 복권발행 서버(미도시)에 전송한다. 복권발행 서버(미도시)에서 발행된 복권의 정보는 다시 발매기(110)의 발매기용 주제어장치(112)로 전달되고, 발매기용 주제어장치(112)의 신호에 따라 티켓 프린팅모듈(118)에 의해 복권이 프린팅되어 구매자에게 전달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발매기용 주제어장치(112)는, 발매기용 디스플레이모듈(111)과 디바이스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매기용 디스플레이모듈(111)과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120)는 발매기(110)의 유지보수를 위해 에 발매기(11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휴대용 단말기(120)는,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121), 단말기용 주제어장치(122), 통신모듈(123), 입출력모듈(124) 및 전원모듈(125)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용 주제어장치(122)는 메모리, 메인보드, 저장모듈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120)는 발매기(11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발매기(110)를 제어함으로써, 작업자가 발매기(110)의 발매기용 디스플레이모듈(111)의 화면을 볼 필요 없이 발매기(110)를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단말기용 주제어장치(121)는,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121)에 발매기(110)의 전자저널을 표시하는 작업,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121)에 발매기(110)에 설치된 디바이스의 상태를 표시하는 작업, 발매기(110)에 설치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작업 또는 발매기(110)에 설치된 디바이스를 초기화하는 작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121)에 발매기(110)의 전자저널을 표시하는 작업,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121)에 발매기(110)에 설치된 디바이스의 상태를 표시하는 작업, 발매기(110)에 설치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작업 또는 발매기(110)에 설치된 디바이스를 초기화하는 작업에 대해서는 후술할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120)를 통한 발매기(110)의 제어를 위해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120)에는, 발매기(110)의 유지보수를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소위 앱(app))이 탑재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app)은, 안드로이드(android) 기반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120)가 리눅스(Linux) 기반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을 가지는 발매기(1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을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은, 발매기(11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120)에 의해 인증정보가 전송되어 휴대용 단말기(120)가 인증되는 휴대용 단말기 인증단계와, 휴대용 단말기(120)에 의해 발매기(110)가 제어되어 발매기(110)가 유지보수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 인증단계에서는, 발매기(11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120)에 입력된 인증정보가 발매기(110)에 전송되어 휴대용 단말기(120)가 인증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 인증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20)에 발매기 고유번호 및 관리자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S10)와, 입력된 발매기 고유번호 및 관리자 비밀번호의 일치여부가 판단되는 인증정보 판단단계(S20)와, 휴대용 단말기(120)의 화면에 휴대용 단말기(120)의 인증 결과가 표시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120)에 발매기 고유번호 및 관리자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S10)에서는, 발매기 고유번호 및 관리자 비밀번호가 유지보수 작업자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120)에 입력된다.
인증정보 판단단계(S20)에서는 입력된 발매기(110) 고유번호 및 관리자 비밀번호의 일치여부가 판단된다. 본 실시예의 인증정보 판단단계(S20)에서는 2가지의 인증정보인 발매기 고유번호 및 관리자 비밀번호의 일치여부가 각각 판단되고 2가지 모두가 일치할 때 인증됨으로써 보안이 더욱 강화된다.
이러한 인증정보 판단단계(S20)는, 휴대용 단말기(120)가 발매기 고유번호 및 관리자 비밀번호를 발매기(110)에 전송하는 단계(S21)와, 발매기(110)가 발매기 고유번호 및 관리자 비밀번호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2)와, 발매기(110)가 발매기 고유번호 및 관리자 비밀번호의 일치여부 판단결과를 휴대용 단말기(120)에 전송하는 단계(S23)를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120)에 인증 결과가 표시되는 단계(S23)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20)에 전송된 발매기 고유번호 및 관리자 비밀번호의 일치여부 판단결과가 휴대용 단말기(120)의 화면에 표시된다.
상술한 휴대용 단말기 인증단계에서 휴대용 단말기(120)가 인증된 후에는, 인증된 휴대용 단말기(120)를 통해 발매기(110)가 유지보수된다.
발매기(110)가 유지보수되는 단계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20)에 의해 발매기(110)가 제어된다. 이러한 발매기(110)가 유지보수되는 단계는, 휴대용 단말기(120)에 발매기(110)의 전자저널이 표시되는 전자저널 표시단계, 휴대용 단말기(120)에 발매기(110)에 설치된 디바이스의 상태가 표시되는 디바이스 표시단계, 휴대용 단말기(120)에 의해 발매기(110)에 설치된 디바이스가 제어되는 디바이스 제어단계 또는 휴대용 단말기(120)에 의해 발매기(110)에 설치된 디바이스가 초기화되는 디바이스 초기화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전자저널 표시단계에서는 발매기(110)의 전자저널이 휴대용 단말기(120)에 표시된다. 이러한 전자저널 표시단계는, 휴대용 단말기(120)에 관리자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S110)와, 입력된 관리자 비밀번호의 일치여부가 판단되는 단계(S120)와, 휴대용 단말기(120)가 발매기(110)에 전자저널 열람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30)와, 발매기(110)가 전자저널을 휴대용 단말기(120)에 전송하는 단계(S150)와, 휴대용 단말기(120)의 화면에 전자저널의 정보가 표시되는 단계(S1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에 따르면, 발매기(110)에 저장된 전자저널이 휴대용 발매기(110)에 표시됨으로써, 작업자는 발매기(110)의 유지보수 작업 시 발매기(110)의 전자저널을 확인하기 위해 발매기(110)의 도어를 개폐하며 발매기(110)의 발매기용 디스플레이모듈(111)의 화면을 볼 필요 없이 휴대용 단말기(120)를 통해 발매기(110)의 전자저널을 확인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유지보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디바이스 표시단계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20)에 발매기(110)에 설치된 디바이스의 상태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의 디바이스 표시단계에서는 판독소인모듈, 티켓 프린터모듈, 통신모듈 및 오디오모듈 등의 상태가 휴대용 단말기(120)에 표시된다.
디바이스 표시단계는, 휴대용 단말기(120)에 관리자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S210)와, 입력된 관리자 비밀번호의 일치여부가 판단되는 단계(S220)와, 휴대용 단말기(120)가 발매기(110)에 디바이스 확인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230)와, 발매기(110)가 디바이스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240)와, 발매기(110)가 디바이스의 상태확인 결과를 휴대용 단말기(120)에 전송하는 단계(S250)와, 휴대용 단말기(120)의 화면에 디바이스의 상태확인 결과가 표시되는 단계(S2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에 따르면, 발매기(110)의 디바이스 상태가 휴대용 발매기(110)에 표시됨으로써, 작업자는 발매기(110)의 유지보수 작업 시 발매기(110)의 디바이스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발매기(110)의 도어를 개폐하며 발매기(110)의 발매기용 디스플레이모듈(111)의 화면을 볼 필요 없이 휴대용 단말기(120)를 통해 발매기(110)의 디바이스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유지보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디바이스 제어단계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20)에 의해 발매기(110)에 설치된 디바이스가 제어된다. 본 실시예의 디바이스 표시단계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20)에 의해 판독소인모듈, 티켓 프린터모듈, 통신모듈 및 오디오모듈 등이 동작된다.
이러한 디바이스 제어단계는, 휴대용 단말기(120)에 관리자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S310)와, 입력된 관리자 비밀번호의 일치여부가 판단되는 단계(S320)와, 휴대용 단말기(120)가 발매기(110)에 디바이스 동작시키는 디바이스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330)와, 발매기(110)가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단계(S340)와, 발매기(110)가 디바이스의 동작결과를 휴대용 단말기(120)에 전송하는 단계(S350)와, 휴대용 단말기(120)의 화면에 디바이스의 동작결과가 표시되는 단계(S3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에 따르면, 발매기(110)의 디바이스가 휴대용 발매기(11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작업자는 발매기(110)의 유지보수 작업 시 발매기(110)의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해 발매기(110)의 도어를 개폐하며 발매기(110)의 발매기용 디스플레이모듈(111)의 화면을 볼 필요 없이 휴대용 단말기(120)를 통해 발매기(110)의 디바이스를 동작시킬 수 있어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유지보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디바이스 초기화단계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20)에 의해 발매기(110)에 설치된 디바이스가 초기화된다. 디바이스 초기화단계에서는 발매기(110) 디바이스를 초기화하여 발매기(110)의 디바이스를 장애 발생 전의 상태로 복구한다.
이러한 디바이스 초기화단계는, 휴대용 단말기(120)에 관리자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S410)와, 입력된 관리자 비밀번호의 일치여부가 판단되는 단계(S420)와, 휴대용 단말기(120)가 발매기(110)에 디바이스 초기화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430)와, 발매기(110)가 디바이스를 초기화하는 단계(S440)와, 발매기(110)가 디바이스의 초기화 결과를 휴대용 단말기(120)에 전송하는 단계(S450)와, 휴대용 단말기(120)의 화면에 디바이스의 초기화 결과가 표시되는 단계(S4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에 따르면, 발매기(110)의 디바이스가 휴대용 발매기(110)에 의해 초기화됨으로써, 작업자는 발매기(110)의 유지보수 작업 시 발매기(110)의 디바이스의 초기화를 위해 발매기(110)의 도어를 개폐하며 발매기(110)의 발매기용 디스플레이모듈(111)의 화면을 볼 필요 없이 휴대용 단말기(120)를 통해 발매기(110)의 디바이스를 초기화시킬 수 있어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유지보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은, 발매기(11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120)에 의해 발매기(110)가 제어되어 발매기(110)가 유지보수되는 단계를 구비함으로써, 발매기(110)의 유지보수 작업을 간편하게 하며 유지보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관제 서버(130)가 추가되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8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본 실시예의 관제 서버(130)의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 시스템은, 발매기(110) 및 휴대용 단말기(12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관제 서버(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발매기(110)가 관제 서버(1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됨으로써, 발매기(110)에 발생된 장애는 관제 서버(130)에 보고되어 장애가 발생된 발매기(110)의 정보가 관제 서버(130)에 저장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관제 서버(130)는 휴대용 단말기(12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장애가 발생된 발매기(110)의 정보가 휴대용 단말기(120)에 전송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20)는 발매기(11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은, 발매기(110)에 장애 발생 시 발매기(11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관제 서버(130)에 발매기(110)의 장애발생이 보고되는 단계((S510)와, 관제 서버(13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120)에 발매기(110)의 장애발생이 보고되는 단계(S520)와, 휴대용 단말기(120)에 의해 발매기(110)가 유지보수되어 발매기(110)의 장애가 해결되는 단계(S530)와, 휴대용 단말기(120)에 의해 관제 서버(130)에 발매기(110)의 장애 해결이 보고되는 단계(S540)를 포함한다.
관제 서버(130)에 발매기(110)의 장애발생이 보고되는 단계에서는, 발매기(110)에 장애 발생 시 발매기(11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관제 서버(130)에 보고된다.
휴대용 단말기(120)에 발매기(110)의 장애발생이 보고되는 단계에서는, 관제 서버(130)에 저장된 장애가 발생된 발매기(110)의 정보가 관제 서버(13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120)에 보고된다.
이때 작업자가 휴대용 단말기(120)를 통해 장애가 발생된 발매기(110)를 확인한 후, 휴대용 단말기(120)를 통해 장애가 발생된 발매기(110)의 더 많은 정보(장애 종류 등)를 관제 서버(130)로부터 추가로 전송받을 수 있다.
발매기(110)의 장애가 해결되는 단계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20)에 의해 발매기(110)가 유지보수된다. 이러한 발매기(110)의 장애가 해결되는 단계는, 발매기(11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120)에 의해 인증정보가 전송되어 휴대용 단말기(120)가 인증되는 휴대용 단말기 인증단계(S531)와, 휴대용 단말기(120)에 의해 발매기(110)가 제어되어 발매기(110)가 유지보수되는 단계(S532)를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 인증단계(S531)와 발매기(110)가 유지보수되는 단계(S532)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발매기(110)의 장애 해결이 보고되는 단계에서는 발매기(110)의 장애 해결 결과를 휴대용 단말기(120)에 의해 관제 서버(130)에 보고된다.
발매기(110)의 장애 해결 결과가 수신된 후, 관제 서버(130)는 장애가 발생된 발매기(110)의 정보를 갱신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은, 관제 서버(130)에 발매기(110)의 장애발생이 보고되는 단계와 관제 서버(130)에 보고된 발매기(110)의 장애발생이 휴대용 단말기(120)에 보고되는 단계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발매기(110)의 장애발생을 빠르게 인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발매기(110)의 유지보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발매기 120: 휴대용 단말기
130: 관제 서버

Claims (13)

  1. 발매기에 장애 발생 시 상기 발매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관제 서버에 상기 발매기의 장애발생이 보고되는 단계;
    상기 관제 서버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발매기의 장애발생이 보고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상기 발매기가 유지보수되어 상기 발매기의 장애가 해결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상기 관제 서버에 상기 발매기의 장애 해결이 보고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발매기의 장애가 해결되는 단계는,
    상기 발매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인증정보가 전송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인증되는 휴대용 단말기 인증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상기 발매기가 제어되어 상기 발매기가 유지보수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발매기가 유지보수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발매기의 전자저널이 표시되는 전자저널 표시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발매기에 설치된 디바이스의 상태가 표시되는 디바이스 표시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상기 발매기에 설치된 디바이스가 제어되는 디바이스 제어단계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상기 발매기에 설치된 디바이스가 초기화되는 디바이스 초기화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저널 표시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관리자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입력된 상기 관리자 비밀번호의 일치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발매기에 전자저널 열람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매기가 상기 전자저널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전자저널의 정보가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표시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관리자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입력된 상기 관리자 비밀번호의 일치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발매기에 디바이스 확인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매기가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발매기가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확인 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확인 결과가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제어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관리자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입력된 상기 관리자 비밀번호의 일치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발매기에 상기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디바이스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매기가 상기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발매기가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결과가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초기화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관리자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입력된 상기 관리자 비밀번호의 일치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발매기에 디바이스 초기화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매기가 상기 디바이스를 초기화하는 단계;
    상기 발매기가 상기 디바이스의 초기화 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디바이스의 초기화 결과가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판독소인모듈, 티켓 프린터모듈, 통신모듈 및 오디오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인증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발매기 고유번호 및 관리자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입력된 상기 발매기 고유번호 및 상기 관리자 비밀번호의 일치여부가 판단되는 인증정보 판단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결과가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 판단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발매기 고유번호 및 상기 관리자 비밀번호를 상기 발매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매기가 상기 발매기 고유번호 및 상기 관리자 비밀번호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발매기가 상기 발매기 고유번호 및 상기 관리자 비밀번호의 일치여부 판단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방법.
  9. 발매기용 디스플레이모듈과 다수개의 디바이스와 상기 발매기용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발매기용 주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발매기;
    상기 발매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발매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을 제어하는 단말기용 주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는,
    상기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에 상기 발매기의 전자저널을 표시하는 작업, 상기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에 상기 발매기에 설치된 디바이스의 상태를 표시하는 작업, 상기 발매기에 설치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작업 또는 상기 발매기에 설치된 디바이스를 초기화하는 작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고,
    상기 발매기에 장애 발생 시 상기 발매기의 장애발생이 상기 관제 서버에 보고되며,
    상기 발매기의 장애 해결 시 상기 발매기의 장애해결이 상기 관제 서버에 보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에 상기 발매기의 전자저널을 표시하는 작업은,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가 상기 발매기용 주제어장치에 전자저널 열람신호를 전송하는 작업;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가 상기 발매기용 주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전자저널의 정보를 전달받는 작업; 및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가 상기 전자저널의 정보를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에 표시하는 작업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에 상기 발매기에 설치된 디바이스의 상태를 표시하는 작업은,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가 상기 발매기용 주제어장치에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신호를 전송하는 작업;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가 상기 발매기용 주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확인 결과를 전달받는 작업; 및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가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확인 결과를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에 표시하는 작업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매기에 설치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작업은,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가 상기 발매기용 주제어장치에 상기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디바이스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작업;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가 상기 발매기용 주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결과를 전달받는 작업; 및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가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결과를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에 표시하는 작업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매기에 설치된 디바이스를 초기화하는 작업은,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가 상기 발매기용 주제어장치에 상기 디바이스를 초기화시키는 초기화신호를 전송하는 작업;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가 상기 발매기용 주제어장치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초기화 결과를 전달받는 작업; 및
    상기 단말기용 주제어장치가 상기 디바이스의 초기화 결과를 단말기용 디스플레이모듈에 표시하는 작업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 시스템.
KR1020160079231A 2016-06-24 2016-06-24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92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231A KR101892087B1 (ko) 2016-06-24 2016-06-24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231A KR101892087B1 (ko) 2016-06-24 2016-06-24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24A KR20180000924A (ko) 2018-01-04
KR101892087B1 true KR101892087B1 (ko) 2018-09-28

Family

ID=6099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231A KR101892087B1 (ko) 2016-06-24 2016-06-24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0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900B1 (ko) * 2011-11-09 2013-03-06 주식회사 케이씨티 복권 발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900B1 (ko) * 2011-11-09 2013-03-06 주식회사 케이씨티 복권 발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24A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22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a mobile device to facilitate fund transfers between a cashless wagering account and a gaming establishment retail account
US118543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virtual ticket vouchers
US8932139B2 (en) Electronic gaming device troubleshooting and logging
CN111149135B (zh) 用于促进电子游戏机和移动设备之间的通信的设备、系统和方法
JP5839655B2 (ja) 遊技用システム及び遊技用装置
JP2010057979A (ja) 遊技機
JP2003126497A (ja) 識別データ設定方法および遊技情報管理システム
JPH11123270A (ja) 遊技プログラム供給システム
KR101892087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발매기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JP4446413B2 (ja) 遊技システム
US20090298581A1 (en) Game machine management device having penalty function, game device, operation program thereof and penalty setting server
JP5828667B2 (ja) 遊技用システム及び遊技用装置
JP2016032538A (ja) 遊技台
JP2017018216A (ja) 管理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US20130190073A1 (en) Networkless ticketing solution
JP2016032542A (ja) 店内サーバ
JP4814368B2 (ja) 遊技機
JP5723668B2 (ja) 遊技用システム
JP6085632B2 (ja) 遊技用システム
JP2024507322A (ja) 周辺機器により視覚的装置状態を提供するシステム
JP2016032539A (ja) 遊技台
WO2012097382A1 (en) Wireless promotional couponing system
JP2015036030A (ja) 遊技用装置
JP2019136581A (ja) 遊技用システム
JP2019135649A (ja) 会計処理の制御方法、及び、レジスタ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